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579A - C1 억제제를 사용하여 유전성 혈관부종의 치료 - Google Patents

C1 억제제를 사용하여 유전성 혈관부종의 치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579A
KR20160121579A KR1020167025954A KR20167025954A KR20160121579A KR 20160121579 A KR20160121579 A KR 20160121579A KR 1020167025954 A KR1020167025954 A KR 1020167025954A KR 20167025954 A KR20167025954 A KR 20167025954A KR 20160121579 A KR20160121579 A KR 20160121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hibitor
onset
dose
h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 씨. 토토리티스
Original Assignee
산타루스,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타루스,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산타루스,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60121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55Protease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55Protease inhibitors
    • A61K38/57Protease inhibitors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10Antioedematous agents; Diure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81Protease inhibitors
    • C07K14/8107Endopeptidase (E.C. 3.4.21-99) inhibitors
    • C07K14/811Serine protease (E.C. 3.4.21) inhibitors
    • C07K14/8121Serp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17/00Genetically modified animals
    • A01K2217/05Animals comprising random inserted nucleic acids (transgenic)
    • A01K2217/052Animals comprising random inserted nucleic acids (transgenic) inducing gain of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10Mammal
    • A01K2227/107Rabbi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67/00Animals characterised by purpose
    • A01K2267/01Animal expressing industrially exogenous prote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유전성 혈관부종(hereditary angioedema, HAE)의 급성 발병들 치료에 대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에 따라 재조합 C1 에스테라아제 억제제(recombinant C1 esterase inhibitor)가 일차 투여량 및 이차 투여량으로 환자의 정맥 내로 투여 되며, 이 때 일차 및 이차 투여는 각각 환자 몸무게 기준으로 50 IU/kg의 투여량으로 24 시간 주기 이내에 투여된다. 상기 재조합 C1 에스테라아제 억제제는 인간 혈장 유래 C1 에스테라아제 억제제의 아미노산 서열과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인간 혈장 유래 C1 에스테라아제 억제제와 비교 시 변형된 탄수화물 구조를 가진다. 재발 감소뿐만 아니라 발병 증상들 및/또는 새로운 발병 증상들의 완화는 상기 방법의 사용으로 성취될 수 있다.

