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212A - 포장에 대한 개선 또는 관련사항 - Google Patents

포장에 대한 개선 또는 관련사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212A
KR20160118212A KR1020167014434A KR20167014434A KR20160118212A KR 20160118212 A KR20160118212 A KR 20160118212A KR 1020167014434 A KR1020167014434 A KR 1020167014434A KR 20167014434 A KR20167014434 A KR 20167014434A KR 20160118212 A KR20160118212 A KR 20160118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ub
panel
lines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4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2499B1 (ko
Inventor
마틴 쿼트 비져
Original Assignee
엘로팩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로팩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엘로팩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60118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31B1/28
    • B31B3/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28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around mandrels, e.g. for forming bot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025Making parallelepipedal containers from a single carton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collapsing mouth portion and subsequently folding-down or securing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65D5/067Gable-top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0/0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10/0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10/3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 B31B2110/35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rectangular, e.g. squ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단부 폐쇄 영역에 삽입하기 위한 성형 앤빌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앤빌 장치는 전방 에지 영역, 후방 에지 영역, 전방 에지 영역과 후방 에지 영역 사이에서 연장하는 각각의 측면 에지 영역, 각각의 후방 에지 영역에 코너-성형 영역을 각기 갖는 제 1 및 제 2 성형 부분,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측면 에지 영역을 포함하며, 각각의 측면 에지 영역은 상기 코너-성형 영역으로부터 연장하여 전방 에지 영역을 향하며, 내측으로 경사져 배치된 부분을 또한 포함한다. 또한, 미리 형성된 취약선으로부터 떨어진 경계 영역 주변의 패키징 라미네이트에 굽힘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와 가압 장치가 기술되었고, 상기 가압 장치는 최외각 가압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 장치는 암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암 부재의 회전에 의해 최외각 가압 표면이 축 주변에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최외각 가압 표면은 축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양태가 또한 기술되었다.

Description

포장에 대한 개선 또는 관련사항{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CKAGING}
본 발명은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용기 블랭크, 그로부터 형성된 용기들에 관한 것이다.
페이퍼보드 라미네이트 용기 블랭크로부터 페이퍼보드 기반의 용기를 제조하는 데 있어, 단부 폐쇄부의 형태를 나타내며 다양한 서브-패널을 형성하는 취약선을 파괴 또는 활성화하여, 용기의 단부 폐쇄부를 양호하게 밀봉하고, 이에 따라 최종 밀봉 단계가 행해질 때, 미리 파괴되거나 활성화가 발생하기보다는 재료가 취약선의 주변에서 더욱 쉽게 굽혀지도록, 취약선의 양측 상에서 라미네이트 재료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는 제조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부 폐쇄의 양호한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단부 폐쇄 영역에 삽입하기 위한 성형 앤빌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앤빌 장치는 전방 에지 영역, 후방 에지 영역, 전방 에지 영역과 후방 에지 영역 사이에서 연장하는 각각의 측면 에지 영역, 각각의 후방 에지 영역에 코너-성형 영역을 각기 갖는 제 1 및 제 2 성형 부분,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측면 에지 영역을 포함하며, 각각의 측면 에지 영역은 상기 코너-성형 영역으로부터 연장하여 전방 에지 영역을 향하며, 내측으로 경사져 배치된 부분을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단부 폐쇄부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단부 폐쇄부의 개구 안으로 삽입되는,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성형 앤빌 장치는 전방 에지 영역, 후방 에지 영역, 전방 에지 영역과 후방 에지 영역 사이에서 연장하는 각각의 측면 에지 영역, 각각의 후방 에지 영역에 코너-성형 영역을 각기 갖는 제 1 및 제 2 성형 부분,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측면 에지 영역을 포함하며, 각각의 측면 에지 영역은 상기 코너-성형 영역으로부터 연장하여 전방 에지 영역을 향하며, 내측으로 경사져 배치된 부분을 또한 포함하며, 이에 따라 각각의 코너-성형 영역은 단부 폐쇄부의 인접하는 내부 코너 단부 영역에 놓이고, 단부 폐쇄부의 코너 단부 영역들의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외부에서 가압한다.
본 발명의 이들 두 개의 양태에 의해, 성형 앤빌 장치가 제공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단부 폐쇄부의 형성시에, 단부 폐쇄부의 인접한 코너 영역들이 용기의 인접한 코너 영역 사이에서 연장하는 경계부 근처에서 굽힘을 일으키기 위해 내측으로 지지 될 뿐만 아니라, 성형 앤빌 장치의 각기 내측으로 경사져 배치된 에지 영역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직선 또는 비-직선으로 굽힘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성형 앤빌 장치는, 하나의 카톤 디자인을 다른 기계에서 변경할 때 포장 기계를 변경하거나 수정할 필요 없이, 다양한 카톤 디자인의 단부 폐쇄부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미리 형성된 취약선으로부터 떨어진 경계 영역 주변에서 패키징 라미네이트에 굽힘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경계부의 한 측면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제 1 바디 패널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기 위한 제 1 벽 부분과, 경계부의 다른 측면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제 2 바디 패널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에 대하여 내측으로 경사져 연장하는 제 2 벽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르면, 미리 형성된 취약선으로부터 떨어진 경계 영역 주변의 패키징 라미네이트에 굽힘부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수용하는 단계와, 성형 장치의 제 1 벽 부분은 경계의 한 측면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제 1 바디 패널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고, 제 1 벽 부분의 일정 각도에서 내측으로 경사져 연장하는 제 2 벽 부분은 경계의 다른 측면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제 2 바디 패널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도록,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에 대하여 성형 장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제 2 벽 부분이 제 1 벽 부분 앞의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와 접촉하여, 그 자체와 제 1 벽 부분 사이에서, 제 1 바디 패널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제 2 바디 패널을 가압하도록 작동한다.
이들 양태에 의해, 미리 형성된 직선의 취약부가 없는 경계부가 성형 장치에 의해 반복적이고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르면, 가압 장치를 갖는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가압 장치는 최외각 가압 표면을 포함하며, 암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암 부재의 회전에 의해 최외각 가압 표면이 축 주변에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최외각 가압 표면은 축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따르면, 취약선에 의해 형성된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단부 밀폐 서브-패널에 대해 가압하기 위한 가압 장치를,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에 대하여 내측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가압 장치는 축 주변에서 회전하는 암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암 부재의 회전에 의해 가압 장치의 최외각 가압 표면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최외각 가압 표면은 축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로 배치되어, 가압 장치의 하부 부분이 그 하부 영역에서 서브-패널과 처음으로 접촉하고, 상기 가압 장치가 그 회전 통로에서 진행할 때, 상기 가압 표면과 서브-패널 사이의 접촉 영역이 증가한다.
이러한 양태들에 의해, 인접한 바디 서브-패널과 함께 경계부를 갖는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게이블 단부 벽의 내측 겹침이 발생할 수 있다. 그 경계부는 비 직선 경계부일 수 있고, 상기 가압 장치는 이러한 경계부에 대해 정확한 접힘을 발생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르면,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용기 블랭크가 제공되며, 상기 용기 블랭크는 나란하게 배치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로 구성되는 일렬의 바디 서브-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 서브-패널 사이의 경계부는 서브-패널의 상부에서 바닥으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각각의 경계 취약선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의 제 2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은 직선인 각각의 경계 취약선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을 포함하며, 여기서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은 용기 블랭크의 한 측면에서만 볼 수 있도록 형성된 자국 라인(impression line)이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에 따르면,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용기 블랭크가 제공되며, 상기 용기 블랭크는 나란히 배열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로 구성되는 일렬의 바디 서브-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 서브-패널들 사이의 경계부는 서브-패널의 상부로부터 바닥으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경계 취약선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의 제 2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은 직선인 각각의 경계 취약선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을 포함하며, 여기서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은 용기 블랭크의 적어도 한 측면 상에서 볼 수 있도록 형성된 선들이다.
