KR20160129574A - Polyolefin separator and th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lyolefin separator and th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574A
KR20160129574A KR1020150061926A KR20150061926A KR20160129574A KR 20160129574 A KR20160129574 A KR 20160129574A KR 1020150061926 A KR1020150061926 A KR 1020150061926A KR 20150061926 A KR20150061926 A KR 20150061926A KR 20160129574 A KR20160129574 A KR 20160129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oxy resin
porous
separator
aromatic
type ep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9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비오
송헌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061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9574A/en
Publication of KR20160129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574A/en

Links

Classifications

    • H01M2/168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2/145
    • H01M2/1653
    • H01M2/16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yolefin separator which can reduce the thickness and the weight compared to a conventional composite separator having organic/inorganic coating layers, and has a heat radiation property equivalent to that of the conventional composite separator. The separator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es: a porous polymer film; and a porous coating layer including an epoxy resin curing material, and formed i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porous polymer film.

Description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Polyolefin separator and th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Polyolefin sepa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경제성 및 내열성이 매우 우수한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olefin separator having excellent economical efficiency and heat resistanc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이차전지는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해 충전과 방전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학전지로서, 납축전지, 니켈 카드뮴전지, 니켈 수소전지, 리튬 이차전지로 구분된다. 이중, 리튬 이차전지는 다른 전지들에 비하여 높은 전압 및 에너지 밀도 특성이 우수하여 이차전지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서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와 고체형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로 구분된다.A secondary battery is a chemical battery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y repeatedly charging and discharging by electrochemical reaction, and is classified into a lead acid battery, a nickel cadmium battery, a nickel hydrogen battery,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superior to other batteries in terms of high voltage and energy density characteristics, leading the secondary battery market. Depending on the type of electrolyte, a lithium ion battery using a liquid electrolyte and a lithium ion battery using a solid electrolyte Polymer battery.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전해액, 분리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리튬 이차전지 분리막의 요구 특성은 양극과 음극을 분리하여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면서도 높은 기공도를 바탕으로 리튬 이온의 투과성을 높여 이온전도도를 높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분리막의 고분자 소재로는 기공 형성에 유리하고, 내화학성 및 기계적 물성, 전기 절연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가격이 저렴한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composed of a cathode, an anode, an electrolytic solution and a separator.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separator is required to separate the anode and the cathode from each other and electrically insulate it from each other while enhancing the permeability of lithium ions based on the high porosity. . Polyolefins such as polyethylene, which are advantageous for pore formation and have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mechanical properties, electrical insulation characteristics, and low cost, are mainly used as polymer materials of membranes which are generally used.

그러나 폴리에틸렌의 용융점이 130℃ 정도로 낮아 전지의 발열이 일어날 경우 용융점 이상의 고온에서 치수 안정성을 갖지 못하고 수축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이 경우 양극과 음극이 만나 내부 단락과 열폭주 현상을 일으켜 발화까지 이르게 된다.However, when the melting point of polyethylene is as low as about 130 ° C, heat generation of the battery causes shrinkage deformation without having dimensional stability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In this case, the anode and the cathode meet and cause an internal short circuit and thermal runaway phenomenon, which leads to ignition.

이러한 낮은 열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폴리에틸렌 표면에 무기물이나 내열성 고분자를 코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고온에서 열수축 현상을 개선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such low thermal properties, methods of improving heat shrinkage at high temperature have been developed by using a method of coating inorganic or heat-resistant polymer on the surface of polyethylene.

그러나 이러한 코팅층은 안전성을 개선하지만, 패킹 밀도(packing density)를 높여 기존보다 전지의 무게를 증가시키고 있다. However, such a coating improves the safety, but increases the packing density and increases the weight of the battery.

따라서, 복합 분리막의 두께 및 무게를 줄이면서, 내열성을 유지하기 위한 분리막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separation membranes are still required to maintain the heat resistance while reducing the thickness and weight of the composite separator.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두께와 무게가 감소됨에도, 내열성이 매우 우수한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yolefin separator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even if its thickness and weight are reduced,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공성 고분자 필름; 및 에폭시 수지의 경화물을 포함하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ous polymer film comprising: a porous polymer film; And a porous coating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porous polymer film including a cured product of an epoxy resin.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폭시 수지는 방향족 에폭시 수지 및 비방향족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Preferably, the epoxy resi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romatic epoxy resin and a non-aromatic epoxy resin.

