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003A - 기능성 축조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 Google Patents

기능성 축조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003A
KR20160123003A KR1020150052954A KR20150052954A KR20160123003A KR 20160123003 A KR20160123003 A KR 20160123003A KR 1020150052954 A KR1020150052954 A KR 1020150052954A KR 20150052954 A KR20150052954 A KR 20150052954A KR 20160123003 A KR20160123003 A KR 20160123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building block
functional building
block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남
Original Assignee
최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남 filed Critical 최정남
Priority to KR1020150052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3003A/ko
Publication of KR20160123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축조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조 블록에 지수재의 장착 및 음양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기능성 축조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록본체부(110), 상부결합부(120), 하부결합부(130), 좌측결합부(140), 우측결합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기능성 축조블록(10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수부(160)가 더 부가된 기능성 축조블록(10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구(170)가 더 부가된 기능성 축조블록(10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기능성 축조블록이 다수로 결합되어 축조된 옹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축조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a functional building block and the wall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기능성 축조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조 블록에 지수재의 장착 및 음양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기능성 축조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에 축조되어 토사의 유실로 인한 일탈과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축조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옹벽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경사진 면에 소정 형태의 석재와 시멘트를 혼합하고, 이들의 양생에 의해 견고한 구조물로 축조되도록 이루어져, 성토지 또는 절개지의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옹벽은, 대형의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에 전술된 방식으로 시공될 경우 축조된 석재 및 석재 사이에 외력의 작용에 의하여 양생된 시멘트의 자중으로 인해 일탈 또는 붕괴의 우려가 있고, 석재 및 시멘트의 양생을 위해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자연석을 석재로 마련하여 축대를 축조하는 것은 한정된 자원의 고갈에 의하여 축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점점 어려워지고, 석재를 마련하기 위해 큰 석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개하여 절단하는 부수적인 과정이 필요하여 가격이 고가이고, 시멘트 양생 등에 의하여 축조기간이 연장되고 인건비가 과다함으로서 이용하기에 무척 곤란하다.
또한, 옹벽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의 토사에 흡수된 수분이 적절하게 배출되지 못하거나, 겨울철과 같이 날씨가 추워질 경우 수분이 얼어 부피가 팽창되면, 옹벽에 균열이 발생하고 심지어는 옹벽이 붕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옹벽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옹벽축조용 블록은 옹벽 전면 녹화(綠化) 및 옹벽 배면 보강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0536304호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식 옹벽축조공법", 등록특허 제10-0443141호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등록실용신안 제20-0307195호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록" 등과 같은 연결형(조립식) 옹벽블록이 개발된 적은 있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연결형 옹벽블록은 결합을 위한 맞물림 결합부에 균열이 발생하기 쉬워 시공 중 많은 손상이 발생하였고, 블록간의 일체화가 어려웠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배수의 문제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인 연결형 옹벽블록은 결합을 위한 맞물림 결합부에 균열이 발생하기 쉬워 시공 중 많은 손상이 발생하였고, 블록간의 일체화가 어려웠다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능성 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축조한 옹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연결형 옹벽블록이 결합되어 맞물리는 경우 수분 및 온도의 변화에 따른 풍화작용에 의하여 균열 및 파손의 문제점이 있었는데, 수분을 방지하는 효과 및 그에 따른 풍화작용에 의한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성 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축조한 옹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연결형 옹벽블록을 맞물리는 축조하는 경우 잘 맞추어지지 않은 문제점 및 잘 맞물려서 축조되지 않은 문제점 및 결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는바 이를 해결하는 기능성 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축조한 옹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블록본체부(110), 상부결합부(120), 하부결합부(130), 좌측결합부(140), 우측결합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기능성 축조블록(10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수부(160)가 더 부가된 기능성 축조블록(10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구(170)가 더 부가된 기능성 축조블록(10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기능성 축조블록이 다수로 결합되어 축조된 옹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축조블록 및 옹벽은 맞물림 결합부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은 구조로 시공이 쉽고 손상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블록간의 일체화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창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축조블록은 맞물리어 결합되는 경우에도 수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효과 및 온도 변화에 따른 풍화작용에 의한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축조블록은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 맞물려서 축조하는 경우에도 서로 쉽게 잘 맞추어지는 장점이 있고 그에 따라 축조불록 간의 결합력도 현저히 높아지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축조블록의 구조 개념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결합부가 생략된 기능성 축조블록의 구조 개념도.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결합부가 생략된 기능성 축조블록의 구조 개념도.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좌측결합부가 생략된 기능성 축조블록의 구조 개념도.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우측결합부가 생략된 기능성 축조블록의 구조 개념도.
