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929A - 포텐셔미터 - Google Patents

포텐셔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929A
KR20160125929A KR1020160115031A KR20160115031A KR20160125929A KR 20160125929 A KR20160125929 A KR 20160125929A KR 1020160115031 A KR1020160115031 A KR 1020160115031A KR 20160115031 A KR20160115031 A KR 20160115031A KR 20160125929 A KR20160125929 A KR 20160125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dering
base material
target
solder
potentio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민
Original Assignee
박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민 filed Critical 박승민
Priority to KR1020160115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5929A/ko
Publication of KR20160125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005Surface mountable, e.g. chip trimmer potentiome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01Mounting; Suppor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46Arrangements of fixed resistors with intervening connectors, e.g. t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213Combined operation of electric switch and variable impedance, e.g. resistor, capacitor

Abstract

포텐셔미터의 몸체에 접지선이나 공통선 등의 도선을 납땜시에 납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몸체에 납땜 타겟을 형성한다. 납땜 타겟은 단순한 한 개의 작은 홀을 몸체에 천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납땜 타겟은, 몸체의 바탕재와 물리적으로 개방간극이 부분적으로 존재하여 온도 측면에서 바탕재와 분리되는 납땜을 위한 섬(island) 형태로도 가공할 수 있다. 즉, 납땜섬은 몸체의 바탕재와 부분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간극을 통해서 바탕재와 연결되어 납땜 인두 접촉시에 바탕재로의 열전달률보다 큰 열전달률을 갖는다. 전기적 연결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바탕재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개방간극으로 인해 바탕재로의 열전달이 억제되고 납땜섬의 국지적 가열이 촉진될 것이다.