상기 방향족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브롬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D형 에폭시 수지, 플루오렌 함유 에폭시 수지 및 트라이글리시딜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Wherein the aromatic epoxy resi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brominated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bisphenol F type epoxy resin, bisphenol AD type epoxy resin, fluorene containing epoxy resin and triglycidyl isocyanurate It may be more than one kind.

상기 비방향족 에폭시 수지는 지방족 글리시딜 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지방족 글리시딜 에스터형 에폭시 수지, 지환족 글리시딜 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및 지환족 글리시딜 에스터형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Wherein the non-aromatic epoxy resi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liphatic glycidyl ether type epoxy resin, an aliphatic glycidyl ester type epoxy resin, an alicyclic glycidyl ether type epoxy resin and an alicyclic glycidyl ester type epoxy resin It can be more than a species.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폭시 수지의 경화물은 에폭시 수지, 경화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경화용 조성물의 경화 결과물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cured product of the epoxy resin may be a cured product of a curing composition comprising an epoxy resin, a curing agent and an organic solv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화제는 방향족 경화제 및 비방향족 경화제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curing agent may be at least one of an aromatic curing agent and a non-aromatic curing ag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용매는 극성유기용매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organic solvent may be polar organic daily.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공성 고분자 필름은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펜텐: 폴리헥센: 폴리옥텐: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펜텐, 4-메틸펜텐, 헥센, 옥텐 중 1종 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orous polymer film may be a porous polyolefin film. Wherein the porous polyolefin film comprise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butylene; Polypentene: polyhexene: polyolefin: at least one copolymer of ethylene, propylene, butene, pentene, 4-methylpentene, hexene, and octene, or a mixture thereof.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공성 고분자 필름의 두께는 5 내지 50 ㎛일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코팅층의 두께는 0.01 내지 1 ㎛일 수 있다.Preferably, the porous polymer film may have a thickness of 5 to 50 탆, and the porous coating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0.01 to 1 탆.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캐소드, 애노드, 및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개재된 상기 개시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a cathode, an anode, and the above-described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cathode and the ano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화학소자는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Preferably, the electrochemical device may b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의 적어도 일 면에 에폭시 수지, 경화제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다공성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이 코팅된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을 경화시켜 다공성 코팅층 이 형성된 복합 분리막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so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rous polyolefin film, comprising: preparing a porous polyolefin film; Coat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rous polyolefin film with a composition for forming a porous coating layer comprising an epoxy resin, a curing agent and an organic solvent; And curing the porous polyolefin film coated with the composition to obtain a composite separator having a porous coating layer formed thereon.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화는 70 내지 100?의 온도에서 5 내지 20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uring can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70 to 100 DEG C for 5 to 20 hours.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펜텐: 폴리헥센: 폴리옥텐: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펜텐, 4-메틸펜텐, 헥센, 옥텐 중 1종 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orous polyolefin film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butylene; Polypentene: polyhexene: polyolefin: at least one copolymer of ethylene, propylene, butene, pentene, 4-methylpentene, hexene, and octene, or a mixture thereof.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소제는 파라핀 오일, 광유, 왁스, 대두유, 프탈산 에스테르류, 방향족 에테르류, 탄소수 10 내지 20개의 지방산류; 탄소수 10 내지 20개의 지방산알코올류; 및 지방산 에스테르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lasticiz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raffin oil, mineral oil, wax, soybean oil, phthalic acid esters, aromatic ethers, fatty acids having 10 to 20 carbon atoms; Fatty acid alcohols having 10 to 20 carbon atoms; And fatty acid esters.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유/무기 코팅층을 갖는 복합분리막 대비 두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내열성은 동등한 수준의 폴리올레핀 분리막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yolefin separator which can reduce the thickness and weight of a conventional composite separator having an organic / inorganic coating layer and has an equivalent heat resist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분리막 대비 내화학성, 고전압의 전기절연성, 내수성이 우수하여 전해액 웨팅성이 향상된 폴리올레핀 분리막을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의 유/무기 코팅 슬러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yolefin separator having improved chemical resistance, electric insulation of high voltage, and water resistance compared to conventional separator and improved electrolyte wettability, and productivity is improved by not using conventional organic / inorganic coating slurry .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은 다공성 고분자 필름; 및 에폭시 수지의 경화물을 포함하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ion membrane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es: a porous polymer film; And a porous coating layer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rous polymer film including a cured product of an epoxy resin.

