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492A - 자화수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자화수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492A
KR20160124492A KR1020150055159A KR20150055159A KR20160124492A KR 20160124492 A KR20160124492 A KR 20160124492A KR 1020150055159 A KR1020150055159 A KR 1020150055159A KR 20150055159 A KR20150055159 A KR 20150055159A KR 20160124492 A KR20160124492 A KR 20160124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magnetized
disk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6142B1 (ko
Inventor
홍복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테크
Priority to KR1020150055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142B1/ko
Publication of KR20160124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화수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자성체 회전자를 회전시키고 그 주변으로 배치된 급수관을 통해 물이 흘러가게 함으로써, 시변되는 자기장 속에서 물 클러스터나 수화물 덩어리를 이루는 물 분자들이 각각 쌍극자로 요동치며 용이하게 떨어져 나오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자화수를 얻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한 자화 냉온수기, 자화수 생성기는 물론 정화된 온풍기 역할도 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화수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냉온수기{APPARATUS FOR GENERATING MAGNETIZED WATER AND COLD AND HOT WATER DISPENS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화수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물을 자기 처리하여 5~6개의 물 분자로 소위 오각수 또는 육각수로 바꾸어주는 자화수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수용 자화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물 분자 하나는 산소원자 하나에 수소원자 2개가 104.5도의 각도를 이루며 한쪽으로 치우쳐 결합하고 있어서, 수소원자 쪽은 양의 전하를 띠고 산소원자 쪽은 음의 전하를 띠어 쌍극자를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물은 나트륨과 같은 특정 이온 등을 중심에 두고 그 주변으로 덩어리(수화물)를 이루거나, 물 분자끼리 결합하여 덩어리(water cluster)를 이루며 존재한다.
최근 밝혀진 바에 의하면, 하나의 물 클러스터는 통상 36~37개 물 분자로 이루어져 있고, 오염된 물일수록 결합하는 물 분자가 많아져 물의 클러스터 크기가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좋은 물이란 5~6개의 물 분자가 모여서 이루어진 소위 오각수, 육각수로 불리는 것을 말하는데, 특히 육각수는 인체 세포막의 투과가 용이하여 세포 내의 오염물질을 씻어낼 수 있고, 세포 내 칼슘 이온 동원능력이 높아져서 세포가 활성화되고 세포의 본래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작용 등이 있어 건강에 좋고 질병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육각수를 얻는 방법들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물을 인공적으로 자기 처리하여 자화수를 얻는 방법도 한국 등록특허 제10-1151293호, 등록실용 제20-0374259호 등에서 수도관 등 원수 배관에 물의 흐름과 수직이게 자석을 동일 극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하여 반발력으로 자력이 커지도록 하는 방법과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84145호 및 제10-2015-0001292호 등에서 물이 흐르는 순환 관에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영구자석 블록을 끼우고 그 속에 물이 지나가게 하여 자석과 접하며 물이 흐르는 이동거리를 늘려 자화수 변환 효율을 높이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은 각각의 장점은 있으나, 모두 자석을 적절히 배치하여 정지상태로 두고 물이 흘러가게 하여 자화수를 얻는 방식들이어서 오염물질 주변으로 수화물로 덩어리진 물 분자를 효과적으로 떨어뜨리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자성체를 회전시키고 그 주변으로 물이 흘러가게 함으로써, 시변되는 자기장 속에서 물 클러스터나 수화물 덩어리를 이루는 물 분자가 쌍극자로 요동치며 떨어져 나오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자화수를 얻을 수 있는 자화수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냉온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화수 생성장치는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체결된 것으로 상기 회전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가며 복수 개의 영구자석이 상기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N, S극을 번갈아 향하도록 배치된 자성체 회전자; 상기 자성체 회전자와 상기 반경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된 하나 이상의 급수관; 및 상기 회전축 및 상기 급수관을 좌, 우측에서 삽입 지지하는 좌, 우측 지지패널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급수관은 직선 관으로 2 이상이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좌, 우측 지지패널의 각 반대편에는 상기 급수관의 각 입수구 또는 출수구를 감싸도록 구비된 급수통 및 집수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은 상기 자성체 회전자를 감싸는 코일형 급수관일 수 있다.
상기 자성체 회전자는 상기 회전축에 삽입 체결되는 2개 이상의 원판형 회전자들로 구성되고, 상기 각 원판형 회전자는 가장자리 둘레에 상기 회전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가며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영구자석은 상기 각 원판형 회전자의 복수 개의 홈에 상기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N, S극을 번갈아 향하도록 끼워진 것일 수 있다.
상기 급수관은 비자성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영구자석은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복수 개의 홈에 끼워진 것일 수 있다.
