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625A -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625A
KR20160125625A KR1020150056258A KR20150056258A KR20160125625A KR 20160125625 A KR20160125625 A KR 20160125625A KR 1020150056258 A KR1020150056258 A KR 1020150056258A KR 20150056258 A KR20150056258 A KR 20150056258A KR 20160125625 A KR20160125625 A KR 20160125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of
power
plating
ventilation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진태
Original Assignee
한명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명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명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6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5625A/ko
Publication of KR20160125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02B1/565Cooling; Ventilation for cabi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2Details of mechan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모듈어레이에서 발전된 전력을 접속반으로 모으고 상기 접속반들에 모인 전기를 다시 모아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분배하는 인버터를 내부에 수납하는 수배전반이며, 지붕에 통풍구를 형성하여 별도의 송풍팬을 설치하지 않아도 자연환기에 의해 인버터 등의 전기장치에서 발생한 내부의 열을 낮출 수 있는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distributing box for photovoltaic power system}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모듈어레이에서 발전된 전력을 접속반으로 모으고 상기 접속반들에 모인 전기를 다시 모아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분배하는 인버터를 내부에 수납하는 수배전반이며, 지붕에 통풍구를 형성하여 별도의 송풍팬을 설치하지 않아도 자연환기에 의해 인버터 등의 전기장치에서 발생한 내부의 열을 낮출 수 있는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대체에너지 중에서는 태양광의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친환경 에너지인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있으며, 이러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단위 태양광모듈을 연결한 태양광모듈어레이의 구성으로 필요한 용량만큼을 설정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대용량의 발전소 건설 역시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태양광모듈은 하나의 태양전지판 즉, 단위 태양전지판을 말하며, 이러한 태양전지판은 10~20개 정도가 모여서 하나의 태양광모듈어레이가 되고, 상기 태양광모듈어레이에서 발전된 전기는 접속반에 모이게 되는데, 주로 10~20개 정도의 태양광모듈어레이가 하나의 접속반으로 전기를 보내게 되는데, 이를 위해 접속반은 통상 10~20개 정도의 태양광모듈어레이마다 하나씩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접속반은 통상 6~8개 정도가 하나의 인버터로 보내지고, 상기 인버터에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시킨 뒤 저장소나 부하로 보내게 되는데, 인버터를 옥외에 그대로 둘 수 없고 접속반의 전기를 받고 부하로 분해하기 위해 별도의 함이 설치되며 이러한 함을 수배전반이라 칭한다.
일반적인 수배전반은 인버터를 비롯한 각종 전기장치를 수납하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수배전반의 개폐를 위한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부케이스에 다수의 송풍팬을 설치하여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위해 별도의 전원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수배전반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서는 등록특허 제10-1232761호에 제안되어 있는 통기성 방수부재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이 있다.
상기 특허에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외함 케이스;와, 상기 외함 케이스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와, 상기 외함 케이스의 저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랜;과, 상기 외함 케이스의 저면과 베이스 플랜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공기 유입부;와, 상기 공기 유입부에 대응 형성되며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을 차단하고 통기성을 가지는 통기성 방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성 방수부재는, 0.2㎛의 기공을 무수히 갖는 수지계의 얇은 막으로 되어 상기 공기 유입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고어텍스 소재와, 상기 고어텍스 소재가 지면을 향해 통풍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외함 케이스의 하부 프레임 모서리에 고정되어 상기 고어텍스 소재를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베이스 플랜과 이격되도록 상기 절곡부의 하측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어텍스 소재는, 상기 고정부와 절곡부 및 연장부에 의해 지지되어 빗물이 상기 외함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기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이 제안되어 있는데, 하부프레임에 공기유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유입부에 통기성 방수부재를 설치하는 작업이 무척 번거롭고 고어텍스 소재의 경우 그 재료비가 고가이므로 수배전반 전체의 제작비용이 상승되게 된다.
