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511A - 생체 시계 기반의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 시계 기반의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511A
KR20160128511A KR1020150059663A KR20150059663A KR20160128511A KR 20160128511 A KR20160128511 A KR 20160128511A KR 1020150059663 A KR1020150059663 A KR 1020150059663A KR 20150059663 A KR20150059663 A KR 20150059663A KR 20160128511 A KR20160128511 A KR 20160128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cheduling
target
creature
biolo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렬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9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8511A/ko
Priority to PCT/KR2015/007296 priority patent/WO2016010341A1/ko
Publication of KR20160128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대상 생명체에 대응되는 생물학적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생명체별로 서로 다른 생체 시계 정보가 저장되는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생물학적 특성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대상 생명체의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활 패턴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생명체의 시간대별 행동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특정 시간마다 상기 대상 생명체와 연관된 단말 장치로 상기 스케쥴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체 시계 기반의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AN APPRATUS FOR PROVIDING SCHDULING SERVICES BASED ON BIO-CLOCKS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생체 시계 기반의 스케쥴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사용자간의 다양한 정보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특히,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나 SNS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SNS(Social Network Service) 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약자로, 스케쥴링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SNS 등은 사용자간의 친구 맺기 또는 팔로우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연결된 사용자 단말 장치간 사진, 동영상 및 글 공유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정보 공유 및 친목 도모의 공간을 온라인상에서 제공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개인 특화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개인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에 등록한 스케쥴에 따라 개인의 단말 장치로 스케쥴 정보 등을 제공하는 스케쥴링 서비스도 이중 하나로서 제안되고 있다.
특히, 최근까지 사용자의 단말 장치를 통해 제공되어온 스케쥴링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가 미리 등록하여야 하는 특수한 일정들만을 대상으로 할 뿐, 일반적인 행동 양식에 대하여는 알려주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는 매 시간대별 대상의 행동 양식과, 대상의 생체 시계를 고려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하루 24시간 기준의 일정만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생체 시계는 개개인별로 서로 다르며, 또한 생명체마다 서로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24시간 기준의 스케쥴링 서비스는 적절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상 생명체과 같은 사람이 아닌 생명체의 경우에는 그 문제점이 커질 수 있다. 강아지나 고양이 등의 1일은 일반적인 사람의 1일(24시간 기준, 아침/점심/저녁, 6~8시간 취침 등)과 같을 수가 없으며, 사람의 생활 사이클과 전혀 다른 생활 사이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주인이 스케쥴링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대상 생명체의 생체 시계에 따른 생활 패턴과 행동 사양을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케쥴링 서비스 대상 생명체의 지역 정보, 나이 정보, 성별 정보, 종별 정보 등에 따른 서로 다른 생체 시계를 적용하여, 생체 시계에 따른 적절한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생활 패턴 정보에 따른 스케쥴링 및 알람 등을 전송할 수 있는 생체 시계 기반의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있어서, 대상 생명체에 대응되는 생물학적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생명체별로 서로 다른 생체 시계 정보가 저장되는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생물학적 특성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대상 생명체의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활 패턴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생명체의 시간대별 행동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특정 시간마다 상기 대상 생명체와 연관된 단말 장치로 상기 스케쥴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는, 대상 생명체에 대응되는 생물학적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특성 정보 관리부; 생명체별로 서로 다른 생체 시계 정보가 저장되는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 상기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생물학적 특성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대상 생명체의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활 패턴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생명체의 시간대별 행동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하는 스케쥴링 관리부; 및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특정 시간마다 상기 대상 생명체와 연관된 단말 장치로 상기 스케쥴링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케쥴링 서비스 대상 생명체의 지역 정보, 나이 정보, 성별 정보, 종별 정보 등에 따른 서로 다른 생체 시계를 적용하여, 생체 시계에 따른 적절한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생활 패턴 정보에 따른 스케쥴링 및 알람 등을 전송할 수 있는 생체 시계 기반의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가 대상 생명체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이상 상태 발생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은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200) 및 네트워크(300)를 포함한다.
