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023A -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및 충격방지 봉투가 부착된 상자 - Google Patents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및 충격방지 봉투가 부착된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023A
KR20160120023A KR1020150048973A KR20150048973A KR20160120023A KR 20160120023 A KR20160120023 A KR 20160120023A KR 1020150048973 A KR1020150048973 A KR 1020150048973A KR 20150048973 A KR20150048973 A KR 20150048973A KR 20160120023 A KR20160120023 A KR 20160120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ed
box
envelope
air inle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3975B1 (ko
Inventor
이진범
Original Assignee
이진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범 filed Critical 이진범
Priority to KR1020150048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975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31B19/7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 B65D81/0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filled with fluid, e.g. inflatab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자 내부에 부착되어 제품의 충격을 방지하는 충격방지 봉투로서, 일면이 상자 내부의 임의의 면에 부착되며, 공기의 주입에 의해 상자에 부착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팽창되는 비닐재질의 봉투; 및 상기 봉투와 일체로 형성되며, 봉투에 공기를 주입시키는 비닐재질의 공기주입구를 포함하되, 상기 봉투의 일면은 상자 내부의 임의의 면에 부착 가능한 접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포장하려는 물건의 성질에 맞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자 내부의 여섯 개의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비닐재질의 봉투를 부착시킨 후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킴으로써 보관 또는 운송하고자 하는 물건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및 충격방지 봉투가 부착된 상자{Impact prevention envelope which is attached to the inside box and box with the envelope}
본 발명은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및 충격방지 봉투가 부착된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자에 포장되어 운송되거나 보관되는 물건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및 충격방지 봉투가 부착된 상자에 관한 것이다.
상자 내에 물건을 포장하여 보관하거나 운송 시 종래에는 물건이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자 내에 충전재를 넣어서 물건을 포장해 왔다.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운송하는 물건이나 보관하는 물건의 크기에 따라 상자의 크기가 정해지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상자를 구비해야 하고, 상자의 내부를 충전재로 채워야 한다. 또한, 물건에 비해 상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는 충전재를 불필요하게 많이 채워 넣어야 하기 때문에 낭비가 발생하며, 충전재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스티로폼 등은 잘 썩지 않고 재활용에 문제가 있어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충전재로 물건을 포장하는 방식이 아닌, 효과이면서 물건을 더욱 안전하게 포장할 수 있는 방식이 필요하다.
한국등록실용 제20-0388006호(박스 포장시 내부 완충용 공기 튜브) 한국등록실용 제20-0435286호(이송용기용 장대 에어백)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자의 내부에 물건을 놓고 사방에 있는 에어쿠션(비닐재질의 봉투)에 공기를 주입하여 원하는 만큼 팽창시킴으로써, 에어쿠션(비닐재질의 봉투)이 물건에 알맞게 밀착하여 물건을 안전하게 보관 및 운송할 수 있는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및 충격방지 봉투가 부착된 상자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에어쿠션(비닐재질의 봉투)은 상자 내부의 각 면에 부착 가능하게 제작되어 상자 내부의 6개의 면 전부에 부착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일부의 면에만 부착이 가능한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및 충격방지 봉투가 부착된 상자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는 상자 내부면에 부착되어 제품의 충격을 방지하는 봉투로서, 일면이 상자 내부의 임의의 면에 부착되며, 공기의 주입에 의해 상자에 부착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팽창되는 비닐재질의 봉투; 및 상기 봉투와 일체로 형성되며, 봉투에 공기를 주입시키는 비닐재질의 공기주입구를 포함하되, 상기 봉투의 일면은 상자 내부의 임의의 면에 부착 가능한 접착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비닐재질의 봉투는 상자의 내부 6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닐재질의 봉투는 접착부재를 구비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접힌 상태로 상자 내부의 임의의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재는 제1보호시트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자 임의의 면에 부착시 제1보호시트가 제거된 후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구는 봉투의 일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구는 내측 일면에 너비가 공기주입구의 폭에 대응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된 양면테이프가 부착되고, 양면테이프에 부착된 제2보호시트를 떼어내면 양면테이프가 공기주입구의 내측 타면에 부착되어 공기주입구가 밀봉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상기 공기주입구 내측의 제2보호시트의 하단에 부착되고, 타단이 공기주입구의 상부로 노출되어 양면테이프에 부착된 제2보호시트를 떼어내는데 사용되는 당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구의 내측 일면에는 누르면 접착제가 터져 나와 공기주입구를 밀봉하는 접착볼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구는 붙어있는 비닐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상부 양측이 길이 방향으로 일정 부분 절개될 수 있다.