상기 급수관은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판형 회전자들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으로 3~7mm 이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원판형 회전자들은 각각 상기 회전축에 삽입 체결되도록 가운데 축 삽입 관통 공과 키 홈이 형성되며 바깥 가장자리로 상기 복수 개의 영구자석이 끼워진 원판형 회전 몸체와 상기 원판형 회전 몸체의 양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영구자석을 고정시키는 좌, 우 고정 링 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원판형 회전 몸체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바깥보다 안쪽이 넓은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상기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영구자석은 각각 상기 상협하광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되어 상기 복수 개의 홈에 측면에서 상기 홈의 길이방향으로 밀어서 끼워지고, 상기 좌, 우 고정 링 판으로 하부 일부를 덮어 고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영구자석은 각각 상기 반경 방향의 단면이 사다리꼴이고, 상기 원판형 회전 몸체 및 상기 좌, 우측 지지패널은 각각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송풍용 관통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좌, 우측 지지패널 중 하나의 외 측으로 배기팬이 더 설치되고, 상기 좌, 우측 지지패널에는 하나 이상의 송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팬 위치까지 연장되어, 상기 배기팬 주위를 폐쇄하는 커버 부재와 체결되는 덮개가 부착되고, 상기 좌, 우측 지지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외 측에는 에어 필터가 상기 회전축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커버 부재의 반대편에는 복수 개의 송풍용 관통공이 형성된 제2의 커버 부재가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상기 덮개에 체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덮개 및 상기 커버 부재는 각각 바닥면을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의 커버 부재는 바닥면을 가지고 상기 덮개에 체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회전축에 풍력 또는 수력 전달용 날개가 부착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자화 냉온수기는 생수통이 역 상으로 삽입된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물이 공급되어 소정의 냉각장치로 냉각되는 냉수조와 소정의 승온장치로 승온되어 공급되는 온수조, 상기 냉수조에 연결된 냉수 공급구, 상기 온수조에 연결된 온수 공급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와 상기 냉수조 및 상기 온수조 사이에는 상술한 자화수 생성장치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저수조에서 공급된 물은 상기 자화수 생성장치의 상기 급수관을 거쳐 상기 냉수조 및 상기 온수조 중 적어도 하나를 보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도직결관에 연결된 정수장치, 상기 정수장치를 거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물이 공급되어 소정의 냉각장치로 냉각되는 냉수조와 소정의 승온장치로 승온되어 공급되는 온수조, 상기 냉수조에 연결된 냉수 공급구, 상기 온수조에 연결된 온수 공급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수도직결관과 상기 정수장치 사이 또는 상기 정수장치와 상기 저수조 사이에는 상술한 자화수 생성장치가 더 구비되어, 상기 수도직결관 또는 상기 정수장치에서 나온 물은 상기 자화수 생성장치의 상기 급수관을 거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 상기 냉수조 및 상기 온수조 중 적어도 하나에는 수위감지센서가 부착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로 상기 저수조의 물공급이 감지될 경우에 상기 회전축에 체결된 모터가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성체 회전자를 회전시키고 그 주변으로 배치된 급수관을 통해 물이 흘러가게 함으로써, 시변되는 자기장 속에서 물 클러스터나 수화물 덩어리를 이루는 물 분자들이 각각 쌍극자로 요동치며 용이하게 떨어져 나오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자화수를 얻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한 자화 냉온수기, 자화수 생성기는 물론 정화된 온풍기 역할도 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자화수 생성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자화수 생성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자화수 생성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 도 3 및 도 5의 실시예에서 회전축에 2개 이상의 원판형 회전자들이 삽입 체결되어 자성체 회전자를 구성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원판형 회전자들 외측으로 구비된 복수 개의 직선 관으로 급수관을 구성하는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원판형 회전자들 외측으로 구비된 하나의 코일형 급수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 도 3 및 도 5의 실시예에서 회전축의 구성과 회전축에 복수 개의 원판형 회전자들이 체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회전축 방향으로 바라본 회전자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예로 영구자석이 회전자 몸체에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2의 자화수 생성수단(100)을 회전축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과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자화수 생성장치를 이용한 생수통 교체용 냉온수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자화수 생성장치를 이용한 수도정수용 냉온수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회전축에 풍력 전달용 날개가 부착된 자화수 생성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자화수 생성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화수 생성장치는, 도 1 내지 도 13에 예시적이면서 공통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110); 