먼저,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200)는 하나 또는 복수 개 존재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단말 장치(200)들이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되어, 상호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300)에서 제공하는 통신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동 통신망, UPnP(Universal Plug and Play), WiFi 등의 통신 방식에 의해 상호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200)들은, 고정형 단말이거나 휴대 가능한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200)로서,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태블릿 PC(Tablet PC)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단말 장치(200)는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거쳐 서로 다른 단말 장치(200)들과 네트워크(300)를 통한 통신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300)에 연결되는 단말 장치(200)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 생명체 기반의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컨텐츠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네트워크 또는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를 구성하거나, 외부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간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또한,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각 단말 장치(200)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원격 또는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200)들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고,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거나, 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케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본 문서에서는 메신저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서비스로 가정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할 수 있다. 다만,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은, 메신저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유사하게 구성되는 모든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 적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1을 참조하면,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복수의 단말 장치(200)들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말 장치(200)들과의 통신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말 장치(200)과의 통신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다른 복수의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각 단말 장치(200)로 스케쥴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생명체에 대응되는 생물학적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생명체별로 서로 다른 생체 시계 정보가 저장되는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생물학적 특성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대상 생명체의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활 패턴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생명체의 시간대별 행동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특정 시간마다 상기 대상 생명체와 연관된 단말 장치로 상기 스케쥴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대상 생명체에 대응하여 고유하게 할당된 고유 식별자 정보 및 상기 고유 식별자 정보와 연결되는 생물학적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대상 생명체에 대응하는 생체 시계를 주기로 하는 시간대별 행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각 고유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생체 시계 정보를 생성하여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생체 시계 정보는 미리 결정된 생체 시계 테이블에 기초하여 최초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생체 시계 정보는 각 생명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각 생명체별로 고유한 생체 시계 정보로 보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대상 생명체에 대응하여 측정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상기 생물학적 특성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생물학적 특성 정보가 변화되는 경우, 상기 생물학적 특성 정보의 변화에 따른 생활 패턴 정보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스케쥴링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시계 정보는 생명체에 대한 출신지역 정보, 나이 정보, 성별 정보 및 종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매칭되는 생체 시계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체 시계 테이블로부터 출신지역 정보, 나이 정보, 성별 정보 및 종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생명체에 맞는 기본 생체 시계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대별 행동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일정 시간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상기 대상 생명체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명체가 이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긴급 알람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긴급 알람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긴급 알람 정보는 상기 이상 상태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대응 방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 상기 대상 생명체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입력된 특성 정보에 따라 기본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는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 생명체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모니터링 정보가 수집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보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생명체의 식별 정보에만 대응되는 맞춤형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맞춤형 생활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맞춤형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명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상기 특성 정보 및 모니터링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집 결과에 따라 상기 특성 정보 또는 모니터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생명체와 관련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의료 정보 또는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연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케쥴링 정보를 가공함으로써 연관 정보 공유, 제품 광고나 판매 등과도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스케쥴링 정보는 전송할 대상 서비스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로 변환되어 대상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단말 장치(200)들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쥴링 정보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식으로 변환되어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른 단말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케쥴링 정보는 메시지 스케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메시지 스케쥴링 서비스용 데이터로 변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스케쥴링 정보는 SNS용 데이터로 변환되어 인터넷망을 통해 서버에 업로드될 수 있으며, 업로드된 스케쥴링 정보는 이후 SNS에 접속한 다른 단말 장치(200)들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사용자 정보 관리부(135), 특성 정보 관리부(140), 상태 정보 생성부(150), 부가 정보 관리부(160), 의료 정보 관리부(170), 관계 정보 관리부(180), 스케쥴링 관리부(185) 및 이상 상태 판단부(155)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성 정보 관리부(140)는 일정 정보 수집부(141), 성장 정보 수집부(142) 및 특성 변경 정보 수집부(143)를 포함할 수 있고, 저장부(130)는 특성 정보 데이터베이스(131),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133) 및 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10)는 통상적으로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정보 수집, 사용자 정보 관리, 상태 정보 생성, 의료 정보 관리, 관계 정보 관리, 스케쥴링 정보 관리, 상태 정보 생성, 이상 상태 판단데이터 통신, 메시지 전송, SNS 접속 등의 다양한 정보 처리를 위해, 관련 모듈들간의 전반적인 통신 제어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도 2에서는 각각의 구성요소간 제어를 위해, 제어부(110)가 별도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어부(110)가 포함되지 않더라도 제어부(110)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이 각 구성요소들로 분산 배치 및 동기화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단말 장치(200)과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단말 장치(200)들간 통신 또는 스케쥴링 정보의 중계를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 장치(100)와 서버(200) 사이 또는 단말 장치(100)와 단말 장치(100)가 위치한 통신망(300)의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이동 통신 모듈, 유선 인터넷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13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단말 장치(200)에 대응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 등록 또는 갱신 요청에 따라 신규 등록, 갱신 및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 정보는 단말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단말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135)는 사용자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 및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카테고리와 대상 생명체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대상 생명체와 특정한 관계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쥴링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는 생년월일, 성별, 이름, 휴대폰 번호, 주소, 프로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대상 생명체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 생명체의 사용자 정보는 생년월일, 출신지, 성별, 종별, 이름, 주소, 프로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단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일정 주기마다 갱신될 수 있으며, 동의 여부에 따라 다른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10)의 동작을 위한 제어 데이터와, 각 구성요소에서 관리되는 사용자 정보, 수집 정보, 관계 정보, 스케쥴링 정보, 의료 정보, 부가 정보, 상태 정보 등을 미리 지정된 저장 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130)는 사용자 정보에 미리 등록된 대상 생명체에 대응하여 특성 정보 데이터베이스(131) 및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13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특성 정보 데이터베이스(131) 및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133)는 스케쥴링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생명체의 생물학적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특성 정보를 저장하고, 생명체별 생체 시계를 나타내는 생체 시계 테이블 및 고유 식별자별 생체 시계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각 정보는 특성 정보 데이터베이스(131) 및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133)에 저장되며, 특성 정보 관리부(140)에 의해 생성 및 관리될 수 있다.
