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390A -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와 무선충전 전기콘센트 및 이를 활용한 충전방법 - Google Patents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와 무선충전 전기콘센트 및 이를 활용한 충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390A
KR20160129390A KR1020150061467A KR20150061467A KR20160129390A KR 20160129390 A KR20160129390 A KR 20160129390A KR 1020150061467 A KR1020150061467 A KR 1020150061467A KR 20150061467 A KR20150061467 A KR 20150061467A KR 20160129390 A KR20160129390 A KR 20160129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martphone
smart phone
cab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천덕
조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로
Priority to KR1020150061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9390A/ko
Publication of KR20160129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100)는, 벽면(W)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안착되며, 외부인입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연결되는 콘센트본체(110); 상기 콘센트본체(110)의 배면에서 연장구비되고,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가 구비되는 충전케이블(140); 및 상기 콘센트본체(110)의 전면부 일측에는 상기 상기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안착되는 컨넥터삽입공(110b)이 구비되고, 전면부 상방 또는 하방에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구비되어, 상측면에 상기 스마트폰(Sp)이 거치될 수 있는 스마트폰거치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와 무선충전 전기콘센트 및 이를 활용한 충전방법에 따르면, 스마트폰 충전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와 무선충전 전기콘센트 및 이를 활용한 충전방법{ELECTRIC OUTLET FOR CHARGING OF SMART PHONE HAVINF ROLL CABLE AND CHARG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 콘센트는 여러 가지 케이블이 복잡하게 연결되어 매우 너저분한 상태로 되어 있어, 이로 인해 콘센트 주변은 매우 복잡하고 위험성이 높게 노출되고 있으며, 케이블의 손상 등으로 과열 또는 화재 등의 위험도 높아지고 있어, 스마트폰 충전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통상의 전기콘센트 형태를 가짐과 동시에, 롤 형태로 형성되어 필요시마다 인출시켜 충전시키되,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 롤케이블이 구비되어, 스마트폰 충전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와 무선충전 전기콘센트 및 이를 활용한 충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전기콘센트(1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 이상의 전원플러그가 삽입되도록 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벽면(W)에 매립되게 설치되며, 다수개의 전원플러그 등 여러 가지 케이블이 복잡하게 연결되어, 매우 너저분한 상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전기콘센트 주변은 매우 복잡하고, 위험성이 높게 노출되고 있으며 케이블의 손상 등으로 과열 또는 화재 등의 위험도 높아지고 있다.
또한, 요즘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개인별로 소지하고 있어, 스마트폰용 충전기 또한 콘센트 주변의 복잡함을 한층 더 증가시키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누설전력에 따른 화재위험성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64684호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콘센트와 관련하여, "코일건 방식의 전기 콘센트에 있어서, 플러그 삽입구 및 상기 삽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접속공을 포함하는 콘센트 부재, 상기 전기 콘센트의 내측에 설치되며, 자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코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의 중심을 지나는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의하여 생성된 자장에 의하여 이동되는 발사체가 삽입된 가동부재, 상기 가동부재의 일측 단부 내에 삽입되며, 상기 접속공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누름부재 및 상기 전기 콘센트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류가 임계 전류 이상인 경우 상기 가동부재 내의 발사체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누름부재의 일측 단부는 상기 가동부재 내의 상기 발사체와 맞닿고 있고, 상기 누름부재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접속공의 외측과 맞닿고 있으며, 상기 접속공의 내측과 맞닿는 두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된 전류가 임계 전류 이상인 경우 상기 발사체는 상기 누름부재의 일측 단부를 밀고, 상기 누름부재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접속공의 내측으로 관통하도록 이동하는 전기 콘센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충전시스템과 관련하여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7950호 에서는, "전력 서비스 운영 시스템과 연동하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빌딩 또는 아파트 내의 계층 구조적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개별 주차 구획에 각각 설치되며 전기 자동차로 전력을 공급하고, 공급되는 전력량을 계량하여 충전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마트 콘센트; 상기 스마트 콘센트에서 수행될 수 없는 상위 기능을 수행하고, 충전자의 편의를 위해 각 층 또는 일정 구역 단위 공간에 키오스크 형태로 설치되어 하나 이상의 스마트 콘센트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통합 충전 관리 수단; 및 상기 통합 충전 관리 수단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충전 서비스를 통합 관리하고 전력 계통과 연동되어 다양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충전 운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콘센트 기반의 계층 구조적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스마트폰 롤 케이블이 내장된 콘센트는 많은 수요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의 경우 미래창조과학부가 발표한 2014년 6월기준 무선통신 가입자 통계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는 3,904만 6,720명에 달한다.