또한, 상기 특허에 제안된 수배전반의 경우 고어텍스 소재의 공기유입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들어와서 내부의 열과 함께 배출되려면 별도의 송풍팬이 필요하고, 이로써 송풍팬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장치가 별도로 구성되어야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배전반을 제공하되, 지붕에 통풍구를 둘 이상 형성하여 별도의 송풍팬을 설치하지 않아도 자연환기에 의해 수배전반 내부의 열을 낮출 수 있는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지붕을 두 개의 철판으로 구성하여 상부 철판의 통풍구를 통해 들어온 빗물이 하부 철판에 의해 수배전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측면판과 후편판을 둘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 구성하여 용융도금으로 표면처리를 할 때 작업성을 높이고, 자재의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은 태양광발전에 사용되는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은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둘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있는 측면판 및 후면판과, 상기 측면판 사이에 결합되며 수배전반의 개폐를 위해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측면판, 후면판 및 도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붕에는 수배전반 내부의 열을 낮추기 위한 통풍구가 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은 지붕에 통풍구를 둘 이상 형성하여 별도의 송풍팬을 설치하지 않아도 자연환기에 의해 수배전반 내부의 열을 낮출 수 있으며, 지붕을 두 개의 철판으로 구성하여 상부 철판의 통풍구를 통해 들어온 빗물이 하부 철판에 의해 수배전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측면판과 후편판을 둘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 구성하여 용융도금으로 표면처리를 할 때 작업성을 높이고, 자재의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분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붕의 일부분 절개구성도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모듈어레이에서 발전된 전력을 접속반으로 모으고 상기 접속반들에 모인 전기를 다시 모아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분배하는 인버터를 내부에 수납하는 수배전반이며, 지붕에 통풍구를 형성하여 별도의 송풍팬을 설치하지 않아도 자연환기에 의해 인버터 등의 전기장치에서 발생한 내부의 열을 낮출 수 있는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분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붕의 일부분 절개구성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은 태양광발전에 사용되는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은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에 결합되며 둘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있는 측면판(2) 및 후면판(3)과, 상기 측면판(2) 사이에 결합되며 수배전반의 개폐를 위해 설치되는 도어(4)와, 상기 측면판(2), 후면판(3) 및 도어(4)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붕(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붕(5)에는 수배전반 내부의 열을 낮추기 위한 통풍구(6)가 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프레임(1)은 수배전반의 뼈대를 이루는 구성으로 통상 앵글로 불리는 "ㄱ"자 철판을 조립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도어(4)가 결합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통상 육면체 형상으로 조립된다.
상기 프레임(1)에는 측면판(2)과 후면판(3)이 결합되는데, 측면판(2)은 도어(4)를 바라보는 방향에서 좌우 양쪽에 조립된 판이며, 후면판(3)은 도어(4)의 맞은 편에 조립된 판이며, 하부에는 바닥판(7)이 조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판(2)과 후면판(3)은 하나의 판이 아닌 둘 이상으로 나뉘어져 분리된 상태로 제작되고, 이후 여러 장으로 분리된 판이 조립되어 하나의 측면판이나 후면판이 된다. 이는 측면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므로 하나의 판을 이용해서 가공하기에는 가공장치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져야 하고 가공하기가 어려우므로, 그 크기를 나뉘어서 제작한 뒤 이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제작하는 것이 편리하다.
상기 도어(4)는 서로 마주보는 측면판(2) 사이에 설치되며, 도어(4)의 일측에는 수배전반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1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측면판(2), 후면판(3) 및 도어(4)의 상부에는 지붕(5)이 결합되는데, 상기 지붕(5)에는 수배전반 내부의 열을 낮추기 위한 통풍구(6)가 둘 이상 형성되어 있다.
