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219A -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219A
KR20160118219A KR1020167016018A KR20167016018A KR20160118219A KR 20160118219 A KR20160118219 A KR 20160118219A KR 1020167016018 A KR1020167016018 A KR 1020167016018A KR 20167016018 A KR20167016018 A KR 20167016018A KR 20160118219 A KR20160118219 A KR 20160118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lant
plant cultivation
vessel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6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1862B1 (ko
Inventor
피터 지데오 반 더 메르웨
Original Assignee
이-스마츠 글로벌 라이센싱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마츠 글로벌 라이센싱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스마츠 글로벌 라이센싱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18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02P60/216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가 제공되며, 상기 컨테이너는 전반적으로 파형 형상의 형태를 취하고 유동 채널이 통과해 형성된 세장형 몸체, 및 식물을 내부에 수용해 지지하기 위한 유동 채널과 유체 연통하는 몸체의 측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용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용기는 상기 몸체의 상기 수직 축선에 대해 경사져 배치된다.

Description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SOILLESS PLANT CULTIVATING CONTAINER}
본원은 식물의 무토양 경작용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지표면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정위된 식물의 고 밀도 경작용 무토양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유체를 수용하는, 영양분의 일정한 공급에 노출됨으로써 채소와 같은 식물이 경작되는 무토양 성장 시스템이 알려졌다. 이러한 통상적으로 알려진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및/또는 튜브와 관련된 여러 문제점은, 영양분이 풍부한 유체가 컨테이너에, 특히 지표면과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위될 때, 식재(planting) 구멍을 통해 탈출하는 경향이 있고 그리고, 풍부한 영양분 레벨의 결과로서, 컨테이너 및/또는 튜브의 외측 표면 상에서의 원치않은 조류(algae)의 과성장을 야기시킨다는 점이다.
식물의 무토양 경작과 관련된 다른 문제점은 뿌리가 유체에 끊임없이 노출된다는데 있다. 이는 식물 뿌리에 의해 흡수되는데 사용되는 산소가 거의 없거나 아예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산소는 필수 식물 영양분이고 식물 뿌리 시스템은 산호 호흡을 위해 산소를 필요로 하고, 필수적인 식물 성장과정(plant process)은 뿌리 성장 및 영양분 흡수를 위해 에너지를 배출한다. 뿌리 구역에서의 저 산소(또는 무 산소)로부터의 손상은 여러 형태로 나타날 수 있고 그리고 식물 타입 사이의 심각도(severity)에 있어 상이하다.
무토양 식물 시스템은 고 자본 투자와 관련이 있으며, 이에 따라, 전형적인 무토양 온실 타입 환경에서의 평방 미터당 식물의 밀도가 크면 클수록, 재정적 투자 수익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는:
전반적으로 파형 형상의 형태를 취하고 유동 채널이 통과해 형성된 세장형 몸체; 및
식물을 내부에 수용해 지지하도록 상기 유동 채널과 유체 연통하는 상기 몸체의 측벽에 형성된 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는 합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의 단면은 일반적인 직사각형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는 검은색 칼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를 형성하도록 함께 조립될 2개의 대칭적인 세장형 절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에 있어서, 실링 형성부는, 2개의 대칭적인 절반부가 조립될 때, 상기 절반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실링하도록 상기 컨테이너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는 대칭적인 절반부가 조립될 때 함께 체결시키는 체결 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에 있어서, 세장형 몸체는 용기 쪽으로 유동 채널 아래로 유동하는 유체를 채널하는 채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에 있어서, 채널 장치는 세장형 몸체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뻗어있는 v-형상의 릿지(ridg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에 있어서, 세장형 몸체는 채널 장치로부터 수용된 유체를 분배하는 분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에 있어서, 분배기는 세장형 몸체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뻗어있는 돌출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에 있어서, 세장형 몸체는 용기 외측, 유동 채널 쪽으로의 유체의 오버플로를 가이드하는 상기 몸체의 대향 주변 구역에 배치된 한 쌍의 가이딩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에 있어서, 세장형 몸체는 온도 및 산소 조정된 공기를 용기로 안내하도록 상기 용기과 유체 연통하는 공기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에 있어서, 공기 통로는 몸체의 대향 주변 구역에서 상기 몸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한 쌍의 통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에 있어서, 세장형 몸체는 복수의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를 함께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단부 구역에 형성된 결합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무토양 식물 경작 파이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에 있어서, 용기는 세장형 몸체의 수직 축선과 관련하여 경사져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에 있어서, 복수의 용기는 몸체의 대향 외측 표면에서 서로에 대해 각 색의 가늠이 맞지 않게(out of register)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에 있어서, 용기는 세장형 몸체의 오목한 구역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에 있어서, 용기는 식물을 용기에서 실질적으로 중앙으로 이격시키는 간극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로서,
