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961A -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 - Google Patents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961A
KR20160121961A KR1020150051872A KR20150051872A KR20160121961A KR 20160121961 A KR20160121961 A KR 20160121961A KR 1020150051872 A KR1020150051872 A KR 1020150051872A KR 20150051872 A KR20150051872 A KR 20150051872A KR 20160121961 A KR20160121961 A KR 20160121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electromagnetic switch
movable shaf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4296B1 (ko
Inventor
박진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1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296B1/ko
Publication of KR20160121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0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movable inside coil and substantially lengthwise with respect to axis thereof; movable coaxially with respect to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01H50/58Driv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therewith; Mounting of driving arrangements on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가동축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어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에 연결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접점; 상기 프레임 내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접점; 상기 가동접점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심축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외부 핀홀을 포함하는 외부 가동축; 상기 중공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 개의 내부 핀홀을 포함하는 내부 가동축; 및 상기 복수 개의 외부 핀홀 중의 어느 하나와 상기 복수 개의 내부 핀홀 중의 어느 하나에 연통하여 삽입 결합되는 샤프트 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Magnetic Switch for Adjusting Over Travel}
본 발명은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가동축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개폐기(Magnetic Switch) 또는 직류 릴레이(Direct Current Relay)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구동과 전류신호를 전달해주는 전기적인 회로 개폐 장치의 일종으로, 각종 산업용 설비, 기계 및 차량 등에 설치된다. 특히, 전기자동차용 릴레이의 경우 하이브리드(Hybrid)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골프 카트(Golf Cart) 및 전동 지게차와 같은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시스템에 위치하여 주전류의 통전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또한, 직류전력을 개폐하는 전자개폐기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풍력 발전 시스템 등 친환경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직류 발전기와 직류 발전 전력을 상용 주파수와 전압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의 사이에 설치되어, 직류 발전 전력을 인버터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개폐기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서 가동 어셈블리의 부분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자개폐기의 가동 어셈블리(moving assembly)의 구성 및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다. 위로부터 고정접점(1)이 설치된 아크 챔버(2), 가동접점(3)이 설치된 가동축 어셈블리(4), 플레이트(5), 고정코어(6), 가동코어(7)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가동축(8)의 하단부를 레이저 용접으로 가동코어(7)에 완전히 고정시킨다. 또한, 상단의 아크챔버(2)를 플레이트(5)에 레이져 용접하여 고정 접점(1)과 가동 접점(3)이 작동되는 공간을 완전히 밀봉시킨다. 또한, 고정코어(6)와 가동코어(7)를 실린더(9)로 씌우고 실린더(9)를 플레이트(5)의 하부에 기밀 용접한다.
전자개폐기는 코일(5a)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플레이트(5), 요크(5b), 가동코어(7), 고정코어(6)에 자로가 형성되며, 이때 고정코어(6)에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가동코어(7)가 고정코어(6)에 흡인되고, 가동코어(7)에 고정된 가동축(8)이 함께 움직이면서 가동축(8) 상부에 결합된 가동접점(3)을 밀어올려 고정접점(1)에 접촉되어 통전이 일어나도록 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전자개폐기에 있어서 중요한 것이 고정접점(1)에 접촉되는 가동접점(3)의 접압력이다. 이를 위해, 가동코어(7)가 움직이는 거리보다 가동접점(3)이 움직이는 거리를 작게 하여 접압 스프링(4a)에 의해 가동접점(3)에 접압력이 가해지도록 하고 있다.
