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587A - 3d 회로부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d 회로부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587A
KR20160118587A KR1020150046922A KR20150046922A KR20160118587A KR 20160118587 A KR20160118587 A KR 20160118587A KR 1020150046922 A KR1020150046922 A KR 1020150046922A KR 20150046922 A KR20150046922 A KR 20150046922A KR 20160118587 A KR20160118587 A KR 20160118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pattern
conductive polymer
laser
manufactur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찬
윤해룡
Original Assignee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46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8587A/ko
Publication of KR20160118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05K3/0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the conductive material being removed by electric discharge, e.g. by spark ero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0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conversion of non-conductive material on or in the support into conductive material, e.g. by using an energy b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3D 회로부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플라스틱 수지로 비전도성 본체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 비전도성 본체의 외부 표면에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회로패턴에 전도성 폴리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회로패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전도성 폴리머를 비전도성 본체에 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3D 회로부품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3D 회로부품 제조방법 { MANUFACTURING METHOD OF 3D CIRCUIT DEVICE }
본 발명은 3D 회로부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비전도성 재료의 표면에 전도성 재료를 분사 용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전자기기는 사용자의 안전 및 편리성을 위해서 수많은 센서 및 전자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시간이 갈수록 더욱 지능화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의 지능화는 센서, 버튼, 플러그, 연결 단자 등의 수많은 전기 신호를 빠른 시간에 제어해야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서는 수많은 배선이 필요하며, 배선의 직접화가 필수적이다.
기존의 자동차의 전장 제품 및 각종 전자제품에서는 신호 및 전력을 별도의 배선과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함은 물론 수작업으로 조립되어야 하며, 다수의 공정을 거쳐 조립되어 많은 노동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 들어, 3D-AMIDs(3D Additive Molded Interconnect Devices) 기술이 부상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PCB와 각종 배선을 사출 성형으로 제작된 플라스틱 부품의 표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전자 회로를 직접 주사 및 도금을 함으로써 기존의 배선을 대체하는 공정 기술이다.
이 방식은 일체화된 3차원 기계 도면과 2차원 전자회로 도면을 이용하여 기계 부품 및 전자 회로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전자 회로를 사출 부품의 표면에 입히기 위해서 기계 부품을 레이저 등으로 표면 처리를 해야 하며, 최종적으로 도금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도 1은 레이저 식각 방식의 회로부품 제조공정도이다.
레이저 식각 (LDS;Laser Direct structuring) 방식은 전도성 재료와 비전도성 재료가 혼합된 재료를 원하는 형상으로 사출한 후 재료의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비전도성 물질을 제거하고 전도성 물질만 표면에 남게 하여 전도성 물질에 도금을 하는 방식이다.
상기 LDS 방식은 플라스틱 표면에 도금을 하기 위하여 전도성 물질과 비전도성 물질인 열가소성 수지를 혼합한 후 레이저로 식각하여 회로패턴을 형성하고, 형성된 회로패턴에 전도성 물질의 씨드를 도금하여 최종 회로를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 LDS 방식은 도금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즉, LDS 방식으로 회로를 제작할 경우 비전해 도금을 하는데 도금 씨드가 미세하게 표면에 있기 때문에 여러 공정의 도금 절차를 거처여야만 도금이 가능할 뿐 아니라 레이저로 식각하여 회로패턴을 형성하더라도 도금을 하지 않고서는 사용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중합체 수지를 사출 성형하고, 회로를 형성하고, 접착 촉진제 도포 및 무전해 도금하고, 전구 소켓 및 스위치 접점을 마련하는 스위치 조립체의 제조 과정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공개공보 WO99/28161 (1999년 06월 10일 공개)