Description

포텐셔미터 {Potentiometer}
본 발명은 가변저항, 전위차계 등으로도 불리는 포텐셔미터(potentiometer)에 관한 것이다.
포텐셔미터는 도 1과 같은 형태로 제작되어 저항값을 가변시켜서 전위차나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전기 부품이다. 보통 세 개의 리드(10a, 10b, 10c)에 도선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제 몸체(20)에 도선을 납땜하여 사용한다. 특히 오디오기기나 악기용으로 사용하는 포텐셔미터의 경우에는 몸체(20)에 접지선이나 공통선 등의 도선을 납땜으로 부착하는 경우가 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2-0010129, 공개일자 1992년 6월 2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70122, 공고일자 2014년 3월 4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36203, 공고일자 2001년 9월 28일
악기, 오디오 기기 등에 사용되는 포텐셔미터의 몸체에 접지선이나 공통선 등의 도선을 납땜시에 몸체 표면에 도선을 직접 손으로 잡아 접촉시킨 상태에서 납땜 작업을 하므로 도선 흔들림에 의해 납땜 불량이 발생하며, 몸체가 가열되고 땜납이 충분히 녹을 때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손으로 직접 잡으면 뜨거워서 안정적으로 도선을 접촉시킬 수 없다.
또한, 몸체의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서 몸체의 가열에 시간이 걸리고, 따라서 납땜 온도까지 충분히 올라가지 않아서 납땜 시간이 많이 걸리며 납땜 결과가 신통치 않아 속칭 냉납 현상이 일어나고, 인두의 장기간 접촉에 의하여 포텐셔미터의 다른 부위 및 인접 부품이 손상을 입거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수리시에는 납땜을 제거하고 새로 땜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어서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증폭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과제 해결을 위해, 몸체에의 도선 납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몸체에 납땜 타겟을 형성한다.
납땜 타겟은 단순한 한 개의 작은 홀을 몸체에 천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보다 더 효과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납땜 타겟을 다수의 홀로 형성할 수 있다.
다수 개의 홀들이 모여 하나의 홀 그룹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수의 홀은 홀들의 가상의 중앙점을 기준으로 점대칭 형태로 배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의 직경은 대부분의 오디오, 악기용 응용의 경우에 도선의 도전체 심(심재) 중 적어도 일부가 들어갈 정도의 직경이면 된다. 가령 0.2~1mm 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더 굵은 도선이 사용되는 응용의 경우에는 이 보다 더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납땜 타겟은 한 개 이상 형성하여 여러 개의 접지선이나 공통선 납땜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납땜 타겟은 몸체의 측면 또는 저면에 형성할 수 있다.
납땜 타겟은 프레스 타발 가공으로 형성 가능하다.
다수의 홀로 구성할 때의 납땜 타겟은 평면 형상말고도 바탕재보다 함몰된 형상으로 가공 가능하다.
납땜 타겟은, 몸체의 바탕재와 물리적으로 개방간극이 부분적으로 존재하여 온도 측면에서 바탕재와 분리되는 납땜을 위한 섬(island) 형태로도 가공할 수 있다. 즉, 납땜섬은 몸체의 바탕재와 부분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간극을 통해서 바탕재와 연결되어 납땜 인두 접촉시에 바탕재로의 열전달률보다 큰 열전달률을 갖는다. 전기적 연결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바탕재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개방간극으로 인해 바탕재로의 열전달이 억제되고 납땜섬의 국지적 가열이 촉진될 것이다.
납땜섬을 구성하는 개방간극에 도선 심재를 끼워서 고정하면 더욱 납땜 작업이 수월해진다.
납땜섬은 몸체 바탕재와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할 수도 있고, 몸체 바탕재보다 낮은 평면 상에 함몰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섬이 바탕재보다 낮아져서 납땜 작업이 더욱 용이해질 것이다.
납땜섬은 바탕재를 절개한 절개편을 외측으로 세우거나 내측으로 밀어서 형성 가능하다.
납땜섬과 바탕재와의 연결부의 개수는 임의적이다. 구조에 따라서는 한 개일 수도 있고 납땜섬의 안정성을 꾀하고 파손을 막기 위해서 두 개 이상일 수도 있다. 단, 바탕재와의 온도 측면에서의 분리성을 위해서는 네 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납땜섬의 형상은 임의적. 원형, 사각형, 타원형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평면 형상의 납땜섬 말고도, 도선을 끼워서 납땜할 수 있도록 도선이 삽입될 수 있는 반원통 형상의 납땜섬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바탕재에서 돌출된 반원통 형상 또는 함몰된 반원통 형상으로 가공될 것이다.
