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612A - 분산 안테나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산 안테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612A
KR20160126612A KR1020150057898A KR20150057898A KR20160126612A KR 20160126612 A KR20160126612 A KR 20160126612A KR 1020150057898 A KR1020150057898 A KR 1020150057898A KR 20150057898 A KR20150057898 A KR 20150057898A KR 20160126612 A KR20160126612 A KR 20160126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signal
downlink
main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800B1 (ko
Inventor
여영신
이환선
유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to KR1020150057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800B1/ko
Priority to PCT/KR2015/004115 priority patent/WO2016171298A1/ko
Priority to US15/079,783 priority patent/US9602211B2/en
Publication of KR20160126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612A/ko
Priority to US15/426,418 priority patent/US985998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75Radio-over-fibre, e.g. radio frequency signal modulated onto an optical carrier
    • H04B10/25752Optical arrangements for wireless networks
    • H04B10/25758Optical arrangements for wireless networks between a central unit and a single remote unit by means of an optical fib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a supervisory or additional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0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75Radio-over-fibre, e.g. radio frequency signal modulated onto an optical carrier
    • H04B10/25752Optical arrangements for wireless networks
    • H04B10/25753Distribution optical network, e.g.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remote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40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복수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결합하여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생성하고,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다운링크 광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헤드엔드 장치와, 헤드엔드 장치로부터 다운링크 광 신호를 수신하고, 다운링크 광 신호를 다운링크 전송 신호로 변환하고, 다운링크 전송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는 메인 리모트 장치, 및 메인 리모트 장치로부터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분배받고, 분배받은 다운링크 전송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는 서브 리모트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관리자의 운영이 용이하고 설치 및 운영 비용이 저감되며 효율적으로 커버리지 확장이 가능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의 발달로 인해 사용자들의 이동통신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고 사용자들은 시간과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하고 있다. 그러나 기지국의 한정된 출력, 기지국의 위치나 주변 지형 등의 제약으로 인해 음영지역(shadow area)이 발생하면서 사업자가 사용자들에게 원활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이 이용되고 있다.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빌딩 내부, 빌딩 지하, 지하철, 터널, 주거지역의 아파트단지, 스타디움 등 전파가 수신되지 않거나 전파 수신이 약한 지역에 설치되어 기지국의 신호가 도달하기 어려운 음영지역에까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확장시키며, 기지국과 통신적으로 연결된 헤드엔드 장치 및 상기 헤드엔드 장치와 광 전송 매체를 통해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과 통신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모트 장치로 구성된다.
최근,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특정 사업자의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어, 멀티 밴드, 멀티 캐리어 서비스 등) 또는 복수의 사업자들의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뉴트럴 호스트 아키텍처를 채용하고 있다. 뉴트럴 호스트 아키텍처의 채용에 따라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헤드엔드 장치와 리모트 장치의 설계 복잡도가 증가하게 되면서, 관리자가 운영 중 발생하는 고장 등에 신속히 대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운영 환경 변화에 따른 사업자, 서비스 변경 등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한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사업자의 시설 및 운영 비용 감소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브로드한 커버리지를 확보할 필요성이 있으며, 운영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커버리지를 확장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는 헤드엔드 장치를 로컬 사이트(local site)에 배치하고 다수의 리모트 장치를 서로 다른 원격 사이트(remote site)에 배치하여 커버리지를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넓은 커버리지의 확보, 커버리지의 확장 등을 위해 헤드엔드 장치와 연결되는 리모트 장치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리모트 장치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경우 장비 및 선로 등의 추가로 인해 설치 및 운영 비용의 증가가 야기되고, 이로 인해 분산 안테나 시스템이 사업자의 비용 감소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이의 리모트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관리자의 편의 향상이 가능하고 환경 변화에 대한 유연성(flexibility)과 확장성(scalability)의 향상이 가능하고 설치 및 운영 비용이 저감되며 효율적으로 커버리지 확장이 가능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복수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결합하여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다운링크 광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헤드엔드 장치; 상기 헤드엔드 장치로부터 상기 다운링크 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다운링크 광 신호를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는 메인 리모트 장치; 및 상기 메인 리모트 장치로부터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분배받고, 상기 분배받은 다운링크 전송 신호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는 서브 리모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리모트 장치는,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전달하도록 서로 캐스케이드 구조로 연결되고, 각각이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다운링크 RF 신호 중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메인측(main-side) 대역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특정 서비스의 이상 발생 등에 대해 관리자가 손쉽게 대응할 수 있어 운영 및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사업자 또는 서비스 변경 등의 운영 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어 유연성 및 확장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저비용으로 넓은 커버리지의 확보, 커버리지의 확장 및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토폴로지(topology)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엔드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리모트 장치 및 서브 리모트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리모트 장치의 일부 구성을 더 상세하게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리모트 장치 및 서브 리모트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대역 처리부들의 일부 구성을 더 상세하게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메인 리모트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유닛)",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음성 통신과 데이터 통신을 높은 품질과 무결절(seamless access)하게 전달하는 인 빌딩 서비스를 위한 커버리지 시스템이다. 또한, 다수의 대역 내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전화 시스템을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로 서비스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건물 내의 열악한 전파환경을 개선하고, 약한(poor) 수신 신호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및 이동 단말기의 총체적 수신감도인 Ec/Io(chip energy/others interference)를 개선하며, 건물의 구석까지 이동통신을 서비스하여, 통신 서비스 사용자가 건물 내의 어느 곳에서도 자유롭게 통화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하는 이동통신 규격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초단파(Very High Frequency, VHF), 극초단파(Ultra High Frequency, UHF), 700MHz, 800MHz, 850MHz, 900MHz, 1900MHz, 2100MHz 대역, 2600MHz 대역 등의 주파수와 FDD 방식의 서비스뿐만 아니라 TDD 방식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아날로그의 대표적인 이동통신서비스(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AMPS)와 디지털의 시분할다중접속(Time-Division Multiplexing Access, TDMA),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비동기식 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고속하향패킷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롱텀에볼루션 어드밴스드(Long Term Evolution Advanced, LTE-A) 등 다수의 이동통신 규격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토폴로지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은, 기지국과 통신적으로 연결되며 헤드엔드 노드(Headend Node)를 구성하는 헤드엔드 장치(10), 확장 노드(Extension Node)를 구성하는 확장 장치(20), 리모트 노드(Remote Node)를 구성하며 원격의 각 서비스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 단말과 통신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메인 리모트 장치(30m, 40m) 및 서브 리모트 장치(30s, 40s)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은 아날로그 분산 안테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은 디지털 분산 안테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의 혼합형(예를 들어, 일부 노드는 아날로그 처리, 나머지 노드는 디지털 처리를 수행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이 아날로그 분산 안테나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함을 알려둔다.
한편, 도 1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의 토폴로지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며,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은 설치 영역 및 적용 분야(예를 들어, 인빌딩(In-Building), 지하철(Subway), 병원(Hospital), 경기장(Stadium) 등)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헤드엔드 장치(10), 확장 장치(20), 메인 리모트 장치(30m, 40m) 및 서브 리모트 장치(30s, 40s)의 개수와 이들 상호 간의 상/하위 단의 연결 관계가 도 1과 상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헤드엔드 장치(10)와 연결되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의 하위단에 서브 리모트 장치(30s)가 모두 연결되고 확장 장치(20)와 연결되는 메인 리모트 장치(40m)의 하위단에 서브 리모트 장치(40s)가 모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메인 리모트 장치(30m, 40m)의 하위단에는 대응하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 40s)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에서 확장 장치(20)는 설치 필요한 리모트 장치의 개수에 비해 헤드엔드 장치(10)로부터 스타(STAR) 구조로 브랜치(Branch)될 브랜치 수가 제한적인 경우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의 헤드엔드 장치(10)만으로도 설치 필요한 리모트 장치의 개수를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경우 또는 복수의 헤드엔드 장치(10)가 설치되는 경우 등에는, 확장 장치(20)는 생략될 수 있다.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 내의 각 노드 및 그 기능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헤드엔드 장치(10)는 기지국과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헤드엔드 장치(10)가 서로 다른 사업자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n 기지국(BTS #1 내지 #n, 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과 연결되는 케이스가 도시되고 있으나, 헤드엔드 장치(10)는 특정 사업자의 서비스 주파수 대역 별 또는 각 섹터 별 기지국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는 고전력(high power)의 신호이므로, 헤드엔드 장치(10)는 이와 같은 고전력의 RF 신호를 각 노드에서 처리하기에 적합한 전력의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헤드엔드 장치(10)는 각 주파수 대역 별 또는 각 섹터 별 고전력의 RF 신호를 저전력으로 낮출 수 있다. 헤드엔드 장치(10)는 저전력의 RF 신호를 결합할 수 있고, 결합된 신호를 확장 장치(20) 또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로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확장 장치(20)는 전달받은 결합된 신호를 확장 장치(20)와 연결된 메인 리모트 장치(40m)로 전달할 수 있다.
