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002A -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 - Google Patents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002A
KR20160121002A KR1020150050331A KR20150050331A KR20160121002A KR 20160121002 A KR20160121002 A KR 20160121002A KR 1020150050331 A KR1020150050331 A KR 1020150050331A KR 20150050331 A KR20150050331 A KR 20150050331A KR 20160121002 A KR20160121002 A KR 20160121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ovable
contact
core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1002A/ko
Publication of KR20160121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0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movable inside coil and substantially lengthwise with respect to axis thereof; movable coaxially with respect to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41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performing a rectiline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065Relays having a pair of normally open contacts rigidly fixed to a magnetic core movable along the axis of a solenoid, e.g. relays for starting automobi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을 링크를 통해 접점부로 전달하도록 하여 접압력 및 차단성능이 향상되고 구동부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는 일측면에 제1개방부를 갖고, 타측면에는 고정접점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점이 구비되는 접점부; 일측면에 제2개방부를 갖고, 내부에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가 설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제1개방부와 제2개방부에 연결되는 개방부를 갖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동접점을 움직이도록 하는 3절 링크기구가 구비되는 링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Relay using 3-Linkage Mechanism}
본 발명은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을 링크를 통해 접점부로 전달하도록 하여 접압력 및 차단성능이 향상되고 구동부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골프 카트 및 전동 지개차 등과 같은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s)에는 배터리에 전력을 투입 또는 차단하기 위해 릴레이(Relay)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릴레이는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품 중의 하나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릴레이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은 차단 상태, 도 2는 투입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릴레이는 상부프레임(1), 하부프레임(2), 상부프레임(1)에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접점(3), 상부프레임(1) 내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3)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점(4)을 구비하며, 통상적으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접점의 개폐 제어가 가능하도록 가동접점(4)을 구동시키는 전기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액추에이터는 코일(5)과 고정코어(6)로 이루어진 전기자와, 상기 코일(5)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고정코어(5)에 흡인될 수 있는 가동코어(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구동축(8)은 하단이 가동코어(7)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코어(6)를 관통하여 수직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구동축(8)의 상단에는 상기 가동접점(4)이 결합되어 구동축(8)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운동하게 된다.
즉, 릴레이는 코일(5)에 전원이 공급되면 코일(5) 주변에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 고정접점(3)에는 자기력이 증폭되어 가동코어(7)가 상승운동을 하여 가동접점(4)을 고정접점(3)에 접촉시켜 부하측에 전류를 통전시키게 되는 스위칭 장치이다. 한편, 코일(5)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동코어(7)가 고정코어(6)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복귀하도록 고정코어(6)와 가동코어(7) 사이에는 복귀스프링(9)이 구비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릴레이는 액추에이터와 가동접점이 단일한 구동축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액추에이터 구동 시 구동축과 함께 가동접점의 수직 상승 또는 하강 동작에 따라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하는 투입(ON) 동작과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서 분리되는 차단(OFF)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가동접점과 고정접점 사이의 충분한 접압력을 부여하기 위해 접압스프링(도 1,2의 A)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접압스프링의 하중은 접압력뿐만 아니라 차단 성능 및 단락(Short Current) 성능 등과도 관계되므로 충분히 큰 값을 가져야 한다. 특히, 400A급 이상의 대용량 릴레이에서는 높은 수준의 차단성능 및 단락 성능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그 만큼 더 높은 하중을 지닌 접압스프링이 사용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릴레이는 가동코어와 가동접점이 단일한 구동축에 결합되어 있어 가동접점의 작동방향과 접압스프링의 하중방향이 같은 축 상에 있기 때문에 액추에이터의 하중이 1:1의 비율로 접압스프링의 하중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한 릴레이는 접압스프링의 하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액추에이터의 성능을 증대시켜야 하는데, 이것은 제한된 크기 내에서 한계가 있다. 결과적으로 원하는 접압력을 얻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릴레이는 가동접점이 결합되는 구동축을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고정코어 및 가동코어에 구동축 삽입홀이 형성되는데, 고정코어 및 가동코어에서는 중심부가 자력선속이 가장 집중되는 부분이므로 자기 효율이 저하된다. 