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125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125A
KR20160128125A KR1020150059973A KR20150059973A KR20160128125A KR 20160128125 A KR20160128125 A KR 20160128125A KR 1020150059973 A KR1020150059973 A KR 1020150059973A KR 20150059973 A KR20150059973 A KR 20150059973A KR 20160128125 A KR20160128125 A KR 20160128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network
terminal
network operator
global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1109B1 (ko
Inventor
권기석
이지철
이형호
정하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9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109B1/ko
Priority to US15/570,077 priority patent/US10299124B2/en
Priority to PCT/KR2016/004458 priority patent/WO2016175578A1/ko
Priority to EP16786764.7A priority patent/EP3291608B1/en
Publication of KR20160128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41User authentication where a single sign-on provides access to a plurality of compu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0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 H04M15/8083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involving reduced rates or discounts, e.g. time-of-day reductions or volume discou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2Criteria or parameters used for performing billing operations
    • H04M15/8214Data or packet b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04W12/041Key generation or deriv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타입, QoS(quality of service), 및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하여 후보 망 중에서 GSP(global service provider)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망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결정된 무선망을 상기 단말로 알려주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과 상기 결정된 무선망은 가접속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표준의 4세대 이동통신인 LTE 규격은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의 이동통신 사용 요금을 대납할 수 있는 스폰서 데이터 연결(Sponsored Data Connectivity)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스폰서 데이터 연결에 관한 규격은 사용자가 이미 이동통신 사업자에 가입한 것을 가정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사업자에 가입하지 않은 단말을 위하여 이동통신 요금을 스폰서 할 수 있는 방법은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휴대용 전자책 단말기를 비롯한 스폰서형 인터넷 연결을 필요로 하는 휴대 기기의 수요가 커지고 있는 추세를 감안할 때, 이동통신 사업자 가입이 필수적인 종래의 스폰서 데이터 연결 규격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감소시킨다. 즉, 종래의 스폰서 데이터 연결 방식은 스폰서 데이터 연결을 자신의 가입자들에게만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도 스폰서 데이터 연결 서비스를 사용 할 때 자신이 가입한 망만 사용 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스폰서 데이터 연결 서비스를 사용자가 가입한 망 외에도 타 사업자 망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망 사업자는 매출을 증대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통신비를 절약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타입, QoS(Quality of Service),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하여 GSP(global service provider)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망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결정된 무선망을 상기 단말로 알려주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과 상기 결정된 무선망은 가접속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타입, QoS(Quality of Service),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하여 GSP(global service provider)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망을 결정하고, 결정된 무선망을 상기 단말로 알려주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과 상기 결정된 무선망은 가접속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로부터 무선망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무선망 정보에 포함된 무선망과 가접속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망은 상기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에 의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타입, QoS(Quality of Service),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하여 GSP(global service provider)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망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로부터 무선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망 정보에 포함된 무선망과 가접속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망은 상기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에 의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타입, QoS(Quality of Service),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하여 GSP(global service provider)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망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은 스폰서 데이터 연결 서비스를 사용자가 가입한 망 외에도 타 사업자 망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망 사업자에게는 매출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통신비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자 망 검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후보 사업자 망에 가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망 사업자가 선택한 망을 사용자가 스폰서 데이터 연결을 위해서 망에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각 사업자 망으로부터 망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이를 가상 망 사업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MNO의 블록 구성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의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LTE 무선 통신 시스템과, 롱 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LTE-A: Long-Term Evolution-Advanced, 이하 'LTE-A'라 칭하기로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과, 고속 하향 링크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이하 'HSDPA'라 칭하기로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과, 고속 상향 링크 패킷 접속(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이하 'HSUPA'라 칭하기로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과, 3세대 프로젝트 파트너쉽 2(3rd generation project partnership 2: 3GPP2, 이하 '3GPP2'라 칭하기로 한다)의 고속 레이트 패킷 데이터(high rate packet data: HRPD, 이하 'HRPD'라 칭하기로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과, 3GPP2의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라 칭하기로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과, 3GPP2의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하기로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과, 국제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이하 'IEEE'라 칭하기로 한다) 802.16m 통신 시스템과,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Evolved Packet System, 이하 'EPS'라 칭하기로 한다)과,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Mobile Internet Protocol: Mobile IP, 이하 'Mobile IP '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은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태블릿(tablet) 컴퓨터, 노트북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은 머신-투-머신(M2M: Machine to Machine) 단말,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크게 단말이 스폰서 데이터 연결을 위해서 사업자 망을 검색하는 과정, 스폰서 데이터 연결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타 망에 접속하는 과정, 빠른 타 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가접속 과정, 망 상태를 수신하기 위한 망 정보 수신 과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스폰서 데이터 연결 규격에서 스폰서(Sponsor)는 이동통신 사업자와 사업 계약을 맺고 가입자가 사용하는 특정 응용 서비스 제공자(Application Service Provider; ASP)의 서비스에 대한 이동통신 요금을 대납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스폰서와 ASP는 별개일 수 있으며, 동일한 사업자일 수 있다. 스폰서 또는 ASP는 3GPP 규격의 Application Function(AF)를 통해 사업자 망의 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PCRF)와 정책 및 과금 정보 등을 주고 받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조도이다.