상기 에폭시 수지의 경화물은 에폭시 수지, 경화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경화용 조성물의 경화 결과물일 수 있다.The cured product of the epoxy resin may be a cured product of a curing composition comprising an epoxy resin, a curing agent and an organic solvent.

상기 에폭시 수지는 상기 경화용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로 첨가되며, 방향족 에폭시 수지 및 비방향족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The epoxy resin is added in an amount of 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uring composition, and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romatic epoxy resin and a non-aromatic epoxy resin can be used.

상기 방향족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브롬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D형 에폭시 수지, 플루오렌 함유 에폭시 수지 및 트라이글리시딜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비방향족 에폭시 수지는 지방족 글리시딜 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지방족 글리시딜 에스터형 에폭시 수지, 지환족 글리시딜 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및 지환족 글리시딜 에스터형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Wherein the aromatic epoxy resi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brominated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bisphenol F type epoxy resin, bisphenol AD type epoxy resin, fluorene containing epoxy resin and triglycidyl isocyanurate The non-aromatic epoxy resi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liphatic glycidyl ether type epoxy resin, an aliphatic glycidyl ester type epoxy resin, an alicyclic glycidyl ether type epoxy resin and an alicyclic glycidyl ester type epoxy A resin, and a resin.

상기 경화제는 상기 경화용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 중량%로 첨가되며, 방향족 경화제 및 비방향족 경화제 중 하나 이상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The curing agent is added in an amount of 0.1 to 3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uring composition, and may be one or more of an aromatic curing agent and a non-aromatic curing agent.

상기 방향족 경화제는 방향족 아민(예컨대, 메타페닐렌다이아민, 다이아미노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미노다이페닐설폰, 벤질다이메틸아민, 다이메틸아미노메틸벤젠 등), 방향족 산 무수물(예컨대, 무수 프탈산, 무수 트라이멜리트산, 무수 피로멜리트산 등), 페놀 수지, 페놀 노볼락 수지, 헤테로방향환 함유 아민(예컨대, 트라이아진환 함유 아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비방향족 경화제는 지방족 아민류(예컨대, 에틸렌다이아민,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트라이에틸렌테트라아민,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 이미노비스프로필아민, 비스(헥사메틸렌)트라이아민, 1,3,6-트리스아미노메틸헥세인, 폴리메틸렌다이아민, 트라이메틸헥사메틸렌다이아민, 폴리에테르다이아민 등), 지환족 아민류(아이소포론다이아민, 멘테인다이아민, N-아미노에틸피페라진, 3,9-비스(3-아미노프로필)-2,4,8,10-테트라옥사스파이로(5,5)운데케인 부가물,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테인,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테인, 이들의 변성품 등), 폴리아민류와 다이머산으로 이루어지는 지방족 폴리아마이드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The aromatic curing agent may be selected from aromatic amines (e.g., m-phenylenediamine, diaminodiphenylmethane, diaminodiphenylsulfone, benzyldimethylamine, dimethylaminomethylbenzene, etc.), aromatic acid anhydride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enol novolak resins, heterocyclic ring-containing amines (e.g., triazine-ring-containing amines), and the like can be used, The aromatic curing ag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iphatic amines such as ethylenediamine, diethylenetriamine, triethylenetetramine, tetraethylenepentamine, iminobispropylamine, bis (hexamethylene) triamine, 1,3,6-trisaminomethylhexyl Polyamine diamine, trimethyl hexamethylene diamine, polyether diamine, etc.), alicyclic amines (isophorone diamine, (5,5) undecane adducts with 3,9-bis (3-aminopropyl) -2,4,8,10-tetraoxaspire, bis (4-amino 3-methylcyclohexyl) methane, bis (4-aminocyclohexyl) methane, modified products thereof, etc.), aliphatic polyamide amines composed of polyamines and dimer acids have.

