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603A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603A
KR20160126603A KR1020150057875A KR20150057875A KR20160126603A KR 20160126603 A KR20160126603 A KR 20160126603A KR 1020150057875 A KR1020150057875 A KR 1020150057875A KR 20150057875 A KR20150057875 A KR 20150057875A KR 20160126603 A KR20160126603 A KR 20160126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urface
display device
beam splitter
prism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6760B1 (ko
Inventor
이상훈
김태경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7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760B1/ko
Priority to US15/569,025 priority patent/US10514538B2/en
Priority to PCT/KR2016/004136 priority patent/WO2016171479A1/ko
Publication of KR20160126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7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racting elements
    • G02B26/0883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racting elements the refracting element being a pr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Abstract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사광의 경로를 변경해 출사하되, 내부에는 입사광을 반사 또는 투과하는 반사투과면을 포함하는 프리즘; 및 렌즈가 상기 프리즘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HEAD MOUNT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lay, HMD) 장치는 허상 광학 장치의 일종으로 광학시스템은 눈과 매우 근접한 위치에서 발생하는 영상광을 정밀한 광학 장치를 이용하여 먼 거리에 가상의 대형화면이 구성될 수 있도록 초점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확대된 허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영상 표시 장치이다. HMD용 광학시스템은 원래 군사용으로 사용되었으나, 컴퓨터 시스템의 고성능화 및 소형화가 비약적으로 진행되고 디스플레이 소자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몸에 착용하는 컴퓨터(Wearable Computer) 개념이 제시되었고, 현재는 항공우주, 비디오 게임, 실습 및 레저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특히,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소자의 영상을 볼뿐만 아니라 카메라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야를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때 카메라는 사용자의 눈 앞에는 설치할 수 없으므로 눈의 측면에 설치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카메라가 전방을 향하도록 장착되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야 범위와 카메라가 촬영하는 촬영 범위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시야 범위와 이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 범위가 동일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사광의 경로를 변경해 출사하되, 내부에는 입사광을 반사 또는 투과하는 반사투과면을 포함하는 프리즘; 및 렌즈가 상기 프리즘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즘은 제1 광학면, 상기 제1 광학면과 연장 형성된 제2 광학면, 상기 제2 광학면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광학면에 평형하게 형성된 제3 광학면, 상기 제3 광학면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광학면과 대향하는 제4 광학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면과 제3 광학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제1 반사투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투과면은 편광 성분에 따라 반사 또는 투과하는 제1 편광빔 스플리터일 수 있다.
상기 제1 편광빔 스플리터는 상기 제1광학면 및 제3 광학면과 45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학면에는 집광렌즈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편광빔 스플리터는 입사광을 반사시켜 상기 카메라 모듈로 출사시킬 수 있다.
상기 프리즘의 일측에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즘은 상기 제1 반사투과면과 평형하게 형성된 제2 반사투과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투과면은 제2 편광빔 스플리터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상기 제3 광학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광학면에는 집광렌즈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편광빔 스플리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출사되는 편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제4 광학면은 상기 제2 편광빔 스플리터에서 반사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제4 광학면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광학면에는 반사 코팅이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된 카메라의 시야 범위와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 범위가 동일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의 광경로 형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의 광경로 형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람의 머리에 장착되는 타입으로, 일반적인 안경과 유사현 형태를 가지는바, 사람의 머리 또는 귀에 걸치도록 마련된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의히 지지되며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 각각의 시야를 커버하는 글래스부(20), 및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어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카메라(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10) 및 글래스부(20)는 형상 또는 재질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프레임(10) 및 글래스부(20)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후술할 다양한 구성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글래스부(20)는 광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현된다.
이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의 각 구성들은 도 1의 프레임(10) 또는 글래스부(20)에 수용되며, 이 구성들이 수용되는 형태 또는 방식은 프레임(10) 및 글래스부(20)의 형상에 따라서 가변적이므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사항이 아니다.
또한, 본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은 디스플레이장치(1)의 하나의 예시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이 구현된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본 도면에 도시되거나 또는 설명되지 않은 구성이 불필요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본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만을 포함하여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10), 신호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20), 신호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 다양한 외부장치(미도시)와 통신하는 통신부(140),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기 설정된 제어 커맨드가 생성되는 사용자입력부(150),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60),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의 각 구성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70),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80), 및 외부 환경에 대한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90)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나 소리를 출력하는 이어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110)는 외부로부터 유선/무선으로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부(120) 또는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예를 들면, 신호수신부(110)는 방송국(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UDI(unified display interface), 또는 와이어리스(wireless) HD 규격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수신부(110)는 통신부(140)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설계방식에 따라서 신호수신부(110) 및 통신부(140)는 통신 인터페이스(interface)로 통합될 수도 있다.
