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164A - 무선 통신 연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연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164A
KR20160118164A KR1020160106990A KR20160106990A KR20160118164A KR 20160118164 A KR20160118164 A KR 20160118164A KR 1020160106990 A KR1020160106990 A KR 1020160106990A KR 20160106990 A KR20160106990 A KR 20160106990A KR 20160118164 A KR20160118164 A KR 20160118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iometric information
sub
biometric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5342B1 (ko
Inventor
전태수
김승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6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342B1/ko
Publication of KR20160118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한 시점에서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에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가 일치하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페어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연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무선 통신 연결 방법 및 장치에 연관되며,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무선 통신 연결 방법 및 장치에 연관된다.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기기들이 무선으로 연결되고 정보를 교환한다. 무선 통신 장치들이 연결되기 위해서는 연결 요청을 위한 사용자의 특별한 입력이 필요하다. 연결을 위한 보안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암호입력과 같은 방법이 사용되고, 보안 수준이 높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승인 입력이 요구된다.
센서 기술의 발달로 인해, 소형 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생체 정보는 사용자마다 고유의 특성을 갖는다. 고유의 특성을 갖는 생체 정보를 활용한 보안 및 인증 기술이 연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무선 통신 연결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된다.
무선 통신을 연결할 장치들 간에 사용자의 추가적인 입력이 없이 사용자의 신체접촉을 통해 장치들 간에 무선 통신 연결이 성립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연결 과정에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활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므로, 보안 및 신뢰성 측면에서 높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연결 과정에서의 지연 시간을 단축시키고, 장치들 간의 패킷 전송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한 시점에서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에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가 일치하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페어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가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생체 정보는, 심전도 정보, 지문 정보, 뇌파 정보, 체온 정보, 근전도 정보 및 혈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생체 정보는 상기 제1 생체 정보와 동종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생체 정보는, 상기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기에서 획득된 신호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생체 정보는 심전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생체 정보 및 상기 제2 생체 정보에 대한 서브 정보는, 상기 심전도의 높이 정보, 거리 정보 및 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라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생체 정보는 지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생체 정보 및 상기 제2 생체 정보에 대한 서브 정보는, 상기 지문의 패턴 정보 및 상기 지문의 갈라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의 장착된 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신체 접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패킷을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을 상기 단말기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제2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와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가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일치하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페어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생체 정보는, 심전도 정보, 지문 정보, 뇌파 정보, 체온 정보, 근전도 정보 및 혈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생체 정보는 상기 제1 생체 정보와 동종의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수신하는 시점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획득한 시점에서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장착된 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신체 접촉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신체 접촉에 기초하여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한 시점에서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에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비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통신부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페어링을 형성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가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생체 정보는, 심전도 정보, 지문 정보, 뇌파 정보, 체온 정보, 근전도 정보 및 혈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생체 정보는 상기 제1 생체 정보와 동종의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생체 정보는, 상기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기에서 획득된 신호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생체 정보는 심전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생체 정보 및 상기 제2 생체 정보에 대한 서브 정보는, 상기 심전도의 높이 정보, 거리 정보 및 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생체 정보는 지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생체 정보 및 상기 제2 생체 정보에 대한 서브 정보는, 상기 지문의 패턴 정보 및 상기 지문의 갈라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제2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와 비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와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가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통신부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페어링을 형성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수신하는 시점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획득한 시점에서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단말기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단말기 간의 무선 통신 연결에 이용되는 심전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a는 일실시예에 따라, 심전도의 비교 결과, 전자 장치와 단말기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을 실패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일실시예에 따라, 심전도의 비교 결과, 전자 장치와 단말기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을 성공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단말기 간의 무선 통신 연결에 이용되는 지문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단말기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단말기 간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심전도, 지문, 뇌파, 체온, 근전도, 혈압, 얼굴 모양, 음성, 안구, 정맥 등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생체 정보"는 상기 언급한 요소 이외에 사용자의 신체 부위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생체 정보의 "서브 정보"는 생체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되는 정보이거나, 생체 정보로부터 샘플링된 정보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페어링"은 전자 장치와 단말기를 한쌍으로 묶는다는 의미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장치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단말기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120)가 외부의 전자 장치(11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이 되기 위해서는 단말기(120)에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필요로 한다. 구체적으로, 외부의 전자 장치(110)와 단말기(120)를 블루투스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단말기(120)에서는 블루투스 연결 요청을 하고, 추가적으로 핀번호의 입력이 필요하다.
