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9851A - 충전 회로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충전 회로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9851A
KR20160119851A KR1020167025012A KR20167025012A KR20160119851A KR 20160119851 A KR20160119851 A KR 20160119851A KR 1020167025012 A KR1020167025012 A KR 1020167025012A KR 20167025012 A KR20167025012 A KR 20167025012A KR 20160119851 A KR20160119851 A KR 20160119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terminal
circuit
output
type mo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2951B1 (ko
Inventor
웬주 류
종후이 펑
지앙타오 양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19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07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2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4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dapted for charging from various sources, e.g. AC, DC or multi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2Modifications for increasing the maximum permissible switched current
    • H03K17/122Modifications for increasing the maximum permissible switched current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전 회로 및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충전 회로는 유선 연결 모듈(wired connection module), 무선 충전 모듈, 스위치 회로, 제어 회로, 션트(shunt) 회로, 및 충전 관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1 입력/출력단은 유선 충전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은 스위치 회로의 제1 입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입력/출력단은 션트 회로의 제1 입력/출력단에 추가적으로 연결되고; 제어 회로의 제1 입력단은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회로의 출력단은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에 연결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은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2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1 출력단은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션트 회로의 제2 입력/출력단은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션트 회로의 제3단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출력단은 배터리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이로써 유선 충전 기술과 무선 충전 기술을 단말기 상에 어떻게 통합할지에 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 회로 및 단말기{CHARGING CIRCUIT AND TERMINAL}
본 발명은 전자 분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충전 회로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무선 충전 기술이 배터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예컨대,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또는 리모콘 장치에 점진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무선 충전 프로세스에서는, 단말기가 유선 연결을 통해 전원에 연결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원으로부터 비교적 먼 곳에서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어떤 사용자는 유선 충전에 익숙하고 어떤 사용자는 무선 충전에 익숙하거나, 또는 무선 충전 동안의 충전 신호의 전류가 극도로 낮고, 따라서 배터리 충전 시간은 상대적으로 길다. 이런 이유 때문에, 단말기 제조업체는 보통 단말기에 대해 2가지 방식, 즉, 유선 충전과 무선 충전을 구성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유선 충전 기술과 무선 충전 기술을 단말기 상에 어떻게 통합할지가 단말기 제조업체에 의해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전 회로 및 단말기를 제공하여, 유선 충전 기술과 무선 충전 기술이 단말기 상에 통합될 수 있다.
제1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은 충전 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충전 회로는, 유선 연결 모듈, 무선 충전 모듈, 스위치 회로, 제어 회로, 션트(shunt), 및 충전 관리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1 입력/출력단(input/output end)은 유선 충전기(wired charger)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은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1 입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입력/출력단은 상기 션트 회로의 제1 입력/출력단에 추가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 회로의 제1 입력/출력단은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회로의 제2 입력/출력단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enabling end)에 연결된다.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은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2 입력단에 연결된다.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1 출력단은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출력단에 연결된다.
상기 션트 회로의 제2 입력/출력단은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션트 회로의 제3단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출력단은 배터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1 양태를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은 상기 유선 충전기에 의해 출력되는 제1 충전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충전 신호는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1 입력단,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1 출력단,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단, 및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출력단을 통과한 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션트 회로의 제3단이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에 의해 출력되는 제2 충전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충전 신호가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 상기 션트 회로의 제1 입력/출력단, 상기 션트 회로의 제2 입력/출력단,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단, 및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출력단을 통과한 후에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션트 회로의 제1 입력/출력단과 상기 션트 회로의 제2 입력/출력단이 통전되며; 상기 제1 충전 신호는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회로의 제1 입력단에 추가적으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 회로의 출력단은 상기 제어 회로의 제1 입력단이 상기 제1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때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하이 레벨 신호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에 전송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은 상기 하이 레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은 신호를 출력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무선 충전기에 의해 출력되는 제2 충전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은 로우 레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충전 신호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2 입력단,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1 출력단,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단, 및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출력단을 통과한 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한다.
제1 양태 또는 1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션트 회로의 제3단이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션트 회로의 제3단이 보호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된다는 것이다.
제1 양태, 제1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1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션트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P형 MOS 트랜지스터(P-type MOS transistor)를 포함하고,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각각의 그룹은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 및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보호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되거나; 또는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각각의 그룹은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 및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보호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제1 양태의 전술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저항 R3, 저항 R4, 저항 R5, 및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N-type MOS transistor)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 R3의 일단은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저항 R3의 타단은 상기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저항 R4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저항 R4의 일단은 상기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저항 R4의 타단은 접지되며; 상기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안정적인 포텐셜(stable potential)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저항 R5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접지된다.
제1 양태의 전술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충전 회로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1 입력/출력단에 추가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1 입력/출력단은 추가적으로, 외부 장치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1 입력/출력단이 상기 외부 장치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하이 레벨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에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이 상기 하이 레벨 신호를 수신하는 때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상기 컨트롤러는 추가적으로,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충전 관리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전류가 상기 션트 회로의 제2 입력/출력단, 상기 션트 회로의 제1 입력/출력단,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 및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1 입력/출력단을 통과한 후 전력을 상기 외부 장치에 공급한다.
