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220A -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220A
KR20160127220A KR1020150057514A KR20150057514A KR20160127220A KR 20160127220 A KR20160127220 A KR 20160127220A KR 1020150057514 A KR1020150057514 A KR 1020150057514A KR 20150057514 A KR20150057514 A KR 20150057514A KR 20160127220 A KR20160127220 A KR 20160127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roller
fixing
fasten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2360B1 (ko
Inventor
신재원
김봉철
김한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360B1/ko
Publication of KR20160127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권취(捲取; wind, roll) 또는 권출(捲出; unwind, unroll)시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해지는 손상을 줄일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롤러부에 감겨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을 상기 롤러부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과 상기 고정부의 일측을 서로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ROLLA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권취(捲取; wind, roll) 또는 권출(捲出; unwind, unroll)시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해지는 손상을 줄일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습윤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노트북, 휴대용 전자 기기,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 등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연성이 없는 유리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응용과 용도에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유연성이 없는 유리 기판 대신에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플렉서블 기판(flexible substrate)을 사용하여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새로운 디스플레이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최근에는 플렉서블 패널을 두루말이처럼 감을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공개특허 제2013-0127799호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유닛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 어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감겨지는 롤러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플렉서블 기판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내측 비표시 영역과 결합되고, 회전 운동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을 권취하거나 권취된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평면 상태로 펼쳐지도록 권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롤러부(20)와 처음 결합되는 영역(도 1의 'A'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권취 또는 권출시 곡률의 변화가 가장 큰 이유로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롤러부(20)와 처음 결합되는 영역에는 다수의 신호 배선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손상되면 표시 화면의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권취 또는 권출시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해지는 손상을 줄일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롤러부에 감겨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을 상기 롤러부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과 상기 고정부의 일측을 서로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롤러부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지 않고, 고정부를 통해 간접적으로 롤러부의 표면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해지는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서로 체결하는 체결부를 구비하되, 상기 체결부를 수용하는 롤러부의 홈과, 체결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체결부의 단차로 인한 간섭 및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효과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 1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장치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장치들을 조립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체결부(300)를 구체적으로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롤러부(200)에 감기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예에 따른 체결부(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예에 따른 체결부(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상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롤러부(200), 제 1 및 제 2 하우징, 및 권취 스토퍼(90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기판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00)(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플렉서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00)(Flexible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플렉서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0)(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또는 플렉서블 전자 습윤 디스플레이 패널(100)(Flexible Electro-Wetting Display Panel)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기판(110),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 회로(130), 및 연성 회로 필름(140)을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기판은 PI(Polyimide), PC(Polycarbonate), PEN(Polyethylenapthanate), COP(Cyclic Olefin Polymer),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NB(Polynorborneen), 및 PES(Polyethersulfone)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110)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110)의 표시 영역(DA)에는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화소 어레이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은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표시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 액정 표시 소자, 전기 영동 소자, 또는 전자 습윤 표시 소자 등이 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되는 플렉서블 기판(110)의 표시 영역(DA) 가장자리 부분은 권취 스토퍼(900)와 결합된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110)의 비표시 영역에는 디스플레이 패드부(미도시), 및 디스플레이 패드부에 연결된 복수의 입력 범프(미도시)와 복수의 화소에 연결된 복수의 출력 범프(미도시)를 갖는 칩 실장 영역(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표시 소자가 유기 발광 소자 또는 전기 영동 소자일 경우, 디스플레이 패드부를 제외한 나머지 플렉서블 기판(110)의 전면(前面)을 덮는 플렉서블 봉지 기판(120) 또는 봉지층(encapsulation lay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소자가 액정 표시 소자, 전자 습윤 표시 소자, 또는 전기 영동 소자일 경우, 화소에 대응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컬러필터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커버 부재에 부착된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상기 편광 필름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연성을 위해 생략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에 부착되거나 인-셀 터치(in-cell touch) 방식에 따라 상기 화소 어레이의 형성 공정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 회로(130)는 칩 본딩 공정에 의해 상기 칩 실장 영역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드부를 통해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복수의 화소에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은 필름 부착 공정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드부에 부착되고, 구동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와 각종 전원을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 회로(130)로 전달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 회로(130) 및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은 권취 스토퍼(900)에 마련된 내부 공간에 적재된다. 