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914A -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 Google Patents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914A
KR20160121914A KR1020150051769A KR20150051769A KR20160121914A KR 20160121914 A KR20160121914 A KR 20160121914A KR 1020150051769 A KR1020150051769 A KR 1020150051769A KR 20150051769 A KR20150051769 A KR 20150051769A KR 20160121914 A KR20160121914 A KR 20160121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printed circuit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ext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6747B1 (ko
Inventor
공현철
Original Assignee
(주) 액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액트 filed Critical (주) 액트
Priority to KR1020150051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747B1/ko
Publication of KR20160121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성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대형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파트별로 나누어 분할된 연성인쇄회로기판들로 마련하고 이들 복수 연성인쇄회로기판들에 형성된 연성접합부들로 접합하여 안정적인 신호전송이 이루어지면서 접합된 연성접합부가 플렉서블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접합된 상태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접합하되,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들이 접합된 연성접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성접합부는, 플렉서블한 접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Flexible Bonding Structure including Flexible-Joints and FPCB}
본 발명은 연성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대형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파트별로 나누어 분할된 연성인쇄회로기판들로 마련하고 이들 복수 연성인쇄회로기판들에 형성된 연성접합부들로 접합하여 안정적인 신호전송이 이루어지면서 접합된 연성접합부가 플렉서블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접합된 상태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CB)은 휴대폰, 텔레비전, 컴퓨터 등 다양한 전자제품을 작동하기 위한 다수 부품들이 안정적으로 실장되고, 이들 부품들의 신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대체로 인쇄회로기판(PCB)은 부품이 실장되는 영역과, 다른 부품들과의 전기 접속을 위한 단자, 그리고 다수 부품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부분 등이 있으며, 외부와 절연을 위한 절연층구조를 포함한다.
대부분 인쇄회로기판은 신호 송수신에서 안정적인 물성을 이루기 위해 배선재료를 선정하며, 절연 구성도 열안정성이나 전기적 절연성 등의 특성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은 일반적으로 단단한 절연 구성이나 기저층을 이루어서 무거운 부품이 탑재될 수 있다.
반면 작동기능을 갖는 전자제품이나, 다수 부품들이 탑재된 제품 내부 구성에 있어서도 일부 부품들이 서로 이격된 경우에는 이들 부품들을 연결하기 위한 중요 소재로써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은 두께가 얇으면서도 절연층 내부로 신호 송수신을 위한 배선이 구비됨으로써 잘 휘어 이용이 손쉽고, 그러면서도 신호 전송이 잘 이루어지는 것이다.
반면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전기 선과 달리, 제조공정에 있어서는 정밀성을 요구하고 있다. 즉 일반적인 제단 공정에 더하여 에칭이나 금속층 적층 과정, 플라즈마 조건 형성, 등 다양한 정밀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정밀과정으로 인한 제조단계의 증가나 원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사용의 편의성이나 작은 크기 또는 정밀한 구성 등에 탁월한 장점을 갖기 때문에 점차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경우 도 1에서처럼 전체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을 하나의 커다란 크기로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용 원 베이스에서 제품이 차지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버려지는 부분이 상당히 많아, 결국 제조원가 상승에 있어서 하나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그 사용 효율이 좋으면서도 제조 과정 중 낭비되는 자원을 최소화하는 기술의 제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공개특허번호 제10-2008-0018729호(2008년 02월 28일 공개) 등록특허번호 제10-0890198호(2009년 03월 25일 공고) 등록특허번호 제10-1090131호(2011년 12월 07일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 하나의 커다란 제품으로 제조하던 것을, 복수 개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으로 나누어 제조하고 각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접속 부분에 연성접합부를 구성함으로써, 접합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연성접합부를 서로 접합하여 안정적인 전기접속 상태로 접합되게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울러 이러한 접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최종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에 대해서, 파트별로 나누어 연성인쇄회로기판(FPCB)들을 제조함으로써 제조과정 중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베이스의 낭비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자원 낭비를 줄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접속을 이루는 연성접합부가 플렉서블(flexible)한 접합부를 구성함으로써 잘 휘므로 다루기가 손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접합하되,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들이 접합된 연성접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성접합부는, 플렉서블한 접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다른 연성인쇄회로기판과 접속을 위한 연성접합단자; 및 상기 연성접합단자 아래에 위치되는 연성접합절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본케이블에서 연성접합부로 이어지면서 폭이 넓어지는 광폭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폭확장부는, 본케이블의 본배선과 연성접합부의 연성접합단자 사이를 잇는 광폭확장배선; 상기 광폭확장배선 아래에 위치되는 광폭확장하부절연부; 및 상기 광폭확장배선 상부에 위치되고 본케이블과 연결된 부분보다 연성접합부 측 방향부분이 두꺼워지는 광폭확장두께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서로 결합을 위한 접합 인식마크 또는 Pin 접합용 Ho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성접합부는 접속을 위한 연성접합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연성접합단자의 접합면에는 돌출된 연성접속유지돌기를 형성하여,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 