종래 기술에 따른 3D 회로부품 제조방법은 회로패턴의 식각 및 도금작업이 번거롭게 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보다 간편하게 플라스틱 사출 본체의 표면에 회로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3D 회로부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3D 회로부품 제조방법은 플라스틱 수지로 비전도성 본체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 비전도성 본체의 외부 표면에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회로패턴에 전도성 폴리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회로패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전도성 폴리머를 비전도성 본체에 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D 회로부품 제조방법은 상기 플라스틱 수지로 비전도성 본체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에서 플라스틱 용융온도가 200℃~2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D 회로부품 제조방법은 상기 회로패턴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사용온도가 190℃~2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D 회로부품 제조방법은 상기 회로패턴에 도포되는 전도성 폴리머의 적층 두께는 200㎛~4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D 회로부품 제조방법은 상기 회로패턴에 도포되는 전도성 폴리머가 구리와 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D 회로부품 제조방법은 상기 회로패턴에 도포되는 전도성 폴리머의 평균직경이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D 회로부품 제조방법은 상기 회로패턴에 도포되는 전도성 폴리머의 사용온도가 300℃~4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D 회로부품 제조방법에 의하면, 비전도성 본체를 사출 성형한 후 회로패턴을 형성하고, 도전성 폴리머를 도포한 후 레이저로 융착하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3D 회로부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되므로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레이저 식각 방식의 회로부품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D 회로부품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D 회로부품 제조방법의 제조공정도,
도 4는 3D 프린팅 장치의 토출부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회로부품의 레이저 파워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동 실시 예에 따른 3D 회로부품의 전도성 폴리머의 성분 함량을 분석한 사진 및 그래프,
도 7은 동 실시 예에 따른 3D 회로부품의 회로패턴을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3D 회로부품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D 회로부품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D 회로부품 제조방법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D 회로부품 제조방법은
플라스틱 수지로 비전도성 본체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 비전도성 본체의 외부 표면에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회로패턴에 전도성 폴리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회로패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전도성 폴리머를 비전도성 본체에 용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플라스틱 수지로 비전도성 본체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에서 플라스틱 용융온도는 200℃~230℃가 바람직하고, 레이저의 사용온는 190℃~230℃가 바람직하다.
또한, 회로패턴에 도포되는 전도성 폴리머의 적층 두께는 200㎛~400㎛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도성 폴리머는 구리와 철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전도성 폴리머의 크기는 평균직경 1㎛~10㎛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성 폴리머의 입자가 작으면 용융 후 응착과정에서 표면으로 분포시키는 데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상기 전도성 폴리머의 사용온도는 300℃~400℃의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플라스틱 수지로 사출 성형된 비전도성 본체에 레이저를 조사할 때에 용융되지 않고 고체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실시 예]
실시 예에서 3D 프린팅 장치의 토출부는 FDM 방식을 채택하여 개발하였다.
FDM 방식은 ABS, PLA 과 같은 열 가소성 수지를 용하여 토출하여 구조물을 제작하는 3D 프린팅 방식이다.
도 4는 3D 프린팅 장치의 토출부의 개략도이다.
토출부의 시스템에는 온도컨트롤러 공압 컨트롤러의 2가지 컨트롤 시스템이 있다.
온도 컨트롤 시스템은 재료를 녹이기 위해 실린지의 온도를 컨트롤하여 재료를 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고, 공압 컨트롤 시스템은 실린지의 재료를 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실시 예에서 공압 컨트롤 시스템은 IEI(Iwashita Engineering, Inc)의 ACCURA 8DX 디스펜서(Disepensers)를 사용하였다.
ACCURA 8DX는 재료의 잔량 표시가 가능하고 진공 전용 레귤레이터가 장착되어 있어 진공 압력의 디지털 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온도 컨트롤 시스템은 IEI(Iwashita Engineering, Inc)의 TCD200EX 모델을 사용하였다.
실시 예에서는 총 2가지 재료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구조물을 열 가소성 수지인 ABS를 사용하여 구조물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전도성 소재인 전도성 폴리머 Coreron-A4 (POLYMERITS.CO)를 사용하였다.
구조물의 제작은 제작물 표면에 전도성 폴리머를 도포한 후 레이저를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였다.