Description

C1 억제제를 사용하여 유전성 혈관부종의 치료{TREATMENT OF HEREDITARY ANGIOEDEMA WITH C1 INHIBITOR}
연관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서는 2014년 2월 28일자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946,677호에 35 USC119(e) 이하의 이득을 주장하며, 이를 위하여 본 문헌은 전체로서 본 발명에 포함된다.
C1 에스테라아제 억제제(C1 esterase inhibitor)로도 알려진 인간 C1 억제제(human C1 inhibitor, C1INH)는 세린 단백질가수분해효소 억제제(serine proteinase inhibitor)들의 상과에서 주요 단백질이다. 인간 이외의 형질전환 포유류의 우유에서 재조합 C1 억제제(rhCHNH)의 생산은 미국특허 제7,067,713호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특허는 C1 억제제(또는 이의 재조합형)가 HAE를 가지는 환자 또는 면역 억제를 요하는 환자들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HAE는 희귀하고 잠재적으로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으로 보통 염색체우성 유전질환으로 이해된다. C1 에스테라아제 억제제 결핍을 갖는 유전성 혈관부종의 특징은 조직 종창의 반복적인 발병이다. 예를 들어, HAE 발병들은 재발하는 안면, 말초, 인두/후두, 위장(gastrointestinal, GI) 관/복부 또는 비뇨생식 종창으로 나타날 수 있다. HAE 발병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은 심한 통증, 장애, 팽창, 구역 등으로 또한 고통 받을 수 있고 입원을 요하거나 학업, 직장 및 사회 상호작용의 중단 및 수면 장애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급성 발병들은 예측 불가하고 종종 분명한 유발 없이 발생한다. 당 기술분야에는 급성 HAE 발병들을 가지는 환자들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방법들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인간 환자들에서 HAE의 급성 발병들을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의 발견에 기반을 둔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상기 방법들 및 투여 요법들은 HAE로 고통 받는 환자들의 생존에 유리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이들 환자들의 생존에 중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투여 요법들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환자들 집단들은 (예외 없이: 생명을 위협하는 HAE 증상들을 가지는 개인들) 일차 투여량으로 재조합 C1 억제제를 투입 후 4 시간까지 HAE 발병의 증상들로부터 완화를 경험하지 못하는 환자들 및 일차 투여량으로 재조합 C1 억제제를 투입 후 오직 제한된 완화(VAS 지수에서 20 mm 미만의 감소)를 경험하는 환자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하나의 양태는 환자에서 유전성 혈관부종(HAE)의 급성 발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재조합 C1 에스테라아제 억제제의 일차 투여량을 환자 몸무게 기준으로 50 IU/kg의 용량으로 환자의 정맥 내로 투여한 후, 재조합 C1 에스테라아제 억제제의 이차 투여량을 환자 몸무게 기준으로 50 IU/kg의 용량으로 환자의 정맥 내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로 인해 환자에서 HAE의 급성 발병을 치료하게 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일차 투여량은 환자에서 HAE 발병이 시작된 후 5 시간 내에 투여된다. 또 다른 구체예들에서, 상기 이차 투여량은 상기 일차 투여량 후에 최소 4 시간째 투여된다. 또 다른 구체예들에서, 상기 일차 투여량 및 상기 이차 투여량은 24 시간 주기 내에 투여된다. 또 다른 구체예들에서, 24 시간 주기 내에 오직 두 번의 투여량이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다양한 HAE 발병 부위들을 가지는 환자에게서 사용된다. 상기 발병 부위는 말초, 복부, 안면, 구인두, 및/또는 후두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들에서, 상기 HAE 발병은 환자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증상들의 형태로 나타내어진다. 또 다른 구체예들에서, 상기 발병은 100 mm의 비쥬얼 아날로그 스케일(Visual Analog Scale, VAS) 상에서 최소 50 mm의 중증도 등급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증상 완화의 시작이 상기 일차 투여량의 투여로부터 4 시간 내에 일어나고 상기 이차 투여량의 투여 전에 완화 정도가 VAS 지수에서 20 mm 미만의 감소를 보이는 환자들에게 사용된다. 상기 VAS 지수의 감소는, 경우에 따라, 두 개의 연속적인 시간 시점들에 기초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일차 투여량 투여 후에 및 상기 두번재 투여량 투여 전에 HAE 발병 증상들이 지속되는 환자들에게서 사용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상기 재조합 C1 억제제는 인간 혈장 유래 C1 에스테라아제 억제제의 아미노산 서열과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인간 혈장 유래 C1 에스테라아제 억제제와 비교 시 변형된 탄수화물 구조를 가진다. 또 다른 구체예들에서, 상기 재조합 C1 억제제는 형질전환 포유류들로부터 정제된다. 또 다른 구체예들에서, 상기 재조합 C1 억제제는 rhCHNH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모든 구체예들에서, 상기 재조합 C1 에스테라아제 억제제의 첫 번째 및 이차 투여량들은 환자에 의해 자가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HAE 치료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데, 상기 방법은 C1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과 연관되며, 이로 인해 실질적인 증상 완화가 4 시간 내에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또 다른 양태는 급성 HAE 발병으로 고통 받는 환자의 치료를 위한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C1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방법으로 치료 시 환자를 급성 HAE 발병 증상들로부터 실질적으로 완화시키며, 이때 12 시간 내에(또는 바람직하게는 24 시간,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48 시간,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72 시간 내에) 증상들이 재발되지 않는다. 더욱이, 바람직하게 12 시간 내에(더 바람직하게는 24 시간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48 시간,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72 시간 내에) 새로운 급성 HAE 발병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 다른 양태에서, HAE로부터 고통 받는 환자의 치료를 위한 방법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고 있는데, 상기 방법은 C1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치료는 HAE 증상들을 실질적으로 완화시키지만 상기 환자에서 D-이합체(D-dimer) 정도는 실질적으로 높이지는 않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D-이합체 수치는 C1 억제제 조성물의 투여로부터 최소 7일의 기간 동안 실질적으로 증가되지는 않는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HAE로부터 고통 받는 환자의 치료를 위한 방법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고 있는데, 상기 방법은 C1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치료는 실질적으로 HAE 증상들을 완화시키지만 혈전색전성 사례의 위험은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는다. 상기 치료는 바람직하게는 심부 정맥 혈전증의 위험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는다.
상기 기술된 구체예들에서, 상기 C1 억제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점막하 또는 피하 발병 부위들을 가지는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 상기 C1 억제제는 rhCHNH와 같은 재조합 C1 억제제다. 상기 기술된 양태들 각각에서, 상기 조성물은 1회 투여량 또는 다중 투여량(바람직하게는 1회 투여량)으로 투여된다. 상기 조성물은 25에서 100 IU/kg의 용량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 IU/kg의 용량으로,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IU/kg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상기 기술된 구체예들에서, 상기 C1 억제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HAE 증상들을 완화시키기 위해 투여된다. 바람직한 구체예로, 상기 증상들 중에 하나는 HAE로 인한 조직 팽창이다. 상기 C1 억제제 조성물은 HAE 또는 급성 HAE 발병으로부터 고통 받는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다른 양태들 및 구체예들은 아래에 기술된다.
도 1은 실시예 1의 연구들에 기재된 환자들에게 투여된 rhClINH 투여량들(1회 투여량 대 2회 투여량들)의 횟수에 따른 HAE 발병들의 분해를 도시하는 원도표이다. 발병들의 93%는 1회 투여량으로 rhClINH가 투여 되었고, 반면 발병들의 7%는 2회 투여량으로 rhClINH가 투여 되었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기술된 연구들에 대해 rhClINH로 처리된 환자들에서 반응 및 재발 비율을 도시하는 도표이다. 상기 기술된 연구들에서, 용어 "반응"은 4 시간 이내 (지속적으로) 증상 완화의 시작으로 정의되었다. 용어 "지속됨"은 완화의 정도를 지시하는데, 여기서 VAS 지수의 감소는 20 mm 보다 같거나 초과된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기술된 rhClINH 처리 후 3일 이내에 발병 증상들의 재발 횟수 또는 새로운 발병 증상들의 출현 횟수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4는 D-이합체의 기준 중앙 농도들을 도시하는 도표로서, 상기 농도는 실시예 2에 참조된 HAE 환자들에서 정상치보다 증가되었다.