유동 채널이 통과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1 도 내지 179 도의 각도로 뻗어있는 아암; 및
식물을 내부에 수용해 지지하도록, 상기 아암의 대향 구역에 형성된 용기;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몸체, 상기 아암 및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에 의해 수용된 유체가 상기 몸체 쪽으로 상기 아암의 하류로 유동할 수 있도록 서로 유체 연통한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에 있어서, 용기는 식물을 상기 용기 내에서 실질적으로 중앙으로 이격시키하는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는 용기에 상호보완적으로 끼워맞춰지도록 형성되고 크기를 갖는 바구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컨테이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컨테이너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컨테이너의 하나의 대칭적인 절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제 2 실시예의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제 2 실시예로써 사용될 바구니 타입의 부재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9는 제 2 실시예로써 사용하기 위한 스페이서 부재의 도면이다.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가 제공되며, 상기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는:
전반적으로 파형 형상의 형태를 갖고 유동 채널이 통과해 형성되는 세장형 몸체; 및
상기 몸체 내에 식물을 수용해 지지하도록 유동 채널과 유체 연통하는 상기 몸체의 측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용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용기는 상기 몸체의 수직 축선에 대해 경사져 배치된다.
몸체는 적당한 플라스틱 및/또는 합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몸체는 일반적인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취할 수 있다. 몸체는 임의의 적당한 검은색 칼라를 가질 수 있다.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를 형성하도록 함께 조립될 2개의 대칭적인 세장형 절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를 내부에서 상호보완적으로 수용한 실링 채널을 포함한 실링 배치부는, 2개의 대칭적인 절반부가 조립된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절반부 중간에 형성된 공간을 실링하도록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뻗어있을 수 있다.
체결 형성부는 조립된 절반부를 조립된 모드에서 함께 체결하도록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용기는 상기 용기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식물을 이격시키는 상기 용기의 상측 단부 구역으로부터 내측으로 뻗어있는 간극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간극 형성부는 용기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뻗어있는 돌출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용기는 파형 형상의 몸체의 오목한 구역에 전형적으로 위치될 것이다. 복수의 용기는 전형적으로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의 대향 표면에서 서로와 관련하여 각 색의 가늠이 맞지 않게 정위될 수 있다.
몸체는 용기에 수용된 식물의 식물 뿌리 쪽으로 유동 채널을 따라 하향 유동하는(stream) 유체를 흐르는(channel) 채널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장치는 몸체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뻗어있는 v-형상의 릿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몸체는 또한 채널 장치로부터 수용된 유체를 분배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뻗어있는 분배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 부재는 임의의 적당한 형상 및 크기를 취할 수 있고 그리고 v-형상의 릿지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분배기 부재는 내측 표면으로부터 멀리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뻗어있는 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용기가 식물 뿌리 물질과 과성장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용기 외측으로의 유체의 오버플로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딩 형성부는 유동 채널 쪽으로 상기 용기 외측으로 유체를 가이드하도록 제공된다.
가이딩 형성부는 상기 용기의 대향 주변 구역에 형성된 한 쌍의 채널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딩 형성부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있다.
식물 뿌리를 둘러싸는 용기 내측의 온도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산소로의 식물 뿌리의 노출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몸체의 외측으로부터 식물 뿌리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통로가 제공된다.
