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243A -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 및 이의 기능 제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 및 이의 기능 제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243A
KR20160121243A KR1020150050980A KR20150050980A KR20160121243A KR 20160121243 A KR20160121243 A KR 20160121243A KR 1020150050980 A KR1020150050980 A KR 1020150050980A KR 20150050980 A KR20150050980 A KR 20150050980A KR 20160121243 A KR20160121243 A KR 20160121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unction
function identification
recogn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8805B1 (ko
Inventor
유병규
이봉현
최재영
배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코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코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코시스
Priority to KR1020150050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805B1/ko
Publication of KR20160121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4/003
    • H04M1/7257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 및 이의 기능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동단말 보호 케이스 또는 이동단말 거치대 등과 같은 이동단말 부속기기를 이용해 이동단말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 및 이의 기능 제한 시스템{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restricting ability and function restricting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단말의 기능 제한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 및 이의 기능 제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부모의 스마트폰을 이용해 어린이들이 장시간 게임을 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단말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동단말 보호 케이스 또는 이동단말 거치대 등과 같은 이동단말 부속기기를 이용해 이동단말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67195호(2000. 07. 03)에서 기능 제어 영역에 존재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특정 기능을 제한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67195호(2000. 07. 03)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이동단말 보호 케이스 또는 이동단말 거치대 등과 같은 이동단말 부속기기를 이용해 이동단말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 및 이의 기능 제한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이 이동단말 부속기기로부터 기능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식별정보 인식부와; 상기 기능식별정보 인식부에 의해 기능식별정보 인식시, 통제용 앱을 실행하여 인식된 기능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외의 타기능 수행을 제한하는 통제용 앱 실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통제용 앱이 기능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앱을 실행하는 런처(Launcher)와; 기능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앱외의 타기능을 수행하는 앱의 실행을 차단하는 락 웨어(Lock War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통제용 앱이 인식된 기능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이동단말의 기능 제한 시스템이 기능식별정보를 보유하는 이동단말 부속기기와; 상기 이동단말 부속기기에 보유된 기능식별정보 인식시, 통제용 앱을 실행하여 인식된 기능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외의 타기능 수행을 제한하는 이동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이동단말 부속기기가 이동단말 보호 케이스 또는 이동단말 거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 보호 케이스 또는 이동단말 거치대 등과 같은 이동단말 부속기기를 이용해 이동단말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므로, 교육, 게임, 완구, 보안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요구되는 특정의 기능만 사용할 수 있도록 강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 기능 제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통제용 앱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의 기능 제한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 기능 제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 기능 제한 시스템은 이동단말 부속기기(100)와, 이동단말(200)과, 인증서버(300) 및 발급서버(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단말 부속기기(100)는 기능식별정보를 보유한다. 예컨대, 상기 이동단말 부속기기(100)가 이동단말 보호 케이스 또는 이동단말 거치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에 구애되지 않고 이동단말이 수납되거나 거치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완구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이동단말 부속기기(100)가 RFID 태그, NFC 태그, 메모리 등을 구비하여 기능식별정보를 보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기능식별정보는 특정의 이동단말 기능과 매칭되는 정보로, 일련의 숫자 또는 문자 또는 이들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200)은 상기 이동단말 부속기기(100)에 보유된 기능식별정보 인식시, 통제용 앱을 실행하여 인식된 기능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외의 타기능 수행을 제한한다.
이 때, 이동단말(200)이 RFID 인식방식, NFC 인식방식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이동단말 부속기기(100)로부터 기능식별정보를 인식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직렬 UART 포트, USB 포트 등을 이용한 유선 직렬 통신 방식으로 이동단말 부속기기(100)로부터 기능식별정보를 인식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통제용 앱은 인식된 기능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앱만 실행하고, 그 외의 타기능을 수행하는 앱들의 실행은 차단하는 앱으로, 관리자외의 임의 사용자들에 의해 삭제 불가능한 앱이다.