한편, 충격방지 봉투가 부착된 상자는 상기의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 방지 봉투가 상자 내부의 6개의 면 중 한 개 이상의 면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및 충격방지 봉투가 부착된 상자에 의하면, 포장하려는 물건의 성질에 맞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자 내부의 여섯 개의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비닐재질의 봉투를 부착시킨 후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킴으로써 보관 또는 운송하고자 하는 물건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자의 가운데에 물건을 놓고 사방에 부착되어 있는 비닐재질의 봉투를 팽창시키되, 사용자는 물건의 크기 및 물건이 상자 내부에서 차지하고 있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팽창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물건의 크기에 맞춰서 매번 다른 크기의 상자를 준비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비닐재질의 봉투에 일체로 형성된 공기주입구의 내부에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볼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공기를 원하는 만큼 주입한 후 손쉽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비닐재질의 종류와 공기압에 따라 에어백 효과(충격흡수)가 달라지므로, 보관되는 물품이 장기간 보관 시 튼튼한 재질을 사용하여 흔들림을 막아준다.
또한, 공기 주입구는 비닐의 재질이 열에 잘 봉합되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열을 가하여 밀봉하는 기계를 이용하여 봉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가 상자의 내부 일면에 부착된 후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한 모습의 측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가 비닐재질의 봉투와 접착부재로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가 접힌 상태로 상자 내부의 임의의 면에 부착된 모습의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가 상자의 펼쳐진 면에 각각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가 상자의 펼쳐진 면 중 일부 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가 사방에서 팽창되어 상자 내부에 위치한 물건에 밀착됨으로써 물건을 보호하는 모습의 예시도.
도 5a는 공기주입구의 상부 양측이 절개된 모습의 사시도.
도 5b는 공기주입구의 내부에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모습의 단면도.
도 5c는 공기주입구의 내부에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또 다른 모습의 단면도.
도 5d는 도 5b와 도 5c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단면도.
도 5e는 공기주입구의 내부에 접착볼이 부착된 모습의 단면도.
도 5f는 도 5e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100)는 상자(B) 내부 면에 부착되어 제품(P)의 충격을 방지하는 봉투로서, 비닐재질의 봉투(10) 및 비닐재질의 공기주입구(20)를 포함한다.
비닐재질의 봉투(10)는 일면이 상자(B) 내부의 임의의 면에 부착되며, 공기의 주입에 의해 상자(B)에 부착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팽창된다.
비닐재질의 공기주입구(20)는 봉투(10)와 일체로 형성되며, 봉투(10)에 공기를 주입시킨다. 사람의 입이나 공기 펌프 등을 이용하여 봉투(10)에 공기를 주입하며, 물론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봉투(10)는 풍선처럼 탄성이 심한 재질을 사용하면 공기를 주입하는데 힘들 수 있으므로, 어린이들도 쉽게 공기를 불어넣어 팽창시킬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자(B)가 펼쳐진 상태를 볼 수 있다. h 는 상자의 높이, l 은 상자의 가로길이, w 는 상자의 세로(폭)길이 나타낸다.
비닐재질의 봉투(10)는 상자(B)의 내부 6개의 면 중 전, 후, 좌, 우의 네 개의 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윗면과 아래면에 각각 하나씩 부착되어 있다. 이처럼 비닐재질의 봉투(10)를 상자(B)의 내부 여섯 개의 면에 모두 붙인 상태에서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키면 물건(P)을 완벽하게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는 부착되어 있는 비닐재질의 봉투(10)의 위치에 따라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를 참조하면, 비닐재질의 봉투(10)가 상자(B)의 내부 일측면과 바닥면 또는 윗면에 하나씩, 총 두 개의 봉투(1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물건(P)의 크기와 성질에 따라서 비닐재질의 봉투(10)의 개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도 3a와 도 3b에서 본 바와 같이, 비닐재질의 봉투(10)는 상자(B)의 내부 6개의 면 중 각각의 면에 독립적으로 부착되며, 한 개에서 최대 여섯 개까지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봉투(10)의 면적은 상자(B) 일면의 크기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봉투(10)의 일면은 상자(B) 내부의 임의의 면에 부착 가능한 접착부재(30)를 구비하며, 비닐재질의 봉투(10)는 접착부재(30)를 구비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접힌 상태로 상자(B) 내부의 임의의 면에 부착된다. 납작하게 접힌 상태에서 상자(B) 내부의 임의의 면에 부착된 후 공기주입구(20)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접힌 부분이 펴지면서 둥그렇게 팽창하게 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접착부재(30)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형태로서, 접착부재(30)의 일면은 비닐재질의 봉투(10)에 부착되며, 타면에는 코팅된 시트지가 부착되어 있다. 상자(B)에 부착시에는 시트지를 떼어내고 사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접착부재(30)는 제1보호시트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자(B) 임의의 면에 부착시 제1보호시트가 제거된 후 부착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자(B)의 내부에 제품(P)이 들어있고, 제품(P)의 사방에서 비닐재질의 봉투(10)가 팽창되어 밀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제품(P)의 크기에 따라 봉투(10)의 팽창 정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P)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f를 참조하여 공기주입구(2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공기주입구(20)는 봉투(10)의 일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자(B)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봉투(10)는 사용자가 공기를 쉽게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20)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주입구(20)는 내측 일면에 너비가 공기주입구(20)의 폭에 대응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된 양면테이프(23)가 부착되고, 양면테이프(23)에 부착된 제2보호시트를 떼어내면 양면테이프(23)가 공기주입구(20)의 내측 타면에 부착되어 공기주입구가 밀봉된다.
