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313A -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313A
KR20160121313A KR1020150051173A KR20150051173A KR20160121313A KR 20160121313 A KR20160121313 A KR 20160121313A KR 1020150051173 A KR1020150051173 A KR 1020150051173A KR 20150051173 A KR20150051173 A KR 20150051173A KR 20160121313 A KR20160121313 A KR 20160121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ody
unit
lighting
battery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아
Original Assignee
(주)지알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알피 filed Critical (주)지알피
Priority to KR1020150051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1313A/ko
Publication of KR20160121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72
    • H01M2/106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내장되고, 외부 기기의 연결 또는 접속시, 기저장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도록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인가받은 전력에 의해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단에 힌지결합에 의해 접철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를 바닥으로부터 지지 또는 거치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PORTABLE TYPE MULTIPLE BATTERY DEVICE AND FLASHLIGHT}
본 발명은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으로 제작되어 휴대가 용이하며, 접이식 구조로 이루어져 거치시, 편리할 뿐만 아니라, 야간에 고휘도의 빛을 조사하는 손전등 또는 스탠드 등과 같은 조명으로 사용이 가능한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주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고, 전자기기의 휴대속성은 배터리 전력이 영원히 지속되지 않는다는 점에 제한을 받는다.
특히,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방전되게 되어, 배터리의 재충전을 위해 충전기에 플러그 접속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배터리의 출력을 강화시키기(보다 긴 배터리수명) 위해 통상적으로는 배터리 셀의 크기가 증가되어야만 하며, 이는, 보다 긴 통화시간과 보다 긴 대기시간의 요구(즉, 보다 긴 배터리수명)와, 휴대가 용이하도록 작고 가벼운 휴대용 전자기기의 요구 간의 상충으로 인해 휴대용 전자기기의 설계자들에게 주된 문제점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주전원으로서의 배터리의 용량의 한계로 인하여 보조 배터리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보조 배터리 장치는 통상 보조 배터리 장치에 내장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가지는 보조 배터리 케이스 및 이 전극 단자들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플레이어 본체에 전달하기 위한 접속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보조 배터리 장치는 미닫이 방식(슬라이딩 방식) 또는 여닫이 방식(회전 방식)으로 구성된 보조배터리의 케이스 도어를 가지고 있으므로, 보조배터리 케이스 내에 건전지 또는 충전지를 내장하거나, 교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번거로운 물리적 힘을 요구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보조 배터리 장치는 휴대가 번거롭고, 휴대시, 보조 배터리 용도로만 사용될 뿐이므로, 사용 용도가 제한적이며, 단순한 박스 형태이므로 휴대시, 거치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42725호 (2004.07.22.)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형으로 제작되어 휴대가 용이하며, 접이식 구조로 이루어져 거치시, 편리할 뿐만 아니라, 야간에 고휘도의 빛을 조사하는 손전등 또는 스탠드 등과 같은 조명으로 사용이 용이한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내장되고, 외부 기기의 연결 또는 접속시, 기저장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도록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인가받은 전력에 의해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단에 힌지결합에 의해 접철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를 바닥으로부터 지지 또는 거치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본체에는 상기 배터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부에 기저장된 가용 전력을 휴대기기로 공급하도록 상기 휴대기기가 연결 또는 접속되는 제1 커넥터, 상기 배터리부에 전력을 충전하도록 외부 콘센트가 연결 또는 접속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내장된 PCB 상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로부터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LED 광을 조사하는 한 개 이상의 LED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내장되고, 외부의 열감지 또는 움직임감지 여부에 따른 구동신호를 상기 조명부로 인가하여 상기 조명부를 on/off 구동시키도록 연결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단에 힌지 결합에 의해 접철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접철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바닥으로부터 상기 케이스 본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으로 제작되어 휴대가 용이하며, 접이식 구조로 이루어져 거치시, 편리할 뿐만 아니라, 야간에 고휘도의 빛을 조사하는 손전등 또는 스탠드 등과 같은 조명으로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중 케이스 본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의 접철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제1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제2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의 구성 및 작용 효과 등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중 케이스 본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는 케이스 본체(100)와,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내장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거나 또는 기저장된 전력을 휴대기기에 공급하는 배터리부(200)와, 상기 배터리부(200)로부터 인가받은 전력에 의해 외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설치되는 조명부(300) 및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일단에 접철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100)를 바닥으로부터 지지 또는 거치시키는 지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휴대기기는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스마트폰, 휴대용 미디어플레이어, 휴대용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태블릿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100)는 본 발명의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의 각 구성요소가 내장되고, 내장된 각 구성요소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 본체(100)는 일면에 상기 배터리부(200)의 기저장된 가용 전력을 상기 휴대기기로 공급하도록 상기 휴대기기가 연결 또는 접속되는 제1 커넥터(110)와, 상기 배터리부(200)에 저장되는 가용 전력을 충전하기 위해 외부 전력을 공급받는 외부 콘센트가 연결 또는 접속되는 제2 