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689A - Smart fashion bag and smart alarm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mart fashion bag and smart alarm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689A
KR20160120689A KR1020160116583A KR20160116583A KR20160120689A KR 20160120689 A KR20160120689 A KR 20160120689A KR 1020160116583 A KR1020160116583 A KR 1020160116583A KR 20160116583 A KR20160116583 A KR 20160116583A KR 20160120689 A KR20160120689 A KR 20160120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output
identification code
bag
fa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5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크리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크리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크리티브
Priority to KR1020160116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0689A/en
Publication of KR20160120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68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ashion bag and a smart alarm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desired by a user can be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ransparent vinyl of a fashion pocket of the bag. The smart fashion ba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g body in which an accommodating space is provided so that various articles can be stored and carried around; and the transparent vinyl-based fashion pocket provided in a first region on an outside surface of the bag body. A user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fashion pocket and preset image data is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스마트 패션 가방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알림 시스템{SMART FASHION BAG AND SMART ALARM SYSTEM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ashion bag,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방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다양하게 출력할 수 있는 스마트 패션 가방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ashion bag capable of outputting various images desired by a bag user and a smart notification system using the smart fashion bag.

일반적으로 각종 물품을 보관 및 휴대하기 위해서는 가방을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bags are used to store and carry various items.

이러한 가방의 가장 기본적인 목적은 여러 가지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방의 몸체에는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가방에 구비된 수납공간은 몸체의 내부를 한 개의 공간으로 형성하거나 보관되는 물품을 구분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다수 개로 분할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방은 물품을 보관하는 기능 이외에 외표면에 인쇄 또는 형성된 디자인 등이 해당 가방제품에만 고정되어 사용자가 쉽게 흥미를 잃어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most basic purpose of such a bag is to store various articles, and a storage space is provided in the body of the bag. The storage space of the conventional bag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nternal spaces so that the inside of the body can be formed as one space or the articles to be stored can be distinguished. However, such a conventional bag has a problem in that,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storing the article, the printed or formed design on the outer surface is fixed only to the bag product so that the user easily loses interest.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9049호 '신체 후방 감시 시스템'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029049 entitled "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8037호 '착탈식 보조 주머니가 구비된 가방'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5-0108037 " Bag having a detachable auxiliary bag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가방에 형성된 패션 주머니의 투명 비닐을 통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스마트 패션 가방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fashion bag that can output an image desired by a user to the outside through a transparent plastic bag of a fashion bag formed in a bag and a smart notification system using the smart fashion ba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이미지 데이터가 인쇄되어 있고, 일 영역에 개구가 구비된 출력물의 식별코드를 감지하는 식별 코드 감지 단계; 감지된 상기 출력물의 식별코드로부터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개구에 대한 출력물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 단계; 상기 출력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물의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될 수 있는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dentification cod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n identification code of an output in which first image data is printed and an opening is provided in one area; An information extracting step of extracting the first image data and output information on the aperture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output; An image output step of generating and outputting seco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data when the output image is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output based on the output information; Is provid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 데이터는 동영상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image data may be moving image data.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이미지 데이터가 인쇄되어 있고, 일 영역에 개구가 구비된 출력물의 식별코드를 감지하는 식별 코드 감지부; 감지된 상기 출력물의 식별코드로부터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개구에 대한 출력물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상기 출력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물의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될 수 있는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출력부; 를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n identification cod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n identification code of an output in which first image data is printed and an opening is provided in one area; A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first image data and the output information for the aperture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output; An image output unit configured to generate seco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data when the second image data is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output based on the output information; An image output system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 사용자 단말이 수납될 수 있는 제1 수납 공간; 및 출력물이 수납될 수 있는 제2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가방으로서, 상기 제2 수납 공간은 외부와 맞닿은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과 반대 방향에 상기 몸체와 일부 맞닿은 제2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수납 공간의 상기 제1 측면의 제2 영역은 투명 물질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상기 제2 수납 공간의 내부를 투시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수납 공간은 상기 제2 수납 공간의 상기 제2 측면의 일부 영역과 맞닿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수납 공간과 상기 제2 수납 공간이 맞닿은 면의 제1 영역은 투명 물질로 어루어지는, 가방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user terminal can be housed; And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the output can be housed, where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has a first side abutting the outside and a second side abutting part of the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ide, ,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side 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from the outside, And a first region of the surface where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션 가방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알림 시스템은 가방에 형성된 패션 주머니에 사용자 단말을 삽입하고, 가방 외표면의 이미지와 동일 또는 유사한 패션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출력하며, 가방에 형성된 패션 주머니의 투명 비닐을 통하여 외부로 출력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자신만의 가방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고, 타인의 시선을 사로잡을 수 있는 독특한 패션 가방을 연출할 수 있다.A smart fashion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mart notification system using the smart fashion bag are configured to insert a user terminal into a fashion bag formed in a bag and output fashion image data tha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an image of the exterior surface of the bag through a user terminal, Since the transparent vinyl of the fashion bag formed in the bag is output to the outside, a consumer can implement his own bag image and produce a unique fashion bag that can catch the attention of oth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션 가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션 가방을 이용한 스마트 알림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션 가방을 이용한 스마트 알림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사용자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mart fashion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notification system using a smart fashion ba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mart notification system using a smart fashion ba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of FIG.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more, the term "part" or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션 가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션 가방을 이용한 스마트 알림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션 가방을 이용한 스마트 알림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사용자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smart fashion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mart notification system using a smart fashion ba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션 가방(10)은 가방 몸체(12), 패션 주머니(13), 제1 식별 코드(도 3의 130) 및 제2 식별 코드(도 3의 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smart fashion bag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g body 12, a fashion bag 13, a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and a second identification code 3, < / RTI > 1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션 가방(10)은 가방 몸체(12)의 내부에 각종 물품을 보관 및 휴대 할 수 있도록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가방 몸체(12)는 상측에 팔이나 어깨에 걸칠 수 있도록 손잡이(11)가 구비된 여성용 백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배낭용 가방 또는 여행용 가방 등 어떠한 형태의 가방 몸체(12)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The smart fashion bag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orage space for storing various items inside the bag body 12, and the bag body 12 has an upper arm and a shoulder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y type of bag body 12 such as a backpack or a travel bag.

