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819A - 개똥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염증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똥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염증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819A
KR20160118819A KR1020150047586A KR20150047586A KR20160118819A KR 20160118819 A KR20160118819 A KR 20160118819A KR 1020150047586 A KR1020150047586 A KR 1020150047586A KR 20150047586 A KR20150047586 A KR 20150047586A KR 20160118819 A KR20160118819 A KR 20160118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leaf
present
l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구섭
박재호
오경열
이영섭
김경은
구영민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47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8819A/ko
Publication of KR20160118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똥쑥 잎(Artemisia annua leaf)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염증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개똥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염증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steatohepatitis comprising extract of Artemisia annua leaf}
본 발명은 간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개똥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개똥쑥(Artemisia annua L.)은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열대 아시아 원산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개똥쑥의 지상부를 해열제, 지혈제, 피부병 치료제, 살충제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개똥쑥의 주요 성분인 아테미시닌(artemisinin)과 그 유도체는 중국과 인도에서 열성 질환과 말라라아 치료제로 오래전부터 널리 사용되어 왔고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갖고 있다.
현재 개똥쑥은 항암효과, 피로회복, 면역력강화 및 항당뇨 효과등 다양한 약리효과로 인해 전국의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고, 상용화된 다양한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다. 특히 개똥쑥 추출물이 지방축적을 억제하여 비만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단순히 지방이 축적되는 지방간은 치료할 수 있지만 염증으로 발전하여 간섬유화가 진행되면 치료가 어려운데 이와 같이 지방간염이나 간섬유화에 대한 개똥쑥 잎 추출물의 치료효과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19822호는 개똥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간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개똥쑥 추출물이 지방축적 억제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을 뿐 항염증 효과에 대한 데이터는 제시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똥쑥 잎 추출물 유래의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개똥쑥 잎(Artemisia annua leaf)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염증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개똥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염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개똥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섬유화 치료제가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똥쑥 잎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간염증 또는 간섬유화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똥쑥 잎 추출물을 고지방식이 동물 모델에 적용하여 간염증 또는 간섬유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똥쑥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인 라미넥틴(rhamnetin), 미리세틴(myricetin) 및 크리소스플레놀 D(chrysosplenol D)의 구조식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우스 실험군의 글루코스 내성을 실험한 그래프(A)이고 인슐린 내성을 실험한 그래프(B)이며 혈액샘플로부터 혈청을 분석한 그래프(C)이고 간기능을 측정한 그래프(D 및 E)이며 혈중 총콜레스테롤을 분석한 그래프이다(F).
도 4는 고지방식이(HFD-fed) 마우스 실험군의 간염증에 대한 개똥쑥 잎 추출물의 효과를 관찰한 것으로 간 HMGB1과 RAGE의 웨스턴 블랏 겔 사진 및 HMGB1/β-actin 또는 RAGE/β-actin의 정량분석 그래프(A)이고 간 COX-2의 웨스턴 블랏 겔 사진 및 COX-2/β-actin의 정량분석 그래프이다(B).
도 5는 고지방식이(HFD-fed) 마우스 실험군의 간섬유화에 대한 개똥쑥 잎 추출물의 효과를 관찰한 것으로 간 TGF-β1의 웨스턴 블랏 겔 사진 및 TGF-β1/β-actin의 정량분석 그래프(A)이고 간 CTGF의 웨스턴 블랏 겔 사진 및 CTGF/β-actin의 정량분석 그래프(B)이며 마우스 실험군의 간 콜라겐 수준을 측정한 그래프이다(C).