원하는 자기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코일과 고정코어 및 가동코어를 크게 하여야 하며 결과적으로 액추에이터와 릴레이가 필요 이상으로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을 링크를 통해 접점부로 전달하도록 하여 접압력 및 차단성능이 향상되고 구동부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는 일측면에 제1개방부를 갖고, 타측면에는 고정접점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점이 구비되는 접점부; 일측면에 제2개방부를 갖고, 내부에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가 설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제1개방부와 제2개방부에 연결되는 개방부를 갖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동접점을 움직이도록 하는 3절 링크기구가 구비되는 링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점부는 제1개방부 측에 설치되고, 일단에 상기 가동접점이 설치되고, 타단에 플랜지 및 제1힌지부가 형성되는 가동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축의 움직임을 일정하게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개방부 측에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코어, 상기 고정코어와 가동코어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코어를 고정코어로부터 분리된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3절 링크기구는 상기 가동코어에 일단이 힌지연결되는 구동링크, 일단이 상기 제1힌지부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링크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는 제1회동링크, 일단이 상기 제3프레임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링크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는 제2회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회동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3프레임의 일측벽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에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코어와 가동코어는 충실형 봉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회동링크와 제2회동링크는 투입상태에서 제1회동링크와 제2회동링크가 일직선을 이루는 사점보다 더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에 의하면, 고정코어와 가동코어가 충실형 봉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코일과 고정코어 및 가동코어의 크기 대비 최대의 자기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릴레이와 동일한 자기력을 얻을 수 있으면서도 액추에이터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요구되는 접압력을 충분히 얻을 수 있어 접촉저항, 차단성능, 단락 성능 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에 의하면,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을 가동접점에 전달하는 기구로서 3절 링크기구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하는 투입동작시 가동접점이 동작초기에는 빠른 속도로 고정접점에 접근하게 되고 동작후기에는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서서히 접근하게 되어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에 의하면, 3절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구동링크, 제1회동링크 및 제2회동링크의 길이와 각 힌지점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액추에이터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높은 접압력을 가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에 의하면,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한 투입상태에서 3절 링크기구의 제1회동링크와 제2회동링크가 서로 일직선을 이루는 사점보다 더 회동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접압스프링 등에 의한 투입유지력이 필요 없는 bi-stable 릴레이로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릴레이의 종단면도로서,
도 1은 차단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투입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의 종단면도로서,
도 3은 차단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4는 투입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의 종단면도로서, 도 3은 차단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4는 투입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는 크게 고정접점(13)과 가동접점(14)이 설치되는 접점부(10),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22)를 포함하는 구동부(20), 액추에이터(22)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증대된 접압력으로 전환시켜 가동접점(14)에 전달하는 3절 링크기구(32,33,34)를 포함하는 링크부(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접점부(10), 구동부(20), 링크부(30)는 각각 프레임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는 접점부(10)의 외형을 이루는 제1프레임(11), 구동부(20)의 외형을 이루는 제2프레임(21), 링크부(30)의 외형을 이루는 제3프레임(3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프레임(11)에는 일측에 제1개방부(12)가 형성되고, 제2프레임(21)에는 일측에 제2개방부(22)가 형성되어 제1개방부(12)와 제2개방부(22)가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직각)을 이루면서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접점부(10)는 고정접점(13)에 가동접점(14)이 접촉 또는 분리됨으로써 부하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고정접점(13)은 제1프레임(11)의 타측(폐쇄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가동접점(14)은 제1개방부(12) 측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접점(13)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고정접점(13)에는 전원 또는 부하측에 접속될 수 있는 고정단자(13a)가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고정접점(13)은 한 쌍으로 설치된다.(즉, 도 3 및 도 4에서는 고정접점(13)이 겹쳐져서 1개로 나타나지만, 도 3 및 도 4의 횡단면도에서는 고정접점(13)이 2개로 나타난다.)
가동접점(14)을 직선운동시키기 위해 가동축(15)이 마련된다. 가동축(15)은 접점부(10)의 제1개방부(12) 측에 설치된다. 가동축(15)의 일단에는 가동접점(14)이 설치된다. 가동축(15)의 타단에는 플랜지(15a) 및 제1힌지부(15b)가 형성된다.
플랜지(15a)와 가동접점(14) 사이에는 접압스프링(16)이 구비된다. 접압스프링(16)은 가동접점(14)이 고정접점(13)에 접촉될 때 접압력을 제공한다.
가동축(15)의 움직임을 일정하게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17)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20)는 직선 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23)를 포함하는 부분이다.