상기 패션 주머니(13)는 가방 몸체(12)의 외측면의 제1 영역에 구비되고, 투명 비닐(13a)로 형성된다. 이러한 패션 주머니(13)는 가방 몸체(12)의 외측면 중 전면, 후면, 측면, 상면, 저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션 주머니(13)에는 사용자 단말(20)이 삽입되어 사용자 단말(20)을 통하여 미리 설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한다.The fashion bag 13 is provided in the first reg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g body 12 and is formed of transparent vinyl 13a. The fashion bag 13 is formed on one of the front, rear, sid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g body 12. The user terminal 20 is inserted into the fashion bag 13 and externally outputs predetermined image data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또한, 상기 가방 몸체(12)의 외측면의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에는 패션 이미지 데이터가 인쇄된 패션 용지(14)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방 몸체(12)의 외측면에는 패션 용지(14)가 삽입되도록 삽입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패션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되도록, 크기, 위치, 색상 또는 화소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In addition, a fashion paper 14 on which fashion image data is printed may be inserted into a second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g body 12 except for a first area. To this end, an insertion space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g body 12 so that the fashion paper 14 is inserted. The size, position, color, or pixel information of the image data corresponds to the fashion image data.

한편, 상기 패션 용지에는 NFC 코드, QR 코드 또는 바코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3 식별 코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구비된 태깅 장치가 제3 식별 코드를 인식한 후, 사용자 단말(20)에 미리 설치된 패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켜 패션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패션 용지에 특정 연예인이나 가수 등의 이미지 정보와 이를 포함하는 제3 식별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20)이 제3 식별 코드를 인식하면 사용자 단말(20)을 통하여 해당 연예인이나 가수의 동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fashion paper may include a third identification code (not shown) including any one of an NFC code, a QR code, and a bar code. Accordingly, after the tagging device of the user terminal 20 recognizes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the fashion application previously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 is automatically executed to output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fashion image data have. For example, if the fashion paper includes image information of a specific entertainer or a singer and a third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the image information, if the user terminal 20 recognizes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The video information of the entertainer or the singer can be outputted.

상기 제1 식별 코드(130)는 NFC 코드, QR 코드 또는 바코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식별 코드(130)는 고유 식별 번호, 패션 가방 데이터 또는 연락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includes any one of an NFC code, a QR code, and a bar code.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fashion bag data, or contact data.

