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980A -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980A
KR20160127980A KR1020150059606A KR20150059606A KR20160127980A KR 20160127980 A KR20160127980 A KR 20160127980A KR 1020150059606 A KR1020150059606 A KR 1020150059606A KR 20150059606 A KR20150059606 A KR 20150059606A KR 20160127980 A KR20160127980 A KR 20160127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ver plate
battery cell
couple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차형우
Original Assignee
김진수
차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차형우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1020150059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7980A/ko
Publication of KR20160127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5
    • H01M2/022
    • H01M2/20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는 케이스와,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용도에 맞게 전압과 전류 용량을 자유롭게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Battery cell case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은 건물의 비상 전원 공급 및 산업 현장에서 정전 등의 문제가 발생했을 때, 캠핑 등의 레져 생활을 즐길 때 전지에 충전된 전원을 설비 또는 장비로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배터리 팩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로서의 단위 전지를 케이스로 패키징한 다수개의 단위 모듈들이 연속적으로 배열(적층)되고, 이들 단위 모듈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뤄진다.
여기서, 상술한 단위 모듈들은 바(bar) 형태의 버스바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버스바는 단위 전지에 구비된 버스 플레이트(단자)에 볼트 등을 통해 결합되면서 단위 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즉, 단위 전지의 버스 플레이트에 볼트를 체결할 타공을 실시하고, 그 타공 구멍을 통해 볼트로서 버스바를 버스플레이트에 결합함으로써 단위 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배터리 팩의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234235호에는 복수개의 단위 전지 셀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을 상하 및/또는 옆으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배터리 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배터리 팩은 배터리 모듈(100)의 제작시 다수의 단위 전지 셀(110)을 지지하기 위해 상부 프레임(120), 하부 프레임(130), 측면 지지부(140), 엔드 플레이트(150) 등이 필요한 바,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위 전지 셀(110)들의 전극 단자들(112)을 일일이 버스바(116)로 연결시켜주어야 하므로 전압과 전류 용량을 원활히 가변시키기 어렵고 생산 효율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서로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는 케이스와,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용도에 맞게 전압과 전류 용량을 자유롭게 증가시킬 수 있는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배터리 셀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둘 이상을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일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배터리 셀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둘 이상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며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에 상부 덮개판이 결합되고, 하부에 하부 덮개판이 결합되되, 상부 덮개판과 하부 덮개판 중 한쪽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고정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돌기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는 케이스와,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용도에 맞게 전압과 전류 용량을 자유롭게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에 수납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사용용도에 맞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 셀을 케이스 내에 자유롭게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와 덮개판에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한 홀들이 형성됨으로써, 충전과 방전이 반복되면서 배터리 셀에서 발생되는 열이 원활히 방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홈이 단턱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체결홈에 고정부재가 체결될 때 발생되는 이물질이 단턱으로 확보된 공간에 보관되어, 이물질로 인한 연결플레이트 사이의 접촉 범위 불균일 및 압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플레이트의 제2암부 단부에 장공이 형성됨으로써, 연결플레이트를 수개 연결시 조립오차가 상쇄되며 연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에 안착부가 마련됨으로써, 연결플레이트의 고정작업 또는 스팟 용접시 연결플레이트가 흔들리지 않고 위치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 중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케이스의 평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 중 상부 덮개판과 하부 덮개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연결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다수의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 중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케이스의 평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 중 상부 덮개판과 하부 덮개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연결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다수의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100)은, 배터리 셀이 수납되는 수납공간(20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둘 이상을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일측에 결합돌기(101)가 형성되고 타측에 결합돌기(101)에 대응되는 결합홈(103)이 형성된 케이스(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스(105)는 일예로 육면체의 구조물로 이뤄질 수 있는데, 케이스(105)에는 배터리 셀이 수납되는 수납공간(20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들에서는 케이스(105)에 4개의 수납공간(201)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처럼 케이스(105)에 수납공간(20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사용용도에 맞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 셀을 케이스(105) 내에 자유롭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케이스(105)는 둘 이상이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케이스(105)의 일측에는 결합돌기(10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합돌기(101)에 대응되는 결합홈(103)이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돌기(101)는 일예로 단부 양측으로 돌출된 날개부(107)가 형성되고, 결합홈(103)은 날개부(107)에 대응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결합돌기(101)가 결합홈(103)에 슬라이딩 삽입됨으로써, 다수의 케이스(105)가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케이스(105)에 결합돌기(101)와 결합홈(103)이 형성됨으로써, 다수의 케이스(105)들이 서로 안정적으로 연결되며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스(105)에는 수개의 방열홀(20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처럼 케이스(105)에 방열홀(203)이 형성됨으로써, 수납공간(201)에 수납된 배터리 셀의 충전과 방전이 반복되면서 발생되는 열이 원활히 방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105)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며 결합될 수 있는데, 케이스(105)의 상부에는 상부 덮개판(109)이 결합되고 케이스(105)의 하부에는 하부 덮개판(111)이 결합된다.