즉, 수배전반 내에는 인버터, 변압기 등 각종 전기장치들(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전기장치들은 구동 중 많은 열이 발생된다. 특히 태양광발전장치에 사용되는 수배전반의 경우 옥외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직사광선에 그대로 노출되는데, 여름철의 경우 직사광선에 의한 열과 함께 전기장치들에 의해 발생한 열이 이중으로 가중되어 수배전반 내의 온도가 급격히 올라가는데 이로 인해 전기장치들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실제 여름철에 종래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해보면 60~80℃에 이르고 특히 상부의 온도는 하부의 온도보다 높은데, 본 발명은 이에 착안하여 지붕에 공기가 통할 수 있는 통풍구(6)를 다수 설치하여 자연환기에 의해 열이 수배전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측면판(2)과 후면판(3) 및 도어(4)에 형성된 통풍구를 통해 외기가 수배전반 내부로 들어오면 인버터 등의 전기장치에 의해 데워진 공기는 수배전반의 위로 올라가게 되므로 외기와 내부 공기의 온도차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대류가 발생하고 특히 지붕에 형성된 통풍구(6)를 통해 비교적 높은 온도의 외기가 수배전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별도의 환풍팬이 없어도 수배전반 내부의 공기가 자연스럽게 순환되고 이로써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지붕(5)에 형성된 통풍구(6)는 비교적 온도가 높은 공기의 배출에는 효과가 높으나, 비가 내릴 경우 빗물이 수배전반 내부로 들어와서 전기장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붕(5)을 두 개의 철판으로 구성하여, 상부철판(8)의 통풍구(6)를 통해 들어온 빗물이 하부철판(9)에 의해 수배전반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해주도록 하며, 하부철판(9)의 양측에는 가이드판(11)을 설치하여 상부철판(8)을 통과하여 들어온 빗물이 하부철판(9)을 넘어 수배전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즉, 통풍구(6)는 철판이 프레스에 의해 뚫리면서 일부분만 개방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로써 통풍구(6)를 통해 들어오는 빗물의 양이 많지 않으며, 통풍구(6)를 통해 들어온 빗물마저 하부철판(9)에 의해 차단되므로 빗물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데, 하부철판(9)까지 들어온 빗물은 하부철판의 경사로 인해 자연스럽게 아래로 흘려 내려 지붕에 형성된 배출구(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전기장치의 상부에는 빗물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별도의 차단막을 부가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철판(8)의 통풍구(6)와 하부철판(9)의 통풍구(6')는 지면에서 볼 때 서로 어긋나 있어 수배전반 내부로 빗물의 유입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상부철판(8)에 형성된 통풍구(6)와 하부철판(9)에 형성된 통풍구(6')가 지면에서 볼 때 서로 같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아닌 지그재그 방식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낙하하는 빗물이 상부철판(8)의 통풍구(6)를 통과하더라도 하부철판(9)의 통풍구(6')쪽으로 떨어지는 양이 최소화될 수 있어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 측면판(2)과 후면판(3)은 둘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각 조각들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서로 고정 결합되며, 용융도금으로 표면 처리되어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측면판(2)과 후면판(3)은 수배전반에 수납되는 전기장치로 인해 그 크기가 어느 정도 이상이 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수배전반의 측면판(2)과 후면판(3)은 둘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 구성하여 자재의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며, 측면판(2)이나 후면판(3)에 일부분 파손될 경우 파손된 부분만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비용이 저렴하며 용이하다.
또한, 이러한 측면판과 후면판의 분리된 형태는 용융도금으로 표면처리를 할 때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수배전반은 재료는 일반적인 강판을 사용할 수 있는데, 종래 수배전반의 주된 재료는 스테인리스스틸(stainless steel)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보통인데, 이는 수배전반이 옥외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강도가 보장되어야 하고 녹이 슬지 않아야하기 때문이다.
그런, 이러한 스테인리스스틸의 수배전반은 그 가격이 비교적 고가이고, 무게가 무거우며 열전도율이 낮아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는데,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일반 강판에 아연도금을 한 아연도금강판을 수배전반의 재료로 사용한다.