상기 회전축에 체결된 것으로 상기 회전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가며 복수 개의 영구자석(125)이 상기 회전축(110)의 반경 방향으로 N, S극을 번갈아 향하도록 배치된 자성체 회전자(120); 상기 자성체 회전자와 상기 반경 방향으로 일정 거리(d) 이격되어 구비된 하나 이상의 급수관(130, 130'); 및 상기 회전축(110) 및 상기 급수관(130, 130')을 좌, 우측에서 삽입 지지하는 좌, 우측 지지패널(310, 310'; 320, 32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자성체 회전자(120)를 회전시키고 그 주변으로 배치된 급수관(130, 130')을 통해 물이 흘러가게 함으로써, 시변되는 자기장 속에서 물 클러스터나 수화물 덩어리를 이루는 물 분자들이 각각 쌍극자로 요동치며 용이하게 떨어져 나오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자화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의 실시 예에 의한 자화수 생성장치(1000)는, 도 7과 같이, 상기 급수관을 복수 개의 직선 관(130)으로 하여 회전축(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자성체 회전자(120) 둘레에서 이격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자화수 생성수단(100)을 구성하고, 상기 좌, 우측 지지패널(310, 320)의 각 반대편에는 상기 급수관(130)의 각 입수구 또는 출수구를 감싸도록 구비된 급수통 및 집수통(1100, 1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 우측 지지패널(310, 3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으로 자화수 생성수단(100)을 향해 대칭적으로 체결되고, 각각 상기 회전축(110) 및 상기 급수관들(130)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관통 공과 상기 급수통 또는 집수통(1100 또는 1200)을 일 측면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 개의 볼트 체결 홈이 형성된 좌, 우측 지지 몸체(311, 321); 상기 각 지지 몸체와 상기 급수통 또는 집수통(1100 또는 1200) 사이에는 상기 지지 몸체의 관통 공과 볼트 체결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관통 공이 형성된 누수 방지 판(610, 620); 및 상기 각 지지 몸체와 상기 누수 방지 판(610, 620) 사이에는 상기 급수관들(130)의 양측 끝단의 둘레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O-링들(510, 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좌, 우측 지지패널(310, 320)에 급수관들(130)이 삽입되는 좌, 우측 지지 몸체(311, 321)의 복수 개 관통 공 및 좌, 우측 누수 방지 판(610, 620)의 복수 개 관통 공을 각각 회전축(110)이 삽입되는 관통 공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자성체 회전자(120)와 급수관들(130) 사이의 이격 거리(d)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급수관들(130) 양측에 수밀성 있게 급수통 및 집수통(1100, 1200)을 구비함으로써, 충분한 양의 자화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밀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급수통 및 집수통(1100, 1200)은, 도 2와 같이, 동일한 형상으로 각각 동일 평면상에 내, 외측 플랜지(1110, 1120; 1210, 1220)를 갖고, 상기 내, 외측 플랜지(1110, 1120; 1210, 1220)와 상기 누수 방지 판(610, 620) 사이에는 직경이 서로 다른 수밀성 링 판(810, 910; 820, 920)이 소정의 볼트들(1112, 1122; 1212, 1222)로 더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통 및 집수통(1100, 1200)은, 도 2와 같이, 각각 전방은 폐쇄되고 후방은 내, 외측 플랜지를 가지며 개방된 링 형상의 원통(1130, 1230)으로 형성되고, 일 측에는 출구 또는 입구(1140)가 부착되어 각각 출수관 및 입수관(1142, 124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좌, 우측 지지패널(310, 320)의 각 지지 몸체(311)(32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회전자들(120)을 향한 면에는 베어링 삽입 홈이 반대편에는 상기 O-링들(510, 520)을 끼울 복수 개의 O-링 삽입 홈들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면부호 410 및 420은 좌, 우측 지지패널(310, 320)의 각 지지 몸체(311)(321)에 형성된 베어링 삽입 홈에 끼워져 회전축(110)을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를 가리킨다.
상기 좌, 우측 지지패널(310, 32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금속 급수관들(130)의 외측으로 복수 개의 간격 유지 봉(200)을 사이에 두고 볼트(710, 712)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로, 도 1의 자화수 생성장치가 어떻게 체결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도 3 및 도 4의 실시 예에 의한 자화수 생성장치(1000')는, 도 8과 같이, 상기 급수관을 코일형 급수관(130')으로 하여 자성체 회전자(120)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감싸도록 배치하여 자화수 생성수단(100')을 구성한다. 2개 이상의 코일이 겹치게 자성체 회전자(120)를 감싸며 배치될 수도 있으나, 도 3과 같이, 하나의 코일로 형성하여 앞의 실시 예에서 요구되었던 급수통 및 집수통(1100, 1200) 없이 바로 입, 출구 연결관(132, 134)을 통해 물을 주입하고, 생성된 자화수를 공급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로, 도 3의 자화수 생성장치(100')가 어떻게 체결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여 자화수 생성장치(100')의 체결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코일형 급수관(130')을 회전축(110)에 체결된 자성체 회전자(120)를 감싸도록 끼워 자화수 생성수단(100')을 구성하고, 자화수 생성수단(100')의 회전축(110)을 좌, 우측 지지패널(310', 320')의 가운데 관통공(312, 322)에 베어링 부재(330, 340)를 통해 끼운다.
이어, 좌, 우측 지지패널(310', 320') 사이에 코일형 급수관(130')의 외측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간격 유지 봉(200) 및/또는 코일형 급수관(130')의 외측과 접하며 복수 개의 원판형 회전자들(120)과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3개 이상의 고정 봉(140)을 복수 개의 관통공(314, 316, 324, 326), 와셔(220), 너트(142) 및 볼트(230)로 체결하면 된다.