상기 유기용매는 상기 경화용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90 내지 99 중량%로 첨가되며 극성유기용매일 수 있다. 상기 극성유기용매는 자일렌, 톨루엔, 아세톤,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organic solvent is added in an amount of 90 to 99%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uring composition, and may be polar organic solvent. Examples of the polar organic solvent include xylene, toluene, acetone, methanol, isopropyl alcohol, methyl ethyl ketone, and methyl isobutyl ketone.

상기 다공성 고분자 필름은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일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펜텐: 폴리헥센: 폴리옥텐: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펜텐, 4-메틸펜텐, 헥센, 옥텐 중 1종 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rous polymer film may be a porous polyolefin film, and the porous polyolefin film may b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butylene; Polypentene: polyhexene: polyolefin: at least one copolymer of ethylene, propylene, butene, pentene, 4-methylpentene, hexene, and octene, or a mixture thereof.

상기 다공성 고분자 필름의 두께는 5 내지 50 ㎛일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코팅층의 두께는 0.01 내지 1 ㎛일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porous polymer film may be 5 to 50 탆, and the thickness of the porous coating layer may be 0.01 to 1 탆.

또한, 본 발명은 캐소드, 애노드, 및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개재된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화학소자는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a cathode, an anode, and the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cathode and the anode. Preferably, the electrochemical device may b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상기 캐소드, 애노드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전극활물질을 전극 전류집전체에 결착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전극활물질 중 캐소드활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종래 전기화학소자의 캐소드에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캐소드활물질이 사용 가능하며, 특히 리튬망간산화물, 리튬코발트산화물, 리튬니켈산화물, 리튬철산화물 또는 이들을 조합한 리튬복합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애노드활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종래 전기화학소자의 애노드에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애노드활물질이 사용 가능하며, 특히 리튬 금속 또는 리튬 합금, 탄소, 석유코크(petroleum coke), 활성화 탄소(activated carbon), 그래파이트(graphite) 또는 기타 탄소류 등과 같은 리튬 흡착물질 등이 사용 가능하다. 캐소드 전류집전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알루미늄, 니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호일 등이 있으며, 애노드 전류집전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구리, 금, 니켈 또는 구리 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호일 등이 있다.The cathode and the anode may be manufactured by binding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to an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Examples of the cathode active material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lithium manganese oxide, lithium cobalt oxide, lithium nickel oxide, lithium iron oxide, or a combination thereof A lithium complex oxide may be used. 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anode active material, a conventional anode active material that can be used for an anode of an electrochemical device can be used. In particular, lithium metal or a lithium alloy, carbon, petroleum coke, activated carbon, Lithium adsorbing materials such as graphite or other carbon-based materials and the like can be used. Non-limiting examples of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include aluminum, nickel,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examples of the anode current collector include copper, gold, nickel, or a copper alloy or a combination thereof Foil to be manufactured,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해액은 A+B-와 같은 구조의 염으로서, A+는 Li+, Na+, K+와 같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을 포함하고 B-는 PF6 -, BF4 -, Cl-, Br-, I-, ClO4 -, AsF6 -, CH3CO2 -, CF3SO3 -, N(CF3SO2)2 -, C(CF2SO2)3 -와 같은 음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을 포함하는 염이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디에틸카보네이트(DEC), 디메틸카보네이트(DMC), 디프로필카보네이트(DPC),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N-메틸-2-피롤리돈(NMP),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감마 부티로락톤 (g-부티로락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유기 용매에 용해 또는 해리된 것이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lectrolyte used i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alt having a structure such as A + B - , where A + is an alkali metal cation such as Li + , Na + , K + including consisting of ions and B - is PF 6 -, BF 4 -, Cl -, Br -, I -, ClO 4 -, AsF 6 -, CH 3 CO 2 -, CF 3 SO 3 -, N (CF 3 SO 2) 2 -, C (CF 2 SO 2) 3 - a salt containing an ion composed of such anions,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propylene carbonate (PC), ethylene carbonate (EC), diethyl carbonate (DEC), dimethyl carbonate (DMC), dipropyl carbonate (DPC), dimethylsulfoxide, acetonitrile, dimethoxyethane, diethoxyethane, tetrahydrofuran, N-methyl-2-pyrrolidone (NMP), ethylmethyl carbonate (G-butyrolactone) or a mixture thereof.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not fixed.