특히 용융아연도금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산처리를 위한 준비작업인 전처리공정(S 10)과, 표면의 이물질 및 녹을 제거하기 위한 산처리공정(S 20)과, 표면의 산을 제거하기 위한 수세공정(S 30)과, 원활한 도금을 위해 약품으로 처리하는 플럭싱공정(S 40)과, 플럭싱공정이 끝난 소재를 건조하는 건조공정(S 50)과, 용융된 아연이 들어가 있는 도금조에 소재를 넣어 도금하는 도금공정(S 60)과, 도금이 끝난 소재를 자연 냉각하거나 냉각수에 넣어 냉각하는 냉각공정(S 70)과, 도금면을 확인하여 불량 여부를 파악하는 후처리공정(S 80)을 거쳐 이루어진다.
먼저, 전처리공정(S 10)은 강판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유지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탈지처리를 해주는 공정으로써, 수산화나트륨(NaOH)과 탄산나트륨(Na2CO3)을 물에 녹인 전처리 용액에 강판을 일정시간 담가 빼낸다.
이때 수산화나트륨(NaOH)과 탄산나트륨(Na2CO3)의 배합비율은 수산화나트륨5~10 중량%에 탄산나트륨 90~9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의 배합량은 강판의 표면에 부착된 유지성분의 양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전처리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통상 3~10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전처리 용액을 70~80℃로 온도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전처리를 행할 경우 보다 빠른 시간에 전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산처리공정(S 20)은 탈지공정을 거친 강판의 표면에 묻어 있는 녹과 스케일 등을 제거하고 도금공정에서 강판과 아연의 반응성을 높이기 위한 공정으로써, 염화수소(HCl)를 물에 희석한 산처리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희석비는 염화수소 10~20 중량%에, 물 80~90 중량%를 섞은 것이 바람직하며, 가능하면 염화수소의 함유량이 산처리 용액의 총중량과 대비하여 20 중량%를 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산처리공정(S 20)은 통상 3~10분 정도가 바람직하여, 이 역시 산처리 용액의 온도가 50~60℃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산처리를 행할 경우 보다 빠른 시간에 산처리를 행할 수 있는데, 산처리의 시간이 10분을 초과하여 너무 길어질 경우 강판의 표면에 불순물이 부착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시간 내에서 행하여야 한다.
상기 수세공정(S 30)은 산처리공정(S 20)에 의해 강판의 표면에 묻어 있는 산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으로써, 강판의 표면에 묻은 산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산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경우 강판의 표면에 산화철로써 남게 되어 이러한 산화철에는 아연이 부착되지 않아 도금층의 박리가 일어날 수 있다.
상기 플럭싱공정(S 40)은 도금 공정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강판과 아연 간의 접착성을 높여주기 위한 필수 공정으로써, 강판의 표면에 남아 있는 염기성 철염 및 산화피막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다.
상기 플럭싱공정(S 40)은 염화아연(ZnCl2)과 암모늄(NH4Cl)과 물을 섞은 용액이 들어가 있는 처리조에 소재를 넣고 뺀 뒤 예열건조를 통해 예열 및 건조하는데, 플럭싱 용액은 염화아연(ZnCl2) 10~20 중량%, 암모늄(NH4Cl) 10~20 중량%, 물 60~75 중량%를 섞은 용액을 사용하며, 온도는 50~80℃, 시간은 1~5분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염화아연과 암모늄은 그 배합비율을 동일하게 가져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온도를 높일수록 플럭싱공정에 소모되는 시간이 짧아질 수 있으나, 플럭싱 용액의 온도가 80℃를 초과한 상태에서 플럭싱공정(S 40)을 수행할 경우 염화아연에 의해 추후 수행할 도금공정에서의 아연과 강판의 접착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상술한 범위 내의 온도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상기 건조공정(S 50)은 플럭싱공정(S 40)이 끝난 소재를 건조하는 공정이며, 이때에는 가능한 강판의 표면이 산화되지 않도록 불활성 가스가 들어가 있는 열처리로에서 건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금공정(S 60)은 순수한 아연이 용융되어 있는 도금조에 강판을 넣고 도금하는 공정으로, 통상적으로 450℃ 내외에서 도금을 수행한다.