먼저 상부 덮개판(109)에 대해 설명하면, 상부 덮개판(109)은 케이스(105)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 덮개판(109)에는 고정돌기(113)가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고정돌기(113)는 상부 덮개판(109)의 상측 모서리 부분과 중앙 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돌기(113)는 일예로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후술할 연결플레이트(117)의 베이스판(501)을 가압하도록, 상부 덮개판(109)의 하부 중앙에 돌출된 압착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 덮개판(109)의 하부에는 끼움돌기(119)가 형성되는데, 끼움돌기(119)는 케이스(105)의 상부에 형성된 끼움돌기 결합부(205)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케이스(105)와 상부 덮개판(109)이 밀착고정되도록 한다.
더불어, 상부 덮개판(109)에는 수개의 통풍홀(40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처럼 상부 덮개판(109)에 통풍홀(403)이 형성됨으로써, 방열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팬의 장착시 팬에 의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하부 덮개판(111)은 케이스(105)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 덮개판(111)의 하측 모서리 부분과 중앙 부분에는,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100)의 적층시 상부 덮개판(109)의 고정돌기(113)가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돌기 결합부(115)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덮개판(111)의 상부 중앙에는 후술할 연결플레이트(117)의 베이스판(501)을 가압하도록, 압착부(40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하부 덮개판(111)의 상부에는 끼움돌기(121)가 형성되는데, 끼움돌기(121)는 케이스(105)의 하부에 형성된 끼움돌기 결합부(207)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케이스(105)와 하부 덮개판(111)이 밀착고정되도록 한다.
더불어, 하부 덮개판(111)에는 수개의 통풍홀(405)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처럼 하부 덮개판(111)에 통풍홀(405)이 형성됨으로써, 방열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팬의 장착시 팬에 의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하부 덮개판(111)에 고정돌기(113)가 형성되고 상부 덮개판(109)에 고정돌기 결합부(115)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케이스(105)의 상부에 끼움돌기(119)가 형성되고 상부 덮개판(109)의 하부에 끼움돌기 결합부(205)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케이스(105)의 하부에 끼움돌기(121)가 형성되고 하부 덮개판(111)의 상부에 끼움돌기 결합부(207)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끼움돌기(119,121)와 끼움돌기 결합부(205,207)는, 케이스(105)에 상부 덮개판(109)과 하부 덮개판(111)을 나사조립할 때, 케이스(105)가 정위치에 있지 못하고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100)은 다수의 배터리 셀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다수의 배터리 셀 단자들과 접하여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117)를 포함하는데, 연결플레이트(117)는 일예로 니켈 플레이트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플레이트(117)는 베이스판(501), 제1암부(503) 및 제2암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판(501)은 케이스(105)의 상측 중앙 또는 하측 중앙에 배치되며 결합되는데, 베이스판(501)에는 관통홀(505)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관통홀(505)을 통해 고정부재(301, 일예로 나사)가 케이스(105)의 상측 중앙 또는 하측 중앙에 형성된 체결홈(209)에 결합됨으로써, 베이스판(501)이 케이스(105)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체결홈(209)은 고정부재(301)의 체결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보관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단턱이 형성된 구조로 이뤄질 수 있다.