특성 정보 관리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정보 관리부(135)를 통해 등록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기본 특성 정보 데이터베이스(131) 및 활동 특성 정보 데이터베이스(133)를 생성하고, 신규 정보 입력, 등록, 및 갱신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특성 정보 관리부(140)는 일정 정보 수집부(141), 성장 정보 수집부(142) 및 특성 정보 수집부(143)를 포함한다. 각 수집부(141, 142, 143)는 모니터링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특성 정보 및 모니터링 정보의 수집, 갱신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니터링 장치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았았으나, 일정 정보를 수집 및 갱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저장부, 성장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성장 정보 획득부 및 특성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센서부는 대상 생명체의 실제 대상과 연관된 생체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예를 들어, 대상 생명체를 촬영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 대상 생명체의 체온을 감지하기 위한 체온 센서, 대상 생명체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움직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특성 정보 수집부(143)는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특성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의 갱신 및 관리를 수행할할 수 있다.
한편, 일정 정보 수집부(141)는 대상 생명체의 실제 생활 패턴 정보를 수집하고,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일정 정보 수집부(141)는 단말 장치(200)와 연동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대상 생명체에 대응되는 일정 정보를 수집하고, 변경 여부에 따라 생활 패턴 정보의 갱신 및 생체 시계 정보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생활 패턴 정보의 분석 결과, 현재의 생체 시계 정보와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그 대상 생명체의 생체 시계 정보는 보정될 수 있으며, 스케쥴링 관리부(185)에서는 보정된 생체 시계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기초한 보정된 스케쥴링 정보를 단말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성장 정보 수집부(142)는 대상 생명체의 성장 정보를 수집하고,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현실에서의 대상 생명체의 생체는 시간 경과에 따라 나이가 들어가게 되며,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대상 생명체에 대해 최초 입력된 연령 및 생명 주기에 기반한 시간 경과가 진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시간 경과에 따라 발생되는 생체 변화 등에 대한 성장 정보가 성장 정보 수집부(142)를 통해 일정 주기에 따라 수집 및 관리될 수 있고, 이는 특성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될 수 있다.
성장에 따른 생체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특성 정보의 변화도 동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장 정보 수집부(142)는 일정 주기별로 대상 생명체의 성장을 감지하고, 털 색상이나 주름 등의 외형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변화 결과를 수집하거나 미리 연산하여 특성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의 외형 정보 등에 반영할 수 있다.