더불어서,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2012년에는 1억7340만대 규모에서 2013년에는 3억1550만대로 급성장하고, 이후로도 성장을 지속해 2018년에는 4억2420만대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미국은 2012년에는 1억1490만대, 2013년에는 1억4300만대, 2018년 1억7690만대가 될 전망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전체 스마프폰 사용자의 수요 및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볼 때에, 통상의 전기콘센트 형태를 가짐과 동시에 롤 케이블이 구비되어, 스마트폰 충전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와 무선충전 전기콘센트 및 이를 활용한 충전방법'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64684호(2014년11월18일 등록)
2.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7950호(2011년05월09일 공개)
3.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5024호(2011년08월24일 공개)
4.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679600호(2007년01월31일 등록)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상의 전기콘센트 형태를 가짐과 동시에 롤 케이블이 구비되어, 스마트폰 충전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충전시에 활용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활용하여 무선충전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와 무선충전 전기콘센트 및 이를 활용한 충전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100)는, 벽면(W)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안착되며, 외부인입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연결되는 콘센트본체(110); 상기 콘센트본체(110)의 배면에서 연장구비되고,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가 구비되는 충전케이블(140); 및 상기 콘센트본체(110)의 전면부 일측에는 상기 상기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안착되는 컨넥터삽입공(110b)이 구비되고, 전면부 상방 또는 하방에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구비되어, 상측면에 상기 스마트폰(Sp)이 거치될 수 있는 스마트폰거치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케이블(140)은 상기 콘센트본체(110)의 배면에 배치되는 롤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인입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폰(Sp)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회로를 더 포함하여 연장ㆍ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넥터삽입공(110b)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를 끄집어내고 일정한 길이만큼 잡아당긴 상태에서, 스마트폰(Sp)의 하단부 일측에 구비되는 삽입단자에 결합시킴으로써, 비로소 상기 스마트폰(Sp)의 충전모드가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Sp)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일측에 구비되는 삽입단자에 상기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Sp)이 스마트폰거치대(120)에 올려져서 충전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100)는, 벽면(W)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안착되며, 외부인입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연결되는 콘센트본체(110); 상기 콘센트본체(110)의 배면에서 연장구비되고,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가 구비되는 충전케이블(140); 상기 콘센트본체(110)의 전면부 일측에는 상기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안착되는 컨넥터삽입공(110b)이 구비되고, 전면부 상방 또는 하방에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구비되어, 상측면에 상기 스마트폰(Sp)이 거치될 수 있는 스마트폰거치대(120); 및 상기 스마트폰거치대(120) 내측에 구비되며, 외부인입선으로부터 외부전원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외부전원이 전자기유도 작용을 통해 무선으로 상기 스마트폰(Sp)의 배터리에 공급되어, 상기 배터리가 무선으로 충전되는 무선충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와 무선충전 전기콘센트 및 이를 활용한 충전방법에 따르면, 콘센트본체(110)의 배면에 배치되는 롤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인입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폰(Sp)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회로를 더 포함하여 연장구비되는 충전케이블(140)을 활용함으로써, 스마트폰 충전이 안전하고도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와 무선충전 전기콘센트 및 이를 활용한 충전방법에 따르면, 자기유도방식을 채택하여 스마트폰(Sp)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시킴으로써, 전력 전송효율이 90%이상으로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충전이 보다 높은 효율로써 이루어지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형태의 전기콘센트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코일 건 방식의 전기콘센트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를 도시한 외형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를 활용하여, 스마트폰거치대에 스마트폰이 놓여진 상태에서 충전이 진행되는 것을 나타낸 외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를 활용하여, 스마트폰의 배터리가 무선충전되는 것을 나타낸 외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를 도시한 외형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100)는, 통상의 콘센트본체(110)와 같은 형상에 더하여, 상기 콘센트본체(110)의 하방 일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스마트폰거치대(120), 그리고 상기 콘센트본체(110) 내측에서 롤 형태로 수납되게 구성되는 충전케이블(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충전케이블(140)의 최전단부의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는 컨넥터삽입공(110b)에 안착되게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100)는,