제1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충전 회로는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display signal transmission circuit) 및 디스플레이 화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의 입력단은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2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의 출력단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2 입력/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입력단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3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스위치 회로가 제1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때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2 출력단을 이용하여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의 입력단이 상기 하이 레벨 신호를 수신하는 때 로우 레벨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출력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에 의해 전송된 상기 로우 레벨 신호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명령에 따라, 유선 충전이 상기 배터리에 대해 현재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제1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스위치 회로가 제2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때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2 출력단을 이용하여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의 입력단이 상기 로우 레벨 신호를 수신하는 때 하이 레벨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출력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에 의해 전송된 상기 하이 레벨 신호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명령에 따라, 무선 충전이 상기 배터리에 대해 현재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스위치 회로가 제1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때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2 출력단을 이용하여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의 입력단이 상기 로우 레벨 신호를 수신하는 때 하이 레벨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출력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에 의해 전송된 상기 하이 레벨 신호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명령에 따라, 유선 충전이 상기 배터리에 대해 현재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제1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스위치 회로가 제2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때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2 출력단을 이용하여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의 입력단이 상기 하이 레벨 신호를 수신하는 때 로우 레벨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출력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에 의해 전송된 상기 로우 레벨 신호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명령에 따라, 무선 충전이 상기 배터리에 대해 현재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제2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보호 회로는 저항 R1, 저항 R2, 및 커패시터 C1을 포함하고, 상기 저항 R1은 상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커패시터 C1은 상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저항 R2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과 상기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는 저항 R6, 저항 R7, 및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2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저항 R7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접지되며, 상기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2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저항 R6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포텐셜에 추가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접지된다.
제1 양태의 전술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9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충전 회로는 커패시터 C2, 커패시터 C3, 및 정전기 보호 다이오드(electrostatic protection diode) D1을 포함하는 제1 정전기 보호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 C2의 일단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커패시터 C2의 타단은 접지되며; 상기 커패시터 C3의 일단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커패시터 C3의 타단은 접지되며; 상기 정전기 보호 다이오드 D1의 일단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정전기 보호 다이오드 D1의 타단은 접지된다.
제1 양태의 전술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0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충전 회로는 정전기 보호 다이오드 D2를 포함하는 제2 정전기 보호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전기 보호 다이오드 D2의 일단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 및 상기 컨트롤러의 제1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정전기 보호 다이오드 D2의 타단은 접지된다.
제2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양태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구현 방식의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전술한 과제 해결수단에서, 유선 연결 모듈의 제1 입력/출력단은 유선 충전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은 스위치 회로의 제1 입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입력/출력단은 션트 회로의 제1 입력/출력단에 추가적으로 연결되고; 제어 회로의 제1 입력단은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회로의 출력단은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에 연결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은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2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1 출력단은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션트 회로의 제2 입력/출력단은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션트 회로의 제3단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출력단은 배터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술한 회로는 단말기 배터리에 대한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로써 유선 충전 기술과 무선 충전 기술을 단말기 상에 어떻게 통합할지에 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에서의 과제 해결수단에 대해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음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첨부 도면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다. 명백히, 다음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나타낼 뿐이고, 당업자는 창의적인 노력 없이도 이러한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여전히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의 충전 신호 흐름 방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충전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충전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충전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과제 해결수단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한다. 명백히,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단지 일부 실시예일 뿐이다. 창작적인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당업자에 의해 획득되는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충전 회로가 배터리를 포함하는 임의의 단말기, 예컨대,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e-리더(e-reader), 리모콘(remote control), 노트북 컴퓨터, 차량 내 장치(in-vehicle device),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회로는 유선 연결 모듈(11), 무선 충전 모듈(12), 스위치 회로(13), 제어 회로(14), 션트(shunt) 회로(15), 및 충전 관리 모듈(16)을 포함한다.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1 입력/출력단(111)은 유선 충전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2 입력/출력단(112)은 스위치 회로(13)의 제1 입력단(131)에 연결되며,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2 입력/출력단(112)은 션트 회로(15)의 제1 입력/출력단(151)에 추가적으로 연결되고;
제어 회로(14)의 제1 입력단(141)은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2 입력/출력단(112)에 연결되고, 제어 회로(14)의 출력단(142)은 무선 충전 모듈(12)의 활성화단(121)에 연결되며;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은 스위치 회로(13)의 제2 입력단(132)에 연결되고;
스위치 회로(13)의 제1 출력단(133)은 충전 관리 모듈(16)의 입력/출력단(161)에 연결되며;
션트 회로(15)의 제2 입력/출력단(152)은 충전 관리 모듈(16)의 입력/출력단(161)에 연결되고, 션트 회로(15)의 제3단(153)은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에 연결되며;
충전 관리 모듈의 출력단(16)은 배터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충전 회로는 단말기 배터리에 대한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을 구현하여, 유선 충전 기술과 무선 충전 기술을 단말기 상에 어떻게 통합할지에 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션트 회로(15)의 임피던스는 스위치 회로(13)의 임피던스보다 작을 수 있고, 션트 회로(15) 및 스위치 회로(13)가 병렬로 연결된 후에 생성되는 임피던스는 더 작아지며, 고 전류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선 연결 모듈(11)은 USB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충전 관리 모듈(16)은 충전 관리 칩(charging management chip)일 수 있다.