단말(100)은 인터넷과 같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말을 일컫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eUICC(embedded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포함한다. eUICC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120)는 전 세계의 MNO(Mobile Network Operator)와 계약을 맺고 GSP(Global Service Provider)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유/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망 사업자를 의미한다.
GSP(122,124)는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예컨대, 비디오, 전자북(eBook), 게임 등) 판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물류 판매를 제공하는 글로벌 사업자(예컨대,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Netflix 등)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응용 서비스 제공자(즉, 제1 응용 서비스 제공자, 제2 응용 서비스 제공자)(122, 124)는 스폰서 데이터 연결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Global Virtual Network Operator : GVNO)(120)와 스폰서 데이터 연결 제공 계약을 맺는다. 또한,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120)는 무선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수의 사업자 망(즉, 제1 사업자 망, 제2 사업자 망, 제3 사업자 망)(110)와 가상 망 계약을 맺는다. 제1 사업자 망, 제2 사업자 망, 제3 사업자 망은 예컨대, SKT, KT 와 같은 업체가 가지고 있는 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제1 사업자 망에 가입한 사용자임을 가정한다. 사용자는 현재 제1 사업자 망 뿐만 아니라 제2 사업자 망과 제3 사업자 망의 서비스 커버리지 영역에 있음을 가정한다.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사업자와 컨텐츠(예컨대, 책) 판매 사업자는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120)와 계약을 맺고 스폰서 데이터 연결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 중에 있음을 가정한다. 또한,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120)는 제1 사업자 망, 제2 사업자 망, 제3 사업자 망과 가상 망 계약을 맺고 있음을 가정한다.
단말이 HD(High Definition)급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스폰서 데이터 연결을 통해서 서비스를 받으려고 한다. HD급 비디오 서비스를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버퍼링 없이 시청하려면 망의 전송 품질이 중요하다.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120)는 예컨대, 사용자의 QoE(Quality of Experience)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망 상태가 가장 좋은 제2 사업자 망을 선택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비록, 사용자는 제1 사업자 망 가입자이지만,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는 망의 전송 품질이 중요하기 때문에, 망 상태가 가장 좋은 제2 사업자 망을 통해서 비디오 스트리밍을 서비스 받을 수 있다.
반면에, 단말이 컨텐츠(예컨대, 게임, 책 등)를 다운 받을 때에는 망의 전송품질은 중요하지 않다. 이때,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120)는 전송 비용이 낮은 제3 사업자 망을 선택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응용 서비스 제공자의 전송 비용을 절감해 줄 수 있다.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120)는 서비스 타입을 근거로 하여 사업자 망을 선택함으로써, 저가로 응용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120)가 서비스 타입을 근거로 사업자 망을 선택할 수도 있지만, 단말이 서비스 타입을 근거로 사업자 망을 선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자 망 검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말의 전원이 켜지면, 단말은 201 단계에서 사업자 망에 접속하기 위해서 셀 탐색(Cell Search)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단말은 자신의 가입된 망 뿐만 아니라 스폰서 데이터 연결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즉,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120)와 계약 관계에 있는 모든 가입자 망의 주파수를 검색한다.