도 1f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결합부에 홈이 패인 결합 구조가 2개 및 하부결합부에 돌출된 결합 구조가 2개로 형성된 기능성 축조블록의 구조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축조블록의 투명 사시 구조 개념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축조블록의 사시 구조 개념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결합부에 홈이 패인 결합 구조가 2개 및 하부결합부에 돌출된 결합 구조가 2개로 형성된 기능성 축조블록의 사시 구조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기능성 축조블록이 결합된 옹벽의 개념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결합부에 홈이 패인 결합 구조가 2개 및 하부결합부에 돌출된 결합 구조가 2개로 형성된 기능성 축조블록이 지그 재그로 결합된 옹벽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축조블록의 상부결합부의 평면 개념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축조블록의 상부결합부의 단면 개념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홈이 패인 결합 구조가 2개로 형성된 기능성 축조블록의 상부결합부 평면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축조블록의 하부결합부의 평면 개념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축조블록의 하부결합부의 단면 개념도.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된 결합 구조가 2개로 형성된 기능성 축조블록의 하부결합 평면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축조블록의 좌측결합부의 개념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축조블록의 좌측결합부를 정면에서 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축조블록의 우측결합부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축조블록의 지수부의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능성 축조블록들이 순차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적층됨과 동시에 더불어 수평방향으로 서로 상호 연계되어 결합되게 시공됨으로써 옹벽을 구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블록본체부(110), 상부결합부(120), 하부결합부(130), 좌측결합부(140), 우측결합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기능성 축조블록(10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지수부(160)가 더 부가된 기능성 축조블록(10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배출부(170)가 더 부가된 기능성 축조블록(100)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록본체부(110)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축조블록의 본체를 이루는 형상 또는 구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블록본체부에는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들이 연결되어 형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상부결합부(120)는 블록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축조블록이 결합될 수 있는 구조 또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4b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상부결합부(120)는 다른 축조블록과 상하로 결합될 수 구조로 되어 있되 홈이 패인 결합 구조(122) 및 상부접촉부(12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한 상부접촉부(121)는 평평한 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다른 축조블록의 하부결합부와 접촉되어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홈이 패인 결합 구조(122)는 소정의 깊이로 홈이 패여 있어, 이 패여 있는 홈에 하부접촉부의 결합 구조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홈이 패인 결합 구조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의 홈이 패인 결합 구조가 좋으며 이와 같은 결합 구조가 제조하기도 용이하며 결합력을 현저히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상부결합부(120)에 홈이 패인 결합 구조(122)가 2개로 구성된 점이다.
도 1f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은 상기한 상부결합부(120)에 홈이 패인 결합 구조(122)가 2개로 구성되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하기할 하부결합부(130)에 돌출된 결합 구조(132)가 2개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상부결합부(120)의 홈이 패인 결합구조(122)와 하부결합부(130)에 돌출된 결합 구조(132)가 서로 엇갈려서 결합되는 구조로 옹벽을 형성하게 되어 옹벽의 구조가 더욱 견고한 구조로 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도 3b에서 보는 것처럼 홈이 패인 결합구조(122)가 2개 및 돌출된 결합 구조(132)가 2개로 구성된 기능성 축조블록(100-A, 101-A, 102-A,103-A, 104-A)들이 서로 지그재그로 엇갈려서 결합되어 축조되게 됨에 따라 옹벽의 구조가 더욱 견고한 구조로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상부결합부(120)는 축조블록이 최상단에 위치하는 축조블록(100)인 경우에는 그 위에 축조블록을 쌓지 않아도 관계가 없으므로 그 구성이 생략된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축조블록은 상부결합부(120)가 생략된 축조블록(100-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하부결합부(130)는 상기한 다른 축조블록의 상부결합부(120)와 접촉 지지하여 결합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또는 형상을 의미한다.
