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7193A - 도서위치 안내단말 - Google Patents

도서위치 안내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7193A
KR20160117193A KR1020160031674A KR20160031674A KR20160117193A KR 20160117193 A KR20160117193 A KR 20160117193A KR 1020160031674 A KR1020160031674 A KR 1020160031674A KR 20160031674 A KR20160031674 A KR 20160031674A KR 20160117193 A KR20160117193 A KR 20160117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image
terminal
signal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오심
조성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이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이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이콤
Publication of KR20160117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1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06K19/072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the arrangement being a circuit facilitating integration of the record carrier with a hand-held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f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K2209/5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도서위치 안내단말은 타깃 서적을 결정하여 도서관에 의해 부여된 서적관리코드와 서적 이미지를 획득하는 서적 결정부, 상기 타깃 서적과 결합되고 특정 영역 내에 상기 서적관리코드를 RF 신호로 방출하는 태그를 탐색하는 서적 탐색부, 상기 태그가 탐색되면 상기 RF 신호의 신호를 기초로 상기 서적의 위치를 산출하는 서적 위치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서적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서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조절하는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서위치 안내단말은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객체와의 거리를 추정하여 해당 객체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서위치 안내단말{TERMINAL FOR GUIDING A LOCATION OF BOOK}
본 발명은 안내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정된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객체와의 거리를 추정하여 해당 객체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도서위치 안내단말에 관한 것이다.
무선 태그(tag)(예를 들어, RFID 등)는 내부에 안테나를 가지고 있어 무선으로 식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리더기(reader)는 무선 태그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더라도 태그에서 송신된 정보를 읽어 들일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태그는 물류 처리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서에 무선 태그를 부착하여 관리하면 많은 수의 도서를 관리하는 도서관이나 무인 도서 대여 시스템의 운영자는 간편하고 용이하게 도서를 관리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11598호는 도서 위치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하더라도 개별 사용자에게 도서의 위치를 안내해주는 도서 위치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72571호는 도서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서 자료 검색 시 위치 정보를 시각적으로 알려주어 보다 쉽게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도서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11598호 (2014.01.29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072571호 (2011.10.05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측정된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객체와의 거리를 추정하여 해당 객체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도서위치 안내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측정된 신호의 세기에 따라 변환된 이미지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객체와의 거리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도서위치 안내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단말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객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도서위치 안내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도서위치 안내단말은 타깃 서적을 결정하여 도서관에 의해 부여된 서적관리코드와 서적 이미지를 획득하는 서적 결정부, 상기 타깃 서적과 결합되고 특정 영역 내에 상기 서적관리코드를 RF 신호로 방출하는 태그를 탐색하는 서적 탐색부, 상기 태그가 탐색되면 상기 RF 신호의 신호를 기초로 상기 서적의 위치를 산출하는 서적 위치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서적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서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조절하는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적 결정부는 사용자로부터 서적의 제목 또는 서적고유코드를 수신하여 서적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서적관리코드와 상기 서적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적 이미지는 상기 서적의 겉표지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적 탐색부는 상기 도서위치 안내단말의 이동 과정에서 RFID 태그로부터 수신된 서적관리코드를 기초로 서적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서적의 제목을 획득하고 상기 해당 서적의 제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서적 탐색부는 상기 해당 서적의 이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해당 서적을 상기 타깃 서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적 위치 산출부는 단일의 RF 신호의 신호세기를 기초로 상기 서적의 거리를 추정하거나 또는 상기 도서위치 안내단말의 이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일련의 RF 신호들을 기초로 상기 서적의 방향과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적의 거리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d 는 서적의 거리
d0 는 단위 거리
n은 공간의 특성에 따라 부여되는 변수
PL(d)는 도서위치 안내단말이 수신한 RF 신호의 신호 세기
PL(d0)는 단위 거리만큼 떨어진 도서위치 안내단말과 해당 서적의 태그 간 발생하는 경로손실(PL)
α는 거리 감쇠 계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는 원본 서적 이미지를 사본 서적 이미지로 복사하고, 상기 서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상기 서적의 거리와 반비례 관계를 가지도록 상기 사본 서적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본 서적 이미지를 N 개의 방향(상기 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할하고, 상기 서적의 방향에 해당하는 제1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에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여 상기 제1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를 그렇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와 다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적 위치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상기 서적의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원본 서적 이미지를 상기 사본 서적 이미지로 다시 복사하고 상기 사본 서적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는 서적 이미지로부터 서적의 이름을 추출하여 상기 서적의 이름에 관한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위치 안내단말은 측정된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객체와의 거리를 추정하여 해당 객체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위치 안내단말은 측정된 신호의 세기에 따라 변환된 이미지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객체와의 거리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위치 안내단말은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단말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객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위치 안내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객체 위치 안내 시스템의 도서위치 안내단말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서위치 안내단말이 적용된 무인 도서 대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서위치 안내단말을 이용하여 도서를 검색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선택된 도서의 도서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측정된 신호 세기를 기초로 변환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도서 위치 안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측정된 신호 세기를 기초로 해상도가 변환된 서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도서위치 안내단말이 도서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위치 안내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객체 위치 안내 시스템(100)은 태그(120), 도서위치 안내단말(130) 및 서적관리서버(140)를 포함한다.