또한, 상기 제1 식별 코드(130)는 에폭시 수지, PVC 수지(PolyVinyl Chloride), 인조 가죽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바디(미도시)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에폭시 수지는, 나프탈렌 변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블락 에폭시 수지, 고무 변성형 에폭시 수지 및 인계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 에폭시 수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 에폭시 베이스드 수지(epoxy based resin), SiO2, SiO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PVC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터, 폴리에터, 우레탄 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초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조 가죽은 초극세 섬유를 이용한 샤무드 인공피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α-올레핀 삼원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α-올레핀 삼원 랜덤 공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적절한 정도의 내열성을 부여하고,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와의 적절한 광학적, 열역학적 상용성을 가져 투명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may be inserted into a body (not shown) made of at least one of epoxy resin, PVC resin (polyvinyl chloride), artificial leather or polypropylene resin. Here, the epoxy resi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naphthalene modified epoxy resin, a cresol novolak epoxy resin, a rubber modified epoxy resin, a composite epoxy resin including a phosphorus epoxy resin, a poly (meth) acrylate epoxy base resin epoxy based resin, SiO2, and an epoxy resin including SiO. Further, the PVC may be made of at least one of polyvinyl chloride, polyester, polyether, urethane resin, low density polyethylene, ultra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In addition, the artificial leather may be made of chamois artificial leather using ultrafine fibers. Also, the polypropylene resin includes a polypropylene random block copolymer, and the polypropylene random block copolymer is an ethylene-propylene random copolymer or an ethylene-propylene-alpha-olefin ternary random copolymer and an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 The ethylene-propylene random copolymer or the ethylene-propylene-? -Olefin ternary random copolymer is required to maintain the mechanical rigidity of th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to impart an appropriate degree of heat resistance and to provide an appropriate optical, It has thermodynamic compatibility and maintains transparency.

또한, 상기 바디는, 제1 식별 코드(13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거나 제1 식별 코드(130)를 코팅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식별 코드(130)는 사용자 단말(20)에 구비된 태깅 장치(즉, 모듈 감지부(210))에 의하여 인식된 후, 사용자 단말(20)에 미리 설치된 패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켜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body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or may be coated with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is recognized by a tagging device (i.e., the module sensing unit 210)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20, Data can be output.

상기 제2 식별 코드(140)는 NFC 코드, QR 코드 또는 바코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가방 몸체(12)의 외측면의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2 식별 코드(140)는 사용자 단말(20)에 구비된 태깅 장치에 의하여 인식된 후, 사용자 단말(20)에 미리 설치된 패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켜 패션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140 includes any one of an NFC code, a QR code, and a bar code, and is provided in a second reg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g body 12 except for the first region.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140 may be recognized by a tagging devic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20, and then the fashion application previously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 may be automatically executed to output fashion image data.

상기 이미지 데이터 또는 패션 이미지 데이터는 사용자의 눈동자 또는 카메라의 렌즈의 움직임, 사용자의 감정 상태, 날씨 또는 계절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영상,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부가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data or the fashion image data may include at least any one of a moving image preset by a user's eyes or a movement of a camera lens, an emotion state of the user, weather or season information, or an additional image preset by the user.

예를 들면, 상기 제1 식별 코드(130) 또는 제2 식별 코드(140)에 사용자의 눈동자가 움직이는 감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20)이 제1 식별 코드(130) 또는 제2 식별 코드(140)를 인식하면 사용자 단말(20)을 통하여 마치 주변을 감시하는 것과 같은 눈동자 동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or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140 includes monitoring information on which the user's pupils move, the user terminal 20 may transmit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or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140 Upon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code 140, the pupil video information such as monitoring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can be output.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션 가방(10)을 이용한 스마트 알림 시스템은 스마트 패션 가방(10)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2 to 3, a smart notification system using a smart fashion bag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fashion bag 10 and a user terminal.