메인 리모트 장치(30m)는 헤드엔드 장치(10)로부터 전달받은 결합된 신호를 주파수 대역 별로 분리하고 증폭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메인 리모트 장치(30m)는 대응하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로 전달받은 결합된 신호를 분배할 수 있다. 서브 리모트 장치(30s)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로부터 전달받은 결합된 신호를 주파수 대역 별로 분리하고 증폭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메인 리모트 장치(40m)는 확장 장치(20)로부터 전달받은 결합된 신호를 주파수 대역 별로 분리하고 증폭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메인 리모트 장치(40m)는 대응하는 서브 리모트 장치(40s)로 전달받은 결합된 신호를 분배할 수 있다. 서브 리모트 장치(40s)는 메인 리모트 장치(40m)로부터 전달받은 결합된 신호를 주파수 대역 별로 분리하고 증폭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리모트 장치(30m, 40m) 및 서브 리모트 장치(30s, 40s)는 서비스 안테나(도시 생략)를 통해서 자신의 서비스 커버리지 내의 사용자 단말로 기지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복수의 기지국(BTS #1 내지 #n)과 헤드엔드 장치(10)는 서로 RF 케이블을 통해 상호 연결되고, 헤드엔드 장치(10)로부터 하위단의 확장 장치(20) 및 메인 리모트 장치(30m)까지 그리고 확장 장치(20)로부터 메인 리모트 장치(40m)까지는 모두 광 케이블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들 상호 간의 신호 전송 매체(signal transport medium)도 이와 다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엔드 장치(10)와 확장 장치(20) 사이, 헤드엔드 장치(10)와 메인 리모트 장치(30m) 사이, 확장 장치(20)와 메인 리모트 장치(40m) 사이 중 적어도 하나는 광 케이블 외에 RF 케이블, 트위스트 케이블, UTP 케이블 등을 통해서 연결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와 서브 리모트 장치(30s) 사이 및 메인 리모트 장치(40m)와 서브 리모트 장치(40s) 사이는 모두 RF 케이블을 통해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들 상호 간의 신호 전송 매체도 이와 다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F 케이블은, 광 케이블, UTP 케이블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에서 헤드엔드 장치(10), 확장 장치(20) 및 메인 리모트 장치(30m, 40m)는 전광 변환/광전 변환을 통해 광 타입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광 트랜스시버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단일의 광 케이블로 노드 간 연결되는 경우에는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관리 장치(도시 생략), 예를 들어 NMS(Network Management Server 또는 Network Management System), NOC(Network Operation Center)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원격에서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각 노드의 상태 및 문제를 모니터링하고, 원격에서 각 노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엔드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헤드엔드 장치(10)는 제1 내지 제n 기지국 인터페이스부(11_1 내지 11_n,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 헤드엔드 결합/분배부(12), 제1 내지 제m 헤드엔드 광 송수신부(13_1 내지 13_m, 여기서 m은 2이상의 자연수) 및 헤드엔드 제어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기지국 인터페이스부(11_1 내지 11_n) 각각은 제1 내지 제n 기지국(BTS #1 내지 #n) 중 대응하는 기지국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n 기지국 인터페이스부(11_1 내지 11_n)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기지국 인터페이스부들은 제1 내지 제n 기지국(BTS #1 내지 #n)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과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n 기지국 인터페이스부(11_1 내지 11_n) 각각은 제1 내지 제n 기지국(BTS #1 내지 #n) 중 대응하는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RF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내지 제n 기지국 인터페이스부(11_1 내지 11_n) 각각이 수신하는 다운링크 RF 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n 기지국 인터페이스부(11_1 내지 11_n) 각각은 입력된 다운링크 RF 신호의 파워를 조절하여 헤드엔드 결합/분배부(12)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n 기지국 인터페이스부(11_1 내지 11_n) 각각은 입력된 다운링크 RF 신호의 파워를 감소시킬 수 있고 파워 감소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헤드엔드 결합/분배부(12)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기지국 인터페이스부(11_1 내지 11_n) 각각은 헤드엔드 결합/분배부(12)로부터 결합된 복수의 업링크 전송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결합된 복수의 업링크 전송 신호는 후술되는 제1 내지 제m 헤드엔드 광 송수신부(13_1 내지 13_m)로부터 출력되는 업링크 전송 신호들이 헤드엔드 결합/분배부(12)에 의해 결합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업링크 전송 신호들 각각은 메인 리모트 장치(30m, 40m) 및 서브 리모트 장치(30s, 40s)가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업링크 RF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기지국 인터페이스부(11_1 내지 11_n) 각각은 결합된 복수의 업링크 전송 신호로부터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예컨대, 입력된 다운링크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업링크 RF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기지국 인터페이스부(11_1 내지 11_n) 각각은 추출된 업링크 RF 신호의 파워를 조절하여 대응하는 기지국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n 기지국 인터페이스부(11_1 내지 11_n) 각각은 추출된 업링크 RF 신호의 파워를 증가시킬 수 있고, 파워 증가된 업링크 RF 신호를 대응하는 기지국으로 출력할 수 있다.
헤드엔드 결합/분배부(12)는 제1 내지 제n 기지국 인터페이스부(11_1 내지 11_n)로부터 출력되는 다운링크 RF 신호들을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결합된 다운링크 RF 신호들을 다운링크 전송 신호라 칭한다. 헤드엔드 결합/분배부(12)는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제1 내지 제m 헤드엔드 광 송수신부(13_1 내지 13_m)로 분배할 수 있다.
헤드엔드 결합/분배부(12)는 제1 내지 제m 헤드엔드 광 송수신부(13_1 내지 13_m)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업링크 전송 신호들을 결합할 수 있다. 헤드엔드 결합/분배부(12)는 결합된 복수의 업링크 전송 신호를 제1 내지 제n 기지국 인터페이스부(11_1 내지 11_n)로 분배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헤드엔드 결합/분배부(12)는 예를 들어 헤드엔드 제어부(14)로부터 전달되는 확장 제어 신호, 리모트 제어 신호, 상태 정보 요청 신호, 지연 측정 신호 등을 상기 다운링크 RF 신호들과 함께 결합하여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 제어 신호는 확장 장치(2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고, 상기 리모트 제어 신호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 4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 40s)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 요청 신호는 확장 장치(20), 메인 리모트 장치(30m, 4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 40s)에 대해 다운링크 파워, 업링크 파워, 이상 발생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지연 측정 신호는 헤드엔드 장치(10)와 확장 장치(20) 사이, 헤드엔드 장치(10)와 메인 리모트 장치(30m, 40m) 사이 또는 헤드엔드 장치(10) 와 서브 리모트 장치(30s, 40s) 사이의 지연을 측정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또는, 헤드엔드 결합/분배부(12)는 상기 업링크 전송 신호들로부터 확장 장치(20), 메인 리모트 장치(30m, 4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 40s)로부터 전송되는 상태 정보 신호, 지연 응답 신호 등을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상태 정보 신호, 지연 응답 신호 등은 헤드엔드 제어부(14)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 정보 신호 및 상기 지연 응답 신호는 확장 장치(20), 메인 리모트 장치(30m, 4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 40s)가 각각 상태 정보 요청 신호 및 지연 측정 신호에 응답하여 전송하는 신호일 수 있다.
헤드엔드 결합/분배부(12)는, 예를 들어 모뎀 등의 신호 변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변환 장치를 통해 상술한 소정의 제어 신호 등이 상기 다운링크 RF 신호들과 함께 결합되어 확장 장치(20), 메인 리모트 장치(30m, 4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 40s)로 전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고, 확장 장치(20), 메인 리모트 장치(30m, 4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 40s)로부터의 상태 정보 신호 등이 헤드엔드 제어부(14)에 의해 이용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m 헤드엔드 광 송수신부(13_1 내지 13_m) 각각은 입력된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전광 변환하여 다운링크 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m 헤드엔드 광 송수신부(13_1 내지 13_m) 각각은 생성된 다운링크 광 신호를 대응하는 광 전송 매체를 통해 확장 장치(20) 또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m 헤드엔드 광 송수신부(13_1 내지 13_m) 각각은 대응하는 광 전송 매체를 통해 확장 장치(20) 또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로부터 업링크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m 헤드엔드 광 송수신부(13_1 내지 13_m) 각각은 입력된 업링크 광 신호를 광전 변환하여 업링크 전송 신호로 복원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m 헤드엔드 광 송수신부(13_1 내지 13_m) 각각은 복원된 업링크 전송 신호를 헤드엔드 결합/분배부(12)로 출력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제1 내지 제m 헤드엔드 광 송수신부(13_1 내지 13_m)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헤드엔드 제어부(14)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확장 제어 신호, 상기 리모트 제어 신호, 상기 상태 정보 요청 신호, 상기 지연 측정 신호 등을 상기 입력된 다운링크 전송 신호와 함께 전광 변환하여 상기 다운링크 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1 내지 제m 헤드엔드 광 송수신부(13_1 내지 13_m)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입력된 업링크 광 신호를 광전 변환한 후 확장 장치(20), 메인 리모트 장치(30m, 4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 40s)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상태 정보 신호, 상기 지연 응답 신호 등을 상기 업링크 전송 신호와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상기 상태 정보 신호, 상기 지연 응답 신호 등은 헤드엔드 제어부(14)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m 헤드엔드 광 송수신부(13_1 내지 13_m)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모뎀 등의 신호 변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변환 장치를 이용하여 상술한 소정의 제어 신호 등이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와 함께 전광 변환되어 확장 장치(20), 메인 리모트 장치(30m, 4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 40s)로 전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고, 확장 장치(20), 메인 리모트 장치(30m, 4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 40s)로부터 전송되는 상태 정보 신호 등이 헤드엔드 제어부(14)에 의해 이용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헤드엔드 제어부(14)는 제1 내지 제n 기지국 인터페이스부(11_1 내지 11_n) 및 제1 내지 제m 헤드엔드 광 송수신부(13_1 내지 13_m)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 및/또는 모니터링할 수 있다.