다만,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 회로(130) 및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은 롤러부(200)에 마련된 내부 공간에 적재되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지지 플레이트(15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플렉서블 지지 플레이트(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 전체에 부착됨으로써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평면 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600)은 원통 관 형태로 서로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하우징 바디(610, 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하우징 바디(6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출입하는 슬롯(612)을 갖도록 반원 관 형태로 형성된다. 제 1 하우징 바디(610)는 롤러부(200)의 일측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하우징 바디(620)는 상기 제 1 하우징 바디(610)와 결합되도록 반원 관 형태로 형성된다. 제 2 하우징 바디(620)는 롤러부(200)의 타측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하우징(700)은 제 1 하우징(600)과 결합되어 내부에 회전부(미도시)를 수납한다. 일 예에 따른 제 2 하우징(700)은 제 1 하우징(600)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통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하우징(700)의 상부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덮개(800)가 배치된다.
상기 회전부는 롤러부(200)와 연결되어, 롤러부(200)를 회전시킨다. 일 예에 따른 회전부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회전 부재를 구비하여 롤러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부는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롤러부(200)를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를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하우징(600)의 내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권취 또는 권출시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가해지는 손상을 줄이기 위한 장치들이 마련된다. 이하,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가해지는 밴딩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 1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장치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장치들을 조립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정부(400)와, 체결부(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을 롤러부(200)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400)의 일측은 체결부(30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체결되고, 고정부(400)의 타측은 고정 테이프(410)를 통해 롤러부(200)의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고정된다. 이에 따라,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롤러부(200)와 처음으로 결합되는 끝단이 롤러부(200)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지 않으며, 고정부(400)를 통해 간접적으로 롤러부(200)와 처음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밴딩 스트레스를 줄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상기 고정부(400)를 서로 체결한다. 구체적으로, 체결부(3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과 상기 고정부(400)의 일측을 서로 체결한다. 일 예에 따른 체결부(300)는 전면과 배면 방향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과 상기 고정부(400)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체결부(300)를 구체적으로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체결부(300)는 상부 덮개(310), 하부 덮개(312), 상부 압축 부재(314), 하부 압축 부재(318), 및 스크류(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덮개(310) 및 상기 하부 덮개(312)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부 덮개(310) 및 하부 덮개(312) 각각에는 스크류(322)가 관통하는 홀이 구비된다. 상부 덮개(310) 및 하부 덮개(312)는 스크류(322)의 체결에 의해 간격이 좁혀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고정부(400)를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고정하는 힘이 특정 부분에 집중되지 아니하고, 면 형태로 고루게 분산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고정함에 있어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부 덮개(310) 및 하부 덮개(312)는 Fe, Cr, N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SUS 재질(Steel Use Stainless)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압축 부재(314)는 상부 덮개(310)의 일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상부 압축 부재(314)는 상기 고정부(400)와 오버랩되고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상부 압축 부재(314a),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오버랩되고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상부 압축 부재(31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두께는 상기 제 2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고정부(400)의 두께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두께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두께가 서로 다른 상부 압축 부재(314)를 마련함으로써 고정부(400)의 두께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두께가 상이하더라도 고정부(40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압축 부재(318)는 하부 덮개(312)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상부 압축 부재(314)와 합착된다. 즉, 상부 및 하부 압축 부재(314, 318)는 상기 상부 덮개(310) 및 상기 하부 덮개(312) 각각의 내면에 부착되어, 상부 덮개(310) 및 하부 덮개(312)의 간격이 좁아짐으로써 서로 합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압축 부재(314, 318) 사이의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00)의 일측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압축 부재(314, 318) 사이의 타측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고정부(40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압축 부재(314, 318)는 폴리 우레탄(Polyurethane) 또는 실리콘(Silicon) 또는 고무(Rubber)와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압축 부재(314, 318)의 표면은 점착성을 띄는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322)는 상기 상부 덮개(310) 및 상기 하부 덮개(312)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스크류(322)가 상기 상부 덮개(310) 및 상기 하부 덮개(312)를 체결하면, 상부 및 하부 압축 부재(314, 318)의 사이에 삽입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고정부(400)는 압축력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스크류(322)는 상기 제 1 상부 압축 부재(314)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 덮개(312)와 체결될 수 있다.