양측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연성접합단자에 형성된 연성접속유지돌기들이 결합되어 요동에 의하더라도 접속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접합하되,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들이 접합된 연성접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성접합부는, 플렉서블한 접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다수의 부품이 실장되는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고 소정 길이로 이격되어 연결된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과 접속을 위한 실장연성접합단자; 상기 실장연성접합단자 아래에 위치되는 실장연성접합절연부; 및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의 실장본케이블에서 실장연성접합부로 이어지면서 폭이 넓어지는 실장광폭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과 접속을 위한 연장연성접합단자; 상기 연장연성접합단자 아래에 위치되는 연장연성접합절연부; 및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의 연장본케이블에서 연장연성접합부로 이어지면서 폭이 넓어지는 연장광폭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접합하되, 상기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들의 연성접합부들을 접합시키는 플렉서블접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블접합부재에 의하여 접합된 연성접합부가 플렉서블한 접합부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접합부재는, 이방성도전필름(ACF) 또는 이방성도전접착제(AC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으로 나누어 제조한 다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을 접합한 연성접합부를 구성함으로써, 접합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연성접합부를 서로 접합하여 안정적인 전기접속 상태를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아울러 이러한 접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최종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에 대해서, 파트별로 나누어 연성인쇄회로기판(FPCB)들을 제조함으로써 제조과정 중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베이스의 낭비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자원 낭비를 줄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전기접속을 이루는 연성접합부가 플렉서블(flexible)한 접합부를 구성함으로써 잘 휘므로 다루기가 손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본케이블에서 접합되는 연성접합부 측으로 점차로 폭을 넓혀 확장된 광폭확장부를 구비하며, 이로써 연성접합부의 각 단자들 사이가 넓어 접합시 양측 연성인쇄회로기판(FPCB)들의 접합단자 사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단자들 사이의 전기절연을 이루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광폭확장부의 일측 절연부의 두께가 연성접합부 측으로 점차 두꺼워지도록 하여, 접합된 상태에서 연성접합부 부근에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함으로써 접속된 부분이 외부 물체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생산시 배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기술이 적용에 있어서, 실장FPCB 생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기술이 적용에 있어서, 연장FPCB 생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기술에 있어서, 연성접합부에서의 양측 연성인쇄회로기판이 분리된 상태의 분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기술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연성접합부에 대한 절단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기술에 있어서, 연성접합부에서의 양측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중간의 플렉서블접합부재 등이 분리된 상태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기술에 있어서, 연성접합부에서의 일측 연성인쇄회로기판에 플렉서블접합부재가 위치된 상태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기술에 있어서, 연성접합부에서의 양측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중간의 플렉서블접합부재 등이 접합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기술에 있어서, 연성접합부와 함께 광폭확장부가 도시된 상태에서 양측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중간의 플렉서블접합부재 등이 결합되기 전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기술에 있어서, 연성접합부와 함께 광폭확장부가 도시된 상태에서 양측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중간의 플렉서블접합부재 등이 결합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기술에 있어서, 연성접합부의 연성접합단자 표면에 삼각뿔형태의 연성접합유지돌기가 형성된 상태에서 양측 단자가 결합되기 전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기술에 있어서, 연성접합부의 연성접합단자 표면에 삼각뿔형태의 연성접합유지돌기가 형성된 상태에서 양측 단자가 결합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기술이 적용된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이 서로 분리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기술이 적용된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이 서로 결합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성접합부(20)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발명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4 등에서와 같이, 복수로 이루어진 연성인쇄회로기판(FPCB)들을 구비하여 이들 FPCB들을 접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즉 일부 FPCB는 주요 부품들이 실장되고, 또한 일부 FPCB는 소정 몇몇의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다만 이들 연성인쇄회로기판(FPCB)들이 서로 필요에 의하여 이격된 거리를 형성한 경우, 도 1에서와 같이 길이가 긴 형태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을 생산할 경우, 원재료인 FPCB베이스 중에서 제품으로써 이용할 수 있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이 제조된다고 하여도, 종래기술에서는 낭비되는 FPCB베이스가 너무 넓어 생산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2 및 도 3에서처럼 본 발명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제조기술에 의하면 종래기술에서 하나로 될 FPCB을 복수 개로 구분하여 제조하고, 이를 연성접합부(20)를 통하여 접합함으로써 하나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으로 제조함으로써 낭비되는 소재를 줄여 생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도 1의 종래에서는 단지 8개 정도만 생산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적용된 예로서 도 2에서는 일부 FPCB를 22개 생산할 수 있고, 도 3에서의 예에서는 좀더 효율이 좋아 45개를 제조할 수 있어 향상된 생산효율을 갖게 된다.