커넥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커넥터(110)는 상기 배터리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부(200)에 기저장된 전력을 상기 휴대기기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휴대기기가 물리적으로 접속 또는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부(200)와 상기 휴대기기를 상호 연결시키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속 단자로써, 통상 USB 케이블 단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커넥터(120)는 상기 배터리부(200)에 저장되는 가용 전력을 충전하기 위해 외부 플러그 또는 어뎁터 케이블이 접속 또는 연결되는 커넥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부(200)에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저장 및 충전하도록 통상 외부 콘센트 플러그 또는 어뎁터 케이블이 접속 또는 연결되는 접속 단자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커넥터(110,120)는 하나의 커넥터 또는 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케이스 본체(100)는 일면에 상기 배터리부(200)의 저장된 전력의 잔량을 외부로부터 식별이 가능하게 표시하는 표시모듈(520)과, 상기 표시모듈(520)의 작동 제어 또는 상기 조명부(300)의 on/off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540)를 포함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모듈(520)은 상기 배터리부(200)에 저장된 전력의 잔량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복수의 LED 램프 또는 배터리 잔량 수치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중 선택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540)는 상기 표시모듈(520)의 전반적인 작동 및 상기 조명부(300)의 on/off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로써, 바람직하게는 기계식 버튼 또는 터치조작이 가능한 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조명부(300)는 상기 배터리부(200)로부터 전력을 인가받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적어도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부(200)로부터 인가받은 전력에 의해 야간에 고휘도의 빛을 조사하여 손전등 스탠드 등과 같은 조명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조명부(30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내장되는 PCB(인쇄회로기판)상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부(200)의 전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 본체(100)로부터 외측으로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LED 광을 조사하는 한 개 이상의 LED 모듈(LED소자)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조명부(300)는 상기 배터리부(200)의 가용 전력에 의해 광(빛)을 외부로 조사하는 공지의 조명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조명부(30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내장되어 외부의 열, 광(빛)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조명부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조명부(300)를 on/off 구동시키도록 연결 구성되는 센서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320)는 열감지, 적외선 감지, 움직임 감지 센서의 기능을 가지는 센서로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센서부(320)는 열감지, 적외선, 광(빛) 또는 움직임 감지 센서 중 선택한 어느 하나로 이루어 지며, 상기 배터리부(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부(200)의 공급 전력에 의해 작동하여 야간 또는 주간에 상기 센서부(320)로부터 일정 영역에 발생하는 열, 적외선, 광(빛) 또는 움직임의 감지 여부에 따라, 조명부(300)가 발광하여 광(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조명부(300)를 on/off 구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센서부(32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버튼 형태의 스위치 또는 상기 컨트롤부(540)의 버튼 조작에 따라, on/off 작동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320)에 의해 전력공급의 역할 뿐만 아니라, 화재 정전으로 인한 대피상황시 열,광(빛),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상기 조명부(200)를 자동으로 점등시킴에 따라, 비상조명 또는 움직임감지 센서 보안등으로도 사용이 용이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의 접철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400)는 접이식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일단에 절첩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100)를 바닥으로부터 지지 또는 거치가 용이하도록 하며, 다양한 각도로 광(빛)을 조사할 수 있는 스탠드 등과 같은 조명의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일단에 접철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프레임(420) 및 상기 지지프레임(420)으로부터 접철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420)은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일단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힌지결합에 의해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440)은 사각틀 또는 다각의 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프레임(420)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 본체(100)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힌지 결합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420)의 끝단부로부터 회동하여 접철이 가능하도록 연결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를 바닥으로부터 거치시, 상기 지지프레임(420)이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회동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440)이 상기 지지프레임(420)의 끝단부로부터 수평하게 회동하여 바닥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케이스 본체(100)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하여 거치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100)를 휴대시에는 상기 지지프레임(420)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440)을 각각 접철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휴대 및 거치가 간편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제1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는 상기 휴대기기의 전력 충전시,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구비된 제1 커넥터(110)를 통해 상기 휴대기기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200)에 저장된 전력이 상기 휴대기기로 공급되어 상기 휴대기기의 간편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커넥터(110)는 상기 휴대기기에 사용되는 전용 연결케이블이 연결 또는 접속 가능한 공지의 연결 또는 접속 단자로 구성되고, 예를 들면, USB 단자 또는 상기 휴대기기의 연결 또는 접속을 위한 공지의 케이블 접속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는 상기 배터리부(200)에 저장되는 가용 전력의 충전시, 상기 제 2 커넥터(120)를 통해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도록 외부 