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7935A -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7935A
KR20160117935A KR1020150046025A KR20150046025A KR20160117935A KR 20160117935 A KR20160117935 A KR 20160117935A KR 1020150046025 A KR1020150046025 A KR 1020150046025A KR 20150046025 A KR20150046025 A KR 20150046025A KR 20160117935 A KR20160117935 A KR 20160117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struction worker
pulse
information
smart w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9316B1 (ko
Inventor
이승현
홍민
편재호
최영환
염효섭
이승학
이충원
손재호
Original Assignee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46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31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7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olog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근로자가 착용하는 스마트워치를 이용하여 건설근로자의 건강상태 실시간으로 측정하여서 건설현장에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건설근로자의 근로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생산성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건설근로자의 신체에 착용되고, 시간 및 영상을 화면으로 출력하며, 건설근로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건강상태측정부재(110)를 구비하는 스마트워치(100)와, 스마트워치(100)의 건강상태측정부재(110)에서 측정되는 건설근로자의 건강상태를 정보화하여 관리하고, 관리되는 신체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경보신호에 의해 건설근로자에게 경보하는 안전관리장치(200)와, 안전관리장치(200)에서 제공되는 신체정보를 근거로 건설근로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건강상태에 따라 경보신호를 안전관리장치(200)로 제공하는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SAFETY AND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 OF CONSTRUCTION WORKER USING SMART WATCH}
본 발명은 건설근로자가 착용하는 스마트워치를 이용하여 건설근로자의 건강상태 실시간으로 측정하여서 건설현장에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건설근로자의 근로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생산성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에서 안전 및 생산성 관리는 공사기간의 지연 및 그에 따른 공사금액의 증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공사기간과 공사금액의 증가를 방지하고 많은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건설근로자의 건강상태 및 근태를 철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관리자가 건설근로자의 출결을 확인하고 수시로 건설근로자의 근무상태를 확인 하였다.
그러나, 여러 현장에서 분산되어서 작업하는 많은 수의 건설근로자를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관리자가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워 건설근로자가 과로하거나 안전사고에 의한 의식불명 상태를 즉시 확인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건설근로자의 불성실한 근무태도를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서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특10-1490373호(2015.01.30.)가 게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설근로자가 착용하는 스마트워치를 이용하여 건설근로자의 건강상태 실시간으로 측정하여서 건설현장에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건설근로자의 근로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생산성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은, 건설근로자의 신체에 착용되고, 시간 및 영상을 화면으로 출력하며, 건설근로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건강상태측정부재(110)를 구비하는 스마트워치(100)와, 스마트워치(100)에 설치되면서 스마트워치(100)의 건강상태측정부재(110)에서 측정되는 건설근로자의 건강상태를 정보화하여 관리하고, 관리되는 신체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경보신호에 의해 건설근로자에게 경보하는 안전관리장치(200)와, 안전관리장치(200)에서 제공되는 신체정보를 근거로 건설근로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건강상태에 따라 경보신호를 안전관리장치(200)로 제공하는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은, 건설근로자가 착용하는 스마트워치를 이용하여 건설근로자의 건강상태 실시간으로 측정하여서 건설현장에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건설근로자의 근로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생산성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워치에 구비되는 맥박측정부재와 체온측정부재와 움직임측정부재를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안전관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맥박측정부재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체온측정부재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움직임측정부재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설근로자관리서버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워치(100)와, 안전관리장치(200)와,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먼저, 스마트워치(100)는 양측에 착용밴드가 구비되어 있어서 건설근로자들의 신체에서 손목에 착용되고, 시간 및 영상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건설근로자는 자신의 손목에 착용한 스마트워치(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간 및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워치(100)는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로 맥박정보를 포함하는 통신신호를 송신하거나,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하도록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알람이나 진동이 발생되도록 알람발생장치나 진동발생장치도 구비된다.
그리고, 스마트워치(100)는 건설근로자의 신체에 착용되고, 시간 및 영상을 화면으로 출력하며, 건설근로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건강상태측정부재(110)를 구비한다.