단말은 203, 205, 207 단계에서 각 사업자 망으로부터 수신받은 SIB1(System Information Block 1)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PLMN ID(Public Land Mobile Network ID)을 통해서 망 사업자를 구분하고, 셀 접속 관련 정보를 저장/기록한다. 즉, 셀 접속 관련 정보는 가입한 망과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와 계약된 사업자 망 정보 등을 포함한다. 단말은 209 단계에서 SIB 1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가입된 MNO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서, 단말은 211 단계에서 끊김없는(Always-Connected) 서비스를 위해서 가입된 망(가입된 MNO)에 접속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말이 eUICC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eUICC는 단말에 고정되어 탑재될 수도 있고, 기존의 범용 집적 회로 카드(UICC: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이하 "eUICC"이라 칭하기로 한다)처럼 착탈을 할 수 있지만 기능적으로는 eUICC와 동일한 것을 포괄하는 개념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UICC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스마트 카드로서 이동 통신 가입자의 네트워크 접속 인증 정보, 전화번호부,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이하 "SMS"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같은 개인정보가 저장되어 전세계 이동 통신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하 "GSM"이라 칭하기로 한다),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 롱 텀 에볼루션(LTE: Long-Term Evolution, 이하 "LTE"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시 가입자 인증 및 트래픽 보안 키 생성을 수행하여 안전한 이동 통신 이용을 가능케 하는 칩을 의미할 수 있다.
UICC에는 가입자가 접속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가입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이하 "SIM"이라 칭하기로 한다), 범용 SIM(USIM: Universal SIM, 이하 "USIM"이라 칭하기로 한다),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SIM(ISIM: Internet Protocol(IP) multimedia SIM, 이하 "ISIM"이라 칭하기로 한다) 등의 통신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탑재되며, 또한 전자 지갑, 티켓팅(ticketing), 전자 여권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탑재를 위한 상위 레벨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eUICC 내의 프로파일(USIM과 동일함)이 동시에 2개 이상이 enable 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프로파일은 일 예로, 상기 단말의 가입자 식별자(예컨대, 국제 이동 가입자 식별자(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이하 "IMSI"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인증을 위한 암호키(예컨대, K)를 포함하며, 또한 해당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를 위한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UICC로 제작된 형태의 eUICC의 동작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eUICC는 무선 통신망 또는 Wi-Fi(Wireless-Fidelity) 등과 같은 일반적인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이하 "IP"이라 칭하기로 한다) 망을 이용하여 프로파일(profile)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단말이 응용 서비스 제공자에 회원가입을 하게 되면, 스폰서 데이터 연결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로부터 프로파일 하나를 제공받게 된다. 즉, 단말은 가입자 망으로부터 발급받은 프로파일과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로부터 발급 받은 프로파일을 가지게 된다. 기본적으로 단말이 가입한 사업자 망이 발급한 프로파일은 끊김없는 서비스를 위해서 항상 enable 되어 있다.
셀 탐색 과정을 통해 수신 받은 사업자 망 정보들 중에서 가입한 망 이외의 망은 망 정보만을 보유하고 있을 뿐, 접속 절차를 수행하지 않는다. 단말은 213 단계에서 스폰서 데이터 연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응용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로그인 할 때, 비로소 단말은 타 사업자 망에 접속을 하게 된다.
또한 단말이 응용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로그인 할 때, 셀 탐색 과정을 통해 수신 받은 사업자 망 정보와 단말의 위치 정보를 같이 전송한다.