용어의 정의: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똥쑥(Artemisia annua L. AA)"은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 풀로 잔잎쑥 또는 개땅쑥이라고도 한다. 높이 약 1m로 성장하며 길가나 빈터, 강가에서 자란다. 풀 전체에 털이 없고 특이한 냄새가 나고 줄기는 녹색으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간염증(steatohepatitis)"은 간에 생긴 염증을 말하는 것으로 간염이라고 하며 간 질환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생기는 간염을 바이러스성 간염이라고 한다. 현재까지 간염바이러스로는 A형, B형, C형, D형, E형 및 G형간염바이러스가 알려져 있으며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더라도 파라세타몰(paracetamol)이나 아목시실린(amoxycillin) 같은 약물을 복용하거나 아마니타(Amanita) 등 독버섯에 있는 성분을 섭취한 경우, 또는 알코올에 의해서도 간염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B형 간염(hepatitis)과 같은 바이러스나 알코올 또는 약에 의한 간염을 제외한 지방간염(steatohepatitis) 모델을 사용하였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간섬유화(liver fibrosis)"는 간세포 주위에 딱딱하고 가는 실 같은 단백질이 증가하여 간세포를 둘러싸 조이게 되는 것으로 간세포가 괴사하지만 염증세포의 침투는 없는 것을 말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개똥쑥 잎(Artemisia annua leaf)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염증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개똥쑥 잎 추출물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개똥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염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개똥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섬유화 치료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고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등이 포함되며, 상기 부형제는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0.01 내지500mg/㎏의 양,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m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고 추출물로부터 얻은 녹차씨앗 추출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랫트,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고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비경구 투여 시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주사, 자궁내 경막주사, 뇌혈관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고,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랫트에 경구 투여, 복강 내 투여 및 피하 주사시의 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복강 내 투여 독성시험에 의한 50% 치사량(LD50)은 적어도 치료제 500 m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개똥쑥이 말라리아 치료제로 잘 알려져 있지만 간염증이나 간섬유화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이를 착안하여 공기건조한 개똥쑥 잎을 마쇄한 분말로부터 개똥쑥 잎 추출물을 추출하고 물질을 분리하여 동물모델에 투여한 결과 항염증작용을 통한 간섬유화 진행의 감소를 증명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도 1).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식물 재료 및 시약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똥쑥(Artemisia annua L. AA) 잎으로 부터 추출물은 추출하기 위한 재료와 시약을 준비하였다.
구체적으로, 개똥쑥(AA)은 2013년 6월에 산청군의 농장에서 구매하여 오직 잎만을 수득하였고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상온에서 3일 동안 공기건조(air-dry)하였다. HPLC-등급수,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실리카 겔(70-230 및 230-400 메쉬) 및 F254 TLC 플레이트는 Merck(Darmstadt, Germany)에서 구매하였고 메탄올(methanol), 아세톤(aceto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및 n-헥산(n-hexane)은 SK 케미컬(Ulsan, South Korea)에서 구매하였다.
실시예 2: 개똥쑥 잎 추출물의 준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건조한 개똥쑥 잎(leaves)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건조한 개똥쑥 잎은 마쇄기(mill)를 이용하여 미세분말로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된 개똥쑥 잎(1 g)은 80% 에탄올 혼합액 20 ㎖을 이용하여 25℃조건에서 4시간동안 진탕기(mechanical shaker)에서 연속 교반(continuous agitation)하여 추출하였다. 그 후 상등액을 원심분리(4500 ㅧg, 5분)하였고 분석하기 전에 시린지 필터(0.22 ㎛)를 통해 여과하였으며 분액은 필터 후 사용하였다.
실시예 3: 크로마토그래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똥쑥 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크로마토그래피는 2.1 ㅧ 100 mm, 1.7-㎛ ACQUITY BEH C18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컬럼 온도는 35℃를 유지하였고 이동상(mobile phases) A와 B는 0.1% 포름산을 첨가한 탈 이온수(deionized water)와 0.1% 포름산을 첨가한 아세토나이트릴을 각각 사용하였다. 질량분석기는 양 이온(positive ion) 모드에서 작동시켰고 탈용매화(desolvation) 가스로 질소(N2)를 사용하였다. 탈용매화 온도는 500 L/h의 유량(flow rate)에서 350℃로 세팅하였고 소스(source) 온도는 100℃로 조정하였다. 모세관(capillary) 및 콘 전압(cone voltages)은 각각 2700 및 30 V로 사용하였고 0.25-s 스캔시간과 0.01-s 인터스캔 지연(interscan delay) 조건으로 각 샘플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실시예 4: 개똥쑥의 구조 식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출한 개똥쑥 잎 추출물로부터 측정물질을 분리하고 구조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CDCl3, DMSO-d6 및 acetone-d6의 Bruker AM 500 분광기(spectrometer)를 사용하여 일차원 및 이차원 NMR 데이터를 얻었고 JEOLJMS-700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전자 이온화 질량분석법(EI-MS)을 수행하였다. Waters ACQUITY Q-TOF UPLC/MS 시스템은 광 다이오드 어레이(PDA 2996, Waters, Milford, MA, USA)탐지기가 온라인으로 결합되었고 MS 조절 및 스펙트럼 처리는 Masslynx 소프트웨어(version 4.1, Waters)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개똥쑥의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s) 및 플라보노이드(flavonoids)의 분리는 Waters ACQUITY BEH C18 컬럼(1.7 ㎛, 2.1 ㅧ 100 mm)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Alexei et al., C.R.Chomie. 17, 232-241, 2014).