도 5는 D-이합체의 정상 농도 수준과 비교 했을 때, 플라세보(placebo) 처리 환자 대 rhClINH(실시예 2) 처리 환자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D-이합체 중앙 농도들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6은 D-이합체의 정상 농도 수준과 비교 했을 때, 점막하 또는 피하 위치에 발병한(실시예 2) 환자들에게 플라세보 처리에 따른 D-이합체 농도들을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7은 D-이합체의 정상 농도 수준과 비교 했을 때, 점막하 또는 피하 위치에 발병한(실시예 2) 환자들에게 rhClINH 처리에 따른 D-이합체 농도들을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8은 D-이합체의 정상 농도 수준과 비교 했을 때, 다수 발병 부위들 대 단일 발병 부위를 가지는 환자들에(실시예 2) 대한 D-이합체 농도들을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9는 rhCHNH 투여 환자들 대 플라세보 투여 환자들(실시예 2)에 대한 D-이합체 농도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CI 에스테라아제 억제제(CI esterase inhibitor, C1INH)가 결핍된 유전성 혈관부종은 반복적인 조직 종창의 발병이 특징이다. 재조합 인간 C1INH(Recombinant human C1INH, rhClINH)는 HAE 환자들에서 혈관부종 증상들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치료는 최소 12 시간 내에, 최소 24 시간 내에, 48 시간 내에 또는 72 시간 동안 고반응율 및 비재발의 결과를 낳는다. 상기 치료는 4 시간 내에 실질적인 완화 또는 완화의 시작을 제공한다. 추가적인 구체예에서, rhCHNH의 1회 투여량은 급성 HAE 발병들을 치료하는데 일관되거나 또는 지속적인 반응들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환자에게 일차 투여량 및 이차 투여량으로 재조합 C1 억제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 투여량은 상기 일차 투여량 후에 투여 되는데, 이때 각각의 상기 투여량들은 환자 몸무게에서 50 IU/kg의 용량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상기 재조합 C1 억제제로 치료하는 것은 부작용들을 초래하지 않거나 또는 부작용들(상승된 D-이합체 수치, 혈전색전성 사례들, 또는 심부 정맥 혈전증과 같은)의 위험을 야기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하나의 양태는 유전성 혈관부종(hereditary angioedema, HAE)으로 고통 받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인데, 상기 방법은 C1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치료로 증상들의 실질적인 완화는 4 시간 내에 성취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또 다른 양태는 급성 HAE 발병으로 고통 받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인데, 상기 방법은 C1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치료는 급성 HAE 발병의 증상들로부터 환자를 실질적으로 완화시키고 12 시간, 24 시간, 48 시간, 또는 72 시간 내에 증상들의 재발을 야기하지 않는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12 시간, 24 시간, 48 시간, 또는 72 시간 내에 새로운 급성 HAE 발병이 생기지 않는다.
또 다른 양태에서, HAE로부터 고통 받는 환자의 치료를 위한 방법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고 있는데, 상기 방법은 C1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치료는 HAE 증상들을 실질적으로 완화시키지만 환자에서 D-이합체 수치는 실질적으로 높이지는 않는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D-이합체 수치는 상기 C1 억제제 조성물의 투여로부터 최소 7일의 기간 동안에는 실질적으로 증가되지 않는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치료시점부터 시작하여 최소 7일에 걸쳐서 상기 환자의 D-이합체 수치는 4000 ㎍/L 보다 낮게, 3000 ㎍/L 보다 낮게, 2500 ㎍/L 보다 낮게 유지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HAE로부터 고통 받는 환자의 치료를 위한 방법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고 있는데, 상기 방법은 C1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치료는 실질적으로 HAE 증상들을 완화시키지만 혈전색전성 사례의 위험은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는다. 상기 치료는 추가로 심부 정맥 혈전증의 위험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는다.
상기 기술된 구체예들의 각각에서, 상기 C1 억제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점막하 또는 피하 발병 부위들을 가지는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C1 억제제는 rhClINH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양태들의 각각에서, 상기 조성물은 1회 투여량 또는 다중 투여량(바람직하게는 1회 투여량)으로 투여된다. 상기 조성물은 25 내지 100 IU/kg의 용량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 IU/kg의 용량으로, 또는 50 IU/kg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상기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정맥 내로 투여된다.
상기 기술된 구체예들에서, 상기 C1 억제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HAE 발병으로부터 증상들을 완화시키기 위해(즉, HAE로 인한 조직 팽창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투여된다.
C1 억제제 유전자들
상기 C1 억제제 cDNA 서열은 22개의 아미노산 신호 서열을 포함한 500개의 아미노산들로 이루어진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ock 외 1986, Biochem. 25: 4292-4301). C1 억제제의 전체 인간 게놈 서열은 알려져 있고, 그리고 상기 유전자는 7 개의 비발현부위들을 포함한다(Carter P. 외 1988, Eur. J. Biochem. 173: 163). 상기 참조에 기술된 원형 서열 모두에 대한 대립 변이체들, 동족 변이체들 및 유도 변이체들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포유류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변이체들은 아미노산 수준에서 알려진 C1 억제제 유전자들과 일반적으로 상당한 서열 일치성을 보인다. 이러한 상기 변이체들은 일반적으로 엄격한 조건 하에서 알려진 유전자들과 혼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알려진 유전자들 중 하나에 의해서 암호화되는 폴리펩타이드에 대한 항체들과 교차 반응을 한다. 게놈 및 cDNA 서열들의 다른 실시예들은 GenBank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C1 억제제 유전자들의 추가적인 복제 서열들이 요구될 경우에, 상기 복제 서열들은 알려진 C1 억제제 서열들을 이용하여 게놈 또는 cDNA 라이브러리(library)(바람직하게는 인간)로부터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식유전자(Transgene) 설계
이식유전자들은 상기 이식유전자를 가지는 형질전환된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의 유선에 특이적으로 재조합 C1 억제제를 발현시키기 위해 설계된다. 기초 접근법은 신호 서열과 함께 상기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외인성 DNA 부분, 그리고 상기 외인성 DNA 부분의 발현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인 조절 서열을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상기 조절 서열은 프로모터(promoter) 및 증진인자(enhancer)를 포함한다. 상기 DNA 부분은 게놈, 미니유전자(하나 이상의 비발현부위들이 생략된 게놈), cDNA, YAC 단편, 2개의 다른 C1 억제제 유전자들의 키메라(chimera), 또는 상기 기술된 모든 것들의 혼성일 수 있다. 게놈 서열들의 포함물들은 일반적으로 고발현된다.