도 5 및 도 5b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상기한 하부결합부(130)는 상기한 상부결합부의 상부접촉부(121) 및 홈이 패인 결합 구조(122)에 접촉 지지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접촉부(131) 및 돌출된 결합 구조(1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하부접촉부(131)는 평평한 면형상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한 상부결합부의 상부접촉부가 접촉하여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돌출된 결합 구조(132)는 다른 축조블록의 상부결합부의 홈이 패인 결합 구조(122)의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또는 형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돌출된 결합 구조(132)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의 돌출된 결합구조인 것이 좋으며 이와 같은 결합 구조가 제조하기도 용이하며 결합력을 현저히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처럼 본 발명은 하부결합부(130)에 돌출된 결합 구조(132)가 2개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상부결합부(120)의 홈이 패인 결합구조(122)와 하부결합부(130)에 돌출된 결합 구조(132)가 서로 엇갈려서 결합되는 구조로 옹벽을 형성하게 되어 옹벽의 구조가 더욱 견고한 구조로 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하부결합부(120)는 축조블록이 최하단에 위치하는 축조블록(100)인 경우에는 그 아래에 축조블록을 쌓지 않아도 관계가 없으므로 그 구성이 생략된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축조블록은 하부결합부(130)가 생략된 축조블록(10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좌측결합부(140)는 다른 축조블록의 우측결합부(150)와 접촉되어 결합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또는 형상을 의미한다.
상기한 좌측결합부(140)는 좌접촉지지부(141) 및 돌출결합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6b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좌접촉지지부(141)는 다른 축조블록의 우측결합부의 우접촉지지부(152)와 좌우로 접촉 지지하여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또는 형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한 좌접촉지지부(141)는 평평한 면 형상의 구조 또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6b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돌출결합부(142)는 양각(陽刻)되어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른 축조블록의 우측결합부의 삽입결합부(152)에 삽입되어 접촉 지지하여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또는 형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한 돌출결합부(142)는 좌접촉지지부로부터 돌출된 구조 또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좌접촉지지부의 면에 길죽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돌출결합부(142)의 구조로 다른 축조블록의 우측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력이 현저히 높은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좌측결합부(140)는 축조블록이 최고의 좌측에 위치하는 축조블록(100)인 경우에는 그 좌측에 축조블록을 쌓지 않아도 관계가 없으므로 그 구성이 생략된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1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축조블록은 좌측결합부(140)가 생략된 축조블록(100-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우측결합부(150)는 다른 축조블록의 좌측결합부(140)와 접촉되어 결합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또는 형상을 의미한다.
상기한 우측결합부(150)는 우접촉지지부(151) 및 삽입결합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7b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우접촉지지부(151)는 다른 축조블록의 좌측결합부의 좌접촉지지부(152)와 좌우로 접촉 지지하여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또는 형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한 우접촉지지부(151)는 평평한 면 형상의 구조 또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7b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삽입결합부(152)는 음각(陰刻)되어 패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른 축조블록의 좌측결합부의 돌출결합부(142)가 삽입하여 접촉 지지하여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또는 형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한 삽입결합부(152)는 우접촉지지부로부터 패여진 구조 또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우접촉지지부의 면에 길죽한 형상으로 음각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삽입결합부(152)의 구조로 다른 축조블록의 좌측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력이 현저히 높은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우측결합부(150)는 축조블록이 최고의 우측에 위치하는 축조블록(100)인 경우에는 그 우측에 축조블록을 쌓지 않아도 관계가 없으므로 그 구성이 생략된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1e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축조블록은 우측결합부(150)가 생략된 축조블록(100-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축조블록에 지수부(160)가 형성되어 있어 축조블록을 조립하여 옹벽을 형성하는 경우에 수분에 의하여 축조블록의 균열 및 파괴가 발생하는 풍화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점이다.