제1 충전 신호가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2 입력/출력단(112), 스위치 회로(13)의 제1 입력단(131), 스위치 회로(13)의 제1 출력단(133), 충전 관리 모듈(16)의 입력/출력단(161), 및 충전 관리 모듈의 출력단(16)을 통과한 후에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유선 연결 모듈(11)는 유선 충전기에 의해 출력되는 제1 충전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션트 회로(15)의 제3단(153)이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에 의해 출력된 제2 충전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제1 충전 신호가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2 입력/출력단(112), 션트 회로(15)의 제1 입력/출력단(151), 션트 회로(15)의 제2 입력/출력단(152), 충전 관리 모듈(16)의 입력/출력단(161), 및 충전 관리 모듈의 출력단(16)을 통과한 후에 배터리를 추가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션트 회로(15)의 제1 입력/출력단(151)과 션트 회로(15)의 제2 입력/출력단(152)이 통전된다. 또한, 제1 충전 신호는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2 입력/출력단(112)을 통과한 후에 제어 회로(14)의 제1 입력단(141)으로 흐르고; 제어 회로(14)의 제1 입력단(141)이 제1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때, 제어 회로(14)의 출력단(142)은 무선 충전 모듈(12)의 활성화단(121)으로 흐를 수 있는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무선 충전 모듈(12)의 활성화단(121)이 하이 레벨 신호를 수신하는 때,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은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충전 신호가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이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것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써 유선 충전기가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구현한다.
유선 충전기가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제1 충전 신호의 흐름 방향에 대해 도 2에 도시된 제1 충전 신호의 흐름 방향을 참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무선 충전 모듈(12)는 무선 충전기에 의해 출력된 제2 충전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무선 충전 모듈(12)의 활성화단(121)이 로우 레벨 신호를 수신하는 때, 제2 충전 신호는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 스위치 회로(13)의 제2 입력단(132), 스위치 회로(13)의 제1 출력단(133), 충전 관리 모듈(16)의 입력/출력단(161), 및 충전 관리 모듈의 출력단(16)를 통과한 후에 배터리를 위한 무선 충전을 구현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중에, 제2 충전 신호의 흐름 방향에 대해 도 3에 도시된 제2 충전 신호의 흐름 방향을 참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무선 충전 모듈(12)의 활성화단(121)은 일정한 낮은 레벨의 포트일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12)의 활성화단(121)이 하이 레벨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활성화단(121)은 항상 로우 레벨 상태에 머무른다.
선택적으로, 전압 동적 전력 관리(Voltage Dynamic Power Management, VDPM) 임계값은 충전 관리 모듈(16)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VDPM 임계값은 충전 관리 모듈(16) 내의 가장 낮은 전압 제한 값으로 사전 설정될 수 있고, VDPM 임계값의 함수는 다음과 같다: 충전 신호의 전압이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충전 관리 모듈(16)은 충전 신호의 전압이 비교적 낮은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충전 신호의 전류를 줄이고, 충전 전류는 극히 낮아지며, 따러서 충전 시간이 너무 길어지게 된다.
전술한 회로에서,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2 입력/출력단(112)은 스위치 회로(13)의 제1 입력단(131)에 연결되고,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2 입력/출력단(112)은 션트 회로(15)의 제1 입력/출력단(151)에 추가적으로 연결되며, 스위치 회로(13)의 제1 출력단(133)은 충전 관리 모듈(16)의 입력/출력단(161)에 연결되고, 션트 회로(15)의 제2 입력/출력단(152)은 충전 관리 모듈(16)의 입력/출력단(161)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션트 회로(15)는 스위치 회로(13)에 병렬로 연결된다. 즉, 션트 회로(15) 및 스위치 회로(13)가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2 입력/출력단(112)과 충전 관리 모듈(16)의 입력/출력단(161)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션트 회로(15) 및 스위치 회로(13)가 병렬로 연결되는 경우에 생성되는 임피던스는 션트 회로(15)의 임피던스보다 작고, 션트 회로(15) 및 스위치 회로(13)가 병렬로 연결되는 경우에 생성되는 임피던스는 스위치 회로(13)의 임피던스보다 작다. 즉, 션트 회로(15) 및 스위치 회로(13)가 병렬로 연결된 후에,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2 입력/출력단(112)과 충전 관리 모듈(16)의 입력/출력단(161) 사이의 임피던스는 상대적으로 작으며, 따라서 제1 충전 신호가 충전 관리 모듈(16)의 입력/출력단(161)으로 흐르는 경우에 생성되는 비교적 작은 전압 강하(voltage step-down)를 초래한다. 유선 충전기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고 전류(예를 들어, 1A보다 크거나 같은 전류)를 이용하는 경우, 제1 충전 신호가 충전 관리 모듈(16)에 전송되는 경로 상의 전압 강하는 비교적 작다. 따라서,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제1 충전 신호는 충전 회로의 VDPM 임계값에 도달하지 않으며, 고전류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충전 관리 모듈(16)은 상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충전 관리 모듈(16)은 휴대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 내의 충전 관리 모듈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무선 충전 모듈(12)은 무선 충전기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충전 신호를 수신할 수 있거나, 또는 무선 충전기에 의해 전송되는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가 작동하는 중인 경우, 무선 충전 모듈(12)이 무선 충전기에 의해 전송되는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충전 회로가 위치하는 단말기가 무선 충전기 상에 배치된다. 유의해야 할 것은, 충전 회로가 위치하는 단말기는 무선 방전기(wireless discharger) 상에 배치되고, 배터리가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충전된다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는 컨트롤러(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12)의 활성화단(121)은 컨트롤러(17)의 제1 입력/출력단(171)에 추가적으로 연결되고;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1 입력/출력단(111)은 외부 장치에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션트 회로(15)의 제3단(153)이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에 연결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션트 회로(15)의 제3단(153)이 보호 회로(20)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에 연결된다는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1 입력/출력단(111)이 외부 장치에 연결되는 경우, 즉, 컨트롤러(17)가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1 입력/출력단(111)이 외부 장치에 연결된 것을 검출하는 경우(예를 들어, 컨트롤러(17)가 유선 연결 모듈의 id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가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음), 컨트롤러(17)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을 제어하기 위해, 즉, 무선 충전을 비활성화하기 위해, 하이 레벨 신호를 무선 충전 모듈(12)의 활성화단(121)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은, 션트 회로(15)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로우 레벨 신호를 보호 회로(20)에 송신한다. 컨트롤러(17)는, 션트 회로(15)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로우 레벨 신호를 보호 회로(20)에 송신하도록(예컨대, I2C 버스를 통해)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7)는, 충전 관리 모듈에 의해 출력된 전류(16)가 션트 회로(15)의 제2 입력/출력단(152), 션트 회로(15)의 제1 입력/출력단(151),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2 입력/출력단(112), 및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1 입력/출력단(111)을 통과한 후에 외부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충전 관리 모듈(16)을 제어(예컨대, I2C 버스를 이용함으로써)할 수 있다.