그 결과, 개똥쑥에서 추출된 화합물은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로 라미넥틴(rhamnetin), 미리세틴(myricetin) 및 크리소스플레놀 D(chrysosplenol D)로 나타났다(도 2A, B 및 C). 상기 화합물의 NMR 분광 데이터(500 MHz, DMSO)를 포함한 구조적 특성을 하기 표 1에 표시하였다.
탄소수 1.Rhamnetin 2.Myricetin 3.Chrysosplenol
δC δH(J in Hz) δC δH(J in Hz) δC δH(J in Hz)
2 147.1 - 147.3 - 152.1 -
3 136.1 - 136.8 - 138.1 -
4 175.8 - 176.2 - 178.7 -
5 156.2 - 161.2 - 152.2 -
6 97.4 6.34,d(1.97) 98.6 6.19,d(2.1) 132.0 -
7 164.1 - 164.4 - 159.1 -
8 91.7 6.72,d(1.97) 93.7 6.38,d(2.1) 91.7 6.86,s
9 160.5 - 156.5 - 156.5 -
10 106.0 - 103.4 - 106.0 -
1 121.2 - 121.2 - 121.2 -
2 115.3 7.71,d(2.1) 107.6 7.27, s 116.2 7.61,d(2.1)
3 145.8 - 164.2 - 145.8 -
4 146.9 - 146.2 - 149.4 -
5 115.2 6.90,d(8.5) 146.2 - 116.0 6.92,d(8.5)
6 121.0 7.51,dd(8.5,2.1) 107.6 7.27, s 121.1 7.50,dd(8.5,2.1)
3- OCH3 - - - - 60.1 3.80, s
6- OCH3 - - - - 60.5 3.73, s
7- OCH3 56.9 3.89, s - - 56.9 3.92, s
실시예 5: 글루코스 내성 실험 및 인슐린 내성 실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똥쑥 잎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마우스 실험군을 대상으로 글루코스 및 인슐린 내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글루코스 내성 실험(glucose tolerance test, GTT)을 위해 마우스는 실험 전 하룻밤동안(16 h) 금식 후 D-글루코스(2 g/kg;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를 복강 내 주입하였고 혈액 샘플은 글루코스 주입 전 그리고 주입 후 30, 60, 90 및 120분 경과시점에서 수집하였다. 또한 인슐린 내성 실험(insulin tolerance test, ITT)은 오후 2시에 0.9% 생리식염수 0.1 mL를 첨가한 Humulin-R 인슐린(0.75 U/kg; Eli Lilly, Indianapolis, IN, USA)을 마우스에 주입하여 수행하였고 혈액 샘플은 인슐린 주입 전 그리고 주입 후 15, 30, 45 및 60분 경과시점에서 수집하였다. 상기 혈액 샘플의 혈당치는 Accu-Chek 혈당측정기(Roche Diagnostics, Mannheim, Germany)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지방식이(HFD-fed) 마우스 실험군과 비교하여 고지방+추출물식이(HFD+AA-fed) 마우스 실험군의 혈당치가 급격히 감소한 것을 관찰하였다(도 3A). 또한 개똥쑥 잎 추출물의 투여는 인슐린 주입시 글루코스 내성을 증가시켰고 고지방+추출물식이(HFD+AA-fed) 마우스 실험군은 감소된 혈당치를 나타내었다(도 3B). 아울러, 고지방식이(HFD-fed) 마우스 실험군의 고인슐린증(hyperinsulinemia)은 개똥쑥 잎 추출물의 투여로 급격히 감소하였다(도 3C).