이상의 과제 해결 수단은 도면과 함께 설명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텐셔미터의 몸체에 접지선이나 공통선 등의 도선을 납땜시에 도선 고정이 용이하여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도선을 납땜할 수 있으며, 납땜섬의 온도가 바탕재보다 충분히 빠르게 올라가서 납땜 작업의 품질이 향상되며 생산성이 크게 개선되며, 수리가 용이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포텐셔미터의 외관도
도 2~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텐셔미터의 한 실시예의 설명도.
도 8~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포텐셔미터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포텐셔미터의 두 가지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한다.
도 2~도 7의 실시예에서 보듯이 포텐셔미터 몸체 표면에의 도선 납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몸체(20)의 저면에 납땜 타겟으로서 작은 홀(30)을 천공 형성하였다. 도선의 심선을 홀(30)에 끼운 상태로 납땜하면 한결 수월하게 납땜을 할 수 있다.
도 2에서 홀(30)은 단순히 한 개 천공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3에서와 같이 여러 개의 접지선이나 공통선 납땜에 대응하기 위하여 홀(30)을 다수 개 천공할 수도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다수 개의 홀들이 모여 하나의 홀 그룹(40)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홀 그룹(40) 자체도 1조 이상 다수 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보다 다양하게 응용하여 납땜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홀 그룹(40)의 가상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각 홀들을 점대칭 형태로 배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30) 또는 홀 그룹(40)은 프레스에 의한 타발 가공으로 천공 형성한다. 천공은 도 6의 (a)처럼 몸체의 바탕재료와 수직으로 천공할 수 있고, (b)처럼 경사지게 천공할 수 있다. (b)의 경우에는 도선의 삽입이 측면에서 이루어져 작업이 보다 더 자연스럽게 되며 플럭스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이 다소 억제될 것이다.
또한, 도 7과 같이, 다수의 홀로 홀 그룹(40)을 형성할 때에는 각 홀이 이루는 중앙 영역(50)이 몸체 바탕재와 동일한 평면으로 하지 않고 바탕재보다 아래로 함몰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중앙 영역(50) 자체가 우수한 납땜 타겟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납땜 타겟으로서의 홀(30)은 바탕재에 천공 형성한 구멍 형태이었으나, 도 8~13을 보면, 다른 실시예의 납땜 타겟으로서 물리적으로 개방간극(65)이 부분적으로 존재하여 온도 측면에서 바탕재(25)와 분리되는 납땜을 위한 섬(island) 형태로 된 납땜 타겟(이하, 납땜섬(60))을 볼 수 있다. 바탕재(25)와의 사이에 있는 개방간극(65)으로 인해 바탕재(25)로의 열전달이 억제되어 납땜섬(60)의 조기 가열이 촉진된다. 개방간극(65)도 일종의 홀이므로 이 개방간극(65)에 도선(70)의 심재(75)를 끼워서 고정하면 더욱 작업이 수월해질 것이다.
도 8과 같은 형태의 납땜섬(60)은 몸체 바탕재(25)와 동일한 평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도 9와 같이 납땜섬(60)을 바탕재(25)의 외측(도면에서는 상측)으로 세우거나 내측(도면에서는 하측)으로 밀어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납땜섬(60)에의 납땜이 더욱 용이해질 것이다.
납땜섬(60)과 바탕재(25)와의 연결부(67)의 수는 임의적이다. 구조에 따라서 한 개일 수도 있고 납땜섬(60)의 안정성을 꾀하고 파손을 막기 위해서 두 개 이상일 수도 있다. 그러나 바탕재와의 온도 측면에서의 분리성을 위해서는 네 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8은 연결부(67)가 한 개인 것을 나타내었으며, 도 10에는 차례대로 연결부(67)가 두 개, 세 개, 네 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물론 납땜섬(60)의 형상은 임의적이다. 가령, 원형, 사각형, 타원형 등으로 가공할 수 있다.
도 11은 납땜섬(60)이 그 주변의 바탕재(25)와 동일 평면에 있지 않고 하부로 함몰되도록 가공된 것을 나타낸다. (a)는 납땜섬(60)이 평탄한 면으로 된 것을 나타내고 (b)는 납땜섬(60)이 아래로 오목하게 곡률 면으로 된 것을 나타낸다. 도 11과 같이 바탕재(25)보다 낮은 위치에 납땜섬(60)을 가공함으로써 납땜섬(60)에의 납땜 작업이 더 용이해진다.
도 12는 납땜섬(60)을 돌출 또는 함몰된 반원통 형상으로 가공한 것을 나타낸다. (a)는 반원통 형상의 납땜섬(60)이 돌출된 것을 나타내고 (b)는 납땜섬(60)이 함몰된 것을 나타낸다. 측면의 평면 반원 부위는 개방된 개방 개방간극(65)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납땜섬(60)이 반원통 형태로 입체적으로 가공되고 개방 개방간극(65)에 도선의 심재(도시하지 않음)를 끼울 수 있게 되므로 납땜 작업이 한층 수월해질 것이다.
도 12의 납땜섬(6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13과 같이 작업하면 된다. 도 13에서와 같이 바탕재(25)에 개방 개방간극(65)을 두 군데 평행하게 절개 형성한 후에 개방 개방간극(65) 사이의 공간을 원통형 프레스로 눌러서 도 12와 같은 반원통형 납땜섬(60)을 형성할 수 있다.
몸체(20) 홀(30) 홀 그룹(40) 중심점(C) 중앙 영역(50) 개방간극(65) 바탕재(25) 납땜섬(60) 도선(70) 심재(75) 연결부(67)