헤드엔드 제어부(14)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적으로 연결된 NMS, 관리자의 단말 등으로부터 헤드엔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헤드엔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n 기지국 인터페이스부(11_1 내지 11_n) 및 제1 내지 제m 헤드엔드 광 송수신부(13_1 내지 13_m)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 및/또는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엔드 제어부(14)와 외부 장치 사이의 링크는, 예를 들어 이더넷 링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형태의 링크도 이용될 수 있다.
헤드엔드 제어부(14)는, 제1 내지 제n 기지국 인터페이스부(11_1 내지 11_n) 및 제1 내지 제m 헤드엔드 광 송수신부(13_1 내지 13_m)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태 정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상태 정보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헤드엔드 제어부(14)는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또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소정의 신호들, 예를 들어 상술한 확장 제어 신호, 리모트 제어 신호, 상태 정보 요청 신호, 지연 측정 신호 등을 헤드엔드 결합/분배부(12) 또는 제1 내지 제m 헤드엔드 광 송수신부(13_1 내지 13_m)로 전달하여 상기 소정의 신호들이 확장 장치(20), 메인 리모트 장치(30m, 4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 40s)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헤드엔드 제어부(14)는, 헤드엔드 결합/분배부(12) 또는 제1 내지 제m 헤드엔드 광 송수신부(13_1 내지 13_m)로부터 확장 장치(20), 메인 리모트 장치(30m, 4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 40s)의 상태 정보 신호, 지연 응답 신호 등을 전달받을 수 있다. 헤드엔드 제어부(14)는 전달된 신호들을 기초로 대응하는 장치의 상태 분석, 지연 측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헤드엔드 제어부(14)는 확장 장치(20), 메인 리모트 장치(30m, 4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 40s)로부터 전달된 상태 정보 신호 등을 상술한 이더넷 링크 등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헤드엔드 제어부(14)는 예를 들어 모뎀 등의 신호 변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변환 장치를 통해 상술한 제어 신호 등을 대응하는 구성이 이용할 수 있도록 또는 자신이 이용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헤드엔드 제어부(14)는 제1 내지 제n 기지국 인터페이스부(11_1 내지 11_n), 헤드엔드 결합/분배부(12) 및 제1 내지 제m 헤드엔드 광 송수신부(13_1 내지 13_m)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입력 및/또는 출력 신호들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엔드 제어부(14)는 스펙트럼 분석을 위한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단, 스펙트럼 분석을 위한 구성은 헤드엔드 제어부(14)와 별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헤드엔드 제어부(14)는 제1 내지 제n 기지국 인터페이스부(11_1 내지 11_n)로 입력되는 다운링크 RF 신호들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기초로 다운링크 RF 신호들의 파워를 조절함으로써, 헤드엔드 장치(10)와 메인 리모트 장치(30m) 사이의 한정된 전송 리소스를 다운링크 RF 신호들 각각에 대해 공평하게 배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확장 장치(20)는 제1 확장 광 송수신부(21), 확장 처리부(22), 제2 확장 광 송수신부(23) 및 확장 제어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확장 광 송수신부(21)는 헤드엔드 장치(10)로부터 다운링크 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확장 광 송수신부(21)는 입력된 다운링크 광 신호를 전광 변환하여 헤드엔드 장치(10)에 의해 생성된 다운링크 전송 신호로 복원할 수 있고, 복원된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확장 처리부(22)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확장 광 송수신부(21)는 확장 장치(20)와 연결된 메인 리모트 장치(40m)에 의해 생성되되 확장 처리부(22)에 의해 소정의 신호 처리된 업링크 전송 신호를 전광 변환하여 업링크 광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업링크 광 신호를 헤드엔드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제1 확장 광 송수신부(21)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로부터 확장 제어 신호, 상태 정보 요청 신호, 지연 측정 신호 등을 분리하여 확장 제어부(24)로 전달하거나, 확장 제어부(24)로부터 전달되는 확장 장치(20)의 상태 정보 신호, 지연 응답 신호 등을 상기 업링크 전송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제1 확장 광 송수신부(21)는 예를 들어, 모뎀 등의 신호 변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신호 변환 장치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 등을 처리할 수 있다.
확장 처리부(22)는 입력된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증폭 등의 신호 처리하여 제2 확장 광 송수신부(23)로 출력할 수 있고, 입력된 업링크 전송 신호를 증폭 등의 신호 처리하여 제1 확장 광 송수신부(21)로 출력할 수 있다. 이는, 헤드엔드 장치(10)와 메인 리모트 장치(40m)가 확장 장치(20)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 헤드엔드 장치(10)와 메인 리모트 장치(30m)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 비해 신호의 전송 경로가 길어지므로, 확장 처리부(22)가 서비스 품질 등의 확보를 위해 다운링크 전송 신호 및 업링크 전송 신호를 소정 레벨로 재증폭하는 것이다.
구현예에 따라서, 확장 처리부(22)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로부터 상기 확장 제어 신호, 상기 상태 정보 요청 신호, 상기 지연 측정 신호 등을 분리하여 확장 제어부(24)로 전달하거나, 확장 제어부(24)로부터 전달되는 메인 리모트 장치(4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40s)에 대한 지연 측정 신호 등을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는, 확장 처리부(22)는, 메인 리모트 장치(4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40s)로부터 전송된 지연 응답 신호 등을 상기 업링크 전송 신호로부터 분리하여 확장 제어부(24)로 전달하거나, 확장 제어부(24)로부터 전달되는 확장 장치(20)의 상태 정보 신호, 지연 응답 신호 등을 상기 업링크 전송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확장 처리부(22)는 예를 들어, 모뎀 등의 신호 변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신호 변환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2 확장 광 송수신부(23)는 확장 처리부(22)에 의해 신호 처리된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전광 변환하여 다시 다운링크 광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다운링크 광 신호를 메인 리모트 장치(40m)로 분배할 수 있다.
제2 확장 광 송수신부(23)는 메인 리모트 장치(40m)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 광 신호들을 결합한 후 광전 변환하여 업링크 전송 신호로 복원할 수 있고, 복원된 업링크 전송 신호를 확장 처리부(22)로 출력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제2 확장 광 송수신부(23)는 확장 제어부(24)로부터 전달되는 메인 리모트 장치(4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40s)에 대한 지연 측정 신호 등을 확장 처리부(22)에 의해 신호 처리된 다운링크 전송 신호와 함께 전광 변환하여 상기 다운링크 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2 확장 광 송수신부(23)는 입력된 업링크 광 신호를 광전 변환한 후 업링크 전송 신호와 메인 리모트 장치(4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40s)로부터의 지연 응답 신호 등으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업링크 전송 신호는 확장 처리부(22)로 출력하고 분리된 지연 응답 신호 등은 확장 제어부(24)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확장 광 송수신부(23)는 예를 들어, 모뎀 등의 신호 변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신호 변환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지연 측정 신호 등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확장 장치(20)가 하나의 제2 확장 광 송수신부(23)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현예에 따라서 확장 장치(20)는 적어도 둘 이상의 확장 광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확장 처리부(22)는 증폭 처리된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복수의 제2 확장 광 송수신부(23)로 분배하거나, 복수의 제2 확장 광 송수신부(23)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 전송 신호들을 결합한 후 증폭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확장 제어부(24)는, 제1 확장 광 송수신부(21) 또는 확장 처리부(22)를통해 헤드엔드 장치(10)로부터 전송된 확장 제어 신호, 상태 정보 요청 신호, 지연 측정 신호 등을 식별할 수 있고, 이에 응답하여 내부 구성들을 제어하거나 상태 정보 신호, 지연 응답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확장 제어부(24)는 생성된 확장 장치(20)의 상태 정보 신호, 지연 응답 신호 등을 제1 확장 광 송수신부(21) 또는 확장 처리부(22)로 전달하여 헤드엔드 장치(1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확장 제어부(24)는 메인 리모트 장치(4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40s)에 대한 지연 측정 신호를 확장 처리부(22) 또는 제2 확장 광 송수신부(23)로 전달하여 메인 리모트 장치(4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40s)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고, 확장 처리부(22) 또는 제2 확장 광 송수신부(23)를 통해 전송되는 메인 리모트 장치(4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40s)의 지연 응답 신호를 기초로 확장 장치(20)와 메인 리모트 장치(40m) 사이 또는 확장 장치(20)와 서브 리모트 장치(40s) 사이의 지연을 측정할 수도 있다.