이처럼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경우,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일측에 접합 및 전기접속을 이룰 수 있는 연성접합부(20)를 마련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복수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에 대한 상세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즉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처럼,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접합하되,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들이 접합된 연성접합부(20)를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과 같이, 이러한 상기 연성접합부(20)도 플렉서블(flexible)한 접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주요 특징인 플렉서블(flexible)한 특징으로 인해 실제 제품에 실장되어도 그 활용도가 더욱 상승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를 위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연성접합부(20)에 있어서, 다른 연성인쇄회로기판과 접속을 위한 연성접합단자(21)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들 사이에서는 연성접합부(20)의 연성접합단자(21)를 통하여 신호, 전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연성접합단자(21) 아래에 위치되는 연성접합절연부(22)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접합된 상태의 연성접합부(20)에서는 내부 중앙 층으로 양측 연성인쇄회로기판(FPCB)들의 연성접합단자(21)가 위치되고, 연성접합단자(21) 상하로는 각각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들의 연성접합절연부(22)가 감싸기 때문에 외부와 전기적 절연상태를 갖는다.
상기에서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연성접합부(20)를 통하여 양측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을 접합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은 본케이블(10)에서 연성접합부(20)로 이어지면서 폭이 넓어지는 광폭확장부(40)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에는 소정의 부품이 실장되거나 또는 다른 다양한 인쇄회로기판(PCB)와 접속되는 것이며, 대체로 이러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본케이블(10)로써 절연층으로 본절연부(12)와 전류가 흘러 신호를 전송하는 도체부분인 본배선(11)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을 이용하는 이유는 유연성(flexible)의 성질과 함께, 도체의 본배선(11)의 두께, 폭 등을 작게 하여도 안정적 신호전송이 보장되기 때문이며, 이를 위해 본배선의 도선 배치가 조밀하게 형성된다.
반면 앞서 설명한 연성접합부(20)는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들의 접합부분에 형성되어, 서로 신호접속을 위한 연성접합단자(21)가 형성된 것이며, 특히 접합과정에서 다른 연성접합단자와 전기적 접촉이 없어야 하며 전기적 절연상태를 가져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전볼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다수 연성접합단자들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절연영역이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배선과는 다르게 소정 너비의 절연영역을 형성하므로, 본케이블에 비하여 연성접합부(20)의 폭이 넓게 된다.
이에 광폭확장부(40)는 본케이블의 폭에서 연성접합부(20)의 너비로 점차로 넓어지도록 하면서도, 양측 신호전송을 위한 도체부분도 안정적으로 연결시켜야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세 구성으로써, 첨부된 도 4, 도 5 등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광폭확장부(40)는, 본케이블(10)의 본배선(11)과 연성접합부(20)의 연성접합단자(21) 사이를 잇는 광폭확장배선(41)을 구비하여 본배선(11)과 연성접합단자(21) 사이의 전기접속이 이루어지게 한다. 특히 도 5에서처럼 본배선(11)이 위치된 것보다 확장간격(a) 만큼 측방향으로 연성접합단자(21)가 이동되어 위치되고 이러한 양측 본배선(110과 연성접합단자(21)를 광폭확장배선(41)이 연결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광폭확장배선(41)은, 하나의 본배선과 하나의 연성접합단자 사이에 1:1로 접속배선구조로 이루어지게 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하나의 본배선과 복수의 연성접합단자로 되는 1대복수접속배선구조, 복수의 본배선과 하나의 연성접합단자로 되는 복수본배선대단일접속배선구조 등과 같이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게 배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광폭확장부(40)는, 상기 광폭확장배선(41) 아래에 위치되는 광폭확장하부절연부(42)를 구비한다.