그런데, 롤러부(200)의 표면에 상기한 바와 같이 체결부(300)가 배치되면, 체결부(300)와 롤러부(200) 간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 예에 따른 롤러부(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300)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롤러부(200)에 감기는 동안 체결부(300)로 인한 단차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다. 여기서, 상기 롤러부(200)에 마련된 홈에는 완충 부재가 충진된다. 일 예에 따른 완충 부재는 우레탄 폼(Urethane Foam)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는 롤러부(200)의 회전시 체결부(3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한편,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롤러부(200)의 표면과 접하지 않는 배면측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 고정부(400)의 일측, 및 체결부(300)를 덮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는 체결부(300)가 롤러부(200)의 표면에 결합됨으로써, 체결부(300)로 인한 롤러부(200)의 표면의 곡률의 급격한 변화를 줄인다. 이를 위해, 커버 부재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는 체결부(300)와 오버랩되는 중앙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곡면을 갖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롤러부(200)에 감기는 동안 체결부(300)로 인한 단차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다.
도 8은 다른 예에 따른 체결부(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예에 따른 체결부(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체결부(300)는 특정 간격을 갖고 이격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 및 상기 고정부(400)의 일측을 상부에서 덮으면서 부착되는 연결 부재(3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37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부착되는 제 1 부착 영역과, 상기 고정부(400)와 부착되는 제 2 부착 영역과, 상기 제 1 및 제 2 부착 영역 사이의 중간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예는 체결부(300)의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비교적 간단하고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300)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체결부(300)의 단차로 인한 스트레스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부재(380, 39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 및 상기 고정부(400)의 일측을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에서도 덮으면서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380, 39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 및 상기 고정부(400)의 일측을 상부에서 덮으면서 부착되는 상부 연결 부재(38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 및 상기 고정부(400)의 일측을 하부에서 덮으면서 부착되는 하부 연결 부재(3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연결 부재(380, 39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고정부(400)가 오버랩되지 않는 중간 영역에서 서로 부착됨으로써 고정된다. 이러한 또 다른 예는 체결부(30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고정부(400)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롤러부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지 않고, 고정부를 통해 간접적으로 롤러부의 표면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해지는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서로 체결하는 체결부를 구비하되, 상기 체결부를 수용하는 롤러부의 홈과, 체결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체결부의 단차로 인한 간섭 및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패널 200: 롤러부
300: 체결부 400: 고정부
320: 커버 부재

Claims (10)

  1. 롤러부;
    상기 롤러부에 감겨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을 상기 롤러부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과 상기 고정부의 일측을 서로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롤러부의 표면에 감겨지는 박막 부재; 및
    상기 박막 부재를 상기 롤러부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서로 마주보는 상부 덮개 및 하부 덮개;
    상기 상부 덮개의 일면에 부착된 상부 압축 부재;
    상기 하부 덮개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상부 압축 부재와 합착되는 하부 압축 부재; 및
    상기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덮개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압축 부재 사이의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의 일측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압축 부재 사이의 타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압축 부재는
    상기 고정부와 오버랩되고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상부 압축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오버랩되고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상부 압축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두께는 상기 제 2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특징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상기 제 1 상부 압축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 덮개와 체결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의 홈에는 완충 부재가 충진되어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의 표면과 접하지 않는 배면측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 상기 고정부의 일측, 및 상기 체결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특정 곡률을 갖고 있으며, 양측으로부터 상기 체결부와 오버랩되는 중앙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특정 간격을 갖고 이격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을 상부에서 덮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부착되는 제 1 부착 영역과, 상기 고정부와 부착되는 제 2 부착 영역과, 상기 제 1 및 제 2 부착 영역 사이의 중간 영역으로 구분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57514A 2015-04-23 2015-04-23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2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514A KR102392360B1 (ko) 2015-04-23 2015-04-23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514A KR102392360B1 (ko) 2015-04-23 2015-04-23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220A true KR20160127220A (ko) 2016-11-03