도 5는 도 3의 실시 예에 의한 자화수 생성장치(1000')를 이용하면 공기 정화기 및/또는 온풍기 기능도 있는 다목적 자화수 생성장치를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상술한 각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축(110)에는 좌, 우측 지지패널(310, 310'; 320, 320') 중 하나의 외 측으로 배기팬(150)이 더 설치되고, 상기 좌, 우측 지지패널(310, 310'; 320, 320')에는 하나 이상의 송풍구(318)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팬 위치까지 연장되어, 상기 배기팬 주위를 폐쇄하는 커버 부재(미도시)와 체결되는 덮개(미도시)가 부착되고, 상기 좌, 우측 지지패널(310, 310'; 320, 320') 중 적어도 하나의 외 측에는 에어 필터(800)가 상기 회전축(110)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커버 부재의 반대편에는 복수 개의 송풍용 관통공(740)이 형성된 제2의 커버 부재(750)가 상기 회전축(110)에 삽입되어 상기 덮개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 및 상기 커버 부재는 별개로 제작되어 나사 등으로 체결될 수도 있으나, 도 5와 같이, 각각 바닥면(930)을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어, 전방으로 개방되고 후방으로 배기팬(150) 주위로 관통공(952) 형성 및 덕트 연결구(940)가 부착되고 내부로 소정의 공간부(920)를 갖는 박스형 덮개(900)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의 커버 부재인 전방 커버 부재(750)도 바닥면을 가지고 상기 덮개(900)에 체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입, 출구 연결관(132, 134)의 각 일단은, 도 5와 같이, 코일형 급수관(130')의 각 끝단에 끼워지고, 각 타단은 좌, 우측 지지패널(310, 310'; 320, 320')에 관통, 삽입되어 입수관(132') 또는 출수관(134')에 끼워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급수관(130')을 금속으로 형성하여 자성체 회전자(120) 회전으로 인한 와전류로 급수관(130')에 발생하는 고열은 배기팬(150)으로 열기를 모아 덕트 연결구(940) 및 외부 덕트(600)를 통해 필요한 곳에 난방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외기는 전방 커버 부재(750)의 송풍용 관통공(740)을 통해 유입되어 에어 필터(800)를 거쳐 들어오도록 함으로써, 공기 정화기의 기능도 할 수 있게 된다. 온풍기 작동 중에 입수관(132') 및 출수관(134')을 통해 자화수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각 실시 예에서 상기 급수관(130, 130')을 금속으로 형성할 경우, 그리고, 도 6 및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성체 회전자(120)를 2개 이상의 원판형 회전자들로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 원판형 회전자들(120)로부터 상기 회전축(110)의 반경 방향으로 3~7mm 이격된 위치에 직선 관(130) 또는 코일형 급수관(130') 등이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3mm 미만으로 이격될 경우에는 150~200℃ 되는 금속 급수관(130, 130')의 열이 영구자석(125)에 그대로 전달하게 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와전류에 의한 부하(제동력)가 많이 걸려 금속 급수관(130, 130')이 왜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그렇다고 7mm 초과하여 떨어져 배치하게 되면 급수관에 미치는 자기장의 세기가 갑자기 작아지게 되므로 자화수 취득 효율은 물론 온풍기 효율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술한 각 실시 예에서 상기 급수관(130, 130')은 PVC 등의 비자성 물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급수관(130, 130') 자체에 와전류가 형성되지 않아 온풍기로는 사용할 수 없으나, 급수관 내의 물의 반자성 특성에 의한 부하(거의 무시할 수 있음) 외에는 급수관의 와전류에 의한 부하는 없게 되어, 실질적으로 원판형 회전자들(120)의 회전 부하는 거의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각 실시 예에서 급수관(130, 130')을 비자성 물질로 형성할 경우에는, 도 16과 같이, 회전축(110)에 모터 이외에 풍력 전달용 날개(4300)를 장착하여, 풍력으로 자화수 생성장치(1000')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자화수 생성장치(1000')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풍력 전달용 날개(4300) 대신 수력 전달용 날개를 달아 구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각 실시 예에서, 상기 자성체 회전자는 회전축(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가며 복수 개의 영구자석이 반경 방향으로 N, S극을 번갈아 향하도록 다양한 구조로 배치될 수도 있으나(예컨대, 회전축(110)의 길이 방향으로 통으로 배치), 도 6과 같이, 회전축(110)에 삽입 체결되는 2개 이상의 원판형 회전자들(120)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 원판형 회전자(120)는, 도 9 내지 도 13과 같이, 가장자리 둘레에 회전축(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가며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홈(123, 123')이 형성되고, 상기 각 홈(123, 123')에 영구자석(125, 125')이 하나씩 끼워지도록 하고, 이때, 복수 개의 영구자석은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N, S극을 번갈아가며 향하도록 복수 개의 홈(123, 123')에 끼워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영구자석의 홈 체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원판형 회전자(120)의 둘레 방향(원주 방향)으로 극을 달리하며 배열하게 되므로, 원판형 회전자(120)를 회전시 정지 상태에 있는 직선 급수관(130) 또는 코일형 급수관(130')에 자속 쇄교를 극대화하여 각 급수관(130)(130')에 흐르는 물이 원판형 회전자의 회전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시변되는 자기장 속에서 물 클러스터나 수화물 덩어리를 이루는 물 분자들이 각각 쌍극자 및 반자성 특성으로 더욱 요동치며 떨어져 나왔다가 다시 5~6개의 물 분자로 즉 오각수 또는 육각수로 재결합하게 됨으로써, 용이하게 자화수로 바꿀 수 있게 된다.