전자 장치(11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10)와 단말기(120)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을 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이다. 전자 장치(110)은 센서(112)를 통해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111)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에서 획득된 심전도 정보(111)와 단말기(120)에서 획득된 심전도 정보(121)를 비교함으로써, 무선 통신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0)에서 획득된 심전도 정보(111)와 단말기(120)에서 획득된 심전도 정보(121)가 일치하면, 사용자가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전자 장치(11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120)와 페어링을 형성한다. 반면에, 전자 장치(110)에서 획득된 심전도 정보(111)와 단말기(120)에서 획득된 심전도 정보(121)가 불일치하면, 사용자가 불일치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전자 장치(110)는 단말기(120)와 페어링을 형성하지 않는다.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1에서는 전자 장치(110)가 스마트 폰인 것으로, 단말기(120)가 웨어러블 시계로 도시하였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0) 및 단말기(120)는 컴퓨터, 스마트폰, PDA, 태플릿 PC, 프린터, 복합기 및 팩스를 포함하는 통신 제품 또는 이어폰, MP3, 스마트 손목 시계 및 스마트 안경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10)는 냉장고, 세탁기, TV, 에어컨, 청소기, 가습기, 전자레인지, 다리미 오디오, 식기세척기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일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센서부(210), 통신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장치(11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전자 장치(11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센서부(210)는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체 접촉에 기초하여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한다. 센서부(210)는 심전도 센서, 지문 센서, 뇌파 센서, 온도 센서, 근전도 센서 및 혈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생체 정보는 심전도 정보, 지문 정보, 뇌파 정보, 체온 정보, 근전도 정보 및 혈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부(21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한 시점에서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에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다. 미리 설정한 시간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110)에 미리 설정한 시간으로, 예를 들면, 통신부(220)는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한 시점으로부터 2분 이내에 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다. 단말기(120)는 전자 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할 장치이다. 또한, 통신부(220)는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패킷을 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20)는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을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 주변의 단말들은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을 수신하고,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에 포함된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생체 정보가 심전도 정보인 경우, 제1 생체 정보 및 제2 생체 정보에 대한 서브 정보는 심전도의 높이 정보, 거리 정보 및 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심전도 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에서 설명한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생체 정보가 지문 정보인 경우, 제1 생체 정보 및 제2 생체 정보에 대한 서브 정보는 지문의 패턴 정보 및 지문의 갈라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에서 설명한다.
통신부(220)는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120)로부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생체 정보는 단말기(120)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이고, 제1 생체 정보와 동종의 정보이다. 또한, 제2 생체 정보는 제1 생체 정보를 전자 장치(110)에서 획득한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에 단말기(120)에서 획득된 신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가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통신부(220)는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20)는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을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제2 서브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가 일치하면, 제어부(23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장치(110)와 단말기(120) 간의 페어링이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10)는 중앙 연산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센서부(210), 통신부(220) 및 제어부(230)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중앙 연산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사용자 개인별로 차이가 있는 고유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구분하고, 사용자를 구분함으로써, 높은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10)는 사용자의 추가적인 입력이 없이,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통해 단말기(120)와의 페어링을 형성할 수 있다. 신체 접촉에 기초한 생체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무선 통신 연결 과정에서의 지연 시간을 단축시키고, 전자 장치(110)와 단말기(120) 간의 패킷 전송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1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120)와의 무선 통신 연결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10)가 수행하는 다양한 동작이나 응용들이 설명되는데, 센서부(210), 통신부(220) 및 제어부(230) 중 어느 구성을 특정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이해하고 예상할 수 있는 정도의 내용은 통상의 구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특정한 구성의 명칭이나 물리적/논리적 구조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의 단계 S310에서, 전자 장치(110)는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한다. 제1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 지문 정보, 뇌파 정보, 체온 정보, 근전도 정보 및 혈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110)에 장착된 센서가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체 접촉에 기초하여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320에서, 전자 장치(110)는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단말기(120)로 송신한다. 전자 장치(110)는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한 시점에서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에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단말기(120)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정자 장치는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을 단말기(120)로 송신한다.