벽면(W)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안착되며, 외부인입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연결되는 콘센트본체(110);
상기 콘센트본체(110)의 배면에 배치되는 롤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인입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폰(Sp)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회로를 포함하여 연장구비되고, 최단부에는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가 구비되는 충전케이블(140); 및
상기 콘센트본체(110)의 전면부 상방 또는 하방의 일측에는 상기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안착되는 컨넥터삽입공(110b)이 구비되고, 전면부 상방 또는 하방에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구비되어, 상측면에 상기 스마트폰(Sp)이 거치될 수 있는 스마트폰거치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충전회로를 포함하여 연장구비되는 상기 충전케이블(140)은, 롤형태로 감겨져서, 상기 콘센트본체(110)의 배면에 배치되는데, 필요에 따라 상기 롤형태로 감겨진 것으로부터 설정된 길이만큼 풀어져서, 상기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가 상기 컨넥터삽입공(110b)의 전방으로 연장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케이블(140)과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는 스마트폰의 어느 기종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다양하게 선택적으로 채택될 수 있어서, 안드로이드폰 또는 아이폰 등에 무관하게 접속이 가능하게 선택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즉,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는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Sp)에 대응되도록, 그 종류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반면, 상기 충전케이블(140)은, 상기 스마트폰(Sp)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원래 형태의 롤형태로 복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롤형태로 이루어지는 충전케이블(140)은 스프링부재와 같은 탠션부재에 의하여 인출 및 복귀가 반복적으로 일어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인출 및 복귀'가 반복적으로 일어날 수 있게 하는 구성은, 가정용 청소기의 전원케이블 등에서 널리 적용되는바,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편의상 생략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10a는 전원플러그삽입공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를 활용하여, 스마트폰거치대에 스마트폰이 놓여진 상태에서 충전이 진행되는 것을 나타낸 외형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100)는, 상기 컨넥터삽입공(110b)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를 끄집어낸 상태에서 일정한 길이만큼 잡아당긴 상태에서, 스마트폰(Sp)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일측에 구비되는 삽입단자에 결합시킴으로써, 비로소 상기 스마트폰(Sp)의 충전모드가 개시된다.
더욱이, 충전을 보다 편리하게 진행시키기 위하여, 스마트폰(Sp)의 하단부 일측에 구비되는 삽입단자에 상기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Sp)은 스마트폰거치대(120)에 올려놓는 것이 보다 충전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를 활용하여, 스마트폰의 배터리가 무선충전되는 것을 나타낸 외형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스마트폰거치대(120)는, 상기 외부인입선으로부터 외부전원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외부전원을 전자기유도 작용을 통해 무선으로 상기 스마트폰(Sp)의 배터리에 공급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무선충전기;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거치대(120) 상측면에 상기 스마트폰(Sp)이 놓여짐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Sp)의 배터리가 무선으로 충전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충전기와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Sp)의 배터리가 무선으로 충전되는 것을 좀더 살펴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전기콘센트는, 자기유도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자기유도방식은 전류가 흐르면서 생긴 자기장이 새로운 전류를 만드는 원리로써, 전력 전송효율이 90%이상으로 매우 높고 전송거리가 짧다.
이는, 무선전력컨소시엄(Wireless Power Consortium), WPC 표준화가 이루어지면서 각종의 스마트단말기 등의 전기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즉, 본 발명 무선충전 전기콘센트의 무선충전방법은, 외부인입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상기 스마트폰거치대(120)에 내장된 전송코일(도시하지 않음)에서 전자기유도를 일으켜서, 전송코일에 대면하는 스마트폰(Sp)에 내장된 수신코일(도시하지 않음)에 전자기유도를 일으키고 전류를 수신하도록 하여, 상기 수신코일과 연결된 스마트폰(Sp)의 배터리에 전류를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여기서, 좀더 구체적인 사항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추가적인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와 무선충전 전기콘센트 및 이를 활용한 충전방법에 따르면, 콘센트본체(110)의 배면에 배치되는 롤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인입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폰(Sp)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회로를 더 포함하여 연장구비되는 충전케이블(140)을 활용함으로써, 스마트폰 충전이 안전하고도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와 무선충전 전기콘센트 및 이를 활용한 충전방법에 따르면, 자기유도방식을 채택하여 스마트폰(Sp)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시킴으로써, 전력 전송효율이 90%이상으로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충전이 보다 높은 효율로써 이루어지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
110 : 콘센트본체 110a : 전원플러그삽입공
110b : 컨넥터삽입공 120 : 스마트폰거치대
130 : 스마트폰 충전콘넥터 140 : 충전케이블