확장 제어부(24)는 예를 들어, 모뎀 등의 신호 변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신호 변환 장치를 통해 상기 제어 신호 등이 대응하는 구성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또는 자신이 이용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확장 제어부(24)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NMS, 관리자의 단말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확장 제어 신호 등을 수신하여 제1 및 제2 확장 광 송수신부(21, 23), 및 확장 처리부(22)를 제어할 수 있다. 확장 제어부(24)는 제1 및 제2 확장 광 송수신부(21, 23) 및 확장 처리부(22)의 상태 정보 신호 등을 상기 외부 장치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리모트 장치 및 서브 리모트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리모트 장치의 일부 구성을 더 상세하게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메인 리모트 장치 및 서브 리모트 장치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메인 리모트 장치(30m) 및 서브 리모트 장치(30s)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도 1에 도시된 메인 리모트 장치(40m) 및 서브 리모트 장치(40s)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메인 리모트 장치 및 서브 리모트 장치에 상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 및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되 도 1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리모트 장치(30m)는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 메인측(main-side) 인터페이스부(32m),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 제1 내지 제n DL(DownLink)/UL(UpLink) 메인측 분기부(34m_1 내지 34m_n), 메인측 리모트 결합/분배부(35m),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 메인측 리모트 전원부(37m) 및 메인측 안테나(38m)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5를 더 참조하여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를 설명하면,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는 광 신호 분배/결합부(311), 변환부(312), 분배부(313) 및 결합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광 신호 분배/결합부(311), 변환부(312), 분배부(313) 및 결합부(314) 중 적어도 하나는 모듈러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 자체 또한 모듈러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광 신호 분배/결합부(311)는 헤드엔드 장치(10)로부터 다운링크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다운링크 광 신호를 변환부(312)로 전달할 수 있다. 광 신호 분배/결합부(311)는 변환부(312)로부터 전달되는 업링크 광 신호를 입력받아 헤드엔드 장치(10)로 송신할 수 있다. 광 신호 분배/결합부(311)는 예를 들어, WDM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변환부(312)는 상기 다운링크 광 신호를 다운링크 전송 신호로 광전 변환할 수 있고,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분배부(313)로 전달할 수 있다. 변환부(313)는 결합부(314)로부터 전달되는 업링크 전송 신호를 상기 업링크 광 신호로 전광 변환할 수 있고, 상기 업링크 전송 신호를 광 신호 분배/결합부(311)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업링크 전송 신호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의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로부터 전달되는 메인 업링크 전송 신호 및 서브 리모트 장치(30s)의 서브측 인터페이스부(32s)로부터 전달되는 서브 업링크 전송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부(313)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메인 리모트 장치(30m)의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 및 서브 리모트 장치(30s)의 서브측 인터페이스부(32s)로 분배할 수 있다. 분배부(313)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와 서브 리모트 장치(30s)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메인 리모트 장치(30m)의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로만 전달할 수 있다.
결합부(314)는 상기 메인 업링크 전송 신호 및 상기 서브 업링크 전송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업링크 전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상기 업링크 전송 신호를 변환부(312)로 전달할 수 있다. 결합부(314)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와 서브 리모트 장치(30s)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메인 업링크 전송 신호를 기초로 상기 업링크 전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상기 업링크 전송 신호를 변환부(312)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변환부(312)의 후단 및 분배부(313)와 결합부(314)의 전단 사이에는 리모트 제어 신호 등을 추출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로부터 메인 리모트 장치(3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에 대한 리모트 제어 신호, 상태 정보 요청 신호 등을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신호들을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처리부는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로부터 전달되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의 상태 정보 신호 등을 상기 업링크 전송 신호와 함께 변환부(312)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예를 들어, 모뎀 등과 같은 신호 변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는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로부터 전달된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미리 설정된 다운링크 경로를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다운링크 경로는,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와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의 연결 상태를 전제로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가 최전단의 대역 처리부로 전달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운링크 경로는,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와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가 모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가 최전단의 대역 처리부인 제1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로 전달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다운링크 경로는,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와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의 연결 상태 변경에 따라 재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운링크 경로는,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와 제1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의 연결이 해제되고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와 제2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2) 및 제3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3)의 연결이 유지되면,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가 현재 상태에서 최전단의 대역 처리부인 제2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2)로 전달되도록 재설정될 수 있다.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는 입력된 업링크 전송 신호를 미리 설정된 업링크 경로를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업링크 경로는, 상술한 다운링크 경로에 대응하여 설정 및 재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업링크 경로는,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와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가 모두 연결되는 경우,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가 최전단의 대역 처리부인 제1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로부터 업링크 전송 신호를 입력받아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로 전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링크 경로는,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와 제1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의 연결이 해제되고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와 제2 대역 처리부(33m_2) 및 제3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3)의 연결이 유지되면,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가 현재 상태에서 최전단의 대역 처리부인 제2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2)로부터 업링크 전송 신호를 입력받아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로 전달하도록 재설정될 수 있다.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는,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 및 메인측 리모트 전원부(37m)와 통신적으로 연결되며 이들 상호간에 신호 등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 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는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로부터 출력되는 다운링크 전송 신호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전달되고,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업링크 RF 신호가 누적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호간에 캐스케이드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3)가 캐스케이드 구조로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운링크에서는 제1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가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로부터 입력되는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제2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2)로 전달하고, 제2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2)_가 제1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로부터 전달되는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제3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3)로 다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업링크에서는 제3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3)가 자신의 업링크 RF 신호를 제2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2)로 전달하고, 제2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2)가 제3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3)의 업링크 RF 신호와 자신의 업링크 RF 신호를 결합하여 제1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로 전달하고, 제1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가 결합된 제2 및 제3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2, 33m_3)의 업링크 RF 신호를 자신의 업링크 RF 신호와 결합하여 메인 업링크 전송 신호로서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로 출력하게 된다.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 각각은 입력된 다운링크 전송 신호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복수의 다운링크 RF 신호 중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RF 신호에 대해 증폭 등의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 각각은 신호 처리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제1 내지 제n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 내지 34m_n) 중 대응하는 메인측 DL/UL 분기부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 각각은 제1 내지 제n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 내지 34m_n) 중 대응하는 메인측 DL/UL 분기부로부터 전달되는 업링크 RF 신호에 대해 증폭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 각각은 후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 처리된 업링크 RF 신호를 자신이 처리한 업링크 RF 신호와 결합하여 전단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최후단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는 자신이 처리한 업링크 RF 신호만을 전단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고, 최전단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는 후단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결합된 업링크 RF 신호를 자신이 처리한 업링크 RF 신호와 결합하여 메인 업링크 전송 신호로서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 각각은 모듈러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 각각의 내부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 또한 모듈러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의 세부 구성은 이하에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내지 제n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 내지 34m_n) 각각은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 중 대응하는 메인측 대역 처리부와 연결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제1 내지 제n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 내지 34m_n) 각각은 모듈러 구조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 때 제1 내지 제n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 내지 34m_n) 각각은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 중 대응하는 메인측 대역 처리부와 통합 모듈로 구현되거나 상호 별개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 내지 34m_n) 각각은 연결된 메인측 대역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다운링크 RF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내지 제n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 내지 34m_n) 각각은 입력된 다운링크 RF 신호의 잡음 등을 제거하여 메인측 리모트 결합/분배부(35m)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 내지 34m_n) 각각은 메인측 리모트 결합/분배부(35m)로부터 전달된 업링크 RF 신호에서 연결된 메인측 대역 처리부에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의 업링크 RF 신호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업링크 RF 신호를 연결된 메인측 대역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 내지 34m_n) 각각은, 예를 들어 듀플렉서(duplexer)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측 리모트 결합/분배부(35m)는 제1 내지 제n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 내지 34m_n)로부터 출력되는 다운링크 RF 신호를 메인측 안테나(38m)로 전달하여 다운링크 RF 신호가 사용자 단말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한다. 메인측 리모트 결합/분배부(35m)는 메인측 안테나(38m)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단말의 업링크 신호를 제1 내지 제n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 내지 34m_n)로 분배할 수 있다.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는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 및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는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내지 제n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제1 내지 제n 제어 신호를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는 입력된 제1 내지 제n 제어 신호를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 중 대응하는 메인측 대역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는, 헤드엔드 장치(10)로부터 전달되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에 대한 리모트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내지 제n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 및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는 상기 메인 리모트 장치(30m)에 대한 리모트 제어 신호를 직접 이용하여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 및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는,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NMS, 관리자의 단말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에 대한 리모트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내지 제n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 및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에 대한 리모트 제어 신호를 직접 이용하여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 및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를 제어할 수도 있다.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는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로부터 또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에 대한 리모트 제어 신호를 서브측 리모트 제어부(36s)로 전달할 수 있다.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정보 신호 등을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로 전달할 수 있다.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는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 및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는 후술되는 스펙트럼 모니터링 파트(3336)를 통해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 내부에서 신호들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할 수도 있다.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는, 예를 들어 모뎀 등의 신호 변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변환 장치를 통해 헤드엔드 장치(10)로부터 전달된 상태 정보 요청 신호, 지연 측정 신호 등을 자신이 이용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는 처리된 상태 정보 요청 신호, 지연 측정 신호 등에 응답하여 상태 정보 신호, 지연 응답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는 상기 생성된 상태 정보 신호, 지연 응답 신호 등과 서브측 리모트 제어부(36s)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정보 신호등을 상기 신호 변환 장치를 이용하여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에 의해 헤드엔드 장치(10)로 전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는 상기 생성된 상태 정보 신호, 지연 응답 신호 등과 서브측 리모트 제어부(36s)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정보 신호 등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는 모듈러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의 내부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 또한 모듈러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더 참조하여 메인측 리모트 전원부(37m)를 설명하면, 메인측 리모트 전원부(37m)는 전원 분배부(371) 및 구동 전원 생성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전원 분배부(371) 및 구동 전원 생성부(372) 중 적어도 하나는 모듈러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메인측 리모트 전원부(37m) 또한 모듈러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분배부(371)는 외부 전원 장치(도시 생략) 또는 내부 공급부(도시 생략)로부터 제공되는 전원(power)을 구동 전원 생성부(372) 및 서브 리모트 장치(30s)의 서브측 리모트 전원부(37s)로 분배할 수 있다.