단계 S330에서, 전자 장치(110)는 단말기(120)로부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수신한다.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가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110)는 단말기(120)로부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1 생체 정보가 제1 시점 및 제2 시점에서 획득되었고, 제2 시점이 제1 시점보다 시간적으로 후순위라고 가정한다. 단말기(120)는 제2 생체 정보를 제2 시점에서 획득된 제1 생체 정보와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생체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생체 정보는 제1 생체 정보와 동종의 정보이다. 제2 생체 정보는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한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에 단말기(120)에서 획득된 신호이다. 한편, 전자 장치(110)에 수신된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는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전자 장치(110)는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비교한다. 여기서,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는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에 대응된다. 예를 들면, 제1 생체 정보가 심전도 정보이고, 제2 서브 정보가 심전도의 높이 정보인 경우, 제2 생체 정보도 심전도 정보이고, 제2 서브 정보도 심전도의 높이 정보이다.
단계 S350에서, 전자 장치(110)는 비교 결과에 따라, 단말기(120)와 페어링을 형성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가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일치하면, 전자 장치(11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120)와 페어링을 형성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단말기 간의 무선 통신 연결에 이용되는 심전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심장은 혈액을 전신에 순환시키는 펌프로써, 수축과 확장을 규칙적으로 반복한다. 심장의 펌프 작동은 심근을 수축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심장이 박동할 때마다 미약한 전기가 생기며, 미약한 전기로 인하여 신체 내에 전기가 흐르게 된다. 또한, 도 4의 4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전도는 신체 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신체 표면의 적당한 부위에서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기록한 그래프이다.
도 4의 420을 참고하면, 짧은 P파는 우심방과 좌심방의 순차적인 탈분극을 나타내는 파장이다. QRS파는 우심실과 좌심실의 탈분극을 나타내는 파형이다. T파는 심실의 재분극을 나타내는 파형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마다 심전도의 형태 및 심전도에서 소정 영역에서의 값들이 다르기 때문에 심전도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인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심전도의 높이(Amplitude), 거리(Distance) 및 각도(신호의 기울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인증할 수 있다.
도 4의 420을 참고하면, 심전도의 높이를 나타내는 요소는, PL`(16), PQ(17), RQ(18), RS(19), TS(20) 및 TT`(21)가 있다. 심전도의 높이를 나타내는 요소는, RQ(1), RS(2), RP(3), RL`(4), RP`(5), RT(6), RS`(7), RT`(8), L`P`(9), S`T`(10), ST(11), PQ(12), PT(13), LQ(14) 및 ST`(15)가 있다.
사용자의 별도의 입력 과정 또는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을 거치지 않고,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통해 획득된 심전도 정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전자 장치(110)와 단말기(120)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할 수 있다.