도 8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지수부(160)는 축조블록에 지수홈(161)을 형성하고, 그 곳에 지수재(162)를 부착하여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지수부(160)는 축조블록의 수평방향으로 빙 둘러서 형성되어 있는 지수부(160)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축조블록에 작용하는 수분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더불어 수분에 의한 축조블록의 풍화현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팽창 및 수축현상에서도 서로 상하 좌우로 접촉하는 다른 축조블록의 물리적인 힘을 배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지수부(160)의 지수홈(161)은 축조블록의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로 파여 있는 구조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지수재(162)는 통상의 지수 기능을 수행하는 고분자 물질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고분자 물질 수지는 통상의 천연 또는 합성 고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PVC 등의 고분자 물질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지수재의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수팽창지수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수팽창지수재로는 통상의 수팽창지수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수팽창지수고무는 탄력성이 우수하고, 압축 변형시에도 복원이 잘되는 특성을 갖게 되며 또한 저온에서 고온에 이르기까지 우수한 지수 성능이 있다.
또한 수팽창지수고무는 물과 접촉시에 1~2배 정도로 팽창하게 되어 지수효과가 증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수팽창지수고무는 점착성이 높고 지수효과가 높으며 팽창력이 2~6배 정도의 팽창력이 있는 수팽창지수고무를 사용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수팽창지수고무는 고무주재, 촉진조제, 점착부여제, 연화제, 충전제, 보강제, 가류촉진제를 혼합한 수지재료로 제조하게 된다.
상기한 수지재료는 고무주재 100중량부에 촉진조제 10~20 중량부, 점착부여제 20~40 중량부, 연화제 30~40 중량부, 충전제 30~50 중량부, 보강제 10~20 중량부, 가류촉진제 5~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고무주재는 통상의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촉진조제는 통상의 수지에 사용하는 촉진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촉진조제는 바람직하게는 산화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산화아연, 유황을 혼합하여 조성한 촉진조제인 것이 좋다.
촉진조제는 산화마그네슘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스테아린산 40~60 중량부, 산화아연 80~120 중량부, 유황 40~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한 촉진조제인 것이 좋다.
상기한 점착부여제는 통상의 수지에 사용하는 점착부여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점착부여제는 폴리부텐, 석유수지, 쿠마론수지(Cumarone resin), 로진을 혼합하여 조성한 점착부여제인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한 점착부여제는 폴리부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석유수지 40~60 중량부, 쿠마론수지(Cumarone resin) 50~90 중량부, 로진 40~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한 점착부여제인 것이 좋다.
상기한 연화제는 통상의 수지에 사용하는 연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화제는 프로세스 오일, DOA(diocyl Adipate)를 혼합하여 조성한 연화제인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한 연화제는 프로세스 오일 100 중량부에 DOA(diocyl Adipate) 150~250 중량부 혼합하여 조성한다.
상기한 충전제는 통상의 수지에 사용하는 충전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전제는 탄산칼슘, 클레이(Clay)를 혼합한 충전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한 충전제는 탄산칼슘 100중량부에 클레이(Clay) 150~250 중량부 혼합하여 조성한다.
상기한 보강제는 통상의 수지에 사용하는 보강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강제는 백카본(white carbon), 카본블랙(carbon black)을 혼합한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한 보강제는 백카본(white carbon) 100중량부에 카본블랙(carbon black) 60~100중량부를 혼합한 것이 좋다.