Claims (7)

  1. 포텐셔미터의 금속제 몸체에 도선을 납땜할 수 있는 납땜 타겟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텐셔미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 타겟은 몸체에 천공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텐셔미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 타겟은 몸체에 천공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들이 모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 그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텐셔미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 타겟은 몸체의 바탕재와 부분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간극을 통해서 바탕재와 연결되어 납땜 인두 접촉시에 바탕재로의 열전달률보다 큰 열전달률을 갖는 납땜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텐셔미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 타겟은 바탕재의 평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텐셔미터.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 타겟은 바탕재의 평면보다 낮은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텐셔미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섬은 바탕재 평면으로부터 돌출 또는 함몰된 반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텐셔미터.
KR1020160115031A 2016-09-07 2016-09-07 포텐셔미터 KR20160125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031A KR20160125929A (ko) 2016-09-07 2016-09-07 포텐셔미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031A KR20160125929A (ko) 2016-09-07 2016-09-07 포텐셔미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929A true KR20160125929A (ko) 2016-11-01

Family

ID=57485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031A KR20160125929A (ko) 2016-09-07 2016-09-07 포텐셔미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592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0129A (ko) 1990-11-14 1992-06-26 시끼 모리야 포텐셔미터
KR960015916U (ko) * 1994-10-28 1996-05-17 부품부착용 홈이 가공된 절연기판
KR200236203Y1 (ko) 2001-02-09 2001-09-28 조성대 가변저항 스위치 볼륨
KR101370122B1 (ko) 2012-09-26 2014-03-04 주식회사기원전자 노이즈를 최소화한 포텐쇼미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0129A (ko) 1990-11-14 1992-06-26 시끼 모리야 포텐셔미터
KR960015916U (ko) * 1994-10-28 1996-05-17 부품부착용 홈이 가공된 절연기판
KR200236203Y1 (ko) 2001-02-09 2001-09-28 조성대 가변저항 스위치 볼륨
KR101370122B1 (ko) 2012-09-26 2014-03-04 주식회사기원전자 노이즈를 최소화한 포텐쇼미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2870B2 (ja) 半田レスの端子金具を備えた電気部品
US3951497A (en) Electrical buss connector
JP6124953B2 (ja) 二厚ダブルエンド雄型ブレード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17587A (ja) プレスフィット端子
US3202755A (en) Welded circuit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CN105393648B (zh) 具有侧面进入的端接焊盘的印制电路板
JP2007087930A (ja) ねじ端子
JPS6022473B2 (ja) はんだ不要電気接触子
US9004937B2 (en) Surface mount/through-hole crimp piercing zipcord connector
US3519982A (en) Method and means of forming electrical connections with conductors
KR101521386B1 (ko) 케이블 접속 방법
KR20160125929A (ko) 포텐셔미터
CA1104675A (en) Flexible electrical jump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1600433B2 (en) Stranded wire contact for an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stranded wire contact
US11909152B2 (en) Electrical device with terminal region and method for producing a terminal region
JP6257474B2 (ja) 電力用回路装置
US2997680A (en) Solderless printed circuit connectors
HU226629B1 (en) Module support for electrical/electronic components
US3012307A (en) Printed circuit connector
JP2017139394A (ja) 電子回路基板とfpcの電気接続構造および方法
JP3163214U (ja) 半導体装置
KR980012734A (ko) 접속 라인에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부재를 전기 접속하기 위한 방법
KR20160081630A (ko) 단선이 용이하도록 배선된 만능기판
EP2658035B1 (en) Terminal manufacturing method and board connector
TWI748691B (zh) 電流檢測裝置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