이처럼 체결홈(209)이 단턱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체결홈(209)에 고정부재(301)가 체결될 때 발생되는 이물질이 단턱으로 확보된 공간에 보관되어, 이물질로 인한 연결플레이트(117) 사이의 접촉 범위 불균일 및 압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고정부재(301)는 상부 덮개판(109) 또는 하부 덮개판(111)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돌기(113)의 중공을 통해 삽입되어 베이스판(501)에 체결될 수 있다.
제1암부(503)는 베이스판(50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제1암부(503)는 하나의 케이스(105) 내에 수납된 배터리 셀의 단자에 접하여 결합된다.
한편, 도면들에서는 하나의 케이스(105) 내에 수납된 4개의 배터리 셀 각각의 단자에 접하여 결합되도록, 4개의 제1암부(503)가 베이스판(501)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제1암부(503)의 단부에는 소정 길이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암부(503)는 배터리 셀의 단자에 스팟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2암부(123)는 베이스판(50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제2암부(123)는 인접한 케이스(105) 내에 수납된 배터리 셀의 단자에 접하여 결합된다.
즉, 제2암부(123)는 하나의 케이스(105) 내에 수납된 배터리 셀들과, 인접하여 결합된 다른 케이스(105) 내에 수납된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도면들에서는 제2암부(123)가 대략 수직의 각도를 이루며 베이스판(501)으로부터 뻗어 연장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제2암부(123)의 단부에는 장공(125)이 형성되는데, 이처럼 제2암부(123)의 단부에 장공(125)이 형성됨으로써, 연결플레이트(117)를 수개 연결시 조립오차가 상쇄되며 연결된다.
그리고 케이스(105)의 상부 측단에는 제2암부(123)가 끼워지는 안착부(21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안착부(211)는 일예로, 제2암부(123)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벽면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이처럼 케이스(105)에 안착부(211)가 마련됨으로써, 연결플레이트(117)의 고정작업 또는 스팟 용접 작업시, 연결플레이트(117)가 흔들리지 않고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는 케이스와,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용도에 맞게 전압과 전류 용량을 자유롭게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케이스에 수납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사용용도에 맞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 셀을 케이스 내에 자유롭게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케이스와 덮개판에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한 홀들이 형성됨으로써, 충전과 방전이 반복되면서 배터리 셀에서 발생되는 열이 원활히 방출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체결홈이 단턱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체결홈에 고정부재가 체결될 때 발생되는 이물질이 단턱으로 확보된 공간에 보관되어, 이물질로 인한 연결플레이트 사이의 접촉 범위 불균일 및 압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연결플레이트의 제2암부 단부에 장공이 형성됨으로써, 연결플레이트를 수개 연결시 조립오차가 상쇄되며 연결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케이스에 안착부가 마련됨으로써, 연결플레이트의 고정작업 또는 스팟 용접시 연결플레이트가 흔들리지 않고 위치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 101 : 결합돌기
103 : 결합홈 105 : 케이스
107 : 날개부 109 : 상부 덮개판
111 : 하부 덮개판 113 : 고정돌기
115 : 고정돌기 결합부 117 : 연결플레이트
119 : 끼움돌기 121 : 끼움돌기
123 : 제2암부 125 : 장공
201 : 수납공간 203 : 방열홀
205 : 끼움돌기 결합부 207 : 끼움돌기 결합부
209 : 체결홈 211 : 안착부
301 : 고정부재 401 : 압착부
403 : 통풍홀 405 : 통풍홀
501 : 베이스판 503 : 제1암부
505 : 관통홀

Claims (7)

  1. 배터리 셀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둘 이상을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일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며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상부 덮개판이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하부 덮개판이 결합되되,
    상기 상부 덮개판과 하부 덮개판 중 한쪽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상기 고정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돌기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
  3. 배터리 셀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둘 이상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며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에 상부 덮개판이 결합되고, 하부에 하부 덮개판이 결합되되,