이때, 가동코어(7)와 고정코어(6) 사이의 거리를 스트로크(Stroke, S)라고 하고, 가동접점(3)과 고정접점(1) 사이의 거리를 갭(Gap, G)이라고 하면 오버 트래블(Over Travel, O.T)은 스트로크(S)에서 갭(G)을 뺀 거리로 정의된다. 즉, O.T = S - G 이다. 가동 어셈블리를 제작 후 오버 트래블을 측정하게 되며, 오버 트래블 양(길이, 거리)는 제품의 용량별로 규격범위가 정해져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있어서, 오버 트래블(초과이동거리)이 규격 범위 이내에 형성되지 않아 접압력이 과부족 상태에 놓인 경우, 제품 전체를 폐기해야 하며, 장기간의 사용 중에 노후화 등으로 인해 접점간 간격이 벌어지는 경우에도 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가동축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어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에 연결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접점; 상기 프레임 내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접점; 상기 가동접점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심축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외부 핀홀을 포함하는 외부 가동축; 상기 중공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 개의 내부 핀홀을 포함하는 내부 가동축; 및 상기 복수 개의 외부 핀홀 중의 어느 하나와 상기 복수 개의 내부 핀홀 중의 어느 하나에 연통하여 삽입 결합되는 샤프트 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 핀홀 간의 간격은 외부 핀홀 간의 간격보다 넓거나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핀홀 간의 간격 및 상기 외부 핀홀 간의 간격은 각각 균등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가동축의 상부에는 좌우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는 가동접점 장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접점 장착부의 상면에는 상기 가동접점이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가동접점 장착부의 하면 사이에는 접압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가동축의 외주면에는 환형의 리브가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가동축은 상부몸체, 중간몸체, 하부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는 상기 중간몸체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코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내부 가동축이 삽입 설치될 수 있는 가동코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의 중간부에는 상기 가동코어의 상면이 결합될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코어의 하부에는 상기 내부 가동축을 지지하는 록킹 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가동축의 하단부에는 원주홈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 패드에는 상기 원주홈에 끼워질 수 있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에 의하면 가동축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전자개폐기의 오버 트래블 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제품별로 필요한 접압력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동불량이나 부품의 노후화에 대응하여 접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접압력 불량으로 인한 가동 어셈블리 전체의 폐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개폐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가동 어셈블리의 부분상세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가동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도 6에서 가동축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A, 8B,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의 작용도로서 각각 샤프트 핀이 상부홀, 중간홀, 하부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가동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도 6에서 가동축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요를 설명하면, 오버 트래블(Over travel, O.T)은 스트로크(Stroke, S)에서 갭(Gap, G)을 뺀 거리로 정의된다. 여기서, 스트로크(S)는 고정코어(20)와 가동코어(25) 사이의 거리이며, 갭(G)은 고정접점(11)과 가동접점(15) 사이의 거리이다. 이러한, 오버 트래블(O.T, 초과이동거리)은 접압 스프링(contact spring, 17)을 통해 가동접점(15)이 고정접점(11)에 가하는 접압력으로 나타난다. 이때, 접압력의 크기는 오버 트래블(O.T)의 양(길이,거리)에 비례하게 된다. 즉, 각 제품에 요구되는 적절한 접압력을 갖기 위해서는 적절한 오버 트래블(O.T) 값이 유지되어야 한다. 여기서, 오버 트래블(O.T)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인자(factor)로 갭(G)을 조절하는 방법과 스트로크(S)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갭(G)을 조절하는 방법을 이용한 구성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고정 결합되어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에 연결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접점(11); 상기 프레임(10) 내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접점(11)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접점(15); 상기 가동접점(15)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고정코어(20); 상기 고정코어(2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심축을 따라 중공부(35)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외부 핀홀(outer pin hole, 31a,31b,31c)을 포함하는 외부 가동축(outer shaft, 30); 상기 중공부(3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 개의 내부 핀홀(inner pin hole, 41a,41b,41c)을 포함하는 내부 가동축(inner shaft, 40); 및 상기 복수 개의 외부 핀홀(31a,31b,31c) 중의 어느 하나와 내부 핀홀(41a,41b,41c) 중의 어느 하나에 연통하여 삽입 결합되는 샤프트 핀(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0)은 하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전자개폐기의 상부에 상부에 설치된다.
고정접점(fixed contact, 11)은 한 쌍으로 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된다.
가동접점(moving contact, 15)은 소정 길이의 평판(15a)과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11)에 접촉될 수 있는 한 쌍의 접점부(15b)로 구성될 수 있다. 가동접점(15)의 중간부에는 관통홀(15c)이 형성된다.
고정코어(20)는 가동접점(15)에 소정거리 이격하여 설치된다. 고정코어(20)는 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코어(20)는 상면이 개방된 실린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코어(20)의 상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코어(20)의 플랜지부(21)는 프레임(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코어(20)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내부 가동축(40)이 관통 삽입될 수 있는 제1축홀(22)이 형성된다.
가동코어(25)는 고정코어(20)의 하부에 설치된다. 가동코어(25)는 하면이 개방된 실린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코어(25)의 상면에는 내부 가동축(40)이 관통 삽입될 수 있는 제2축홀(25a)이 형성된다.