상기한 가류촉진제는 통상의 수지에 사용하는 가류촉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류촉진제는 DM(DIBENZOTHIAZYL DISULFIDE), M(2-MERCAPTO BENZOTHOIAZOLE), T/T(TETRAMETHYL THIURAM DISULFIDE), TRA(DIPENTA-METHYLENE THIURAM TERTRASULFIDE)를 혼합하여 조성한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한 가류촉진제는 DM(DIBENZOTHIAZYL DISULFIDE) 100중량부에 M(2-MERCAPTO BENZOTHOIAZOLE) 40~60중량부, T/T(TETRAMETHYL THIURAM DISULFIDE) 40~60 중량부, TRA(DIPENTA-METHYLENE THIURAM TERTRASULFIDE) 80~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한 것이 좋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팽창지수고무를 가압 용출하여 제조한 지수재(162)는 점착성이 부여되고 점토처럼 유연성이 있고 물렁한 특성으로 인하여 자착성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지수재(162)로 구비된 축조블록의 지수부(160)는 지수효과는 물론 다른 축조블록과의 결합력도 증진시키는 효과가 창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배출부(170)가 더 부가된 기능성 축조블록(100)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배출부(170)는 다수의 축조블록이 서로 결합하고 축조되어 옹벽을 형성하는 경우 옹벽의 앞에서 발생하는 물을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또는 형상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배출부(170)는 축조블록의 전면부에서 후면부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축조블록(100)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축조블록은 통상의 시멘트 및 골재를 이용한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축조블록은 폐골재를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 축조블록이라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축조블록은 시멘트 100 중량부에, 입도분포가 모래알과 같은 크기로 분쇄되어진 폐주물사와 원사가 1 : 1~2 중량비로 혼합되어진 패주물골재 300~500 중량부, 폐콘크리트가 종류별, 크기별로 분리되어 입도분포가 25mm 이하의 크기로 파쇄되어진 폐골재 300~500중량부, 혼화제 5~15 중량부 및 물 30~150중량부로 배합되어 이루어진 축조블록 원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한 폐주물사는 각 업체의 제련, 생산과정 등에서 부산되는 산업폐기물을의미한다.
상기한 폐골재는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 때 발생되는 폐골재를 수거하여 선별, 분리과정과 분쇄작업을 통해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한 혼화제는 콘크리트 혼화제를 의미하며 콘크리트가 경화(硬化)하기 전, 또는 경화 후의 성질을 개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멘트 ·물 ·골재 이외에 콘크리트에 계획적으로 첨가하는 혼화재료 중 그 사용량이 콘크리트의 용적계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사용되는 것을 콘크리트 혼화제 또는 단순히 혼화제라고 한다.
상기한 혼화제는 특히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분산제(分散劑)와 AE제(air entraining agent)이며, 이 양자만으로 전 혼화제의 9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의 혼화제는 그 밖에 경화촉진이나 지연작용도 포함시켜 사용되고 있으며, 분산제로서도 공기연행작용(空氣連行作用)을 겸해서 사용된다.
이 밖의 혼화제에는 방수제(防水劑) ·팽창제 ·방수제(防銹劑) ·발포제(發泡劑) ·소포제(消泡劑) ·착색제(着色劑) 등이 있으며, 내구성의 개선과 강도의 증진, 시행성(施行性)의 향상 또는 철근의 발수(發銹)의 개량 등의 목적으로 각종의 혼화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축조블록 원재료에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여 축조블록의 강도와 경도를 높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첨가제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수성아크릴폴리머를 혼합하여 제조한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첨가제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100 중량부에 수성아크릴폴리머 10~20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첨가제의 사용량은 시멘트 100중량부에 첨가제 1~5중량부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첨가제의 사용으로 시멘트가 물과 결합하는 중합반응의 안정성을 현저히 높이고 폐골재들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기능성 축조블록이 다수로 조립되어 축조된 옹벽을 제공한다.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은 다수의 축조블록이 서로 상하 좌우로 결합되고 축조됨으로써 옹벽을 형성하게 되는바 시공이 용이하고 견고성이 현저히 높은 옹벽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블록을 제조하는 산업 및 건설, 토목 산업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특히 본 발명은 축조블록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산업 및 건설, 토목 산업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축조블록(100)
블록본체부(110),
상부결합부(120), 상부접촉부(121), 홈이 패인 결합 구조(122),
하부결합부(130), 하부접촉부(131), 돌출된 결합 구조(132),
좌측결합부(140), 좌접촉지지부(141), 돌출결합부(142),
우측결합부(150), 우접촉지지부(151) 및 삽입결합부(152),
지수부(160), 지수홈(161), 지수재(162),
배출부(170)

Claims (4)

  1. 블록본체부(110), 상부결합부(120), 하부결합부(130), 좌측결합부(140), 우측결합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기능성 축조블록(100).
