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140A -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Circuit br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140A
KR20160126140A KR1020150056531A KR20150056531A KR20160126140A KR 20160126140 A KR20160126140 A KR 20160126140A KR 1020150056531 A KR1020150056531 A KR 1020150056531A KR 20150056531 A KR20150056531 A KR 20150056531A KR 20160126140 A KR20160126140 A KR 20160126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operation lever
pair
support
lev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5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2667B1 (en
Inventor
조성열
서재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6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667B1/en
Publication of KR20160126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1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6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1Details concerning the lever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1Means for breaking welded contacts; Indicating contact welding or other malfunction of the circuit brea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 H01H71/523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the contact arm being pivoted on cradle and mechanism spring acting between handle and contact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4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tumb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22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thermal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 H01H73/24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thermal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reset by lever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ircuit breaker. The circuit breaker includes: an operation lever unit capable of rotating between an on-position forming a current carrying state between a fixed touch point and an operation touch point and an off-position forming a cut-off state; and a support unit varying a center of rotation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lever unit within a set range.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CIRCUIT BREAKER}{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 접점부와 고정 접점부의 접점이 과전류의 통전에 의해 융착되는 경우, 작동 레버가 온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통전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ing br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ing breaker which is capable of easily moving an operating lever to an ON position when a contact point of a movable contact portion and a fixed contact portion is fused by applying an overcurr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ing breaker which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전기적으로 과부하 상태 시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회로 및 부하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Generally, a circuit breaker is an electric device that automatically protects the circuit and the load by shutting off the circuit automatically in the event of an electrical overload.

도 1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투입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차단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a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and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circuit breaker of a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조작 핸들(HANDLE, 20)이 지시하는 위치는, 회로 상에 전류를 흐르도록 허용하는 통전 위치를 지시하는 온(ON) 위치와, 수동으로 조작 핸들(20)을 조작하여 인위적으로 회로를 차단할 때 조작 핸들(20)이 지시하는 오프(OFF) 위치와, 배선용 차단기의 검출기구(미도시)에서 회로 상의 단락전류와 같은 사고전류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는 위치로서 상기 온 위치와 오프 위치의 중간위치를 지시하는 트립(TRIP) 위치의 3가지 위치를 가진다.1 to 3, in the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operation handle (HANDLE) 20 is an ON position indicating an energizing position allowing a current to flow on the circuit, An OFF position indicated by the operation handle 20 and a fault current such as a short circuit current on the detection mechanism of the circuit breaker (not shown) And a trip (TRIP) position indicating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on position and the off position as a position for detecting and automatically disconnecting the circuit.

이때 만약 회로 상 사고 전류 발생시, 배선용 차단기는 상기와 같이 내장되는 검출기구에서 이를 검출하여 자동적으로 사고 전류를 차단하는 트립 동작을 수행하고, 조작 핸들(20)은 상기와 같이 온 위치와 오프 위치의 중간 위치인 트립 위치를 지시하고 있어야 한다.At this time, if a fault current occurs in the circuit, the wiring breaker detects the fault current by the detection mechanism as described above, and automatically performs a trip operation to interrupt the fault current. The operation handle 20 is in the ON position and the OFF position It should indicate the trip position which is the middle position.

그러나, 만약 가동 접점부(70)의 접점과 고정 접점부(60)의 접점 간의 용착(熔着) 또는 여타 간섭으로 트립 동작이 실패하는 경우에,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셋(RESET)을 위해 조작 핸들(20)을 오프 위치로 조작을 시도하여도 조작 핸들(20)은 다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온 위치 쪽으로 복귀 하여 회로가 온 위치 즉, 통전 상태임을 표시한다.However, if the trip operation fails due to welding or other interference between the contact of the movable contact portion 70 and the contact of the fixed contact portion 60, as shown in FIG. 3, The operation handle 20 returns to the ON position again as shown in FIG. 2 to indicate that the circuit is turned on, that is, the energized state.

따라서, 배선용 차단기의 조작 핸들(20)의 위치 지시를 통해서 사고전류 발생여부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되어 감전 등 전기적 사고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보호 안전 기능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user can recognize whether or not an accident current is generated through the indication of the position of the operation handle 20 of the circuit breaker for a wiring breaker, thereby providing a protection safety function for protecting persons and property from electrical accidents such as electric shock.

이와 같이 접점 용착 등의 원인으로 접점이 접촉하는 통전 상태일 때 사용자가 리셋(RESET)을 위해 조작 핸들(20)을 오프 위치로 조작 시도하여도 조작 핸들(20)은 다시 온 위치 쪽으로 복귀하여 회로가 온 위치 즉, 통전 상태임을 표시하는 기능을 고립(ISOLATION)기능이라고 한다.Even if the user tries to operate the operation handle 20 to the OFF position for resetting when the contact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due to contact welding or the like, the operation handle 20 is returned to the ON position again, A function for indicating the ON position, that is, the energization state, is referred to as an ISOLATION function.

도 4는 종래의 작동 레버를 갖는 조작 핸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종래의 사이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종래의 사이드에서의 작동 레버의 회전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가동 접점부가 융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operation handle having an operation lever,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ide, FIG. 6 is a view showing a rotation operation of an operation lever in a conventional side, And Fig.