구동 전원 생성부(372)는 상기 전원을 기초로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구동 전원을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는 입력된 구동 전원을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로 각기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서브 리모트 장치(30s)는 서브측(sub-side) 인터페이스부(32s), 제1 내지 제n 서브측 대역 처리부(33s_1 내지 33s_n), 제1 내지 제n 서브측 DL/UL 분기부(34s_1 내지 34s_n), 서브측 리모트 결합/분배부(35s), 서브측 리모트 제어부(36s), 서브측 리모트 전원부(37s) 및 서브측 안테나(38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에서 대역 처리부 및 DL/UL 분기부가 메인 리모트 장치(30m)의 대역 처리부 및 DL/UL 분기부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서브 리모트 장치(30s)의 대역 처리부 및 DL/UL 분기부의 개수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의 대역 처리부 및 DL/UL 분기부와 상이할 수 있다. 서브 리모트 장치(30s)의 각 구성들은 메인 리모트 장치(30m)의 각 구성들과 상응할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의 각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메인 리모트 장치(30m)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서브측 인터페이스부(32s)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의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로부터 분배된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미리 설정된 다운링크 경로를 따라 출력하여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제1 내지 제n 서브측 대역 처리부(33s_1 내지 33s_n) 중 최전단의 대역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서브측 인터페이스부(32s)는 입력된 서브 업링크 전송 신호를 미리 설정된 업링크 경로를 따라 메인 리모트 장치(30s)의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서브측 대역 처리부(33s_1 내지 33s_n)는 서브측 인터페이스부(32s)로부터 출력되는 다운링크 전송 신호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전달되고,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업링크 RF 신호가 누적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호간에 캐스케이드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서브측 대역 처리부(33s_1 내지 33s_n) 각각은 입력된 다운링크 전송 신호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복수의 다운링크 RF 신호 중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RF 신호에 대해 증폭 등의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서브측 대역 처리부(33s_1 내지 33s_n) 각각은 신호 처리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제1 내지 제n 서브측 DL/UL 분기부(34s_1 내지 34s_n) 중 대응하는 서브측 DL/UL 분기부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서브측 대역 처리부(33s_1 내지 33s_n) 각각은 제1 내지 제n 서브측 DL/UL 분기부(34s_1 내지 34s_n) 중 대응하는 서브측 DL/UL 분기부로부터 전달되는 업링크 RF 신호에 대해 증폭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서브측 대역 처리부(33s_1 내지 33s_n) 각각은 후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 처리된 업링크 RF 신호를 자신이 처리한 업링크 RF 신호와 결합하여 전단의 서브측 대역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최전단의 서브측 대역 처리부는 결합된 업링크 RF 신호들을 상기 서브 업링크 전송 신호로서 서브측 인터페이스부(32s)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서브측 대역 처리부(33s_1 내지 33s_n) 각각은 모듈러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n 서브측 대역 처리부(33s_1 내지 33s_n) 각각의 내부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 또한 모듈러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서브측 DL/UL 분기부(34s_1 내지 34s_n) 각각은 제1 내지 제n 서브측 대역 처리부(33s_1 내지 33s_n) 중 대응하는 대역 처리부와 연결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제1 내지 제n 서브측 DL/UL 분기부(34s_1 내지 34s_n) 각각은 모듈러 구조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 때 제1 내지 제n 서브측 DL/UL 분기부(34s_1 내지 34s_n) 각각은 제1 내지 제n 서브측 대역 처리부(33s_1 내지 33s_n) 중 대응하는 서브측 대역 처리부와 통합 모듈로 구현되거나 상호 별개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서브측 DL/UL 분기부(34s_1 내지 34s_n) 각각은 연결된 서브측 대역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다운링크 RF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서브측 DL/UL 분기부(34s_1 내지 34s_n) 각각은 입력된 다운링크 RF 신호의 잡음 등을 제거하여 서브측 리모트 결합/분배부(35s)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서브측 DL/UL 분기부(34s_1 내지 34s_n) 각각은 서브측 리모트 결합/분배부(35s)로부터 전달된 업링크 RF 신호에서 연결된 대역 처리부에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의 업링크 RF 신호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업링크 RF 신호를 연결된 서브측 대역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서브측 리모트 결합/분배부(35s)는 제1 내지 제n 서브측 DL/UL 분기부(34s_1 내지 34s_n)로부터 출력되는 다운링크 RF 신호를 서브측 안테나(38s)로 전달하여 사용자 단말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한다. 서브측 리모트 결합/분배부(35s)는 서브측 안테나(38s)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단말의 업링크 신호를 제1 내지 제n 서브측 DL/UL 분기부(34s_1 내지 34s_n)로 분배할 수 있다.
서브측 리모트 제어부(36s)는 제1 내지 제n 서브측 대역 처리부(33s_1 내지 33s_n)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측 리모트 제어부(36s)는 제1 내지 제n 서브측 대역 처리부(33s_1 내지 33s_n)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내지 제n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제1 내지 제n 제어 신호를 서브측 인터페이스부(32s)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서브측 인터페이스부(32s)는 입력된 제1 내지 제n 제어 신호를 제1 내지 제n 서브측 대역 처리부(33s_1 내지 33s_n) 중 대응하는 서브측 대역 처리부로 각기 전달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서브측 리모트 제어부(36s)는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로부터 전달되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에 대한 리모트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내지 제n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1 내지 제n 서브측 대역 처리부(33s_1 내지 33s_n)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서브측 리모트 제어부(36s)는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로부터 전달되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에 대한 리모트 제어 신호를 직접 이용하여 제1 내지 제n 서브측 대역 처리부(33s_1 내지 33s_n)를 제어할 수 있다.
서브측 리모트 제어부(36s)는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로부터 전달된 서브 리모트 장치(30s)에 대한 상태 정보 요청 신호, 지연 측정 신호 등에 응답하여 상태 정보 신호, 지연 응답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서브측 리모트 제어부(36s)는 상기 생성된 상태 정보 신호, 지연 응답 신호 등을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로 전달할 수 있다.
서브측 리모트 제어부(36s)는 모듈러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서브측 리모트 제어부(36s)의 내부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 또한 모듈러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서브측 리모트 전원부(37s)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의 메인측 리모트 전원부(37m), 상세하게는 전원 분배부(371, 도 5 참조)로부터 분배된 전원을 기초로 제1 내지 제n 서브측 대역 처리부(33s_1 내지 33s_n)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구동 전원을 서브측 인터페이스부(32s)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서브측 인터페이스부(32s)는 입력된 구동 전원을 제1 내지 제n 서브측 대역 처리부(33s_1 내지 33s_n)로 각기 전달할 수 있다.
서브측 리모트 전원부(37s)는 모듈러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서브측 리모트 전원부(37s)의 내부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 또한 모듈러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에서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 및 서브 리모트 장치(30s) 각각이 복수의 대역 처리부들의 연결상태가 변화되는 경우에도 인터페이스부가 자동으로 신호의 전송 경로를 변경하고 복수의 대역 처리부들 상호 간에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전달하는 캐스케이드 구조로 연결되며 복수의 대역 처리부 및 복수의 DL/UL 분기부가 모듈러 구조로 구현됨에 따라, 서비스 주파수 대역 변경 등과 같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의 운영 환경 변화 또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서비스 이상 발생 등에 대해서 관리자가 요구되는 대역 처리부와 DL/UL 분기부만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손쉽게 대응할 수 있어 관리자의 운영 편의성,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유연성 및 확장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에서는 넓은 커버리지의 확보, 커버리지의 확장 요구 등에 대해 헤드엔드 장치(10)에 기설치된 메인 리모트 장치(30m) 외에 추가적인 메인 리모트 장치를 연결하거나 헤드엔드 장치(10)와 메인 리모트 장치(30m)의 이격 거리를 증가시키지 않고 메인 리모트 장치(30m)에 서브 리모트 장치(30s)를 연결시켜 대응할 수 있다. 추가적인 메인 리모트 장치를 헤드엔드 장치(10)에 연결시키거나 헤드엔드 장치(10)와 메인 리모트 장치(30m)의 이격 거리를 증가시키는 경우 장비, 광 선로 등의 추가로 인해 비용이 소요되고 운영 환경 등의 재설정이 요구되는 반면, 서브 리모트 장치(30s)를 메인 리모트 장치(30m)에 연결시킴으로써 비용 소모와 설정 변경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리모트 장치 및 서브 리모트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메인 리모트 장치 및 서브 리모트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메인 리모트 장치 및 서브 리모트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메인 리모트 장치(40m) 및 서브 리모트 장치(40s)도 도 6에 도시된 메인 리모트 장치 및 서브 리모트 장치에 상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을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되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4에서와 달리 메인 리모트 장치(30m)와 서브 리모트 장치(30s)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와 직접적으로(directly) 접속되지 않고, 결합/분배 장치(50)를 통해 결합/분배 장치(50)에 연결된 안테나(51)와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분배 장치(50)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 및 서브 리모트 장치(30s)와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메인 리모트 장치(30m) 및 서브 리모트 장치(30s)와 소정의 전송 매체, 예를 들어 RF 케이블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분배 장치(50)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 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 중 어느 하나와 통합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결합/분배 장치(50)가 하나의 안테나(51)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분배 장치(50)는 복수의 안테나와 연결될 수도 있다.