한편, 특성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되는 생물학적 특성 정보는, 대상 생명체의 식별 정보와, 대상 생명체의 실물 대상에 대응하는 대상 생명체가 생물학적으로 지니고 있는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성 정보는 기본적인 생체 시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성 정보는 대상 생명체의 고유 식별자 정보, 성별 정보, 연령 정보, 종별 정보, 생명 주기 정보 또는 외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생체 시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기초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대상 생명체는, 생물학적 분류 구조 상에서 어느 하나의 종에 속하거나 또는 종 간 교배에 따른 어느 하나의 품종에 속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 생명체가 속한 종 또는 품종은 생물학적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생명체가 강아지인 경우, 기본 특성 정보는 각 품종에 대한 종 정보 및, 각 품종 별로 지정되는 골격, 신체 사이즈, 털 색상, 털 패턴, 귀 모양, 발가락 모양, 꼬리 모양 등과 같은 외형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133)는 하나 이상의 생명체별로 서로 다른 생체 시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생체 시계 정보는 생체 시계 테이블, 시간대별 행동 정보 및 고유 식별자별 생체 시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시계 테이블은 종별, 출신지별 또는 나이별 생활 사이클에 대응되는 하루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대별 행동 정보는 상기 생체 시계 테이블에서 지정되는 하루 주기를 기준으로 하는 시간대별 행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케쥴링 관리부(185)는 생체 시계 테이블과 시간대별 행동 정보에 기초하여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활 패턴 정보로부터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하고, 단말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활 패턴 정보는 상기 대상 생명체의 활동과 관련하여, 일정 시간별로 수행하는 행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쥴링 관리부(185)는 생활 패턴 정보에 따라 대상 생명체가 특정 시간에 수행하는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알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활 패턴 정보는 이벤트 시간 정보와, 각 이벤트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음식(사료), 목욕, 청소, 놀이 등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케쥴링 관리부(185)는 대상 생명체에 대한 모니터링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이벤트 정보의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관계 정보 관리부(18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에 따라 사용자 정보간 관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관계 정보 관리부(180)는 사용자 정보간 관계 정보를 생성하되, 관계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관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계 정보는 관계 정도에 따라, 친구 관계, 대상 생명체-주인 관계, 관심 관계 중 어느 하나의 관계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계 정보 관리부(180)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135)에서 식별되는, 대상 생명체 정보 및 주인 정보에 기초하여 두 사용자를 대상 생명체-주인 관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관계 정보 관리부(180)는 제1 사용자 대상 생명체의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친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2 사용자 대상 생명체의 단말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대상 생명체의 단말 장치(200)에서 친구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두 사용자를 친구 관계로 설정할 수 있다. 친구 관계의 경우, 미리 결정된 특정 조건(품종, 연령 성별) 하에서만 친구 관계가 형성되어 대화 및 소통이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관계 정보 관리부(180)는 제1 사용자 대상 생명체의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제2 사용자 대상 생명체에 대한 관심 지정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2 사용자 대상 생명체를 제1 사용자대상 생명체의 관심 관계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태 정보 생성부(150)는 기본 특성 정보와 활동 특성 정보로부터 대상 생명체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이상 상태 판단부(155)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태 정보 생성부(150)는 대상 생명체의 특성 정보와,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여 대상 생명체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 상태 판단부(155)는 상태 정보 생성부(150)로부터 식별되는 대상 생명체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이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상 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스케쥴링 관리부(185)는 긴급 알람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긴급 알람 정보는 상기 이상 상태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대응 방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케쥴링 관리부(185)는 상기 대상 생명체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입력된 특성 정보에 따라 생체 시계 테이블에 기초하는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대상 생명체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모니터링 정보가 수집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시계 테이블에 대한 보정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생명체의 식별 정보에만 대응되는 맞춤형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맞춤형 생활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맞춤형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케쥴링 관리부(185)는 상기 대상 생명체에 대응하는 환경 변수를 획득하여 상기 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환경 변수는 생체 시계를 상기 대상 생명체에 맞춤형으로 조정하기 위한 다양한 변수값을 포함할 수 있으다. 환경 변수는 단말 장치(200)에서 미리 입력된 정보 중 대상 생명체의 주인 관련 생활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정 정보는 상기 환경 변수에 포함된 주인 관련 생활 패턴 정보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케쥴링 관리부(185)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대상 생명체 등록 또는 모니터링에 따른 주인 관련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를 조정하기 위한 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주인 관련 생활 패턴 정보는 아침형, 야행성 등의 카테고리화된 생활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정 정보에 따라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의 대상 생명체에 대응하는 영역이 조정되어 맞춤형 생활 패턴 데이터베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보정 정보는 상기 환경 변수에 포함된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케쥴링 관리부(185)는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를 조정하기 위한 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 정보는 대상 생명체의 주변 환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환경 정보는 예를 들어, 대상 생명체가 위치한 지역 정보, 기온 정보, 계절 정보,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케쥴링 관리부(185)는 모니터링 정보에 포함된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시계 정보를 조정하기 위한 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보정 정보에 따라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의 대상 생명체에 대응하는 영역이 조정되어 맞춤형 생활 패턴 데이터베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먼저 대상 생명체 등록 및 고유 식별자 정보를 생성하고(S101), 이에 대응되는 생물학적 특성 정보를 입력받는다(S103).