특히 이러한 광폭확장부(40)에는, 상기 광폭확장배선(41) 상부에 위치되고 본케이블(10)과 연결된 부분보다 연성접합부(20) 측 방향부분이 두꺼워지는 광폭확장두께형성부(43)를 포함하는 것이 주요 특징 중 하나인 것이다.
이에 이러한 광폭확장두께형성부(43)에 의하면, 본케이블(10)과 연성접합부(20) 사이에 폭 차이에 따른 너비의 확장과 함께 양측 신호배선의 연결도 중요한 요소이면서, 또한 배선의 일측부분으로써 첨부된 도 5의 예시를 참조할 경우 광폭확장배선(41)의 상부 측에서의 광폭확장두께형성부(43)로 하는 절연층의 두께를 연성접합부(20) 측 방향으로 점차로 두껍게 형성하게 된다.
이로써 다른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이 접합될 경우, 다른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배선인 연성접합단자 및 그 베이스인 연성접합절연부 등에 의한 두께와 맞추게 될 것이다. 그리하여 양측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이 접합된 후에도 양측 연성인쇄회로기판(FPCB)들의 접합부에서의 돌출부분이 없이 매끄럽게 될 것이다.
만약 접합된 상태에서 어느 한 부분이 현격한 두께 차이를 보일 경우에는 사용 중에 두께 차이로 인해 돌출된 부분이 다른 기기나 물건에 의해 파손되거나 들춰지게 되어 결국 접합부분의 접합불량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광폭확장부(40)의 광폭확장두께형성부(43)에 의하여 접합된 이후에도 접합부분에서의 돌출된 부분을 없애므로 안정적 접합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에 있어서, 본배선(11), 연성접합단자(21), 광폭확장배선(41), 실장본배선(211), 실장연성접합단자(221), 실장광폭확장배선(241), 연장본배선(311), 연장연성접합단자(321), 연장광폭확장배선(341) 등은 금속으로써 전기전도의 특성을 갖는 것이며, 이러한 금속은 일반적으로 PCB, FPCB 등에서 이용되는 금속 전도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금속 전도체를 외부로부터 절연되도록 하는 절연구성으로써, 본절연부(12), 연성접합절연부(22), 광폭확장하부절연부(42), 광폭확장두께형성부(43), 실장본절연부(212), 실장연성접합절연부(222), 실장광폭확장하부절연부(242), 실장광폭확장두께형성부(243), 연장본절연부(312), 연장연성접합절연부(322), 연장광폭확장하부절연부(342), 연장광폭확장두께형성부(343) 등은, 외부와의 접촉에 의하더라도 절연성을 갖도록 하며, 또한 일반적인 PCB 공정, FPCB 공정에 따라 금속 전도체와의 접합을 위한 레이어(layer), 기타 필요에 따라서 마련될 수 있는 다양한 레이어 등을 함께 포함하여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처럼 마련되어 복수로 연성인쇄회로기판 등이 접합되는 과정 중에 양측 연성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접합되는 위치를 맞추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서로 결합을 위한 접합 인식마크 또는 Pin 접합용 Hole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식마크나 Pin 접합용 Hole 등을 형성하여 서로 인식장비나 Pin - Hole 결합 등에 의해 양측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접합 위치를 조절하여 맞춘 다음에 접합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양측 연성인쇄회로기판(FPCB)들이 서로 접합된 이후에도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이처럼 다수 후속작업을 진행하는 중에도 접합된 부분에서의 틀어짐이 없어야 양측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다수 접속단자 사이의 쇼트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한 하나의 구성으로써, 상기 연성접합부(20)는 접속을 위한 연성접합단자(21)를 포함하며, 이러한 상기 연성접합단자(21)의 접합면에는 돌출된 연성접속유지돌기를 형성하여,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 양측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연성접합단자(21)에 형성된 연성접속유지돌기들이 결합되어 요동에 의하더라도 접속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또는 연성접합단자 이외의 양측 연성인쇄회로기판(FPCB)들이 접하는 절연부분에도 다수 돌기를 형성하거나 홀을 형성하여 양측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연성접합부(20)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접합구조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양측으로 위치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에서의 접합에 대한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써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을 접합하는 기술로써,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들이 접합된 연성접합부(20)를 포함하는 것이며, 특히 접합부분인 상기 연성접합부(20)는, 플렉서블한 접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상기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에 대한 일 실시예로써, 도 13 및 도 14에서처럼 다수의 부품이 실장되는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20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200)과 접속되고 소정 길이로 