도 1을 참조 하면,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는 가동 접점부(70)를 고정 접점부(60)에 접촉되는 위치와 분리되는 위치로 회동시키도록 연결되는 샤프트(30)와, 상기 샤프트(3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동핀(31)과, 상기 구동핀(31)에 일단이 연결되는 하부링크(41)와, 상기 하부 링크(41)와 링크 연결되는 상부 링크(42)와, 상기 상부 링크(42)와 하부 링크(41)를 연결하는 토글핀(50)과, 온 위치와 오프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는 작동 레버(10)와, 상기 작동 레버(10)에 설치되는 핸들(20)과, 상기 작동 레버(10)와 상기 토글핀(50)을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회로 차단을 위한 탄성 구동력을 제공하는 탄성 스프링(80)과, 상기 작동 레버(10)의 하단을 회전 지지하는 사이드 플레이트(90)를 포함한다.1, a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includes a shaft 30 connected to rotate the movable contact portion 70 to a position separated from a position where the movable contact portion 70 contacts the fixed contact portion 60, A lower link 41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riving pin 31; an upper link 42 linked with the lower link 41; A toggle pin 50 connecting the lower link 41 and the lower link 41 to each other, an operation lever 10 rotated between an on position and an off position, a handle 20 mounted on the operation lever 10, An elastic spring 80 for elastically connecting the operation lever 10 and the toggle pin 50 to provide an elastic driving force for blocking the circuit and a side plate for rotationally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lever 10 90).

미설명 부호 '1'은 케이스이다.The unexplained reference character '1' is a case.

상기의 구성을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서 단락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부(70)와 고정 접점부(60) 간의 접점이 융착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the wiring break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contact between the movable contact portion 70 and the fixed contact portion 60 may be fused as shown in Fig.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보호를 위해 작동 레버(10)는 온(ON) 위치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사전에 통전 상태를 감지 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otect the user, the operation lever 10 is placed in the ON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detect the energized state in advance.

그러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 하면, 작동 레버(10)의 하단에 형성되는 회전부(11)는, 사이드 플레이트(90)의 상단에 형성되는 회전 안내홀(91)에 위치된다.4 to 6, the rotation part 11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lever 10 is positioned in the rotation guide hole 9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90. [

따라서, 상기 작동 레버(10)는 온 및 오프 위치 사이에서 상기 회전부(11)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Therefore, the operating lever 10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part 11 as the rotation center between the ON and OFF positions.

그러나, 종래에는 회전 안내홀(91)에 위치되어 회전되는 회전부(11)의 회전 중심(C)이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되고, 가동 접점부(70)와 고정 접점부(60)가 융착이 발생되는 경우에 작동 레버(10)가 도 7에 도시되는 오프 상태에서 온 위치로 이동된다.6, and the movable contact portion 70 and the stationary contact portion 60 are fixed to each other in the rotation guide hole 91, The operation lever 10 is mov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position shown in Fig.

이때, 도 8을 참조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토글핀(50)과 작동 레버(20)를 탄성 연결하는 탄성 스프링(80)은, 작동 레버(10)가 온 위치에 이르면 압축되고, 오프 위치에 이르면 인장된다.8, the elastic spring 80 for elastically connecting the toggle pin 50 and the actuating lever 20 as described above is compressed when the actuating lever 10 reaches the on position, As soon as it is pulled.

그리고, 상부 및 하부 링크(42,41)를 연결하는 토글핀(50)은 좌우로 일정의 유동을 한다.Then, the toggle pin 50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links 42 and 41 flows constant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따라서, 탄성 스프링(80)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6도의 사이각이 형성된다.Therefore, the elastic spring 80 is formed with a corner angle of 1.6 degrees as shown in Fig.

상기 유동각은 탄성 스프링(80)이 인장되어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 및 가동 접점부가 융착되는 경우, 작동 레버(10)를 온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데, 상기 유동각이 커짐에 따라, 탄성 스프링(80)의 인장력도 증가되어 작동 레버(10)를 온 위치로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The flow angle causes the operating lever 10 to move to the ON position when the elastic spring 80 is pulled and the fixed and movable contact portions are fused as shown in FIG. 7, and as the flow angle increases , The tensile force of the elastic spring 80 is also increased, and the operating lever 10 can be easily returned to the ON position.

그러나, 종래에는 회전부의 회전 중심이 고정되어 1.6의 사이각 또는 고립각이 형성됨으로써, 접점 융착이 발생되는 경우, 인장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작동 레버(10)가 오프 위치에서 온 위치로 정상 이동이 되지 않는 고립 불량 현상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when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ry part is fixed and the angle of contact is 1.6 or the isolation angle is formed, when the contact fusion occurs, the tensile force is insufficient and the operation lever 10 does not move normally from the off position to the on pos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n isolation failure phenomenon often occurs.