결합/분배 장치(50)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의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로부터 출력되는 증폭된 다운링크 RF 신호들 및 서브 리모트 장치(30s)의 제1 내지 제 서브측 대역 처리부(33s_1 내지 33s_n)로부터 출력되는 증폭된 다운링크 RF 신호들을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분배 장치(50)는 상기 결합된 다운링크 RF 신호들을 안테나(51)로 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결합된 다운링크 RF 신호들이 안테나(51)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송신될 수 있다.
결합/분배 장치(50)는 안테나(51)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단말의 업링크 신호를 메인측 리모트 결합/분배부(35m)와 서브측 리모트 결합/분배부(35s)로 분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리모트 장치(30m)와 서브 리모트 장치(30s)는 운영 환경에 따라 결합/분배 장치(50)를 통해 공통의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메인 리모트 장치(30m) 및/또는 서브 리모트 장치(30s)는 후술되는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DL/UL 분기부 및 리모트 결합/분배부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된 상태에서 결합/분배 장치(50)와 연결되어 공통의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대역 처리부들의 일부 구성을 더 상세하게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10에서는, 메인 리모트 장치(30m)의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서브 리모트 장치(30s)의 제1 내지 제n 서브측 대역 처리부(33s_1 내지 33s_n)도 도 7 내지 도 10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메인 리모트 장치(30m)의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와 상응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10에서는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가 서로 상응하는 구성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서로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가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경우를 예로 들되 제1 대역 처리부(33m_1)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도 7 내지 도 10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되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1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1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는 RF 처리부(331m_1) 및 디지털 처리부(333m_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F 처리부(331m_1) 및/또는 디지털 처리부(333m_1)는 모듈러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RF 처리부(331m_1)는 분배 파트(3311), 추출/변환 파트(3312), DL 증폭 파트(3313), UL 증폭 파트(3314) 및 결합 파트(3315)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파트(3311)는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로부터 출력된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추출/변환 파트(3312) 및 후단의 대역 처리부, 더 상세하게는, 제2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2)의 분배 파트로 분배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제1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와 제2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2)의 연결이 해제되고, 제1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와 제3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2)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분배 파트(3311)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추출/변환 파트(3312) 및 제3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3)의 분배 파트로 전달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분배 파트(3311)는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증폭기를 이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분배에 따른 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상기 증폭기는 분배 파트(3311)와 별개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최후단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즉,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n))에서 분배 파트는 전단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즉, 제n-1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n-1))로부터 전달되는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다른 메인측 대역 처리부로 분배하지 않고 대응하는 추출/변환 파트로만 전달할 수 있다.
추출/변환 파트(3312)는 전달된 다운링크 전송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추출/변환 파트(3312)는 추출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 변환하여 디지털 처리부(333m_1)로 출력할 수 있다.
DL 증폭 파트(3313)는 디지털 처리부(333m_1)에 의해 소정의 디지털 처리, 예를 들어 CFR 파트(이하 CFR, 3332)에 의해 파고율 감소 처리되고 PD 파트(이하 PD, 3333)에 의해 전치 왜곡 처리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DL 증폭 파트(3313)는, 예를 들어 고출력 증폭기를 구비할 수 있다. DL 증폭 파트(3313)는 증폭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제1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로 출력할 수 있다.
UL 증폭 파트(3314)는 제1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로부터 전달되는 업링크 RF 신호를 증폭하여 결합 파트(3315)로 출력할 수 있다. UL 증폭 파트(3314)는, 예를 들어 저잡음 증폭기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 파트(3315)는 UL 증폭 파트(3314)에 의해 증폭된 업링크 RF 신호와 후단의 대역 처리부(즉, 제2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2))에서 증폭처리 된 후 전달되는 업링크 RF 신호를 결합하여 업링크 전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결합 파트(3315)는 생성된 업링크 전송 신호를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가 최전단에 배치되므로, 결합 파트(3315)에 의해 생성된 업링크 전송 신호에는 제2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2 내지 33m_n) 중 제1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의 후단에 연결된 대역 처리부들에 의해 처리된 모든 주파수 대역의 업링크 RF 신호들이 포함될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결합 파트(3315)는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증폭기를 이용하여 UL 증폭 파트(3314)로부터 출력되는 업링크 RF 신호와 제2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2)의 결합 파트로부터 전달되는 업링크 RF 신호의 결합에 따른 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결합 파트(3315)는 감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감쇠기를 이용하여 제2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2)의 결합 파트로부터 전달되는 업링크 RF 신호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상기 증폭기 및/또는 상기 감쇠기는 결합 파트(3315)와 별개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최후단의 대역 처리부(즉,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n))의 결합 파트는 후단에 대역 처리부가 연결되지 않으므로, 자신이 증폭 등의 처리를 수행한 업링크 RF 신호만을 전단에 연결된 대역 처리부의 결합 파트로 전달할 수 있다.
디지털 처리부(333m_1)는 디지털 변환 및 아날로그 변환 파트(이하 ADC/DAC, 3331), CFR(3332) 및 PD(3333), PIMD 측정 파트(이하 PIMD, 3334), VSWR 측정 파트(이하 VSWR, 3335) 및 스펙트럼 모니터링 파트(이하 SM, 3336)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CFR(3332) 및 PD(3333)는 통합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지털 처리부(333m_1)에서 분리될 수 있다.
ADC/DAC(3331)는 RF 처리부(331m_1)의 추출/변환 파트(3312)로부터 전달되는 IF 변환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디지털화할 수 있다. ADC/DAC(3331)는 파고율 감소 처리 및 전치 왜곡 처리가 수행된 디지털화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다시 아날로그화하여 RF 처리부(331m_1)의 DL 증폭 파트(3313)로 출력할 수 있다. ADC/DAC(3331)는 PIMD(3334), VSWR(3335) 및 SM(3336)과 RF 처리부(331m_1) 사이에서 신호의 전송시 신호 변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ADC/DAC(3331)가 하나의 모듈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디지털 변환을 위한 ADC와 아날로그 변환을 위한 DAC가 별개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FR(3332)은 디지털화된 다운링크 RF 신호에 대해 파고율 감소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파고율 감소 처리는, 예를 들어 PC-CFR(peak cancellation crest factor reduction)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PD(3333)는 파고율 감소 처리된 다운링크 RF 신호에 대해 DL 증폭 파트(3313)의 선형성을 보상하기 위한 전치 왜곡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PIMD(3334)는 소정의 테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테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RF 처리부(331m_1)에 의한 수동 상호 변조 왜곡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IMD(3334)는, RF 처리부(331m_1)의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한 테스트 신호를 RF 처리부(331m_1)로 전달하고, RF 처리부(331m_1)가 상기 테스트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하는 IM(intermodulation) 신호를 기초로 수동 상호 변조 왜곡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VSWR(3335)은 RF 처리부(331m_1)의 내부 신호 경로 상에서 전압 정재파 비(voltage standing wave ratio)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SWR(3335)은 분배 파트(3311), 추출/변환 파트(3312) 및 DL 증폭 파트(3313)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단이나 출력단에서 전압 정재파 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VSWR(3335)은 UL 증폭 파트(3314) 및 결합 파트(3315)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단이나 출력단에서 전압 정재파 비를 측정할 수 있다.