게놈 구성체들에서, 모든 비발현부위 서열들을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일부 비발현부위 서열들은 작은 이식유전자를 얻기 위해서 제거될 수 있는데, 상기 제거를 통해서 DNA 조작들 및 그 다음의 미세주입이 촉진된다. 참조, Archibald 외, 국제공개공보 제WO90/05188호(모든 목적에 대해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됨). 일부 비발현부위들의 제거는 경우에 따라 발현 정도를 증가시키는데 또한 유용하다. 유전자번역후 개질을 실질적으로 완성시키기 위해 발현 정도를 감소시키는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비발현부위들을 제거하는 것이 또한 요구될 수 있다. 일부 또는 모든 비코딩(non-coding) 엑손(exon)들이 또한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이식유전자들에서, C1 억제제를 암호화하는 서열들에서 선택된 뉴클레오타이드들은 단백질 가수분해 절단 위치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변형된다. 형질전환 포유류에서 생산되는 C1 억제제들의 의도된 사용은 일반적으로 인간에게 투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C1 억제제 서열을 암호화하는 DNA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인간으로부터 얻어진다. 유사하게 상기 의도된 목적이 가축 치료(예를 들어, 말, 개 또는 고양이)이면, 상기 DNA 부분은 상기 동일한 종들로부터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모터 및 증진인자와 같은 조절 서열들은 유선에서만 오직 발현되거나 또는 최소한 유선에서 우선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예를 들어, 유선 특이적)로부터 유래된다. 프로모터 및 증진인자의 원천으로서 바람직한 유전자들은 베타-카세인(β-casein), 카파-카세인(κ-casein), αSl-카세인(αSl-casein), αS2-카세인(αS2-casein), 베타-락토글로불린(β-lactoglobulin), 유청 산 단백질 및 알파-락트알부민(α-lactalbumin)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모터 및 증진인자는 일반적으로 상기 동일한 유선 특이적인 유전자로부터 얻어진다(하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음). 바람직하게 상기 유전자는 상기 이식유전자가 발현되는 포유동물에서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포유동물로부터 유래된다. 인간 유전자들로부터 유래된 발현 조절 서열들처럼 다른 종으로부터 유래된 발현 조절 서열들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서열은 상기 C1 억제제가 유선에서 분비될 수 있게 작용하여야 한다. 적합한 신호 서열들은 분비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포유류 유전자로부터 얻을 수 있다. C1 억제제들의 천연 신호 서열들은 적합하다. 이러한 상기 신호 서열들에 추가적으로, 신호 서열들의 바람직한 원천들은 상기 프로모터 및 증진인자가 얻어진 것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신호 서열이다. 선택적으로, 추가적인 조절 서열들은 발현 정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이식유전자에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서열들은 5' 인접 부위들, 전사는 되나 번역되지 않는 5' 부위들, 비발현부위 서열들, 전사는 되지만 번역되지 않는 3' 부위들, 아데닐중합체형성 위치들, 및 3' 인접 부위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서열들은 일반적으로 프로모터 및 증진인자가 얻어진 유선 특이적 유전자로부터 얻어지거나 또는 발현되는 C1 억제제로부터 얻어진다. 상기 서열들의 포함물은 정확한 유선 특이적인 유전자의 발현 및/또는 정확한 C1 억제제 유전자의 발현을 자극하는 유전적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유전적 환경은 전사된 유전자가 고발현 되는 일부 경우들(예를 들어, 소 aSl -카세인)을 야기한다. 또는, 3' 인접 부위들 및 비해독 부위들은 베타-글로빈(β-globin) 유전자 또는 바이러스 유전자들과 같은 다른 이종 유전자들로부터 얻어진다. C1 억제제 유전자, 또는 다른 이종 유전자의 3' 및 5' 비해독 부위들의 포함물들은 상기 전사물의 안정성을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유선 특이적 유전자로부터 유래되는 5' 인접 서열의 약 0.5, 1, 5, 10, 15, 20 또는 30 kb 부위는 발현되는 C1 억제제 유전자의 약 1, 5, 10, 15, 20 또는 30 kb 부위 또는 3' 인접 서열과 함께 포함된다. 상기 단백질이 cDNA 서열로부터 발현되면, 프로모터와 코딩(coding) 서열 사이에 비발현부위 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비발현부위 서열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모터가 얻어진 유선 특이적인 부위의 첫 번째 비발현부위로부터 얻어지는 사이 서열(intervening sequence)의 5' 부분 및 IgG 사이 서열 또는 C1 억제제 유전자의 사이 서열의 3' 부분으로 형성된 혼성 서열이다. 참조, DeBoer 외, 국제공개공보 제WO91/08216호(모든 목적에 대해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됨). C1 억제제 cDNA를 발현시키기 위한 또 다른 바람직한 이식유전자는 pBCl 발현 벡터 키트(kit)에 기초하는데, 상기 벡터는 Invitrogen(Carlsbad, CA)에서 시판된다. 상기 pBCl 벡터는 염소 베타-카세인 유전자 부분들뿐만 아니라 염소 베타-카세인 프로모터도 포함하는데, 상기 유전자 부분들은 3' 비해독 서열들뿐만 아니라 일부 엑손 및 비발현부위들도 포함한다. pBCl의 유일한 Xho 삽입 위치로 상기 C1 억제제 cDNA를 삽입하여 염소 베타-카세인 엑손 및 비발현부위 서열들에 인접한 C1 억제제 cDNA 서열들을 포함하는 키메라 RNA가 생성될 것이다. 하지만, 상기 키메라 RNA 분자가 적절하게 재단(splicing)되면, 오직 C1 억제제 cDNA 서열들만 번역된다.
게놈 서열들로부터 C1 억제제 단백질을 발현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하나의 이식유전자는 C1 억제제의 전체 코딩(coding) 서열을 암호화하는 C1 억제제의 게놈 서열, 신호 펩타이드, 3' UTR 및 3' 인접 서열을 포함하는데, 상기 서열들은 C1 억제제 단백질의 발현을 충분히 유도할 수 있는 조절 서열들을 포함하는 5' 알파 SI 카세인 단편에 작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DNA 서열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생물체, 및 종종 일부 생명체들에서 상기 나열된 모든 유선 특이적 유전자들에 대해 이용 가능하다. 참고, 예를 들어, Richards 외, J. Biol. Chem. 256, 526-532(1981)(쥐, 알파-락탈부민); Campbell 외, Nucleic Acids Res. 12, 8685-8697(1984)(쥐, WAP); Jones 외, J. Biol. Chem. 260, 7042-7050(1985))(쥐, 베타-카세인); Yu-Lee & Rosen, J. Biol. Chem. 258, 10794-10804(1983)(쥐, 감마-카세인)); Hall, Biochem. J. 242, 735-742(1987)(인간, 알파-락탈부민); Stewart, Nucleic Acids Res. 12, 389(1984)(소, asl 및 카파-카세인 cDNA들); Gorodetsky 외, Gene 66, 87-96(1988)(소, 베타-카세인); Alexander 외, Eur. J. Biochem. 178, 395-401(1988)(소, 카파-카세인); Brignon 외, FEBS Lett. 188, 48-55(1977)(소, aS2 카세인); Jamieson 외, Gene 61, 85-90(1987), Ivanov 외, Biol. Chem. Hoppe-Seyler 369, 425-429(1988), Alexander 외, Nucleic Acids Res. 17, 6739(1989)(소, 베타 락토글로불린); Vilotte 외, Biochimie 69, 609-620(1987)(소, 알파-락탈부민)(모든 목적에 대해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됨).
다양한 우유 단백질 유전자들의 구조 및 기능은 Mercier & Vilotte, J.(Dairy Sci. 76, 3079-3098(1993))에 의해 검토 되었다(모든 목적에 대해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됨). 추가적인 서열 데이터가 요구될 경우에, 이미 얻어진 상기 부위들에 인접한 서열들은 기존의 서열들을 탐색자로 사용하여 쉽게 복제될 수 있다.
다른 생명체들의 유선 특이적 조절 서열들은 마찬가지로 알려진 동족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들, 또는 동족의 단백질들에 대한 항체들을 탐색자로 사용하여 상기 생명체들의 라이브러리를 탐색함으로써 얻어진다.
재조합 단백질의 유선 특이적 발현을 위해 αSl -카세인 조절 서열들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전략들 및 모범적인 이식유전자들은 'DeBoer 외, 국제공개공보 제WO91/08216호 및 제WO93/25567호)'에 더 자세히 기술된다(모든 목적에 대해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됨). 다른 유선 특이적 유전자들로부터 조절 서열들을 이용하는 이식유전자들의 예들 또한 기술되어 있다. 참조, 예를 들어, Simon 외, Bio/Technology 6, 179-183(1988) 및 국제공개공보 제WO88/00239호(1988)(β-lactoglobulin regulatory sequence for expression in sheep); Rosen, 유럽특허 제279,582호 및 Lee 외, Nucleic Acids Res. 16, 1027-1041(1988)(β-casein regulatory sequence for expression in mice); Gordon, Biotechnology 5, 1183(1987)(WAP regulatory sequence for expression in mice); 국제공개공보 제WO88/01648호(1988) 및 Eur. J. Biochem. 186, 43-48(1989)(α-lactalbumin regulatory sequence for expression in mice)(모든 목적에 대해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됨).
상기 기술된 이식유전자들은 인간 이외의 포유류로 도입된다. 대부분의 인간 이외의 포유류(설치류(생쥐 및 쥐, 토끼), 양(ovines)(양(sheep)), 염소(caprines)(염소(goats)), 돼지(porcines)(돼지(pigs)), 및 소(bovines)(소(cattle) 및 물소)를 포함)는 적합하다. 소는 다량의 우유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는데 비해, 생쥐는 유전자 이식 및 사육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토끼는 상기 장점들을 좋은 절충을 제공한다. 토끼는 약 14%의 단백질 양으로 날마다 100 ml의 우유를 생산할 수 있고(Buhler 외, Bio/Technology 8, 140(1990) 참조)(모든 목적에 대해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됨), 더욱이 생쥐와 동일한 원리를 사용하고 유사한 시설로 조작 및 사육될 수 있다. 바늘 두더지 또는 오리너구리와 같이 태생성이 아닌(Nonviviparous) 포유류는 일반적으로 포함되지 않는다.