상기 전해액 주입은 최종 제품의 제조 공정 및 요구 물성에 따라, 전지 제조 공정 중 적절한 단계에서 행해질 수 있다. 즉, 전지 조립 전 또는 전지 조립 최종 단계 등에서 적용될 수 있다.
The electrolyte injection may be performed at an appropriate stage of the battery manufacturing process,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quired properties of the final product. That is, it can be applied before assembling the cell or at the final stage of assembling the cell.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의 제조방법은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의 적어도 일 면에 에폭시 수지, 경화제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다공성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이 코팅된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을 경화시켜 다공성 코팅층 이 형성된 복합 분리막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paration membrane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preparing a porous polyolefin film; Coat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rous polyolefin film with a composition for forming a porous coating layer comprising an epoxy resin, a curing agent and an organic solvent; And curing the porous polyolefin film coated with the composition to obtain a composite separator having a porous coating layer formed thereon.

상기 경화는 70 내지 100℃의 온도에서 5 내지 20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The curing may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70 to 100 DEG C for 5 to 20 hours.

상기 가소제는 파라핀 오일, 광유, 왁스, 대두유, 프탈산 에스테르류, 방향족 에테르류, 탄소수 10 내지 20개의 지방산류; 탄소수 10 내지 20개의 지방산알코올류; 및 지방산 에스테르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plasticizer include paraffin oil, mineral oil, wax, soybean oil, phthalic acid esters, aromatic ethers, fatty acids having 10 to 20 carbon atoms; Fatty acid alcohols having 10 to 20 carbon atoms; And fatty acid esters may be used.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폴리올레핀으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며, 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30만이고 용융온도가 135℃이다. 사용된 희석제로는 액상 파라핀 오일이고 40℃에서 동점도는 40cSt이었다.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액상 파라핀 오일의 중량비는 35:65이었다.The polyolefin is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300,000 and a melting temperature of 135 占 폚. The diluent used was liquid paraffin oil and had a kinematic viscosity of 40 cSt at 40 ° C. The weight ratio of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liquid paraffin oil was 35:65.

위 성분들을 이축압출기에 투입하여 혼련하여 폴리에틸렌 용액을 만들고 135℃의 온도에서 압출하였다. 연신 온도는 종방향 108℃, 횡방향 123℃로 하였고, 연신비는 종방향 횡방향으로 각각 5.5배 연신하였다. 이어서, 추출 용매로서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2 m/min의 조건에서 가소제인 액체 파라핀을 추출한 후 128℃에서 열고정하여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을 수득하였다.
The above ingredients were put into a twin-screw extruder and kneaded to make a polyethylene solution and extruded at a temperature of 135 ° C. The stretching temperature was 108 占 폚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123 占 폚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stretching ratio was 5.5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Next, liquid paraffin, which is a plasticizer, was extracted at a rate of 2 m / min using methylene chloride as an extraction solvent, and then heat set at 128 DEG C to obtain a porous polyolefin film.

실시예Example 1 One

경화용 조성물로서 에폭시수지(제품명: KSR177, 국도화학社)/경화제(제품명: G649, 국도화학社)/아세톤을 1.33/0.67/98.0의 중량비를 갖도록 혼합하여 준비하였다.An epoxy resin (product name: KSR177, Kukdo Chemical Co., Ltd.) / a curing agent (product name: G649, Kukdo Chemical Co., Ltd.) / acetone as a curing composition was mixed at a weight ratio of 1.33 / 0.67 / 98.0.

상기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을 상기 경화용 조성물에 함침시키고 난 후, 80℃의 컨벡션 오븐에서 12시간 방치하여, 양면에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된 두께 14.0㎛의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The porous polyolefin film was impregnated into the curing composition, and then left in a convection oven at 80 ° C for 12 hours to prepare a 14.0 μm thick separation membrane having porous coating layers on both sides.