태그(tag)(120)는 객체(110)에 구비되어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운영자는 식별하고자 하는 객체(110)에 미리 태그(120)를 부착하여 객체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객체(110)는 서적(도서)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태그(120)는 능동형(active) 태그 또는 수동형(passive) 태그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능동형 태그는 별도로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독립적으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수동형 태그는 리더에서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RF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태그(120)는 RF 신호를 송출하는 안테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와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태그(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배터리(능동형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은 태그 리더 모듈을 포함하고, 태그 리더 모듈을 통해 태그의 RF 신호를 수신한다.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에는 태그 리더 모듈의 제어와 수신된 RF 신호의 처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될 수 있다.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은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태그 리더 모듈을 통해 태그의 RF 신호를 읽을 수 있다.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은 읽힌 RF 신호에 대한 처리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120)로부터 RF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은 수신된 RF 신호 가운데 특정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식별하고, 해당 특정 고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가 구비된 객체(110)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객체에 대한 정보는 해당 객체에 대한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정보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은 식별된 RF 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세기를 기초로 해당 객체(110)에 대한 이미지를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은 측정된 신호세기를 기초로 신호세기가 커질수록 객체(110)에 대한 이미지를 선명하게 출력하고, 측정된 신호세기가 작아질수록 객체(110)에 대한 이미지를 흐리게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객체(110)와 도서위치 안내단말(13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객체(110)에 대한 이미지가 선명하게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이미지가 선명해지는 방향으로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을 이동시켜 원하는 객체(110)를 찾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은 태그 리더 모듈을 포함하는 모든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모바일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적관리서버(140)는 서적(110)에 관한 서적관리코드와 서적 이미지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서적 정보 및 해당 서적(110)에 구비된 태그(12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운영자는 특정 고유 식별 정보가 저장된 태그(120)를 관리대상 객체(110)에 부착(또는, 설치)하고, 해당 태그(120)와 객체(110)를 매칭하여 매칭된 정보를 서적관리서버(140)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적관리서버(140)는 물류를 관리하는 물류 관리 서버, 도서관 내 도서를 관리하는 도서 관리 서버 또는 무인 도서 대여 시스템의 도서 대여 관리 서버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은 서적관리서버(140)에 접속하여 특정 객체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은 무선랜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서적관리서버(140)에 접속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은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통신 등을 통해 서적관리서버(140)에 직접 접속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서적관리서버(140)는 도서위치 안내단말(130)로부터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특정 객체에 대한 서적관리코드, 서적 이미지, 서적 정보 및 해당 서적에 구비된 태그의 고유 식별 정보를 도서위치 안내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b에서 설명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위치 안내단말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은 서적 결정부(131), 서적 탐색부(132), 서적 위치 산출부(133) 및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34)를 포함한다.