가동코어(25)의 하부에 록킹 패드(26)가 구비된다. 록킹 패드(26)는 끼움 방식으로 가동코어(25)에 결합될 수 있다. 록킹 패드(26)의 내부에는 돌기부(26a)가 돌출 형성된다.
외부 가동축(30)은 관체(pipe type body)로 형성되어 고정코어(2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외부 가동축(30)에는 중심축을 따라 중공부(35)가 형성된다.
외부 가동축(30)에는 복수 개의 외부 핀홀(31a,31b,31c)이 가로방향(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외부 핀홀(31a,31b,31c)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개로 예시되었지만 그 이상의 갯수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복수 개의 외부 핀홀(31a,31b,31c)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외부 핀홀(31a,31b,31c)은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외부 가동축(30)의 상부에는 좌우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는 가동접점 장착부(32)가 구비될 수 있다. 가동접점 장착부(32)에는 가동접점(15)과 접압 스프링(17)이 설치된다. 가동접점(15)은 접압 스프링(17)에 의해 탄성 지지를 받으며 가동접점 장착부(32)의 상면 내측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가동접점 장착부(32)의 하면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코어(20)의 플랜지부(21)에 얹힌 상태로 놓이게 된다.
가동접점 장착부(32)의 상면에는 복귀 스프링(19)의 하단부를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안착부(3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가동축(30)의 외주면에는 환형의 리브(33)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리브(33)는 외부 가동축(3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리브(33)는 외부 가동축(30)이 고정코어(2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할 때 마찰면적을 줄여주고 축방향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 가동축(40)은 외부 가동축(30)의 중공부(3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내부 가동축(40)은 다수의 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각 단을 크게 상부몸체(upper body, 41), 중간몸체(middle body, 42), 하부몸체(lower body, 43)로 구분하여 칭하기로 한다.
상부몸체(41)는 가동접점 장착부(32)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상부몸체(41)는 중간몸체(42)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몸체(41)에는 접압 스프링(17)이 끼워진다.
중간몸체(42)는 내부 가동축(40)의 주요부분을 이루는 부분이다. 중간몸체(42)에는 복수 개의 내부 핀홀(41a,41b,41c)이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내부 핀홀(41a,41b,41c)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개로 예시되었지만 그 이상의 갯수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내부 핀홀은 외부 핀홀과 동일한 갯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내부 핀홀(41a,41b,41c)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내부 핀홀(41a,41b,41c)은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내부 핀홀(41a,41b,41c)의 간격은 상기 복수 개의 외부 핀홀(31a,31b,31c)의 간격과 동일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서는 복수 개의 내부 핀홀(41a,41b,41c)의 간격이 복수 개의 외부 핀홀(31a,31b,31c)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 예가 나타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가동축(40)이 외부 가동축(3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하는 경우 특정홀이 서로 연통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특정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일치시킴에 따라 외부 가동축(30)과 내부 가동축(40)의 상대위치가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축 전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내부 가동축(40)을 기준으로 외부 가동축(30)이 상대운동을 하면서 가동축 전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하부몸체(43)는 중간몸체(42)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몸체(43)는 고정코어(20)의 하면을 관통하여 하부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하부몸체(43)의 중간부에는 단턱(43a)이 형성되어 가동코어(25)의 상면이 결합될 수 있다.
하부몸체(43)의 하부에는 원주홈(43b)이 형성되어 록킹 패드(locking pad, 26)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하부몸체(43)의 원주홈(43b)에 록킹 패드(26)의 돌기부(26a)가 끼워진다. 이에 따라, 내부 가동축(40)은 가동코어(25)에 고정 결합된다.
외부 가동축(30)의 외부 핀홀(31a,31b,31c)과 내부 가동축(40)의 내부 핀홀(41a,41b,41c)을 연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하여 샤프트 핀(50)이 구비된다. 샤프트 핀(50)은 복수 개의 외부 핀홀(31a,31b,31c)중의 어느 하나와 복수 개의 내부 핀홀(41a,41b,41c)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외부 가동축(30)을 내부 가동축(40)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복귀 스프링(19)이 가동 어셈블리, 정확하게는 가동접점 장착부(32)와 프레임(10)의 사이에 설치된다. 복귀 스프링(19)은 가동축 어셈블리를 하강시키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차단시 가동축 어셈블리의 상승력이 사라지면 복귀 스프링(19)에 의해 탄성력을 받아 가동코어(25)는 고정코어(20)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즉각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외에 외부 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56),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의 경로를 형성하는 요크(55), 코일(56)이 설치되는 보빈(57) 등은 종래기술과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A, 8B,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의 작용도로서 각각 샤프트 핀이 내부 구동축의 내부 핀홀 및 외부 구동축의 외부 핀홀 중에서 각각 상부홀, 중간홀, 하부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과 도 8A, 8B, 8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내부 가동축(40)의 상부홀(41a)과 외부 가동축(30)의 상부홀(31a) 사이의 높이차는 'd'로 정의한다. 마찬가지로, 내부 가동축(40)의 하부홀(41c)과 외부 가동축(30)의 하부홀(31c)의 높이차도 'd'와 같다.