실시예Example 2 2

경화용 조성물로서 에폭시수지(제품명: YDPN-636, 국도화학社)/경화제(제품명: M-xylene diamine, 국도화학社)/경화제(2-methyl imidazole)/아세톤을 1.67/0.33/0.04/97.6의 중량비를 갖도록 혼합하여 준비하였다.The composition for curing was prepared by mixing an epoxy resin (product name: YDPN-636, Kukdo Chemical Co., Ltd.), a curing agent (product name: M-xylene diamine, Kukdo Kagaku), a 2-methyl imidazole / acetone at 1.67 / 0.33 / 0.04 / Weight ratio.

상기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을 상기 경화용 조성물에 함침시키고 난 후, 80℃의 컨벡션 오븐에서 12시간 방치하여, 양면에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된 두께 14.2㎛의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The porous polyolefin film was impregnated with the curing composition, and then left in a convection oven at 80 캜 for 12 hours to prepare a 14.2 탆 thick separation membrane having a porous coating layer on both sides.

실시예Example 3 3

경화용 조성물로서 에폭시수지(제품명: KDT-440, 국도화학社)/경화제(제품명: isophorone diamine, 국도화학社)/아세톤을 1.67/0.33/98.0의 중량비를 갖도록 혼합하여 준비하였다.An epoxy resin (product name: KDT-440, Kukdo Chemical Co., Ltd.) / a curing agent (product name: isophorone diamine, Kukdo Chemical Co., Ltd.) / acetone as a curing composition was mixed at a weight ratio of 1.67 / 0.33 / 98.0.

상기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을 상기 경화용 조성물에 함침시키고 난 후, 80℃의 컨벡션 오븐에서 12시간 방치하여, 양면에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된 두께 14.2㎛의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The porous polyolefin film was impregnated with the curing composition, and then left in a convection oven at 80 캜 for 12 hours to prepare a 14.2 탆 thick separation membrane having a porous coating layer on both sides.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코팅층 형성용 슬러리로서 경화용 조성물로서 Al2O3 입자/Cyanoalcohol/PVDF-HFP/아세톤을 18.0/0.3/1.7/80의 중량비를 갖도록 혼합하여 준비하였다.The slurry for forming the coating layer was prepared by mixing Al2O3 particles / Cyanoalcohol / PVDF-HFP / acetone as a curing composition with a weight ratio of 18.0 / 0.3 / 1.7 / 80.

상기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의 양면에 상기 코팅층 형성용 슬러리를 코팅하여, 양면에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된 두께 22.3㎛의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The slurry for forming a coating layer was coated on both surfaces of the porous polyolefin film to prepare a separation membrane having a thickness of 22.3 탆 in which a porous coating layer was formed on both surfaces.

다음은,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 따른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각각의 면적당 무게, 통기시간 및 열수축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Next, the weight per unit area, the aeration time and the heat shrinkage ratio of each of the separators for electrochemical devices according to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described above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1) 통기시간 측정(1) Measurement of ventilation time

통기도 측정기(제조사: Asahi Seiko, 제품명: EG01-55-1MR)를 이용하여 일정한 압력(0.05MPa)으로 100ml의 공기가 분리막을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sec)를 측정하였다. 샘플의 좌/중/우 각 1 point씩 총 3 point 측정하여 평균을 기록하였다.The time (sec) taken for 100 ml of air to pass through the separator was measured at a constant pressure (0.05 MPa) using an air flow meter (manufacturer: Asahi Seiko, product name: EG01-55-1MR). A total of 3 points were measured for each point of left / middle / right of the sample, and the average was recorded.

(2) 열수축률(2) Heat shrinkage

컨벡션 오븐(Convection Oven)을 이용하여 120℃, 60min 조건에서 분리막 시료(크기: 50mm X 50mm)를 보관 후, 꺼내어 상온에서 수축이 가장 심하게 발생한 부분의 길이를 스틸자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열수축률로 환산하였다. 샘플의 좌/중/우 각 1point씩 총 3point 측정하여 평균을 기록하였다.The membrane sample (size: 50 mm x 50 mm) was stored at 120 ° C and 60 min using a convection oven and the length of the part where the shrinkage was most severely occurred at room temperature was measured using a steel ruler. The heat shrinkage ratio Respectively. A total of 3 points were measured for each 1 point of left / middle / right of the sample, and the average was recorded.