복수 개의 영구자석(125, 125')은 각 원판형 회전자(120)의 홈(123, 123')에 회전축(110)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 또는 약간 비스듬한 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직선 급수관(130)이 금속으로 형성될 경우 와전류에 의한 부하를 분산시키기 위해 바람직하다.
한편, 영구자석은 크게 페라이트(Ferrite)계 자석, 알니코(AlNiCo)계 자석 및 희토류(Rare Earth)계 자석으로 분류되고, 페라이트(Ferrite)계 자석은 바륨 페라이트(BaFe), 스트론튬 페라이트(SrFe)가 있는데 알니코계 자석보다 높은 보자력(Hr)을 갖지만 잔류자속밀도(Br)는 낮다. 그리고 희토류계 자석은 사마륨 코발트(SmCo) 자석과 네오디뮴(NdFeB) 자석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페라이트계 자석 및 알니코계 자석 보다 높은 보자력과 잔류자속밀도를 가지나, 온도가 상승할수록 보자력과 잔류자속밀도가 감소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고온 불가역감자에 주의해야 한다. 특히, 네오디뮴 자석은 사마륨 코발트 자석보다 보자력과 잔류자속밀도가 높지만 온도특성이 나빠 온도가 높아질수록 자속밀도의 하락이 심하여 80℃가 넘는 환경에서는 사용하기 어렵고, 쉽게 산화되어 코팅처리 등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희토류계 자석으로 금속 급수관을 사용하는 자화수 생성장치(1000, 1000')를 설계함에 있어서는, 금속 급수관들 주위에 배치된 영구자석(125)의 온도는 80℃를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런데, 금속 급수관들 가까이 배치시켜 영구자석(125)을 회전시킬 때, 금속 급수관들(130, 130')로부터 전달되는 열뿐만 아니라 영구자석(125)에서 히스테리손실 및 자석내 와전류손실에 의한 열로 쉽게 불가역감자 상태로 변하여, 특별한 열 배출 수단을 강구하지 않는 한 수시로 영구자석(125)을 교체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도 6 및 도 9와 같이, 복수 개의 원판형 회전자들(120)로 절단하여 일정 간격으로 회전축(110)에 삽입 체결함으로써, 각 회전자(120)의 가장자리 둘레에 부착된 영구자석(125)의 열이 회전자(120) 사이는 물론 원판형 회전 몸체(122)를 통하고, 이어 회전축(110)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원판형 회전 몸체(122) 및 상기 회전축(110)은 열 전도성이 높은 물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원판형 회전자들(120)에서 발생된 열, 더 구체적으로 영구자석(125)에서 발생된 열은 앞서 도 5와 관련된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풍기로 활용할 수도 있다. 온풍기로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좌, 우측 지지패널(310, 310'; 320, 320')뿐만 아니라 상기 원판형 회전 몸체(122)에도 회전축(110)의 축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송풍용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5에서 박스형 덮개(900)에도 송풍용 관통공(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각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축(11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원판형 회전자들(12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나, 도 9(a)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직경(φ)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축 봉들(112, 114, 116, 118)로 이어지되, 상기 축 봉들 중 직경이 가장 작은 제 1 축 봉(112)에는 동력 전달 키 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축 봉보다 직경이 큰 제 2 축 봉(114)은 상기 제 1 축 봉에 이어지며 단차를 이루고 상기 제 1 축 봉(112) 쪽의 일 측에 나사 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 홈에서 길이방향으로 가며 회전자 고정 키 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 고정 키 홈의 끝단에는 상기 제 2 축 봉보다 직경이 큰 제 3 축 봉(116)이 소정의 길이로 이어지고, 상기 제 3 축 봉의 끝단에는 상기 제 1 축 봉(112) 또는 상기 제 2 축 봉(114)과 직경이 동일한 제 4 축 봉(118)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축(110)을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제 3 축 봉(116)의 직경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하나의 축 봉으로 절삭 가공하여 상기 제 1, 2, 3, 4 축 봉(112, 114, 116, 118)을 일체로 만들 수 있는 있고, 여기에 상기 동력 전달 키 홈(111), 상기 회전자 고정 키 홈(115) 및 상기 나사 홈(113)을 형성하면 되므로 가공이 간단한 장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자들(120)은, 도 9(b)와 같이, 상기 회전자 고정 키 홈(115)에 회전자 고정 키(117)를 삽입한 후 가운데 형성된 축 삽입 관통 공(121)과 키 홈을 통하여 상기 회전축(110)에 삽입 체결하되, 상기 회전자들(120)보다 직경이 작고 상기 제 2 축 봉(114)보다 직경이 큰 원통형 간격 유지 부재(119)를 사이에 두며 상기 회전자들(120)과 같은 방식으로 삽입한 후 상기 나사 홈(113)에 너트(113')를 조여 상기 회전축(1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축 봉들(112, 114, 116, 118)로 이어져 단차진 회전축(110)을 이용할 경우, 필요한 회전자들(120)을 얼마든지 원통형 간격 유지 부재(119)를 사이에 두며 삽입한 후, 상기 나사 홈(113)에 너트(113')만 조여줌으로써, 간단히 회전자들(120)을 회전축(110)에 삽입 고정할 수 있어 분해 조립의 완전성을 기할 수 있고, 작업시간의 단축, 운반 및 부품 교환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자들(120)은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으나,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각각 상기 회전축(110)에 삽입 체결되도록 가운데 축 삽입 관통 공과 키 홈이 형성되며 바깥 가장자리로 상기 영구자석(125)이 홈(123)에 복수 개 배치된 원판형 회전 몸체(122)와 상기 원판형 회전 몸체의 양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영구자석(125)을 고정시키는 좌, 우 고정 링 판(1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판형 회전 몸체(122)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가며 상기 