Sp : 스마트폰 W : 벽면

Claims (5)

  1. 전기콘센트로서,
    벽면(W)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안착되며, 외부인입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연결되는 콘센트본체(110);
    상기 콘센트본체(110)의 배면에서 연장구비되고,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가 구비되는 충전케이블(140); 및
    상기 콘센트본체(110)의 전면부 일측에는 상기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안착되는 컨넥터삽입공(110b)이 구비되고, 전면부 상방 또는 하방에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구비되어, 상측면에 상기 스마트폰(Sp)이 거치될 수 있는 스마트폰거치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케이블(140)은 상기 콘센트본체(110)의 배면에 배치되는 롤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인입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폰(Sp)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회로를 더 포함하여 연장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삽입공(110b)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를 끄집어낸 상태에서 일정한 길이만큼 잡아당긴 상태에서, 스마트폰(Sp)의 하단부 일측에 구비되는 삽입단자에 결합시킴으로써, 비로소 상기 스마트폰(Sp)의 충전모드가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Sp)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일측에 구비되는 삽입단자에 상기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Sp)이 스마트폰거치대(120)에 올려져서 충전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
  5.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로서,
    벽면(W)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안착되며, 외부인입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연결되는 콘센트본체(110);
    상기 콘센트본체(110)의 배면에서 연장구비되고,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가 구비되는 충전케이블(140);
    상기 콘센트본체(110)의 전면부 일측에는 상기 스마트폰 충전콘넥터(130)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안착되는 컨넥터삽입공(110b)이 구비되고, 전면부 상방 또는 하방에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구비되어, 상측면에 상기 스마트폰(Sp)이 거치될 수 있는 스마트폰거치대(120); 및
    상기 스마트폰거치대(120) 내측에 구비되며, 외부인입선으로부터 외부전원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외부전원이 전자기유도 작용을 통해 무선으로 상기 스마트폰(Sp)의 배터리에 공급되어, 상기 배터리가 무선으로 충전되는 무선충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
KR1020150061467A 2015-04-30 2015-04-30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와 무선충전 전기콘센트 및 이를 활용한 충전방법 KR20160129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467A KR20160129390A (ko) 2015-04-30 2015-04-30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와 무선충전 전기콘센트 및 이를 활용한 충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467A KR20160129390A (ko) 2015-04-30 2015-04-30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와 무선충전 전기콘센트 및 이를 활용한 충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390A true KR20160129390A (ko) 2016-11-09

Family

ID=5752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467A KR20160129390A (ko) 2015-04-30 2015-04-30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와 무선충전 전기콘센트 및 이를 활용한 충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93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0148A (en) * 2017-01-05 2018-09-05 Giarratano Giovanni Wireless wall charger
CN109066839A (zh) * 2018-07-26 2018-12-21 东莞市摩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壁挂式智能无线充电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0148A (en) * 2017-01-05 2018-09-05 Giarratano Giovanni Wireless wall charger
CN109066839A (zh) * 2018-07-26 2018-12-21 东莞市摩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壁挂式智能无线充电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15186B (zh) 电气线缆和用于这种线缆的绕线设备
US20130320925A1 (en) Charger and charging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1477429B1 (ko) 코일 장치, 이를 갖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JP3143554U (ja) 蓄電式携帯型充電アダプタ
KR101697069B1 (ko) 전력공급 확장용 스테이션
EP2487760B1 (en) Plug for DC appliance
KR20160129390A (ko) 롤 케이블이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전기콘센트와 무선충전 전기콘센트 및 이를 활용한 충전방법
CN104079032A (zh) 一种用于手机的无线充电系统
CN106232419B (zh) 可扩展的感应充电站
CN106450911B (zh) 一种插座可活动的插排
JP2017108577A (ja) 車両
CN214227913U (zh) 一种用于机器人的磁场定位磁吸式充电装置
CN205051077U (zh) 一种手机外接的充电接口和磁性充电接头
CN215990232U (zh) 一种电池充电装置及系统
CN203911552U (zh) 一种移动电源装置
CN209987769U (zh) 一种充电设备及系统
CN204118375U (zh) Wifi插座
CN210536324U (zh) 一种多功能充电器
CN207558097U (zh) 一种用于手机充电的投币式插座系统
CN208316338U (zh) 一种具备无线充电器的多功能充电插头
CN105790391A (zh) 一种手机无线充电器
US20180350012A1 (en) Electrical charger with electrical power metering
CN203645096U (zh) 插头
CN209497296U (zh) 便携式车载无线充电装置
JP2006081245A (ja) 給電器および受電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