도 4 및 도 8A에는 샤프트 핀(50)이 복수 개의 외부 핀홀(31a,31b,31c) 중에서 중간홀(31b)과 복수 개의 내부 핀홀(41a,41b,41c) 중에서 중간홀(41b)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오버 트래블(O.T)은 스트로크(S)에서 갭(G)를 뺀 거리로 나타난다. 즉 O.T = S - G 이다. 이때, 내부 가동축(40)의 하단부에서 외부 가동축(30)의 하단부에 이르는 거리를 'h1', 가동축(30,40) 전체의 길이를 'L1'이라 하기로 한다.
도 8B에는 샤프트 핀(50)이 복수 개의 외부 핀홀(31a,31b,31c) 중에서 상부홀(31a)과 복수 개의 내부 핀홀(41a,41b,41c) 중에서 상부홀(41a)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외부 가동축(30)은 내부 가동축(40)의 상부홀(41a)과 외부 가동축(30)의 상부홀(31a)의 높이 차이에 해당하는 'd'만큼 하강한 상태에 놓인다. 이 경우, 가동축(30,40) 전체의 길이(L2)는 도 8A의 경우(L1)보다 'd'만큼 줄어든다. 이에 따라, 고정접점(11)과 가동접점(15) 사이의 간격은 'd'만큼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O.T = S - G - d 가 된다. 즉, 가동접점(15)이 고정접점(11)에 가하는 접압력은 도 8A의 경우보다 감소된다.
도 8C에는 샤프트 핀(50)이 복수 개의 외부 핀홀(31a,31b,31c) 중에서 하부홀(31c)과 복수 개의 내부 핀홀(41a,41b,41c) 중에서 하부홀(41c)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외부 가동축(30)이 내부 가동축(40)의 하부홀(41c)과 외부 가동축(30)의 하부홀(31c)의 차이에 해당하는 'd'만큼 상승한 상태에 놓인다. 이 경우, 가동축(30,40) 전체의 길이(L3)는 도 8A(L1)의 경우보다 'd'만큼 늘어난다. 이에 따라, 고정접점(11)과 가동접점(15) 사이의 간격은 'd'만큼 줄어들게 된다. E따라서, O.T = S - G + d 가 된다. 즉, 가동접점(15)이 고정접점(11)에 가하는 접압력은 도 8A의 경우보다 증대된다.
외부 가동축(30)이 내부 가동축(40)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샤프트 핀(50)에 의해서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가동축(30,40) 전체의 길이가 조절되면서 오버 트래블 길이가 조절된다. 이에 따라, 가동접점(15)이 고정접점(11)에 가하게 되는 접압력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에 의하면 가동축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전자개폐기의 오버 트래블 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제품에 따라 발생 가능한 부품 공차나 조립 공차에 의해 발생하는 접압력의 차이를 보정할 수 있으므로 제품간 작동 오차를 줄이게 되어 적정 차단 성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제품의 규격화, 표준화를 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동 불량이나 부품의 노후화에 대응하여 접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접압력 불량으로 인해 가동 어셈블리 전체를 폐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생산비용 절감, 생산 효율성 증대에 기여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 11 고정접점
15 가동접점 15a 평판
15b 접점부 15c 관통홀
17 접압 스프링 19 복귀 스프링
20 고정코어 21 플랜지부
22 제1축홀 25 가동코어
25a 제2축홀 26 록킹 패드
26a 돌기부 30 외부 가동축
31a 상부홀 31a,31b,31c 외부 핀홀
31b 중간홀 31c 하부홀
32 가동접점 장착부 33 리브
34 안착부 35 중공부
40 내부 가동축 41 상부몸체
41a 상부홀 41a,41b,41c 내부 핀홀
41b 중간홀 41c 하부홀
42 중간몸체 43 하부몸체
43a 단턱 43b 원주홈
50 샤프트 핀 55 요크
56 코일 57 보빈
G 갭 O.T 트래블
S 스트로크

Claims (11)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어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에 연결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접점;
    상기 프레임 내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접점;
    상기 가동접점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심축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외부 핀홀을 포함하는 외부 가동축;
    상기 중공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 개의 내부 핀홀을 포함하는 내부 가동축; 및
    상기 복수 개의 외부 핀홀 중의 어느 하나와 상기 복수 개의 내부 핀홀 중의 어느 하나에 연통하여 삽입 결합되는 샤프트 핀;을 포함하는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핀홀 간의 간격은 외부 핀홀 간의 간격보다 넓거나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핀홀 간의 간격 및 상기 외부 핀홀 간의 간격은 각각 균등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가동축의 상부에는 좌우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는 가동접점 장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 장착부의 상면에는 상기 가동접점이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가동접점 장착부의 하면 사이에는 