구체적으로는, 일단이 공기주입구(20) 내측의 제2보호시트의 하단(A)에 부착되고, 타단이 공기주입구(20)의 상부로 노출되어 양면테이프(23)에 부착된 제2보호시트를 떼어내는데 사용되는 당김부재(25)를 구비한다.
또한, 공기주입구(20)는 붙어있는 비닐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상부 양측이 길이 방향으로 일정 부분(C) 절개된 절개부(21)를 형성한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공기주입구(20)는 손으로 잡고 쉽게 벌릴 수 있도록, 상부 양측의 일정 부분(C)이 절개되어 있다. 즉, 공기주입구(20)의 상부를 손으로 비비면 붙어있던 비닐이 두 가닥(20a, 20b)으로 쉽게 떨어지게 된다.
양면테이프(23)는 절개부(C)의 아래 부분에 붙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주입구(20)의 상부로 노출된 당김부재(25)를 손으로 잡아 당기면 양면테이프(23) 상에 붙어있는 제2보호시트가 하단(A) 영역부터 위쪽으로 차례로 떼어지게 되며, 제2보호시트가 떨어지게 됨과 동시에 양면테이프(23)가 아래 부분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차례로 공기주입구(20)의 내측 타면에 부착되어 밀봉되는 것이다. 당김부재(25)는 제2보호시트의 하단(A) 영역에만 부착되어 있으므로, 당김부재(25)를 손으로 잡아당길 때 제2보호시트의 아래부터 위로 서서히 떨어지게 된다. 양면테이프(23) 상에 제2보호시트가 부착되어 있고, 제2보호시트의 하단(A)에 당김부재(25)가 부착되어 있는 구조이다. 당김부재(25)는 종이 또는 비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c에서와 같이, 당김부재(25)를 잡아 당길 때 제2보호시트로부터 당김부재(25)가 쉽게 떨어지거나,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당김부재(25)의 제2보호시트에 부착되는 부분(A)은 사각형, 원형 또는 삼각형태의 넓은 면적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e 및 도 5f를 참조하면, 공기주입구(20)의 내측 일면에는 누르면 접착제가 터져 나와 공기주입구(20)를 밀봉하는 접착볼(27)이 부착된다. 접착볼(27)은 절개부(21)의 아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볼(27)은 공기주입구(20a, 20b)를 구성하는 두 개의 비닐 중 한쪽에 부착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공기주입구(20a, 20b)를 외부에서 손으로 누르면 터지면서 접착제가 흘러나와 공기주입구(20a, 20b)를 밀봉하게 된다.
또한, 비닐 재질의 공기 주입구는 열에 잘 봉합되는 재료로서, 종래에 흔히 사용되고 있는 열을 가하여 밀봉하는 기계를 이용하여 봉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의 방식으로 구성된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100)가 상자(B) 내부의 6개의 면 중 한 개 이상의 면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하려는 물건의 성질에 맞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자 내부의 여섯 개의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비닐재질의 봉투를 부착시킨 후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킴으로써 보관 또는 운송하고자 하는 물건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자의 가운데에 물건을 놓고 사방에 부착되어 있는 비닐재질의 봉투를 팽창시키되, 사용자는 물건의 크기 및 물건이 상자 내부에서 차지하고 있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팽창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물건의 크기에 맞춰서 매번 다른 크기의 상자를 준비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되는 것임은 자명하다.
