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550A -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 - Google Patents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550A
KR20160120550A KR1020150049765A KR20150049765A KR20160120550A KR 20160120550 A KR20160120550 A KR 20160120550A KR 1020150049765 A KR1020150049765 A KR 1020150049765A KR 20150049765 A KR20150049765 A KR 20150049765A KR 20160120550 A KR20160120550 A KR 20160120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t air
window frame
drain hole
hea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4968B1 (ko
Inventor
구자건
임사진
서정운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50049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968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에서는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 가공시 영하의 낮은 온도로 인해 창호 프레임의 깨짐 현상이 종종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개공기에 열풍장치를 장착하고, 이 열풍장치를 통해 창틀의 개공부 온도를 먼저 높이고 이어서 개공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에 있어서, 개공기의 일측면에 장착 설치되는 열풍케이스와, 열풍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에 의해 가열되는 열원수단과, 열풍케이스의 내부로 이어지도록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유입관과, 에어유입관과 이격되어 열풍케이스의 외측으로 설치되며 열풍케이스의 내부를 통과하여 데워진 에어가 배출되는 에어배출관과, 열원수단의 온도 및 시간, 에어의 공급유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HOLE MACHINE FOR DRAIN HOLE OF WINDOW FRAME}
본 발명은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 개공시 영하의 낮은 온도에서는 프레임의 깨짐 현상이 종종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열풍장치가 장착된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말하는데, 이때 창 또는 문들이 지지되는 창호 프레임은 사용 재료에 따라 목재 창호 프레임과 금속재 창호프레임으로 분류되나, 최근에는 플라스틱에 의한 문이나 창틀 등도 만들어지고 있으며, 더욱이 피브이시(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써 창호 프레임이 제작되기도 한다.
이러한 창호 프레임에는 가공 공정 중 빗물이 창호에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배수홀을 형성하는 공정이 있다.
배수홀 가공 공정에 있어서 합성수지 창호의 경우 프레임 개공 방법으로는 앤드밀을 고속 회전시켜서 배수홀을 생성시키는 방법과, 프레스 개공기를 이용하여 창호 프레임의 해당 부분에 프레스 암/수 칼날을 통해 개공 부분을 앞뒤로 찝어서 개공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앤드밀 가공의 경우, 미서기 안쪽 레일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외부레일 및 내부레일까지 홀을 내어야 하는데, 이때 외부 가공된 홀로 바람이 유입되어 창호 기밀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어 근래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 공법이 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프레스 개공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프레스 개공기의 경우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 가공시 일부 깨지는 문제가 있고, 특히 겨울철과 같이 영하 2℃ 이하인 경우 합성수지가 유리화 되는 성질로 인해 프레스로 찝을 시 프레임이 깨지는 일이 종종 발생되어 프레임 전체를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0110호(2003.04.08) "창틀의 레일 관통용 개공기"가 있으며,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39323호(2005.04.29)에서는 "휴대용 창틀 배수구 개공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 가공시 영하의 낮은 온도로 인해 창호 프레임의 깨짐 현상이 종종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개공기에 열풍장치를 장착하고, 이 열풍장치를 통해 창틀의 배수홀부 온도를 먼저 높이고 이어서 개공 작업이 이루어지게 한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낮은 온도에 의한 창호 프레임의 깨짐이 방지되어 깨짐에 의한 재가공의 작업 시간이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프레임 불량이 대폭 예방되어 가공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는, 개공기의 일측면에 장착 설치되는 열풍케이스와, 열풍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에 의해 가열되는 열원수단과, 열풍케이스의 내부로 이어지도록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유입관과, 에어유입관과 이격되어 열풍케이스의 외측으로 설치되며 열풍케이스의 내부를 통과하여 데워진 에어가 배출되는 에어배출관과, 열원수단의 온도 및 시간, 에어의 공급유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열원수단은, 하나의 튜브 또는 다수개의 튜브 형태로 상기 열풍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열원수단에 연결 설치되어 열원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열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온도측정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열풍케이스의 내부로는 열원수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열디스펜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덧붙여 열디스펜서는 철사뭉치일 수 있다.