도 5a는 일실시예에 따라, 심전도의 비교 결과, 전자 장치와 단말기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을 실패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의 510은 전자 장치(110)에서 획득된 심전도이고, 도 5a의 520은 단말기(120)에서 획득된 심전도이다. 전자 장치(110)와 단말기(120)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려면, 전자 장치(110)에서 획득된 제1 심전도 정보와 단말기(120)에서 획득된 제2 심전도 정보가 일치하여야 한다. 전자 장치(110)에서는 제1 심전도 정보와 제2 심전도 정보를 비교한다. 전자 장치(110)는 제1 심전도 정보와 제2 심전도 정보 각각에서 모든 영역의 값들을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으나, 소정 영역 또는 소정 값만을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심전도 정보는 과거 획득된 심전도 정보가 아닌 현재 획득된 심전도 정보이다. 전자 장치(110)는, 동시간에 획득된 제1 심전도 정보 및 제2 심전도 정보를 기반으로 심전도를 비교하기 때문에 높은 정확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10)는 제1 심전도 정보 및 제2 심전도 정보에서 심전도의 높이(PL`(16), PQ(17), RQ(18), RS(19), TS(20) 및 TT`(21)) 및 심전도의 거리(RQ(1), RS(2), RP(3), RL`(4), RP`(5), RT(6), RS`(7), RT`(8), L`P`(9), S`T`(10), ST(11), PQ(12), PT(13), LQ(14) 및 ST`(15))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요소의 값을 계산하여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10)는 제1 심전도 정보 및 제2 심전도 정보에서 소정 영역만을 비교하여 제1 심전도 및 제2 심전도가 일치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a를 참고하면, 제1 심전도의 제1 영역(511)과 제2 심전도의 제1 영역(521)은 서로 대응되는 영역이고, 심전도의 정보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제1 심전도의 제2 영역(512)과 제2 심전도의 제2 영역(522)은 서로 대응되는 영역이지만, 서로 심전도의 정보는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10)는 단말기(12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페어링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 5b는 일실시예에 따라, 심전도의 비교 결과, 전자 장치와 단말기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을 성공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의 510은 전자 장치(110)에서 획득된 심전도이고, 도 5b의 530은 단말기(120)에서 획득된 심전도이다. 도 5b를 참고하면, 제1 심전도의 제1 영역(511)과 제2 심전도의 제1 영역(531)은 서로 대응되는 영역이고, 심전도의 정보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심전도의 제2 영역(512)와 제2 심전도의 제2 영역(532)도 서로 대응되는 영역이고, 심전도의 정보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10)는 단말기(12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페어링을 수행한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단말기 간의 무선 통신 연결에 이용되는 지문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지문 정보는 지문 융기의 분기점, 끝점 등으로 구성되는 특징점의 위치와 속성을 추출하여 획득된다. 각 사용자의 지문 정보는 고유의 특성이 있기 때문에, 각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다. 지문 정보의 구별은 추출된 속성을 비교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반도체 기술을 이용한 방식을 기반으로 피부의 전기 전도 특성을 활용하여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리콘 칩 표면에 직접 손 끝을 접촉시키면, 칩 표면에 접촉된 지문의 특수한 모양을 전기 신호로 읽어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사용자마다 고유의 특성을 가진 지문을 디지털 수치로 변환하여, 특징을 추출하고,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지문의 이미지 처리 과정은 평활화, 이진화, 세선화 과정으로 분류될 수 있고, 이제 한정되지 않는다. 평활화는 지문의 명암구분을 높이고,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진화는 256 그레이 레벨(gray-level)로 되어 있는 영상을 "0"(검정색) 또는 "1"(흰색)으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세선화는 지문선의 굵기를 1픽셀로 줄이는 방법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선화를 통해 획득된 지문 정보로부터 세가지 특징들을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이미지 처리 과정을 통하여 지문의 패턴 정보(610), 지문의 갈라짐 정보(620) 및 지문의 특징점(630)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단말기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10)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120)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의 센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감지된 접촉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1 지문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제1 지문 정보는 지문의 패턴 정보, 지문의 갈라짐 정보, 및 지문의 특징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지문과 관련된 다른 정보도 포함될 수 있음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의 센서에서 제1 지문 정보를 획득한 시점에서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에 제1 지문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미리 설정한 시간은 제1 지문 정보를 획득한 시점으로부터 2분 이내인 시간일 수 있다. 제1 서브 정보는 지문의 패턴 정보, 갈라짐 정보 및 특징점 정보 중 하나의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10)는 제1 지문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을 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다.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제2 지문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제2 지문 정보는 사용자가 단말기(120)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제1 지문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수신하고,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에 단말기(120)에서 직접 사용자의 손가락 접촉을 통해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