공기 통로는 몸체의 주변 구역에서 상기 몸체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공기 통로는 통로 외측, 용기 쪽으로, 이에 따라 식물 뿌리 쪽으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슬롯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의 단부 구역에 형성된 결합 형성부는 무토양 식물 경작 파이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를 함께 결합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결합 형성부는 무토양 경작 파이프 외측으로의 유체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해, 조립될 때, 서로 실링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크기를 갖는 숫 및 암 결합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가 제공되며, 상기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는:
유동 채널이 통과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1 도 내지 179 도의 각도로 뻗어있는 아암; 및
식물을 내부에 수용해 지지하도록 상기 아암의 대향 구역에 형성된 용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몸체, 상기 아암 및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에 의해 수용된 유체가 상기 몸체 쪽으로 상기 아암을 따라서 하류 유동할 수 있도록 서로 유체 연통하는 상태이다.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는 적당한 플라스틱 및/또는 합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임의의 적당한 검은색 칼라를 가질 수 있다.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는 컨테이너를 형성하도록 함께 조립될 2개의 대칭적인 절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에 실링 부재를 상호보완적으로 수용하도록 실링 채널을 포함한 실링 배치부는 조립된 모드에서 2개의 대칭적인 절반부 중간에 형성된 공간을 실링하도록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뻗어있을 수 있다.
체결 형성부는 조립된 모드에서 조립된 절반부를 함께 체결하도록 더욱 제공될 수 있다.
용기는 상기 용기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멀리 식물을 이격시키도록 그 상측 단부 구역으로부터 내측으로 뻗어있는 간극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간극 형성부는 용기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뻗어있는 돌출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간극 형성부는 용기에 상호보완적으로 끼워맞춰지도록 형성되어 크기를 갖는 스페이서 부재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용기는 바구니 타입의 부재를 차례로 내부에서 상호보완적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크기가 형성되며, 상기 바구니 타입의 부재는 묘목 플러그(seedling plug)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바구니 타입의 부재는 묘목 플러그의 뿌리가 아암쪽으로 통과해 뻗어있을 수 있게 천공될 수 있다.
몸체는 무토양 식물 경작 파이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를 함께 결합할 수 있도록 그 단부 구역에 형성된 결합 형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 형성부는 무토양 경작 파이프 외측으로의 유체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립될 때 서로 실링되게 결합하도록 형성되고 크기를 갖는 숫 및 암 결합 형성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식물"이라는 표현은 묘목, 구근, 씨앗 등처럼 임의의 식물-과 같은 번식 물질(propagation matter)을 포함하도록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바람직한 실시예의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가 전반적으로 부재번호 10으로 지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더욱 명확하게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라,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10)는 전반적으로 파형 형상의 형태를 갖고 관통해 형성된 유동 채널(14)을 구비하는 세장형 몸체(12), 식물을 내부에 수용해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12)의 측벽에 형성된 용기(16), 상기 용기(16)에 비교적 중앙으로 상기 식물을 이격시키는 간극 형성부(18), 유체를 상기 용기 쪽으로 그리고 이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식물 뿌리로 흐르도록 v-형상의 릿지(20)의 형태를 취한 채널 장치, 상기 채널 장치로부터 수용된 유체를 분배하는 분배기 부재(22), 상기 유동 채널(14) 쪽으로 상기 용기(16) 외측으로의 유체의 오버플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딩 형성부(24), 상기 몸체(12)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용기 쪽으로의 산소 및/또는 온도 조정된 공기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공기 통로(26), 그리고 무토양 식물 경작 파이프(도시 생략)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10)를 함께 결합할 수 있게 하는 상기 몸체(12)의 단부 구역에 형성된 결합 형성부(28)를 포함한다.
컨테이너(10)는 임의의 적당한 플라스틱 및/또는 합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그리고 그 단면이 임의의 적당한 기하학적 형상 및 크기,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인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컨테이너(10)는 상기 컨테이너(10)를 형성하도록 조립될 2개의 대칭적인 세장형 절반부(28)를 더 포함한다.
실링 부재(도시 생략)를 실링 채널 내에 상호보완적으로 형성되고 크기를 갖는 실링 채널(30)은 2개의 대칭적인 절반부가 조립될 경우 상기 절반부 중간의 공간을 실링한다.
체결 형성부(32)는 대칭적인 절반부가 조립될 때 상기 절반부를 함께 체결하도록 또한 제공된다.