상기 스마트 패션 가방(10)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션 가방(10)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스마트 패션 가방(10)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mart fashion bag 10 is a smart fashion bag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smart fashion bag 10 is omitted in order to avoid redundancy .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제1 식별 코드(130)를 감지하는 태깅 장치(즉, 모듈 감지부(210))를 구비하여 패션 주머니(13)에 삽입되는 단말 장치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은 태깅 장치에 의하여 제1 식별 코드(130)를 감지하는 경우 미리 설치된 패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투명 비닐(13a)을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태깅 장치에 의하여 제1 식별 코드(130)가 감지되는 시간 정보 또는 제1 식별 코드(130)가 감지된 후 사용자의 터치 정보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의 출력을 결정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 is a terminal device inserted into the fashion bag 13 by having a tagging device for sensing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i.e., the module sensing unit 210). When the user terminal 20 detects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by the tagging device, the user terminal 20 automatically executes the pre-installed fashion application and outputs the image data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ansparent vinyl 13a. The user terminal 20 may determine the output of image data according to the touch information of the user after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is detected or the time information of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is detected by the tagging device have.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휴대형 단말로서 태깅 장치가 구비되고, 패션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가능하며, 이미지 및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PC(Tablet PC),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 may be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etc., which is equipped with a tagging device as a portable terminal,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 (W-CDM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s, and the like, for example.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감지부(210), 정보 입력부(220), 촬영부(230), 메모리부(240), 출력 결정부(250), 이벤트 판단부(260), 디스플레이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한다.4, the user terminal 20 includes a module sensing unit 210, an information input unit 220, a photographing unit 230, a memory unit 240, A display unit 250, an event determination unit 260, a display unit 270, and a control unit 280.

상기 모듈 감지부(210)는 제1 식별 코드(130) 또는 제2 식별 코드(140)를 감지하는 태깅 장치로서, NFC 통신을 통하여 제1 식별 코드(130) 또는 제2 식별 코드(140)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모듈 감지부(210)는 제1 식별 코드(130) 또는 제2 식별 코드(140)와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것 이외에도 근거리 무선 통신에서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모듈 감지부(210)는 NFC 통신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블루투스,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RFID, UWB, HOME RF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The module sensing unit 210 is a tagging device that senses a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or a second identification code 140 and transmits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or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140 through the NFC And detects the includ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module sensing unit 210 may be located within a communication range i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physically contacting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or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140. That is, the module sensing unit 210 may be implemented by NFC communication, but may also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RFID, UWB, and HOME RF.

상기 정보 입력부(220)는 이미지 데이터의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와 알림 메시지 출력을 위한 위험 조건 정보를 입력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정보 입력부(220)는 제1 식별 코드(130) 또는 제2 식별 코드(140)와 모듈 감지부(210)와의 접촉 또는 근접 시간에 관한 조건 정보나, 촬영부(230)에 의하여 촬영된 전방 영상에서의 위험 신호 노출에 관한 조건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정보 입력부(220)는 디스플레이부(270)를 통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 중 숫자, 알파벳, 한글 또는 특수문자 등이 선택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입력부(220)는 이외에도 사용자의 인증 정보와 기타 알림 메시지를 입력 및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information input unit 220 is a device for inputting condition information for outputting image data and risk condition information for outputting a notification message. That is, the information input unit 220 receives the condition information about the contact or proximity time between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or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140 and the module sensing unit 210, The user inputs the condition information about the exposure of the danger signal in the front image. The information input unit 220 can selectively input numbers, alphabets, Korean characters, special characters, or the like among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270. In addition, the information input unit 220 can input and s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other notification messages of the user.

상기 촬영부(230)는 투명 비닐(13a)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로서,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이때,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이벤트 판단부(260) 또는 제어부(280)로 전송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230 is a camera device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front of the transparent vinyl 13a and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a video communication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At this tim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transmitted to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60 or the control unit 280.

상기 메모리부(240)는 조건 정보, 위험 조건 정보, 패션 이미지 또는 촬영된 전방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240 stores the condition information, the danger condition information, the fashion image, or the forward image data. The memory unit 24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a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상기 출력 결정부(250)는 정보 입력부(220)에 의하여 입력된 조건 정보에 따른 패션 이미지의 출력 여부를 결정한다. 즉, 상기 출력 결정부(250)는 모듈 감지부(210)에 의하여 제1 식별 코드(130) 또는 제2 식별 코드(140)가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패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7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결정부(250)는 이벤트 판단부(260)에 의하여 패션 가방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영상 패턴이 기저장된 영상 패턴과 다를 경우 위험 신호로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알람 메시지(예를 들면, 동물의 형상이나 울음 소리 등)를 디스플레이부(27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The output determining unit 25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ashion image is output according to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information input unit 220. That is, when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or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140 is continuously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module sensing unit 210, the output determining unit 250 may determine that the fashion So that the image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270. If the image pattern of the user approaching the fashion bag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stored image pattern by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60, the output determining unit 250 determines that the alarm signal is a dangerous signal, Or the like)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270. [0100] FIG.