서적 결정부(131)는 타깃 서적을 결정하여 도서관에 의해 부여된 서적관리코드와 서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적관리코드는 도서에 부여된 관리코드로서, 예를 들어, 청구기호, 등록번호 및 사용자 식별자(uid: user identifier) 중 적어도 하나의 관리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여기에서, uid는 특정 컴퓨터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숫자 또는 이름을 말한다. 타깃 서적은 사용자가 입력한 타깃 서적으로, 서적의 제목, 서적고유코드, 서적의 지은이(극본가) 및 서적을 출판한 출판사를 포함한 타깃 서적의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하면 타깃 서적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적 결정부(131)는 사용자로부터 서적의 제목 또는 서적고유코드를 수신하여 서적관리서버(140)로부터 서적관리코드와 서적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서적 이미지는 서적의 겉표지 및 서적의 대표 이미지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적관리서버(140)로부터 수신받은 해당 서적관리코드와 서적 이미지는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의 플래시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서적 탐색부(132)는 타깃 결정부(131)에서 결정된 타깃 서적과 결합되고 특정 영역 내에 서적관리코드를 RF 신호로 방출하는 태그(120)를 탐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영역은 서적 탐색부가 서적에 부착된 태그에서 방출되는 RF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으로, 태그의 종류에 따라 RF 신호의 방출 범위가 변동되므로 특정 영역의 범위 또한 변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적 탐색부(132)는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의 이동 과정에서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120)로부터 수신된 서적관리코드를 기초로 서적관리서버(140)로부터 해당 서적의 제목을 획득하고 해당 서적의 제목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적 탐색부(132)는 해당 서적의 이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해당 서적을 타깃 서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적 탐색부(132)는 사용자가 수 많은 서적이 구비된 도서관에서 도서위치 안내단말을 통해 “오만과 편견”이라는 서적을 검색할 때 도서위치 안내단말을 들고 도서관을 이동하면 사용자가 지나가는 도서관 어느 지점에 구비된 복수의 서적들 각각에 대한 서적관리코드가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신된 복수의 서적들 각각에 대한 서적관리코드 중 기존에 검색한 서적 즉, “오만과 편견”이 아닌 “오만과 낭만”이라는 서적관리코드를 선택하면 서적 탐색부(132)는 서적관리서버(140)로부터 선택된 “오만과 낭만”이라는 서적의 이름을 획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적 탐색부(13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만과 낭만”이라는 서적을 사용자가 기존에 선택한 “오만과 편견”이라는 서적 대신 타깃 서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
서적 위치 산출부(133)는 태그(120)가 탐색되면 RF 신호의 신호를 기초로 서적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적 위치 산출부(133)는 단일의 RF 신호의 신호세기를 기초로 서적의 거리를 추정하거나 또는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의 이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일련의 RF 신호들을 기초로 서적의 방향과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적 위치 산출부(133)는 타깃 서적의 RF 신호의 신호세기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의 신호세기를 기초로 도서위치 안내단말과 해당 서적간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을 들고 도서관의 특정 지역을 이동할 때 해당 서적에 발생하는 RF 신호의 신호세기가 0.8db 이고, 도서관의 특정 지역을 1m 벗어나니 RF 신호세기가 0.4db 이며, 도서관의 특정 지역을 2m 벗어나니 RF 신호세기가 0.1db 이다. 여기에서, 서적 위치 산출부(133)는 해당 서적에서 발생하는 일련의 RF 신호들 즉, 0.8db, 0.4db 및 0.1db 을 기초로 서적의 방향과 거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적의 거리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에서, d 는 서적의 거리, d0 는 단위 거리, n은 공간의 특성에 따라 부여되는 변수, PL(d)는 도서위치 안내단말이 수신한 RF 신호의 신호 세기, PL(d0)는 단위 거리만큼 떨어진 도서위치 안내단말과 해당 서적의 태그 간 발생하는 경로손실(PL) 및α는 거리 감쇠 계수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적의 거리는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이 수신한 RF 신호의 신호 세기가 단위 거리당 감소되는 거리에 관한 함수 그래프 즉, 단위 거리당 점점 감소되는 신호 세기에 관한 함수 그래프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의 수학식은 서적의 거리에 따라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에 수신되는 RF 신호의 신호 세기의 변화량을 이산적인 신호 세기로 변환한 것이다.