접압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가동축의 외주면에는 환형의 리브가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가동축은 상부몸체, 중간몸체, 하부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는 중간몸체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코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내부 가동축이 삽입 설치될 수 있는 가동코어를 더 포함하는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중간부에는 상기 가동코어의 상면이 결합될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코어의 하부에는 상기 내부 가동축을 지지하는 록킹 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가동축의 하단부에는 원주홈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 패드에는 상기 원주홈에 끼워질 수 있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
KR1020150051872A 2015-04-13 2015-04-13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 KR101934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872A KR101934296B1 (ko) 2015-04-13 2015-04-13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872A KR101934296B1 (ko) 2015-04-13 2015-04-13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961A true KR20160121961A (ko) 2016-10-21
KR101934296B1 KR101934296B1 (ko) 2019-01-02

Family

ID=57257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872A KR101934296B1 (ko) 2015-04-13 2015-04-13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2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205A (ko) * 2018-02-22 2019-08-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영구자석형 조작기의 보조 가압장치
WO2020045844A1 (ko) * 2018-08-31 2020-03-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WO2021169949A1 (zh) * 2020-02-26 2021-09-02 华为技术有限公司 触头装置及电磁开关
WO2021230515A1 (ko) * 2020-05-12 2021-11-18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가동 코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205A (ko) * 2018-02-22 2019-08-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영구자석형 조작기의 보조 가압장치
WO2020045844A1 (ko) * 2018-08-31 2020-03-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US11830694B2 (en) 2018-08-31 2023-11-28 Ls Electric Co., Ltd. Direct current relay
WO2021169949A1 (zh) * 2020-02-26 2021-09-02 华为技术有限公司 触头装置及电磁开关
WO2021230515A1 (ko) * 2020-05-12 2021-11-18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가동 코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10138404A (ko) * 2020-05-12 2021-11-19 엘에스일렉트릭(주) 가동 코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296B1 (ko)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296B1 (ko) 오버 트래블 조절이 가능한 전자개폐기
EP2204825B1 (en) Monostable permanent magnetic actuator using laminated steel core
EP3157038B1 (en) Direct current relay
KR101086908B1 (ko) 전자 개폐기
EP2442329B1 (en) Noise decreasing type electromagnetic switch
JP5922618B2 (ja) 電磁開閉装置
KR102388586B1 (ko) 직류 릴레이
KR20200025805A (ko) 직류 릴레이
EP3091552B1 (en) Magnetic switch
CN106340424A (zh) 具有改进的线性轴承的电开关设备
CN210167314U (zh) 具有辅助触点装置的密封型直流继电装置
CN102280987B (zh) 双稳态永磁致动器
KR102537549B1 (ko) 직류 릴레이
KR102606007B1 (ko) 직류 릴레이
JP6195968B2 (ja) 継電器
KR101410031B1 (ko) 절연유를 이용한 아크 소호수단을 갖는 전자접촉기
GB2167902A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2388587B1 (ko) 직류 릴레이
EP3407372A1 (en) Relay device
US11742166B2 (en) Switching device for switching an electrical load
KR20170000938U (ko) 전자개폐기
KR20180085586A (ko) 직류 릴레이
JP6062734B2 (ja) 継電器
KR20180045360A (ko) 직류 릴레이
CN211404346U (zh) 一种磁吹灭弧的低压接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