KR102392360B1 KR102392360B1 (ko) 2022-04-29

Family

ID=57571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514A KR102392360B1 (ko) 2015-04-23 2015-04-23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36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947A (ko) * 2018-09-17 2020-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53354A (ko) * 2018-11-08 2020-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56636A (ko) * 2018-11-15 2020-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79855A (ko) * 2018-12-26 2020-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1132779A1 (ko) * 2019-12-27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WI747498B (zh) * 2019-09-17 2021-11-21 南韓商樂金顯示科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WO2022098159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부착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1124A1 (en) * 2000-09-25 2006-07-13 Johansson Gert A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US20070070500A1 (en) * 2003-08-04 2007-03-29 Allen Meyer Retractable display apparatus
KR101049240B1 (ko) * 2002-11-21 2011-07-1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JP2014182306A (ja) * 2013-03-19 2014-09-29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1124A1 (en) * 2000-09-25 2006-07-13 Johansson Gert A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KR101049240B1 (ko) * 2002-11-21 2011-07-1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US20070070500A1 (en) * 2003-08-04 2007-03-29 Allen Meyer Retractable display apparatus
JP2014182306A (ja) * 2013-03-19 2014-09-29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88975A (zh) * 2018-09-17 2022-01-04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KR20200031947A (ko) * 2018-09-17 2020-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888975B (zh) * 2018-09-17 2023-11-28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GB2597588B (en) * 2018-09-17 2023-04-26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JP2021140162A (ja) * 2018-09-17 2021-09-16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表示装置
KR20200053354A (ko) * 2018-11-08 2020-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20076986A (ja) * 2018-11-08 2020-05-21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表示装置
US10993337B2 (en) 2018-11-08 2021-04-27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00056636A (ko) * 2018-11-15 2020-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907015B2 (en) 2018-11-15 2024-02-20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00079855A (ko) * 2018-12-26 2020-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747498B (zh) * 2019-09-17 2021-11-21 南韓商樂金顯示科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US11653532B2 (en) 2019-09-17 2023-05-16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1132779A1 (ko) * 2019-12-27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098159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부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360B1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0029B2 (en) Rollable display apparatus
KR20160127220A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921856B2 (en) Supporting frame for flexible display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2366515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1197175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structures
KR20160081786A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409430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force touch function comprising a display panel and a force sensing panel disposed entirely below the display panel
US9786207B2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9348450B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9354732B2 (en) Touch screen display apparatus having improved support for both touch screen and display panels
CN106873207B (zh) 弯曲显示装置和用于制造弯曲显示装置的方法
TWI529462B (zh) 具有降低漏光之液晶顯示器
CN109639864B (zh) 电子设备
US10353430B2 (en) Wearabl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O2016033703A1 (zh) 显示模组及具有该显示模组的电子装置
US944843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60072371A (ko)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027333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その組立方法
KR20150071788A (ko) 표시 장치
US20170054105A1 (en) Bendable device with a window top layer
KR20190043349A (ko) 플렉서블 영상 표시용 지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US9395759B2 (en) Protective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763936B1 (ko) 표시장치
KR20150002970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490349B1 (ko)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