스마트워치(100)의 건강상태측정부재(110)는 건설근로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부(111)를 포함한다. 맥박측정부(111)는 건설근로자의 손목에서 맥박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센싱하는 진동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건설근로자가 스마트워치(100)를 손목에 착용함에 의해 맥박측정부(111)가 손목의 피부에 밀착되므로 손목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다. 이때, 맥박측정부(111)는 손목의 맥박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스마트워치(100)의 배면이나 착용밴드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관리장치(200)는 스마트워치(100)의 건강상태측정부재(110)에서 측정되는 건설근로자의 건강상태를 정보화하여 관리하고, 관리되는 신체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경보신호에 의해 건설근로자에게 경보하도록 스마트워치(100)에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치될 수 있다.
안전관리장치(200)는 맥박측정부(111)에서 측정되는 맥박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맥박정보관리부재(210)를 포함한다.
맥박정보관리부재(210)는 맥박측정부(111)에서 전송되는 맥박정보를 시간별로 기록하는 맥박정보기록부(211)와, 맥박정보기록부(211)에서 기록되는 맥박정보를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맥박정보전송부(212)와,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에서 전송되는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워치(100)를 통해 출력시키는 경보출력부(213)를 포함한다.
따라서, 안전관리장치(200)로 수신되는 맥박은 맥박정보기록부(211)에서 기록되고, 기록되는 맥박정보는 맥박정보전송부(212)를 통해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로 전송된다.
그리고, 경보출력부(213)가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에서 전송되는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워치(100)를 작동시켜서 스마트워치(100)에서 벨이나 진동이 발생되게 한다.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는 안전관리장치(200)에서 제공되는 맥박정보를 수신하여 건설근로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건강상태에 따라 해당 스마트워치(100)를 조작하는 워치조작신호를 안전관리장치(200)로 제공하는 것으로, 맥박정보전송부(212)에서 전송되는 맥박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맥박을 비교 및 판단하여 맥박정보가 기준맥박과 일치하지 않으면 이상으로 판단하는 기준맥박판단부(311)와, 기준맥박판단부(311)에서 이상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를 안전관리장치(200)로 전송하는 경보전송부(312)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준맥박은 60~100/min 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성인이 분당 60~80 또는 60~100회의 맥박이 측정되면 건강상태가 정상임을 판단할 수 있다. 물론, 기준맥박은 건설근로자의 연령에 적합하게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즉, 20~30의 연령대는 높게 40~50의 연령대는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중인 건설근로자에게서 측정되는 맥박이 기준맥박과 일치되면 건강한 건강상태로 작업에 임하는 중임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준맥박보다 낮으면 저혈압으로 의심할 수 있어서, 건설근로자가 작업 중에 현기증이나 두통 및 전신이 무기력한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므로, 해당 건설근로자가 휴식을 취하여 안정을 되찾게 하여야 한다. 물론, 증상이 심한 경우 병원으로 후송조치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설근로자에게서 측정되는 맥박이 기준맥박보다 높으면 고혈압으로 의심할 수 있으므로, 이 또한 휴식을 취하게 하거나 병원으로 후송조치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맥박정보전송부(212)에서 전송되는 맥박정보가 기준맥박과 비교되어 기준맥박과 일치하지 않으면 기준맥박판단부(311)에서 이상으로 판단한다. 즉, 기준맥박보다 낮거나 높으면 이상으로 판단한다. 이때, 기준맥박판단부(311)에서 이상으로 판단되면 경보전송부(312)를 통해 경보신호가 안전관리장치(200)로 전송된다. 