회전축(110)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반경 방향으로 바깥보다 안쪽이 넓은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상기 복수 개의 홈(123)이 형성되고, 상기 영구자석(125)은 상기 상협하광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되어 상기 복수 개의 홈(123)에 측면에서 상기 축 방향으로 밀어서 끼워지고, 상기 좌, 우 고정 링 판(124)으로 하부 일부를 덮어 좌, 우 측면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상기 원판형 회전 몸체(122)와 상기 좌, 우 고정 링 판(124)의 체결은, 도 10과 같이, 원판형 회전 몸체(122) 및 좌, 우 고정 링 판(124)에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 공들에 각각 체결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로 조여 고정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서 회전축(110) 방향으로 바라본 회전자(120)의 모습 즉, 원판형 회전 몸체(122)에 좌, 우 고정 링 판(124)이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도 10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에서 영구자석(125)은 반경 방향의 단면이 사다리꼴인 것으로 상협하광의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도면부호 125a는 사다리꼴인 영구자석(125) 하부가 좌, 우 고정 링 판(124)으로 일부를 덮여진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예로 다른 단면 형상을 갖는 영구자석(125')이 회전자 몸체에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로부터 영구자석의 반경 방향 단면 형상은 상협하광의 형상을 갖는 한 도면에서 제시된 구체적 형상에 한정되지 않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구자석(125)의 반경 방향 단면 형상이 상협하광의 형상을 갖고, 좌, 우 고정 링 판(124)으로 하부 일부를 양측에서 덮어 고정하게 되면, 회전자들(120)이 고속으로 회전되어도 영구자석(125, 125')은 홈(123, 123') 및 좌, 우 고정 링 판(124)에 걸려 이탈하지 않게 된다.
다음은,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며, 상술한 각 실시 예에 의한 자화수 생성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식수용 자화 냉온수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의 실시 예에 의한 자화 냉온수기(2000)는 생수통 교체용 자화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생수통(2100)이 역 상으로 삽입된 저수조(2200), 상기 저수조의 물이 공급되어 소정의 냉각장치(2310)로 냉각되는 냉수조(2300)와 소정의 승온장치(2410)로 승온되어 공급되는 온수조(2400), 상기 냉수조에 연결된 냉수 공급구(2320), 상기 온수조에 연결된 온수 공급구(2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수조(2200)와 상기 냉, 온수조(2300, 2400) 사이에는 상술한 각 실시 예에 의한 자화수 생성장치(예컨대 10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저수조(2200)에서 공급된 물은 소정의 입, 출수관(2500, 2600)을 통하여 상기 자화수 생성장치(1000')의 상기 급수관(130')을 거쳐 상기 냉, 온수조(2300, 2400) 중 적어도 하나를 보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2200), 상기 냉수조(2300) 및 상기 온수조(24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수위감지센서(2210)가 부착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2210)로 상기 저수조(2200)의 물공급이 감지될 경우에 상기 회전축(110)에 체결된 모터(M)가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수위감지센서(2210) 대신에 입, 출수관(2500, 2600) 등의 내부에 물흐름감지센서(미도시)를 부착하여, 물흐름감지센서로 상기 저수조(2200)의 물공급이 감지될 경우에 상기 회전축(110)에 체결된 모터(M)가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냉수 공급구(2320) 또는 온수 공급구(2420)를 통해 물을 인출하여 상기 저수조(2200)로부터 상기 냉, 온수조(2300, 2400)에 물이 공급될 때 모터(M)가 구동하여 자화수 생성장치(1000')로부터 생수를 자화수로 자동으로 바뀌게 할 수 있다. 이때, 모터(M)는 자화수 생성장치(1000')의 규모에 따라 적절히 선택함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수위감지센서(2210)나 물흐름감지센서(미도시) 등으로 감지된 이후 동작 되는 시간이나 회전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소정의 모터 제어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된 생수통 교체용 자화 냉온수기의 구성 중 미설명된 구성은 이미 알려진 구성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0-0753204호 등의 참조를 통해 알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의 실시 예에 의한 자화 냉온수기(3000)는 수도정수용 자화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수도직결관(3120)에 연결된 정수장치(3130), 상기 정수장치를 거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3200), 상기 저수조의 물이 공급되어 소정의 냉각장치(3310)로 냉각되는 냉수조(3300)와 소정의 승온장치(3410)로 승온되어 공급되는 온수조(3400), 상기 냉수조에 연결된 냉수 공급구(3320), 상기 온수조에 연결된 온수 공급구(3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수장치(3130)와 상기 저수조(3200) 사이에는 상술한 각 실시 예에 의한 자화수 생성장치(예컨대 10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정수장치(3130)에서 나온 물은 소정의 입, 출수관(3142, 3144)을 통하여 상기 자화수 생성장치(1000')의 상기 급수관(130')을 거쳐 상기 저수조(3200)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미도시 되었으나, 도 15에서 자화수 생성장치(1000')를 상기 수도직결관(3120)과 상기 정수장치(3130) 사이에 더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수도직결관(3120)에서 나온 물은 상기 자화수 생성장치(1000')의 상기 급수관(130')을 거쳐 상기 정수장치(3130)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저수조(3200), 상기 냉수조(3300) 및 상기 온수조(34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수위감지센서(3210)가 부착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3210)로 상기 저수조(3200)의 물공급이 감지될 경우에 상기 회전축(110)에 체결된 모터(M)가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도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수위감지센서(3210) 대신에 입, 출수관(3142, 3144) 등의 내부에 물흐름감지센서(미도시)를 부착하여, 물흐름감지센서로 상기 저수조(3200)의 물공급이 감지될 경우에 상기 회전축(110)에 체결된 모터(M)가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냉수 공급구(3320) 또는 온수 공급구(3420)를 통해 물을 인출하여 상기 저수조(3200)로부터 상기 냉, 온수조(3300, 3400)에 물이 공급될 때 모터(M)가 구동하여 자화수 생성장치(1000')로부터 수돗물을 자화수로 자동으로 바뀌게 할 수 있다. 