본 발명의 제 9 양태에 따르면,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용기 블랭크가 제공되며, 상기 용기 블랭크는 나란히 배열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로 구성되는 일렬의 바디 서브-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 서브-패널들 사이의 경계부는 서브-패널의 상부로부터 바닥으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경계 취약선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의 제 2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은 직선인 각각의 경계 취약선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을 포함하며, 여기서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은 그 사이에 간극을 갖는 6 개 이하의 취약선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0 양태에 따르면, 바디 서브-패널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가 제공되며, 서브-패널들 사이의 경계부는 상기 서브-패널의 상부로부터 바닥으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경계 취약선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의 제 2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은 직선인 각각의 경계 취약선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을 포함하며, 여기서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은 용기의 한 측면 상에서만 볼 수 있도록 형성된 자국 라인들이다.
본 발명의 제 11 양태에 따르면, 바디 서브-패널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가 제공되며, 서브-패널들 사이의 경계부는 상기 서브-패널의 상부로부터 바닥으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경계 취약선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의 제 2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은 직선인 각각의 경계 취약선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을 포함하며, 여기서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은 용기의 적어도 한 측면 상에서 볼 수 있도록 형성된 선들이다.
본 발명의 제 12 양태에 따르면, 바디 서브-패널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가 제공되며, 서브-패널들 사이의 경계부는 상기 서브-패널의 상부로부터 바닥으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경계 취약선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의 제 2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은 직선인 각각의 경계 취약선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을 포함하며, 여기서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은 그 사이에 간극을 갖는 6 개 이하의 취약선으로 구성된다.
이들 양태에 의해, 카톤이 액상 제품을 포함하고 있을 때, 허용 가능한 정도로 카톤의 일체성을 유지하며, 아직 남아 있는 제품을 비우고자 할 때 용기를 붕괴하기 위한 취약선이 용기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 블랭크는 또한, 바디 서브-패널에 대응하는 일렬의 단부 밀폐 서브-패널을 포함하며, 그 경계부는 또한 실질적으로 직선인 경계 취약선에 의해 형성되며, 제 2 및 제 4 단부 밀폐 서브-패널은 제 2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 상에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과 함께 실질적으로 직선인 적어도 하나의 취약선을 포함한다. 동일선 상의 취약선은 각각의 경계 취약선 사이의 약 중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의 바닥 단부 영역에는, 일렬의 서브-패널에 경사지게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으로 구성되는 분기 취약선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기술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병을 예시의 방식으로 기술할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카톤이 액상 제품을 포함하고 있을 때, 허용 가능한 정도로 카톤의 일체성을 유지하며, 아직 남아 있는 제품을 비우고자 할 때 용기를 붕괴하기 위한 취약선이 용기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용기 블랭크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용기 블랭크로부터 구성된 밀봉 및 충진된 용기의 시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용기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 앤빌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들.
도 8 내지 도 11은 앤빌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들.
도 12 내지 도 15는 앤빌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들.
도 16은 도 2에 도시된 용기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 성형 장치의 사시도.
도 17 내지 도 20은 도 2에 도시된 용기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 가압 장치의 도면들.
도 21 내지 도 24는 가압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들.
도 25는 작동중에 있는 도 21 내지 도 24의 가압 장치를 위에서 본 사시도.
도 1을 참조하면, 용기 블랭크(2)는 적어도 페이퍼보드 라미네이트 기판 층과, 습기를 차단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최내각 및 최외각의 층들(산소 배리어 층, 예를 들어 상기 기판과 최내각 열가소성 플라스틱층 사이에 알루미늄 포일과 같은, 가능한 삽입물을 갖는)로 구성되며, 그로부터 형성된 용기(4)(도 2에 도시됨)는 액체, 예들 들어 우유 또는 과일 주스를 포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블랭크(2)는 그 사이에서 스코어 라인(S1 -S4)의 형태인 미리 형성된 취약선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 5개의 표준 밀봉 패널과 4개의 바디 서브-패널(P1 -P4)로 구성된다.
바디 서브-패널(P1 -P4)은 스코어 라인의 형태인 추가 취약선에 의해 그들 하부 에지들에서 경계 지어지고, 이에 따라 일렬의 단부 폐쇄 패널(P9 내지 P12)로부터 분리된다.
바디 서브-패널(P2 -P4)은 또한 스코어 라인(S5 내지 S7)의 형태인 추가 취약선에 의해 그들 상부 에지들에서 경계 지어지고, 이에 따라 일렬의 상부 밀폐 서브-패널(P13 내지 P15)로부터 분리된다. 바디 서브-패널(P1)은 그 인접한 상부 밀폐 서브-패널(P16)과 함께 경계부에 미리 형성된 취약선을 갖지 않는다. 패널(P16, P14)은 사각형이며 게이블 탑 용기(4)의 각각의 사각형 루프 패널을 형성하며, 서브-패널(P13 및 P15)은 사각형이며 각각의 경사진 스코어 라인(S8, S9, S18, S19)에 의해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세 개의 서브-서브-패널(P13a 내지 P13c 및 P15a 내지 P15c)로 각기 분리된다. 일렬의 상부 폐쇄 패널(P13 내지 P16)은 카톤(4)의 밀봉 핀(6)을 형성하는 일렬의 상부 밀봉 패널(P17 내지 P20)에 의해 그들 상부 에지들에서 경계 지어진다. 또한, 주입 주둥이 부재(8)가 취약부(10)의 루프 상에 또는 이를 통해 서브-패널(P16)의 라미네이트의 내측 또는 외측에 적용된다.
경사진 스코어 라인(S9, S18)은, 그 볼록부가 상부 밀봉 서브-패널(P16)을 향하는 그들 길이를 따라 약간 경사져 있고, 경사진 스코어 라인(S8, S19)은 직선이다.
또한, 스코어 라인(S5, S7)은 파동형으로 형성되고, 일반적으로 스코어 라인(S6)의 레벨 근처로부터, 각각의 스코어 라인(S9, S18)을 연결하는 하부 레벨 방향으로 아래를 향해 있다. 따라서, 형성된 용기(4)는 후방 바디 서브-패널(P3)의 높이가 전방 바디 서브-패널(P1)의 높이보다 더 큰, 대칭의 게이블 탑(gable top) 용기이다. 스코어 라인(S5, S7)의 아래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각기 파동 형태의 복수의 스코어 라인(S5a, S7a)이 있다. 스코어 라인(S5a, S7a)은 바디 서브-패널(P2 및 P4)의 상부 영역에 국한된다.
용기 블랭크(2)를 용기(4)로 변환하는 공정은 제 5 표준 패널을 서브-패널(P3, P11, P14)의 내부 표면에 밀봉하여 시작되며, 스코어 라인(S1)을 따라 폴딩하여 양단부에 평평한 용기 슬리브 개구를 형성한다. 그리고 평평한 용기 슬리브는 일반적으로 소위 성형-충진-밀봉 기계라 불리는 포장 기계에 적재된다. 상기 기계는 그 축 주변에서 순차적으로 회전되는 회전 허브에 고정된 복수의 맨드릴을 포함한다. 상기 맨드릴은 축 주변에서 등각으로 이격되어 있고, 다음, 용기 슬리브를 수용하며; 다음 상기 슬리브는 겹쳐지는 바닥 단부 폐쇄 패널을 가지며; 다음, 상기 바닥 단부 폐쇄 패널을 함께 가열 및 가압 밀봉하기 위해, 단부 폐쇄부의 외부 표면에 적용된 고온 단부 프레스를 가하며; 밀봉된 바닥 단부 폐쇄부는 맨들렐에서 냉각되며, 다음에, 용기 슬리브는 한 단부가 폐쇄되고, 맨드릴로부터 직선 컨베이어의 포킷 안으로 제거된다.