실시예 6: 혈청 분석(serum analys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똥쑥 잎 추출물이 고지방식이(HFD-fed) 마우스 실험군의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혈액샘플로부터 혈청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혈청 분석을 위해 동물용 마취제인 졸레틸(5 mg/kg; Virbac Laboratories, Carros, France)을 근육 내 주입하였고 혈액 샘플(그룹 당 n = 10 마리) 경심관류(transcardially)를 통해 추출하여 응혈반응을 위해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원심분리를 통해 상기 샘플의 혈청을 분리하였고 -80℃에 보관하였다. 혈청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레이즈(AST),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레이즈(ALT) 및 총 콜레스테롤 수준은 녹십자 기준 실험실(Yongin-si, South Korea)에서 수행한 효소 비색 분석(enzymatic colorimetric assays)으로 결정되었고 혈청 인슐린 농도는 마우스 인슐린(Shibayagi Co., Gunma, Japan)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AST 및 ALT 농도는 정상식이(ND-fed) 마우스 실험군에서 보다 고지방식이(HFD-fed) 마우스 실험군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고지방+추출물식이(HFD+AA-fed) 마우스 실험군에서는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3D 및 E). 또한 고지방식이(HFD-fed) 마우스 실험군의 혈중 총콜레스테롤은 개똥쑥 잎 추출물의 투여로 현저히 감소한 것을 관찰하였다(도 3F).
실시예 7: 웨스턴 블랏(western blo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지방-유도 간 섬유증(fibrosis)에 대한 개똥쑥 잎 추출물의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TGF-β1 및 CTGF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동결 간 조직은 용해 완충액(15 mM HEPES[pH 7.9], 0.25 M 수크로스, 60 mM KCl, 10 mM NaCl, 1 mM 에틸렌 글리콜테트라 아세트산(EGTA), 1 mM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PMSF) 및 2 mM NaF으로 균질화하였고 β-actin과 p84는 각각 세포질과 핵 추출물을 위한 내부 표준(internal controls)으로 사용하였다. 단백질은 향상된 화학 발광 기질(Pierce, Rockford, IL, USA)을 사용하여 검출 하였고 농도계 분석(densitometry analysis)은 멀티-게이지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버전 3.0; Fujifilm, Tokyo, Japan)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간염증 관련 주요 인자인 HMGB1 및 RAGE의 발현은 정상식이(ND-fed) 마우스 실험군에서 보다 고지방식이(HFD-fed) 마우스 실험군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개똥쑥 잎 추출물의 투여로 HMGB1의 발현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고지방식이(HFD-fed) 마우스 실험군에서 RAGE의 발현은 개똥쑥 잎 추출물의 투여로 현저히 감소하지 않았다(도 4A). 또한 Hepatic cyclooxygenase-2(COX-2)의 발현은 정상식이(ND-fed) 마우스 실험군에서 보다 고지방식이(HFD-fed) 마우스 실험군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개똥쑥 잎 추출물의 투여로 COX-2의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였다(도 4B). 아울러 정상식이(ND-fed) 마우스 실험군에서 보다 고지방식이(HFD-fed) 마우스 실험군에서 TGF-β1 및 CTGF의 발현이 높게 나타내었으며 개똥쑥 잎 추출물의 투여로 발현이 감소하였다(도 5A 및 B). 또한 개똥쑥 잎 추출물의 투여로 고지방-유도 간 콜라겐 침착(hepatic collagen deposition)이 감소한 것을 관찰하였다(도 5C). 상기 웨스턴 블랏 분석에 사용된 주요항체를 하기 표 2에 표시하였다.
