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151A -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151A
KR20160121151A KR1020150050746A KR20150050746A KR20160121151A KR 20160121151 A KR20160121151 A KR 20160121151A KR 1020150050746 A KR1020150050746 A KR 1020150050746A KR 20150050746 A KR20150050746 A KR 20150050746A KR 20160121151 A KR20160121151 A KR 20160121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mass
measuring
beta ray
quart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강호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0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1151A/ko
Publication of KR20160121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6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collecting particles on a support
    • G01N15/0618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collecting particles on a support of the filter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6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oscillations of the 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5/00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10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 G01N2223/102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beta or electrons

Abstract

본 발명은, 수정진동자 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대기중의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 수정진동자저울(Quartz Crystal Microbalance : QCM)을 적용하여 미세먼지의 질량 또는 질량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수정진동자저울에 쌓인 미세먼지의 질량을 측정하는 질량 측정부; 미세 먼지가 쌓인 필터에 조사된 베타선의 감쇄정도를 측정하는 베타선 측정부; 및 상기 질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질량값과 상기 베타선 측정부에서 측정된 베타선 측정값에 따른 미세먼지의 질량값을 비교하여 베타선 측정부의 감도를 교정하는 교정부;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Fine partcles measuring system used by quartz crystal microbalance}
본 발명은,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대기중의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 수정진동자저울(Quartz Crystal Microbalance : QCM)을 적용하여 미세먼지의 질량 또는 질량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사용량의 증가와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 등으로 황산염 입자, 매연과 같은 미세먼지에 의한 대기오염이 증가하면서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대기 중의 부유된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방법은, 중력에 의한 측정, 광학적인 산란을 이용한 측정, 베타선 감쇄 원리를 이용한 방법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도 연속측정이 가능하고 채취된 미세 먼지의 화학적 성질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비교적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베타선 감쇄 원리를 이용한 측정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베타선 감쇄 원리를 이용한 측정방법은, 필터에 포집된 먼지에 베타선을 투과하고 베타선 투과량을 측정하여 포집된 먼지의 양을 산정하는 방식으로, 베타선 투과기(Beta-ray)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베타선 감쇄 원리를 이용한 미세먼지의 측정방법은 대기중 수분이나 베타선 측정센서의 감도변화에 따라 미세먼지의 측정되는 값이 변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의 측정값을 정확하게 산정하기 위하여 상기 측정센서의 감도를 교정해주는 작업이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필터에 포집된 먼지를 수동으로 측정하여 베타선 측정센서의 감도를 교정해주는 번거로운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즉, 필터와는 별도로 마련된 입자흡착수단을 통해 필터에 포집된 먼지를 흡착한 뒤 흡착된 먼지의 질량과 필터에 포집된 먼지의 질량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베타선 측정센서의 감도를 교정하기 때문에 베타선 측정센서의 감도를 교정하는 데 있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베타선 감쇄 원리를 이용한 미세먼지의 측정방법은, 수동으로 베타선 측정센서의 감도를 교정함에 따라 미세먼지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미세먼지에 따른 환경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미세먼지의 질량뿐만 아니라 미세먼지의 입자 크기에 따른 질량농도도 함께 계측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의 질량과 입자 크기 분포를 동시에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6-0029810호의 '미세먼지 측정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하여 베타선 측정센서의 교정작업을 개선하고 미세먼지의 입자 크기뿐만 아니라 질량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미세먼지 측정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정진동자저울에 쌓인 미세먼지의 질량을 측정하는 질량 측정부; 미세 먼지가 쌓인 필터에 조사된 베타선의 감쇄정도를 측정하는 베타선 측정부; 및 상기 질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질량값과 상기 베타선 측정부에서 측정된 베타선 측정값에 따른 미세먼지의 질량값을 비교하여 베타선 측정부의 감도를 교정하는 교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정부는, 베타선 측정값에 따른 미세먼지의 질량값이 테이블화되어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에서 미세먼지 질량값을 추출하여 상기 질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질량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정진동자저울 및 필터는 미세먼지가 유입되는 덕트 내에 배치되되 서로 동일한 높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정진동자저울은, 수정진동자; 및 상기 수정진동자의 양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수정진동자를 진동시키는 한 쌍의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전극부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서 