전술한 충전 회로가 속한 단말기가 외부 장치와 전기 신호(예컨대, 전류 신호) 전송을 수행하기 때문에, 컴퓨터와 같은 호스트 장치가 신호 전송 프로세스에 참여할 필요가 있으며, 이로써 오티지(On The Go, OTG)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OTG 기능은 호스트(Host) 없이 장치들 간에 신호 전송을 구현하는 기술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충전 회로가 휴대폰 내의 충전 회로인 경우, 휴대폰은 컴퓨터를 사용할 필요 없이 전술한 충전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를 충전하기 위해 OTG 기술을 이용한다. 외부 장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예컨대, OTG(On The Go)를 구현할 수 있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e-리더, 리모콘, 노트북 컴퓨터, 차량 내 장치, 또는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1 입력/출력단(111)이 외부 장치에 연결되는 때, 컨트롤러(17)는 하이 레벨 신호를 무선 충전 모듈(12)의 활성화단(121)에 출력하고; 무선 충전 모듈(12)의 활성화단(121)이 하이 레벨 신호를 수신하는 때, 제2 입력/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12)은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금지된다. 따라서, 외부 장치와 전기 신호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전기 신호와 제2 충전 신호 간의 충돌이 유발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무선 충전이 금지되는 것이 구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컨트롤러(17)는 단말기 시스템 칩, 즉, 휴대폰 시스템 칩 또는 태블릿 컴퓨터 시스템 칩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칩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는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18) 및 디스플레이 화면(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18)의 입력단(181)은 스위치 회로(13)의 제2 출력단(134)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18)의 출력단(182)은 컨트롤러(17)의 제2 입력/출력단(172)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화면(19)의 입력단(191)은 컨트롤러(17)의 제3 입력/출력단(173)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스위치 회로(13)는 스위치 회로(13)가 제1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때 스위치 회로(13)의 제2 출력단(134)을 통해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로써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18)는 스위치 회로(13)의 제2 출력단(134)에 의해 출력된 하이 레벨 신호를 수신하는 때 로우 레벨 신호를 컨트롤러(17)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컨트롤러(17)는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18)에 의해 전송된 로우 레벨 신호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명령을 디스플레이 화면(19)에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화면(19)은 제1 디스플레이 명령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메시지는 유선 충전이 현재 배터리에 대해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위치 회로(13)는 스위치 회로(13)가 제2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때 스위치 회로(13)의 제2 출력단(134)이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로써 스위치 회로(13)의 제2 출력단(134)에 의해 출력된 로우 레벨 신호를 수신하는 때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18)가 하이 레벨 신호를 컨트롤러(17)에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컨트롤러(17)는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18)에 의해 전송된 하이 레벨 신호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명령을 디스플레이 화면(19)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화면(19)은 제2 디스플레이 명령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디스플레이 메시지는 무선 충전이 배터리에 대해 현재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위치 회로(13)는 스위치 회로(13)가 제1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때 스위치 회로(13)의 제2 출력단(134)을 이용하여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로써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18)는 스위치 회로(13)의 제2 출력단(134)에 의해 출력되는 로우 레벨 신호를 수신하는 때 하이 레벨 신호를 컨트롤러(17)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컨트롤러(17)는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18)에 의해 전송된 하이 레벨 신호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명령을 디스플레이 화면(19)에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화면(19)은 제1 디스플레이 명령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메시지는 유선 충전이 현재 배터리에 대해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위치 회로(13)는 스위치 회로(13)가 제2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때 스위치 회로(13)의 제2 출력단(134)을 통해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로써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18)는 스위치 회로(13)의 제2 출력단(134)에 의해 출력된 하이 레벨 신호를 수신하는 때, 로우 레벨 신호를 컨트롤러(17)에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컨트롤러(17)는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18)에 의해 전송된 로우 레벨 신호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명령을 디스플레이 화면(19)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화면(19)은 제2 디스플레이 명령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디스플레이 메시지는 무선 충전이 배터리에 대해 현재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구현 방식에서, 유선 충전이 수행되는 때 디스플레이 화면(19)이 유선 충전이 현재 배터리에 대해 수행되는 것을 사용자에게 나타내기 위해 제1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 또는 무선 충전이 수행되는 때 디스플레이 화면(19)이 무선 충전이 배터리에 대해 현재 수행되는 것을 사용자에게 나타내기 위해 제2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이 구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메시지 및 제2 디스플레이 메시지는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색상을 이용하여 유선 충전 또는 무선 충전이 배터리에 대해 수행되는 중이라는 것 각각 나타내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의 지표가 적색을 표시하는 경우, 이것은 제1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나타내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지표가 녹색을 표시하는 경우, 이것은 제2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나타낸다. 이와 달리, 제1 디스플레이 메시지 및 제2 디스플레이 메시지는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컨텐츠를 이용함으로써 유선 충전 또는 무선 충전이 배터리에 대해 수행되는 중이라는 것을 각각 나타내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메시지의 텍스트이면서 디스플레이 화면에 의해 표시되는 텍스트는 "유선 충전"이고, 제2 디스플레이 메시지의 텍스트이면서 디스플레이 화면에 의해 표시되는 텍스트는 "무선 충전"이다.