그러면 단말에서는 215 단계에서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로부터 발급받은 프로파일을 enable 시킨다. 이와 동시에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는 217 단계에서 단말이 보낸 정보(예컨대, 서비스 타입, QoS,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단말에게 가장 적합한 사업자 망과 후보 망으로 선택하고, 이를 응용 서비스 제공자로 알려준다. 그러면, 응용 서비스 제공자는 219 단계에서 서빙 PLMN 식별자, 후보 PLMN 식별자, 무선 구성 정보 등을 포함하는 스폰서 PLMN 알림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한다. GVNO가 선정해 준 스폰서 사업자 망은 예컨대, 스폰서 MNO 1이고, GVNO가 선정해 준 후보 사업자 망은 예컨대, 스폰서 MNO 2임을 단말에게 알린다. 단말은 221 단계에서 스폰서 데이터 연결 서비스를 위해서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가 선정해 준 사업자 망(예컨대 스폰서 MNO 1)에 접속을 한다. 또한, 단말은 223 단계에서 가상 망 사업자가 선정해 준 후보 망과 가접속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접속은 현재 스폰서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망의 상태가 변경되어 다른 망으로 이동 해야 할 때, 망 간의 이동성을 빠르고 쉽게 하기 위한 방법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후보 사업자 망에 가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말은 빠른 다른 사업자 망으로 망 변경이 용이하도록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가 보내 준 후보 사업자 망에 가접속을 한다. 가접속을 통해서 단말은 망으로부터 인증을 받고 통신에 필요한 보안 키들을 설정한다.
단말은 301 단계에서 IMSIGVNO, SP 식별자, Attach Type(SEMI)를 포함하는 Attach Request 메시지를 망(MNO 2)으로 전송한다. 가접속인 것을 망에게 알리고자 새로운 Attach Type인 SEMI 타입을 정의한다. 또한, 301 단계에서 단말의 인증을 위해서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가 발급해준 프로파일에 있는 IMSIGVNO을 사용자 아이디로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301 단계에서 사용자가 로그인 한 응용 서비스 제공자 아이디인 SP 식별자(Service Provider ID)도 포함해서 보낸다.
Attach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사업자 망의 네트워크(MNO 2)는 303 단계에서 IMSIGVNO 값을 보고 자신의 망에 가입한 사용자가 아니고, 가상 망(GVNO) 사용자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IMSI 값은 사업자의 PLMN ID를 포함할 수 있다. MNO 2는 305 단계에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서 사용자 IMSI 값, 서비스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 요청 메시지를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에게 전송하고, 307 단계에서 인증 벡터들을 포함하는 인증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MNO 2는 이 인증 철차를 통해서 자신과 단말의 상호 인증 및 통신을 하기 위한 키 값을 설정한다.
MNO 2는 309 단계에서 RAND(난수값), AUTH, KSIASME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고, 311 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인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RAND는 난수값을 의미하고, AUTH는 인증값을 의미한다.
MNO 2는 313 단계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등록하기 위해서 SP 식별자, 사용자 IMSI 값(IMSIGVNO), 단말을 등록한 MME ID(Mobility Management Entity ID)를 포함하는 위치 갱신 요청 메시지를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에게 전송한다.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는 315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PLMN 식별자, SP 식별자, IMSIGVNO, MME ID)를 자신의 HSS(Home Subscriber Server) 서버에 저장한다. 여기서, HSS는 사용자와 단말에 대한 인증 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관리한다.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의 HSS 서버는 317 단계에서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가 보낸 SP ID를 통해서 단말에게 제공해야 할 스폰서 QoS(Quality of Service) 프로파일 정보와 스폰서 데이터 연결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사이트의 IP 주소 및 URI 정보를 MME(MNO 2)에게 전송한다. 상기 MME(MNO 2)는 319 단계에서 단말의 이동성 관리, 단말의 위치 관리, 등록 관리를 수행한다. 상기 MME(MNO 2)는 319 단계에서 수신된 스폰서 QoS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고, 단말이 망에서 사용해야 할 임시 ID인 GUTI(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fier)을 할당하고, 321 단계에서 이를 Attach Accept 메시지를 통해서 단말에게 알려 준다. 여기서 Attach Accept 메시지에는 IMSIGVNO, 권한을 부여받은 스폰서 QoS 프로파일, TFT(Traffic Flow Template)(UL(uplink)) 등이 포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망 사업자가 선택한 망을 사용자가 스폰서 데이터 연결을 위해서 망에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말은 401 단계에서 사업자 망에 접속하기 위해서 Attach Request 메시지를 MME(서빙 MNO 2)로 전송한다. Attach Request 메시지에는 IMSIGVNO, 응용 서비스 제공자의 ID(즉, SP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가접속이 아니기 때문에 Attach Type은 기존 Attach Request에서 사용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도 4의 401 내지 419 단계는 도 3의 301 단계 내지 319 단계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가접속 절차에서는 단말이 가접속한 망을 통해서 당장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기본 베어러 설정 절차가 필요없다. 가접속은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상호인증 및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키 설정, 가상 망에 단말 위치 등록 등을 포함한다. 이와 달리 정식 접속 절차에서는 단말이 접속한 망을 통해서 스폰서 데이터를 송수신 해야 하기 때문에 기본 베어러 설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MME는 423 단계에서 EPS Bearer ID를 할당하고, P-GW(Patcket Data Network Gateway)는 단말이 사용할 IP 주소를 할당한다. MME는 425 단계에서 통신에 필요한 정보(GUTIGVNO, UE IP, TAI list, TAU 타이머, APN, EPS 베어러 식별자, 허용된 스폰서 QoS 프로파일, TFT(UL))를 포함한 Attach Accept 메시지를 단말에게 알려 준다.