용기(16)는 몸체(12)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와, 상기 몸체(12)와 관련하여 경사져 배치된 지지 표면(34)을 포함한다.
용기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상기 용기에 실질적으로 중앙으로 식물을 체결하는 간극 형성부(18)는 상기 용기(16)의 지지 표면(34)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뻗어있는 돌출부의 형태를 취한다.
용기는 유동 채널과 유체 연통 상태로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사용 중에, 묘목이 상기 용기에 식재되고 이때 상기 묘목의 뿌리는 상기 유동 채널에 매달려, 상기 뿌리가 상기 유동 채널 아래로 졸졸 흐르는 유체나 또는 상기 유동 채널에서의 가스나 미스트와 접촉할 수 있다.
전형적인 온실 타입 구조부에서 최대 밀도의 식물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용기(16)는 몸체(12)의 대향 외측 표면에서 서로와 관련하여 각 색의 가늠이 맞지 않게 전형적으로 정위된다.
몸체(12)에서의 유체의 바람직한 하류 유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용기(16)는 파형 형상의 몸체(12)의 오목한 구역에 전형적으로 위치된다.
분배기 부재(22)는 전형적으로 몸체(12)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멀리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뻗어있다.
유동 채널(14) 쪽으로 용기(16) 외측으로의 유체의 오버플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딩 형성부(24)는 지표면과 관련하여 전반적인 수직 정위로 서로에 관련하여 평행하게 정위된, 몸체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뻗어있는 한 쌍의 세장형 릿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가이딩 형성부(24)는 유체의 정상 유동이 식물 뿌리에 의해 차단되는 경우에, 용기(16) 외측 유동 채널(14)로의 유체의 유동을 용이하게 한다. 영양분이 풍부한 유체의 오버플로의 이러한 방지는 몸체(12)의 외측 구역에서의 조류의 성장과 다른 바람직하지 못한 유기체의 성장을 방지한다.
용기에서, 16℃ 내지 25℃의 바람직한 구역에서의 특히 식물 뿌리 주위에서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공기 통로(26) 및 슬롯 형성부(36)는 상기 용기 쪽으로 이에 따라 상기 용기에 수용된 식물 뿌리 쪽으로 몸체(12)의 외측으로부터 온도 조정되고 산소공급된 공기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공된다. 한 쌍의 공기 통로(26)는 전형적으로 그 대향 주변 구역에서 몸체(12)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다. 공기 통로(26)의 측벽에 배치된 슬롯 형성부(36)는 용기(16) 쪽으로, 그리고 이에 따라 식물 뿌리 쪽으로 온도 조정되고 산소공급된 공기의 유동을 용이하게 한다. 요구되는 온도의 공기가 최대 식물 성장을 촉진시키도록 슬롯(36)을 통해 통로를 통과해 간헐적으로 안내된다.
몸체(12)의 단부 구역에 형성된 결합 형성부(28)는 복수의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10)를 함께 결합할 수 있어, 무토양 식물 경작 파이프를 형성한다. 결합 형성부(28)는 전형적으로 무토양 경작 파이프 외측으로의 유체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해, 조립될 때 서로 실링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크기를 갖는, 숫 및 암 결합 형성부를 포함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5 및 도 6을 지금 살펴보면,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110)는 몸체(112), 상기 몸체(112)로부터 1 도 내지 179 도의 각도로 뻗어있는 아암(114), 및 식물을 내부에 수용해 지지하는 상기 아암(114)의 대향 단부 구역에 형성된 용기(116)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용기(116), 상기 아암(114) 및 상기 몸체(112)는 서로 유체 연통하여, 상기 용기(116)에 의해 수용된 유체가 상기 아암(114) 하류 상기 몸체(112)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몸체(112)는 적당한 플라스틱 및/또는 합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임의의 적당한 검은색 칼라를 가질 수 있다.
컨테이너(110)는 상기 컨테이너(110)를 형성하도록 함께 조립될 2개의 대칭적인 절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118)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16)의 내측 표면 구역으로부터 그리고 실질적으로 중앙으로 식물을 이격시키도록 제공된다.