이때, 모터(M)는 자화수 생성장치(1000')의 규모에 따라 적절히 선택함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수위감지센서(3210)나 물흐름감지센서(미도시) 등으로 감지된 이후 동작 되는 시간이나 회전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소정의 모터 제어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5에 도시된 수도정수용 자화 냉온수기의 구성 중 미설명된 구성도 이미 알려진 구성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0-0753204호 등의 참조를 통해 알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자화수는 5~6개의 물 분자가 모여서 이루어진 오각수, 육각수뿐만 아니라 자기처리됨으로써, 통상 물 분자의 개수 즉 36~37개보다 적은 개수로 덩어리(클러스터)를 이루는 물로 정의된다.
자화수는 인체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통상의 물보다 표면장력, 용해도, 산소포화도, 전도율, 점도 등이 크고, 증발 및 얼음으로의 결정화 속도가 빠르며, 살균작용 및 제녹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17은 상술한 자화수의 특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화수 생성장치(1000, 1000')가 사용될 수 있는 예를 보여준다. 즉, 상수(통상의 물), 정수, 생수, 지하수, 우수(빗물), 온천수, 하천수 등을 본 발명에 따른 자화수 생성장치(1000, 1000')를 통하여 자화수로 바꾸어 음용수, 음료수, 식품용수, 비닐하우스 등 시설재배용수, 목욕용수, 화장품제조용수 및 노후관세척용수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상 설명된 내용을 기초로 다양하게 응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일 예시에 불과하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형상의 구성도 가능하다 할 것인데, 이는 이상 설명된 내용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할 것이다.
110: 회전축 132, 134: 입, 출구 연결관
1000': 자화수 생성장치 1001: 모터
2000: 자화 냉온수기 2100: 생수통
2200: 저수조 2210: 수위감지센서
2300: 냉수조 2310: 냉각장치
2320: 냉수 공급구 2400: 온수조
2410: 승온장치 2420: 온수 공급구
2500: 입수관 2600: 출수관

Claims (16)

  1.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체결된 것으로 상기 회전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가며 복수 개의 영구자석이 상기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N, S극을 번갈아 향하도록 배치된 자성체 회전자;
    상기 자성체 회전자와 상기 반경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된 하나 이상의 급수관; 및
    상기 회전축 및 상기 급수관을 좌, 우측에서 삽입 지지하는 좌, 우측 지지패널을 포함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직선 관으로 2 이상이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좌, 우측 지지패널의 각 반대편에는 상기 급수관의 각 입수구 또는 출수구를 감싸도록 구비된 급수통 및 집수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상기 자성체 회전자를 감싸는 코일형 급수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회전자는 상기 회전축에 삽입 체결되는 2개 이상의 원판형 회전자들로 구성되고,
    상기 각 원판형 회전자는 가장자리 둘레에 상기 회전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가며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영구자석은 상기 각 원판형 회전자의 복수 개의 홈에 상기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N, S극을 번갈아 향하도록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비자성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영구자석은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복수 개의 홈에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판형 회전자들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으로 3~7mm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형 회전자들은 각각 상기 회전축에 삽입 체결되도록 가운데 축 삽입 관통 공과 키 홈이 형성되며 바깥 가장자리로 상기 복수 개의 영구자석이 끼워진 원판형 회전 몸체와 상기 원판형 회전 몸체의 양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영구자석을 고정시키는 좌, 우 고정 링 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형 회전 몸체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바깥보다 안쪽이 넓은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상기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영구자석은 각각 상기 상협하광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되어 상기 복수 개의 홈에 측면에서 상기 홈의 길이방향으로 밀어서 끼워지고, 상기 좌, 우 고정 링 판으로 하부 일부를 덮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영구자석은 각각 상기 반경 방향의 단면이 사다리꼴이고,
    상기 원판형 회전 몸체 및 상기 좌, 우측 지지패널은 각각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송풍용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좌, 우측 지지패널 중 하나의 외 측으로 배기팬이 더 설치되고,