그리고 에어배출관은 분배기를 통해 여러 갈래로 이어져서 개공기에서 창호 프레임에 밀착되도록 파지시키는 제1,2 지지대의 하측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파지된 창호 프레임에 열풍이 직접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에는 창호 프레임의 표면 가열 시간 조절을 위한 타이머와 솔레노이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에서는, 낮은 온도에 의한 창호 프레임의 깨짐이 방지되어 깨짐에 의한 재가공의 작업 시간이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프레임 불량이 대폭 예방되어 가공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공기에 장착된 열풍장치를 통해 온도가 올라간 개공부는 개공시 보다 매끈하게 개공되어 불필요한 후속작업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창호 프레임(10)에 배수홀을 개공하기 위한 개공기(100)를 도 1을 참고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부에 손잡이(112)가 포함된 본체(110)가 설치되고, 본체(110)의 일측으로는 공압실린더(120)가 설치되며, 공압실린더(120)와 연결되는 본체(110)의 내부에 미도시된 샤프트와 유압실린더 등이 설치되고, 이들에 의하여 전, 후진 작동되는 제1,2 지지대(130)(140)가 본체(110)의 하측으로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2 지지대(130)(140)의 하측에는 창호 프레임(10)에 배수홀을 형성시킬 수 있는 암칼날(132)이 제 1 지지대(130)에 설치되고, 암칼날(132)과 대향하여 제 2 지지대(140)에 숫칼날(142)이 설치될 수 있다. 이들 암칼날(132)과 숫칼날(142)은 본체(110)에 설치된 실린더 등에 의하여 전, 후진 작동되어 배수홀을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개공기(100)의 형태는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으로 개공기(10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열풍장치는, 영하 2℃ 이하로 온도가 떨어지면 창호 프레임(10)의 배수홀 가공시 쉽게 깨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크게, 개공기(100)의 일측면에 장착 설치되는 열풍케이스(200)와, 열풍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원수단(210)과, 열풍케이스(200)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유입관(240)과, 데워진 에어가 배출되는 에어배출관(250) 그리고 열원수단(210)을 제어하는 제어부(260)로 구성된다.
열원수단(210)은 전원에 의해 가열되는 것으로서, 발열선으로 튜블라 히터(tubular heater) 또는 카트리지 히터(cartridge heater), 포큐파인 히터(porcupine heater)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내경을 사용하는 관 형태보다는 외경을 사용하는 튜브 형태로 하여 하나 또는 다수개의 튜브가 열풍케이스(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열원수단(210)에는 표면 온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온도측정기(220)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온도측정기(220)는 써미스터 온도계 종류 일 수 있고, 열원수단(210)에 이탈되지 않도록 벤딩 등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측정기(220)는 열원수단(21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260)에 신호를 전달하거나 외부에서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열원수단(210)을 포함하는 열풍케이스(200)의 내부에는 열원수단(21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밀폐된 공간에서 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열디스펜서(2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열디스펜서(230)로는 열전도가 우수한 코일 또는 판상이 여러 개 배열되는 형태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손쉽게 구하고 설치가 용이한 철사뭉치일 수 있다.
철사뭉치는 바람직하게 열원수단(210)을 포함하여 열풍케이스(200)의 내부에 가득히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에어유입관(240)은 일단이 외부의 컴프레셔(미도시)에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받게 되며, 타단은 열풍케이스(200)의 내부로 이어지도록 설치되어 에어가 열풍케이스(200)의 내부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에어유입관(240)으로부터 유입된 에어가 열풍케이스(200)의 내부를 거치면서 데워져서 배출되도록 열풍케이스(200)의 외측으로 에어배출관(250)이 연결 설치되며, 이 에어배출관(250)은 열풍케이스(200)에 설치되는 분배기(252)를 통하여 적어도 두 갈래로 이어져서 개공기(100)의 제1,2 지지대(130)(140)의 하측에 각각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에어배출관(250)의 하나는 제 1 지지대(130)의 암칼날(132)에 근접하여 연결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에어배출관(250)은 제 2 지지대(140)의 숫칼날(142)에 근접 설치됨으로 하여 배출되는 열풍으로 배수홀이 형성될 부분을 양측에서 직접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60)는 개공기(100)의 본체(110) 일부분에 설치되거나 별도 설치될 수 있으며, 열원수단(210)의 온도 및 시간, 에어의 공급유무를 제어할 수 있고, 더욱이 창호 프레임(10)의 표면 가열 시간 조절을 위한 타이머(262)와 솔레노이드(26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작용의 설명은 다시 도시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따르면, 개공기(100)의 제 1 지지대(130)와 제 2 지지대(140)를 배수홀이 형성될 부분의 창호 프레임(10)을 파지하게 된다.
파지된 상태에서 창호 프레임(10)을 가열하기 위하여 제어부(260)에서 전원 온 신호를 보내 열풍케이스(200) 내의 열원수단(210)을 발열시키게 된다. 이때 발열되는 열원수단(210)의 표면 온도는 온도측정기(220)를 통해 측정된 온도를 수시로 전달하게 된다.
기설정 온도까지 열원수단(210)이 발열되면, 밀폐된 공간에서 열전달이 우수한 철사뭉치의 열디스펜서(230)로 빠르게 열전달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컴프레서(미도시)를 통해 공급된 에어는 에어유입관(240)을 따라 열풍케이스(2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열디스펜서(230)에 접촉되어 데워지게 된다.
그리고 데워진 에어는 분배기(252)와 에어배출관(2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제 1 지지대(130)의 암칼날(132) 근접 위치에서 데워진 에어를 토출하여 배수홀 부분을 가열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마주하는 제 2 지지대(140)의 숫칼날(142) 근처에서도 에어가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60)에서는 열원수단(210)의 온도 제어는 물론, 창호 프레임(10)의 표면 가열 시간과 에어 공급 유무를 타이머(262)와 솔레노이드(264)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타이머(262)는 대략 토출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토출온도가 60℃ 정도이면, 3~10초 정도로 맞춰져 있으며,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260)를 통해 에어의 공급은 물론 열원수단(210)의 전원도 차단된다.