전력공급처와 연결 또는 접속되는 접속 단자로 구성되고, 예를 들면, 외부 콘센트 플러그 또는 외부 콘센트 플러그를 통해 전력을 상기 배터리부(200)로 공급시키기 위한 어뎁터와 연결 또는 접속됨에 따라, 배터리부(200)에 저장되는 가용 전력의 간편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명부(300)는 조명의 용도로 사용시, 상기 컨트롤부(540)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조명부(300)로부터 광(빛)이 조사되도록 하고, 예를 들면, 야간 또는 주간에 사용자의 컨트롤부(540)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조명부(300)를 on/off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 본체(100)를 파지하여 손전등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제2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를 바닥으로부터 간편하게 거치함과 동시에 스탠드 등과 같은 조명의 용도로 사용시,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지지프레임(420)을 수직하게 회전시키고, 상기 지지프레임(420)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440)을 수평하게 회전시켜 바닥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440)을 안착시킴에 따라, 상기 케이스 본체(100)를 바닥으로부터 지지 및 거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조명부(300)의 광(빛)조사를 위한 상기 컨트롤부(540)의 사용자 버튼 조작에 의해 상기 조명부(300)를 on/off 작동시킴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조명부(300)를 간편하게 스탠드 등과 같은 조명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센서부(320)는 컨트롤부(540)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어 야간 또는 주간에 상기 센서부(320)로부터 일정 영역에 발생하는 열, 광(빛), 움직임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조명부(300)자동으로 점등시키고, 이에 따라, 비상조명 또는 움직임감지 센서 보안등으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접이식 구조로 이루어져 소형으로 제작되어 휴대가 용이하며, 거치시, 편리할 뿐만 아니라, 야간에 고휘도의 빛을 조사하는 손전등 또는 스탠드 등과 같은 조명으로 사용이 용이한 발명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케이스 본체 110. 제1 커넥터
120. 제2 커넥터 200: 배터리부
300: 조명부 320: 센서부
400: 지지부 420: 지지프레임
440: 베이스 프레임 500: 제어부
520: 표시모듈 540. 콘트롤부

Claims (5)

  1.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에 내장되고, 외부 기기의 연결 또는 접속시, 기저장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도록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인가받은 전력에 의해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단에 힌지결합에 의해 접철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를 바닥으로부터 지지 또는 거치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에는 상기 배터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부에 기저장된 가용 전력을 휴대기기로 공급하도록 상기 휴대기기가 연결 또는 접속되는 제1 커넥터, 상기 배터리부에 전력을 충전하도록 외부 콘센트가 연결 또는 접속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내장된 PCB 상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로부터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LED 광을 조사하는 한 개 이상의 LED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내장되고, 외부의 열감지 또는 움직임감지 여부에 따른 구동신호를 상기 조명부로 인가하여 상기 조명부를 on/off 구동시키도록 연결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단에 힌지 결합에 의해 접철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접철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바닥으로부터 상기 케이스 본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KR1020150051173A 2015-04-10 2015-04-10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KR20160121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173A KR20160121313A (ko) 2015-04-10 2015-04-10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173A KR20160121313A (ko) 2015-04-10 2015-04-10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313A true KR20160121313A (ko) 2016-10-19

Family

ID=5725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173A KR20160121313A (ko) 2015-04-10 2015-04-10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13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6017A (ko) * 2019-02-01 2020-08-11 (주)유윈씨앤티 발광 장식필름이 구비된 휴대단말의 보조배터리
KR20220054988A (ko)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반디 휴대용 배터리와 전기기구의 결합 및 접속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725B1 (ko) 2002-03-13 2004-08-02 주식회사 레인콤 이동성 오디오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의 보조 배터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725B1 (ko) 2002-03-13 2004-08-02 주식회사 레인콤 이동성 오디오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의 보조 배터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6017A (ko) * 2019-02-01 2020-08-11 (주)유윈씨앤티 발광 장식필름이 구비된 휴대단말의 보조배터리
KR20220054988A (ko)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반디 휴대용 배터리와 전기기구의 결합 및 접속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5877B2 (ja) コンピュータポートを備えた携帯式電源
US9984844B2 (en) Switch device and power supply control system
TWM512525U (zh) 具有警示用led面板之汽車急救電源
US20160025316A1 (en) Multifunctional desktop system
KR101083927B1 (ko)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스탠드
JP2009523403A (ja) 小型電気器具用プラグ差込み式充電ステーション
US10483796B2 (en) Power control system
JP6588451B2 (ja) 照明装置
JP2018116923A (ja) 自動光調節装置及びソケット
CN111407067A (zh) 一种化妆镜
KR20160121313A (ko) 조명겸용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JP2005509939A (ja) 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の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アーキテクチャ
JP2011049098A (ja) 可搬型照明装置
CN210992617U (zh) 除颤设备
TWI681604B (zh) 可分離的充電板
CN102483194A (zh) 移动式照明装置
JP2016145949A (ja) フラッシュ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写真撮影システム
EP3722657B1 (en) Handheld led lamp
KR20120119476A (ko) 조명기구
CN202188422U (zh) 一种外接电池式的led灯泡
JP2012028129A (ja) 携帯電灯
KR101193489B1 (ko) 다각 방광 조명장치
GB2462328A (en) Cot bumper and mounting platform
JP2012075273A (ja) 充電器
TWM461242U (zh) 行動電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