열수축률(%) = [1- (수축이 가장 심한 부분의 길이)/(최초 길이)] X 100
Heat shrinkage percentage (%) = [1- (length of shrinkage most severe portion) / (initial length)] X 100

구분division 실시예Example 1 One 실시예Example 2 2 실시예Example 3 3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코팅두께Coating thickness 0.10.1 0.20.2 0.20.2 8.38.3 면적당 무게Weight per area g/mg / m 22 7.67.6 7.57.5 7.67.6 20.120.1 통기시간Ventilation time Sec/100ccSec / 100cc < 400<400 < 400<400 < 400<400 < 400<400 열수축율Heat shrinkage (%)(%)
(120℃/30분)(120 DEG C / 30 minutes)
MDMD < 3<3 < 3<3 < 3<3 < 3<3
TDTD < 3<3 < 3<3 < 3<3 < 3<3 열수축율Heat shrinkage (%)(%)
(150℃/30분)(150 DEG C / 30 minutes)
MDMD < 50<50 < 55<55 < 55<55 < 60<60
TDTD < 40<40 < 55<55 < 40<40 < 50<5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분리막은 비교예의 분리막 대비 두께 및 중량이 상당히 감소된 것을 알 수 있으며, 동등한 열수축률 및 통기시간을 가진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은 기존 분리막 대비 두께, 무게 및 부피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어 이차전지의 고용량/고출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내열성, 내화학성, 고전압의 전기절연성, 내수성이 우수한 분리막을 제공할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separator of Examples 1 to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significantly reduced thickness and weight as compared with the separator of Comparative Example, and has the same heat shrinkage rate and ventilation time. Accordingly, th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eparator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electrical insulation of high voltage, and high water resistance because i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thickness, weight and volume of the conventional separator. can do.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of the scope.

Claims (16)

다공성 고분자 필름; 및
에폭시 수지의 경화물을 포함하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Porous polymer films; And
And a porous coating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porous polymer film including a cured product of an epoxy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는 방향족 에폭시 수지 및 비방향족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poxy resi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romatic epoxy resin and a non-aromatic epoxy resi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브롬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D형 에폭시 수지, 플루오렌 함유 에폭시 수지 및 트라이글리시딜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romatic epoxy resi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brominated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bisphenol F type epoxy resin, bisphenol AD type epoxy resin, fluorene containing epoxy resin and triglycidyl isocyanurat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made of a met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방향족 에폭시 수지는 지방족 글리시딜 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지방족 글리시딜 에스터형 에폭시 수지, 지환족 글리시딜 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및 지환족 글리시딜 에스터형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non-aromatic epoxy resi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liphatic glycidyl ether type epoxy resin, an aliphatic glycidyl ester type epoxy resin, an alicyclic glycidyl ether type epoxy resin and an alicyclic glycidyl ester type epoxy resin Type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의 경화물은 에폭시 수지, 경화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경화용 조성물의 경화 결과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red product of the epoxy resin is a cured product of a curing composition comprising an epoxy resin, a curing agent and an organic solv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방향족 경화제 및 비방향족 경화제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uring agent is at least one of an aromatic curing agent and a non-aromatic curing ag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극성유기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rganic solvent is a polar organic solv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 필름은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rous polymer film is a porous polyolefin fil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펜텐: 폴리헥센: 폴리옥텐: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펜텐, 4-메틸펜텐, 헥센, 옥텐 중 1종 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orous polyolefin film comprise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butylene; A separator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polyphenylene: polyhexene: polyolefin: at least one co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propylene, butene, pentene, 4-methylpentene, hexene and octe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 필름의 두께는 5 내지 50 ㎛일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코팅층의 두께는 0.01 내지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porous polymer film is in the range of 5 to 50 占 퐉 and the thickness of the porous coating layer is in the range of 0.01 to 1 占 퐉.
캐소드, 애노드, 및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제1항 내지 제10항에 따른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
An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a cathode, an an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cathode and the anode,
The electrochemica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wherein the separator is a separator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소자는 리튬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electrochemical device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의 적어도 일 면에 에폭시 수지, 경화제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다공성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이 코팅된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을 경화시켜 다공성 코팅층 이 형성된 복합 분리막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Preparing a porous polyolefin film;
Coat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rous polyolefin film with a composition for forming a porous coating layer comprising an epoxy resin, a curing agent and an organic solvent; And
And curing the porous polyolefin film coated with the composition to obtain a composite separator having a porous coating layer formed there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는 70 내지 100℃의 온도에서 5 내지 20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uring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70 to 100 DEG C for 5 to 20 hour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펜텐: 폴리헥센: 폴리옥텐: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펜텐, 4-메틸펜텐, 헥센, 옥텐 중 1종 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orous polyolefin film comprise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butylene; A process for producing a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s, which comprises: a polyphenylene: polyhexene: polyolefin: at least one co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propylene, butene, pentene, 4-methylpentene, hexene and octene; Wa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파라핀 오일, 광유, 왁스, 대두유, 프탈산 에스테르류, 방향족 에테르류, 탄소수 10 내지 20개의 지방산류; 탄소수 10 내지 20개의 지방산알코올류; 및 지방산 에스테르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Examples of the plasticizer include paraffin oil, mineral oil, wax, soybean oil, phthalic acid esters, aromatic ethers, fatty acids having 10 to 20 carbon atoms; Fatty acid alcohols having 10 to 20 carbon atoms;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iphatic acid esters and fatty acid esters.
KR1020150061926A 2015-04-30 2015-04-30 Polyolefin separator and th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16012957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926A KR20160129574A (en) 2015-04-30 2015-04-30 Polyolefin separator and th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926A KR20160129574A (en) 2015-04-30 2015-04-30 Polyolefin separator and th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574A true KR20160129574A (en) 2016-11-09