    상기 상부 덮개판과 하부 덮개판 중 한쪽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상기 고정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돌기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상부 덮개판이 밀착고정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와 상기 상부 덮개판의 하부 중 어느 한쪽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돌기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하부 덮개판이 밀착고정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부와 상기 하부 덮개판의 상부 중 어느 한쪽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돌기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 다수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의 단자들과 접하여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의 상측 중앙 또는 하측 중앙에 배치되며 결합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연장되며, 하나의 케이스 내에 수납된 상기 배터리 셀의 단자에 접하여 결합되는 제1암부; 및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연장되며, 인접한 케이스 내에 수납된 배터리 셀의 단자에 접하여 결합되는 제2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암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 측단에 상기 제2암부가 끼워지는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
KR1020150059606A 2015-04-28 2015-04-28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 KR20160127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606A KR20160127980A (ko) 2015-04-28 2015-04-28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606A KR20160127980A (ko) 2015-04-28 2015-04-28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980A true KR20160127980A (ko) 2016-11-07

Family

ID=5752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606A KR20160127980A (ko) 2015-04-28 2015-04-28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798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351B1 (ko) * 2018-08-01 2019-03-04 주식회사 이테스 비용접식 배터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모듈 조립체
US11177081B2 (en) 2016-11-30 2021-11-16 Ls Mtron Ltd. Fixing device for fixing plurality of energy storage cells, and energy storage module using same
WO2023128403A1 (ko) * 2021-12-27 2023-07-06 주식회사 일렉트린 리브 타입 셀 벤트 플레이트 및 배터리 모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7081B2 (en) 2016-11-30 2021-11-16 Ls Mtron Ltd. Fixing device for fixing plurality of energy storage cells, and energy storage module using same
KR101953351B1 (ko) * 2018-08-01 2019-03-04 주식회사 이테스 비용접식 배터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모듈 조립체
WO2020027447A1 (ko) * 2018-08-01 2020-02-06 주식회사 이테스 비용접식 배터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모듈 조립체
US11949126B2 (en) 2018-08-01 2024-04-02 E-Tess Co., Ltd. Non-welding type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assembly using same
WO2023128403A1 (ko) * 2021-12-27 2023-07-06 주식회사 일렉트린 리브 타입 셀 벤트 플레이트 및 배터리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5550B2 (ja) 組立構造が向上したバッテリーパック
EP2328201B1 (en) Battery Pack
US8956751B2 (en) Battery pack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US9023508B2 (en) Bus bar assembly of novel structure
US8859131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9196882B2 (en) Battery pack of compact structure
EP2562842B1 (en) Battery module
KR101106544B1 (ko) 기구물체결방식의 유닛팩 조합형 셀 카트리지
JP2018006314A (ja) 電池サブモジュールキャリア、電池サブモジュール、電池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
US8642206B2 (en) Battery module
US20150325818A1 (en) Power storage device
KR20160077758A (ko) Bms 통합형 컴팩트 이차전지 모듈
US9543555B2 (en) Battery module
JP2015018790A (ja) 蓄電モジュール
US10367180B2 (en) Battery pack
KR20150022398A (ko) 전면에 bms의 통신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KR20140042059A (ko) 전지 모듈용 셀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US20160226034A1 (en) Energy storage device
KR20170067007A (ko) Bms 통합형 컴팩트 이차전지 모듈
KR20150132903A (ko) 배터리셀 조립구조체
KR20160127980A (ko) 배터리 셀 케이스 모듈
KR101864482B1 (ko) 컴팩트 이차전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팩
KR20210042657A (ko) 쇼트 방지 및 충격 보호 구조가 강화된 배터리 팩
KR101588573B1 (ko) 단위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셀 조립구조체
KR20140041337A (ko) 전지 모듈용 셀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