이에 따라, 단락 사고 시 접점이 융착될 경우 배선용 차단기의 작동 레버가 온 위치에 정상적으로 이동되지 못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접촉하여 감전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ntacts are fused in the event of a short circuit, the operation lever of the circuit breaker can not be normally moved to the on posi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053060호(등록일: 2011년 07월 26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고립상태 표시부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 Registered Patent Registration No. 10-1053060 (registered Jul. 26, 2011), and the prior art discloses a circuit breaker equipped with an isolated state indicator.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 접점부와 고정 접점부의 접점이 과전류의 통전에 의해 융착되는 경우, 작동 레버가 온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통전에 의한 감전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moving an operating lever to an on position when a contact point of a movable contact portion and a fixed contact portion is welded by energization of an overcurrent so as to prevent an electric shock accident, And a circuit breaker for wiring.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ircuit breaker for a wiring.

상기 배선용 차단기는 고정 접점부와 가동 접점부 간의 통전 상태를 이루는 온 위치와, 차단 상태를 이루는 오프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작동 레버부; 및 상기 작동 레버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회전 중심을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한다.Wherein the wiring breaker includes an operating lever portion that is rotatable between an on position that establishes a current supply state between the stationary contact portion and the movable contact portion and an off position that constitutes a cutoff state; And a support portion for varying a rotation center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operation lever por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상기 작동 레버부의 하단에는, 반원 형상의 회전 안내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semicircular rotation guide hol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lever portion.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 중심이 가변되도록 상기 작동 레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 안내홀에 일부가 접촉되며, 비대칭 형상의 곡면을 형성하는 회전 지지 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rotation support member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to form a curved surface having an asymmetric shape, the rotation guide hole being partially in contact with the rotation guide hol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portion.

상기 회전 지지 부재는, 제 1곡률 반경을 이루는 제 1회전 지지 부재와, 상기 제 1회전 지지 부재와 연결되며, 제 2곡률 반경을 이루는 제 1회전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support member includes a first rotation support member having a first radius of curvature and a first rotation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upport member and having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상기 제 1곡률 반경은, 상기 제 2곡률 반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상기 제 1회전 지지 부재는, 상기 온 위치 측을 향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first rotation supporting member is disposed toward the on-position side.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 지지 부재의 양측부에 한 쌍의 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groove por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한 쌍의 홈부 중, 상기 온 위치 측을 향해 배치되는 홈부가 더 낮게 형성되도록 서로 다른 수평 위치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the groove portions have different horizontal positions so that a groove portion disposed toward the on position side is formed to be lower.

상기 작동 레버부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 안내홀을 경계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작동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홈부에 번갈아 위치되는 한 쌍의 지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lever part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guide hole and alternately positioned in the pair of gro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상기 한 쌍의 홈부 중, 상기 오프 위치 측을 향해 배치되는 홈부에는, 상기 작동 레버의 회전에 따라 위치되는 해당 지지 돌기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groove portion disposed toward the off-position side of the pair of the groove portions is further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upport protrusion position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상기 경사면은, 하방을 따라 오목한 곡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surface forms a concave curvature along the downward direction.

상기 한 쌍의 지지 돌기 중, 상기 오프 위치 측을 향하는 홈부에 위치되는 해당 지지 돌기의 하단에는 곡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 curved surfac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which is located in the groove portion facing the off-position side, of the pair of support protrusions.

한편, 상기 작동 레버부가 온 위치와 오프 위치 사이를 회전하는 경우, 상기 작동 레버부가 상기 온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한 쌍의 지지 돌기 중, 상기 온 위치 측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는, 상기 수평 위치가 더 낮게 형성되는 홈부에 위치되고,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ng lever portion rotates between the ON position and the OFF position, when the operating lever portion is positioned at the ON position, any one of the pair of the supporting protrusions, which is disposed on the ON position, Is positioned in the groove portion formed at a lower level,

상기 작동 레버부가 상기 오프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한 쌍의 지지 돌기 중, 상기 오프 위치 측에 배치되는 다른 하나는, 상기 수평 위치가 더 높게 형성되는 홈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operating lever portion is positioned at the off position,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support protrusions disposed on the off-position side is preferably positioned in the groove portion where the horizontal position is higher.

여기서, 상기 작동 레버부의 회전 중심은, 상기 한 쌍의 홈부에 위치되어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center of the operating lever portion is located in the pair of grooves and is variable.

본 발명은, 가동 접점부와 고정 접점부의 접점이 과전류의 통전에 의해 융착되는 경우, 작동 레버가 온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통전에 의한 감전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acts of the movable contact portion and the fixed contact portion are fused by energization of the overcurrent, the operation lever can be easily moved to the ON position, thereby preventing an electric shock accident or the like .