유전자 이식의 일부 방법에서, 이식유전자들은 수정된 난모세포들의 전핵으로 도입된다. 생쥐 및 토끼와 같은 일부 동물들에 대해서는, 수정은 체내에서 이루어지고 수정된 난자들은 외과적으로 제거된다. 다른, 특히 소와 같은 동물들에 대해서는, 살아 있거나 또는 도축장의 동물들로부터 난자들을 제거하고 체외에서 상기 난자들을 수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 DeBoer 외, 국제공개공보 제WO91/08216호. 체외 수정은 (S기 이전에) 통합을 위해서 최적의 세포주기 단계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존재하는 세포들로 이식유전자들 도입할 수 있게 해준다. 이식유전자들은 일반적으로 미세주입으로 도입된다. 참조, 미국특허 제4,873,292호. 수정된 난모세포들은 그 다음으로 약 16-150 개의 세포들을 포함한 착상 전 배아가 얻어질 때가지 다음 체외에서 배양된다. 배아의 16-32개 세포 단계는 상실배로 표현된다. 32개 보다 많은 세포들을 가지는 착상 전 배아들은 배반포로 불리어진다. 상기 배아들은 전형적으로 64-세포 단계에서 분할강으로 발달한다. 착상 전 단계까지 수정된 난모세포들을 배양하는 방법들은 다음의 문헌들에 기술된다: Gordon 외, Methods Enzymol. 101, 414(1984); Hogan 외, Manipulation of the Mouse Embryo: A Laboratory Manual, C.S.H.L. N.Y.(1986)(생쥐 배아); Hammer 외, Nature 315, 680(1985)(토끼 및 돼지 배아들); Gandolfi 외 J. Reprod. Fert. 81, 23-28(1987); Rexroad 외, J. Anim. Sci. 66, 947-953(1988)(양 배아) 및 Eyestone 외 J. Reprod. Fert. 85, 715-720(1989); Camous 외, J. Reprod. Fert. 72, 779-785(1984); 및 Heyman 외 Theriogenology 27, 5968(1987)(소 배아)(모든 목적에 대해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됨). 가끔, 착상 전 배아들은 착상이 있을 때까지 냉동 보관된다. 착상 전 배아들은 가임신 암컷의 난관으로 주입되고, 이때 이식유전자가 통합되는 발달 단계에 의존해서 형질전환 또는 키메라 동물이 출생된다. 키메라 포유류는 진짜의 생식세포계열 형질전환 동물로 만들어지기 위해 사육될 수 있다.
또는, 이식유전자들은 배아줄기세포들(배아줄기세포s, ES)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세포들은 체외에서 배양한 착상 전 배아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Bradley 외, Nature 309, 255-258(1984)(모든 목적에 대해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됨). 이식유전자들은 전기 천공법 또는 미세주입으로 상기 세포 내로 도입될 수 있다. ES 세포들은 상동 재조합을 통해 염색체의 특정 위치에 이식유전자들을 도입시키는데 적합하다. 예를 들어, C1 억제제를 암호화하는 이식유전자는 하나의 염색체 위치로 도입될 수 있는데, 상기 위치에서 내생 조절 서열에 인접하여 작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내생 조절 서열의 작용에 의해 유선에서 (C1 억제제에 해당되는) 코딩(coding) 서열이 발현되게 된다. 변형된 ES 세포들은 인간 이외의 동물들로부터 얻어진 배반포들과 결합된다. 상기 ES 세포들은 상기 배아를 이용하여 생장하고 일부 배아들은 키메라 동물을 낳는 생식세포계열을 형성하거나 또는 생식세포계열에 기여한다. 참조, Jaenisch, Science, 240, 1468-1474(1988)(모든 목적에 대해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됨). 또는, ES 세포들의 핵들은 제핵되어진 수정된 난모세포로 이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이식으로 형질전환 포유동물이 생기게 된다. 추가적인 구체예에서, C1 억제제를 발현할 수 있는 이식 유전자를 포함한 형질전환 동물들(바람직하게는 인간 이외의 포유류)은 핵이식과 연관된 방법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세포들은 난모세포들로 이식될 핵들에 대해 공여체로 사용될 수 있다. 공여세포들은 C1 억제제 이식유전자들을 포함하는 형질전환 동물들의 모든 조직들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조직은 다음과 같다: 성체 세포들, 태아 세포들 또는 배아 세포들, 다양한 분화 단계에서, 미분화에서 완전한 분화까지의 범위에서, 다양한 세포주기 단계에서(예를 들어, 무활동 및 증식 세포 모두), 및 체조직들 또는 생식세포계열 조직들(국제공개공보 제WO97/07669호, 국제공개공보 제WO98/30683호 및 국제공개공보 제WO98/39416호 참조, 상기 각각은 모든 목적에 대해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됨).
또는, 공여 핵들은 C1 억제제 이식유전자가 도입되어 체외 배양된 세포들로부터 얻어지는데, 상기 도입은 인산칼슘형질주입, 미세주입 또는 리포펙션(lipofection)과 같은 종래의 방법들이 사용되어 이루어지며, 도입 후 그 뒤를 이어 이식유전자 존재 또는 이식유전자의 특이적 통합 여부에 대해 선별 또는 검출된다(국제공개공보 제WO98/37183호 및 국제공개공보 제WO98/39416호 참조, 상기 각각은 모든 목적에 대해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됨). 공여 핵들은 융합 방법, 전기적 또는 화학적으로 유발된 방법(국제공개공보 제WO97/07669호, 국제공개공보 제WO98/30683호 및 국제공개공보 제WO98/39416호 중에 하나 참조), 또는 미세주입(국제공개공보 제WO99/37143호 참조, 모든 목적에 대해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됨)이 사용되어 난모세포들로 도입된다. 그 다음으로 이식된 난모세포들은 배양되어 배아들로 발달하게 되며, 이후에 상기 배아들은 가임신 암컷 동물들의 난관들에 주입되어, 그 결과 형질전환 자손이 출생된다(국제공개공보 제WO97/07669호, 국제공개공보 제WO98/30683호 및 국제공개공보 제WO98/39416호 중에 하나 참조).
유전자 이식의 다른 방법은 (레트로(retro))바이러스 기반의 벡터들을 사용하여 상기 요구되는 이식유전자들을 도입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상기 벡터들의 실시예들은 수포성 구내염바이러스 G 당단백질(vesicular stomatitis virus G glycoptotein, VSG-G) MoMLV 유도 레트로바이러스 벡터(VSV-G 위형)를 포함하는데, 상기 벡터는 Yee 외(1994, Meth. Cell. Biol. 43: 99-112, 모든 목적에 대해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됨)에서 설명된다. 수정 전 두 번째 감수분열의 이차중기에서 정지된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바람직하게는 소)의 난모세포들은 상기 VSV-G 위형 벡터로 감염되어 형질전환 자손을 생산하게 된다('Chan 외(1998, Proc. Natl. Acad. Sci. USA 95: 14028-14033)'에 설명됨, 모든 목적에 대해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됨). 또는, 유전적으로 변형된 동물을 생산하는 대신에, 제한된 기관(바람직하게는 유선)이 약학적 단백질들을 만드는 목적으로 레트로바이러스 감염으로 변형된다. 유선 상피세포들을 감염시키기 위해 인간 이외의 유선들로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들(C1 억제제를 암호화하는 서열들을 포함)을 융합하는 것은 상기 동물들의 우유에서 상기 C1 억제제 단백질의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Archer 외, 1994, Proc. Natl. Acad. Sci. USA 91: 6840-6844, 모든 목적에 대해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됨).
두 개 이상의 이식유전자들을 가지는 형질전환 동물들의 생산을 위해서, 단일 이식유전자의 경우와 같이 동일한 절차가 사용되어 상기 두 유전자들이 동시에 도입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식유전자들은 초기에는 독립된 동물들로 주입된 뒤 이후에 상기 동물들을 번식시켜서 동일한 게놈으로 상기 이식유전자들을 결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식유전자들을 포함하면서 첫 번째 형질전환 동물이 생산된다. 그런 다음 상기 동물로부터 얻어진 수정된 난자들 또는 배아줄기세포들로 두 번째 이식유전자들이 도입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이식유전자의 길이가 약 50 kb를 초과하지 않는다면, 상기 이식유전자는 중복되는 단편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중복되는 단편들은 수정된 난모세포 또는 배아줄기세포로 동시에 도입되고 체내에서 상동 재조합을 거치게 된다. Kay 외, 국제공개공보 제WO92/03917호 참조(모든 목적에 대해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됨).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형질전환 포유류는 상기 기술된 것처럼 게놈에 최소 하나의 이식유전자를 포함한다. 한 개 세포 단계에서 이식유전자의 도입은 일반적으로 형질전환 동물들을 만들고, 상기 형질전환 동물들의 자손의 모든 생식세포들 및 체세포들은 게놈 상에 상기 이식유전자를 포함한다(일부 세포들이 체세포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는 예외를 포함). 후기에 이식유전자의 도입은 섞임(mosaic) 또는 키메라 동물들이 생산되게 된다. 하지만, 일부 생식세포계열로 이식유전자가 포함된 상기 동물들은 실질적으로 모든 체세포들 및 생식세포들이 이식유전자들 포함하는 형질전환 동물들로 되게끔 번식될 수 있다.
유선 세포들에 바이러스 유전자 이식은 일반적으로 오직 유선 세포들에 이식유전자가 존재하는 형질전환 동물을 만든다. 이와 같은 상기 포유동물은 다음 세대에 생식세포계열을 전달하지 않는다.
상기 이식유전자는 C1 억제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DNA 부분이 최소 유선에서 우세하게 발현되는 것을 표적한다. 상기 C1 억제제는 최소 100, 500, 1000, 2000, 5000 또는 10,000, 20,000 또는 50,000의 고농도로 분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상기 형질전환 포유류는 실질적으로 정상적인 건강상태를 보인다. 유선 이외에 다른 조직들에서 C1 억제제 단백질들의 이차 발현은 유해한 효과를 초래할 만큼 발생되지는 않는다. 더욱이, 외생 C1 억제제 단백질은 침전물들에 의한 분비기관의 막힘 없이 충분한 효율성을 가지고 유선으로부터 분비된다.
물론, 우유 생산을 시작할 수 있는 형질전환 포유류의 연령은 상기 동물의 특성에 따라 변한다. 형질전환 소들에 대해서는, 상기 연령은 자연적으로 약 2년 반 또는 호르몬 자극이 있을 시 6개월이고, 그에 비해 형질전환 생쥐의 연령은 약 9 내지 11 주이다. 물론, 종들의 암컷들만 우유 생산에 유용하다. 하지만, 형질전환 수컷들은 또한 암컷 자손들을 번식시키는데 있어서 가치가 있다. 형질전환 동물들로부터 얻은 정자는 이후에 체외 수정 및 암컷 자손의 생산을 위해 냉동 보관될 수 있다. 우유 또는 다른 원천들로부터 단백질들이 회수된다. 형질전환 성체 암컷 포유류는 고농도의 외생 C1 억제제 단백질을 포함한 우유를 생산한다.