상부 단부 폐쇄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부 밀폐 서브-패널을 폐쇄 및 밀봉하기 위해서는, 스코어 라인은 밀봉 공정을 쉽게 완성하기 위해 파괴 또는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스코어 라인(S6)은 후방 상부 밀폐 서브-패널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파괴된다. 상기 스코어 라인(S6)은 도 3 내지 도 7, 도 8 내지 도 11, 및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성형 앤빌(12)의 도움으로 파괴된다. 도 3 내지 도 7에 있어서, 앤빌(12)은 한 단부에서, 표준 방식으로 고정 핀에 의해 포장 기계에 연결하기 위한 브라킷(14)을 포함한다. 브라킷의 마주보는 단부에는, 앤빌 바디(16)가 부착되어 있고, 이것은 전방 에지 영역(18), 후방 에지 영역(20), 및 상기 전방 에지 영역과 후방 에지 영역 사이에서 연장하는 각각의 측면 에지 영역(22, 24)을 포함한다. 후방 에지 영역(20)에서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성형 부분(26)이 상기 앤빌 바디(16)로부터 후방을 향해 외측으로 연장하여, 많은 면을 갖는 단부 영역(28)에서 종결되며, 한 쌍의 성형 부분(26) 사이의 간극에서, 앤빌 바디(16)는 평면도(도 7 참조)에서 실질적으로 C 형태가 된다. 성형 앤빌(12)은 많은 면을 갖는 단부 영역(28)이 스코어 라인(S6)과 파동형 스코어 라인(S5 및 S7) 사이의 연결부로써 형성된 용기(4)의 후방 상부 코너와 일체화되는 위치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개방 단부의 상부 폐쇄 영역으로 내려간다. 도 7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각각의 성형 부분(26)은 에지(30, 32)를 갖는 코너 성형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에지(30, 32)는 바디 서브-패널(P2, P3 및 P4)이 서로에 대하여 배치되는,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내부에서 내부 코너 영역에 대응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다. 특히, 도 3과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측면 에지 영역(22, 24)은 각각의 코너 성형 영역으로부터 전방 에지 영역(18)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져 연장하는 부분들을 가지며, 앤빌의 존재에 의해, 파동형 스코어 라인(S5 및 S7) 주변의 원치않는 굽힘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러한 굽힘은 실제 파동형 스코어 라인으로부터 벗어나는 라미네이트의 실질적인 수평 구김을 일으킨다.
에지(30, 32)는 그들 각각의 하부 측면에, 수평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45도의 각도로 있는 언더컷 표면(34, 34a, 36 및 36a)을 가지며, 상기 언더컷 표면은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내부 상부 후방 코너 영역, 특히 에지(32)의 영역에, 최소의 접촉 영역만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에지는 파동형 스코어 라인(S5, S5a 및 S7, S7a)에 원치않는 붕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서브-패널(P2, P13 및 P4, P15) 사이의 연결부에 있는 내부 표면을 따라, 짧은 길이로 돌출한다. 실제로, 각각의 에지(32)는, 상부 밀폐 서브-패널(P13 및 P15)의 내측 접힘을 도와주기에 충분한 정도로, 각각의 파동형 스코어 라인(S5, S7)과 바로 아래의 파동형 스코어 라인(S5a 및 S7a) 사이의 간극에 놓일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의 성형 앤빌의 다른 실시예에서, 앤빌(12')은 한 단부를 포장 기계에 연결하기 위한 브래킷(14')을 포함한다. 브라킷(14')의 마주보는 단부에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성형 부분(26')이, 그들을 브라킷(14')에 연결하는 커넥터로부터 외측 후방으로 연장한다. 상기 성형 부분(26')은 많은 면을 갖는 단부 영역(28')에서 종결된다. 성형 앤빌(12')은 많은 면을 갖는 단부 영역(28)이 스코어 라인(S6)과 파동형 스코어 라인(S5 및 S7) 사이에서의 연결부로써 형성된 용기(4)의 후방 상부 코너와 일체화되는 위치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개방 단부의 상부 폐쇄 영역으로 내려간다. 도 8 내지 도 11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각각의 성형 부분(26')은 에지(30', 32')를 갖는 코너 성형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에지(30', 32')는 바디 서브-패널(P2, P3 및 P4)이 서로에 대하여 배치되는,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내부에서 내부 코너 영역에 대응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측면 에지 영역(22', 24')은 각각의 코너 성형 영역으로부터 전방 에지 영역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져 연장하는 부분들을 가지며, 앤빌(12')의 존재에 의해, 파동형 스코어 라인(S5 및 S7) 주변의 원치않는 굽힘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러한 굽힘은 실제 파동형 스코어 라인으로부터 벗어나는 라미네이트의 실질적인 수평 구김을 일으킨다.
도 3 내지 도 7의 앤빌(12)의 실시예에 있어서, 에지(30', 32')는 그들 각각의 하부 측면에, 언더컷 표면(34', 34a', 36' 및 36a')을 가지며, 언더컷 표면은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내부 상부 후방 코너 영역, 특히 에지(32')의 영역에, 최소의 접촉 영역만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에지는 파동형 스코어 라인(S5, S5a 및 S7, S7a)에 원치않는 붕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서브-패널(P2, P13 및 P4, P15) 사이의 연결부에 있는 내부 표면을 따라 짧은 길이로 돌출한다. 실제로, 각각의 에지(32')는, 상부 밀폐 서브-패널(P13 및 P15)의 내측 접힘을 도와주기에 충분한 정도로, 각각의 파동형 스코어 라인(S5, S7)과 바로 아래의 파동형 스코어 라인(S5a 및 S7a) 사이의 간극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앤빌(12)은 도 1과 도 2의 용기 블랭크와 용기의 상부 단부 폐쇄부를 형성하는 데 적당할 뿐만 아니라, 공지된 표준 게이블 탑 용기와 같은, 다양한 용기에 적당하다.
도 12 내지 도 15에 있어서, 앤빌(12")의 추가 실시예는 한 단부에서, 표준 방식으로 포장 기계에 연결하기 위한 브라킷(14")을 포함한다. 브라킷의 마주보는 단부에는, 앤빌 바디(16")가 부착되어 있고, 이것은 전방 에지 영역(18"), 후방 에지 영역(20"), 및 상기 전방 에지 영역과 후방 에지 영역 사이에서 연장하는 각각의 측면 에지 영역(22", 24")을 포함한다. 전방 및 후방 에지 영역(18", 20")에서는, 두 쌍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성형 부분(26")이 상기 앤빌 바디(16")로부터 후방을 향해 외측으로 연장하여, 많은 면을 갖는 단부 영역(28")에서 종결되며, 전방 및 후방의 쌍의 성형 부분(26") 사이의 간극에서, 앤빌 바디(16")는 평면도에서 실질적으로 X 형태가 된다. 성형 앤빌(12")은, 많은 면을 갖는 단부 영역(28")이 용기(4)의 전방 및 후방 상부 코너와 일체화되는 위치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개방 단부의 상부 폐쇄 영역으로 내려가며, 후방 상부 코너는 스코어 라인(S6)과 파동형 스코어 라인(S5 및 S7) 사이에서의 연결부로써 형성되고, 전방 상부 코너는 스코어 라인(S5, S9 및 S7, S18) 사이에서의 연결부로써 형성되고, 바디 서브-패널(P1)은 인접한 상부 밀폐 서브-패널(P16)과 함께 경계부에 미리 형성된 취약선을 갖지 않는다. 도 12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각각의 성형 부분(26")은 에지(30", 32")를 갖는 코너 성형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에지(30", 32")는 바디 서브-패널(P1, P2, P3 및 P4)이 서로에 대하여 배치되는,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내부에서 내부 코너 영역에 대응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후방 성형 부분(26")은, 각각의 후방 코너 성형 영역으로부터 전방 에지 영역(18")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부분들을 가지는 각각의 측면 에지 영역(22", 24")을 가지며, 전방 성형 부분(26")은, 각각의 전방 코너 성형 영역으로부터 후방 에지 영역(20")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부분들을 갖는 각각의 측면 에지 영역(22", 24")을 가진다. 또한, 이것은 앤빌의 존재에 의해, 파동형 스코어 라인(S5 및 S7) 주변의 원치않는 굽힘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러한 굽힘은 실제 파동형 스코어 라인으로부터 벗어나는 라미네이트의 실질적인 수평 구김을 일으킨다.