용기(116)는 묘목 플러그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크기를 갖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천공된 바구니 타입의 부재(120)를 내부에 상호보완적으로 차례로(in turn)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용기(116)는 식물 뿌리에 의한 흡수를 위해 용기(116)로 영양분이 풍부한 유체를 졸졸 흐르게 하기 위해 상기 용기로의 유체 공급원을 수용해 체결하기 위한 체결 형성부(122)를 더 포함한다.
결합 형성부(124)는 몸체(112)의 단부 구역에 형성되어, 온실 타입 구조부에서 사용하기 위해 무토양 성장 파이프(growing pipe)를 전형적으로 형성하도록 복수의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110)를 함께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는, 식물의 경작을 위한 무토양 컨테이너가 식물 뿌리로의 영양분이 풍부한 유체의 유용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컨테이너 내측의 유체의 유동을 조정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더욱이, 공기 통로의 함유물(inclusion)은 사용자가 식물 뿌리 주위의 용기에서의 산소의 유용성 뿐만 아니라 주위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컨테이너의 대향 외측 표면에서의 용기의 배치는 경작될 식물의 밀도를 최대화한다.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기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행해질 수 있지만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사상 및 범주 내에서 행해진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9)

  1.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로서,
    전반적으로 파형 형상의 형태를 취하고, 유동 채널이 통과해 형성된 세장형 몸체; 및
    식물을 내부에 수용해 지지하기 위한 상기 유동 채널과 유체 연통하는 상기 몸체의 측벽에 형성된 용기;를 포함하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임의의 적당한 합성 물질로 만들어지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일반적인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임의의 적당한 검은색 칼라를 갖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조립될 2개의 대칭적인 세장형 절반부를 포함하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실링 형성부는, 2개의 대칭적인 절반부가 조립될 때, 상기 절반부 중간에 형성된 공간을 실링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를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체결 형성부는, 상기 대칭적인 절반부가 조립될 때, 상기 절반부를 함께 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몸체는 상기 용기쪽으로 상기 유동 채널 아래로 유동하는 유체를 흐르게 하기 위한 채널 수단을 포함하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채널 수단은 상기 세장형 몸체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뻗어있는 v-형상의 릿지의 형태를 취하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10. 청구항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몸체는 상기 채널 수단으로부터 수용된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를 포함하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세장형 몸체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뻗어있는 돌출부의 형태를 갖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12.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몸체는 상기 용기 외측으로, 상기 유동 채널 쪽으로 유체의 오버플로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몸체의 대향 주변 구역에 배치된 한 쌍의 가이딩 형성부를 포함하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13.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몸체는 온도 및 산소 조정된 공기를 상기 용기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용기와 유체 연통하는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는 그 대향 주변 구역에서 상기 몸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한 쌍의 통로의 형태를 취하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15. 청구항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몸체는 무토양 식물 경작 파이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를 함께 결합할 수 있도록 그 단부 구역에 형성된 결합 형성부를 포함하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16. 청구항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세장형 몸체의 수직 축선과 관련하여 경사져 배치되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17. 청구항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용기는 상기 몸체의 대향 외측 표면에서 서로와 관련하여 각 색의 가늠이 맞지 않게(out of register) 배치되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18. 청구항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세장형 몸체의 오목한 구역에 위치되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19. 청구항 1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에서 실질적으로 중앙으로 식물을 이격시키기 위한 간극 형성부를 포함하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20.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로서,