그러면, 경보출력부(213)에서 경보신호를 수신하면 스마트워치(100)에서 알람이나 진동이 발생될 수 있어서, 건설근로자 자신이 이를 자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해당 건설근로자는 자신의 건강상태가 정상이 아님을 자각하여 휴식을 취하거나 주위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물론, 관리자도 경보를 인식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건설근로자를 육안으로 살펴서 건강상태를 파악한 다음 휴식을 취하게 하거나 병원으로 후송조치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는 경보전송부(312)에서 전송된 횟수를 합산하는 경보합산부(313)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경보합산부(313)에 의해 건설근로자에 대한 경보전송 횟수가 합산되므로 합산된 횟수는 건설근로자들의 건강상태를 전체적으로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즉, 건설근로자들의 건강상태가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따라서,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를 관리하는 관제센터에서는 건설근로자들의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으로 분류되는 각각의 작업에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설근로자가 스마트워치(100)를 손목에 착용하여 맥박측정부(111)가 손목의 피부에 밀착되게 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맥박측정부(111)가 작업 중인 건설근로자의 손목을 통해 맥박을 측정한다. 측정되는 맥박은 안전관리장치(200)에서 기록됨과 동시에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로 전송된다.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에서 측정된 맥박이 정상인지 이상인지 판단한다. 이때, 맥박이 이상으로 판단되면 스마트워치(100)로 경보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건설근로자의 건강상태가 실시간으로 파악되어 관리되고 이에 대해 적절하면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서, 건설근로자가 작업 중에 신체이상이나 과로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마트워치(100)의 건강상태측정부재(110)는 건설근로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부(112)를 포함한다. 체온측정부(112)는 온도센서로 구성되어 스마트워치(100)의 배면이나 착용밴드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건설근로자의 손목에 접촉된 체온측정부(112)를 통해 건설근로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건설근로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안전관리장치(200)는 체온측정부(112)에서 측정되는 온도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온도정보관리부재(220)를 포함한다.
온도정보관리부재(220)는 체온측정부(112)에서 전송되는 맥박정보를 시간별로 기록하는 온도정보기록부(221)와, 온도정보기록부(221)에서 기록되는 온도정보를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온도정보전송부(222)와,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에서 전송되는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워치(100)를 통해 출력시키는 온도경보출력부(223)를 포함한다.
따라서, 체온측정부(112)에서 측정되는 온도정보가 온도정보관리부재(220)에서 관리되면서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에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온도경보출력부(223)가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에서 전송되는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워치(100)를 작동시켜서 스마트워치(100)에서 벨이나 진동이 발생되게 한다.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는 온도정보관리부재(220)에서 제공되는 온도정보를 서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와 비교 및 판단하여 온도정보가 기준온도와 일치하지 않으면 이상으로 판단하여, 경보전송부(312)를 통해 경보신호를 안전관리장치(200)로 전송하는 기준온도판단부(314)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기준온도는 36.5~37.1도 로 설정될 수 있다.
온도정보전송부(222)에서 전송되는 온도정보가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로 수신되므로 수신되는 온도정보가 기준온도판단부(314)에서 기준온도와 일치되지 않으면 이상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준온도판단부(314)는 온도정보가 기준온도보다 낮으면 저체온증을 의심할 수 있고 높으면 고열이 발생되는 상태임을 의심할 수 있으므로, 경보전송부(312)를 통해 해당 근로자가 착용한 스마트워치(100)에 경고신호가 전송되게 한다. 스마트워치(100)로 경고신호가 수신되면 온도경보출력부(223)에 의해 스마트워치(100)에서 알람이나 진동이 출력되므로 해당 근로자는 이를 확인하여 과로하지 않도록 휴식을 취하여야 한다.
따라서, 건설근로자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건설근로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작업 중에 건설근로자의 저체온증이나 고열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워치(100)의 건강상태측정부재(110)는 건설근로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움직임측정부(113)를 포함한다. 움직임측정부(113)는 스마트워치(100)의 기울기와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안전관리장치(200)는 움직임측정부(113)에서 측정되는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움직임안전관리장치(230)를 포함한다.