Family

ID=5752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926A KR20160129574A (en) 2015-04-30 2015-04-30 Polyolefin separator and th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957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8234A (en) * 2018-12-28 2019-05-07 界首市天鸿新材料股份有限公司 A kind of lithium battery diaphrag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that aperture is unifor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8234A (en) * 2018-12-28 2019-05-07 界首市天鸿新材料股份有限公司 A kind of lithium battery diaphrag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that aperture is uniform
CN109728234B (en) * 2018-12-28 2021-05-25 界首市天鸿新材料股份有限公司 Lithium battery diaphragm with uniform aper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0367B1 (en)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electricity storage device, nonaqueous electrolyte electricity storage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1915344B1 (en) Polyolefin separator and th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940839B1 (en) Epoxy resin porous membrane,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storage device, nonaqueous electrolyte storage device, composite semipermeable membran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2248232B1 (en) Separator,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ep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146134A (en) Manufacturing method of closslinked polyolefine separator and separator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EP3675231A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epa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KR20170044996A (en) Manufacturing method of closslinked polyolefine separator and separator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US20130337336A1 (en)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electricity storage devices, nonaqueous electrolyte electricity storage device, and production methods thereof
JP2013020959A (en)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ic electricity storage device and nonaqueous electrolytic electricity storage device
KR20160129574A (en) Polyolefin separator and th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JP2013020957A (en) Nonaqueous electrolyte power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10244A (en) Polyolefin sepa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720296A1 (en) Method for fabricating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electricity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non-aqueous electrolyte electricity storage device
WO201217278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accumul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on-aqueous electrolyte accumulator
EP2720292A1 (en) Nonaqueous electrolytic electricity storage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15170394A (en) Separator for power storage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wer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KR20140051238A (en) Production method for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ic electricity storage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for nonaqueous electrolytic electricity storage device
WO2012172787A1 (en)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accumulators, non-aqueous electrolyte accumulator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JP6405187B2 (en)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electricity storage device, nonaqueous electrolyte electricity storage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0785490B1 (en) Coated separator with anion recepto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2015084297A (en)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power storage devices, nonaqueous electrolyte power storag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3020956A (en)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power storage device, nonaqueous electrolyte power storag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KR101806410B1 (en)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with improved safety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40000912A (en) Method of preparing separator, separator produced by the method,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eparator
KR20140028326A (en)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cell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