선택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션트 회로(15)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P형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각각의 그룹은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T1) 및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한다.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T1)은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2 입력/출력단(112)에 연결되고,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T1)은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T2)에 연결되며,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T2)은 충전 관리 모듈(16)의 입력/출력단(161)에 연결되고,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1)은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2)에 연결되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1)은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에 추가적으로 연결된다.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1)이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에 추가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1)이 보호 회로(20)를 통해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에 연결된다는 것일 수 있다.
보호 회로(20)는 저항 R1, 저항 R2, 및 커패시터 C1을 포함한다. 여기서, 저항 R1은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1)과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커패시터 C1은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1)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며, 저항 R2는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이 구현 방식에서, 유선 충전이 수행되는 경우, 즉,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2 입력/출력단(112)이 제1 충전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은 제2 충전 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며, 이로써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T1)이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2 입력/출력단(112)에 의해 출력된 제1 충전 신호를 수신하고, 보호 회로(20)의 저항 R1은 제2 충전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저항 R1의 연결 포인트와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1)에서의 레벨이 로우 레벨이다. 즉,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T1)의 전압이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1)의 전압보다 높으며, 이로써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T1)과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T1)이 통전된다. 따라서, 제1 충전 신호는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T2)에 전송되고,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2)는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1)에 연결된다. 즉,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2)의 레벨은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1)의 레벨과 동일하며, 이로써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T2)의 전압은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2)의 전압보다 높고, 따라서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T2)과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T2)이 통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충전 신호가 충전 관리 모듈에 전송된다. 또한, 유선 연결 모듈(11)이 외부 장치에 연결되는 경우, 컨트롤러(17)는 하이 레벨 신호를 무선 충전 모듈(12)의 활성화단(121)에 출력할 수 있고,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은 제2 충전 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며, 이로써 충전 회로가 위치하는 단말기가 전력을 외부 장치에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충전 관리 모듈(16)은 제3 전기 신호를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T2)에 출력할 수 있고,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T2)의 전압은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2)의 전압보다 높으며, 따라서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T2)과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T2)이 통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3 전기 신호가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T1)에 전송되고;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T1)의 전압이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1)의 전압보다 높기 때문에,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이 통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3 전기 신호가 유선 연결 모듈(11)에 전송되며, 따라서 파워를 외부 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구현한다. 또한,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T1)이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T2)에 연결되기 때문에,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T1) 내의 다이오드와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T2) 내의 다이오드가 역방향으로 연결되고, 이로써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T1)과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T2)가 통전되지 않은 경우 전류가 충전 관리 모듈(16)로부터 유선 연결 모듈(11)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따라서 전류 역류를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T1)은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2 입력/출력단(112)에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T1)은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T2)에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T2)은 충전 관리 모듈(16)의 입력/출력단(161)에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1)은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2)에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1)은 보호 회로를 통해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에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구현 방식의 원리는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T1)이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T2)에 연결되는 전술한 구현 방식의 원리와 동일하며, 이로써 제1 충전 신호가 충전 관리 모듈(16)에 전송되고, 데이터 신호가 유선 연결 모듈(11)에 전송되며, 전류 역류가 방지될 수 있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2개의 구현 방식에서, 션트 회로(15)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P형 M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MOS 트랜지스터의 임피던스는 극도로 낮을 수 있고, 따라서 션트 회로(15)의 임피던스는 극도로 낮다. 션트 회로(15)와 스위치 회로(13)가 유선 연결 모듈(11)과 충전 관리 모듈(16) 간의 경로 상에서 병렬로 연결되고, 따라서 유선 연결 모듈(11)과 충전 관리 모듈(16) 간의 경로 상의 임피던스는 극도로 낮으며, 이로써 유선 연결 모듈(11)로부터 충전 관리 모듈(16)까지의 제1 충전 신호의 전압 강하가 또한 극도로 낮은 것, 및 유선 충전기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고 전류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션트 회로(15)는 제3 P형 MOS 트랜지스터(T3) 및 제4 P형 MOS 트랜지스터(T4)를 포함하는 적어도 또 다른 그룹의 P형 MOS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회로(13)는 이중-입력 스위치(dual-input switch), 예를 들어, 부하 스위치(load switch)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14)는 저항 R3, 저항 R4, 저항 R5, 및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T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항 R3의 일단은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2 입력/출력단(112)에 연결되고, 저항 R3의 타단은 개별적으로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저항 R4의 일단에 연결되며; 저항 R4의 일단은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고, 저항 R4의 타단은 접지되며;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안정적인 포텐셜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T5)은 무선 충전 모듈(12)의 활성화단(121)에 연결되며,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T5)는 저항 R5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접지된다.
선택적으로, 안정적인 포텐셜의 전압은 제1 충전 신호의 전압보다 낮을 수 있다. 안정적인 포텐셜은, 안정적인 포텐셜을 제공할 수 있고 충전 회로가 속한 단말기 내에 있는 포트, 예컨대, 1.8V를 제공하는 포트일 수 있다.