항체 회사 카탈로그 번호 희석배수 적용 소스
HMGB1 abcam ab18256 1:1000 웨스턴블랏 Rabbit
RAGE Santa Cruz sc-5563 1:1000 웨스턴블랏 Rabbit
CTGF abcam ab6992 1:1000 웨스턴블랏 Rabbit
TGF β1 Santa Cruz sc-146 1:1000 웨스턴블랏 Rabbit
COX-2 Cayman 160126 1:1000 웨스턴블랏 Rabbit
p84 abcam ab487 1:1000 웨스턴블랏 Mouse
β-actin Sigma A5441 1:1000 웨스턴블랏 Mouse
결론적으로 개똥쑥 잎 추출물은 고지방식이에 의해 수반되는 인슐린저항성을 개선시키며, 혈당 강하로 인해 간염증(steatohepatitis)과 간섬유화(hepatic fibrosis)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개똥쑥 잎(Artemisia annua leaf)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염증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똥쑥 잎 추출물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염증 치료용 조성물.
  3. 개똥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염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4. 개똥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섬유화 치료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똥쑥 잎 추출물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섬유화 치료용 조성물.
KR1020150047586A 2015-04-03 2015-04-03 개똥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염증 치료용 조성물 KR20160118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586A KR20160118819A (ko) 2015-04-03 2015-04-03 개똥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염증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586A KR20160118819A (ko) 2015-04-03 2015-04-03 개똥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염증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819A true KR20160118819A (ko) 2016-10-12

Family

ID=57173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586A KR20160118819A (ko) 2015-04-03 2015-04-03 개똥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염증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88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828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지앤피바이오사이언스 개똥쑥 추출물, 후박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비만 및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828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지앤피바이오사이언스 개똥쑥 추출물, 후박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비만 및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Prediction of anti-tumor chemical probes of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mula by HPLC fingerprinting combined with molecular docking
Chen et al. Phenolic extract from Sonchus oleraceus L. protects diabetes‐related liver injury in rats through TLR4/NF‐κB signaling pathway
Choi et al. In vivo gastroprotective effect along with pharmacokinetics, tissue distribution and metabolism of isoliquiritigenin in mice
KR20120134166A (ko) 미량 진세노사이드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JP2004359661A (ja) Solanum属の植物由来の水溶性抽出物およびそれらの調製方法、ならびに水溶性抽出物を含む薬学的組成物
Tang et al.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citrus peel extract in lipopolysaccharide-induced acute lung injury combined with Pinelliae Rhizoma Praeparatum
Salem et al. Metabolomics driven analysis of Nigella sativa seeds identifies the impact of roasting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immunomodulatory activity
EP2083806B1 (en) Use of an anti-cancer compound
US11096979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diseases, containing licorice extract containing glycyrrhizin and liquiritin
KR100827938B1 (ko) 단삼 정제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간 보호 및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증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160118819A (ko) 개똥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염증 치료용 조성물
Deng et al.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novel schisanhenol derivatives as potential hepatoprotective agents
KR101537856B1 (ko) 인삼 유래의 진세노사이드 Rb1의 함량이 증강된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752247B1 (ko) 부처손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47696B1 (ko)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31044A (ko) 호박벌 여왕벌의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을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KR100830186B1 (ko) 황금 정제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간 보호 및 간경변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72425B1 (ko) 사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쇼그렌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40009239A1 (en) Use of anoectochilus formosanus plant extracts and their derived fractions as herbal medicines or nutraceutical supplements for chemoprevention or treatment of human malignancies
KR101794924B1 (ko) 퉁퉁마디 유래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이소람네틴의 분리방법
KR20200019120A (ko) 포유류의 다양한 유형의 암을 예방 및 또는 치료하는 면역-표적 화학치료제로서의 코모사인의 미니유전자의 발현 및 클로닝
KR102153250B1 (ko) 클로로겐산을 표준물질로 함유하는 블루베리의 항염증 조성물
KR102346511B1 (ko) 타라곤(Tarragon, Little Dragon, Mugwort, Estragon)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1508334B1 (en) Water soluble extract from plant of solanum genus and the preparation process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water soluble extract
KR20170104776A (ko) 넓은 미역쇠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