이격되어 연결된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300)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하나는 주 연성인쇄회로기판으로써 주요 부품들이 실장되어 전기접속이 이루어지는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200)이 마련되고, 이와 접속되는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300)은 소정 거리로 이격되기 위해 일측 부분이 긴 길이를 형성하며,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300)의 소정 위치에는 다른 부품이 실장되거나 또는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PCB)와 접속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되는 경우로는 예를 들면 휴대폰이나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텔레비전이나 기타 전자장비들에 있어서, 주요 작동을 위한 메인보드와 디스플레이보드 부분이 분리된 경우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 기타 다양한 작동을 위한 부품들이 필요에 의하여 어느 정도 거리로 이격되거나 또는 굽힘 작용이 필요한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유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대부분 종래기술에서는 도 1에서처럼 전체 크기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하나의 완전체로 제작하려고 하나, 이를 위한 여타의 버려지는 공간이 많아 원재료의 낭비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메인 기판인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200)만 다수 개 모아 제조하고,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300)도 다수 개 모아 제조한 후, 이후에 접착함으로써 하나의 전체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각 부재들의 상세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200)은, 도 9, 도 10에서처럼 상기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300)과 접속을 위한 실장연성접합단자(221)가 마련되어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200)의 실장본케이블(210)의 실장본배선(211)과 연결된다. 그러면서 접속에 의해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300)의 연장연성접합단자(321)와 전기접속된다. 아울러 실장본케이블(210)에는 실장본배선(211) 주위로 실장본절연부(212)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실장연성접합단자(221) 아래에 위치되는 실장연성접합절연부(222)가 마련되고, 아울러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200)의 실장본케이블(210)에서 실장연성접합부(220)로 이어지면서 폭이 넓어지는 실장광폭확장부(24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장광폭확장부(240)는, 일측의 실장본케이블(210)과 타측 실장연성접합부(220)를 이어주는 것이며, 이에 실장본케이블(210)의 실장본배선(211)과 실장연성접합부(220)의 실장연성접합단자(221)를 연결하는 실장광폭확장배선(241)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실장광폭확장배선(241)의 아래에는 실장광폭확장하부절연부(242)가 구비된다.
아울러 실장광폭확장배선(241) 상부에 형성되어, 일측의 실장본케이블(210)에서 타측의 실장연성접합부(220) 측 방향으로 점차 폭이 넓어지면서 그 두께도 두꺼워지는 실장광폭확장두께형성부(243)가 마련된다.
이러한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200)과 대응되어 접합되는 상기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300)은, 상기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200)과 접속을 위한 연장연성접합단자(321)를 구비한다.
이러한 연장연성접합단자(321)는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300)의 연장본케이블(310)의 연장본배선(311)과 연결된다. 그러면서 접속에 의해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200)의 실장연성접합단자(221)와 전기접속된다. 아울러 연장본케이블(310)에는 연장본배선(311) 주위로 연장본절연부(312)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연성접합단자(321) 아래에 위치되는 연장연성접합절연부(322)가 마련되고, 아울러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300)의 연장본케이블(310)에서 연장연성접합부(320)로 이어지면서 폭이 넓어지는 연장광폭확장부(340)를 구비한 것이다.
이에 이러한 연장광폭확장부(340)는, 일측의 연장본케이블(310)과 타측 연장연성접합부(320)를 이어주는 것이며, 이에 연장본케이블(310)의 연장본배선(311)과 연장연성접합부(320)의 연장연성접합단자(321)를 연결하는 연장광폭확장배선(341)이 구비된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이러한 연장광폭확장배선(341)의 상부에는 연장광폭확장하부절연부(342)가 구비된다.
아울러 연장광폭확장배선(341) 아래에 형성되어, 일측의 연장본케이블(310)에서 타측의 연장연성접합부(320) 측 방향으로 점차 폭이 넓어지면서 그 두께도 두꺼워지는 연장광폭확장두께형성부(343)가 마련된다.