단말과 MME는 427 단계에서 기본 베어러를 설정한다. 그리고, 단말은 429 단계에서 설정된 기본 베어러를 통해서 스폰서 데이터 연결 서비스를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각 사업자 망으로부터 망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이를 가상 망 사업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501 단계에서 단말은 응용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스폰서 서비스(예컨대, 유튜브 비디오 스트리밍)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은 503 단계에서 가입된 MNO와 채널 품질을 측정한다. 채널 품질 측정 과정을 통해서 단말은 최적의 품질의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사업자 망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
505, 507, 509 단계에서와 같이, 현재 스폰서 서비스 연결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망 뿐만 아니라, 후보 망들도 주기적으로 단말에게 Cell Inform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Cell Information 메시지에는 PLMN ID, CQI, 셀의 부하 정보, 시간 및/또는 장소를 근거로 한 가격 프로모션 정보 등을 포함한다. PLMN ID 는 망 사업자를 구분하고, 셀의 부하 정보는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의 수 및 무선 자원 용량 등을 나타낸다. CQI는 해당 망의 채널 상태를 나타낸다. 가격 프로모션 정보는 각 기지국 마다 가용한 자원의 양에 따라서 가격 할인 등의 정보를 나타낸다. 가격 프로모션은 예컨대 지역/시간 등을 기반으로 사업자가 설정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좀 더 탄력적인 가격 정책을 적용할 수 있다.
단말은 511 단계에서 예컨대, 새로운 가격 프로모션을 진행하거나, 임계값 보다 낮은 SINR(Signal-to-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일 경우 이벤트 트리거링을 수행한다.
단말은 513 단계에서 각 사업자 망으로부터 수신한 Cell Information을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혹은 주기적으로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에 Cell Information Report 메시지 형식으로 보고 한다. Cell Information는 단말의 GUTI 값과 각 사업자 망으로부터 수신한 Cell 정보를 벡터 형식으로 보낸다. 그리고 Cell Information Report 메시지에는 GUTIGVNO, 서비스 타입, 셀 정보 벡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Cell Information 정보 또는 Cell Information Report 메시지를 수신한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는 515 단계에서 현재 사용자가 사용하는 서비스의 QoS, 서비스 타입, 가격 정보 등을 고려하여 서빙 MNO를 선택한다.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는 517 단계에서 MNO 변경 요청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 서빙 MNO를 선택하였음을 지시하는 MNO 변경 요청 메시지를 단말로 보냄으로써, 단말이 사업자 망을 변경하도록 한다. MNO 변경 요청 메시지는 PLMN 식별자, 무선 구성 정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이 동시에 2개 이상의 프로파일을 enable 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은 동시에 2개 이상의 사업자 망에 접속이 가능하다. 단말은 가입자 망에 default로 접속하여 기존 Always Connected 서비스, 즉 전화 송수신 및 각종 IM(Instant Messaging)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스폰서 데이터 연결 서비스를 위해서 다른 사업자 망에 동시에 접속하여 스폰서 데이터 연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송신부(600), 수신부(610), 제어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600), 수신부(610)는 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MNO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과 수신 모듈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62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절차에 따라 MNO와 접속하여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와 통신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어부(620)는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로부터 무선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망 정보에 포함된 무선망과 가접속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무선망은 상기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에 의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타입, QoS, 및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하여 GSP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망으로 결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MNO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MNO은 송신부(700), 수신부(710), 제어부(720)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700), 수신부(710)는 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를 단말 또는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와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과 수신 모듈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72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절차에 따라 단말 또는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와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는 송신부(800), 수신부(810), 제어부(820)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800), 수신부(810)는 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를 단말 또는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와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과 수신 모듈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82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절차에 따라 단말 또는 MNO와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820)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타입, QoS, 및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하여 GSP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망을 결정하고, 결정된 무선망을 상기 단말로 알려준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뎀 제어 방법 및 장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뎀 제어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뎀 제어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프로그램 처리 장치가 기 설정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뎀 제어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뎀 제어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프로그램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프로그램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타입, QoS(Quality