따라서, 수학식1은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에 수신되는 해당 서적의 RF 신호의 신호 세기 변화를 통해 도서위치 안내단말(130)로부터 서적의 거리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산출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34)는 산출된 서적의 위치를 기초로 서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34)는 원본 서적 이미지를 사본 서적 이미지로 복사하고, 서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서적의 거리와 반비례 관계를 가지도록 사본 서적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34)는 서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서적의 거리에 따라 변경되므로 원본 서적 이미지를 보호하기 위해 원본 서적 이미지를 사본 서적 이미지로 복사하고, 사본 서적 이미지에 변경된 해상도를 적용시켜 나타낼 수 있다. 원본 서적 이미지는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에 전원이 끊겨도 저장된 이미지가 지워지지 않은 비휘발성 기억장치인 플래시메모리에 저장되고, 사본 서적 이미지는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에 전원이 끊기면 저장된 이미지가 지워지는 휘발성 기억장치인 D램 또는 S램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은 해당 서적이 위치한 지점과 가까워질수록 서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점점 높아져 서적 이미지를 선명하게 출력하고, 반대로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은 해당 서적이 위치한 지점과 멀어질수록 서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점점 낮아져 서적 이미지를 흐리게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34)는 도서위치 안내단말(130)과 해당 서적 간의 거리에 따라 서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변경되어 서적 이미지의 선명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도서위치 안내단말(130)과 해당 서적 간의 거리 즉, 가깝거나 멀거나의 정도를 사용자가 눈으로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34)는 사본 서적 이미지를 N 개의 방향(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할하고, 서적의 방향에 해당하는 제1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에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여 제1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를 그렇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와 다르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34)는 사본 서적 이미지를 2개의 방향 즉,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34)의 전방향 및 후방향으로 분할할 수 있다. 사본 서적 이미지는 제1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와 제2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로 구성되며, 제1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는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전방향에 배치되고, 제2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는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의 후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은 해당 서적이 위치한 지점과 가까워질수록 해당 서적이 위치한 방향에 해당되는 제1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의 해상도가 점점 높아져 제1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를 선명하게 출력하고, 해당 서적이 위치한 방향에 해당되지 않은 제2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의 해상도는 변경이 없거나, 미세하게 조금 높아져 제2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를 제1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보다 덜 선명하게 출력할 수 있다. 즉,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34)는 도서위치 안내단말(130)과 해당 서적 간의 방향에 따라 분할된 사본 서적 이미지의 해상도가 변경되어 서적 이미지의 선명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도서위치 안내단말(130)과 해당 서적 간의 방향을 사용자가 눈으로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34)는 서적 위치 산출부(133)로부터 산출된 서적의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원본 서적 이미지를 사본 서적 이미지로 다시 복사하고 사본 서적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34)는 서적 위치 산출부(133)로부터 산출된 서적의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원본 서적 이미지를 사본 서적 이미지로 다시 복사하여 원본 서적 이미지가 변경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서적 위치 산출부(133)로부터 산출된 서적의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서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해상도의 변화를 복사된 사본 서적 이미지에 적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34)는 서적 이미지로부터 서적의 이름을 추출하여 서적의 이름에 관한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34)는 서적 위치 산출부(133)로부터 산출된 해당 서적의 위치를 기초로 해당 서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조절하는데 이때, 해당 서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변경되어 서적 이미지가 흐려지면 해당 서적의 이름까지 흐려져 사용자가 해당 서적을 식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34)는 해당 서적의 위치를 기초로 해당 서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변경되어도 사용자가 해당 서적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해당 서적의 이름을 추출하여 서적의 이름에 관한 디스플레이 해상도만은 변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인 도서 대여 시스템에 본 발명의 도서위치 안내단말이 적용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a의 객체 안내 시스템이 적용된 무인 도서 대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인 도서 대여 시스템은 도서 대여 관리 서버(210), 디스플레이부(220) 및 도서 저장 및 관리부(230)를 포함한다. 도서 대여 관리 서버(210)는 사용자 인증, 도서 대여 및 반납 관리, 도서 정보 관리 및 제공 등 인증 및 대여/반납과 관련된 프로세스를 처리한다. 도서 대여 관리 서버(210)는 인증 절차를 거친 후, 도서 정보 제공, 도서 대여/반납 등의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사용자 인증, 도서 대여 및 반납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도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20)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함께 터치 입력 수단과 같은 입력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서 저장 및 관리부(230)는 도서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도서 저장 및 관리부(230)는 도서 대여 관리 서버(210)의 제어에 따라 특정 도서를 출고하거나, 반납된 도서를 정렬하여 관리한다.