제1 서브 정보가 지문의 패턴 정보인 경우, 단말기(120)는 제1 지문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와 제2 지문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비교하여 지문의 패턴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일치하지 않으면, 단말기(120)는 전자 장치(110)와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지 않는다. 일치하면, 단말기(120)는 제2 지문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전자 장치(110)로 송신한다. 제2 서브 정보는 지문 정보에서 제1 서브 정보를 제외한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서브 정보는 지문의 갈라짐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단말기(120)는 제2 지문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을 전자 장치(110)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제2 지문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수신한다. 전자 장치(110)는 제1 지문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제2 지문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비교하여 지문의 갈라짐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일치하지 않으면, 전자 장치(110)는 단말기(120)와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지 않는다. 일치하면, 전자 장치(110)는 단말기(120)와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또한, 전자 장치(110)는 지문 정보와 함께 심전도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120)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제1 심전도 정보와 단말기(120)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제2 심전도 정보가 일치하여야 전자 장치(110)와 단말기(120) 간에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제2 지문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하여, 제1 지문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비교할 수 있지만, 제2 심전도 정보의 제1 서브 정보 및 제2 서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대응되는 제1 심전도 정보와 비교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10)는 지문 정보 및 심전도 정보 각각을 이용하거나 조합하여 사용자의 확인을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단말기(120)와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10)가 사용자의 특성을 반영한 다른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120)와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20)는 통신부(810), 센서부(820) 및 제어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장치(11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전자 장치(11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통신부(810)는 외부 장치로 정보를 송신하거나, 외부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810)는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전자 장치(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820)는 단말기(12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제2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시점과 단말기(120)가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한 시점 사이의 간격은 미리 설정한 시간 내의 범위일 수 있다. 또는, 제2 생체 정보는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된 것일 수 있다.
제어부(830)는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에 대응되는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와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가 일치하면, 제어부(830)는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전자 장치(110)로 송신하도록 통신부(8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830)는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에 전자 장치(110)와 단말기(120) 간의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패킷을 포함하여 단말기(120)로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810)는 전자 장치(110)로부터 전자 장치(110)와 단말기(120) 간의 연결을 승인하는 패킷을 수신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페어링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120)는 중앙 연산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통신부(810), 센서부(820) 및 제어부(830)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중앙 연산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기(120)가 수행하는 다양한 동작이나 응용들이 설명되는데, 통신부(810), 센서부(820) 및 제어부(830) 중 어느 구성을 특정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이해하고 예상할 수 있는 정도의 내용은 통상의 구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특정한 구성의 명칭이나 물리적/논리적 구조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의 단계 S910에서, 단말기(120)는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전자 장치(110)로부터 수신한다.
단계 S920에서, 단말기(120)는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와 비교한다. 단말기(120)는 단말기(12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제2 생체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는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와 대응된다.
단계 S930에서, 단말기(120)는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와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가 일치하면,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전자 장치(110)로 송신한다.
단계 S940에서, 단말기(120)는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가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일치하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장치(110)와 페어링을 형성한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단말기 간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의 단계 1010에서, 전자 장치(110)는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체 접촉에 기초하여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1020에서, 전자 장치(110)는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한 시점에서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에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단말기(120)로 송신한다. 단말기(120)는 전자 장치(110)로부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단말기(120)는 제1 생체 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에 제2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20)는 제1 생체 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의 시간에도 제2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030에서, 단말기(120)는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와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와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전자 장치(110)는 단말기(12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페어링을 형성하지 않는다.