도 1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투입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차단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작동 레버를 갖는 조작 핸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사이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사이드에서의 작동 레버의 회전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가동 접점부가 융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고립 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배선용 차단기의 투입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배선용 차단기의 차단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가동 접점부가 융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작동 레버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
도 14는 투입 상태에서 작동 레버부의 중심축이 이동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작동 레버부가 오프 상태로 이동 중의 작동 레버부의 회전 중심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작동 레버부가 오프 상태로 이동된 후의 작동 레버부의 회전 중심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종래의 작동 레버부의 회전 중심이 고정되는 경우의 고립 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작동 레버부의 회전 중심이 이동되는 경우의 고립 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르는 경사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 돌기의 다른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wiring breaker.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insertion of a conventional wiring breaker.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cut-off state of a conventional wiring breaker.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handle having a conventional operation lever.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ide.
6 is a view showing a rotat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in the conventional side.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movable contact portion is welded.
8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solation angle.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the clos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cut-off state of the wiring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movable contact portion is welded.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leve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center axis of the operation lever portion in the closed state. FIG.
15 is a view show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operating lever portion while the operating lever portion is moving to the off state.
16 is a view showing the rotation center of the operation lever portion after the operation lever portion is moved to the off state.
17 is a view showing an isolation angle when the rotation center of the conventional operation lever portion is fixed.
18 is a view showing an isolation angle when the rotation center of the operation leve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19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inclined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another shape of a support pro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배선용 차단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wiring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배선용 차단기의 구성을 설명한다.First, the construction of the wiring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배선용 차단기의 투입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배선용 차단기의 차단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가동 접점부가 융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FIG. 9 is a side view showing a clos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a cut-off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movable contact is fused.

도 9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배선용 차단기는 가동 접점부(70)를 고정 접점부(60)에 접촉되는 위치와 분리되는 위치로 회동시키도록 연결되는 샤프트(30)와, 상기 샤프트(3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동핀(31)과, 상기 구동핀(31)에 일단이 연결되는 하부링크(41)와, 상기 하부 링크(41)와 링크 연결되는 상부 링크(42, 도 1참조)와, 상기 상부 링크(42)와 하부 링크(41)를 연결하는 토글핀(50, 도 1참조)과, 온 위치와 오프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는 작동 레버부(100)와, 상기 작동 레버부(100)와 상기 토글핀(50)을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회로 차단을 위한 탄성 구동력을 제공하는 탄성 스프링(80)과, 상기 작동 레버부(100)의 하단을 회전 지지하는 지지부(300)로 구성된다.9, the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aft 30 connected to rotate the movable contact portion 70 to a position separated from a position where the movable contact portion 70 contacts the fixed contact portion 60, A lower link 41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riving pin 31 and an upper link 42 (see FIG. 1) linked with the lower link 41, A toggle pin 50 (see FIG. 1) connecting the upper link 42 and the lower link 41, an operation lever portion 100 rotated between an on position and an off position, An elastic spring 80 for elastically connecting the toggle pin 50 and the toggle pin 50 to provide an elastic driving force for blocking the circuit and a support portion 300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lever portion 100 do.

상기 탄성 스프링(80)은, 도 9 내지 도 11에서 레버부(10)에 의해 커버되기 때문에 가상선으로 도시한다.The elastic spring 80 is shown as a virtual line since it is covered by the lever portion 10 in Figs.

상기 작동 레버부(100)는 핸들(200)과 연결된다.The operating lever portion 100 is connected to the handle 200.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작동 레버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투입 상태에서 작동 레버부의 중심축이 이동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도 1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작동 레버부(100)는 그 상단에 핸들(200)이 설치된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leve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view showing a movement of the central axis of the operation lever portion in a closed state. The operation lever por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andle 200 at its upper end.

상기 작동 레버부(100)의 하단에는 반원 형상의 회전 안내홀(110)이 절개되어 형성된다.A semicircular rotation guide hole 11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lever part 100.

상기 회전 안내홀(110)의 직경은 일정 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diameter of the rotation guide hole 110 may be constant.

도 1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부(3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회전 지지 부재(310)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3, the supporting par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rotation supporting member 310 is formed at an upper end.

도 14는 투입 상태에서 작동 레버부(100)의 회전 중심이 이동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tha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part 100 is moved in the closed state.

도 14를 참조 하면, 지지부(300)의 상단에 형성되는 회전 지지 부재(310)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4, the rotation support member 31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300 is formed to be convex upward.

상기 회전 지지 부재(310)는 작동 레버부(100)의 회전 중심이 가변되도록 상기 작동 레버부(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 안내홀(110)의 내주에 일부가 접촉되며, 비대칭 형상의 곡면을 형성한다.The rotation support member 310 is partly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otation guide hole 11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part 100 so that the rotation center of the operation lever part 100 is variable, .

상기 회전 지지 부재(310)는 제 1곡률 반경(R1)을 갖는 제 1회전 지지 부재(311)와, 제 2곡률 반경(R2)을 갖는 제 2회전 지지 부재(312)로 구성된다.The rotation support member 310 is composed of a first rotation support member 311 having a first radius of curvature R1 and a second rotation support member 312 having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R2.

상기 제 1,2회전 지지 부재(311,312)는 서로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upport members 311 and 312 are formed as one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제 1,2회전 지지 부재(311,312)는 지지부(30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upport members 311 and 312 are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s the support portion 300.

상기 제 1회전 지지 부재(311)의 제 1곡률 반경(R1)은, 상기 제 2회전 지지 부재(312)의 제 2곡률 반경(R2) 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R1 of the first rotation support member 311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R2 of the second rotation support member 312. [

따라서, 회전 지지 부재(310)는, 제 1,2회전 지지 부재(311,312)를 구획하는 경계를 기준으로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된다.Accordingly, the rotation support member 310 is formed in an asymmetrical shape with reference to the boundary defining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upport members 311 and 312. [

또한, 상기 제 2회전 지지 부재(312)는 상기 경계의 상단에서 오프 위치를 향해 제 1회전 지지 부재(312)의 경사 보다 급한 경사를 이루는 것이 좋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rotation supporting member 312 be inclined at a higher speed than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rotation supporting member 312 from the upper end of the boundary toward the off posi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회전 지지 부재(311)의 제 1곡률 반경(R1)은, 작동 레버부(100)의 하단에 형성되는 회전 안내홀(110)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R1 of the first rotation support member 3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curvature of the rotation guide hole 11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lever portion 100 It is good.