신호처리부(120)는 신호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신호처리부(12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30)에 해당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신호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영상데이터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데이터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데이터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0)는 이러한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 또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인 구성들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됨으로써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되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에 내장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신호처리부(12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사용자의 양안에 근접하게 영상으로 맺히도록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보다 자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통신부(140)는 유선/무선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외부장치(미도시)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40)는 설계방식에 따라서 신호수신부(110)와 함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40)는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양방향 RF 무선통신규격에 따라서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사용자입력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기 설정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여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입력부(150)는 프레임(10, 도 1 참조)에 설치된 입력 키 패드(미도시)나, 글래스(20, 도 1 참조) 상의 터치스크린(미도시) 또는 터치센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와 별도로 분리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또는 모바일 폰과 같은 외부장치(미도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입력부(150)는 통신부(140)와 통신함으로써 제어 커맨드를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6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어부(18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전원공급부(170)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반 구성이 동작하기 위한 직류전원을 제공한다. 전원공급부(170)는 1차전지 또는 2차전지로 구현될 수 있지만, 활용성을 위해 외부전원으로 충전 가능한 2차전지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전원공급부(170)는 제어부(180)에 의해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 바, 예를 들면 특정 구성요소에 대한 전원의 출력 여부, 출력 전압의 레벨, 출력 듀티(duty)의 조정 등이 제어된다.
카메라(190)는 프레임(10, 도 1 참조)의 외측에 설치되며, 디스플레이장치(1)의 외부 환경을 감지 및 촬영한다.
카메라(190)는 소정 시점의 외부 환경을 촬상하여 정지화상을 생성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외부 환경을 촬영하여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190)는 소정 시간 동안에 외부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카메라 모듈(190)의 광경로 형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카메라 모듈(190) 및 프리즘(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19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 방향이 프리즘(200)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카메라 모듈(190)의 전방에는 집광 렌즈(미도시)와 같은 광학계가 배치될 수 있다. 집광렌즈는 카메라 모듈이나 디스플레이소자의 빛 진행 방향 전방에 위치하여 입사광을 모으는 역할을 한다. 집광렌즈는 구면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 중 선택된 렌즈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카메라 모듈(190)과 프리즘(200)이 이격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카메라 모듈(190)은 프리즘(200)과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리즘(200)은 카메라 모듈(190)에 상이 맺힐 수 있도록 광경로를 형성하는 소자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200)은 4 개의 광학면(210, 220, 230, 240)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편광빔 스플리터(250)가 형성되어 있다. 제1광학면(210)을 통해 프리즘(200)으로 입사된 입사광(I, incident light)은 편광빔 스플리터(250)에서 반사되어 제3 광학면(220)으로 출사되어 카메라 모듈(190)로 입사된다. 이때 편광빔 스플리터(250)는 입사된 광의 편광 성분의 차이에 따라 반사 또는 투과하는 반사 투과면이다. 예를 들어 입사광(I) 중 P파는 편광빔 스플리터(250)를 투과하고 S파는 편광빔 스플리터(250)에서 반사되어 카메라 모듈(190)로 입사된다. 이때 입사광은 수직으로만 입사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입사되기도 하는데, 경사지게 입사된 광(I1, I2)는 편광빔 스플리터(250)에서 반사된 후, 프리즘(200) 내부의 제1 광학면(210)과 제3 광학면(230)에서 전반사되어 카메라 모듈(190)로 입사된다.