이 구현 방식에서, 유선 연결 모듈(11)의 제2 입력/출력단(112)이 제1 충전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1 충전 신호의 전압이 안정적인 포텐셜의 전압보다 높기 때문에,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T5)과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T5)이 통전되고, 이로써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T5)은 안정적인 포텐셜에 의해 제공되는 안정적인 전압 신호를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12)에 출력한다. 안정적인 전압 신호가 하이 레벨 신호이므로, 무선 충전 모듈(12)은 제1 충전 신호만이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해 출력단(122)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금지한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18)는 저항 R6, 저항 R7, 및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 T6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6)은 스위치 회로(13)의 제2 출력단(134)에 연결되고,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6)은 저항 R7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접지되며,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T6)은 컨트롤러(17)의 제2 입력/출력단(172)에 연결되고,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저항 R6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포텐셜에 추가적으로 연결되며,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T6)은 접지된다.
선택적으로, 안정적인 포텐셜에 연결되기 위해 저항 R6에 의해 사용된 안정적인 포텐셜은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T5)이 전술한 구현 방식에서의 안정적인 포텐셜에 연결되기 위해 사용하는 동일한 전원 또는 동일한 포트일 수 있다.
이 구현 방식에서, 스위치 회로(13)가 제1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때, 스위치 회로(13)의 제2 출력단(134)은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즉,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하이 레벨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T6)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는 저항 R6가 안정적인 포텐셜 신호에 대해 전압 강하를 수행한 후에 획득된 신호이다. 따라서,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이 접지될 수 있도록, 즉,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 (T6)이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T6)과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T6)이 통전된다. 즉,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로우 레벨 신호를 컨트롤러(17)에 출력하고, 컨트롤러(17)는 그 다음에 제1 디스플레이 명령을 디스플레이 화면(19)에 전송하며, 디스플레이 화면(19)은 그 다음에 제1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화면(19)을 이용함으로써, 유선 충전기가 배터리를 충전 중이라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스위치 회로(13)가 제2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때, 스위치 회로(13)의 제2 출력단(134)은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즉,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T6)은 로우 레벨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T6)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는 저항 R6가 안정적인 포텐셜 신호에 대해 전압 강하를 수행한 후에 획득된 신호이다. 따라서,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T6)이 통전되지 않고,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T6)은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T6)은 하이 레벨 신호를 컨트롤러에 출력하고, 컨트롤러(17)는 그 다음에 제2 디스플레이 명령을 디스플레이 화면(19)에 전송하며, 디스플레이 화면(19)은 그 다음에 제2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화면(19)을 사용함으로써, 무선 충전기가 배터리를 충전 중이라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회로는 제1 정전기 보호 회로(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전기 보호 회로(21)는 커패시터 C2, 커패시터 C3, 및 정전기 보호 다이오드 D1을 포함한다. 여기서,
커패시터 C2의 일단은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에 연결되고, 커패시터 C2의 타단은 접지되며; 커패시터 C3의 일단은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에 연결되고, 커패시터 C3의 타단은 접지되며; 정전기 보호 다이오드 D1의 일단은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에 연결되고, 정전기 보호 다이오드 D1의 타단은 접지된다. 또한,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은 스위치 회로의 제2 입력단(132)에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정전기가 무선 충전 모듈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러한 구현 방식은 무선 충전 모듈(12)의 출력단(122)을 위한 정전기 보호를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회로는 제2 정전기 보호 회로(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정전기 보호 회로(22)는 정전기 보호 다이오드 D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전기 보호 다이오드 D2의 일단은 무선 충전 모듈(12)의 활성화단(121) 및 컨트롤러(17)의 제1 입력/출력단(171)에 연결되고, 정전기 보호 다이오드 D2의 타단은 접지된다.
정전기가 무선 충전 모듈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러한 구현 방식은 무선 충전 모듈(12)의 활성화단(121)을 위한 정전기 보호를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연결 모듈(11)은 접지되는 접지단(113)을 더 포함하고, 무선 충전 모듈(12)은 접지되는 접지단(123)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기를 더 제공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충전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과제 해결수단에서, 유선 연결 모듈의 제1 입력/출력단은 유선 충전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은 스위치 회로의 제1 입력단에 연결되며, 제2 입력/출력단은 션트 회로의 제1 입력/출력단에 추가적으로 연결되고; 제어 회로의 제1 입력단은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제어 회로의 출력단은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에 연결되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은 스위치 회로의 제2 입력단에 연결되고; 스위치 회로의 제1 출력단은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출력단에 연결되며; 션트 회로의 제2 입력/출력단은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션트 회로의 제3단은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충전 관리 모듈의 출력단은 배터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술한 회로는 단말기 배터리에 대한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로써 유선 충전 기술과 무선 충전 기술을 단말기 상에 어떻게 통합할지에 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위에서 개시된 것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일 뿐이고, 물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따라 이루어지는 등가의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Claims (12)

  1. 충전 회로(charging circuit)로서,
    충전 회로는 유선 연결 모듈(wired connection module), 무선 충전 모듈, 스위치 회로, 제어 회로, 션트(shunt) 회로, 및 충전 관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1 입력/출력단(input/output end)은 유선 충전기(wired charger)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은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1 입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입력/출력단은 상기 션트 회로의 제1 입력/출력단에 추가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 회로의 제1 입력단은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회로의 출력단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enabling end)에 연결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은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2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1 출력단은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션트 회로의 제2 입력/출력단은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션트 회로의 제3단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출력단은 배터리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충전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은 상기 유선 충전기에 의해 출력되는 제1 충전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충전 신호는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1 입력단,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1 출력단,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단, 및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출력단을 통과한 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션트 회로의 제3단이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에 의해 출력되는 제2 충전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충전 신호가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 상기 션트 회로의 제1 입력/출력단, 상기 션트 회로의 제2 입력/출력단,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단, 및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출력단을 통과한 후에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션트 회로의 제1 입력/출력단과 상기 션트 회로의 제2 입력/출력단이 통전되며; 상기 제1 충전 신호는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회로의 제1 입력단에 