더하여, 상기 지지부(300)의 상단에는 한 쌍의 홈부(321,322)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pair of groove portions 321 and 322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300.

상기 한 쌍의 홈부(321,322)는 회전 지지 부재(310)를 기준으로 양측부에 형성되며, 제 1,2홈부(321,322)로 구성된다.The pair of grooves 321 and 32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310 and include first and second grooves 321 and 322.

여기서, 상기 제 1홈부(321)는 온 위치 측을 향해 배치되고, 제 2홈부(322)는 오프 위치 측을 향해 배치된다.Here, the first groove portion 321 is disposed toward the ON position side,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322 is disposed toward the OFF position side.

상기 제 1홈부(321)는 제 2홈부(322)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지부의 상단면을 기준으로 낮은 위치에 위치된다.The first groove portion 321 is located at a lowe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relative to the second groove portion 322. [

상기 작동 레버부(100)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 안내홀(110)을 경계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작동 레버부(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홈부(321,322)에 번갈아 위치되는 한 쌍의 지지 돌기(121,122)가 형성된다.The operation lever portion 100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guide hole 110 at a lower end thereof an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pair of grooves 321 and 322, The support protrusions 121 and 122 are formed.

설명의 편의 상, 상기 한 쌍의 지지 돌기(121,122)는 작동 레버부(100)의 회전에 따라 제 1홈부(321)에 위치될 수 있는 제 1지지 돌기(121)와, 제 2홈부(322)에 위치될 수 있는 제 2지지 돌기(122)로 설명한다.The pair of support protrusions 121 and 122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rotrusion 121 that can be positioned in the first groove portion 321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portion 100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121 that can be positioned in the second groove portion 322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제 2홈부(322)에는 경사면(323)이 형성된다.Here, the second groove portion 322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323.

상기 경사면(323)은 제 2홈부(322)의 끝단에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The inclined surface 323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322.

상기 경사면(323)은 작동 레버부(100)가 오프 위치를 따라 회전되는 경우, 제 2지지 돌기(122)가 제 2홈부(322)로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함과 아울러, 작동 레버부(100)가 온 위치로 회전시 제 2지지 돌기(122)를 제 2홈부(322)의 외부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The inclined surface 323 guides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22 to the second groove 322 and the operation lever portion 100 when the operation lever portion 100 is rotated along the off-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22 is slidably guided so as to be easily detached from the second groove portion 322 when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22 rotates to the ON position.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배선용 차단기의 작용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wiring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투입 상태Input state

도 9 및 도 14를 참조 하면, 투입 상태에서는 가동 접점부(70)는 고정 접점부(60)에 접촉되어 통전 상태를 이룬다.9 and 14, in the closed state, the movable contact portion 7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portion 60 to establish a current-carrying state.

이때, 작동 레버부(100)는 온 위치(도 9 상에서 왼쪽)에 회전되면, 작동 레버부(100)와 토글핀(50, 도 1 참조)을 서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80)은 압축되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operating lever portion 100 is rotated to the on position (left side in FIG. 9), the elastic spring 80 elastically supporting the operating lever portion 100 and the toggle pin 50 (see FIG. 1) State.

또한,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동 레버부(100)의 하단에 형성되는 회전 안내홀(110)은, 지지부(300)의 상단에 형성되는 회전 지지 부재(310)의 제 1회전 지지 부재(311)의 원주면에 접촉되는 상태를 이룬다.14, the rotation guide hole 11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lever part 100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support member 310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31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300, (311).

그리고, 작동 레버부(1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1지지 돌기(121)는 제 1홈부(321)에 삽입되는 상태를 이룬다.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21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lever part 1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part 321.

이때, 작동 레버부(100)는 제 1회전 중심(C1)을 이룬다.
At this time, the operation lever part 100 forms the first rotation center C1.

오프 상태Off state

도 15는 작동 레버부가 오프 상태로 이동 중의 작동 레버부의 회전 중심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작동 레버부가 오프 상태로 이동된 후의 작동 레버부의 회전 중심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5 is a view showing the rotation center of the operation lever portion while the operation lever portion is moving to the off state, and FIG. 16 is a view showing the rotation center of the operation lever portion after the operation lever portion is moved to the off state.

도 10을 참조 하면, 오프 상태에서는 가동 접점부(70)는 고정 접점부(60)로부터 분리되는 위치로 회전 위치된다.Referring to FIG. 10, in the off state, the movable contact portion 70 is rotated to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portion 60.