상기 제1 광학면(210)과 제3 광학면(23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편광빔 스플리터(250)는 제1 광학면과 제3 광학면 사이에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제1 광학면(210)과 제3 광학면(230)에서는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될 경우 스넬의 법칙에 의해 전반사가 일어난다. 스넬의 법칙 및 전반사의 원리는 이 출원의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광학면(220)에는 집광 렌즈(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90)과 제2 광학면 사이에 집광 렌즈가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제2 광학면(220)을 렌즈 형태로 설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범위(A) 내에서 입사된 광(I)은 편광빔 스플리터(250)에서 반사되어 제1 광학면(210)과 제3 광학면(230)에서 반사되어 카메라 모듈(190)로 입사된다. 이때 입사광(I1)은 제1 광학면(210)에서 1회 전반사된 후 다시 제3 광학면(230)에서 전반사되어 전반사가 2회 일어나고, 입사광(I2)는 제1 광학면(210)에서만 전반사되어 전반사가 1회 일어난다. 하지만 이러한 전반사 횟수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프리즘(200)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광경로에 의해 카메라 모듈(190)은 범위(A)안에 존재하는 주변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190)의 촬영 범위(A)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 범위(B)가 거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90)의 방향을 회전시켜 프리즘(200) 방향으로 향하게 하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를 통해 보는 관찰자의 시야(B)와 카메라 모듈(190)의 촬영 범위(A)가 거의 동일해지게 된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디스플레이 소자를 추가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카메라 모듈(190) 과 프리즘(200)외에 디스플레이 소자(132)를 더 포함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190)에서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소자(132)를 이용해서 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32)는 영상(Image)을 표시하는 소자로 LCD 패널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신호처리부(120)에 의해 영상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소자(132)는 반사형인 실리콘 액정 표시소자(Liquid Crystal on Silicon : LCoS), 디지털 광원 표시소자(Digital Light Processing :DLP), 광원이 결합된 마이크로 LCD 소자 또는 자체발광하는 마이크로 OLED 소자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크기는 1인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마이크로 반사형인 실리콘 액정 표시소자, 디지털 광원 표시소자, 마이크로 LCD 소자는 자체 발광이 아니므로 외부에서 광원이 결합되어야 한다. 즉, 백라이트를 사용한 투과형 마이크로 LCD 패널 또는 프론트 라이트(Frontlight)를 사용한 반사형 마이크로 LCD 패널이 가능하다. 마이크로 OLED 패널은 자체 발광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광원이 필요 없으므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광원에서 출사되는 빛을 디스플레이 소자(132)로 입사되도록 광경로를 조절하는 광학계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소자(132)의 전방에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집광렌즈(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소자(132)가 추가됨에 따라 프리즘(200)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소자(132)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처리하기 위한 편광빔 스플리터(260)가 하나 더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편광빔 스플리터들(210, 260)은 제1 편광빔 스플리터(250) 및 제2 편광빔 스플리터(260)로 부르기로 한다.
상기 제1 편광빔 스플리터(250)와 제2 편광빔 스플리터(260)는 서로 평형하게 설치되며 제1, 2 광학면(210, 230)과 45도 경사각으로 비스듬히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디스플레이 소자(132)에서 출사된 빛은 프리즘(200)으로 입사되고 제2 편광빔 스플리터(260)과 제1 편광빔 스플리터(250)를 사용자의 눈으로 입사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며보면, 디스플레이 소자(132)에서는 S편광이 출사되기 때문에서, S편광은 제2 편광빔 스플리터(260)에서 반사되면서 P편광으로 변하게 된다. P편광은 제1 편광빔 스플리터(250)를 투과하다 제4 광학면(250)에서 반사되어 다시 S편광으로 변하고, 제1 편광빔 스플리터(250)에서 반사되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눈으로 입사된다.
이때 제4 광학면(250)은 평면일 수도 있으나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광학면(250)을 오목하게 형성하면 프리즘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에 보다 유리하다. 그리고 제4 광학면(240)에는 반사 코팅이 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190)로 입사되는 광 경로는 도 3에서 살펴본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소자(132)를 추가함으로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사용자는 카메라 모듈(190)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소자(132)에서 표시되는 영상도 볼 수 있다.