추가적으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 회로의 출력단은 상기 제어 회로의 제1 입력단이 상기 제1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때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하이 레벨 신호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에 전송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은 상기 하이 레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은 신호를 출력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무선 충전기에 의해 출력되는 제2 충전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은 로우 레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충전 신호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2 입력단,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1 출력단,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단, 및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출력단을 통과한 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 회로의 제3단이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션트 회로의 제3단이 보호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된다는 것인, 충전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P형 MOS 트랜지스터(P-type MOS transistor)를 포함하고,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각각의 그룹은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 및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보호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되거나; 또는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각각의 그룹은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 및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2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보호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충전 회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저항 R3, 저항 R4, 저항 R5, 및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N-type MOS transistor)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 R3의 일단은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저항 R3의 타단은 상기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저항 R4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저항 R4의 일단은 상기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저항 R4의 타단은 접지되며; 상기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안정적인 포텐셜(stable potential)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N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저항 R5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접지되는, 충전 회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회로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1 입력/출력단에 추가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1 입력/출력단은 추가적으로, 외부 장치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1 입력/출력단이 상기 외부 장치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하이 레벨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에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이 상기 하이 레벨 신호를 수신하는 때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상기 컨트롤러는 추가적으로,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충전 관리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전류가 상기 션트 회로의 제2 입력/출력단, 상기 션트 회로의 제1 입력/출력단,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2 입력/출력단, 및 상기 유선 연결 모듈의 제1 입력/출력단을 통과한 후 전력을 상기 외부 장치에 공급하는, 충전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회로는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display signal transmission circuit) 및 디스플레이 화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의 입력단은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2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의 출력단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2 입력/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입력단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3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스위치 회로가 제1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때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2 출력단을 이용하여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의 입력단이 상기 하이 레벨 신호를 수신하는 때 로우 레벨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출력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에 의해 전송된 상기 로우 레벨 신호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명령에 따라, 유선 충전이 상기 배터리에 대해 현재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제1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스위치 회로가 제2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때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2 출력단을 이용하여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의 입력단이 상기 로우 레벨 신호를 수신하는 때 하이 레벨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출력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에 의해 전송된 상기 하이 레벨 신호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명령에 따라, 무선 충전이 상기 배터리에 대해 현재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스위치 회로가 제1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때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2 출력단을 이용하여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의 입력단이 상기 로우 레벨 신호를 수신하는 때 하이 레벨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출력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에 의해 전송된 상기 하이 레벨 신호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명령에 따라, 유선 충전이 상기 배터리에 대해 현재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제1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스위치 회로가 제2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때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2 출력단을 이용하여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의 입력단이 상기 하이 레벨 신호를 수신하는 때 로우 레벨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출력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에 의해 전송된 상기 로우 레벨 신호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명령에 따라, 무선 충전이 상기 배터리에 대해 현재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제2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충전 회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회로는 저항 R1, 저항 R2, 및 커패시터 C1을 포함하고, 상기 저항 R1은 상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커패시터 C1은 상기 제1 P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저항 R2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과 상기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충전 회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회로는 저항 R6, 저항 R7, 및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스위치 회로의 제2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저항 R7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접지되며, 상기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2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저항 R6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포텐셜에 추가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N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접지되는, 충전 회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회로는 커패시터 C2, 커패시터 C3, 및 정전기 보호 다이오드(electrostatic protection diode) D1을 포함하는 제1 정전기 보호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 C2의 일단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커패시터 C2의 타단은 접지되며; 상기 커패시터 C3의 일단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커패시터 C3의 타단은 접지되며; 상기 정전기 보호 다이오드 D1의 일단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정전기 보호 다이오드 D1의 타단은 접지되는, 충전 회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회로는 정전기 보호 다이오드 D2를 포함하는 제2 정전기 보호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전기 보호 다이오드 D2의 일단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활성화단 및 상기 컨트롤러의 제1 입력/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정전기 보호 다이오드 D2의 타단은 접지되는, 충전 회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단말기.
