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884A - 기능성 고무장갑 - Google Patents

기능성 고무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884A
KR20160120884A KR1020150050004A KR20150050004A KR20160120884A KR 20160120884 A KR20160120884 A KR 20160120884A KR 1020150050004 A KR1020150050004 A KR 1020150050004A KR 20150050004 A KR20150050004 A KR 20150050004A KR 20160120884 A KR20160120884 A KR 20160120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rubber glove
rubber
present
rubber gl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곰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곰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곰표산업
Priority to KR1020150050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0884A/ko
Publication of KR20160120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8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8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고무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쑥 분말을 제공하여 향균성 및 방향성을 개선시키고, 세제 공급부를 이용하여 보다 간소하게 세제를 공급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을 실시할 수 있게 만드는 기능성 고무장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고무장갑{FUNCTIONAL RUBBER GLOVES}
본 발명은 기능성 고무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무장갑을 제공하여 향균성 및 방향성이 개선되고, 세제를 공급할 수 있게 만드는 고무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장갑은 식기 세척 또는 건물의 청소와 같은 청소 목적으로 사용되는 수단을 말하는 것으로서, 고무장갑은 물에 대한 방수성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된다.
이러한 종래의 고무장갑은 향균성 및 방향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아 곰팡이 또는 세균과 같은 환경에 쉽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고무장갑은 보다 쾌적하게 세척을 실시할 수 있게 만드는 세제 공급부 구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86936호에 개시되어 있는 향균 및 미용효과가 우수한 고무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은 향균성 및 방향성을 개선시키는 쑥 분말과 세제를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66005호에 개시되어 있는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장갑은 세제의 공급을 보다 간소하게 만드는 구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8693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660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능성 고무장갑에 마련되는 쑥 분말을 구비함으로써, 향균성 및 방향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기능성 고무장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세제 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간소하게 세제를 공급할 수 있게 만들어 사용자가 보다 간소하게 세척을 실시할 수 있게 만드는 고무장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에 있어서, 고무장갑, 상기 고무장갑 내피로 마련되고 쑥 분말을 포함하는 내피층 및 상기 고무장갑에 마련되는 세제 공급부로 구성되는 기능성 고무장갑.을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쑥 분말을 포함하기 때문에 방향 및 살균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보다 위생적으로 기능성 고무장갑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
그리고, 세제 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기능성 고무장갑에서 바로 세제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을 실시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을 다른 각도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을 다른 각도로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10)을 다른 각도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2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2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10)은 쑥 분말을 포함하는 내피층(20) 및 세제 공급부(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내피층(20)은 고무장갑(10) 내피로 마련되고 쑥 분말을 포함한다. 고무장갑(10)은 일반적으로 라텍스로 제조된다. 즉 고무장갑(10) 외피는 라텍스로 이루어진다. 쑥 분말을 포함하는 내피층(20)은 순면 분말 및 쑥 분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피층(20)은 충분히 조밀하게 적층되도록 마련된다. 이는 라텍스가 사용자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만들어 방향성과 향균성을 높일 수 있다. 쑥의 효능은 다양한 질병 치료의 약재에 사용되고, 방향성, 향균 및 향종양에 대하여 활성을 갖는 물질로 이러한 쑥 분말을 고무장갑(10)에 첨가함으로써, 고무장갑(10)을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쑥 분말은 보호제 라노린을 더 포함하고, 쑥 분말의 함량은 전체 내피층(20)의 무게를 기준으로 40 내지 80 %로 구비된다. 이러한 함량을 벗어나는 경우 순면 분말의 함량이 너무 낮아져, 순면이 가지는 땀 흡수성의 효과가 떨어져 착용감을 저해하기 때문에 상기 함량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제 공급부(30)는 고무장갑(10)에 마련된다. 세제 공급부(30)는 고무장갑(10)에 마련되어 고무장갑(10) 사용 시 보다 간소하게 세제를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제 공급부(30)는 스위치(310), 저장부(320), 공급관(330) 및 제공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위치(310)는 고무장갑(10)에 마련된다. 스위치(310)는 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세제를 외부로 공급하여 세제를 이용하여 세척을 실시할 수 있게 만든다. 스위치(310)는 버튼 방식으로 마련되고, 펌프의 원리를 이용한다. 즉 스위치(310)는 세제 저장부(320)와 외부의 압력차로 인하여 세제 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세제가 공급관(330)을 통하여 제공부(340)에 공급되고 제공부(340)는 세제를 제공하여 보다 간소하게 세척을 진행할 수 있게 만든다. 저장부(320)는 스위치(310)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저장부(320)는 내부에 세제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스위치(310)에 의하여 저장부(320) 내부에 저장된 세제를 세제 공급부(330)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저장부(320)는 교환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급관(330)은 세제 저장부(320)와 연결된다. 공급관(330)은 세제 저장부(320)에 저장된 세제를 후술할 제공부(340)로 전달하기 위한 관으로서, 저장부(320)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하여 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세제를 공급관(330)을 통하여 제공부(340)로 전달한다. 제공부(340)는 세제 공급관(330)과 연결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제공부(340)는 손바닥 방향으로 마련되어 세제를 간소하게 손바닥 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스위치(310)는 고무장갑(10) 손등에 마련된다. 이는 사용자가 세제 공급부(30)를 보다 간소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무장갑(10) 손등에 마련하여 세제 공급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 고무장갑, 20 : 내피층,
30 : 세제 공급부,
310 : 스위치, 320 : 저장부,
330 : 공급관, 340 : 제공부.