이때 도금조에 녹아 있는 용융아연이 계속되는 도금에 의해 불순물의 함유량이 높아질수록 도금면이 거칠어지고 심할 경우 도금면이 강판에서 쉽게 박리될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어느 정도의 수량만큼 도금을 행한 뒤 도금액을 교체해주어야 한다.
상기 냉각공정(S 70)은 도금이 끝난 소재를 자연 냉각하거나 냉각수에 넣어 냉각하는 공정으로, 자연 냉각의 경우 강판과 도금층과의 접착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는 반면 도금면이 무르게 되고, 냉각수를 이용한 냉각은 접착성은 떨어지나 도금면의 강도가 향상되므로, 사용환경에 따라 적절한 냉각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후처리공정(S 80)은 도금면을 확인하여 불량 여부를 파악하는 공정으로, 도금면이 거칠거나 박리가 일어날 경우 도금면을 벗겨내고 다시 하거나 스프레이 등을 이용해 불량이 발생한 부분을 보수해주는 공정이다.
이러한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용융아연도금층은 옥외에서 장시간 사용하여도 강판의 뒤틀림을 방지하게 되어 접속반의 수명을 향상시켜주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수배전반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트랜스포머반(변압기반), 분전반, 인버터반, ACB반(기중차단기반), VCB반(진공차단기 반) 등 다양한 곳에 사용이 가능하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은 지붕에 통풍구를 둘 이상 형성하여 별도의 송풍팬을 설치하지 않아도 자연환기에 의해 수배전반 내부의 열을 낮출 수 있으며, 지붕을 두 개의 철판으로 구성하여 상부 철판의 통풍구를 통해 들어온 빗물이 하부 철판에 의해 수배전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측면판과 후편판을 둘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 구성하여 용융도금으로 표면처리를 할 때 작업성을 높이고, 자재의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프레임 2. 측면판 3. 후면판
4. 도어 5. 지붕 6, 6'. 통풍구
7. 바닥판 8. 상부철판 9. 하부철판
10. 배출구 11. 가이드판 12. 투시창

Claims (5)

  1. 태양광발전에 사용되는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은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에 결합되며 둘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있는 측면판(2) 및 후면판(3)과, 상기 측면판(2) 사이에 결합되며 수배전반의 개폐를 위해 설치되는 도어(4)와, 상기 측면판(2), 후면판(3) 및 도어(4)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붕(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붕(5)에는 수배전반 내부의 열을 낮추기 위한 통풍구(6)가 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5)은 두 개의 철판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부철판(8)의 통풍구(6)를 통해 들어온 빗물이 하부철판(9)에 의해 수배전반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되는 것이 특징인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철판(8)의 통풍구(6)와 하부철판(9)의 통풍구(6')는 지면에서 볼 때 서로 어긋나 있어 수배전반 내부로 빗물의 유입이 최소화되는 것이 특징인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2)과 후면판(3)은 둘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각 조각들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서로 고정 결합되며, 용융도금으로 표면 처리되어 내구성을 높인 것이 특징인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2)과 후면판(3) 및 지붕(5)은 용융아연도금 방식을 이용해 표면처리되며, 상기 용융아연도금 방식은 산처리를 위한 준비작업인 전처리공정(S 10)과, 표면의 이물질 및 녹을 제거하기 위한 산처리공정(S 20)과, 표면의 산을 제거하기 위한 수세공정(S 30)과, 원활한 도금을 위해 약품으로 처리하는 플럭싱공정(S 40)과, 플럭싱공정이 끝난 소재를 건조하는 건조공정(S 50)과, 용융된 아연이 들어가 있는 도금조에 소재를 넣어 도금하는 도금공정(S 60)과, 도금이 끝난 소재를 자연 냉각하거나 냉각수에 넣어 냉각하는 냉각공정(S 70)과, 도금면을 확인하여 불량 여부를 파악하는 후처리공정(S 80)을 거쳐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
KR1020150056258A 2015-04-22 2015-04-22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 KR201601256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258A KR20160125625A (ko) 2015-04-22 2015-04-22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258A KR20160125625A (ko) 2015-04-22 2015-04-22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625A true KR20160125625A (ko) 2016-11-01