상기 이벤트 판단부(260)는 촬영부(230)에 의하여 촬영된 전방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이벤트 판단부(260)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저장된 사용자의 얼굴 정보 또는 신체 정보와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얼굴 정보 또는 신체 정보가 동일한 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패턴 정보 비교를 통한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 알고리즘은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하기로 한다.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60 determines whether a dangerous event has occurred using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30 in the forward direction. That is,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60 analyzes the image data and determines whether the face information or the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is identical to the face information or the bod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data. The algorithm for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through comparison of the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known techniqu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상기 디스플레이부(270)는 출력 결정부(250)에 의하여 출력 결정된 패션 이미지와 이벤트 판단부(260)에 의하여 판단된 위험 이벤트 발생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각각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70)는 터치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70 is a device for outputting a preset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fashion image determined by the output determination unit 250 and the occurrence of a dangerous event determined by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60,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and an electronic ink display (e-ink display). The display unit 270 may include touch sensing means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by a touch method.

상기 제어부(280)는 사용자 단말(20)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모듈 감지부(210)에 의하여 제1 식별 코드(130) 또는 제2 식별 코드(140)를 감지하는 경우 미리 설치된 패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투명 비닐을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모듈 감지부(210)에 의하여 제1 식별 코드(130)가 감지되는 시간 정보 또는 제1 식별 코드(130)가 감지된 후 사용자의 터치 정보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의 출력을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80 controls operation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user terminal 20 and detects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or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140 by the module sensing unit 210 ,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execute the pre-installed fashion application and control the image data to be output to the outside via the transparent vinyl. The user terminal 20 may detect the time when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is detected by the module sensing unit 210 or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after the detection of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130, And to control the output to be determin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션 가방(10)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알림 시스템은 가방에 형성된 패션 주머니(13)에 사용자 단말을 삽입하고, 가방 외표면의 이미지와 동일 또는 유사한 패션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출력하며, 가방에 형성된 패션 주머니(13)의 투명 비닐(13a)을 통하여 외부로 출력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자신만의 가방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고, 타인의 시선을 사로잡을 수 있는 독특한 패션 가방을 연출할 수 있다.The smart fashion bag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smart notification system using the smart fashion bag 10 can be manufactured by inserting a user terminal into a fashion bag 13 formed in a bag, Since the image data is out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ansparent vinyl 13a of the fashion bag 13 formed in the bag, the consumer can implement his / her own bag image, You can produce a unique fashion bag that you can catch.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패션 가방(10)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알림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 스마트 패션 가방 11: 손잡이
12: 가방 몸체 13: 패션 주머니
13a: 투명 비닐 14: 패션 용지
20: 사용자 단말 130: 제1 식별 코드
140: 제2 식별 코드 210: 모듈 감지부
220: 정보 입력부 230: 촬영부
240: 메모리부 250: 출력 결정부
260: 이벤트 판단부 270: 디스플레이부
280: 제어부
10: smart fashion bag 11: handle
12: Bag body 13: Fashion bag
13a: Transparent vinyl 14: Fashion paper
20: user terminal 130: first identification code
140: second identification code 210: module detection unit
220: Information input unit 230:
240: memory unit 250: output determination unit
260: Event determination unit 270:
280:

Claims (6)