우유에서 C1 억제제의 정제는 원심분리 및 지방 제거에 의한 형질전환 우유의 탈지를 통해 이루어지고, 그 뒤를 이어 고속원심분리에 의한 카세인의 제거, 전량 여과(dead-end filtration)(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여과 크기를 사용한 전량 여과) 또는 십자류 여과(cross-flow filtration), 또는; 교차 여과(cross filtration)에 의한 직접적인 카세인 제거와 같은 절차를 거치게 된다. 필요 시, 상기 단백질은 특징적인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들에 의해서 우유에서 정제될 수 있다(일반적 범위 참조, Protein Purification(Springer-Verlag, N.Y., 1982)) Prograis 외, (1985) J. Medicine 16(1-3): 303-350; Pilatte 외, (1989) J. Immunol. Methods 120: 37-43, Reboul 외, (1977) Febs Lett. 79: 45-50, Alsenz 외, (1987) J. Immunol. Methods 96: 107-1 14, Ishizaki 외, (1977) J. Biochem., 82: 1155-1 160). 상기 정제 조건들은 바람직하게는 인간 이외의 형질전환 포유동물의 내생 C1 억제제로부터 인간 C1 억제제를 분리해야 한다.
양이온, 음이온 및 금속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는 우유 또는 다른 원천들(재조합 세포배양 또는 천연적 원천들)로부터 인간 C1 억제제 단백질의 정제를 위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방법들은 상기 단계를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그리고 일부 방법들은 세가지 모든 단계들을 사용한다. 비록 상기 단계들은 임의의 순서로 실시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순서는 양이온 크로마토그래피를 먼저 하고, 그 뒤에 음이온 크로마토그래피를 하고, 마지막으로 금속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를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양이온 크로마토그래피는 세파로오스(TM) 빅 비드즈(Sepharose(TM) big beads)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롤로오스(carboxymethyl-셀롤로오스)를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저염의 부하완충액(loading buffer)(예를 들어, 20 mM 구연산나트륨, 0.02 M 염화나트륨)이 사용된다. 인간 C1 억제제는 높은 염 농도(예를 들어, 20 mM 구연산나트륨, 0.2 M 염화나트륨)에서 용출(elution)될 수 있다. 인간 C1 억제제를 포함한 용출액은 다음으로 음이온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된다. 음이온 칼럼(column)의 망(matrix)으로는 셀롤로오스, 덱스트란, 아가로오스 또는 폴리스티렌이 사용될 수 있다. 리간드(ligand)로는 다이에틸아미노에틸(dieithylaminoethyl, DEAE),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PEI) 또는 4기 암모늄 작용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음이온 교환 칼럼의 강도는 상기 리간드의 이온화 상태를 지시한다. 4기 암모늄 리간드를 가진 칼럼들과 같은 강한 이온 교환 칼럼들은 영구적으로 양전하를 지닌다. DEAE 및 PEI와 같은 약한 음이온 교환 칼럼들에서는, 양전하의 존재는 칼럼의 pH에 의존한다. 음이온 교환 칼럼들은 일반적으로 인간 C1 억제제의 pI 보다 높은 pH에서 저염 완충액과 함께 부하(loading) 된다. 상기 칼럼들은 결합되지 않은 단백질들을 용출하기 위해 저염 완충액으로 여러 번 세척된다. 그런 다음 칼럼에 결합된 단백질들은 증가된 염 농도의 완충액으로 용출 된다.
Q 세파로오스 FF(Q Sepharose FF)는 바람직한 음이온 교환 칼럼인데, 왜냐하면 다른 음이온 교환 칼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대규모 정제에 적합한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비드(bead)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성화된 조건들 하에서, 토끼 우유에서 발견되는 토끼 C1 억제제 또는 다른 단백질들의 용출 없이 Q 세파로오스 FF로부터 인간 C1 억제제를 용출할 수 있다. 상기 Q 세파로오스 FF에 인간 산 알파-글루코시다아제(acid a-glucosidase)의 개선된 결합을 얻기 위해서, 상기 칼럼은 인산나트륨 완충액과 같은 저염(예를 들어, 미만 50 mM 미만)으로 미리 평형화된다. 칼럼에 인간 C1 억제제의 나은 결합을 얻기 위해, 상기 완충액의 pH는 약 7.0 +/-1.0이어야 한다. 인간 C1 억제제는 그 다음으로 증가된 농도의 염으로 계단식 또는 구배 용출에 의해 용출 된다. 계단식 용출은 대규모 정제에 좀 더 적합하다. 부하된 대부분의 인간 C1 억제제는 상대적으로 고순도를 가지며 단일 단계(약 0.25 M 염 농도로)로 Q FF 칼럼에서 용출될 수 있다.
금속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는 세파로오스와 같은 망 및 구리, 아연, 니켈, 코발트 또는 칼슘과 같은 결합된 금속 이온을 사용하여 작용한다. 이미노다이아세트산(iminodiacetic acid)과 같은 유기 킬레이트군(organic chelating group)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칼럼은 상대적으로 고농도(예를 들어, 0.2 M 초과)로 존재하는 킬레이트를 하지 않는 염(예를 들어, 염화나트륨)으로 약 pH 6 내지 8에서 평형화 된다. 상기 조건들 하에서, 남아있는 오염 단백질들은 상기 칼럼에 결합되어 있고, 반면 인간 C1 억제제는 결합되지 않고, 쉽게 용출될 수 있다.
모범적인 정제 절차는 실시예 부분에 설명된다. 상기 절차에 따라 C1 억제제가 준비되는데, 상기 준비된 C1 억제제는 모든 오염물질에 대해 최소 98% 또는 99%> 순도(w/w)이고 0.5%, 0.1% 또는 0.05% (w/w) 미만의 토끼 C1 억제제가 포함된다.
추가적인 정제는 최소 99%, 바람직하게는 최소 99.5%, 더 바람직하게는 99.8%>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99.9%의 순도를 가지는 C1 억제제 제제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약학적 조성물들
일부 방법에서, 우유 또는 다른 원천으로부터 정제된 C1 억제제는 약학적 조성물로서 약학적 운반체와 함께 정제된 형태로 투여된다. 바람직한 상기 형태는 의도되는 투여의 방식 및 치료상의 적용에 의존한다. 상기 약학적 운반체는 환자에게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전달하기에 적합하게 호환되고, 무독성의 모든 물질일 수 있다. 멸균수, 알콜, 지방, 왁스, 및 불활성 고체들은 상기 운반체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약학적으로 용인되는 보조제들, 완충제들, 분산제들 등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들에 또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서 상기 억제제의 농도는 폭 넓게 변할 수 있다(예를 들어, 무게로 약 0.1% 미만(일반적으로 무게로 최소 약 1%)에서부터 무게로 20% 이상까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비경구적 투여(정맥 내, 동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근육 내 주사 또는 주입, 또는 척추 강내 또는 두개 내 투여)로 투여된다. 바람직한 구체예로, 정맥 내 주입을 통해서 투여된다. 비경구적 투여의 적합한 제제들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고 그리고 일반적으로 액체 제제들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 및 구체예들은 단지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아래의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실험실에서 HAE 진단을 확인 받은 환자들(13세 이상)에게 정맥 내로 rhCHNH(50 IU/kg)를 주사한 후, 상기 환자들로부터 얻은 데이타는 두 가지 무작위 비교 실험들(무작위적 controlled trials) 및 이의 개방-꼬리표 확장 실험들(open-labeled extension studies)로부터 모아졌다. 환자들은 치료 제제를 제시하기 전 5 시간 미만에서 증상들의 발생에 대해 관찰되었고, 50 mm(중증) 이상의 기저(baseline) 비쥬얼 아날로그 스케일(visual analog scale, VAS; Reidl MA, Ann Allergy Asthma Immunol 2013, 110(4): 295-9,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됨) 지수가 관찰되었다. 무작위 비교 실험들 중 하나에서는, 환자들은 생명을 위협하는 증상들에 대한 구제 약물 치료로서 이차 rhClINH 투여량을 받을 수 있거나 또는 일차 투여량 투여 후 4 시간까지 완화되지 않을 경우 이차 rhClINH 투여량을 받을 수 있다. 다른 하나의 무작위 비교 실험에서는, 상기 환자들은 이차 투여량의 투여가 허용되지 않았다. 개방-꼬리표 확장 실험들에서는, rhClINH의 이차 투여량들은 조사관들의 재량대로 임상적 반응들에 기초하여 허용되었다.
127 명의 환자들은 4 개의 임상 실험들의 과정에서 하나 이상의 발병들에 대해 50 IU/kg의 rhClINH를 받았다. 121 명의 환자들은 rhClINH의 이차 투여량을 받을 자격이 있었다. 반응, 재발(relapse) 및 재발(recurrence) 데이타는 모든 해부 부위들에서 모든 발병들에 대해 결합되었다. 반응은 4 시간 이내의 지속성을 가지면서 치료 후 4 시간 이내의 완화로 정의되고(두 개의 연속적인 시간 시점들에서 VAS 지수의 감소는 20 mm 보다 같거나 초과됨), 이때 지속 전에 추가적인 투여량 또는 구제 약물 치료가 불필요하다. 재발(relapse)은 24 시간 추적 자료를 가지는 모든 환자들에 대해서 결정되었고, 재발(recurrence) 또는 새로운 발병 증상들은 3일 추적 자료를 가지는 모든 환자들에 대해서 결정되었다.
도 1은 급성 HAE 발병들에 대해 투여된 rhClINH 투여량의 횟수를 도시한다. 발병의 93%는 rhClINH의 1회 투여량으로 처리되었다. 발병의 7%는 rhClINH의 2회 투여량으로 처리되었다.