  2. 제1항에 있어서,
    지수부(160)가 더 부가된 기능성 축조블록(100).
  3. 제1항에 있어서,
    배출구(170)가 더 부가된 기능성 축조블록(100).
  4. 제1항 내지 제3항의 기능성 축조블록이 다수로 결합되어 축조된 옹벽.

KR1020150052954A 2015-04-15 2015-04-15 기능성 축조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20160123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954A KR20160123003A (ko) 2015-04-15 2015-04-15 기능성 축조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954A KR20160123003A (ko) 2015-04-15 2015-04-15 기능성 축조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146A Division KR20170105453A (ko) 2017-08-30 2017-08-30 기능성 축조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003A true KR20160123003A (ko) 2016-10-25

Family

ID=5744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954A KR20160123003A (ko) 2015-04-15 2015-04-15 기능성 축조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30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0702A (zh) * 2017-06-08 2017-09-22 防城港市海河堤管理站 一种便于堆叠的防汛沙箱
CN107326860A (zh) * 2017-06-08 2017-11-07 防城港市海河堤管理站 一种防汛沙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0702A (zh) * 2017-06-08 2017-09-22 防城港市海河堤管理站 一种便于堆叠的防汛沙箱
CN107326860A (zh) * 2017-06-08 2017-11-07 防城港市海河堤管理站 一种防汛沙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286B1 (ko) 투수성 및 보수성을 가지는 비소성 보차도용 바닥포장 구조물
KR101692691B1 (ko) 친환경 콘크리트 옹벽 블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콘크리트 옹벽 블록
KR20190107999A (ko) 건설폐자재, 산업폐자재를 활용한 폴리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머 콘크리트
KR101198687B1 (ko) 투수블럭 제조방법
US20090314186A1 (en) Retentive concrete material
KR101241820B1 (ko) 비소성 시멘트를 이용한 옹벽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23003A (ko) 기능성 축조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CN205387650U (zh) 一种抑裂抗剪沥青路面结构
CN106522077B (zh) 路面快速复合修复方法
CN105645886A (zh) 一种crtsⅱ型板式无砟轨道轨道板板间接缝快速修复材料
KR20170105453A (ko) 기능성 축조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1566131B1 (ko) 합성섬유로 보강한 콘크리트 댐
KR101241818B1 (ko) 비소성 시멘트를 이용한 보강옹벽용 식생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9557B1 (ko)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
CN207891678U (zh) 一种生态透水路牙及其铺设结构
CN104179351B (zh) 一种高耐久性配筋式永久性模板、混凝土结构构件及设计、制造方法
KR20090068864A (ko) 친환경 논두렁용 블록
CN104314001B (zh) 再生混凝土带u肋哑铃型柱式桥墩
CN201502126U (zh) 新型隔热保温节能砌块
CN205576968U (zh) 互嵌式挡土块
CN209429367U (zh) 一种水泥砖
CN217556587U (zh) 一种高强度再生骨料步道砖
CN111270596B (zh) 沥青路面养护维修施工方法
KR20170057592A (ko) 에코 틈새 콘크리트 블록
WO2015079454A4 (en) Machine for making interlocking and interfitting masonry units and masonry syste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