이때, 작동 레버부(100)가 기구부의 구동에 의해 오프 위치(도 9 상에서 오른쪽)에 회전되면, 작동 레버부(100)와 토글핀(50)을 서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80)은 인장되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operating lever portion 100 is rotated to the off position (right side in Fig. 9) by the driving of the mechanism portion, the elastic spring 80 elastically supporting the operating lever portion 100 and the toggle pin 50 against each other, Can be achieved.

또한,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동 레버부(100)가 오프 위치를 따라 회전되면서 작동 레버부(100)의 하단에 형성되는 회전 안내홀(110)은, 지지부(300)의 상단에 형성되는 회전 지지 부재(310)의 제 1회전 지지 부재(311)의 원주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회전된다.15, the rotation guide hole 11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lever part 100 while the operation lever part 100 is rotated along the off position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300 Is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 support member 311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310 which is the first rotation support member 311.

이와 동시에, 작동 레버부(1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2지지 돌기(122)는 제 2홈부(322)의 끝단에 형성되는 경사면(323)에 접촉되기 시작한다.At the same time,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2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lever part 100 starts to contact the inclined surface 323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groove part 322.

이때, 작동 레버부(100)의 회전 중심은, 투입 상태에서의 제 1회전 중심(C1)에서 오프 위치를 따라 이동되어 제 2회전 중심(C2)을 이룬다.At this time, the rotation center of the operation lever unit 100 is moved along the off position at the first rotation center C1 in the closed state to form the second rotation center C2.

그리고,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동 레버부(100)가 오프 위치에 이르면, 제 1회전 지지 부재(311)는 회전 안내홀(11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제 2회전 지지 부재(312)가 회전 안내홀(110)의 내주면에 근접된다.16, the first rotation support member 311 is spac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guide hole 110 and the second rotation support member 312 Is close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on guide hole 110.

이와 아울러, 작동 레버부(1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2지지 돌기(122)는 경사면(323)을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제 2홈부(322)에 삽입되도록 위치된다.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2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lever part 100 is positioned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part 322 while being slid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323.

이에 따라, 작동 레버부(100)의 회전 중심은, 제 2회전 중심(C2)에서 제 3회전 중심(C3)으로 이동된다.Thus, the rotation center of the operation lever portion 100 is moved from the second rotation center C2 to the third rotation center C3.

상기와 같은 작동을 통해, 본 발명에서의 작동 레버부(100)는 온 위치에서 오프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는 경우, 회전 중심이 설정된 범위에서 이동된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when the operation lever portio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between the ON position and the OFF position, the rotation center is moved in the set range.

다음은, 작동 레버부에 온 위치로 복귀시키는 힘의 관점에서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given in terms of the force for returning the operating lever portion to the on position.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작동 레버부의 회전 중심이 이동되는 경우의 고립 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7 is a view showing an isolation angle when the rotation center of the operation leve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도 8을 참조 하면, 종래의 작동 레버부(100)는 토글핀(50)과 탄성 스프링을 통해 탄성적으로 연결되고, 작동 레버부가 온 위치에서 오프 위치 사이에 탄성 스프링의 가변각은 1.6도를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8, the conventional operation lever portion 100 is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toggle pin 50 through an elastic spring, and the variable angle of the elastic spring between the ON position and the OFF position of the operation lever portion is 1.6 degrees .

즉, 작동 레버부가 오프 상태에 위치되면, 탄성 스프링은 축세 상태를 이루고, 1.6도 만큼의 사이각을 통한 탄성 복귀력을 작동 레버부로 전달한다.That is, when the operating lever portion is placed in the OFF state, the elastic spring forms a charged state and transmits the elastic return force through the angle of 1.6 degrees to the operating lever portion.

그러나, 이와 같은 고립 각을 형성하는 경우, 가동 접점부가 융착되는 경우, 온 상태로 복귀되지 못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된다.However, when such an isolation angle is formed, a problem that the movable contact portion is not returned to the ON state frequently occurs.

도 17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작동 레버부(100)의 회전 중심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회전 중심(C1)에서 제 3회전 중심(C3)으로 이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rotation center of the operation lever por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ved from the first rotation center C1 to the third rotation center C3 as described above.

즉, 작동 레버부(100)가 온 상태에 위치되는 경우, 작동 레버부(100)는 제 1회전 중심(C1)에 위치되고, 오프 상태에 위치되는 경우, 작동 레버부(100)는 제 3회전 중심(C3)에 위치된다.That is, when the operation lever portion 100 is positioned in the ON state, the operation lever portion 100 is located at the first rotation center C1, and when the operation lever portion 100 is positioned in the OFF state, And is located at the rotation center C3.

여기서, 상기 제 1회전 중심(C1)은, 종래의 작동 레버(10, 도 6참조)의 회전 중심(C)과 일치된다.Here, the first rotation center C1 coincides with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conventional operation lever 10 (see Fig. 6).

따라서, 제 1,3회전 중심(C1,C3) 사이 간격 만큼의 사이각인 고립각이 더 커지게 된다.Therefore, the isolation angle which is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third rotation centers C1 and C3 becomes larger.

이에 따라, 작동 레버부(100)가 온 위치에서 오프 위치 사이에 탄성 스프링(80)의 가변각은 8.1도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variable angle of the elastic spring 80 between the ON position and the OFF position of the operation lever unit 100 can be 8.1 degrees.