생물학적 특성 정보의 입력은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행되거나, 별도의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체 시계 테이블 및 상기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생명체에 대한 생체 시계 정보를 확인한다(S105). 생체 시계 정보는 생체 시계 테이블로부터 식별되는 대상 생명체의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생활 사이클 주기 또는 하루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생명체의 생체 시계 정보는 대상 생명체의 하루 주기가 일반적으로 20시간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이후,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한다(S107).
대상 생명체의 생활 패턴 정보는, 생체 시계 정보를 시간대별 행동 정보에 매칭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대별 행동 정보가 24시간 기준인 경우를 가정하면, 대상 생명체의 생활 패턴 정보는 상기 생체 시계에 따라 대상 생명체의 20시간을 기준으로 매칭되도록 상기 시간대별 행동 정보를 변형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생활 패턴 정보 생성이 완료된 경우,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133)를 구축하고, 모니터링한다(S111). 이에 따라,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133)에 고유 식별자별 생체 시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입력 정보의 미비 등으로 생활 패턴 정보 생성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특성 정보를 수집하여 갱신함으로써(S109), 생물학적 특성 정보의 입력을 재수행할 수 있다.
이후,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모니터링 정보가 수신되면(S113),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생체 시계 정보를 보정하고(S115), 보정에 따라 생성되는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맞춤형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며(S117), 맞춤형 생활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200)로 알람을 제공한다(S119).
스케쥴링 관리부(185)는 상기와 같은 모니터링 정보를 관리하여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생체 시계 정보를 보정할 수 있으며, 보정된 정보에 따라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맞춤형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할 수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먼저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생체 시계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생명체를 모니터링한다(S201).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생명체와 연관된 별도의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모니터링 정보는 상태 정보 생성부(150)에서 수신 및 관리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태 정보는 이상 상태 판단부(155)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상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알림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S205), 알림 설정된 경우, 대상 생명체와 연관된 단말 장치(200)로 긴급알람을 전송한다(S213).
그리고,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긴급 알람을 통해 이상 상태에 대응되는 대응방안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S215).
한편, 알림 설정되지 않은 경우,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원격 장치로 자동 대응 신호를 전송한다(S207).
그리고,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이상 상태 해제 여부를 판단하고(209), 해제되지 않은 경우, 상기 S213 내지 S215 단계를 수핸하여 이상 상태에 대응되는 긴급알람 및 대응 방안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상 상태가 해제된 경우,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상 상태에 대응되는 대응로그를 저장하고(S211), 이상 상태 정보 및 대응로그에 기초하여 대응 방안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특히, 이상 상태 판단부(155)는 상기과 같은 이상 상태 판단 및 대응 방안 정보의 저장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케쥴링 관리부(185)는 통신부(120)를 통해 이상 상태에 따른 긴급알람 또는 대응방안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자동 배식 장치, 병원 예약 시스템 또는 상품 주문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원격 장치로 자동 대응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이상 상태 해제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로 긴급 알람 등을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가 대상 생명체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생명체에 대한 모니터링 장치는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대상 생명체의 특성 정보 또는 행동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스케쥴링 정보가 생성되고 보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로는 스케쥴링 정보가 전송될 수 있으며, 스케쥴링 정보는 예를 들어, 행동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된 시간대별 수면, 산책, 식사 이벤트 정보, 또는 기타 미용실, 호텔 또는 까페등으로의 이동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상태 발생시에는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자동 배식 장치, 병원 예약 시스템 또는 상품 주문 시스템 등과 같은 원격 장치(500)로 자동 대응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는 도 6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이상 상태 발생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상 상태 확인시, 자동 대응 장치(500)로 자동 대응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생명체가 일정 시간 동안 식사를 하지 못하여 이상 상태로 판별되는 경우,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자동 배식 장치에 자동 대응 신호를 전송하여 사료 등이 배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대상 생명체가 펫인 경우, 이상 상태 발생시 펫 디스플레이 장치를 ON 하기 위한 자동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일정 시간이 더 경과하여도 이상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 경우 또는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가 알람 설정을 한 경우, 단말 장치(200)로 이상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상 상태에 대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상 상태가 사료 부족으로 판단되는 경우,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품 주문 시스템에 자동 사료 주문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상 상태가 병원 예약이 필요한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병원 예약 시스템으로 예약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200)를 통해서도 병원 예약 또는 용품 주문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
200: 단말 장치
300: 네트워크

Claims (14)