돌출되어 상기 수정진동자의 중앙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정진동자저울에는, 상기 덕트 내로 유입된 미세먼지를 상기 수정진동자의 중앙부로 안내하는 입자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 측정시스템은, 미세먼지의 질량농도를 측정하는 질량농도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질량농도 측정부로 광학입자계수기(optical particle counter)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정부는 상기 질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질량값을 기초로 상기 광합입자계수기에 사용되는 환산계수를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정부는, 상기 수정진동자저울에 쌓인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자동 세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세정부는, 상기 교정부에 의해 베타선 측정부의 교정작업이 완료된 후 또는 상기 질량농도 측정부의 환산계수 교정작업이 완료된 후에 수정진동자저울에 쌓인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은, 수정진동자저울 이용하여 측정된 미세먼지의 질량값을 기초로 베타선의 측정부의 교정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필터에 쌓인 미세먼지를 따로 포집하여 수동으로 질량측정을 하지 않아도 되며, 베타선 측정부의 교정 정확도를 향상시켜 베타선 감쇄값에 따른 미세먼지의 질량측정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은,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하여 측정된 미세먼지의 질량값을 기초로 광학입자계수기의 환산계수를 교정할 수 있으므로, 미세먼지의 질량값과 함께 미세먼지의 입자 크기 또는 분포에 따른 미세먼지의 농도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정진동자저울의 평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100)은, 수정진동자저울(20)에 쌓인 미세먼지의 질량을 측정하는 질량 측정부(110)와, 미세 먼지가 쌓인 필터(F)에 조사된 베타선의 감쇄정도를 측정하는 베타선 측정부(120) 및 상기 질량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질량값과 상기 베타선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베타선 측정값에 따른 미세먼지의 질량값을 비교하여 베타선 측정부(120)의 감도를 교정하는 교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정진동자저울(20) 및 필터(F)는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 또는 나노입자 등을 포함한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5)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덕트(5)는 밀폐형, 개방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수정진동자저울(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진동자(21) 및 상기 수정진동자(21)의 상하 양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수정진동자(21)를 진동시키는 한 쌍의 전극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정진동자(21)는 수정으로 제작되며 그 형상은 원형 및 사각형의 형상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정진동자(21)는, 상기 전극부(22)에 전기가 인가되면, 고유진동수로 진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정진동자(21) 또는 상기 전극부(22)에 쌓인 미세먼지의 질량은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 질량변화에 의한 기본 진동수의 변화량, N : AT-cut 진동자의 진동상수, A : 수정진동자의 전극부 면적,
Figure pat00003
: 수정진동자의 밀도, f : 수정진동자의 기본 진동수,
Figure pat00004
: 수정진동자에 부착된 입자의 질량이다.)
상기 [수학식 1]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수정진동자(21)의 고유진동수는 상기 수정진동자(21)에 부착된 질량에 비례하고, 고유진동수의 변화량은 질량의 변화량에 비례하여 변하게 된다. 만약, 수정진동자(21)에 마련된 전극부(22)에 미세먼지가 쌓이게 되면 미세먼지의 질량에 따라 수정진동자(21)의 고유진동수는 줄어들게 된다. 이렇게 변화된 수정진동자(21)의 고유진동수 변화량을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질량의 변화량으로 변환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질량 측정부(110)는 수정진동자저울(20)의 수정진동자(21) 또는 전극부(22)에 쌓인 미세먼지의 질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질량측정방식은 미소질량을 측정하는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방식이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상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 구체적인 설명이 생략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정진동자(21)에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수정진동자(21)의 평면적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발생 될 수 있도록 상기 전극부(22)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서 돌출되어 상기 수정진동자(21)의 중앙부와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정진동자(21)의 중앙부에서부터 방사방향으로 진동이 발생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정진동자저울(20)에 쌓이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나노입자 등은 상기 수정진동자(21)의 중앙부와 접촉된 전극부(22)에 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부(22)에 쌓인 미세먼지의 질량에 따라 상기 수정진동자(21)의 고유진동수가 변화되기 때문이다. 또한, 수정진동자(21)의 중앙부가 다른 부위 보다 고유진동수 변화정도에 대한 정확도 내지 감도가 우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수정진동자저울(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먼지를 상기 수정진동자(21)의 중앙부로 안내하는 입자 가이드부(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입자 가이드부(2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중 미세먼지가 유입되는 덕트(5) 내에서 상기 수정진동자저울(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깔때기 또는 노즐 등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자 가이드부(23)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는 상기 수정진동자(21)의 중앙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덕트(5)의 유입구(미도시)를 통해 유입된 미세먼지는 상기 입자 가이드부(23)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로 배출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정진동자(21)의 중앙부에 용이하게 쌓일 수 있다.