of Service), 및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하여 GSP(global service provider)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망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결정된 무선망을 상기 단말로 알려주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과 상기 결정된 무선망은 가접속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는 단말이 가입된 망을 통해 상기 단말과 접속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무선망은 상기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 사업자 망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가접속을 통해서 상기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로부터 인증을 받고 통신에 필요한 보안 키들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는 전 세계의 MNO(Mobile Network Operator)와 계약을 맺고 GSP(Global Service Provider)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유/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타입, QoS(Quality of Service), 및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하여 GSP(global service provider)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망을 결정하고, 결정된 무선망을 상기 단말로 알려주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과 상기 결정된 무선망은 가접속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는 단말이 가입된 망을 통해 상기 단말과 접속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무선망은 상기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 사업자 망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가접속을 통해서 상기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로부터 인증을 받고 통신에 필요한 보안 키들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는 전 세계의 MNO(Mobile Network Operator)와 계약을 맺고 GSP(Global Service Provider)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유/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로부터 무선망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무선망 정보에 포함된 무선망과 가접속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망은 상기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에 의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타입, QoS(Quality of Service), 및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하여 GSP(global service provider)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망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는 단말이 가입된 망을 통해 상기 단말과 접속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무선망은 상기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 사업자 망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가접속을 통해서 상기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로부터 인증을 받고 통신에 필요한 보안 키들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는 전 세계의 MNO(Mobile Network Operator)와 계약을 맺고 GSP(Global Service Provider)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유/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로부터 무선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망 정보에 포함된 무선망과 가접속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망은 상기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에 의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타입, QoS(Quality of Service), 및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하여 GSP(global service provider)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망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는 단말이 가입된 망을 통해 상기 단말과 접속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무선망은 상기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 사업자 망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가접속을 통해서 상기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로부터 인증을 받고 통신에 필요한 보안 키들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가상 망 사업자는 전 세계의 MNO(Mobile Network Operator)와 계약을 맺고 GSP(Global Service Provider)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유/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50059973A 2015-04-28 2015-04-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41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973A KR102341109B1 (ko) 2015-04-28 2015-04-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5/570,077 US10299124B2 (en) 2015-04-28 2016-04-28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ata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6/004458 WO2016175578A1 (ko) 2015-04-28 2016-04-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EP16786764.7A EP3291608B1 (en) 2015-04-28 2016-04-28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ata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973A KR102341109B1 (ko) 2015-04-28 2015-04-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125A true KR20160128125A (ko) 2016-11-07
KR102341109B1 KR102341109B1 (ko) 2021-12-21

Family

ID=57199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973A KR102341109B1 (ko) 2015-04-28 2015-04-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99124B2 (ko)
EP (1) EP3291608B1 (ko)
KR (1) KR102341109B1 (ko)
WO (1) WO201617557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274A (ko) * 2018-05-10 2019-11-20 주식회사 케이티 어플리케이션별 사설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통신망 시스템, 그리고 단말에서의 트래픽 전송 방법
US11516801B2 (en) 2019-08-16 202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frequency resources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8831A1 (en) * 2016-10-11 2018-04-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ode for handling attachment of a ue