이처럼 일측의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200)과 타측의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300)이 접속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특히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200)에 있어서 실장광폭확장부(240)의 실장광폭확장두께형성부(243)의 끝단 두께는, 타측에 접속되는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300)의 연장연성접합부(320)에서 연장연성접합단자(321), 연장연성접합절연부(322) 그리고 후술되는 플렉서블접합부재(60) 등을 포함한 두께를 이루게 된다.
마찬가지로 타측인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300)에 있어서 연장광폭확장부(340)의 연장광폭확장두께형성부(343)의 끝단 두께는, 반대 측으로 접속되는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200)의 실장연성접합부(330)에서 실장연성접합단자(221), 실장연성접합절연부(222), 그리고 후술되는 플렉서블접합부재(60) 등을 포함한 두께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마련되어 접속되는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200)의 실장연성접합부(220)의 끝단과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300)의 연장광폭확장두께형성부(343) 사이의 접속된 부분은 접합된 이후에 높이 단차가 없게 된다.
마찬가지로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300)의 연장연성접합부(320)의 끝단과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200)의 실장광폭확장두께형성부(243) 사이의 접속된 부분은 접합된 이후에 높이 단차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양측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200)과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300) 등이 접합된 이후, 접합부분인 실장연성접합부(220) 및 연장연성접합부(320) 등이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가지게 되고, 아울러 양측 접합 부분에서 돌출된 부분이 없기 때문에 접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연성접합부(20)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접합하되, 상기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들의 연성접합부(20)들을 접합시키는 플렉서블접합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플렉서블접합부재(60)에 의하여 접합된 연성접합부가 플렉서블(flexible)한 접합부를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플렉서블접합부재(60)는, 이방성도전필름(ACF) 또는 이방성도전접착제(ACA)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방성도전필름(ACF) 또는 이방성도전접착제(ACA) 등의 접착성분에 의해 양측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연성접합부가 접합되고, 도전볼(미도시됨) 등의 도전물질에 의하여 양측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연성접합단자(21)가 전기접속을 이루게 되어 신호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본케이블 20 : 연성접합부
21 : 연성접합단자 40 : 광폭확장부
41 : 광폭확장배선 43 : 광폭확장두께형성부
60 : 플렉서블접합부재

Claims (10)

  1.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접합하되,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들이 접합된 연성접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성접합부는, 플렉서블한 접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다른 연성인쇄회로기판과 접속을 위한 연성접합단자; 및
    상기 연성접합단자 아래에 위치되는 연성접합절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본케이블에서 연성접합부로 이어지면서 폭이 넓어지는 광폭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폭확장부는,
    본케이블의 본배선과 연성접합부의 연성접합단자 사이를 잇는 광폭확장배선;
    상기 광폭확장배선 아래에 위치되는 광폭확장하부절연부; 및
    상기 광폭확장배선 상부에 위치되고 본케이블과 연결된 부분보다 연성접합부 측 방향부분이 두꺼워지는 광폭확장두께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서로 결합을 위한 접합 인식마크 또는 Pin 접합용 Ho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접합부는 접속을 위한 연성접합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연성접합단자의 접합면에는 돌출된 연성접속유지돌기를 형성하여,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 양측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연성접합단자에 형성된 연성접속유지돌기들이 결합되어 요동에 의하더라도 접속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7.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접합하되,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들이 접합된 연성접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성접합부는, 플렉서블한 접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다수의 부품이 실장되는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고 소정 길이로 이격되어 연결된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과 접속을 위한 실장연성접합단자;
    상기 실장연성접합단자 아래에 위치되는 실장연성접합절연부; 및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의 실장본케이블에서 실장연성접합부로 이어지면서 폭이 넓어지는 실장광폭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실장연성인쇄회로기판과 접속을 위한 연장연성접합단자;
    상기 연장연성접합단자 아래에 위치되는 연장연성접합절연부; 및
    연장연성인쇄회로기판의 연장본케이블에서 연장연성접합부로 이어지면서 폭이 넓어지는 연장광폭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접합하되,
    상기 복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들의 연성접합부들을 접합시키는 플렉서블접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블접합부재에 의하여 접합된 연성접합부가 플렉서블한 접합부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접합부재는, 이방성도전필름(ACF) 또는 이방성도전접착제(AC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KR1020150051769A 2015-04-13 2015-04-13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KR101676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769A KR101676747B1 (ko) 2015-04-13 2015-04-13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769A KR101676747B1 (ko) 2015-04-13 2015-04-13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914A true KR20160121914A (ko) 2016-10-21