상기 베타선 측정부(120)는, 도시되지 않은 베타선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베타선이 필터(F)를 향해 조사되어 투과되면 상기 필터(F)를 투과한 베타선의 감쇄정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통상의 베타선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또는 디텍터(detecto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타선 발생부는 상기 수정진동자저울(20)과 마찬가지로 덕트(5) 내부에 배치된 필터(F)에 베타선을 투사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필터(F)는 상기 수정진동자저울(20)과 마찬가지로 덕트(5) 내부에 배치되며, 도면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양단은 각각 롤 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F)는 그 일단 또는 타단 중 어느 하나가 권취됨에 따라 미세먼지가 쌓이는 필터의 부위가 이동될 수 있으므로, 필터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F)와 상기 수정진동자저울(20)은 상기 덕트(5) 내에서 동일한 높이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덕트(5)의 유입구를 통해 상기 덕트(5)의 내부로 유입되는 미세먼지가 상기 수정진동자저울(20)과 상기 필터(F)에 서로 다른 량으로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덕트(5)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미세먼지는, 도시되지 않은 진공펌프와 같은 흡입장치에 의해 상기 덕트(5)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수정진동자저울(20) 및 상기 필터(F)에 쌓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F)에 미세먼지가 쌓이면 상기 베타선 발생부에서 상기 필터(F)로 베타선을 조사하고, 상기 필터(F)를 투과한 베타선은 상기 베타선 측정부(120)에 의해 감쇄정도가 측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베타선의 감쇄원리를 이용하여 미세입자의 질량을 측정하는 방식 또한 미소질량을 측정하는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방식이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상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 구체적인 설명이 생략된다.
상기 교정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질량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질량값과 상기 베타선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베타선 측정값에 따른 미세먼지의 질량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시스템(100)은, 베타선 측정값에 따른 미세먼지의 질량값이 테이블화되어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정부(130)는 상기 베타선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베타선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측정값에 따른 미세먼지의 질량값을 상기 데이터 저장부(131)에서 추출한 뒤 상기 질량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질량값과 비교분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정부(130)는, 상기 질량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질량값과 상기 베타선 측정값에 따른 미세먼지의 질량값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베타선 측정부(120)의 감도를 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교정부(130)는 상기 질량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질량값에 비하여 상기 베타선 측정값에 따른 미세먼지의 질량값이 낮을 경우에는 상기 베타선 측정부(120)의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교정부(130)는 상기 질량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질량값에 비하여 상기 베타선 측정값에 따른 미세먼지의 질량값이 높을 경우에는 상기 베타선 측정부(120)의 감도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정진동자저울(20)에 쌓인 미세먼지의 질량과 상기 필터(F)에 쌓인 미세먼지의 질량은, 상기 수정진동자저울(20) 및 상기 필터(F)가 덕트(5) 내에서 동일한 높이 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서로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시스템(100)은, 상기 수정진동자저울(20)에 쌓인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자동 세정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세정부(133)는, 상기 교정부(130)에 의해 상기 베타선 측정부(120)의 교정작업이 완료된 후에, 상기 수정진동자저울(20)의 수정진동자(21) 또는 전극부(22)에 쌓인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교정부(130)에 의해서 베타선 측정부(120)의 교정이 완료된 이후에도 수정진동자저울(20)에 여전히 미세먼지 등이 쌓여 있는 상태로 그 다음 교정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교정 결과의 정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한 번의 교정이 완료된 후에는 수정진동자저울(20)에 쌓인 미세먼지 등을 제거해야 한다.