CN110149669B (zh) 2018-02-13 2022-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终端使用无线网络的方法以及相关设备
GB2576555B (en) * 2018-08-23 2021-06-09 British Telecomm Mobile network operator selection
US10911945B1 (en) * 2018-11-19 2021-02-02 Sprint Spectrum L.P. Automated eUICC service profile configuration in view of operational issue with respect to eUICC service profile
US11240563B1 (en) * 2020-11-09 2022-02-01 Sony Group Corporation Playback control of media content across devices in MaaS transportion network
CN115119192B (zh) * 2021-03-19 2023-06-16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网络接入方法和装置
US20230284104A1 (en) * 2022-03-03 2023-09-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ulti-operator radio access networ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86177A1 (en) * 2012-09-27 2014-03-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 Inc. End-to-end architecture, api framework, discovery, and access in a virtualized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5654B2 (en) 2006-10-10 2011-02-08 Apple Inc. Dynamic carrier selection
US8825876B2 (en) * 2008-07-17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MVNO) hosting and pricing
US8693358B2 (en) 2010-12-16 2014-04-08 Syniverse Technologies, Inc. Providing toll free data in a wireless system
US10064127B2 (en) 2010-12-27 2018-08-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utomated service provider network selection using a wireless air-time auction
KR101844304B1 (ko) 2011-12-06 201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Ims 기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스폰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02137B1 (ko) 2012-06-19 2015-03-12 주식회사 케이티 사업자 간 망 부하 분산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신호 처리 장치
US9014663B2 (en) * 2012-09-28 2015-04-21 Alcatel Lucent Sponsored data plan management
US20160012465A1 (en) * 2014-02-08 2016-01-14 Jeffrey A. Sharp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receiving, and using funds or credits and apparatus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86177A1 (en) * 2012-09-27 2014-03-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 Inc. End-to-end architecture, api framework, discovery, and access in a virtualized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274A (ko) * 2018-05-10 2019-11-20 주식회사 케이티 어플리케이션별 사설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통신망 시스템, 그리고 단말에서의 트래픽 전송 방법
US11516801B2 (en) 2019-08-16 202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frequency resources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1608B1 (en) 2020-10-07
WO2016175578A1 (ko) 2016-11-03
US10299124B2 (en) 2019-05-21
EP3291608A4 (en) 2018-04-04
KR102341109B1 (ko) 2021-12-21
US20180109945A1 (en) 2018-04-19
EP3291608A1 (en)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912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ata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90310B1 (ko) 로컬 운영자에 의한 서비스 프로비저닝
US20180115924A1 (en) Dynamic Exchange Of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US201602466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BOOTSTRAP ESIMs
US20130303203A1 (en) Paging and system information broadcast handling in virtualized networks
US20150296440A1 (en) Hierarchical 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 and Offload Wi-Fi Network
US116276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HPLMN-based traffic control when UE is registered on different PLMNs
US20130195012A1 (en) Network attach procedure for long term evolution local area network
WO2016139919A1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判定方法、通信端末及び接続方法
EP2923504A1 (en) Method and architecture for local content sharing using dynamic location mapping
US114638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vailing a data service by a user equipment
KR20210076981A (ko) 세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9104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efficient establishment of policy control associations
CN108243631B (zh) 一种接入网络的方法及设备
CN105682086A (zh) 接入方法、用户设备和服务器
US119304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based group message delivery
US92370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tethering alert based on a threshold similarity between incoming data and outgoing data
US20160308916A1 (en) Providing access network information for ims calls terminating to circuit-switched networks
KR101817267B1 (ko) 이기종 망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페이징 장치 및 방법
US20240107287A1 (en) Support of non-subscribed temporary local slices while roaming for local ims service
CN102308665B (zh) 一种通用业务接口系统注册的方法与装置
CN115776707A (zh) 确定用户面路径的方法及通信装置
KR101451394B1 (ko) Vcc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1599876B (zh) 一种通用业务接口系统业务调用的方法与系统
EP2747480A1 (en) Method for accessing a second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corresponding device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