    유동 채널이 통과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1 도와 179 도 사이의 각도로 뻗어있는 아암; 및
    식물을 내부에 수용해 지지하기 위한 상기 아암의 대향 구역에 형성된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상기 아암 및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에 의해 수용된 유체가, 상기 몸체 쪽으로 상기 아암 하류 유동할 수 있도록, 서로 유체 연통하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임의의 적당한 합성 물질로 만들어지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22. 청구항 20 또는 21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임의의 적당한 검은색 칼라를 갖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23. 청구항 20 내지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하여 함께 조립될 2개의 대칭적인 절반부를 포함하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24. 청구항 20 내지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무토양 식물 경작 파이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를 함께 결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상기 몸체의 단부 구역에 형성된 결합 형성부를 구비하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25. 청구항 20 내지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식물을 상기 용기 내에서 실질적으로 중앙으로 이격시키기 위해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26. 청구항 20 내지 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상호보완적으로 끼워맞춰지도록 형성되고 크기를 갖는 바구니 타입의 부재를 포함하는,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27. 본 발명에 따른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로서,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되거나 설명된 바와 같은,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28.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로서,
    첨부된 도면 중 어느 한 도면에 도시되거나 이를 참조하여 특히 설명된 바와 같은,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29.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로서,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임의의 새롭고 창의적인 완전체와 이 완전체의 조합을 포함한,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KR1020167016018A 2015-02-23 2015-04-24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KR101931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ZA2015/1201 2015-02-23
ZA201501201 2015-02-23
PCT/ZA2015/000028 WO2016138544A1 (en) 2015-02-23 2015-04-24 Soilless plant cultivating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219A true KR20160118219A (ko) 2016-10-11
KR101931862B1 KR101931862B1 (ko) 2018-12-21

Family

ID=5348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018A KR101931862B1 (ko) 2015-02-23 2015-04-24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244689B2 (ko)
EP (1) EP3261431B1 (ko)
JP (2) JP6412136B2 (ko)
KR (1) KR101931862B1 (ko)
CN (1) CN106455502B (ko)
AU (2) AU2015358637B2 (ko)
BR (1) BR112016013171A2 (ko)
GB (1) GB2535548A (ko)
NZ (1) NZ721067A (ko)
SG (1) SG10201503252XA (ko)
TW (1) TWI639380B (ko)
WO (1) WO2016138544A1 (ko)
ZA (1) ZA20150280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251B1 (ko) * 2018-08-30 2019-03-05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러스 IoT를 이용한 스마트 식물 재배기용 캡슐, 스마트 식물 재배기 및 스마트 식물 재배 시스템
US11632914B2 (en) 2018-08-30 2023-04-25 Sk Magic Co., Ltd.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IoT
US11672215B2 (en) 2020-01-12 2023-06-13 Sentient Design, Inc. Aeroponic plant grow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9575B2 (en) * 2014-05-22 2019-12-10 Aero Development Corp. Modular aeroponic growing column and system
SG11201708315SA (en) * 2015-04-10 2017-11-29 Eden Green Hydroponics Int (Pty) Ltd Hydroponics
CN108849456A (zh) * 2018-05-28 2018-11-23 江苏省农业科学院 水培栽培装置及栽培方法
US11602106B2 (en) 2018-07-06 2023-03-14 Eden Green Global Technologies Limited Hydroponic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9813A (en) * 1981-01-26 1983-06-28 Jaques Michael J Planter tree for floor, wall or ceiling mounting
JPH01247023A (ja) * 1988-03-28 1989-10-02 Satoshi Hosokawa 植物栽培筒及びこれを有する植物栽培装置
EP0533939B1 (en) * 1991-03-06 1995-08-30 M-Hydroponics Research Co., Ltd. Vertical type planting bed