KR1020167025012A 2014-03-04 2014-03-04 충전 회로 및 단말기 KR101902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72867 WO2015131335A1 (zh) 2014-03-04 2014-03-04 一种充电电路和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851A true KR20160119851A (ko) 2016-10-14
KR101902951B1 KR101902951B1 (ko) 2018-10-01

Family

ID=53350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012A KR101902951B1 (ko) 2014-03-04 2014-03-04 충전 회로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41774B2 (ko)
EP (1) EP3098931B1 (ko)
JP (1) JP6304789B2 (ko)
KR (1) KR101902951B1 (ko)
CN (1) CN104704704B (ko)
WO (1) WO20151313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55350B (zh) * 2016-11-24 2019-04-12 上海电机学院 一种包含无线充电保护套和无线充电系统的装置
CN106786949A (zh) * 2017-01-03 2017-05-31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终端设备及其对外充电方法
CN107492934B (zh) * 2017-09-19 2024-01-30 上海丹焱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供电电路的电子装置
CN107623352A (zh) * 2017-09-26 2018-01-23 深圳市东宇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8155683A (zh) * 2017-12-07 2018-06-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充电状态的提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09948767A (zh) * 2018-02-01 2019-06-28 华为技术有限公司 存储卡和终端
CN110571895A (zh) * 2018-05-18 2019-12-13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和控制电路
WO2019242020A1 (zh) * 2018-06-22 2019-12-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充电装置、移动终端和充电控制方法
US10821848B2 (en) * 2018-07-30 2020-11-03 7hugs Labs SAS Charging station for tracked mobile object
CN109149697B (zh) * 2018-09-10 2022-06-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充电电路及电子设备
CN109494845B (zh) * 2018-12-29 2021-06-29 广东逸动科技有限公司 负载驱动控制系统
CN110048478B (zh) * 2019-04-22 2024-05-17 上海芯荃微电子科技有限公司 有反接保护的应急电源驱动电路
CN110224497A (zh) * 2019-05-06 2019-09-10 南京睿赫电子有限公司 一种高集成线性充电稳压电路及其应用
CN110212610A (zh) * 2019-06-21 2019-09-06 深圳无限续航科技有限公司 一种共享充电器用电路及其工作方法
CN111262301B (zh) * 2020-03-12 2023-04-07 福建飞毛腿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充电管理模块
JP2021164370A (ja) * 2020-04-02 2021-10-11 キヤノン株式会社 受電装置、電子機器、送電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811106B (zh) * 2020-08-18 2023-10-31 荣耀终端有限公司 充电电路、充电芯片、电子设备及充电方法
CN113725966A (zh) * 2021-08-19 2021-11-30 乐歌人体工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外置直流电源的无线充电器及充电方法
CN114421578B (zh) * 2022-03-28 2022-06-21 成都万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类设备的充电管理系统及方法
WO2023230808A1 (en) * 2022-05-31 2023-12-07 Renesas Electronics America Inc. Multi path battery charger
CN114865754B (zh) * 2022-07-06 2022-11-25 荣耀终端有限公司 充电电路、充电芯片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6956B1 (en) 1999-10-22 2001-11-13 Motorola, Inc. Multiple redundant reliability enhancement method for integrated circuits and transistors
JP2003134699A (ja) 2001-10-26 2003-05-09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及び充電装置
US20050141154A1 (en) * 2003-12-03 2005-06-30 Atwood Industries, Inc. Power averaging and power load management system
JP4345570B2 (ja) 2004-05-14 2009-10-14 ソニー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20060103355A1 (en) * 2004-11-16 2006-05-18 Joseph Patino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charging a battery
JP4777155B2 (ja) 2006-06-15 2011-09-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非接触型充電器及び非接触充電システム
US8049460B2 (en) * 2007-07-18 2011-11-01 Tesla Motors, Inc. Voltage dividing vehicle heater system and method
CN201478885U (zh) 2009-06-04 2010-05-19 速得股份有限公司 充电装置
CN101707384A (zh) 2009-11-25 2010-05-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兼容有线充电和无线充电的系统及方法
KR101241221B1 (ko) 2010-12-06 2013-03-13 주식회사 이지트로닉스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용 충전 장치
KR101727495B1 (ko) 2010-12-28 201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255904B1 (ko) 2011-05-04 2013-04-17 삼성전기주식회사 유무선 전력 충전 장치 및 방법
JP6047911B2 (ja) 2011-12-22 2016-12-2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給電システム
CN103296705B (zh) * 2012-03-01 2016-09-14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终端的充放电方法以及充放电终端
KR20130118413A (ko) * 2012-04-20 201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무선 충전 장치 및 회로
KR101920236B1 (ko) 2012-06-19 2018-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3002158A (zh) 2012-12-21 2013-03-27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终端和终端充电的管理方法
CN103545881A (zh) 2013-09-30 2014-01-29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电池供电的无线通信设备及识别电池充电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31335A1 (zh) 2015-09-11
EP3098931B1 (en) 2019-09-11
KR101902951B1 (ko) 2018-10-01
JP6304789B2 (ja) 2018-04-04
CN104704704B (zh) 2017-09-19
EP3098931A4 (en) 2017-05-10
CN104704704A (zh) 2015-06-10
EP3098931A1 (en) 2016-11-30
US20170077743A1 (en) 2017-03-16
US10141774B2 (en) 2018-11-27
JP2017512454A (ja)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951B1 (ko) 충전 회로 및 단말기
CN202797874U (zh) 一种过压保护电路及移动终端
US9654005B2 (en) Battery charge and discharge management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923705B2 (en) Battery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9906059B2 (en) Charge and discharge management system and movable power source using the same
US20160336761A1 (en) Electronic device, charger within the electronic device, and detecting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status of connector of electronic device
US10658860B2 (en) Electronic device, charger within the electronic device, and detecting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status of connector of electronic device
US20120166697A1 (en) Electronic device with power output function
US20130181660A1 (en) Charge control circuit for usb device
CN103166208B (zh) 抑制浪涌电流的供电电路
CN104239240A (zh) 具有整合功能usb接口的电子装置
US9257854B2 (en) Electronic device and protection circuit thereof
US8970175B2 (en) Charging circuit employing a southbridge microchip to control charging when the electronic apparatus is shut down
CN113949167B (zh) 一种充电装置及电子设备
CN111149298A (zh) 用于使低电压电路系统与高电压电路系统解耦的保护电路
US20150185817A1 (en) Charging circuit for usb interface
CN210927185U (zh) 一种移动电源
CN109752686B (zh) 一种按键控制电路及定位标签
US20140247015A1 (en) Battery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40217994A1 (en) Electronic device with fast charging circuit
JP2015207155A (ja) 電子装置
US20170179743A1 (en) Charge-discharge module
CN211958804U (zh) 一种多功能充电装置及系统
CN112350390B (zh) 充电电路、充电芯片、终端和充电系统
US20150180256A1 (en) Charge devices and charge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