도 2는 rhClINH로 처리된 환자들에서 반응 및 재발 비율을 도시한다. 반응은 지속성을 가지면서 4 시간 이내에 증상 완화가 시작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두 가지 무작위 비교 실험들 및 두 가지 개방-꼬리표 확장 실험들에서의 환자들에서는, rhC1INH 치료에 따른 혈전증 또는 혈전색전성 사례들, 아나필락시스반응, 및 항체 중화의 유도가 발생되지 않았다.
도 3은 rhClINH 처리 후 3 일 내에 발병 증상들의 재발 횟수 또는 새로운 발병 증상들의 출현 횟수를 도시한다. 환자들의 93%에서는, 재발 또는 새로운 발병 증상들이 없었다.
상기 연구에 기초하여, 4 시간 이내에 발병들의 완화가 시작되는 수로 평가된 바와 같이 rhClINH 치료는 높은 반응율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시간 이내에 완화가 시작되는 대부분의 발병들은 단일 rhClINH 투여량으로 효과적으로 치료되었다. 일부 발병들은 이차 rhClINH 투여량을 필요로 했다. 4 시간 이내에 완화가 되는 발병들에 대해서는 24 시간 이내에 유의한 재발이 발생되지 않았다. rhClNH 치료에서 3일 이내에 재발되는 또는 새로운 발병 증상들의 발생 정도는 낮았다. 더욱이, 급성 HAE 발병들의 치료에서 rhClNH의 단일 용량으로 일관되고 지속적인 반응을 보였다.
혈전색전성 사례들(thromboembolic events, TEE)은 일부 혈장 유래 C1INH에서 보고된 바 있지만, 재조합 인간 C1INH(rhClINH; 1000번을 초과한 투여들)에서는 보고된 바 없다. 상기 연구는 급성 HAE 발병들의 치료에 있어 rhClINH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평가했고, TEE에 대한 감시 및 D-이합체 피브린(D-dimer fibrin)의 분해 산물들(D-이합체 수치들)의 평가 및 심부 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의 위험을 포함했다. 급성 HAE 발병들을 가지는 74명의 환자들은 3:2로 무작위로 정해졌고 50 IU/kg의 rhClINH 또는 플라세보(placebo)을 투여 받았다. D-이합체 수치들은(중앙 25th - 75th 사분위수로 나타냄) 검사 약물 주입 전, 및 주입 후 2 시간 및 주입 후 7일에 측정되었다. DVT 위험은 'Wells Prediction Rule'을 사용하여 평가되었다(Wells PS, 외 Thromb. Haemost. 2000:83:416-20 참조). 기준으로(예를 들어, 검사 약물 주입 전 또는 주입 직후 5 시간 미만) 모아진 혈액 샘플과 검사 약물을 정맥 내 주사 후에 2 시간 및 7일(상기 발병이 해결된 후)에 모아진 혈액 샘플에서 D-이합체 수치들이 평가되었다. 250 ?g/L이거나 그 미만인 수치는 정상(예를 들어, 참조 표준)으로 고려되었다.
환자들 및 연구 디자인: HAE에 걸린 환자들에서 급성 혈관부종 발병들의 치료를 목적으로, 식염수와 비교하여 rhCHNH의 효능 및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무작위적, 이중 맹검(double-blind), 플라세보(식염수)로 조절된, 다양한 병원에서의, 그리고 다국적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실험실에서 HAE 진단을 확인 받은 75명의 환자들(나이 > 13살; > 18살, 미국 및 캐나다 외에서)은 걸릴 수 있는 혈관부종 발병의 치료를 위해 rhCHNH(< 84 kg 환자들에 대해서는 50 IU/kg, 또는 > 84 kg 환자들에 대해서는 4200 IU) 또는 식염수의 정맥 내 주사와 이중 맹검을 받기 위해 중심적으로 무작위화 (3:2) 되었다. 만약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i) 환자들의 발병 위치가 말초(사지), 복부, 안면, 및/또는 구인두-후두였을 경우;(ii) 상기 임상 치료를 제시하기 전 5 시간 미만에서 상기 발병들이 시작되는 경우; 및 (iii) 환자에서 상기 발병의 전반적인 중증도가 100 mm의 비쥬얼 아날로그 스케일(Visual Analog Scale, VAS)상에서 최소 50 mm로 평가되었을 경우(Reidl MA, Ann Allergy Asthma Immunol 2013, 110(4):295-9),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됨), 환자들은 치료를 받을 자격이 되었다. 발병될 수 있는 위치들이 여러 곳 일수 있는 환자들에 대해서는, 일차 발병 위치가 기본적으로 가장 높은 VAS 지수를 가지는 위치로 규정되었다.
혈전증의 위험 평가: 모든 무작위 환자들은 혈전증 사례들에 대해 임상적으로 감시 받았다. 심부 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의 위험은 웰즈 예측 법칙(Wells prediction rule)(Wells PS, 외 Thromb. Haemost. 2000:83:416-20)을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투여 후 상승된 지수를 가지는 환자들은 DVT를 배제하기 위해 극도의 초음파를 받을 필요가 있었다. 혈전증 사례들의 가능한 발달에 대해, 환자들은 주입 후 D-이합체 수치 증가에 대해서 평가를 받았다(임상적으로 가능한 경우 초음파를 포함).
혈장 시료 수집: D-이합체 수치들을 측정하기 위해서, 구연산 처리된 혈액 시료들은 기저에서(예를 들어, 검사 약물의 정맥 내 주사 전 또는 주사 직후 5 시간 미만에서), 그리고 검사 약물을 정맥 내 주사 후에 2 시간 및 7일(상기 발병이 해결된 후)에서 수집되었다. 모든 분석들에 대해서, 구제 약물 치료로서 rhClINH을 또한 투여 받은 환자들은 무작위적으로 식염수 용액을 투여 받았고, 구제 약물 치료를 받은 후에 모든 평가들을 위해서 상기 환자들은 식염수 치료 그룹에서 rhClINH 치료 그룹으로 전환되었다.
D-이합체 측정: 혈장에서 D-이합체 수치들은 중앙 실험실에서 측정되었다(정상 범위 <540 ?g/L).
환자 인구 통계: 걸릴 수 있는 급성 HAE 발병들을 보이는 75명의 환자들은 검사 약물을 받기 위해 등록되었다: 무작위적으로 선택된 44명은 50 IU/kg의 rhClINH로 치료 받았고, 무작위적으로 선택된 31명은 식염수로 치료 받았고; rhClINH 처리에 무작위로 선택된 한 명의 환자는 치료되지 않았고 상기 분석들에 포함되지 않았다.
환자 배치, 중요 인구 통계, 및 HAE 발병 빈도 및 걸릴 수 있는 발병의 중증도는 표 1에 치료 그룹으로 요약되어 있다. 환자 인구 통계 및 기초 특성들은 일반적으로 치료 그룹들 간에 유사했다. 기저에서 발병 중증도(100 mm VAS 규모를 사용하여 환자들에게서 평가된)는
두 그룹에서 동일했다(73.5 mm, rhClINH 그룹의 평균 대 77.3 mm, 식염수 그룹의 평균). 일차 발병 위치들은 상기 rhClINH 그룹들 및 상기 식염수 그룹들(말초 위치의 경우, rhClINH 그룹의 44% 대 식염수 그룹의 45%, 및 복부 위치의 경우, rhClINH 그룹의 37% 대 식염수 그룹의 39%)에서 유사했다.
심부 정맥 혈전증의 위험: 웰즈 예상 법칙 지수에 기초하여 DVT에 대해 증가된 위험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된 환자는 없었다. rhClINH 그룹에서 39명 환자들 및 식염수 그룹에서 30명 환자들에서 기록된 모든 지수들은 -2에서 0의 범위에 드는 낮은 값을 보였는데, 상기 수치는 환자들이 DVT를 가질 확률이 매우 낮다는 것을 제시한다. 0의 웰즈 지수를 가지는 두 환자들(1 rhClINH 및 1 식염수)에 대해 수행된 초음파는 두 환자의 복부들에서 정상이었고 말단 조직들에서는 DVT의 징후가 없었다.
D-이합체 수치들: D-이합체 수치들(중앙 [25th-75th 사분위수]로 나타냄)은 세 시점들(기저, rhClINH 주입 후 2 시간, 및 rhClINH로 치료 후 7일)에서 평가 되었다. 또 다른 분류는 일차 발병 위치 종류(점막하: 복부 및 구인두-후두 대 피하: 안면 및 말초), 중증도(보통: 50 와 75mm 사이의 VAS; 중증: 일차 발병 위치에 대해 >76 mm) 및 일회 대 수회 발병된 위치들을 평가함에 의해서 행해졌다.
전체 중앙 D-이합체 수치들은 기저(2149 [480-5105] ㎍/L, 정상 범위 <540 ?g/L)에서 상기 환자들에서 평가되었다(표 2). D-이합체 수치들은 rhClINH 또는 식염수로 치료 후 2 시간에서 모든 환자들에게서 계속적으로 증가되었는데, 상기 증가는 2469(643-5827) ㎍/L의 중앙값 수준까지 도달했다. 치료 후 7일 까지, 상기 두 치료 그룹들에서 D-이합체 수치들은 정상치까지 되돌아 왔다. rhClINH 또는 식염수로 치료 후 2 시간 및 7일에서 상기 두 그룹들에서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에 주목해야 한다. 상기 두 치료 그룹들에서 기저로부터 변화된 평균은 2 시간(rhClINH: 145 ㎍/L; 식염수: 192 ?/L) 및 7일(rhClINH: -2401 ㎍/L; 식염수: -1923 ?/L)에서 또한 유사했고, 상기 결과는 rhCHNH로 치료하는 것은 HAE 환자들에서 D-이합체 생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제시한다.
HAE 발병들은 피부, 창자, 및 상기도에 영향을 주는 점막하 또는 피하 부종으로 나타난다. D-이합체 수치들은 점막하 및 피하의 일차 발병 위치들에 기초한 환자 집단에서 평가되었다(표 3). 피하 발병들을 가지는 환자들과 비교했을 때 점막하 발병들을 가지는 환자들에서 중앙 D-이합체 수치들이 기저(p = 0.0274) 및 처리 후 2 시간(p = 0.0126)에서 최소 3배 높았다. 전체 집단에서 보였듯이, rhCHNH로 치료는 투여 후 두 가지 시점들 모두에서 상기 D-이합체 수치에 분명한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개인의 일차 발병 위치들(예를 들어, 안면, 말초, 복부, 구인두-후두)에서 D-이합체 수치들에 대한 비교는 더 평가되지는 않았다.
일차 발병 위치에서 중증도는 기저에서 보통(VAS >50 mm 및 <75 mm), 또는 중증(VAS > 75 mm)로 분류된다. 전반적으로, 중앙 기저 D-이합체 수치들은 보통(1674 [593-5241] ㎍/L) 및 중증(2320 [260-5550] ㎍/L) 발병들을 가지는 환자들에서 유사했다(표 4). rhCHNH로 처리된 중증 발병들은 식염수(560 [273-4056^g/L)로 처리된 환자들에 비해 7일까지 낮은 D-이합체 수치(280 [109-925] ?/L)를 가지는 경향이 있었다.
비록 대부분 HAE 발병들은 단일 위치에서 분리된 증상들을 나타내지만, 일부 발병들은 동시에 영향을 받는 다수의 해부 위치들에서 증상들을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관점에서, 영향을 받는 위치들이 다수일 경우 D-이합체 수치들이 영향을 받는지 여부가 또한 결정되었다. 64 명의 환자들을 단일 위치에서 발병을 보였고 10 명은 다수의 위치들에서 발병을 보였다. 기저에서, 단일 위치에 영향을 받는 환자들(4568 [2065-24634] ㎍/L)에 비해 다수의 위치에 영향 받는 환자들(9555 [4315-13300) ㎍/L)에서 중앙 D-이합체 수치들이 높았다. 처리 후 2 시간에서, 다수 발병 위치들(5040 [812-11045] ㎍/L) 대 단일 발병 위치(2294 [615-5065] ㎍/L)로 D-이합체 수치가 다수 발병 위치에서 여전히 훨씬 증가되어 있었다. 7일에서는, D-이합체 수치가 두 그룹 모두에서 정상으로 되돌아왔다.
환자 인구 통계 및 기저 특징
rhC1INH
(N=43)
식염수
(N=31)
암컷(%) 64 61
백인(%) 95 97
검사 시 연령(년)
평균(SD)
범위