예컨대, 상기 통제용 앱이 이동단말 보호 케이스에 이동단말이 수납된 경우,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앱만 실행하고, 그 외의 앱들의 실행을 차단함으로써 교육과 관련한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제용 앱이 이동단말 보호 케이스에 이동단말이 수납된 경우, 특정 시간동안 게임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앱만 실행하고, 그 외의 앱들의 실행을 차단함으로써 게임과 관련한 기능만을 특정 시간 동안만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제용 앱이 완구에 구현된 이동단말 거치대에 이동단말이 거치된 경우, 동요 등의 음악 컨텐츠를 제공하는 앱만 실행하고, 그 외의 앱들의 실행을 차단함으로써 완구와 관련한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제용 앱이 이동단말 보호 케이스에 이동단말이 수납된 경우, 특정 위치에 이동단말이 진입할 경우 보안 관련 자료에 접근 가능한 앱만 실행하고, 그 외의 앱들의 실행을 차단함으로써 특정 위치에서 보안과 관련한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증서버(300)는 이동단말(200)로부터의 인식된 기능식별정보에 대한 인증 요청에 따라, 해당 기능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을 처리한다. 예컨대, 인증서버(300)가 이동단말(200)로부터 인증 요청된 기능식별정보와 동일한 기능식별정보가 기발급되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기능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발급서버(400)는 이동단말 부속기기(100)에 보유되는 기능식별정보를 발급하고, 기능식별정보 발급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발급서버(400)에 의해 발급된 기능식별정보는 RFID 태그, NFC 태그, 메모리 등에 기록되어 이동단말 부속기기(100)에 탑재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이동단말 보호 케이스 또는 이동단말 거치대 등과 같은 이동단말 부속기기를 이용해 이동단말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므로, 교육, 게임, 완구, 보안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요구되는 특정의 기능만 사용할 수 있도록 강제할 수 있게 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200)이 기능식별정보 인식부(210)와, 통제용 앱 실행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식별정보 인식부(210)는 이동단말 부속기기(100)로부터 기능식별정보를 인식한다. 예컨대, 상기 이동단말 부속기기(100)가 RFID 태그, NFC 태그, 메모리 등을 구비하여 기능식별정보를 보유하고, 상기 기능식별정보 인식부(210)가 RFID 인식방식, NFC 인식방식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또는 직렬 UART 포트, USB 포트 등을 이용한 유선 직렬 통신 방식으로 이동단말 부속기기(100)로부터 기능식별정보를 인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통제용 앱 실행부(220)는 상기 기능식별정보 인식부(210)에 의해 기능식별정보 인식시, 통제용 앱을 실행하여 인식된 기능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외의 타기능 수행을 제한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통제용 앱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제용 앱(500)은 런처(Launcher)(510)와, 락 웨어(Lock Ware)(520)를 포함한다.
상기 런처(Launcher)(510)는 기능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앱을 실행한다. 예컨대, 기능식별정보가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앱만 실행하고, 그 외의 앱들의 실행을 차단하도록 지시하는 정보일 경우, 런처(510)는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앱을 실행한다.
상기 락 웨어(Lock Ware)(520)는 기능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앱외의 타기능을 수행하는 앱의 실행을 차단한다. 예컨대, 기능식별정보가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앱만 실행하고, 그 외의 앱들의 실행을 차단하도록 지시하는 정보일 경우, 락 웨어(520)는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앱을 제외한 앱들의 실행을 차단한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통제용 앱(500)이 인증 모듈(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모듈(530)은 인식된 기능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을 처리한다.
예컨대, 상기 인증 모듈(530)이 이동단말(200)로부터의 인식된 기능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을 상기 인증서버(300)에 요청하고, 인증서버(300)로부터 인증 요청된 기능식별정보와 동일한 기능식별정보가 기발급되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기능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이동단말 보호 케이스 또는 이동단말 거치대 등과 같은 이동단말 부속기기를 이용해 이동단말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의 기능 제한 과정을 도 4 를 통해 알아본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의 기능 제한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610에서 이동단말이 이동단말 부속기기로부터 기능식별정보를 인식한다.