10: 봉투 20: 공기주입구
21: 절개부 23: 양면테이프
25: 당김부재 27: 접착볼
30: 접착부재 100: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B: 상자 P: 제품, 물건

Claims (10)

  1. 상자 내부면에 부착되어 제품의 충격을 방지하는 봉투로서,
    일면이 상자 내부의 임의의 면에 부착되며, 공기의 주입에 의해 상자에 부착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팽창되는 비닐재질의 봉투; 및
    상기 봉투와 일체로 형성되며, 봉투에 공기를 주입시키는 비닐재질의 공기주입구를 포함하되,
    상기 봉투의 일면은 상자 내부의 임의의 면에 부착 가능한 접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재질의 봉투는 상자의 내부 6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재질의 봉투는 접착부재를 구비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접힌 상태로 상자 내부의 임의의 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제1보호시트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자 임의의 면에 부착시 제1보호시트가 제거된 후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는 봉투의 일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는 내측 일면에 너비가 공기주입구의 폭에 대응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된 양면테이프가 부착되고, 양면테이프에 부착된 제2보호시트를 떼어내면 양면테이프가 공기주입구의 내측 타면에 부착되어 공기주입구가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7. 제6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공기주입구 내측의 제2보호시트의 하단에 부착되고, 타단이 공기주입구의 상부로 노출되어 양면테이프에 부착된 제2보호시트를 떼어내는데 사용되는 당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의 내측 일면에는 누르면 접착제가 터져 나와 공기주입구를 밀봉하는 접착볼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는 붙어있는 비닐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상부 양측이 길이 방향으로 일정 부분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가 상자 내부의 6개의 면 중 한 개 이상의 면에 부착된 상자.
KR1020150048973A 2015-04-07 2015-04-07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및 충격방지 봉투가 부착된 상자 KR101693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973A KR101693975B1 (ko) 2015-04-07 2015-04-07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및 충격방지 봉투가 부착된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973A KR101693975B1 (ko) 2015-04-07 2015-04-07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및 충격방지 봉투가 부착된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023A true KR20160120023A (ko) 2016-10-17
KR101693975B1 KR101693975B1 (ko) 2017-01-06

Family

ID=57250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973A KR101693975B1 (ko) 2015-04-07 2015-04-07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및 충격방지 봉투가 부착된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9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872A (ko) * 2020-08-31 2022-03-08 김태환 내지를 구비한 포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5844A (ja) * 1984-11-08 1986-06-03 株式会社 太陽堂印刷所 接着方法
KR960016432U (ko) * 1995-08-01 1996-06-17 황덕형 막대풍선
KR200388006Y1 (ko) 2004-12-23 2005-06-30 남기준 박스포장시 내부 완충용 공기 튜브
KR200435286Y1 (ko) 2006-09-28 2007-01-15 정진욱 이송용기용 장대 에어백
KR20120006147U (ko) * 2011-02-24 2012-09-03 박재연 접착용 고무 풍선
KR20130123695A (ko) * 2012-05-03 2013-11-13 대한민국(우정사업본부) 내용물 파손방지용 우편물 배송 상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5844A (ja) * 1984-11-08 1986-06-03 株式会社 太陽堂印刷所 接着方法
KR960016432U (ko) * 1995-08-01 1996-06-17 황덕형 막대풍선
KR200388006Y1 (ko) 2004-12-23 2005-06-30 남기준 박스포장시 내부 완충용 공기 튜브
KR200435286Y1 (ko) 2006-09-28 2007-01-15 정진욱 이송용기용 장대 에어백
KR20120006147U (ko) * 2011-02-24 2012-09-03 박재연 접착용 고무 풍선
KR20130123695A (ko) * 2012-05-03 2013-11-13 대한민국(우정사업본부) 내용물 파손방지용 우편물 배송 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872A (ko) * 2020-08-31 2022-03-08 김태환 내지를 구비한 포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975B1 (ko) 2017-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9232A (en) Inflatable protective lining sysem for containers
US5620096A (en) Inflatable packaging cushion with pocket
CN101238045B (zh) 充气包装材料结构
US20070012591A1 (en) Inflatable space filler structure for container
CN104828370B (zh) 可重复使用的快递包装装置
US20110120899A1 (en) Inflatable mailing package
US11084643B2 (en) Inflatable packaging structure and method for use thereof
KR101693975B1 (ko)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및 충격방지 봉투가 부착된 상자
KR20130123695A (ko) 내용물 파손방지용 우편물 배송 상자
CN104443795B (zh) 一种新型包装箱
KR101453736B1 (ko) 과일 포장상자
CN208485048U (zh) 一种易碎物品缓冲防护运输包装箱
CN105416846A (zh) 一种可延长保鲜期的包装垫层
JP4870345B2 (ja) 気胞包装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を使用するための方法
KR101068638B1 (ko) 골판지 봉투
GB2545636A (en) A bag
CN208199326U (zh) 一种双层充气袋中袋
KR101899521B1 (ko) 포장용구
TWM459201U (zh) 具有充氣包裝袋之箱體
US20070256904A1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afe packing
CN205203775U (zh) 一种支架包装结构
CN209635014U (zh) 防震木箱
CN204548907U (zh) 单向逆止阀连续可撕拉气垫
CN107323794A (zh) 可重复使用的快递包装装置
KR200477093Y1 (ko) 공기 주입식 완충 포장 봉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