따라서, 종래의 1.6도에 비해 수배를 이룰 수 있다.Accordingly, it can be multiplied by several times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1.6 degree.

즉, 작동 레버부(100)가 오프 상태에 위치되면, 탄성 스프링(80)은 인장 상태를 이루고, 8.1도 만큼의 사이각을 통한 탄성 복귀력을 작동 레버부(100)로 전달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operating lever portion 100 is placed in the OFF state, the elastic spring 80 is in the tensioned state and can transmit the elastic return force through the angle of 8.1 degrees to the operating lever portion 100.

결론적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부(100)는 탄성 스프링(80)에 의한 복귀 탄성력이 도 8의 경우 대비 수배 크게 형성된다.17, the elasticity of the operation lever part 100 by the resilient spring 80 is greater than that in the case of FIG. 8, as shown in FIG.

따라서, 가동 접점부(70)가 융착되는 경우, 온 상태로 용이가게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when the movable contact portion 70 is f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vable contact portion 70 can be easily returned to the ON state.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르는 경사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8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inclined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경사면(323)은 하방을 따라 오목한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the inclined surface 323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a concave curvature along the downward direction.

상기 경사면(324)은 작동 레버부(100)가 온 위치 및 오프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는 경우, 작동 레버부(1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2지지 돌기(122)가 제 2홈부(322)로의 삽입 또는 이탈을 용이하게 하여, 작동 레버부가 온 위치로 쉽게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12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lever part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part 322 when the operation lever part 100 is rotated between the ON position and the OFF position. Thereby facilitating the insertion or removal, thereby facilitating rotation of the operating lever portion to the on position.

이에, 경사면(324)을 하방으로 오목한 곡률을 형성하는 경우, 작동 레버부(100)가 회전되면서, 작동 레버부(1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2지지 돌기(122)가 경사면(32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에, 걸리거나 마찰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2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ctuating lever portion 100 may be inclined to the inclined surface 324 when the actuating lever portion 100 is rotat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occurrence of excessive engagement or friction when sliding along.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작동 레버부(100)의 하단, 바람직하게는 회전 안내홀을 홈으로 형성하여, 상술한 회전 지지 부재(310)가 삽입되도독 구성할 수도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lever part 100, preferably the rotation guide hole, may be formed as a groove, and the rotary support member 310 may be inserted or docked.

따라서, 작동 레버부(100)가 수회 회전되면서 회전 지지 부재(310)와 회전 안내홀과의 분리 또는 이탈 현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operation lever portion 100 may be rotated several times to prevent the rotation support member 310 from separating from or separating from the rotation guide hole.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 돌기의 다른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9 is a view showing another shape of a support pro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쌍의 지지 돌기(121,122) 중, 상기 오프 위치 측을 향하는 제 2홈부(322)에 위치되는 제 2지지 돌기(122)의 하단에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19, a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22 located in the second groove portion 322 facing the off-position side among the pair of support protrusions 121 and 1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즉, 제 2지지 돌기(122)의 하단에 곡면을 형성하여, 경사면(323, 도 14참조)과의 접촉 및 슬라이딩 이동시 마찰력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회전 동작을 더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other words, a curved surfac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22 so that frictional force can be remarkably reduced when contacting or sliding with the inclined surface 323 (see Fig. 14), and an advantage that the rotation operation can be induced more smoothly have.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2지지 돌기(121,122)의 하단에 구름 베어링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rolling bearing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trusions 121 and 122.

상기와 같이 구름 베어링을 설치하는 경우, 제 2지지 돌기(122)에 설치되는 구름 베어링(122)은 경사면(323, 도 14참조)을 따라 구름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마찰력 증가를 효율적으로 방지함과 아울러, 접점 융칙시 작동 레버부(100)가 온 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경사면을 따라 구름 동작되어 제 2지지 돌기(122)를 제 2홈부(322)에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rolling bearing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olling bearing 122 installed on the second supporting protrusion 122 can roll along the inclined surface 323 (see FIG. 14),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an increase in frictional force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22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econd groove portion 322 when the operation lever portion 100 is rotated to the ON position.

이상, 본 발명의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the concrete embodiments of the wiring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작동 레버부
110 : 회전 안내홀
121 : 제 1지지 돌기
122 : 제 2지지 돌기
200 : 핸들
300 : 지지부
310 : 회전 지지 부재
311 : 제 1회전 지지 부재
312 : 제 2회전 지지 부재
321 : 제 1홈부
322 : 제 2홈부
323, 324 : 경사면
100: Operation lever part
110: rotation guide hole
121: first support projection
122: second supporting projection
200: Handle
300:
310:
311: first rotation supporting member
312: second rotation supporting member
321: first groove
322: second groove
323, 324:

Claims (9)