상기와 같이 일정 온도로 창호 프레임(10)의 배수홀 부분이 가열되면, 본체(110) 내부의 실린더 등이 작동되어 제 1, 2 지지대(130)(140)의 암칼날(132)과 숫칼날(142)을 작동시켜서 설정 크기의 배수홀을 형성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작용에 따라 영하의 온도에서 함성수지 형재의 창호 프레임에 배수홀을 개공하게 되면, 깨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어 이를 방지하고자 개공기의 일측면에 열풍케이스로 구성되는 열풍장치를 장착 설치함으로써, 열풍이 창호 프레임의 표면을 일정 시간 가열 후 개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개공기 110 : 본체
112 : 손잡이 120 : 공압실린더
130 : 제 1 지지대 132 : 암칼날
140 : 제 2 지지대 142 : 숫칼날
200 : 열풍케이스 210 : 열원수단
220 : 온도측정기 230 : 열디스펜서
240 : 에어유입관 250 : 에어배출관
252 : 분배기 260 : 제어부
262 : 타이머 264 : 솔레노이드

Claims (7)

  1.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에 있어서,
    상기 개공기(100)의 일측면에 장착 설치되는 열풍케이스(200)와,
    상기 열풍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에 의해 가열되는 열원수단(210)과,
    상기 열풍케이스(200)의 내부로 이어지도록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유입관(240)과,
    상기 에어유입관(240)과 이격되어 상기 열풍케이스(200)의 외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열풍케이스(200)의 내부를 통과하여 데워진 에어가 배출되는 에어배출관(250)과,
    상기 열원수단(210)의 온도 및 시간, 에어의 공급유무를 제어하는 제어부(2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수단(210)은,
    하나의 튜브 또는 다수개의 튜브 형태로 상기 열풍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수단(21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열원수단(21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26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온도측정기(2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케이스(200)의 내부로는 상기 열원수단(21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열디스펜서(23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디스펜서(230)는 철사뭉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배출관(250)은 분배기(252)를 통해 여러 갈래로 이어져서 상기 개공기(100)에서 상기 창호 프레임에 밀착되도록 파지시키는 제1,2 지지대(130)(140)의 하측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파지된 상기 창호 프레임에 열풍이 직접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60)에는 상기 창호 프레임의 표면 가열 시간 조절을 위한 타이머(262)와 솔레노이드(264)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
KR1020150049765A 2015-04-08 2015-04-08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 KR102024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765A KR102024968B1 (ko) 2015-04-08 2015-04-08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765A KR102024968B1 (ko) 2015-04-08 2015-04-08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550A true KR20160120550A (ko) 2016-10-18
KR102024968B1 KR102024968B1 (ko) 2019-09-24

Family

ID=57244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765A KR102024968B1 (ko) 2015-04-08 2015-04-08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9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067A (ko) * 2017-02-20 2018-08-29 (주)엘지하우시스 창틀 배수홀 개공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2698A (ja) * 1991-11-08 1994-07-05 Shigekiyo Tsuge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発泡体板の穴明方法
KR200418777Y1 (ko) * 2006-04-05 2006-06-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틀 배수공 형성용 커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2698A (ja) * 1991-11-08 1994-07-05 Shigekiyo Tsuge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発泡体板の穴明方法
KR200418777Y1 (ko) * 2006-04-05 2006-06-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틀 배수공 형성용 커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067A (ko) * 2017-02-20 2018-08-29 (주)엘지하우시스 창틀 배수홀 개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968B1 (ko)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90048B (zh) 玻璃钢化用加热炉的加热方法
CN205443403U (zh) 一种圆柱齿条快速退火箱
CN104807309A (zh) 一种建筑用竖立螺旋式烘干机
KR20160120550A (ko) 창호 프레임의 배수홀용 개공기
CN102179916B (zh) 管材挤出模具芯部高效冷却装置
CN208187102U (zh) 一种隧道炉
WO2020244274A1 (zh) 一种汽车稳定杆防超温加热炉
CN210512472U (zh) 一种化学仪器用烘干装置
CN104494112A (zh) 一种挤出机的新型恒温控制结构
CN203754789U (zh) 一种半封闭管状铝型材热处理装置
CN207570215U (zh) 一种新型烘房
CN217563469U (zh) 一种内支撑式磁悬浮电机散热结构
CN201962190U (zh) 玻璃钢化用加热炉
CN106929646B (zh) 一种热处理用真空气体淬火炉的炉冷却气体系统
CN204869625U (zh) 一种尼龙软管定型清理装置
CN207858949U (zh) 一种热风切割机
CN202525011U (zh) 热风循环旋转式烘焙提香机
CN202440326U (zh) 一种钛白粉生产中的干燥冷却装置
CN211372971U (zh) 一种木材用的恒温烘干装置
CN204854249U (zh) 一种烘干线
CN220907555U (zh) 一种改进的铝型材时效炉
CN205270759U (zh) 模具加热组件
CN214926857U (zh) 一种注塑模具用温度控制装置
CN215481070U (zh) 一种基于模具热处理微变形工艺用二次预热系统
CN212948724U (zh) 一种风电叶片内腔加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