액추에이터(23)는 제2프레임(21)의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24), 코일(24)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2프레임(21)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코어(25), 코일(24)의 내부에 직선 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가동코어(26), 상기 고정코어(25)와 가동코어(26)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코어(26)를 고정코어(25)로부터 분리된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코일(24)은 보빈(27)에 권취된다. 또한 복귀스프링(28)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고정코어(25)와 가동코어(26)를 감싸는 실린더(29)가 구비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23)는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24)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고정코어(25)는 상기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어 가동코어(26)를 끌어당김으로써 직선운동을 일으키도록 한다. 이 외에도, 직선운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이러한 액추에이터(23) 외에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가동코어(26)의 하부에는 제2힌지부(26a)가 형성된다.
3절 링크기구(32,33,34)는 제2힌지부(26a)에 일단이 힌지연결되는 구동링크(32), 일단이 제1힌지부(15b)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구동링크(32)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는 제1회동링크(33), 일단이 제3프레임(31)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구동링크(32)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는 제2회동링크(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프레임(31)의 일측벽에는 제2회동링크(34)이 일단이 결합될 수 있는 지지부(35)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35)에는 제3힌지부(35a)가 마련되어 제2회동링크(34)이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제1힌지부(15b)와 제3힌지부(35a)는 동일한 수평선 상에 놓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3힌지부(35a)가 제1힌지부(15b)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제3프레임(31)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릴레이의 크기를 줄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3절 링크기구(32,33,34)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 즉, 구동링크(32), 제1회동링크(33), 제2회동링크(34)의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가동접점(14)에 미치는 접압력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액추에이터(23)의 구동력은 3절 링크기구(32,33,34)를 통해 가동축(15)에 전달되는데, 가동코어(26)의 운동거리를 가동축(15)의 운동거리보다 크게 하여 가동접점(14)에 가해지는 접압력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용량의 릴레이에 필요한 접촉저항, 차단성능, 단락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차단상태에서, 코일(24)에 전원이 공급되면, 코일(24)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고정코어(25)는 자화되어 가동코어(26)가 고정코어(25)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투입상태에서 코일(24)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면, 코일(24)의 주위에 발생했던 자기장이 소멸하고 복귀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동코어(26)가 고정코어(25)로부터 분리되어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이때, 고정코어(25)와 가동코어(26)는 샤프트홀(shaft hole)이 없는 충실형(充實形) 봉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자기 효율이 저하되는 일이 없게 된다.
즉, 종래기술의 고정코어와 가동코어의 경우 자속밀도가 집중하는 중심부에 샤프트홀이 형성되므로 자기 효율이 저하되는데 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는 고정코어(25)와 가동코어(26)가 샤프트홀이 형성되지 않는 충실형 봉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자기 효율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고정코어(25) 및 가동코어(26)의 외곽 크기를 종래기술의 고정코어 및 가동코어와 동일한 외곽 크기로 형성하였을 때, 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코일(24), 고정코어(25) 및 가동코어(26)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력은 종래기술에 따른 릴레이의 코일과 고정코어 및 가동코어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력보다 크게 나타나게 되며,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23)는 종래기술에 따른 액추에이터에 비하여 큰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반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고정코어(25) 및 가동코어(26)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력을 종래기술의 고정코어 및 가동코어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력과 동일하게 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코일(24), 고정코어(25) 및 가동코어(26)의 크기를 종래기술에 따른 릴레이의 코일과 고정코어 및 가동코어의 크기보다 작게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23)를 종래기술에 따른 액추에이터에 비하여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가동코어(26)가 고정코어(25)로부터 접근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되면, 제2힌지부(26a)에 일단이 힌지연결된 구동링크(32)가 당겨지게 되고, 구동링크(32)의 타단에 공동으로 힌지연결된 제1회동링크(33)와 제2회동링크(34)가 각각 제1힌지부(15b)와 제3힌지부(35a)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제3힌지부(35a)는 지지부(35)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힌지부(26a)는 우측으로 밀리면서 움직이게 되고, 결국 가동축(15)에 설치된 가동접점(14)은 고정접점(13)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가동접점(14)이 고정접점(13)에 접촉하게 되면 투입상태로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1회동링크(33)는 3절 링크기구(32,33,34)의 특성에 따라 동작 초기에는 빠른 속도로 이동하게 되고, 동작 후기에는 서서히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가동접점(14)이 고정접점(13)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On noise)이 감소된다.