고정 접점부와 가동 접점부 간의 통전 상태를 이루는 온 위치와, 차단 상태를 이루는 오프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작동 레버부; 및
상기 작동 레버부의 회전 중심을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An operating lever portion rotatable between an on-position that establishes a current-carrying state between the stationary contact portion and the movable contact portion, and an off-position that is in a cut-off state; And
And a support portion for varying the rotation center of the operation lever por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부의 하단에는, 반원 형상의 회전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 중심이 가변되도록 상기 작동 레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 안내홀에 일부가 접촉되며, 비대칭 형상의 곡면을 형성하는 회전 지지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micircular rotation guide hol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lever portion,
Wherein a rotary support member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to form a curved surface having an asymmetric shape, the rotary guide hole being partially in contact with the rotation guide hol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portion to vary the rotation cent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 부재는,
제 1곡률 반경을 이루는 제 1회전 지지 부재와,
상기 제 1회전 지지 부재와 연결되며, 제 2곡률 반경을 이루는 제 1회전 지지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제 1곡률 반경은, 상기 제 2곡률 반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 1회전 지지 부재는, 상기 온 위치 측을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otation support member
A first rotation supporting member having a first radius of curvature,
And a first rotation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upport member and having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And the first rotation supporting member is disposed toward the on-position sid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 지지 부재의 양측부에 한 쌍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홈부 중, 상기 온 위치 측을 향해 배치되는 홈부가 더 낮게 형성되도록 서로 다른 수평 위치를 이루고,
상기 작동 레버부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 안내홀을 경계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작동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홈부에 번갈아 위치되는 한 쌍의 지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The method of claim 3,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 pair of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Wherein a groove portion disposed toward the on-position side of the pair of groove portions is formed in a different horizontal position so as to be lower,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lever portion,
Wherein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guide hole and alternately disposed in the pair of the groove portion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is form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홈부 중, 상기 오프 위치 측을 향해 배치되는 홈부에는, 상기 작동 레버의 회전에 따라 위치되는 해당 지지 돌기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roove portion disposed toward the off-position side of the pair of groove portions is further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upport protrusion position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하방을 따라 오목한 곡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forms concave curvature along the downward direc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돌기 중, 상기 오프 위치 측을 향하는 홈부에 위치되는 해당 지지 돌기의 하단에는 곡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curved surfac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which is located in the groove portion facing the off position side of the pair of support protrusion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부가 온 위치와 오프 위치 사이를 회전하는 경우,
상기 작동 레버부가 상기 온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한 쌍의 지지 돌기 중, 상기 온 위치 측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는, 상기 수평 위치가 더 낮게 형성되는 홈부에 위치되고,
상기 작동 레버부가 상기 오프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한 쌍의 지지 돌기 중, 상기 오프 위치 측에 배치되는 다른 하나는, 상기 수평 위치가 더 높게 형성되는 홈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operating lever portion rotates between the on position and the off position,
When the operating lever portion is in the on position,
One of the pair of support protrusions disposed on the on position side is located in a groove portion where the horizontal position is formed to be lower,
When the operating lever portion is in the off position,
And the other of the pair of support protrusions disposed on the off-position side is located in a groove portion where the horizontal position is highe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부의 회전 중심은,
상기 한 쌍의 홈부에 위치되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otation center of the operating lever portion
And wherein the circuit breaker is positioned and variable in the pair of the groove portions.
KR1020150056531A 2015-04-22 2015-04-22 Circuit breaker KR1023426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531A KR102342667B1 (en) 2015-04-22 2015-04-22 Circuit br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531A KR102342667B1 (en) 2015-04-22 2015-04-22 Circuit bre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140A true KR20160126140A (en) 2016-11-02
KR102342667B1 KR102342667B1 (en) 2021-12-23

Family

ID=5751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531A KR102342667B1 (en) 2015-04-22 2015-04-22 Circuit br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66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5827A (en) * 2003-05-27 2004-12-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ircuit breaker
JP2010287331A (en) * 2009-06-09 2010-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5827A (en) * 2003-05-27 2004-12-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ircuit breaker
JP2010287331A (en) * 2009-06-09 2010-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667B1 (en)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610B1 (en) Contactor assembly of circuit breaker
EP2015340B1 (en) Time delay output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KR100676968B1 (en) A contactor assembly for a current limitable circuit breaker
EP3567620B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8525057B2 (en) Switching unit for a circuit breaker having a rocker lever
KR20160126140A (en) Circuit breaker
KR100978270B1 (en) Current limiter of circuit breaker
EP1294005B1 (en) Improvement in blade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EP3067911B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2169821B1 (en) Arc Extinguishing Unit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10453637B2 (en) Direct current air circuit breaker
KR101072976B1 (en) Leakage breaker for preventing from flowing high current
EP2474993B1 (en) Circuit interruption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
KR100512263B1 (en) Moled case circuit breaker
KR101098227B1 (en) The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the rapidity repulsive force device
EP3364439B1 (en) Circuit breaker having circuit operating device
KR101265015B1 (en) Moving contacting assembly and a circuit braker having the same
KR101537679B1 (en) Device for displaying of contact in circuit breaker
KR200392656Y1 (en) A Trip Driving Mechanism for a Circuit Braker
EP1548784A2 (en) Interlocking apparatus of a leading under voltage trip mechanism for manual motor starter
KR102535348B1 (en) Pressure trip apparatus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1284920B1 (en) Moving contacting assembly and a circuit braker having the same
KR200437072Y1 (en) Circuit breaker
KR20130066053A (en) Moving contacting assembly and a circuit braker having the same
KR20170077659A (en) Structure of contacts for air circuit br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