전도성 폴리머를 열가소성 수지(ABS)를 도포한 후 레이저의 식각을 통해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되는 과정에서 전도성 폴리머가 ABS에 흡착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3D 회로부품을 제작하였다.
또한, 실시 예에서 레이저의 파워에 따른 전도성 폴리머의 응착률과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 예에서 사용된 CO2 레이저는 60W 급의 레이저이다.
60W 급 레이저의 1%~7% 의 파워에 따른 응착률과 전기 전도도를 측정 하였다.
실시 예에서는 열 가소성 수지 표면에 길이 12mm 의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패턴을 제작한 후 CO2 레이저의 파워 별로 길이에 따른 저항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또한 길이 15mm 두께 1mm 의 선의 저항도 CO2 레이저의 파워별로 측정하였다.
상기 레이저 파워별 측정 결과는 도 5와 같다.
그리고 또한 열 가소성 수지 표면에 전도성 폴리머의 응착을 관찰하기 위해 SEM 을 이용해 촬영하였다.
ABS 표면위에 응착된 전도성 폴리머의 성분인 Cu와 Fe에 대한 성분 함량을 분석한 데이터는 도 6 과 표 1에 나타나 있다.
(a) 1% 표면 파우더 구성
Elt. Line Atomic % Conc Units
Fe Ka 2.632 0.774 wt.%
Cu Ka 2.511 0.840 wt.%
Au La 94.857 98.386 wt.%
100.000 100.000 wt.% Total
(b) 3% 표면 파우더 구성
Elt. Line Atomic % Conc Unis
Fe Ka 4.965 1.502 wt.%
Cu Ka 4.057 1.397 wt.%
Au La 90.978 97.101 wt.%
100.000 100.000 wt.% Total
(b) 5% 표면 파우더 구성
Elt. Line Atomic % Conc Units
Fe Ka 3.881 1.146 wt.%
Cu Ka 1.727 0.580 wt.%
Au La 94.392 98.274 wt.%
100.000 100.000 wt.% Total
성분 분석에 따르면 레이저의 파워에 따라 Cu 와 Fe 의 성분이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Cu 와 Fe는 전기 전도도에 많을 영향을 주는 인자이다.
이는 열가소성 수지(비전도성 물질) 표면에 도금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로서 성분이 많이 들어갈수록 전기 전도도가 뛰어나 도금을 하기 쉽다.
실시 예에서는 3 차원 열 가소성 수지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물질을 도포하여 레이저의 파워에 따른 응착률과 표면에 대해 관찰하였다.
상기 실시 예를 통해 LDS 방식에서 벗어나 다른 방식의 도금 씨드 방식을 개발하는데 큰 성과를 이루었고, 도 7과 같은 회로 패턴을 가지는 도금 씨드를 형성하였다.
이는 기존의 LDS 방식보다 큰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도금 씨드를 제작하여 회로 도금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제작한 것이다.
상기 실시 예를 통해 도금 씨드 형성에 있어서 레이저의 파워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 물질의 응착률과 재료에 성분을 분석하고, 도금을 하기 위해서 레이저 파워에 따른 표면을 측정하여 도금을 하기 위한 최적의 데이터를 얻었다.
전도성 폴리머에 포함되어 있는 전도성 물질이 레이져의 파워에 따른 포함 비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 예에서 레이저의 파워가 6% 이상이 되면 열 가소성 수지의 표면이 완전히 녹아 버리면서 전도성 고분자의 응착이 안 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레이저의 파워가 1%~5%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의 응착률을 측정한 결과 4%일 때 응착이 많이 되어 전기 전도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리고 도금을 하기 위해서 표면을 측정한 결과 레이저의 파워가 5%일 때 보다 3%일 때 더 일정한 표면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고, 전기 전도도 또한 3%와 4%일 때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7)

  1. 플라스틱 수지로 비전도성 본체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 비전도성 본체의 외부 표면에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회로패턴에 전도성 폴리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회로패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전도성 폴리머를 비전도성 본체에 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회로부품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수지로 비전도성 본체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에서 플라스틱 용융온도는 200℃~2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회로부품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패턴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사용온도는 190℃~2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회로부품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패턴에 도포되는 전도성 폴리머의 적층 두께는 200㎛~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회로부품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패턴에 도포되는 전도성 폴리머는 구리와 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회로부품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패턴에 도포되는 전도성 폴리머의 평균직경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회로부품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패턴에 도포되는 전도성 폴리머의 사용온도는 300℃~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회로부품 제조방법.