단계 S1040에서,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와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가 일치하면, 단말기(120)는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전자 장치(110)로 송신한다.
단계 S1050에서, 전자 장치(110)는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하고,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전자 장치(110)는 단말기(12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페어링을 형성하지 않는다.
단계 S1060에서,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가 일치하면, 전자 장치(11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120)와 페어링을 형성한다.
전자 장치(110)와 단말기(120) 간의 활용도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는 결제를 하기 위하여 카드를 꺼낼 필요 없이,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카드 결제기에 접촉함으로써,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카드는 단말기(120)에 대응되고, 카드 결제기는 전자 장치(110)에 대응된다. 사용자의 간소한 신체 접촉만으로, 카드와 카드 결제기 간에 무선 통신 연결이 되고,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동차나 집의 문을 열기 위하여 스마트 키를 꺼내거나, 집 열쇠를 꺼낼 필요 없이(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할 필요 없이),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센서에 접촉함으로써, 자동차나 집의 문을 오픈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와 단말기(120) 간에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수적인 입력을 요구하지 않고,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생체 정보를 이용한 무선 통신 연결은 결제, 보안, 일반 장치 간의 연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단말기(1000)은 도 2의 전자 장치(110)과 동일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센싱부(1400)은 도 2의 센서부(210)과 동일 대응될 수 있고, 도 11의 통신부(1500)은 도 2의 통신부(220)과 동일 대응될 수 있고, 도 11의 제어부(1300)은 도 2의 제어부(230)과 동일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단말기(1000)은 도 8의 단말기(120)과 동일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통신부(1500)은 도 8의 통신부(810)과 동일 대응될 수 있고, 도 11의 센싱부(1400)는 도 8의 센서부(820)과 동일 대응될 수 있고, 도 11의 제어부(1300)은 도 8의 제어부(830)과 동일 대응될 수 있다.
입력부(1100)는 사용자가 단말기(1000)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1200)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200)는 디스플레이부(1210), 음향 출력부(1220), 및 진동 모터(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단말기(1000)는 디스플레이부(121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210)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0)는 통신부(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0)는 단말기(10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220)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230)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230)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230)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0)는 단말기(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단말기(10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체 접촉에 기초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심전도 센서(1410), 지문 센서(1420), 뇌파 센서(1430), 온도 센서(1440), 근전도 센서(1450) 및 혈압 센서(14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1500)는 단말기(1000)와 외부 기기(미도시)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0)는, 근거리 통신부(1510), 이동 통신부(1520),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5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기(1000),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3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단말기(1000)가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0)와 마이크로폰(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0)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13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61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70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50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단말기(1000)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1700)는, 제어부(1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단말기(1000)로 입력되거나 단말기(10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User Interface) 모듈(1710), 터치 스크린 모듈(1720), 알림 모듈(17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0)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단말기(10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림 모듈(1730)은 단말기(10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단말기(10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메시지 발생,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730)은 디스플레이부(1210)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0)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0)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한 시점에서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에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가 일치하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페어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가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체 정보는, 심전도 정보, 지문 정보, 뇌파 정보, 체온 정보, 근전도 정보 및 혈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생체 정보는 상기 제1 생체 정보와 동종의 정보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생체 정보는,