SM(3336)은 RF 처리부(331m_1)의 내부 신호 경로 상에서 다양한 신호들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M(3336)은 분배 파트(3311), 추출/변환 파트(3312) 및 DL 증폭 파트(3313)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단이나 출력단에서 다운링크 RF 신호의 스펙트럼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SM(3336)은 UL 증폭 파트(3314) 및 결합 파트(3315)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단이나 출력단에서 업링크 RF 신호의 스펙트럼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제1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1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RF 처리부(331m_1) 및 디지털 처리부(333m_1)를 포함할 수 있으나,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디지털 처리부(333m_1)가 CFR(3332) 및 PD(3333)를 제외하고 ADC/DAC(3331), PIMD(3334), VSWR(3335) 및 SM(3336)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CFR(3332) 및 PD(3333)가 디지털 처리부(333m_1)에서 분리된 경우를 예시한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제1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에서 RF 처리부(331m_1)의 DL 증폭 파트(3313)는 추출/변환 파트(3312)에 의해 추출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직접 증폭하여 제1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로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제1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1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달리 RF 처리를 위한 구성들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된 제1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는 도 8 및 도 9에서와 달리 추출 파트(3316)가 분배 파트(3311)로부터 전달되는 다운링크 전송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으며, DL 증폭 파트(3313)가 추출 파트(3316)로부터 추출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증폭하여 제1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RF 처리부(331m_1) 및/또는 디지털 처리부(333m_1)가 모듈러 구조로 구현되고, 또한 디지털 처리부(333m_1) 내부의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모듈화됨으로써, 메인 리모트 장치(30m)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요구되는 운영 환경에 따라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메인 리모트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메인 리모트 장치(30m)에서 제1 내지 제n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 내지 34m_n), 메인측 리모트 결합/분배부(35m) 및 메인측 안테나(38m)의 변형 예들을 도시하고 있으나, 서브 리모트 장치(30s)의 제1 내지 제n 서브측 DL/UL 분기부(34s_1 내지 34s_n), 서브측 리모트 결합/분배부(35s) 및 서브측 안테나(38s)도 도 11 내지 도 13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변형 예와 상응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되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메인 리모트 장치(30m_a)는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 제1 내지 제n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 내지 34m_n), 메인측 리모트 결합/분배부(35m),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 메인측 리모트 전원부(37m), 제1 및 제2 안테나(38m_1, 38m_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메인 리모트 장치(30m)와 달리 메인 리모트 장치(30m_a)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리모트 결합 분배부(35m)는 제1 및 제2 안테나(38m_1, 38m_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n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 내지 34m_n)로부터 출력되는 다운링크 RF 신호를 결합할 수 있고, 결합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제1 및 제2 메인측 안테나(38m_1, 38m_2)로 분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리모트 결합 분배부(35m)는 제1 내지 제n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 내지 34m_n)로부터 출력되는 일부 다운링크 RF 신호를 결합하여 제1 메인측 안테나(38m_1)로 전달하고, 다른 일부 다운링크 RF 신호를 결합하여 제2 메인측 안테나(38m_2)로 전달할 수도 있다.
메인측 리모트 결합/분배부(35m)는 제1 및 제2 메인측 안테나(38m_1, 38m_2)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업링크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고, 상기 업링크 신호를 제1 내지 제n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 내지 34m_n)로 분배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메인 리모트 장치(30m_b)는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 제1 내지 제n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 내지 34m_n),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 메인측 리모트 전원부(37m) 및 제1 내지 제n 메인측 안테나(38m_1 내지 38m_n)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메인 리모트 장치(30m)와 달리 메인 리모트 장치(30m_b)에서는 리모트 결합/분배부가 생략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 내지 34m_n) 각각은 제1 내지 제n 메인측 안테나(38m_1 내지 38m_n) 중 대응하는 메인측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n 메인측 안테나(38m_1 내지 38m_n) 중 대응하는 메인측 안테나로 증폭 등의 신호 처리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메인측 DL/UL 분기부(34m_1 내지 34m_n) 각각은 제1 내지 제n 메인측 안테나(38m_1 내지 38m_n) 중 대응하는 메인측 안테나로부터 전달되는 업링크 신호에서 연결된 메인측 대역 처리부에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의 업링크 RF 신호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업링크 RF 신호를 상기 연결된 메인측 대역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메인 리모트 장치(30m_c)는 리모트 광 송수신부(31m), 메인측 인터페이스부(32m),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 메인측 리모트 결합/분배부(35m),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36m), 메인측 리모트 전원부(37m) 및 메인측 안테나(38m)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메인 리모트 장치(30m)와 달리 메인 리모트 장치(30m_c)에서는 제1 내지 제n 메인측 DL/UL 분기부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 하나의 메인측 안테나(38m)가 메인측 리모트 결합/분배부(35m)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0에 도시된 메인 리모트 장치(30m_a)에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안테나가 메인측 리모트 결합/분배부(35m)에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리모트 결합 분배부(35m)는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와 연결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로부터 출력되는 다운링크 RF 신호를 결합하여 메인측 안테나(38m)로 전달할 수 있다.
메인측 리모트 결합/분배부(35m)는 메인측 안테나(38m)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업링크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고, 상기 업링크 신호로부터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 각각에 요구되는 업링크 RF 신호를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업링크 RF 신호를 제1 내지 제n 메인측 대역 처리부(33m_1 내지 33m_n) 중 대응하는 대역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헤드엔드 장치
20: 확장 장치
30m, 30m_a, 30m_b, 30m_c, 40m: 메인 리모트 장치
30s, 40s: 서브 리모트 장치
50: 결합/분배 장치

Claims (22)

  1.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복수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결합하여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다운링크 광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헤드엔드 장치;
    상기 헤드엔드 장치로부터 상기 다운링크 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다운링크 광 신호를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는 메인 리모트 장치; 및
    상기 메인 리모트 장치로부터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분배받고, 상기 분배받은 다운링크 전송 신호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는 서브 리모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리모트 장치는,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전달하도록 서로 캐스케이드 구조로 연결되고, 각각이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다운링크 RF 신호 중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메인측(main-side) 대역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리모트 장치는,
    상기 다운링크 광 신호를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상기 서브 리모트 장치로 분배하도록 구성되는 리모트 광 송수신부;
    공급된 전원을 상기 서브 리모트 장치로 분배하고, 상기 전원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를 구동하기 위한 메인측 구동 전원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메인측 리모트 전원부; 및
    상기 리모트 광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상기 복수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 중 최전단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메인측 리모트 전원부로부터 상기 메인측 구동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메인측 구동 전원을 상기 복수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로 각기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메인측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광 송수신부는,
    상기 다운링크 광 신호를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상기 메인측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서브 리모트 장치로 분배하는 분배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측 리모트 전원부는,
    상기 전원을 기초로 상기 메인측 구동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메인측 구동 전원을 상기 메인측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구동 전원 생성부; 및
    상기 전원을 상기 구동 전원 생성부 및 상기 서브 리모트 장치로 분배하는 전원 분배부;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리모트 장치는,
    상기 복수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를 제어하는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측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메인측 리모트 제어부로부터 각각 상기 복수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 중 대응하는 메인측 대역 처리부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메인측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복수의 메인측 제어 신호를 대응하는 메인측 대역 처리부로 각기 전달하도록 더 구성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후단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로 분배하고,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다운링크 RF 신호 중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메인측 RF 처리부; 및
    상기 추출된 다운링크 RF 신호에 대해 파고율 감소 처리 및 전치 왜곡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메인측 디지털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측 RF 처리부는,
    상기 메인측 디지털 처리부에 의해 파고율 감소 처리 및 전치 왜곡 처리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측 디지털 처리부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 상기 추출된 다운링크 RF 신호 및 상기 증폭된 다운링크 RF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스펙트럼을 모니터링하는 메인측 스펙트럼 모니터링 파트와, 소정의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테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측 RF 처리부에 의한 수동 상호 변조 왜곡의 정도를 측정하는 메인측 PIMD 측정 파트와, 상기 메인측 RF 처리부의 신호 경로 상에서 전압 정재파 비를 측정하는 메인측 VSWR 측정 파트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후단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로 분배하고,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다운링크 RF 신호 중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메인측 RF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 상기 추출된 다운링크 RF 신호 및 상기 증폭된 다운링크 RF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스펙트럼을 모니터링하는 메인측 스펙트럼 모니터링 파트와, 소정의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테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측 RF 처리부에 의한 수동 상호 변조 왜곡의 정도를 측정하는 메인측 PIMD 측정 파트와, 상기 RF 처리부의 신호 경로 상에서 전압 정재파 비를 측정하는 VSWR 측정 파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인측 디지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리모트 장치는,
    각각이 복수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 중 대응하는 메인측 대역 처리부와 연결되며, 대응하는 메인측 대역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증폭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메인측 DL/UL 분기부; 및
    상기 복수의 메인측 DL/UL 분기부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메인측 DL/UL 분기부로부터 전달되는 복수의 증폭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메인측 리모트 결합/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리모트 장치는,
    각각이 복수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 중 대응하는 메인측 대역 처리부와 연결되며, 대응하는 메인측 대역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증폭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증폭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 중 대응하는 안테나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메인측 DL/UL 분기부;를 더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리모트 장치는,
    상기 복수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증폭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로 전달하는 메인측 리모트 결합/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리모트 장치는,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상기 분배받은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전달하도록 서로 캐스케이드 구조로 연결되고, 각각이 상기 분배받은 다운링크 전송 신호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다운링크 RF 신호 중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서브측(sub-side) 대역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리모트 장치는,
    상기 다운링크 광 신호를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상기 서브 리모트 장치로 분배하도록 구성되는 리모트 광 송수신부; 및