Claims (4)

  1. 고무장갑(10);
    상기 고무장갑(10) 내피로 마련되고 쑥 분말을 포함하는 내피층(20) 및
    상기 고무장갑(10)에 마련되는 세제 공급부(30)로 구성되는 기능성 고무장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공급부(30)는
    상기 고무장갑(10)에 마련되는 스위치(310);
    상기 스위치(310)와 연결되는 세제 저장부(320);
    상기 세제 저장부(320)와 연결되는 세제 공급관(330) 및
    상기 세제 공급관(330)과 연결되는 세제 제공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고무장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10)는 상기 고무장갑(10) 손등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고무장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층(20)은 보호제 라노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쑥 분말의 함량은 전체 내피층의 무게를 기준으로 40 내지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고무장갑.
KR1020150050004A 2015-04-09 2015-04-09 기능성 고무장갑 KR201601208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004A KR20160120884A (ko) 2015-04-09 2015-04-09 기능성 고무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004A KR20160120884A (ko) 2015-04-09 2015-04-09 기능성 고무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884A true KR20160120884A (ko) 2016-10-19

Family

ID=57250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004A KR20160120884A (ko) 2015-04-09 2015-04-09 기능성 고무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088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936B1 (ko) 1996-10-23 1999-05-01 김용호 향균 및 미용효과가 우수한 고무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66005A (ko) 2008-12-09 2010-06-1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 장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936B1 (ko) 1996-10-23 1999-05-01 김용호 향균 및 미용효과가 우수한 고무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66005A (ko) 2008-12-09 2010-06-1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 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4686B2 (ja) 抗菌エラストマーフレキシブル物品と製造方法
WO2007129270A3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t least one peptide with at least one immobilized aromatic cycle
MXPA06000318A (es) Pano limpiador y metodos para mejorar la salud de la piel.
WO2009105740A3 (e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lotion composition comprising a cooling agent
ITRE20110043A1 (it) Agente sanitario ricoperto con pellicola
WO2009080239A3 (de) Medizinischer artikel mit antimikrobieller ausrüstung
USD628358S1 (en) Pair of gloves
KR20160120884A (ko) 기능성 고무장갑
USD631637S1 (en) Pair of gloves
KR101002389B1 (ko) 항균 신발 깔창
CN106255432A (zh) 清洁用护套
USD915018S1 (en) Cleaning mop
KR101675564B1 (ko) 손 소독용 패치
KR200293568Y1 (ko) 피부질환 환자용 의료보조기구
USD632869S1 (en) Pair of gloves
USD628357S1 (en) Pair of gloves
CN204106223U (zh) 一种医用橡胶手套
CN201743597U (zh) 一种洁阴湿巾
USD627947S1 (en) Pair of gloves
CN210695987U (zh) 鞋子内部杀菌用袜子
CN204335990U (zh) 一种抗菌保健鞋垫
KR200361273Y1 (ko) 고무장갑
JP2008100027A (ja) パフ
CN2563965Y (zh) 沐足鞋
KR200193808Y1 (ko) 주방용 고무장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