도서 대여 관리 서버(210)는 도서 정보 및 해당 도서에 구비된 태그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무인 도서 대여 시스템의 운영자는 미리 도서에 태그를 부착하여 도서 저장 및 관리부(230)에 입고하고, 도서 대여 관리 서버(210)는 입고된 도서에 대한 도서 정보 및 해당 도서에 구비된 태그의 고유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운영자는 도서 저장 및 관리부(230)에서 도서를 출고하고, 도서 대여 관리 서버(210)는 출고된 도서에 대한 도서 정보 및 해당 도서에 구비된 태그의 고유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서 대여 관리 서버(210)는 입고 또는 출고되는 도서의 태그로부터 도서 정보 및 해당 태그의 고유 식별 정보를 읽어 자동으로 해당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도서 대여 시스템은 도서 저장 및 관리부(230)에 태그 리더 모듈을 구비하여, 입고시 도서의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태그는 고유 식별 정보 및 태그가 부착될 도서에 대한 도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서위치 안내단말(240)로부터 특정 도서에 대한 정보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도서 대여 관리 서버(210)는 해당 특정 도서에 대한 도서 정보 및 해당 도서에 구비된 태그의 고유 식별 정보를 도서위치 안내단말(240)로 제공한다.
도 3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서를 검색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도서 대여 관리 서버(210)에 접속하여, 해당 무인 도서 대여 시스템의 도서 저장 및 관리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도서를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무선랜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도서 대여 관리 서버(210)에 접속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통신 등을 통해 도서 대여 관리 서버(210)에 직접 접속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도서 검색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도서 검색 화면(310)을 디스플레이한다. 도서 검색 화면(310)은 검색창(320) 및 도서 리스트(330)를 포함한다. 도서 리스트(330)에 디스플레이된 도서 중 특정 도서가 선택되는 경우,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도서 대여 관리 서버(210)에 해당 도서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하고, 도서 대여 관리 서버(210)는 해당 도서에 대한 도서 정보 및 해당 도서에 구비된 태그의 고유 식별 정보를 도서위치 안내단말(240)로 제공한다.
도 4는 선택된 도서의 도서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특정 도서가 선택되는 경우,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도서 정보 화면(410)을 디스플레이한다. 도서 정보 화면(410)은 도서 정보(420) 및 도서 위치 안내 버튼(430)을 포함한다. 도서 정보(420)에는 도서 대여 관리 서버(210)로부터 수신된 도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도서 위치 안내 버튼(430)을 통해 도서 위치 안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태그 리더 모듈을 통해 RF 신호를 수신한다. 도서 대여 관리 서버(210)로부터 수신된 고유 식별 정보를 기초로,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수신된 RF 신호 가운데 특정 도서의 태그에서 출력된 RF 신호를 식별할 수 있다. 특정 도서의 태그에서 출력된 RF 신호가 식별되면,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식별된 RF 신호의 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세기를 기초로 해당 도서에 대한 이미지를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5는 측정된 신호 세기를 기초로 변환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도서 위치 안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서 위치 안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도서 위치 안내 화면(510)을 디스플레이한다. 도서 위치 안내 화면(510)은 도서에 대한 원본 이미지(520), 도서에 대한 요약 정보(530), 음성 출력 선택 버튼(540), 신호 세기 게이지(550), 신호 세기 수치(560) 및 변환된 이미지(570)를 포함한다.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도서 대여 관리 서버(210)로부터 수신된 도서 정보 가운데 원본 이미지 및 요약 정보를 도서 위치 안내 화면(510)에 출력한다.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도서 위치 안내 화면(510)에 원본 이미지(520)와 해당 원본 이미지를 변환한 이미지(560)를 함께 출력하여, 사용자가 변환된 이미지(560)의 선명도를 직관적으로 추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음성 출력 선택 버튼(540)을 통해 효과음 또는 안내음과 같은 소리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측정된 신호 세기를 기초로 신호 세기 정보 및 변환된 이미지(570)를 도서 위치 안내 화면(510)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측정된 신호 세기를 신호 세기 게이지(550)로 도식화하여 출력하거나, 신호 세기 수치(560)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신호 세기 수치를 데시벨(db, dbm) 단위로 출력할 수 있다.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도서 위치 안내 화면(510)에 신호 세기 정보 및 변환된 이미지(570)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도서에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이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추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신호 세기에 따른 추정 거리를 매칭한 테이블을 저장하고, 해당 테이블과 측정된 신호 세기를 기초로 추정 거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측정된 신호세기를 기초로 신호세기가 커질수록 사용자가 선택한 도서의 원본 이미지를 선명하게 출력하고, 측정된 신호세기가 작아질수록 해당 이미지를 흐리게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거리가 가까운 도서(232a)의 이미지는 선명하게 출력하고, 멀리 떨어진 도서(232b)의 이미지는 흐리게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사용자가 선택한 도서의 원본 이미지를 비네트 필터(Vignette filter) 또는 가우시안 블러 필터(Gaussian blur filter)로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측정된 신호세기를 기초로 필터링 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필터링 계수를 필터에 적용하여 원본 이미지를 필터링할 수 있다.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하기 수학식 2를 통해 필터링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여기에서, RSSI(%)는 특정 기준값 대비 신호 세기의 퍼센트 값을 나타낸다.