제1 이미지 데이터가 인쇄되어 있고, 일 영역에 개구가 구비된 출력물의 식별코드를 감지하는 식별 코드 감지 단계;
감지된 상기 출력물의 식별코드로부터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개구에 대한 출력물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 단계;
상기 출력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물의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될 수 있는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방법.
An identification cod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n identification code of an output in which first image data is printed and an opening is provided in one area;
An information extracting step of extracting the first image data and output information on the aperture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output;
An image output step of generating and outputting seco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data when the output image is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output based on the output information;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 데이터는 동영상 이미지 데이터인, 이미지 출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image data is moving image data.
제1 이미지 데이터가 인쇄되어 있고, 일 영역에 개구가 구비된 출력물의 식별코드를 감지하는 식별 코드 감지부;
감지된 상기 출력물의 식별코드로부터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개구에 대한 출력물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상기 출력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물의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될 수 있는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출력부;
를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시스템.
An identification cod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 identification code of an output in which first image data is printed and an opening is provided in one area;
A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first image data and the output information for the aperture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output;
An image output unit that generates second image data that can be associated with the first image data when the second image data is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output based on the output information;
/ RTI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 데이터는 동영상 이미지 데이터인, 이미지 출력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second image data is moving image data.
몸체;
사용자 단말이 수납될 수 있는 제1 수납 공간; 및
출력물이 수납될 수 있는 제2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가방으로서,
상기 제2 수납 공간은 외부와 맞닿은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과 반대 방향에 상기 몸체와 일부 맞닿은 제2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수납 공간의 상기 제1 측면의 제2 영역은 투명 물질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상기 제2 수납 공간의 내부를 투시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수납 공간은 상기 제2 수납 공간의 상기 제2 측면의 일부 영역과 맞닿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수납 공간과 상기 제2 수납 공간이 맞닿은 면의 제1 영역은 투명 물질로 어루어지는, 가방.
Body;
A first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user terminal can be housed; And
A bag comprising a second storage space in which output can be stored,
Where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has a first side abutted against the outside and a second side abutting part of the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ide,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side 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from outside,
Where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to abut a partial area of the second side 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and the first area of the surface where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are abutted with the transparent material, ba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이미지 데이터가 인쇄되어 있고, 일 영역에 개구가 구비된 상기 출력물의 식별코드를 감지하는 식별 코드 감지부;
감지된 상기 출력물의 식별코드로부터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개구에 대한 출력물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상기 출력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물의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될 수 있는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출력부;
를 포함하는, 가방.
6. The method of claim 5,
The user terminal comprising a processor,
The processor comprising:
An identification cod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 identification code of the print having the first image data printed thereon and having an opening in one area;
A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first image data and the output information for the aperture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output;
An image output unit configured to generate seco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data when the second image data is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output based on the output information;
.
KR1020160116583A 2016-09-09 2016-09-09 Smart fashion bag and smart alarm system using the same KR201601206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583A KR20160120689A (en) 2016-09-09 2016-09-09 Smart fashion bag and smart alarm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583A KR20160120689A (en) 2016-09-09 2016-09-09 Smart fashion bag and smart alarm system us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643A Division KR101659876B1 (en) 2015-04-08 2015-04-08 Smart alarm system using smart fashion ba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689A true KR20160120689A (en) 2016-10-18

Family

ID=57244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583A KR20160120689A (en) 2016-09-09 2016-09-09 Smart fashion bag and smart alarm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0689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037A (en) 2004-05-11 2005-11-16 김영호 Separation/combination type addition pocket have bag
KR20150029049A (en) 2013-09-08 2015-03-18 김경중 Watch system of body re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037A (en) 2004-05-11 2005-11-16 김영호 Separation/combination type addition pocket have bag
KR20150029049A (en) 2013-09-08 2015-03-18 김경중 Watch system of body re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150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for establish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link
US10438409B2 (en) Augmented reality asset locator
CN106168875B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06891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US9760165B2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input operation receiving method for switching input methods
EP3062495A1 (en) Visibility enhance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8994513B2 (en) Adaptive multi-sensor handheld computing device
KR20150029453A (en)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wearable device
CN105447462A (en) Facial pose estimation method and device
US9990784B2 (en) Dynamic identification badge
CN111886570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wearable device
KR102391189B1 (en) Wearable NFC devices for secure data interaction
KR102121527B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transparency of display being used for packaging product
KR101659876B1 (en) Smart alarm system using smart fashion bag
KR20160023208A (en) Mirror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7158698B2 (en) Reading system and camera
KR20160120689A (en) Smart fashion bag and smart alarm system using the same
KR20130088610A (en)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ntents output system
WO202002686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8046465A (en) Smart notification system using smart fashion bag
KR101843888B1 (en) Method for mate guarding personal possessions
KR10234406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9582262B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2538492B1 (en) An electric device and method for electric device
JP2006350771A (en) Object detection device and object det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