Family

ID=5748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258A KR20160125625A (ko) 2015-04-22 2015-04-22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562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1864A (zh) * 2017-07-25 2017-09-29 合肥铭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网站建设用配电柜
KR20180054250A (ko) * 2016-11-15 2018-05-24 한재규 파형강판 배전함
CN108616070A (zh) * 2018-05-10 2018-10-02 陈书画 一种电力用新型电力设备箱
KR102038463B1 (ko) * 2019-01-10 2019-10-30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 제어장치
KR102084140B1 (ko) 2019-08-13 2020-03-04 야베스텍 주식회사 내진성능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용 시스템 배전반
CN110932147A (zh) * 2020-01-06 2020-03-27 新昌次长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降温防火配电柜
CN112636692A (zh) * 2021-02-06 2021-04-09 杨新颖 一种光伏接线盒及其使用方法
CN116191227A (zh) * 2023-03-03 2023-05-30 北京惠朗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预警功能的印控仪供电设备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250A (ko) * 2016-11-15 2018-05-24 한재규 파형강판 배전함
CN107221864A (zh) * 2017-07-25 2017-09-29 合肥铭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网站建设用配电柜
CN108616070A (zh) * 2018-05-10 2018-10-02 陈书画 一种电力用新型电力设备箱
KR102038463B1 (ko) * 2019-01-10 2019-10-30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 제어장치
KR102084140B1 (ko) 2019-08-13 2020-03-04 야베스텍 주식회사 내진성능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용 시스템 배전반
CN110932147A (zh) * 2020-01-06 2020-03-27 新昌次长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降温防火配电柜
CN112636692A (zh) * 2021-02-06 2021-04-09 杨新颖 一种光伏接线盒及其使用方法
CN116191227A (zh) * 2023-03-03 2023-05-30 北京惠朗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预警功能的印控仪供电设备
CN116191227B (zh) * 2023-03-03 2023-09-08 北京惠朗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预警功能的印控仪供电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5625A (ko) 태양광발전용 조립식 수배전반
EP2806469B1 (en) Plating apparatus for solar cell substrate, in which electroplating and light-induced plating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US20160065127A1 (en) Enhanced solar panels, liquid delivery systems and associated processes for solar energy systems
JP2008311281A (ja) 太陽光発電装置
CN207491431U (zh) 智能汇流箱的风冷散热结构
JP5000013B2 (ja) 電子機器収容ユニット
JP2010091226A (ja) 冷却塔
CN210053046U (zh) 一种电力设备箱
CN210092817U (zh) 一种建筑线路排布用的内嵌于墙体的母线槽
KR20110045523A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외장재 설치방법
KR20110129309A (ko) 수, 배전반 및 변압기 함체
CN211036152U (zh) 一种pcb板电镀用干燥装置
KR101440767B1 (ko) 용융아연도금을 이용한 태양광발전 접속반 및 그 제조방법
CN108092619A (zh) 一种光伏汇流箱散热结构
CN211670504U (zh) 一种配电柜降温除湿装置
CN209692699U (zh) 一种光伏汇流箱
CN208862432U (zh) 一种户外配电柜的保护装置
CN206992521U (zh) 一种节能环保型开关柜
CN212362656U (zh) 一种自动化热镀锌设备
JP2011078862A (ja) 下水道施設の覆蓋集合体及びその使用方法
CN213172669U (zh) 电镀锌镀液温度自动控制系统
CN210350457U (zh) 一种方便维护的高压开关柜
CN208753770U (zh) 一种机电工程用保护性好的电气柜
KR100805884B1 (ko) 워크인 배전반용 지붕
CN217425558U (zh) 一种空调供电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