카메라 모듈(190)에서 촬영된 영상은 저장부(160, 도 2참조)에 저장되며, 사용자 입력부(150)의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소자(132)를 통해 디스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0: 프레임
20 : 글래스부 110 : 신호수신부
120 : 신호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통신부 150 : 사용자 입력부
160 : 저장부 170 : 전원공급부
180 : 제어부 190 : 카메라 모듈
200 : 프리즘 210 : 제1 광학면
220 : 제2 광학면 230 : 제3 광학면
240 : 제4 광학면 250 : 제1 편광빔 스플리터
260 : 제2 편광빔 스플리터 132: 디스플레이 소자

Claims (14)

  1. 입사광의 경로를 변경해 출사하되, 내부에는 입사광을 반사 또는 투과하는 반사투과면을 포함하는 프리즘; 및
    렌즈가 상기 프리즘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제1 광학면, 상기 제1 광학면과 연장 형성된 제2 광학면, 상기 제2 광학면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광학면에 평형하게 형성된 제3 광학면, 상기 제3 광학면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광학면과 대향하는 제4 광학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면과 제3 광학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제1 반사투과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투과면은 편광 성분에 따라 반사 또는 투과하는 제1 편광빔 스플리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빔 스플리터는 상기 제1광학면 및 제3 광학면과 45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면에는 집광렌즈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빔 스플리터는 입사광을 반사시켜 상기 카메라 모듈로 출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의 일측에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상기 제1 반사투과면과 평형하게 형성된 제2 반사투과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투과면은 제2 편광빔 스플리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상기 제3 광학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광학면에는 집광렌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편광빔 스플리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출사되는 편광 성분의 을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광학면은 상기 제2 편광빔 스플리터에서 반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광학면은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드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광학면에는 반사 코팅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57875A 2015-04-24 2015-04-24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6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875A KR102426760B1 (ko) 2015-04-24 2015-04-24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US15/569,025 US10514538B2 (en) 2015-04-24 2016-04-21 Head-mounted display device
PCT/KR2016/004136 WO2016171479A1 (ko) 2015-04-24 2016-04-21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875A KR102426760B1 (ko) 2015-04-24 2015-04-24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603A true KR20160126603A (ko) 2016-11-02
KR102426760B1 KR102426760B1 (ko) 2022-07-29

Family

ID=57143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875A KR102426760B1 (ko) 2015-04-24 2015-04-24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14538B2 (ko)
KR (1) KR102426760B1 (ko)
WO (1) WO201617147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3433A1 (en) * 2002-12-03 2005-11-03 Essilor International, A France Corporation Polarization splitter,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ophthalmic lens incorporating projection inserts containing it
KR20060119711A (ko) * 2004-03-08 2006-11-2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화상표시장치
US20130021658A1 (en) * 2011-07-20 2013-01-24 Google Inc. Compact See-Through Displa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2079A (en) * 1980-04-10 1981-11-24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Photolithographic projection apparatus using light in the far ultraviolet
US5886822A (en) * 1996-10-08 1999-03-23 The Microoptical Corporation Image combining system for eyeglasses and face masks
JP4341108B2 (ja) * 1999-07-14 2009-10-07 ソニー株式会社 虚像観察光学装置
TWI503865B (zh) * 2003-05-23 2015-10-11 尼康股份有限公司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posure apparatus and an element
JP2011238698A (ja) * 2010-05-07 2011-11-2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レーザモジュール
US8749886B2 (en) * 2012-03-21 2014-06-10 Google Inc. Wide-angle wide band polarizing beam splitter
KR101478424B1 (ko) * 2013-01-30 2014-12-31 박수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46962B1 (ko) * 2013-08-27 2015-08-24 주식회사 에픽옵틱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광학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3433A1 (en) * 2002-12-03 2005-11-03 Essilor International, A France Corporation Polarization splitter,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ophthalmic lens incorporating projection inserts containing it
KR20060119711A (ko) * 2004-03-08 2006-11-2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화상표시장치
US20130021658A1 (en) * 2011-07-20 2013-01-24 Google Inc. Compact See-Through Display System
KR20140036351A (ko) * 2011-07-20 2014-03-25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컴팩트한 시스루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14538B2 (en) 2019-12-24
KR102426760B1 (ko) 2022-07-29
WO2016171479A1 (ko) 2016-10-27
US20180129045A1 (en)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2784B2 (en) Substrate-guide optical device
AU2017307221B2 (en) Optical system for head-mounted display
US10866422B2 (en) Micro LED display system
WO2016086600A1 (zh) 光波介质、眼镜及其成像方法
WO2008023367A1 (en) Substrate-guided optical device
US10650785B1 (en) Color management of display device
KR101598480B1 (ko) 시스루형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
KR20110084817A (ko) 촬영 및 투영 모듈 그리고 촬영 및 투영 장치
CN112285934B (zh) 图像显示装置及可穿戴设备
US20190098267A1 (en) Hololens light engine with linear array imagers and mems
US9319980B1 (en) Efficient digital image distribution
EP4298474A1 (en) Thin liquid crystal stack for polarization conversion
CN114296226A (zh) 光学模组、光学系统及头戴式显示设备
KR20190085345A (ko) 헤드 마운트 장치
CN114450621A (zh) 头戴式显示器
KR20200050689A (ko)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광학부재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26760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WO2011053315A1 (en) Video display systems
US2023008923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chrom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CN107908006A (zh) 一种头戴式显示装置
US20230107434A1 (en) Geometrical waveguide illuminator and display based thereon
US9122068B2 (en) Polarization converting element group for projection apparatus and projection apparatus
US20230314846A1 (en) Configurable multifunctional display panel
WO2023098228A1 (zh) 显示装置、电子设备以及交通工具
JP2018010251A (ja) 虚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