도 3 내지 도 7과 도 8 내지 11의 실시예에서, 에지(30", 32")는 그들 각각의 하부 측면에, 언더컷 표면(34", 34a", 34b", 34c", 36", 36a" 및 36b")을 가지며, 언더컷 표면은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내부 상부 전방 및 후방 코너 영역, 특히 에지(32")의 영역에, 최소의 접촉 영역만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에지는 파동형 스코어 라인(S5, S5a 및 S7, S7a)에 원치않는 붕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서브-패널(P2, P13 및 P4, P15) 사이의 연결부에 있는 내부 표면을 따라 짧은 길이로 돌출한다. 실제로, 각각의 에지(32")는, 상부 밀폐 서브-패널(P13 및 P15)의 내측 접힘을 도와주기에 충분한 정도로, 각각의 파동형 스코어 라인(S5, S7)과 바로 아래의 파동형 스코어 라인(S5a 및 S7a) 사이의 간극에 놓일 수 있다. 언더컷 표면(34", 34a", 34b", 34c", 36", 36a", 36b" 및 36c")의 각도는 전방 에지 성형 부분과 후방 에지 성형 부분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언더컷 표면(34", 34a", 36", 36a")은 수평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60도의 각도로 있고, 표면(34b", 34c", 36b" 및 36c")은 수평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35도의 각도로 있다.
도 2와 도 16에 있어서, 용기(4)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전방 바디 서브-패널(P1)과 전방 상부 밀폐 서브-패널(P16) 사이의 연결부에 미리 형성된 취약선을 갖지 않으며, 이에 따라 미리 형성된 취약선이 존재하듯이, 이들 두 개의 패널 사이에 부드러운 전이가 일어난다. 용기 성형 공정 중에, 바디 서브-패널(P1)에 대해 상부 밀폐 서브-패널(P16)의 굽힘을 활성화하기 위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형 장치(37)가 사용될 수 있다. 성형 장치(37)는 포장 성형-충전-밀봉 기계의 다른 부분에 연결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벽 부분(38)과, 상기 제 1 벽 부분(38)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는 제 2 벽 부분(40)을 포함한다. 도 16에 도시된 제 1 벽 부분(38)의 내부 표면은 바디 서브-패널(P1)의 상부 부분에 지지되거나 접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2 벽 부분(40)은 서브-패널(P1, P16) 사이의 연결부에서 굽혀질 수 있도록 상부 밀폐 서브-패널(P16)을 가압하며, 성형 장치가 전방 서브-패널(P1)을 향해 계속하여 움직일 때 서브-패널(P16)은 제 2 벽 부분(40)의 하부측에 대하여 지지되거나 접촉되게 된다. 서브-패널(P1)에 대한 서브-패널(P16)의 굽힘의 활성화가 제조 공정의 말기에 상부 밀봉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제 1 벽 부분(38)과 제 2 벽 부분(40) 사이의 각도가 형성된다. 제 1 벽 부분(38)과 제 2 벽 부분(40) 사이의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30도 및 실질적으로 65도 사이에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 각도가 약 51도 이다.
성형-충전-밀봉 기계는 더블-인덱싱 기계가 바람직하기 때문에, 기계의 여러 위치에서의 작동은 두 개의 인접한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에서 동시에 일어나고,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는 하나의 이송 라인에 주입 주둥이 부재를 가지며, 제 2 벽 부분(40)은 상이한 섹션 사이에 두 개의 간극을 가지며, 제 1 벽 부분(38)은 두 개의 대응하는 절단 부분(42)을 갖는다. 상기 간극과 절단 부분은 성형 장치(37)에 의해 작동되는 두 개의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주입 주둥이 부재(8)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각각의 주입 주둥이 부재(8)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제 2 벽 부분(40)의 섹션은, 서브-패널(P1 및 P16) 사이의 경계부에서 용기의 전체 폭을 가로지르는 충분한 굽힘을 보장한다.
도 17 내지 도 20에 있어서, 가압 장치(44)는 그 종방향 축(A) 주변에서 회전 가능한 암 부재(46)에 장착되어 있다. 가압 장치(44)는 꼭대기를 향해 위로 연장하는 베이스 및 경사진 각도의 측면 에지(48, 50)를 갖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태이다. 상기 가압 장치(44)는, 한 측면에서, 가압 장치(44)의 한 부분(44a)이, 암 부재(46)로부터 위를 향해 각이 형성되어 있고, 최외각 가압 표면(52)이 꼭대기를 향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상기 부분(44a)은 최대한 암 부재(46)의 외부 자유 단부(53)를 향해 연장하고, 가압 장치의 베이스의 폭을 가로질러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높이를 가진다. 최외각 가압 표면(52)은 그 표면 영역을 연속하여 가로지르는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균일한 표면이라서, 편평하고 부드럽다. 상기 가압 장치(44)의 형태는, 가압 장치(44)가 가압되는 서브-서브-패널(P13b 및 P15b)의 형태에 대략 대응하며, 굽혀진 에지(48)는 스코어 라인(S9 및 S18)에 대응하고, 측면 에지(50)는 스코어 라인(S8 및 S19)에 대응한다. 최외각 가압 표면(52)은, 가압 장치의 굽혀진 에지(48)가 에지(50)보다 축(A)으로부터 수직하게 더 먼 거리에 있는 방식으로, 축(A)에 대하여 경사져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용기와 관련하여, 최외각 가압 표면(52)은 서브-서브-패널(P13b 및 P15b)의 영역에서 라미네이트 재료와 접촉하고, 여기서 재료 표면은 서브-패널(P1 및 P16)을 갖는 접합부를 향하는 스코어 라인(S5 및 S7)을 따라 아래로 굽혀지고, 스코어 라인(S1 및 S4)이 각각의 스코어 라인(S5 및 S7)과 인접하는 그 최대 높이에서, 부분(44a)의 형태에 의해 수용된다.
스코어 라인(S5 및 S7) 주변에서 라미네이트 재료의 굽힘을 파괴 또는 활성화하기 위해, 그 표면이 서브-서브-패널(P13b 및 P15b)과 접촉하고 있는, 최외각 가압 표면(52)의 형태는, 암 부재(46)가 회전되고 가압 장치가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향해 움직이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라미네이트의 표면과 접촉하고 있는 제 1 지점은, 축(A)으로부터 수직하게 가장 멀리 있는 최외각 가압 표면(52)의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동형 스코어 라인(S5, S5a, S7 및 S7a)이 존재하는 영역에서, 라미네이트 재료와의 접촉을 위한 롤링 효과가 발생한다. 가압 장치(44)와 서브-서브-패널(P13b 및 P15b)의 부분 사이의 접촉은, 스코어 라인(S5, S7)이 최고 레벨에 있는, 용기의 후방을 향하고, 최외각 가압 표면(52)이 에지(50)에서 축(A)으로부터 수직하게 최단 거리에 있는 곳을 따른다. 이러한 롤링 운동은 라미네이트 영역에 충분한 압력을 제공하여, 그 위치에서 라미네이트의 원치 않는 구김을 발생시키지 않고, 상부의 두 개 또는 세 개의 파동형 스코어 라인(S5, S5a, S7 및 S7a)의 파괴 또는 활성화를 일으킨다.
더블-인덱싱 성형-충진-밀봉 기계에서, 네 개의 가압 장치(44)가 상부 폐쇄 사전 파괴 스테이션에 존재한다(각각의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에 대하여 두 개). 또한, 가압 장치(44)가 성형-충진-밀봉 기계에 연결되는 기구는, 가압 장치가 장착되는 기계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부분(44a)의 형상 또는 형태의 변화와 함께 일어날 수 있다.