상기 자동 세정부(1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5)의 외부에 배치된 진공펌프(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상기 수정진동자(21) 또는 전극부(22)에 쌓인 미세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노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초미세 부직포(미도시)가 부착된 롤러(미도시)를 상기 덕트(5) 내에서 상기 수정진동자저울(20)의 윗면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되게 창작하여 상기 수정진동자저울(20)에 쌓인 먼지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자동 세정부(133)는, 수정진동자저울(20)에 쌓인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미세먼지를 흡입 또는 부착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수정진동자저울(20)에 쌓인 먼지를 제거할 수만 있다면 압축공기를 분사장치 등 다양한 공지의 미세입자 제거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먼지 측정시스템(100)은, 미세먼지의 질량농도를 측정하는 입자크기 측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자크기 측정부(140)는, 미세먼지의 입자 크기 또는 입경 분포 등을 계측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가 레이저(Laser)를 통과할 때 산란되는 빛의 양을 입자의 크기로 나타내어 측정하는 광합입자계수기(Optical Particle Counter : OPC)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합입자계수기(OPC)는, 미세먼지의 질량을 직접적으로 측정하지 못하고 미세먼지의 질량을 가정하여 광산란으로 측정된 미세먼지의 입자 크기 또는 입경 분포 데이터를 기초로 미세먼지의 질량으로 환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정부(130)는 상기 질량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질량값을 기초로 상기 광합입자계수기(OPC)에 사용되는 환산계수(Conversion factor)를 교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교정부(130)는 상기 질량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질량값을 기준으로 상기 입자크기 측정부(140)에서 사용되는 환산계수를 교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동 세정부(133)는 상기 입자크기 측정부(140)의 환산계수의 교정작업이 완료된 후에 상기 수정진동자저울(20)의 수정진동자(21) 또는 전극부(22)에 쌓인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교정부(130)가 상기 질량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질량값을 기준으로 상기 베타선 측정부(120)의 교정작업 및 상기 입자크기 측정부(140)의 환산계수 교정작업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하여 교정의 정확도가 높지 않았던 점을 개선할 수 있고, 또한, 미세먼지의 질량뿐만 아니라 미세먼지의 입자 크기 또는 분포에 따른 미세먼지의 농도를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110 : 질량 측정부
120 : 베타선 측정부 130 : 교정부
131 : 데이터 저장부 133 : 자동 세정부
140 : 입자크기 측정부

Claims (10)

  1. 수정진동자저울에 쌓인 미세먼지의 질량을 측정하는 질량 측정부;
    미세 먼지가 쌓인 필터에 조사된 베타선의 감쇄정도를 측정하는 베타선 측정부; 및
    상기 질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질량값과 상기 베타선 측정부에서 측정된 베타선 측정값에 따른 미세먼지의 질량값을 비교하여 베타선 측정부의 감도를 교정하는 교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는,
    베타선 감쇄값에 따른 미세먼지의 질량값이 테이블화되어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에서 미세먼지 질량값을 추출하여 상기 질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질량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진동자저울 및 상기 필터는
    미세먼지가 유입되는 덕트 내에 배치되되 서로 동일한 높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진동자저울은,
    수정진동자; 및
    상기 수정진동자의 양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수정진동자를 진동시키는 한 쌍의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전극부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서 돌출되어 상기 수정진동자의 중앙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진동자저울의 상부에는,
    상기 덕트 내로 유입된 미세먼지를 상기 수정진동자의 중앙부로 안내하는 입자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측정시스템은,
    미세먼지의 질량농도를 측정하는 입자크기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질량농도 측정부로 광학입자계수기(optical particle counter)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는 상기 질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질량값을 기초로 상기 광합입자계수기에 사용되는 환산계수를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의 일측에는 상기 수정진동자저울에 쌓인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자동 세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세정부는,