    공급된 전원을 상기 서브 리모트 장치로 분배하고, 상기 전원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메인측 대역 처리부를 구동하기 위한 메인측 구동 전원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메인측 리모트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리모트 장치는,
    상기 메인 리모트 장치의 상기 메인측 리모트 전원부로부터 상기 전원을 분배받고, 상기 분배받은 전원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서브측 대역 처리부를 구동하기 위한 서브측 구동 전원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서브측 리모트 전원부; 및
    상기 메인 리모트 장치의 상기 리모트 광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분배받고, 상기 분배받은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상기 복수의 서브측 대역 처리부 중 최전단의 서브측 대역 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서브측 리모트 전원부로부터 상기 서브측 구동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서브측 구동 전원을 상기 복수의 서브측 대역 처리부로 각기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서브측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리모트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서브측 대역 처리부를 제어하는 서브측 리모트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측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서브측 리모트 제어부로부터 각각 상기 복수의 서브측 대역 처리부 중 대응하는 서브측 대역 처리부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서브측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복수의 서브측 제어 신호를 대응하는 서브측 대역 처리부로 각기 전달하도록 더 구성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측 대역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분배받은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후단의 서브측 대역 처리부로 분배하고, 상기 분배받은 다운링크 전송 신호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다운링크 RF 신호 중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서브측 RF 처리부; 및
    상기 추출된 다운링크 RF 신호에 대해 파고율 감소 처리 및 전치 왜곡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서브측 디지털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측 RF 처리부는,
    상기 서브측 디지털 처리부에 의해 파고율 감소 처리 및 전치 왜곡 처리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측 디지털 처리부는,
    상기 분배받은 다운링크 전송 신호, 상기 추출된 다운링크 RF 신호 및 상기 증폭된 다운링크 RF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스펙트럼을 모니터링하는 서브측 스펙트럼 모니터링 파트와, 소정의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테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측 RF 처리부에 의한 수동 상호 변조 왜곡의 정도를 측정하는 서브측 PIMD 측정 파트와, 상기 서브측 RF 처리부의 신호 경로 상에서 전압 정재파 비를 측정하는 서브측 VSWR 측정 파트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측 대역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분배받은 다운링크 전송 신호를 후단의 서브측 대역 처리부로 분배하고, 상기 분배받은 다운링크 전송 신호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다운링크 RF 신호 중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서브측 RF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측 대역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분배받은 다운링크 전송 신호, 상기 추출된 다운링크 RF 신호 및 상기 증폭된 다운링크 RF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스펙트럼을 모니터링하는 서브측 스펙트럼 모니터링 파트와, 소정의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테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측 RF 처리부에 의한 수동 상호 변조 왜곡의 정도를 측정하는 서브측 PIMD 측정 파트와, 상기 서브측 RF 처리부의 신호 경로 상에서 전압 정재파 비를 측정하는 서브측 VSWR 측정 파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브측 디지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19.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리모트 장치는,
    각각이 복수의 서브측 대역 처리부 중 대응하는 서브측 대역 처리부와 연결되며, 대응하는 서브측 대역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증폭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서브측 DL/UL 분기부; 및
    상기 복수의 서브측 DL/UL 분기부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측 DL/UL 분기부로부터 전달되는 복수의 증폭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서브측 리모트 결합/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20.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리모트 장치는,
    각각이 복수의 서브측 대역 처리부 중 대응하는 서브측 대역 처리부와 연결되며, 대응하는 서브측 대역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증폭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증폭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 중 대응하는 안테나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서브측 DL/UL 분기부;를 더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21.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리모트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서브측 대역 처리부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측 대역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증폭된 다운링크 RF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로 전달하는 서브측 리모트 결합/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2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메인 리모트 장치에 의해 증폭된 복수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서브 리모트 장치에 의해 증폭된 복수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메인 및 서브 리모트 장치에 의해 증폭된 복수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결합/분배 장치;를 더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KR1020150057898A 2015-04-24 2015-04-24 분산 안테나 시스템 KR102128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898A KR102128800B1 (ko) 2015-04-24 2015-04-24 분산 안테나 시스템
PCT/KR2015/004115 WO2016171298A1 (ko) 2015-04-24 2015-04-24 분산 안테나 시스템
US15/079,783 US9602211B2 (en) 2015-04-24 2016-03-24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15/426,418 US9859982B2 (en) 2015-04-24 2017-02-07 Distributed antenna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898A KR102128800B1 (ko) 2015-04-24 2015-04-24 분산 안테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612A true KR20160126612A (ko) 2016-11-02
KR102128800B1 KR102128800B1 (ko) 2020-07-02

Family

ID=5714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898A KR102128800B1 (ko) 2015-04-24 2015-04-24 분산 안테나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602211B2 (ko)
KR (1) KR102128800B1 (ko)
WO (1) WO201617129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771A (ko) * 2018-09-11 2020-03-19 주식회사 쏠리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KR20200061884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쏠리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KR20200062110A (ko) * 2020-05-21 2020-06-03 주식회사 쏠리드 신호 변조 모드 기반의 파고율 저감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400B1 (ko) * 2013-12-20 2016-05-16 주식회사 쏠리드 광 중계 시스템 및 광 중계 시스템에서 리모트 장치의 식별정보 설정 방법
WO2016141120A1 (en) 2015-03-04 2016-09-09 Commscope Technologies Llc Intermodulation byproduct cancellation in one or more nodes of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WO2016190451A1 (ko) * 2015-05-22 2016-12-01 주식회사 쏠리드 신호 처리 장치
KR102417238B1 (ko) * 2016-04-13 2022-07-06 주식회사 쏠리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US10298328B2 (en) * 2016-12-21 2019-05-21 Solid, Inc. Head-end device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1765559B2 (en) * 2017-08-29 2023-09-19 Microlab/Fxr Llc Passive radio frequency components with voltage standing wave ratio monitors
US10333616B1 (en) * 2018-01-17 2019-06-25 Arcom Digital, Llc Detecting burst PIM in downstream at drop
KR102148706B1 (ko) * 2018-08-30 2020-08-27 주식회사 쏠리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이중화
US10979089B2 (en) * 2018-11-27 2021-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ntenna reflection coefficient
US11323187B2 (en) * 2019-10-15 2022-05-03 Fiplex Communications, Inc. Smart nodes for monitoring a passive distributed antenna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8861A1 (en) * 2009-12-21 2011-08-18 Dali Systems Co. Ltd High efficiency, remotely reconfigurable remote radio head unit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20140064730A1 (en) * 2012-08-28 2014-03-06 Advanced Rf Technologies, Inc. Optic distributed antenna system supporting multi-band multi-carrier service over a reduced number of optic core lines
US20140269318A1 (en) * 2012-08-09 2014-09-18 Axell Wireless Ltd. Digital capacity centric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20140308044A1 (en) * 2010-10-13 2014-10-16 Ccs Technology, Inc. Power management for remote antenna units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1767B1 (en) * 2001-01-26 2004-10-05 Lgc Wireless,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multiband wireless communications signals
US20100128676A1 (en) * 2008-11-24 2010-05-27 Dong Wu Carrier Channel Distribution System
CN103229427B (zh) * 2010-10-01 2016-08-03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多输入多输出信号的分布式天线系统
US9537572B2 (en) * 2012-02-28 2017-01-03 Dali Systems Co. Ltd. Hybrid data transport for a virtualized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9374187B2 (en) * 2012-03-12 2016-06-21 Advanced Rf Technologies, Inc.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8861A1 (en) * 2009-12-21 2011-08-18 Dali Systems Co. Ltd High efficiency, remotely reconfigurable remote radio head unit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20140308044A1 (en) * 2010-10-13 2014-10-16 Ccs Technology, Inc. Power management for remote antenna units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US20140269318A1 (en) * 2012-08-09 2014-09-18 Axell Wireless Ltd. Digital capacity centric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20140064730A1 (en) * 2012-08-28 2014-03-06 Advanced Rf Technologies, Inc. Optic distributed antenna system supporting multi-band multi-carrier service over a reduced number of optic core lin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771A (ko) * 2018-09-11 2020-03-19 주식회사 쏠리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KR20200061884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쏠리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KR20200062110A (ko) * 2020-05-21 2020-06-03 주식회사 쏠리드 신호 변조 모드 기반의 파고율 저감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49505A1 (en) 2017-05-25
US9602211B2 (en) 2017-03-21
US20160315706A1 (en) 2016-10-27
WO2016171298A1 (ko) 2016-10-27
US9859982B2 (en) 2018-01-02
KR102128800B1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800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
US11297603B2 (en) Neutral host architecture for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EP3661321A1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architectures
CN211830769U (zh) 一种5g变频光分布系统
US20160211893A1 (en) Digital data transmission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EP3065310B1 (en) Donor unit, remote unit, and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having same
KR101791636B1 (ko) 기지국 신호 정합 장치, 이를 포함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 유닛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
KR20160123866A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노드 유닛
KR20170079615A (ko) 메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KR102165072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이의 리모트 장치
US10716011B2 (en) Downlink digital signal summation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20180198493A1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including crest factor reduction module disposed at optimum position
KR20120057114A (ko) 이동 통신 안테나를 일체로 구비한 액세스 포인트 및 이를 구비한 통합 광 중계 장치
KR102287210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노드 유닛
US11432298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262534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cfr 배치 방법
KR102246968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헤드엔드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50111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헤드엔드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60081849A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cfr 배치 방법
KR20210064088A (ko)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Oh et al. Design of flexible radio unit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s
KR20160082486A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cfr 배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