그 다음, 단계 620에서 이동단말이 인식된 기능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앱을 실행한다.
그리고, 단계 630에서 이동단말이 기능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앱외의 타기능을 수행하는 앱의 실행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이동단말 보호 케이스 또는 이동단말 거치대 등과 같은 이동단말 부속기기를 이용해 이동단말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의 기능 제한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이동단말 부속기기
200 : 이동단말
210 : 기능식별정보 인식부
220 : 통제용 앱 실행부
300 : 인증서버
400 : 발급서버
500 : 통제용 앱
510 : 런처
520 : 락 웨어
530 : 인증 모듈

Claims (5)

  1. 이동단말 부속기기로부터 기능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식별정보 인식부와;
    상기 기능식별정보 인식부에 의해 기능식별정보 인식시, 통제용 앱을 실행하여 인식된 기능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외의 타기능 수행을 제한하는 통제용 앱 실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제용 앱이:
    기능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앱을 실행하는 런처(Launcher)와;
    기능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앱외의 타기능을 수행하는 앱의 실행을 차단하는 락 웨어(Lock War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제용 앱이:
    인식된 기능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
  4. 기능식별정보를 보유하는 이동단말 부속기기와;
    상기 이동단말 부속기기에 보유된 기능식별정보 인식시, 통제용 앱을 실행하여 인식된 기능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외의 타기능 수행을 제한하는 이동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기능 제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 부속기기가:
    이동단말 보호 케이스 또는 이동단말 거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기능 제한 시스템.
KR1020150050980A 2015-04-10 2015-04-10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 및 이의 기능 제한 시스템 KR101748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980A KR101748805B1 (ko) 2015-04-10 2015-04-10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 및 이의 기능 제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980A KR101748805B1 (ko) 2015-04-10 2015-04-10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 및 이의 기능 제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243A true KR20160121243A (ko) 2016-10-19
KR101748805B1 KR101748805B1 (ko) 2017-06-20

Family

ID=57250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980A KR101748805B1 (ko) 2015-04-10 2015-04-10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 및 이의 기능 제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8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7195B1 (ko) 1996-11-05 2000-10-16 가네꼬 히사시 특정기능제한을위한무선통신장치및특정기능제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322B1 (ko) * 2011-04-14 2012-07-30 곽미나 확장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7195B1 (ko) 1996-11-05 2000-10-16 가네꼬 히사시 특정기능제한을위한무선통신장치및특정기능제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805B1 (ko)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7828B2 (en) Authentication device, authentic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S2906244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procesar información biométrica en un dispositivo electrónico
KR102216653B1 (ko) 지문 인증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43316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smart terminal
CN105550591A (zh) 移动终端用户数据的安全防护装置以及方法
US10444792B2 (en) Unlocking control system, method and wearable device using the same
US20170013457A1 (en) Relay device
CN106664504B (zh) 设备活动的控制
EP292783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4899496B (zh) 一种数据读取方法及其终端
CN112514323A (zh) 用于处理数字密钥的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KR101748805B1 (ko)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 및 이의 기능 제한 시스템
CN107924433B (zh) 由受控制的加密密钥管理保护的软件模块的安全进入和退出
CN104715192A (zh) 限制软件于授权无线环境
JP2014136910A (ja) 携帯端末および電子鍵装置
US2016024876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one-time password generating and authenticating method
US9002323B2 (en) SIM card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KR20210042063A (ko) 단말기 포지셔닝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KR20210122541A (ko) 데이터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826144B1 (ko) 기능 제한이 가능한 이동단말 및 이의 기능 제한 시스템
KR101764985B1 (ko) 사용자 단말기 잠금 기능 제공을 위한 방법, 태그 및 애플리케이션
KR102431303B1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532873B1 (ko) 스마트 폰의 듀얼 운영체제를 실행하는 방법
KR101610091B1 (ko)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202100971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cking a screen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