  1.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의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대상 생명체에 대응되는 생물학적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생명체별로 서로 다른 생체 시계 정보가 저장되는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생물학적 특성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대상 생명체의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활 패턴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생명체의 시간대별 행동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특정 시간마다 상기 대상 생명체와 연관된 단말 장치로 상기 스케쥴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시계 정보는 생명체에 대한 출신지역 정보, 나이 정보, 성별 정보 및 종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매칭되는 생체 시계 테이블을 포함하는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대상 생명체에 대응하는 생체 시계를 주기로 하는 시간대별 행동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대별 행동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일정 시간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생명체에 대응하는 환경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환경 변수에 따라 상기 생명체에 대응하는 생체 시계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 시계 정보 조정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생명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상기 대상 생명체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명체가 이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긴급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긴급 알람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알람 정보는 상기 이상 상태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대응 방안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생명체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입력된 특성 정보에 따라 생체 시계 테이블에 기초하는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생명체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모니터링 정보가 수집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시계 테이블에 대한 보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생명체의 식별 정보에만 대응되는 맞춤형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맞춤형 생활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맞춤형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
  9.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대상 생명체에 대응되는 생물학적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특성 정보 관리부;
    생명체별로 서로 다른 생체 시계 정보가 저장되는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
    상기 생체 시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생물학적 특성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대상 생명체의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활 패턴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생명체의 시간대별 행동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하는 스케쥴링 관리부; 및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특정 시간마다 상기 대상 생명체와 연관된 단말 장치로 상기 스케쥴링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시계 정보는 생명체에 대한 출신지역 정보, 나이 정보, 성별 정보 및 종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매칭되는 생체 시계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대상 생명체에 대응하는 생체 시계를 주기로 하는 시간대별 행동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정보 관리부는
    특성 정보 수집부를 통해 상기 대상 생명체에 대응하여 측정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상기 생물학적 특성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스케쥴링 관리부는 상기 생물학적 특성 정보가 변화되는 경우, 상기 생물학적 특성 정보의 변화에 따른 생활 패턴 정보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스케쥴링 정보를 보정하는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상기 대상 생명체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케쥴링 관리부는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명체가 이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긴급 알람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긴급 알람 정보는 상기 이상 상태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대응 방안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관리부는,
    상기 대상 생명체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입력된 특성 정보에 따라 기본 생체 시계 테이블에 기초하는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대상 생명체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모니터링 정보가 수집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생명체의 식별 정보에만 대응되는 맞춤형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맞춤형 생활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맞춤형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50059663A 2014-07-14 2015-04-28 생체 시계 기반의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28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663A KR20160128511A (ko) 2015-04-28 2015-04-28 생체 시계 기반의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
PCT/KR2015/007296 WO2016010341A1 (ko) 2014-07-14 2015-07-14 펫을 중심으로 하는 펫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 펫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663A KR20160128511A (ko) 2015-04-28 2015-04-28 생체 시계 기반의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511A true KR20160128511A (ko) 2016-11-08

Family

ID=5752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663A KR20160128511A (ko) 2014-07-14 2015-04-28 생체 시계 기반의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85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0783B2 (en) Smart animal collar system
US923526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etermin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5135686A (zh) 智能控制热水器的方法及装置
KR101454355B1 (ko) 펫 관리시스템
JP697781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10677488B (zh) 物联网系统的事件规划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US10846599B2 (en) Collaboration of audio sensors for geo-location and continuous tracking of health conditions for users in a device-independent artificial intelligence (AI) environment
US7610879B2 (en) Wireless identity tracing system for tracing animals and food products
WO2016203702A1 (ja) 電子機器、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WO2018111660A1 (en) Wearable device control with inferred insights
KR101590461B1 (ko) 펫 착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22035B1 (ko)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33180B1 (ko) 펫 성장 및 경험을 반영할 수 있는 펫 중심적인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 매체
WO20081088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bject management using intelligent rf tag and reader
WO2013170298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interaction with animals
KR101590464B1 (ko) 펫 중심적인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 매체
Schwiegelshohn et al. A holistic approach for advancing robots in ambient assisted living environments
KR20160128511A (ko) 생체 시계 기반의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스케쥴링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40285335A1 (en) Spc
WO20201675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ject and location-related delivery of real-time messages
Russell et al. Smart environments using near-field communication and HTML5
CN110647046B (zh) 基于智能家居操作系统的路线更新方法及装置
KR102198290B1 (ko) 개체의 헬스케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A3210928A1 (en) Generating and displaying metrics of interest based on motion data
JP2018165965A (ja) 配送予定管理装置、配送予定管理方法及び配送予定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