    상기 교정부에 의해 베타선 측정부의 교정작업이 완료된 후 또는 상기 질량농도 측정부의 환산계수 교정작업이 완료된 후에 수정진동자저울에 쌓인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KR1020150050746A 2015-04-10 2015-04-10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KR20160121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746A KR20160121151A (ko) 2015-04-10 2015-04-10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746A KR20160121151A (ko) 2015-04-10 2015-04-10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151A true KR20160121151A (ko) 2016-10-19

Family

ID=57250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746A KR20160121151A (ko) 2015-04-10 2015-04-10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115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3954A (zh) * 2017-04-12 2017-08-18 北京雪迪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误差校正控制系统、β测尘仪消除滤带误差的方法
KR20200024417A (ko) * 2018-08-28 2020-03-09 전자부품연구원 마이크로 공진기를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20200071796A (ko) * 2018-11-29 2020-06-22 주식회사 아림사이언스 공기질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102159941B1 (ko) * 2019-06-10 2020-09-25 울산과학기술원 Qcm 센서를 포함하는 전기식 입자 분석 장치
WO2021242027A1 (ko) * 2020-05-27 2021-12-02 주식회사 아림사이언스 공기질 측정 장치 및 시스템
CN116380207A (zh) * 2023-04-10 2023-07-04 中国矿业大学 一种半导体应变片落尘监测装置及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3954A (zh) * 2017-04-12 2017-08-18 北京雪迪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误差校正控制系统、β测尘仪消除滤带误差的方法
CN107063954B (zh) * 2017-04-12 2019-08-06 北京雪迪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误差校正控制系统、β测尘仪消除滤带误差的方法
KR20200024417A (ko) * 2018-08-28 2020-03-09 전자부품연구원 마이크로 공진기를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20200071796A (ko) * 2018-11-29 2020-06-22 주식회사 아림사이언스 공기질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102159941B1 (ko) * 2019-06-10 2020-09-25 울산과학기술원 Qcm 센서를 포함하는 전기식 입자 분석 장치
WO2021242027A1 (ko) * 2020-05-27 2021-12-02 주식회사 아림사이언스 공기질 측정 장치 및 시스템
CN116380207A (zh) * 2023-04-10 2023-07-04 中国矿业大学 一种半导体应变片落尘监测装置及方法
CN116380207B (zh) * 2023-04-10 2023-09-29 中国矿业大学 一种半导体应变片落尘监测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1151A (ko) 수정진동자저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US93352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optical diameters of aerosol particles to mobility and aerodynamic diameters
EP2102629B1 (en) Improvements i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particles flowing in a stack
US9201056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measuring properties
KR102133715B1 (ko) 미세먼지 측정 장치 및 방법
US70637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particles in a gas flow
CN1719989A (zh) 吸烟行为分析器
US20150346071A1 (en)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CN104422640A (zh) 基于激光散射的空气质量检测系统
JP2010091548A (ja) 空気中の繊維を高精度でカウントする装置
CN105092441A (zh) 一种细颗粒物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CN105092442B (zh) 一种细颗粒物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JP2017203758A (ja) 粒子測定装置
Wu et al. Evaluation of aerosol-spectrometer based PM2. 5 and PM10 mass concentration measurement using ambient-like model aerosols in the laboratory
CN101329249A (zh) 气体中微小颗粒物的分析方法及仪器
Pitz et al. Quality control and quality assurance for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ements at an urban monitoring station in Augsburg, Germany
US20080196514A1 (en) Inhalable Sampler
JP2012073070A (ja) 微粒子計測装置
JP5141419B2 (ja) すす濃度測定装置
KR20090030656A (ko) Co₂간섭을 배제한 굴뚝용 실시간 수분측정방법 및 장치
CN112504923B (zh) 基于多频率saw阵列的大气颗粒物浓度与粒径分布测量方法
CN203929580U (zh) 一种用于检测细颗粒物的激光散射装置
KR101664798B1 (ko) 미세질량측정시스템
CN109477748A (zh) 临床分析仪中的短抽吸检测
KR20220026060A (ko) 수직 흡입형 베타레이 미세먼지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