움직임안전관리장치(230)는 움직임측정부(113)에서 전송되는 움직임정보를 시간별로 기록하는 움직임정보기록부(231)와, 움직임정보기록부(231)에서 기록되는 움직임정보를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움직임정보전송부(232)와,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에서 전송되는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워치(100)를 통해 출력시키는 움직임경보출력부(233)를 포함한다.
따라서, 움직임측정부(113)에서 측정되는 움직임정보가 움직임안전관리장치(230)에서 기록되어 관리되면서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에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움직임경보출력부(233)가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에서 전송되는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워치(100)를 작동시켜서 스마트워치(100)에서 벨이나 진동이 발생되게 한다.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는 건설근로자의 근로시간을 설정하는 근로시간설정부(315)와,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기준시간설정부(316)와, 근로시간설정부(315)에서 설정된 근로시간동안에 움직임안전관리장치(230)에서 제공되는 움직임정보가 기준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이상으로 판단하여, 경보전송부(312)를 통해 경보신호를 안전관리장치(200)로 전송하는 근로시간판단부(317)를 더 포함한다. 즉, 경보신호가 안전관리장치(200)의 경보출력부(213)로 제공될 수 있다.
근로시간은 식사시간 및 휴식시간을 포함하여 8~9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기준시간은 20~4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근로시간동안에 움직임정보가 지속적으로 수신되면 근로시간판단부(317)에서 이상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즉, 건설근로자가 작업 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기준시간동안 움직임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근로시간판단부(317)에서 이상으로 판단하여 경보전송부(312)를 통해 경보신호를 안전관리장치(200)로 전송한다. 즉, 전송되는 경보신호에 의해 스마트워치(100)에서 진동이나 알람이 발생되므로 건설근로자는 이를 자각하여 휴식을 중지하고 작업에 임할 수 있다. 따라서, 건설근로자들이 정해진 휴식시간에만 휴식을 취하고 근로시간에는 충실히 작업에 임하게 되므로 작업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는 근로시간판단부(317)에서 전송되는 경보신호 1회에 해당되는 감산시간을 설정하는 감산시간설정부(318)와, 근로시간판단부(317)가 설정된 근로시간을 합산하여 총근로시간을 산출하는 총근로시간산출부(319)와, 근로시간판단부(317)에서 경보신호가 전송된 횟수에 해당되는 감산시간을 총근로시간산출부(319)에서 산출된 총근로시간에서 감산하는 근로시간감산부(320)를 더 포함한다.
경보신호가 발생될 때마다 감산시간설정부(318)에서 설정된 감산시간이 근로시간감산부(320)에 의해 총근로시간산출부(319)에서 산출되는 총근로시간에서 감산될 수 있다. 즉, 총근로시간에서 감산시간이 감산되므로 총근로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건설근로자의 총근로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건설근로자의 작업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건설근로자가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서 건설근로자의 건강상태를 관리할 수 있고, 건설근로자의 근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건설근로자에 대한 안전관리 시스템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스마트워치 110 : 건강상태측정부재
111 : 맥박측정부 112 : 체온측정부
113 : 움직임측정부 200 : 안전관리장치
210 : 맥박정보관리부재 211 : 맥박정보기록부
212 : 맥박정보전송부 213 : 맥박경보출력부
220 : 온도정보관리부재 221 : 온도정보기록부
222 : 온도정보전송부 223 : 온도경보출력부
230 : 움직임안전관리장치 231 : 움직임정보기록부
232 : 움직임정보전송부 233 : 움직임경보출력부
300 : 건설근로자관리서버 311 : 기준맥박판단부
312 : 경보전송부 313 : 경보합산부
314 : 기준온도판단부 315 : 근로시간설정부
316 : 기준시간설정부 317 : 근로시간판단부
318 : 감산시간설정부 319 : 총근로시간산출부
320 : 근로시간감산부

Claims (10)

  1. 건설근로자의 신체에 착용되고, 시간 및 영상을 화면으로 출력하며, 건설근로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건강상태측정부재(110)를 구비하는 스마트워치(100)와,
    스마트워치(100)에 설치되면서 스마트워치(100)의 건강상태측정부재(110)에서 측정되는 건설근로자의 건강상태를 정보화하여 관리하고, 관리되는 신체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경보신호에 의해 건설근로자에게 경보하는 안전관리장치(200)와,
    안전관리장치(200)에서 제공되는 신체정보를 근거로 건설근로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건강상태에 따라 경보신호를 안전관리장치(200)로 제공하는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건강상태측정부재(110)는 건설근로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부(111)를 포함하고,
    안전관리장치(200)는 맥박측정부(111)에서 측정되는 맥박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맥박정보관리부재(210)를 포함하며,