상기 가압 장치(44)는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되어 있듯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또는 대안적으로,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플랩이 웨지형 형태를 형성하도록, 한 측면에서 더 두껍고 그 폭을 따라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 장치는 암 부재(46)의 길이를 따라 정확한 위치에 설정되도록, 암 부재(46)의 길이를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압 장치(44)는 관형 슬리브(51)에 장착될 수 있고, 종래의 방식으로 암 부재(46) 상의 정확한 위치에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4에 있어서, 가압 장치(44')의 제 2 실시예는 암 부재(46')에 장착된 복수의 핑거 부재(100a, 100b 및 100c)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세 개의 핑거 부재는, 모두 세 개의 핑거 부재의 돌출된 윤곽이 암 부재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중앙 핑거 부재(100b), 중앙 핑거 부재(100b)의 각각의 마주보는 측면 상의 두 개의 측면 핑거 부재(100a 및 100c)와 함께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프로파일을 형성하고,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중앙 핑거 부재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중앙 핑거 부재(100b)와 핑거 부재(100c)는 축(A')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최외각 가압 표면(102b 및 102c)을 포함하며, 핑거 부재(100a)는 축(A')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최외각 가압 표면(102a)을 포함한다. 핑거 부재(100a)는, 도 17 내지 20의 가압 장치(44)에 대해 유사한 방식으로, 스코어 라인(S9 및 S18)에 대응하는 약간 만곡된 부분을 포함하는 외부 에지(48')를 갖는다. 핑거 부재(100a)의 만곡된 에지(48')에서 최외각 가압 표면(102b)은 최외각 가압 표면(102b 및 102c) 또는 핑거 부재(100a)의 마주보는 에지보다 축(A')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수직하게 있다. 최외 가압 표면(102a)의 경사진 배치에 의해, 장치는 최외 가압 표면(102a)이 서브-서브-패널(P13b 및 P15b)의 영역에서 라미네이트 재료와 먼저 접촉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여기서, 재료 표면은 스코어 라인(S5 및 S7)을 따라, 서브-패널(P1 및 P16)과의 접합부를 향해 아래로 만곡되어 있다. 비록 세 개의 핑거 부재가 도시되어 있지만, 최소 두 개의 핑거 부재가 실질적으로 삼각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핑거 부재(100a 및 100c)는, 측면도에서, 그들의 하부 부분이 상향으로 각이 형성되고 암 부재(46')로부터 멀어지게 장착된다. 상기 핑거 부재(100a 및 100c)의 이들 하부 부분은 스코어 라인(S5 및 S7)의 단부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스코어 라인(S5 및 S7)의 적당한 편향을 방해하지 않도록 각이 형성되어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의 가압 장치(44)와 유사한 방식으로, 라미네이트 재료를 접촉하기 위한 단계적 시스템이, 파동형 스코어 라인(S5, S5a, S7 및 S7a)이 존재하는 영역에서 형성된다. 핑거 부재(100b 및 100c)와 서브-서브-패널(P13b 및 P15b)의 부분 사이의 접촉은, 스코어 라인(S5, S7)이 최고 레벨에 있고, 최외각 가압 표면(102b 및 102c)이 축(A')으로부터 수직하게 최단 거리에 있는, 용기의 후방을 향한다. 이러한 단계적 운동은 라미네이트 영역에 충분한 압력을 제공하여, 그 위치에서 라미네이트의 원치 않는 구김을 발생시키지 않고, 상부의 두 개 또는 세 개의 파동형 스코어 라인(S5, S5a, S7 및 S7a)의 파괴 또는 활성화를 일으킨다.
상기 핑거 부재(100a)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또는 대안적으로, 도 21 내지 24에 도시되어 있듯이, 웨지형 형태를 형성하도록 한 측면이 더 두껍고 그 폭을 따라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핑거 부재의 적어도 하나는 암 부재(46')의 길이를 따라 정확한 위치에 설정되도록, 암 부재(46)의 길이를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도 25에서는, 도 21 내지 도 24의 한 쌍의 가압 장치(44')가 성형-충진 포장 기계의 일부에 연결되어, 그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4)와 함께 암 부재(46')가 축(A') 주변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앤빌(12)의 브라킷(14)은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상부 개방부로부터 연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핑거 부재(100a, 100b 및 100c)는, 상부 밀폐 서브-서브-패널(P13b)의 라미네이트 재료를 가압하고, 앤빌(12)이 제 위치에 있으면서 스코어 라인(S5, S8 및 S9)을 활성화시키는, 그들의 회전 통로를 통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로 돌아가서, 바디 서브-패널(P2 및 P4)은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및 S3, S4) 사이의 중간부에, 상기 서브-패널(P2 및 P4)의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스코어 라인(62)을 포함한다. 동일선 상의 복수의 스코어 라인(62)의 하단부에서, 추가의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스코어 라인(64)의 두 개의 분기 라인이 바디 서브-패널(P2 및 P4)의 바닥 코너 영역을 경사져서 향하고, 각각의 바디 서브-패널(P2 및 P4)의 바닥 에지에 대한, 추가의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스코어 라인(64)의 각도는, 실질적으로 40도 내지 실질적으로 50도 사이에 있고, 대략 45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도의 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밀폐 서브-서브-패널(P13b 및 P15b)은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스코어 라인(62)을 갖는 그 중앙부의 동일선 상에, 실질적으로 직선인 스코어 라인(66)을 포함한다. 더욱이, 스코어 라인(62 및 64) 사이에는 실제의 연결부가 없어도, 바디 서브-패널(P2 및 P4)의 바닥 에지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돌출된 연결부(68)가 있고, 실질적으로 직선인 각각의 스코어 라인(70)은 돌출된 연결부(68)로부터 연장하여, 전방 바디 서브-패널(P1)에서 멀어진다. 또한, 실질적으로 직선인 복수의 스코어 라인(72)은 서브-패널(P2 및 P4)의 실질적으로 직선인 스코어 라인(70)과 동일선 상에 있고, 후방 바디 서브-패널(P3)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실질적으로 직선인 스코어 라인(62, 64, 66, 70 및 72)은 폐기물 처리 및/또는 재활용을 위해 그 내용물을 비울 때, 용기의 접힘을 돕는 기능적 목적을 갖는다. 스코어 라인(62, 64, 66, 70 및 72)을 따라 용기를 접으면 비워진 용기가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태로 접혀질 수 있어, 그 점유된 부피의 공간이 폐기물 저장 목적을 위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실질적으로 직선인 스코어 라인(62, 64, 66, 70 및 72)은 파선으로 보여지고, 여전히 폐기물 처리 기능을 제공하며, 스코어 라인 사이의 간극의 존재로 인해, 여전히 내용물을 포함하고 있을 때도, 카톤의 일체성이 허용가능한 정도로 유지된다.
각각 간극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바디 서브-패널(P2 및 P4)에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6 개 이하의 취약선(62)이 있고, 도 1과 2에는 세 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으로 된 다중 섹션보다 유리한 이점을 가지는 데, 그것은 비교적 작은 간극을 갖는 다중의 짧은 선에 비해, 비교적 큰 간극에 의해 분리된 제한된 수효의 취약선은 용기의 일체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직선인 스코어 라인(62, 64, 66, 70 및 72)은 용기 블랭크의 한 측면만을, 바람직하게는 블랭크의 외부 표면만을 볼 수 있도록 약하게 형성된 자국 라인일 수 있으며, 이것은 용기 블랭크의 양 측면을 볼 수 있는 스코어 라인에 비해, 이들 취약선 주변을 접기 위해서 더 강한 폴링력이 필요하다는 사실 때문에, 일부 내용물을 포함하고 있을 때도 용기의 일체성을 향상시킨다. 이것은 다른 목적을 가질 때, 예를 들어 제품을 비울 때와 용기를 폐기할 때 유용하다.
이 명세서에서, 취약선과 스코어 라인은, 용기 블랭크의 내부 및 외부 표면에서 볼 수 있는 라미네이트 포장 재료의 미리 형성된 라인 또는 자국 라인으로 참조된다. 언급한 여러 취약선과 스코어 라인들은 이러한 형태의 미리 형성된 라인들의 혼합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취약선(62, 64, 66, 70 및 72)은 전술한 바와 같은, 자국 취약선이며, 스코어 라인(S5, S5a, S7, 및 S7a)은 자국 라인이며, 반면 다른것들은 용기 블랭크의 내부 및 외부 표면을 볼 수 있는 스코어 라인이다.