    상기 좌, 우측 지지패널에는 하나 이상의 송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팬 위치까지 연장되어, 상기 배기팬 주위를 폐쇄하는 커버 부재와 체결되는 덮개가 부착되고,
    상기 좌, 우측 지지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외 측에는 에어 필터가 상기 회전축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커버 부재의 반대편에는 복수 개의 송풍용 관통공이 형성된 제2의 커버 부재가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상기 덮개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및 상기 커버 부재는 각각 바닥면을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의 커버 부재는 바닥면을 가지고 상기 덮개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풍력 또는 수력 전달용 날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13. 생수통이 역 상으로 삽입된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물이 공급되어 소정의 냉각장치로 냉각되는 냉수조와 소정의 승온장치로 승온되어 공급되는 온수조, 상기 냉수조에 연결된 냉수 공급구, 상기 온수조에 연결된 온수 공급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와 상기 냉수조 및 상기 온수조 사이에는 제 4 항의 자화수 생성장치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저수조에서 공급된 물은 상기 자화수 생성장치의 상기 급수관을 거쳐 상기 냉수조 및 상기 온수조 중 적어도 하나를 보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 냉온수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상기 냉수조 및 상기 온수조 중 적어도 하나에는 수위감지센서가 부착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로 상기 저수조의 물공급이 감지될 경우에 상기 회전축에 체결된 모터가 구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 냉온수기.
  15. 수도직결관에 연결된 정수장치, 상기 정수장치를 거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물이 공급되어 소정의 냉각장치로 냉각되는 냉수조와 소정의 승온장치로 승온되어 공급되는 온수조, 상기 냉수조에 연결된 냉수 공급구, 상기 온수조에 연결된 온수 공급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수도직결관과 상기 정수장치 사이 또는 상기 정수장치와 상기 저수조 사이에는 제 4 항의 자화수 생성장치가 더 구비되어, 상기 수도직결관 또는 상기 정수장치에서 나온 물은 상기 자화수 생성장치의 상기 급수관을 거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 냉온수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상기 냉수조 및 상기 온수조 중 적어도 하나에는 수위감지센서가 부착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로 상기 저수조의 물공급이 감지될 경우에 상기 회전축에 체결된 모터가 구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 냉온수기.
KR1020150055159A 2015-04-20 2015-04-20 자화수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냉온수기 KR101746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159A KR101746142B1 (ko) 2015-04-20 2015-04-20 자화수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159A KR101746142B1 (ko) 2015-04-20 2015-04-20 자화수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냉온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492A true KR20160124492A (ko) 2016-10-28
KR101746142B1 KR101746142B1 (ko) 2017-06-13

Family

ID=5724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159A KR101746142B1 (ko) 2015-04-20 2015-04-20 자화수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1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121B1 (ko) * 2018-12-05 2019-10-16 농업회사법인 (주)영바이오 양액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물 재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127Y1 (ko) * 2000-03-30 2000-08-16 주식회사유한 자기 유도식 수처리 장치
JP2006081977A (ja) * 2004-09-14 2006-03-30 Nippon Magnetics Kk 液体殺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142B1 (ko) 201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40783A (ja) 冷却媒体流路
KR101764737B1 (ko) 코일형 가열관이 구비된 와전류 보일러
CN201873557U (zh) 磁化六角水用磁棒及利用磁棒的磁化处理器
KR101746142B1 (ko) 자화수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냉온수기
KR100820944B1 (ko) 자화처리장치
KR20090076736A (ko) 자화처리기
KR101515486B1 (ko) 소형 자석 보일러
JP4592721B2 (ja) 冷却媒体流路
KR101131618B1 (ko) 수압을 이용한 무전원 전기 발생장치를 채용한 자화환원 육각수기
ES2593202T3 (es) Dispositivo para el tratamiento magnético de un fluido con hidrocarburos
CN201245479Y (zh) 磁化除垢器
CN201868178U (zh) 磁场叠加管道式流体磁化处理器
CN211310970U (zh) 水磁化处理装置
KR101606581B1 (ko) 보조 가열관이 결합된 와전류 보일러
KR20100034585A (ko) 자력봉 및 그를 사용하는 자화수기
KR101585570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보일러
KR101674188B1 (ko) 보조 가열관이 결합된 와전류 보일러
CN2166122Y (zh) 磁化阻垢器
CN203159298U (zh) 组合式螺旋液体磁化器
KR20100012693U (ko) 자화수 제조장치
KR20080013277A (ko) 자화 육각수 생성장치
CN205874028U (zh) 永磁防垢除垢器
CN102824888B (zh) 一种液体的磁处理器
KR20190034914A (ko) 인체에 유익한 회전 전자에너지를 이용한 자화수 생성 용기
CN204369662U (zh) 内置永磁防垢除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