US5276997A (en) * 1992-06-01 1994-01-11 Swearengin Michael L Planter with built-in water distribution system
US5533302A (en) * 1994-07-21 1996-07-09 Lynch; Carroll L. Modular planting system
US5724768A (en) * 1996-04-29 1998-03-10 Ammann, Jr.; Paul R. Aeroponic plant growth apparatus and method
TW492607U (en) 2000-09-06 2002-06-21 Jin-Jen Jeng Fully automatic circuit board output terminal bevel-edge machine
US6615542B2 (en) * 2001-11-14 2003-09-09 Larry Austen Ware Plant growth unit
JP2004154084A (ja) * 2002-11-07 2004-06-03 Hiroshi Kojima 植物栽培方法と植物栽培装置と植物展示装置
US6840008B1 (en) * 2003-10-09 2005-01-11 Chester C. Bullock Vertical planting system
US7055282B2 (en) * 2004-08-11 2006-06-06 Mb3, L.L.C. Hydroponic plant cultivating apparatus
CN2865459Y (zh) * 2006-02-22 2007-02-07 万科企业股份有限公司 植物栽培架
US8250809B2 (en) * 2009-09-11 2012-08-28 Robert Simmons Apparatus for aeroponically growing and developing plants
CN102057860A (zh) * 2009-12-29 2011-05-18 杨卫星 内径调节方法和外径微调固定方法及定植篮
GB2482654A (en) * 2010-06-07 2012-02-15 Antony Roch A vertical planting system
US20120167460A1 (en) * 2010-12-31 2012-07-05 Julian Omidi Cultivation system for medicinal vegetation
CN202232385U (zh) * 2011-09-28 2012-05-30 甘肃大禹节水集团股份有限公司 盆景花架节水装置
US20130118074A1 (en) 2011-11-10 2013-05-16 Steven FULBROOK Hydroponic modular planting system
US8919040B2 (en) 2012-09-24 2014-12-30 Rocquel S. Galvan Spiral garden
CN202819213U (zh) * 2012-10-08 2013-03-27 梁晨 一种太阳能无土栽培园艺柱
CN203181719U (zh) * 2013-05-03 2013-09-11 象山星旗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农业种植架
CN203467357U (zh) * 2013-05-17 2014-03-12 上海橙星信息科技有限公司 多层式根灌栽培架
CN104206199A (zh) 2013-06-03 2014-12-17 陈泽伟 一种立式花盆
US9125349B2 (en) * 2013-12-20 2015-09-08 Joseph K. Leavitt Self-watering, mobile, container gardening system
CN203633286U (zh) * 2014-01-06 2014-06-11 靳微伟 一种定植杯及带有该定植杯的立柱式无土栽培装置
TWM492607U (zh) 2014-07-03 2015-01-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出液嘴及水耕系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251B1 (ko) * 2018-08-30 2019-03-05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러스 IoT를 이용한 스마트 식물 재배기용 캡슐, 스마트 식물 재배기 및 스마트 식물 재배 시스템
US11632914B2 (en) 2018-08-30 2023-04-25 Sk Magic Co., Ltd.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IoT
US11672215B2 (en) 2020-01-12 2023-06-13 Sentient Design, Inc. Aeroponic plant grow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86004A (ja) 2018-06-07
NZ721067A (en) 2019-02-22
TWI639380B (zh) 2018-11-01
WO2016138544A1 (en) 2016-09-01
KR101931862B1 (ko) 2018-12-21
EP3261431A4 (en) 2018-08-29
SG10201503252XA (en) 2016-09-29
TW201632051A (zh) 2016-09-16
GB201507039D0 (en) 2015-06-10
WO2016138544A8 (en) 2016-09-22
JP6412136B2 (ja) 2018-10-24
AU2015358637A1 (en) 2016-09-08
AU2015358637B2 (en) 2018-03-08
GB2535548A (en) 2016-08-24
CN106455502B (zh) 2020-09-04
ZA201502804B (en) 2016-01-27
AU2018203933A1 (en) 2018-07-05
CN106455502A (zh) 2017-02-22
US20170347545A1 (en) 2017-12-07
EP3261431A1 (en) 2018-01-03
JP2017511120A (ja) 2017-04-20
EP3261431B1 (en) 2020-07-08
US10244689B2 (en) 2019-04-02
BR112016013171A2 (pt)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862B1 (ko) 무토양 식물 경작 컨테이너
US10524434B2 (en) Hyrdoponics
US20210212277A1 (en) Hydroponic tower compatible plant plug holder
KR101232644B1 (ko) 수경 재배용 베드
KR101877534B1 (ko) 식물재배 베드 장착용 분무 수경 플랫폼 조립체
KR20100003389A (ko) 육묘용 트레이 및 관수장치
KR101899724B1 (ko) 점적관수식 육묘용 장치
US10426107B2 (en) Grow bag system with irrigation
US20230263117A1 (en) Blended hydroponics
JP2007236294A (ja) 隔離床栽培用プランター
KR101915125B1 (ko) 수경재배용 베드
KR101845228B1 (ko) 버티컬식 수경재배장치
KR20150133979A (ko) 수경재배장치
JP2007306849A (ja) トマトの栽培方法とその装置
CN111296257B (zh) 一种蔬菜培植用水肥一体化装置
TW201018390A (en) System for growing plants
JP2019536481A (ja) 植物栽培装置
JP2011167157A (ja) 植物栽培用容器
KR200469808Y1 (ko) 식물 재배용기
KR200297896Y1 (ko)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TWM486253U (zh) 植材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