4 : 용기 P1 -P4 : 바디 서브-패널
62, 64, 66, 70, 72 : 취약선
62, 64, 66, 70, 72, S8, S9, S18, S19, S5, S5a, S7, S7a : 스코어 라인
P13a 내지 P13c, P15a 내지 P15c : 서브-서브-패널
18 : 전방 에지 영역 20 : 후방 에지 영역
16 : 앤빌 바디 34, 34a, 36, 36a : 언더컷 표면

Claims (60)

  1.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단부 폐쇄 영역에 삽입하기 위한 성형 앤빌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앤빌 장치는 전방 에지 영역, 후방 에지 영역, 전방 에지 영역과 후방 에지 영역 사이에서 연장하는 각각의 측면 에지 영역, 각각의 후방 에지 영역에 코너-성형 영역을 각기 갖는 제 1 및 제 2 성형 부분,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측면 에지 영역을 포함하며, 각각의 측면 에지 영역은 상기 코너-성형 영역으로부터 연장하여 전방 에지 영역을 향하며, 내측으로 경사져 배치된 부분을 또한 포함하는, 성형 앤빌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성형 부분은 후방 외측으로 연장하고 다면의 단부 영역들에서 종결되는, 성형 앤빌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성형 부분은 커넥터에 의해 브라킷에 연결되어 있는, 성형 앤빌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 코너 성형 영역을 갖는 제 3 및 제 4 성형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코너 성형 영역은, 각각의 전방 에지 영역과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배치되는 측면 에지 영역에, 상기 코너 성형 영역으로부터 연장하여 후방 에지 영역을 향하는 각각의 측면 에지 영역을 포함하며, 또한 경사져 내측으로 배치된 부분을 포함하는, 성형 앤빌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및 제 4 성형 부분은 후방 외측으로 연장하고 다면의 단부 영역들에서 종결되는, 성형 앤빌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성형 부분은 앤빌 바디의 부분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성형 부분 사이의 앤빌 바디에는 간극이 있는, 성형 앤빌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및 제 4 성형 부분은 앤빌 바디의 부분이며, 상기 제 3 및 제 4 성형 부분 사이의 앤빌 바디에는 간극이 있는, 성형 앤빌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배치되는 에지들을 갖는 각각의 코너 성형 영역은,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 내부의 내부 코너 영역에 대응하는, 성형 앤빌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코너 성형 영역은, 그들 각각의 하부 측면들에 언더컷 표면들을 갖는, 성형 앤빌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언더컷 표면들은 수평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45도의 각도를 갖는, 성형 앤빌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미리 형성된 취약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경계 영역 주변의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재료에 굽힘부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 장치를 더 포함하며, 성형 장치는 경계부의 한 측면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제 1 바디 패널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기 위한 제 1 벽 부분과, 경계부의 다른 측면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제 2 바디 패널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에 대하여 내측으로 경사져 연장하는 제 2 벽 부분을 포함하는, 성형 앤빌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최외각 가압 표면을 포함하는 가압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 장치는 암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암 부재의 회전에 의해 최외각 가압 표면이 축 주변에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최외각 가압 표면은 축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성형 앤빌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13.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단부 폐쇄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단부 폐쇄부의 개구 안으로 삽입되는,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성형 앤빌 장치는 전방 에지 영역, 후방 에지 영역, 전방 에지 영역과 후방 에지 영역 사이에서 연장하는 각각의 측면 에지 영역, 각각의 측면 에지 영역에 코너-성형 영역을 각기 갖는 제 1 및 제 2 성형 부분,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측면 에지 영역을 포함하며, 각각의 측면 에지 영역은 코너-성형 영역으로부터 연장하여 전방 에지 영역을 향하며, 내측으로 경사져 배치된 부분을 또한 포함하며, 이에 따라 각각의 코너-성형 영역은 단부 폐쇄부의 인접하는 내부 코너 단부 영역에 놓이고, 단부 폐쇄부의 코너 단부 영역들의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외부에서 가압하는,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단부 폐쇄부를 형성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는 단부 폐쇄부의 영역에서 미리 형성된 취약선에 의해 형성되는 경계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에지 영역은, 앤빌 장치의 존재로 인해, 상기 경계부 영역의 주변에서 원치 않는 굽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측으로 경사져 배치된 부분들을 포함하는,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단부 폐쇄부를 형성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부들은 파동 형태인,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단부 폐쇄부를 형성하는 방법.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리 형성된 취약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경계 영역 주변의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재료에 굽힘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계는,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수용하는 단계와, 성형 장치의 제 1 벽 부분이 경계부의 한 측면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제 1 바디 패널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고, 제 2 벽 부분이 제 1 벽 부분의 각도에서 경계부의 다른 측면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제 2 바디 패널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도록, 성형 장치를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치는, 상기 제 2 벽 부분이 상기 제 1 벽 부분 앞의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와 접촉하여, 그 자체와 상기 제 1 벽 부분 사이의 상기 제 1 바디 패널에 대하여 제 2 바디 패널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가압하게 되는,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단부 폐쇄부를 형성하는 방법.
  17.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취약선에 의해 형성된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단부 폐쇄 서브-패널에 대하여 가압하기 위한 가압 장치를,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에 대하여, 내측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가압 장치는 암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암 부재의 회전에 의해 가압 장치의 내측의 최외각 가압 표면이 축 주변에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최외각 가압 표면은, 가압 장치의 하부 부분이 그 하부 영역에서 서브-패널과 접촉하고, 가압 장치가 그 회전 통로에서 작동하고, 가압 표면과 상기 서브-패널 사이의 접촉 영역이 증가하는 방식으로, 축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단부 폐쇄부를 형성하는 방법.
  18. 미리 형성된 취약선으로부터 떨어진 경계 영역 주변의 패키징 라미네이트에 굽힘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경계부의 한 측면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제 1 바디 패널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기 위한 제 1 벽 부분과, 경계부의 다른 측면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제 2 바디 패널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에 대하여 내측으로 경사져 연장하는 제 2 벽 부분을 포함하는, 굽힘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성형 장치는 제 1 벽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벽 부분은 포장 성형-충진-밀봉 기계의 다른 부분에 연결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굽힘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20. 제 18 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제 1 벽 부분과 제 2 벽 부분 사이의 각도는 실질적으로 30도와 실질적으로 65도 사이에 있는, 굽힘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제 1 벽 부분과 제 2 벽 부분 사이의 각도는 약 51도인, 굽힘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22. 제 18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벽 부분은 다른 섹션들 사이에 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벽 부분은 대응하는 절단 부분을 포함하는, 굽힘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23. 미리 형성된 취약선으로부터 떨어진 경계 영역 주변의 패키징 라미네이트에 굽힘부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수용하는 단계와, 성형 장치의 제 1 벽 부분은 경계의 한 측면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제 1 바디 패널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고, 제 1 벽 부분의 일정 각도에서 내측으로 경사져 연장하는 제 2 벽 부분은 경계의 다른 측면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제 2 바디 패널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도록,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에 대하여 성형 장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치는 제 2 벽 부분이 제 1 벽 부분 앞의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와 인접하여, 그 자체와 제 1 벽 부분 사이에서, 제 1 바디 패널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제 2 바디 패널을 가압하도록 작동하는, 굽힘부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성형 장치는 두 개의 인접한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에서 작동하며, 상기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는 거기에 부착된 각각의 주입 주둥이 부재를 가지며, 제 2 벽 부분은 다른 섹션들 사이에 두 개의 간극을 포함하며, 제 1 벽 부분은 상기 주입 주둥이 부재를 수용하는 두 개의 대응하는 절단 부분을 포함하는, 굽힘부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5. 최외각 가압 표면을 포함하는 가압 장치로서,
    상기 가압 장치는 암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암 부재의 회전에 의해 최외각 가압 표면이 축 주변에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최외각 가압 표면은 축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가압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최외각 가압 표면은 암 부재로부터 상부를 향해 각도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의 높이는 가압 표면의 폭을 가로질러 감소하는, 가압 장치.