    맥박정보관리부재(210)는
    맥박측정부(111)에서 전송되는 맥박정보를 시간별로 기록하는 맥박정보기록부(211)와,
    맥박정보기록부(211)에서 기록되는 맥박정보를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맥박정보전송부(212)와,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에서 전송되는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워치(100)를 통해 출력시키는 경보출력부(213)를 포함하고,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는
    정보전송부(212)에서 전송되는 맥박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맥박을 비교 및 판단하여 맥박정보가 기준맥박과 일치하지 않으면 이상으로 판단하는 기준맥박판단부(311)와,
    기준맥박판단부(311)에서 이상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를 안전관리장치(200)로 전송하는 경보전송부(3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맥박측정부(111)는 건설근로자의 손목에서 맥박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센싱하는 진동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기준맥박은 60~100/min 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는 경보전송부(312)에서 전송된 횟수를 합산하는 경보합산부(3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건강상태측정부재(110)는 건설근로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부(112)를 포함하고,
    안전관리장치(200)는 체온측정부(112)에서 측정되는 온도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온도정보관리부재(220)를 포함하며,
    온도정보관리부재(220)는
    체온측정부(112)에서 전송되는 맥박정보를 시간별로 기록하는 온도정보기록부(221)와,
    온도정보기록부(221)에서 기록되는 온도정보를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온도정보전송부(222)와,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에서 전송되는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워치(100)를 통해 출력시키는 온도경보출력부(223)를 포함하고,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는 온도정보관리부재(220)에서 제공되는 온도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와 비교 및 판단하여 온도정보가 기준온도와 일치하지 않으면 이상으로 판단하여, 경보전송부(312)를 통해 경보신호를 안전관리장치(200)로 전송하는 기준온도판단부(314)를 더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기준온도는 36.5~37.1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건강상태측정부재(110)는 건설근로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움직임측정부(113)를 포함하고,
    안전관리장치(200)는 움직임측정부(113)에서 측정되는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움직임안전관리장치(230)를 포함하며,
    움직임안전관리장치(230)는
    움직임측정부(113)에서 전송되는 움직임정보를 시간별로 기록하는 움직임정보기록부(231)와,
    움직임정보기록부(231)에서 기록되는 움직임정보를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움직임정보전송부(232)와,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에서 전송되는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워치(100)를 통해 출력시키는 움직임경보출력부(233)를 포함하고,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는
    건설근로자의 근로시간을 설정하는 근로시간설정부(315)와,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기준시간설정부(316)와,
    근로시간설정부(315)에서 설정된 근로시간동안에 움직임안전관리장치(230)에서 제공되는 움직임정보가 기준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이상으로 판단하여, 경보전송부(312)를 통해 경보신호를 안전관리장치(200)로 전송하는 근로시간판단부(317)를 더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움직임측정부(113)는 스마트워치(100)의 기울기 및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건설근로자관리서버(300)는
    근로시간판단부(317)에서 전송되는 경보신호 1회에 해당되는 감산시간을 설정하는 감산시간설정부(318)와,
    근로시간판단부(317)가 설정된 근로시간을 합산하여 총근로시간을 산출하는 총근로시간산출부(319)와,
    근로시간판단부(317)에서 경보신호가 전송된 횟수에 해당되는 감산시간을 총근로시간산출부(319)에서 산출된 총근로시간에서 감산하는 근로시간감산부(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KR1020150046025A 2015-04-01 2015-04-01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KR101699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025A KR101699316B1 (ko) 2015-04-01 2015-04-01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025A KR101699316B1 (ko) 2015-04-01 2015-04-01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935A true KR20160117935A (ko) 2016-10-11