도 4에 도시한 투입상태에서 코일(24)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면, 코일(24)이 주위에 발생하던 자기장이 소멸되어 고정코어(25)의 흡인력이 사라지게 되고, 고정코어(25)와 가동코어(26) 사이에 구비된 복귀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동코어(26)가 고정코어(2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가동접점(14)이 고정접점(13)에 접촉한 투입상태에서 3절 링크기구(50)의 제1회동링크(33)와 제2회동링크(34)가 서로 일직선을 이루는 사점(dead point)(DP)보다 더 회동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투입유지력이 필요 없는 bi-stable 릴레이로도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이때는 액추에이터에 2개의 코일이 구비되는 등 양방향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한 구성으로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접점부 11 제1프레임
12 제1개방부 13 고정접점
13a 고정단자 14 가동접점
15 가동축 15a 플랜지
15b 제1힌지부 16 접압스프링
17 가이드 20 구동부
21 제2프레임 22 제2개방부
23 액추에이터 24 코일
25 고정코어 26 가동코어
26a 제2힌지부 27 보빈
28 복귀스프링 29 실린더
31 제3프레임 32 구동링크
33 제1회동링크 34 제2회동링크
35 지지부 35a 제3힌지부

Claims (8)

  1. 일측면에 제1개방부를 갖고, 타측면에는 고정접점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점이 구비되는 접점부;
    일측면에 제2개방부를 갖고, 내부에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가 설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제1개방부와 제2개방부에 연결되는 개방부를 갖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동접점을 움직이도록 하는 3절 링크기구가 구비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제1개방부 측에 설치되고, 일단에는 상기 가동접점이 설치되고, 타단에는 플랜지 및 제1힌지부가 형성되는 가동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축의 움직임을 일정하게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개방부 측에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구동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코어, 상기 고정코어와 가동코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코어를 고정코어로부터 분리된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3절 링크기구는
    상기 가동코어에 일단이 힌지연결되는 구동링크, 일단이 상기 제1힌지부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링크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는 제1회동링크, 일단이 상기 링크부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링크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는 제2회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동링크의 일단은 상기 링크부의 일측벽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에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코어와 가동코어는 충실형 봉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링크와 제2회동링크는 투입상태에서 제1회동링크와 제2회동링크가 일직선을 이루는 사점보다 더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
KR1020150050331A 2015-04-09 2015-04-09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 KR20160121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331A KR20160121002A (ko) 2015-04-09 2015-04-09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331A KR20160121002A (ko) 2015-04-09 2015-04-09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002A true KR20160121002A (ko) 2016-10-19

Family

ID=57250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331A KR20160121002A (ko) 2015-04-09 2015-04-09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10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244B1 (ko) 자동차용 리튬이온 배터리 시스템에서 선형 고전압 접촉자의 이중 양극 자기장
KR101342981B1 (ko) 스위칭 어셈블리, 차량 추진 시스템 및 스위칭 어셈블리의 작동 방법
US7746202B2 (en) Magnetic actuating device
JP6046767B2 (ja) Evリレー
US8564386B2 (e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JP6744339B2 (ja) 高電圧直流リレー
KR101116383B1 (ko) 전자 개폐장치
KR20080063122A (ko) 차단기 및 그 개폐방법
JPH03502021A (ja) 双安定性磁気アクチュエーター及び遮断器
US8901445B2 (en) Magnetic contactor
CN104303251A (zh) 线路保护开关
KR20200025805A (ko) 직류 릴레이
EP3091552A1 (en) Magnetic switch
JP4281251B2 (ja) 電磁継電器
KR102606007B1 (ko) 직류 릴레이
CA2463225A1 (en) Circuit breaker inducing mechanism for breaking tack weld
JP2004342552A (ja) 開閉装置
JPH02170601A (ja) マイクロ波c形切換器およびs形切換器
JP4829097B2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
CN110473723B (zh) 双电源转换机构及具有该双电源转换机构的开关设备
KR20160121002A (ko) 3절 링크 구조를 이용한 릴레이
JP4357505B2 (ja) 遮断器
US9472367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relay including a ferromagnetic or magnetic armature having a tapered portion
CN105140065B (zh) 开闭装置
KR101697577B1 (ko) 전자개폐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