39.4(12.6)
17-67

41.4(15.4)
18-69
HAE 발병들/년
평균(SD)
범위

24.9(23.7)
0-143

30.6(27.2)
3-111
예방 유지 요법의 사용(n [%]) N(50) N(48)
일차 발병 위치(n [%])a
말초
복부
얼굴
구인두-후두

19(44)
16(37)
6(14)
2(5)

14(45)
12(39)
2(6)
3(10)
일차 발병 위치에 대해 기저에서 전반적 중증도 VAS 지수(mm)
평균(SD)
범위
N


73.5(14.1)
50-100
43b


77.3(12.6)
49-100
31
약어: VAS=비쥬얼 아날로그 스케일(Visual Analog Scale)
a 일어날 수 있는 발병 위치가 >1 인 환자들에 대해, 일차 발병 위치는 기저에서 가장 높은 전반적 중증도 VAS 지수를 가지는 일어날 수 있는 위치로 정의 되었다.
b 한 명의 환자는(무작위적rhC1INH 처리 시) 검사 약물을 받지 않았고 상기 표에 포함되지 않는다.
모든 환자들에서 시간에 따른 D-이합체 수치들*
시점
(N=74)
급성 발병, 기저, ㎍/L
평균(SD)
중앙값
범위
n

처리 후 2 시간 , ㎍/L
평균(SD)
중앙값
범위
n

처리 후 7일, ㎍/L
평균(SD)
중앙값
범위
n

4211(5622)
2149
6-24634
64


4421(5740)
2469
9-5827
68


1842(2867)
425
1-14250
64
일어날 수 있는 발병의 위치들(점막하 위치 대 피하 위치)을 가지는 증상을 보이는 HAE 환자들에서 D-이합체 수치들
시점/해부 위치 * rhC1INH
(N=43)
식염수
(N=31)
기저, ㎍/L
점막하a 3095(250-8676) 3055(1700-11350)
피하b 1000(500-4060) 899(260-3800)
2 시간 , ㎍/L
점막하 4100(1030-7731) 5470(2550-12500)
피하 1080(730-4260) 835(310-2200)
7일, ㎍/L
점막하 768(266-4250) 418(245-2614)
피하 376(150-1400) 453(246-2318)
수치들은 중앙값(사분위수 범위)으로 표시된다.
* 해부 위치는 일차 발병 위치를 나타낸다(방법 참조).
a 점막하 = 구인두-후두, 복부. 비뇨생식 발병들은 보고되지 않았다.
b 피하 = 말초, 안면.
일차 발병 위치에서 중증도에 의한 D-이합체 수치들
보통
(
Figure pct00001
50 mm , < 75 mm ) a
중증
(
Figure pct00002
75 mm ) a
기저, ㎍/L
2 시간, ㎍/L
7일, ㎍/L
1674(593-5241)
2000(656-5884)
1025(382-3770)
2320(260-5550)
2678(615-5840)
30(150-1250)
a 중증도는 매 방문시 일차 발병 위치에서 전체 VAS 지수에 기초한다.
결과들은 도 4-9에 더 요약된다. 병이 완화되는 시간과 비교했을 때 HAE 발병 동안에 D-이합체 수치들이 증가되었다. 하지만, D-이합체 수치들의 증가는 rhCHNH 처리와 연관성이 없었다. 혈전색전성 사례들은 rhCHNH 처리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본 출원서를 통해 인용된 모든 참고들, 환자들, 계류 중인 특허출원공보들 및 특허공개공보들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명확히 포함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상기 기술적 용어들은 당 기술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되는 종래의 사용에 따른다. 분자 생물학의 일반적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표준 교재들(예를 들어, Benjamin Lewin, Genes V, Oxford University Press, 1994(ISBN 0-19854287-9); Kendrew 외(eds.), The Encyclopedia of Molecular Biology, Blackwell Science Ltd, 1994(ISBN 0-632-02182-9); 및 Robert A. Meyers(ed.), Molecular Biology 및 Biotechnology: a Compresensive Desk Reference, VCH Publishers, Inc. 출판, 1995(ISBN 1-56081- 569-8))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재조합 C1 에스테라아제 억제제(recombinant C1 esterase inhibitor)의 일차 투여량을 환자 몸무게 기준으로 50 IU/kg의 용량으로 상기 환자의 정맥 내로 투여하는 단계; 및
    상기 일차 투여량의 투여 후에 상기 재조합 C1 에스테라아제 억제제의 이차 투여량을 상기 환자 몸무게 기준으로 50 IU/kg의 용량으로 상기 환자의 정맥 내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들로 인해 상기 환자에서 HAE의 급성 발병이 치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에서 유전성 혈관부종(hereditary angioedema, HAE)의 급성 발병 치료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에서 HAE 발병이 시작된 후 5 시간 내에 상기 일차 투여량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E 급성 발병의 치료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투여량의 투여 후 최소 4 시간에서 상기 이차 투여량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E 급성 발병의 치료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투여량 및 상기 이차 투여량이 24 시간 주기 내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E 급성 발병의 치료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4 시간 주기 내에 오직 두 번의 상기 투여량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E 급성 발병의 치료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다수의 발병 부위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E 급성 발병의 치료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병 부위가 말초, 복부, 안면, 구인두, 또는 후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E 급성 발병의 치료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병 부위가 말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E 급성 발병의 치료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병 부위가 복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E 급성 발병의 치료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병 부위가 안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E 급성 발병의 치료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병 부위가 구인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E 급성 발병의 치료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병 부위가 후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E 급성 발병의 치료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상기 발병과 연관되어 생명을 위협하는 증상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E 급성 발병의 치료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병은 100 mm의 비쥬얼 아날로그 스케일(Visual Analog Scale, VAS) 상에서 최소 50 mm의 중증도 등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E 급성 발병의 치료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상기 일차 투여량의 투여 후 4 시간 내에 증상 완화가 개시되고 상기 이차 투여량 투여 전에 완화 정도가 VAS 지수에서 20 mm 미만의 감소를 보이고 및/또는 상기 VAS 지수 감소는 두 개의 연속적인 시간 시점들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E 급성 발병의 치료방법.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발병 증상들이 상기 일차 투여량의 투여 후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E 급성 발병의 치료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C1 억제제는 인간 혈장 유래 C1 에스테라아제 억제제의 아미노산 서열과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인간 혈장 유래 C1 에스테라아제 억제제와 비교 시 변형된 탄수화물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E 급성 발병의 치료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C1 억제제는 형질전환 토끼의 우유로부터 정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E 급성 발병의 치료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C1 억제제는 rhClIN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E 급성 발병의 치료방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투여량 및 상기 이차 투여량은 상기 환자에 의해 자가 투여 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E 급성 발병의 치료방법.
KR1020167025954A 2014-02-28 2015-02-27 C1 억제제를 사용하여 유전성 혈관부종의 치료 KR201601215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46677P 2014-02-28 2014-02-28
US61/946,677 2014-02-28
PCT/US2015/018187 WO2015131154A1 (en) 2014-02-28 2015-02-27 Treatment of hereditary angioedema with c1 inhibi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579A true KR20160121579A (ko) 2016-10-19

Family

ID=5400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954A KR20160121579A (ko) 2014-02-28 2015-02-27 C1 억제제를 사용하여 유전성 혈관부종의 치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60361394A1 (ko)
EP (1) EP3110508A4 (ko)
JP (1) JP2017506676A (ko)
KR (1) KR20160121579A (ko)
CN (1) CN106255532A (ko)
AU (1) AU2015222756A1 (ko)
CA (1) CA2940670A1 (ko)
MX (1) MX2016011002A (ko)
WO (1) WO20151311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7882A1 (en) * 2015-11-19 2017-05-26 Shire Human Genetic Therapies, Inc. Recombinant human c1 esterase inhibitor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0982A1 (en) * 2003-05-16 2004-11-25 Pharming Intellectual Property B.V. C1 inhibitor with short half-life for transient trea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6011002A (es) 2017-08-10
JP2017506676A (ja) 2017-03-09
WO2015131154A1 (en) 2015-09-03
CA2940670A1 (en) 2015-09-03
US20160361394A1 (en) 2016-12-15
EP3110508A1 (en) 2017-01-04
EP3110508A4 (en) 2017-11-08
AU2015222756A1 (en) 2016-08-18
CN106255532A (zh)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05497B2 (en) Peptide production
US5322775A (en) Peptide production
Pursel et al. Status of research with transgenic farm animals
Fan et al. Transgenic rabbits as therapeutic protein bioreactors and human disease models
EP1252184B1 (en) Human c1 inhibitor produced in the milk of transgenic mammals
US20050223416A1 (en) C1 inhibitor produced in the milk of transgenic mammals
JPH08504562A (ja) ウシ種による組み換えポリペプチドの製造及びトランスジェニック法
US10568974B2 (en) Animal models of atherosclerosis
KR20160121579A (ko) C1 억제제를 사용하여 유전성 혈관부종의 치료
Sang 6. Genetically modified livestock and poultry and their potential effects on human health and nutrition
Aigner et al. Genetically tailored pig models for translational biomedical research
JPH10502816A (ja) α−ラクトアルブミン遺伝子構造物
US20160143255A1 (en) Animal Models of Ataxia-Telangiectasia (A-T)
Deykin et al. Genetically modified animals for use in biopharmacology: from research to production
Deykin et al. Genetically modified animals for use in bio-pharmacology: from research to production. Research Results in Pharmacology 7 (4): 11–27
DEYKIN et al. RESEARCH RESULTS IN PHARMACOLOGY
AU784724B2 (en) C1 inhibitor produced in the milk of transgenic mamm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