KR1020150046922A 2015-04-02 2015-04-02 3d 회로부품 제조방법 KR20160118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922A KR20160118587A (ko) 2015-04-02 2015-04-02 3d 회로부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922A KR20160118587A (ko) 2015-04-02 2015-04-02 3d 회로부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587A true KR20160118587A (ko) 2016-10-12

Family

ID=5717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922A KR20160118587A (ko) 2015-04-02 2015-04-02 3d 회로부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85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233B1 (ko) * 2018-11-05 2019-08-22 주식회사 우과전자 3d 레이저 프린팅을 이용한 전자회로 제품 제조방법 및 그 전자회로 제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8161A1 (en) 1997-12-01 1999-06-10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Interior trim panel and electrical harness apparatus for an automotive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8161A1 (en) 1997-12-01 1999-06-10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Interior trim panel and electrical harness apparatus for an automotive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233B1 (ko) * 2018-11-05 2019-08-22 주식회사 우과전자 3d 레이저 프린팅을 이용한 전자회로 제품 제조방법 및 그 전자회로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0505B2 (ja) 導電性プラスチック、それによる導電回路及びその導電回路の形成方法
CN108004529B (zh) 柔性高分子基材上实现选择性三维导电层的复合材料及其制造方法
EP0485838B1 (de) Spritzgegossene Leiterplatten durch Hinterspritzen von flexiblen Schaltungen mit thermoplastischen Materialien
JP2020120125A (ja) 特定用途向け電子機器パッケージングシステム、方法及びデバイス
KR20190130578A (ko) 블랙 또는 불투명한 기판상에 레이저 직접 구조화(lds)를 위한 초박형, 착탈가능한, 촉매 필름 및 공정
CN101405331B (zh) 导电弹性体混合物、其制造方法及其用途
Persad et al. A survey of 3D printing technologies as applied to printed electronics
KR20160129630A (ko) 다중재료 성형을 위한 3d 프린터용 헤드
US20160176095A1 (en) Variable-thickness elecriplast moldable capsul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708920B2 (en) Conductively doped resin moldable capsul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60118587A (ko) 3d 회로부품 제조방법
EP3058112B1 (de)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n plasmabeschichteten formkörper und bauteil
KR20170087613A (ko) 전자회로가 일체로 형성된 플라스틱 전자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도금 씨드 형성방법
EP2826613B1 (en) Metal insert-molded article having sealability, electronic component having sealability and provided with said metal insert-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metal insert-molded article having sealability
EP3170641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thermoplastischen dreidimensionalen formhaut
WO201105817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bauteils, verbundbauteil
KR101838239B1 (ko) 3d 프린팅 구조물에 대한 전도 패턴 형성 방법
US20080063864A1 (en) Variable-thickness elecriplast moldable capsule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2934537A (zh) 使用发泡剂改进emi屏蔽
US20230116573A1 (en) Polymer filaments comprising a metal precursor for additive manufacturing and methods associated therewith
JP2015176944A (ja) 表面に三次元回路が形成された樹脂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TW200709494A (en) In-mold antenna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18208491A1 (de) Kontaktierungssystem für eine modular aufgebaute Batterie
KR20160145515A (ko)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복합입체형상 전자모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E102013100708B3 (de) Bauteil mit strukturierter Oberfläch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