  27. 제 25 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가압 표면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플랩인, 가압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플랩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가압 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플랩은 한 측면이 두꺼운 웨지형 형태를 형성하도록 그 폭을 가로질러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가압 장치.
  30. 제 25 항, 또는 제 25 항이 인용하는 제 2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압 표면은 암 부재에 연결된 가압 핑거 부재의 한 표면이며, 그 배치는 상기 암 부재에 복수의 핑거 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가압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세 개의 핑거 부재가 있으며, 하나의 중앙 핑거 부재는 암 부재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하며, 두 개의 측면 핑거 부재는 상기 중앙 핑거 부재의 마주보는 측면 상에서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상기 중앙 핑거 부재를 향해 경사져 있는, 가압 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핑거 부재가 있는, 가압 장치.
  33.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핑거 부재 중 하나는 암 부재의 회전축에 경사진 각도로 배치된 압력 표면을 가지며, 다른 핑거 부재(들)은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가압 표면을 가지는, 가압 장치.
  34. 제 25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압 장치는 암 부재에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압 장치.
  35. 제 30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이 인용하는 제 34 항에 있어서, 핑거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암 부재에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압 장치.
  36. 제 25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더블-인덱싱 성형-충진-밀봉 기계에서, 4 개의 가압 장치가 상부 폐쇄 사전 파괴 스테이션에 존재하는, 가압 장치.
  37. 취약선에 의해 형성된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의 단부 밀폐 서브-패널에 대해 가압하기 위한 가압 장치를,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에 대하여 내측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가압 장치는 암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암 부재의 회전에 의해 가압 장치의 최외각 가압 표면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최외각 가압 표면은 축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로 배치되어, 가압 장치의 하부 부분이 그 하부 영역에서 서브-패널과 접촉하고, 상기 가압 장치가 그 회전 통로에서 진행할 때, 상기 가압 표면과 서브-패널 사이의 접촉 영역이 증가하는,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라미네이트의 최외각 가압 표면과의 초기 접촉은 암 부재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진 가압 표면의 제 1 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분의 높이는 상기 가압 표면의 폭을 가로질러 감소하는, 방법.
  39. 제 37 항 또는 제 38 항에 있어서, 가압 표면과 상기 단부 폐쇄 서브-패널 사이의 접촉은 취약선의 영역에 롤링 효과를 일으키는,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효과는,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 재료의 영역에 충분한 압력을 가해 재료의 원치 않는 구김을 발생시키지 않고 취약선의 활성화를 일으키는, 방법.
  41.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용기 블랭크로서,
    상기 용기 블랭크는 나란하게 배치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로 구성되는 일렬의 바디 서브-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 서브-패널 사이의 경계부는 서브-패널의 상부에서 바닥으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각각의 경계 취약선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의 제 2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은 직선인 각각의 경계 취약선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을 포함하며, 여기서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은 용기 블랭크의 한 측면에서만 볼 수 있도록 형성된 자국 라인(impression line)인,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용기 블랭크.
  42.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용기 블랭크로서,
    상기 용기 블랭크는 나란히 배열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 서브-패널들 사이의 경계부는 서브-패널의 상부로부터 바닥으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경계 취약선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의 제 2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은 직선인 각각의 경계 취약선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을 포함하며, 여기서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은 용기 블랭크의 적어도 한 측면 상에서 볼 수 있도록 형성된 선들인,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용기 블랭크.
  43.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바디 서브-패널에 대응하는 일렬의 단부 폐쇄 서브-패널을 더 포함하며, 그 경계부는 또한 실질적으로 직선인 경계 취약선에 의해 형성되며, 제 2 및 제 4 단부 폐쇄 서브-패널은 제 2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 상에서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과 동일선 상에 있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적어도 하나의 취약선을 포함하는,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용기 블랭크.
  44. 제 41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일선 상의 취약선은 각각의 경계 취약선 사이의 약 절반부에 있는,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용기 블랭크.
  45. 제 41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의 바닥 단부 영역에, 서브-패널의 열에 경사져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으로 구성되는 분기 취약선을 더 포함하는,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용기 블랭크.
  46. 제 45 항에 있어서, 제 2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은,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과 분기 취약선 사이의 돌출된 연결부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바디 서브 패널의 바닥 에지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각각의 실질적으로 직선인 취약선을 더 포함하는,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용기 블랭크.
  47. 제 46 항에 있어서, 바디 서브 패널의 바닥 에지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며 실질적으로 직선인 스코어 라인과 동일선 상에 있고, 제 3 바디 서브-패널을 가로지르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복수의 취약선을 더 포함하는,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용기 블랭크.
  48. 제 41 항, 또는 제 41 항이 인용하는 제 43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다른 취약선은 용기 블랭크의 한 측면에서만 볼 수 있도록 형성된 자국 라인인,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용기 블랭크.
  49. 바디 서브-패널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로서,
    상기 서브-패널들 사이의 경계부는 서브-패널의 상부로부터 바닥으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경계 취약선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의 제 2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은, 직선인 각각의 경계 취약선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을 포함하며, 여기서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은 용기의 한 측면 상에서만 볼 수 있도록 형성된 자국 라인들인, 바디 서브-패널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
  50. 바디 서브-패널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로서,
    상기 서브-패널들 사이의 경계부는 서브-패널의 상부로부터 바닥으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경계 취약선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의 제 2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은, 직선인 각각의 경계 취약선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을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은 용기의 적어도 한 측면 상에서 볼 수 있도록 형성된 선들인, 바디 서브-패널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
  51. 제 49 항 또는 제 50 항에 있어서, 용기 블랭크는 바디 서브-패널에 대응하는 일렬의 단부 밀폐 서브-패널을 더 포함하며, 그 경계부는 또한 실질적으로 직선인 경계 취약선에 의해 형성되며, 제 2 및 제 4 단부 밀폐 서브-패널은 제 2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 상에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과 함께 실질적으로 직선인 적어도 하나의 취약선을 포함하는, 바디 서브-패널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
  52. 제 49 항 내지 제 5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일선 상의 취약선은 각각의 경계 취약선 사이의 약 중간에 있는, 바디 서브-패널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
  53. 제 49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의 바닥 단부 영역에, 일렬의 서브-패널에 경사지게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으로 구성되는 분기 취약선을 더 포함하는, 바디 서브-패널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
  54. 제 53 항에 있어서, 제 2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은,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과 분기 취약선 사이의 돌출된 연결부로부터 연장하며, 바디 서브 패널의 바닥 에지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각각의 실질적으로 직선인 스코어 라인을 더 포함하는, 바디 서브-패널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
  55. 제 54 항에 있어서, 바디 서브 패널의 바닥 에지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며 실질적으로 직선인 스코어 라인과 동일선 상에 있고, 제 3 바디 서브-패널을 가로지르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스코어 라인을 더 포함하는, 바디 서브-패널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
  56. 제 49 항, 또는 제 49 항이 인용하는 제 51 항 내지 제 5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다른 취약선은 용기의 한 측면에서만 볼 수 있도록 형성된 자국 라인인, 바디 서브-패널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
  57.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용기 블랭크로서,
    상기 용기 블랭크는 나란하게 배치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로 구성되는 일렬의 바디 서브-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 서브-패널 사이의 경계부는 서브-패널의 상부에서 바닥으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각각의 경계 취약선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의 제 2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은 직선인 각각의 경계 취약선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을 포함하며, 여기서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은 그들 사이에 간극을 갖는 6개 이하의 취약선으로 구성되는,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용기 블랭크.
  58. 제 55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은 그들 사이에 간극을 갖는 3개의 취약선으로 구성되는,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용기 블랭크.