KR101699316B1 KR101699316B1 (ko) 2017-01-24

Family

ID=57161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025A KR101699316B1 (ko) 2015-04-01 2015-04-01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3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028Y1 (ko) * 2020-01-22 2021-07-19 (주)사이버텔브릿지 작업자의 위치 및 상태정보 수집이 가능한 항만 작업자용 와치형 장치
KR20220072332A (ko) * 2020-11-25 2022-06-02 티엔에스에이아이 주식회사 건설산업현장 근로자를 위한 긴급출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616A (ko) * 2008-10-24 2010-05-14 (주)브이아이소프트 생체 신호 등을 기반으로 한 경계 근무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JP2011081682A (ja) * 2009-10-08 2011-04-21 Ricoh Co Ltd 作業時間分析支援システム、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20140068507A (ko) * 2012-11-28 2014-06-09 (주)유비쿼터스통신 맥박 시계를 이용한 응급조치 시스템
KR20140071578A (ko) * 2012-12-03 2014-06-12 한국 전기안전공사 현장작업자 안전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616A (ko) * 2008-10-24 2010-05-14 (주)브이아이소프트 생체 신호 등을 기반으로 한 경계 근무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JP2011081682A (ja) * 2009-10-08 2011-04-21 Ricoh Co Ltd 作業時間分析支援システム、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20140068507A (ko) * 2012-11-28 2014-06-09 (주)유비쿼터스통신 맥박 시계를 이용한 응급조치 시스템
KR20140071578A (ko) * 2012-12-03 2014-06-12 한국 전기안전공사 현장작업자 안전감시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028Y1 (ko) * 2020-01-22 2021-07-19 (주)사이버텔브릿지 작업자의 위치 및 상태정보 수집이 가능한 항만 작업자용 와치형 장치
KR20220072332A (ko) * 2020-11-25 2022-06-02 티엔에스에이아이 주식회사 건설산업현장 근로자를 위한 긴급출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316B1 (ko) 201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9748B2 (ja) 作業状態監視システム、作業状態監視方法および安全帯
KR101690494B1 (ko) 신체정보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KR101574076B1 (ko) 방사선 작업자의 안전 및 피폭 관리 시스템
KR102156703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산업안전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JP7213481B2 (ja) 作業負担推定方法、体調評価方法、熱中症発症リスク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26138B1 (ko) 제철소내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소내 안전 관리 방법
KR20080107845A (ko) 열차 운행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699316B1 (ko)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KR20190035274A (ko) 안전 장비 착용 장려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086259B1 (ko) 웨어러블 안전장비와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건설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10080829A (ko) Ict기반 감염병 자가격리자 원격 감시시스템
US20120062383A1 (en) Method for determining operator condition, device therefrom and their use in alarm response system in a facility
KR102088458B1 (ko) 작업자 관리 시스템
US9936756B1 (en) Concussion sensing system with cloud-based prediction model update
JP2012230610A (ja) 生体位置監視装置及びシステム
JP7407419B2 (ja) 体調評価方法、および、体調評価システム
KR102205608B1 (ko) 근로자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 시스템
KR20200084589A (ko) 안전보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0085007A (zh) 安全绳、报警装置和基于安全绳的报警方法
KR101377706B1 (ko)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KR101388984B1 (ko) 인명 구조용 경보 시스템
KR20140133231A (ko) 고위험 작업자의 라이프 케어 시스템 및 방법
JP2022086699A (ja) 体調評価方法、および、体調評価システム
Patnaik et al. iCAP: An IoT based Wearable For Real-Time Accidental Fall Detection and Health Monitoring of Remote Maintenance Workers
JP7074566B2 (ja) 体調評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