    상기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기에서 획득된 신호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체 정보는 심전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생체 정보 및 상기 제2 생체 정보에 대한 서브 정보는, 상기 심전도의 높이 정보, 거리 정보 및 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체 정보는 지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생체 정보 및 상기 제2 생체 정보에 대한 서브 정보는, 상기 지문의 패턴 정보 및 상기 지문의 갈라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에 장착된 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신체 접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패킷을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을 상기 단말기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제2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와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가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일치하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페어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체 정보는, 심전도 정보, 지문 정보, 뇌파 정보, 체온 정보, 근전도 정보 및 혈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생체 정보는 상기 제1 생체 정보와 동종의 신호인, 단말기의 동작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수신하는 시점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획득한 시점에서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장착된 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신체 접촉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13.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신체 접촉에 기초하여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한 시점에서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에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비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통신부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페어링을 형성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가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체 정보는, 심전도 정보, 지문 정보, 뇌파 정보, 체온 정보, 근전도 정보 및 혈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생체 정보는 상기 제1 생체 정보와 동종의 신호인, 전자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생체 정보는,
    상기 제1 생체 정보를 획득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기에서 획득된 신호인, 전자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체 정보는 심전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생체 정보 및 상기 제2 생체 정보에 대한 서브 정보는, 상기 심전도의 높이 정보, 거리 정보 및 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체 정보는 지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생체 정보 및 상기 제2 생체 정보에 대한 서브 정보는, 상기 지문의 패턴 정보 및 상기 지문의 갈라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제2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와 비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와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제2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가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2 서브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통신부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페어링을 형성하는,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수신하는 시점은,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생체 정보의 제1 서브 정보를 획득한 시점에서 미리 설정한 시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160106990A 2015-04-01 2016-08-23 무선 통신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2325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990A KR102325342B1 (ko) 2015-04-01 2016-08-23 무선 통신 연결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195 2015-04-01
KR1020160106990A KR102325342B1 (ko) 2015-04-01 2016-08-23 무선 통신 연결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195 Division 2015-04-01 2015-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164A true KR20160118164A (ko) 2016-10-11
KR102325342B1 KR102325342B1 (ko) 2021-11-11

Family

ID=57161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990A KR102325342B1 (ko) 2015-04-01 2016-08-23 무선 통신 연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3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9181A1 (en) * 2018-09-26 2020-04-02 Ctrl-Labs Corporation Neuromuscular control of physical objects in an environment
US10977349B2 (en) 2017-02-03 2021-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authenticating biometric data and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8523A (ja) * 2009-08-26 2011-03-10 Kyocera Corp 携帯無線端末
KR20110069356A (ko) * 2009-12-17 2011-06-23 주식회사 이-클리오 고령친화형 헬스케어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8523A (ja) * 2009-08-26 2011-03-10 Kyocera Corp 携帯無線端末
KR20110069356A (ko) * 2009-12-17 2011-06-23 주식회사 이-클리오 고령친화형 헬스케어서비스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7349B2 (en) 2017-02-03 2021-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authenticating biometric data and system
WO2020069181A1 (en) * 2018-09-26 2020-04-02 Ctrl-Labs Corporation Neuromuscular control of physical objects in an environment
US10921764B2 (en) 2018-09-26 2021-02-16 Facebook Technologies, Llc Neuromuscular control of physical objects in an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342B1 (ko)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89552B2 (en) Linking observed human activity on video to a user account
US9977509B2 (en) Gesture recognition method, apparatus and wearable device
KR102456598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83832B1 (ko) 생체 정보 기반 인증을 이용한 전자 장치들 간 연결 방법 및 장치
US9971927B2 (en) Fingerprint sensors
US1098408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formation
US9426139B1 (en) Triggering a request for an authentication
KR102501243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2991370B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2139795B1 (ko) 생채 특징 패턴을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AU2017293746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101577B1 (en) Watch typ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396378B2 (en) User identification on a per touch basis on touch sensitive devices
CN104850995A (zh) 操作执行方法及装置
KR20180013173A (ko) 생체 인증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20180189470A1 (en) User authenticating method and device
CN104850827A (zh) 指纹识别方法及装置
CN105474223A (zh) 用于改变电子设备的设置的用户验证
US114776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wireless communications connection
KR20180055209A (ko) 대리 장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JP2020537774A (ja) 巧妙なユーザ認識
CN107784268B (zh) 基于红外线传感器使用其来测量心率的方法和电子设备
CN109558243A (zh) 虚拟数据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WO2019019837A1 (zh) 生物识别方法及相关产品
KR20150134141A (ko)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