  59. 바디 서브-패널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로서,
    상기 서브-패널들 사이의 경계부는 서브-패널의 상부로부터 바닥으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경계 취약선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의 제 2 및 제 4 바디 서브-패널은, 직선인 각각의 경계 취약선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을 포함하며, 여기서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은 그들 사이에 간극을 갖는 6개 이하의 취약선으로 구성되는, 바디 서브-패널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
  60. 제 57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직선인 동일선 상의 복수의 취약선은 그들 사이에 간극을 갖는 3개의 취약선으로 구성되는, 바디 서브-패널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
KR1020167014434A 2013-11-05 2014-11-05 포장에 대한 개선 또는 관련사항 KR102412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319551.6 2013-11-05
GBGB1319551.6A GB201319551D0 (en) 2013-11-05 2013-11-05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ckaging
PCT/EP2014/073823 WO2015067661A1 (en) 2013-11-05 2014-11-05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ckag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212A true KR20160118212A (ko) 2016-10-11
KR102412499B1 KR102412499B1 (ko) 2022-06-23

Family

ID=49767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434A KR102412499B1 (ko) 2013-11-05 2014-11-05 포장에 대한 개선 또는 관련사항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10676232B2 (ko)
EP (1) EP3066009B1 (ko)
JP (1) JP6751668B2 (ko)
KR (1) KR102412499B1 (ko)
CN (1) CN106170442B (ko)
CA (1) CA2929143C (ko)
GB (1) GB201319551D0 (ko)
IL (1) IL245426B (ko)
MA (1) MA39067B1 (ko)
MX (1) MX2016005735A (ko)
PL (1) PL3066009T3 (ko)
RU (1) RU2662193C9 (ko)
SA (1) SA516371064B1 (ko)
TN (1) TN2016000149A1 (ko)
UA (1) UA118571C2 (ko)
WO (1) WO20150676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19074B2 (ja) * 2016-05-11 2021-01-27 凸版印刷株式会社 ゲーベルトップ型包装容器
JP6759694B2 (ja) * 2016-05-11 2020-09-23 凸版印刷株式会社 ゲーベルトップ型包装容器
GB2552300B (en) * 2016-07-05 2019-07-17 Elopak As Anvil device
CN107009677B (zh) * 2017-05-15 2023-04-25 上海福助工业有限公司 折成筒状的pe薄膜四边封弯曲防止装置
CA180493S (en) * 2017-09-22 2019-11-19 Elopak As Sealed packaging container blank
TW202333996A (zh) * 2018-05-30 2023-09-01 美商唯綠包裝公司 用於形成山形頂密封件之設備及製程
USD995293S1 (en) 2018-10-19 2023-08-15 Elopak As Blank for packaging container
USD995296S1 (en) 2018-10-19 2023-08-15 Elopak As Blank for packaging container
USD995286S1 (en) * 2021-04-19 2023-08-15 Elopak As Container
USD999626S1 (en) * 2021-04-19 2023-09-26 Elopak As Contai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66271A1 (en) * 1990-07-09 1992-01-15 Shikoku Kakoki Co., Ltd. Apparatus for bonding top portions of containers
US5234398A (en) * 1990-06-02 1993-08-10 Elopak Systems Ag Method and apparatus for folding end closure panels
US5445793A (en) * 1992-11-09 1995-08-29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ilizing cartons and breaking carton score line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0089A (en) * 1960-11-07 1964-02-04 Ex Cell O Corp Machine for forming plastic coated paperboard containers
SE394095B (sv) * 1974-08-21 1977-06-06 Ziristor Ab Anordning i en forpackningsmaskin av den typ som genom arbetsoperationer vid ett antal i foljd anordnade stationer framsteller fyllda forpackningar av fortillverkade, med biglinjer forsedda rorformiga emnen.
JPS52163471U (ko) * 1976-06-05 1977-12-10
JPS56135412U (ko) * 1980-03-14 1981-10-14
US4788811A (en) * 1986-05-17 1988-12-06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Process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liquor-charging of packages of paper and the like
GB8710776D0 (en) 1987-05-07 1987-06-10 Bowater Packaging Ltd Equipment to form variety of tops for beverage cartons
GB2205885B (en) * 1987-06-09 1991-04-24 Neil Andrew Fletcher Multi-directional overhead track and glider system
JP2581952Y2 (ja) * 1992-10-28 1998-09-24 凸版印刷株式会社 充填包装装置の容器端部折込み装置
US5538491A (en) * 1994-08-25 1996-07-23 Elopak Systems A. G. High speed four-way carton end closure score line breaker assembly
EP0836997A1 (en) * 1996-09-17 1998-04-22 Kraft Food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ation of sealed packages
JP4038601B2 (ja) * 1998-10-29 2008-01-30 四国化工機株式会社 包装機械
US6385950B1 (en) * 1999-06-23 2002-05-1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Carton bottom folder
US6626810B1 (en) * 1999-10-13 2003-09-30 International Paper Company Carton bottom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6357203B1 (en) * 2000-06-30 2002-03-19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Top pre-folding apparatus for an extended top panel gable top carton
ITBO20020486A1 (it) * 2002-07-25 2004-01-26 Azionaria Costruzioni Acma Spa Macchina per formare contenitori , in particolare contenitori per prodotti alimentari
SE0203701D0 (sv) * 2002-12-13 2002-12-13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Förseglingsanordning
US20060126275A1 (en) * 2004-12-14 2006-06-1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Bottom folder for carton with folded-in gusset tips
US7380389B2 (en) * 2006-04-17 2008-06-03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Bottom pre-folder for carton with folded-in gusset tips
ITBO20060501A1 (it) * 2006-06-30 2008-01-01 Oam Spa Dispositivo per effettuare la chiusura di astucci e simili
JP2008056347A (ja) * 2006-08-31 2008-03-13 Ipi Kk カートンの折込み装置
JP5186399B2 (ja) * 2009-01-22 2013-04-17 四国化工機株式会社 容器成形装置
JP5573181B2 (ja) * 2010-01-18 2014-08-20 凸版印刷株式会社 口栓付液体用紙容器
DE102010050502A1 (de) * 2010-11-08 2012-05-10 Sig Technology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packung
FR2986459B1 (fr) * 2012-02-08 2015-12-18 B Equipment Procede et machine pour reduire la hauteur de boite a section carree ou rectangulaire
DK2641838T4 (en) * 2012-03-23 2017-12-1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Packaging container and item for a packaging cont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4398A (en) * 1990-06-02 1993-08-10 Elopak Systems Ag Method and apparatus for folding end closure panels
EP0466271A1 (en) * 1990-07-09 1992-01-15 Shikoku Kakoki Co., Ltd. Apparatus for bonding top portions of containers
US5445793A (en) * 1992-11-09 1995-08-29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ilizing cartons and breaking carton score l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6121388A3 (ko) 2018-05-24
RU2662193C2 (ru) 2018-07-24
CN106170442A (zh) 2016-11-30
MX2016005735A (es) 2016-10-28
RU2016121388A (ru) 2017-12-11
US20160297163A1 (en) 2016-10-13
EP3066009A1 (en) 2016-09-14
CN106170442B (zh) 2018-09-18
JP2016534952A (ja) 2016-11-10
PL3066009T3 (pl) 2018-07-31
UA118571C2 (uk) 2019-02-11
RU2662193C9 (ru) 2018-12-06
EP3066009B1 (en) 2018-01-03
CA2929143A1 (en) 2015-05-14
US10676232B2 (en) 2020-06-09
GB201319551D0 (en) 2013-12-18
MA39067B1 (fr) 2018-04-30
IL245426A0 (en) 2016-06-30
TN2016000149A1 (en) 2017-10-06
CA2929143C (en) 2021-12-14
WO2015067661A1 (en) 2015-05-14
KR102412499B1 (ko) 2022-06-23
SA516371064B1 (ar) 2020-09-28
IL245426B (en) 2020-08-31
MA39067A1 (fr) 2017-10-31
JP6751668B2 (ja)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8212A (ko) 포장에 대한 개선 또는 관련사항
US10472125B2 (en) Relating to packaging
US9227750B2 (en) Carton with pour spout
MX2007009097A (es) Contenedor, preforma, mandril y metodo para formar el contenedor.
EP0805748B1 (en) Carton bottom seal
CA3013368C (en) Gable top with spout closure
US10828857B2 (en) Anvil device
RU2785517C2 (ru) Листовой упаковочный материал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герметичной упаковки, содержащей наливной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и герметичная упаковка, полученная из листового упаков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AU2009329477B8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ck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