KR101676747B1 KR101676747B1 (ko) 2016-11-16

Family

ID=5725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769A KR101676747B1 (ko) 2015-04-13 2015-04-13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7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898A (ko) * 2016-11-04 2018-05-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기기
CN109561626A (zh) * 2018-12-13 2019-04-02 余姚市爱优特电机有限公司 一种柔性电路板的安装结构
KR102066934B1 (ko) * 2018-07-11 2020-01-16 주식회사 비에이치 Pen fpcb를 이용한 접합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대면적 pen fpcb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381A (ko) 2020-03-02 2021-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7335A (ja) * 2002-07-12 2004-02-12 Toshiba Corp 端子接続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フレキシブル基板
JP2006024584A (ja) * 2004-07-06 2006-01-26 Sumitomo Electric Printed Circuit Inc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JP2008041990A (ja) * 2006-08-08 2008-02-21 Fujikura Ltd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間の接続構造、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間の接続方法及び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
KR20080018729A (ko) 2006-08-25 2008-02-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플렉시블 기판
KR100890198B1 (ko) 2007-04-10 2009-03-25 한국터치스크린(주) 터치스크린과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KR101090131B1 (ko) 2011-07-12 2011-12-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를 이용한 fpcb 접합 시스템 및 fpcb 접합 방법
JP5551012B2 (ja) * 2010-07-29 2014-07-16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配線体接続構造体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7335A (ja) * 2002-07-12 2004-02-12 Toshiba Corp 端子接続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フレキシブル基板
JP2006024584A (ja) * 2004-07-06 2006-01-26 Sumitomo Electric Printed Circuit Inc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JP2008041990A (ja) * 2006-08-08 2008-02-21 Fujikura Ltd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間の接続構造、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間の接続方法及び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
KR20080018729A (ko) 2006-08-25 2008-02-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플렉시블 기판
KR100890198B1 (ko) 2007-04-10 2009-03-25 한국터치스크린(주) 터치스크린과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JP5551012B2 (ja) * 2010-07-29 2014-07-16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配線体接続構造体
KR101090131B1 (ko) 2011-07-12 2011-12-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를 이용한 fpcb 접합 시스템 및 fpcb 접합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898A (ko) * 2016-11-04 2018-05-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기기
KR102066934B1 (ko) * 2018-07-11 2020-01-16 주식회사 비에이치 Pen fpcb를 이용한 접합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대면적 pen fpcb 조립체
CN109561626A (zh) * 2018-12-13 2019-04-02 余姚市爱优特电机有限公司 一种柔性电路板的安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747B1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99047B (zh) 剛撓性電路連接器
US7695289B1 (en) Connector
CN106171049A (zh) 电子设备
KR20100014064A (ko) 극세 동축선 하네스, 그 접속방법, 배선판 접속체, 배선판 모듈 및 전자기기
KR101676747B1 (ko) 연성접합부를 포함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JP4929329B2 (ja) 回路基板の挿入位置決めコネクタ
US10148052B2 (en) Connecting-and-fixing method for cable
CN106797084A (zh) 用于传输电力和信号的超低轮廓pcb嵌入式电连接器组件
KR100843388B1 (ko) 접속부를 구비한 회로기판
US20100248505A1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US9362632B2 (en) Termination structure, termination method and termination terminal for high-speed transmission line
US11439005B2 (en) Inductor bridge and electronic device
US11245217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1102712A (ja) コネクタ付きの配線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41079B2 (ja) プリント基板の製造方法及び導電性部材の接合方法
US10451810B1 (en) Adapt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laser diode to a circuit board
US20190297727A1 (en) Electronic device
CN105578724A (zh) 柔性电路板及移动终端
JP2009037773A (ja) コネクタ、ケーブル接続構造、電子機器及びコネクタと基板の接続方法
KR20190059398A (ko)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구조
JP3229385U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構造
CN103477504A (zh) 电连接器
JP4547987B2 (ja) 基板接続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複合基板
KR20160073860A (ko) 연성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CN206628617U (zh) 多层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