수학식 2에 의하면, 측정된 신호 세기가 커질수록 필터링 계수는 0에 가까워지므로 필터를 통해 변환된 이미지는 원본에 가까운 선명한 이미지에 가까워진다. 측정된 신호 세기가 작을수록 필터링 계수는 1에 가까워지므로 필터를 통해 변환된 이미지는 흐려지게 된다.
도 6은 측정된 신호 세기를 기초로 변환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측정된 신호 세기가 100%인 경우(필터링 계수는 0), 필터를 통해 변환된 이미지는 원본에 가까운 선명한 이미지에 가깝고, 측정된 신호 세기가 0%인 경우(필터링 계수는 1), 필터를 통해 변환된 이미지는 원본을 식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흐려진 이미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하기 수학식 3을 통해 필터링 계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Figure pat00004
여기에서, α는 조정 계수, RSSI(%)는 특정 기준값 대비 신호 세기의 퍼센트 값을 나타낸다.
조정 계수는 설계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도서위치 안내단말(240) 사용자에 의해 조정되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정 계수 설정을 통해 자신에게 편안한 필터링 효과를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에 설정할 수 있다.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은 실시간으로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필터링 계수를 산출하여 이미지를 변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이미지와 원본 이미지를 비교 대조하여 도서위치 안내단말(240)과 선택한 도서 사이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변환된 이미지가 선명해지는 방향으로 도서위치 안내단말(240)을 이동시켜 자신이 선택한 도서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도서위치 안내단말이 도서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적 결정부(131)는 타깃 서적을 결정하여 도서관에 의해 부여된 서적관리코드와 서적 이미지를 획득한다(S701). 타깃 서적은 사용자가 입력한 타깃 서적으로, 서적의 제목, 서적고유코드, 서적의 지은이(또는 극본가) 및 서적을 출판한 출판사를 포함한 타깃 서적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면 타깃 서적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적 결정부(131)는 사용자로부터 서적의 제목 또는 서적고유코드를 수신하여 서적관리서버(140)로부터 서적관리코드와 서적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적 이미지는 서적의 겉표지, 서적의 대표 이미지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서적 탐색부(132)는 타깃 서적과 결합되고 특정 영역 내에 서적관리코드를 RF 신호로 방출하는 태그(120)를 탐색한다(S702). 여기에서, 특정 영역은 서적 탐색부가 서적에 부착된 태그에서 방출되는 RF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으로, 태그의 종류에 따라 RF 신호의 방출 범위가 변동되므로 특정 영역의 범위 또한 변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적 탐색부(132)는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의 이동 과정에서 RFID 태그(120)로부터 수신된 서적관리코드를 기초로 서적관리서버(140)로부터 해당 서적의 제목을 획득하고 해당 서적의 제목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서적 탐색부(132)는 해당 서적의 이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해당 서적을 타깃 서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
서적 위치 산출부(133)는 태그(120)가 탐색되면 RF 신호의 신호를 기초로 서적의 위치를 산출한다(S703). 일 실시예에서, 서적 위치 산출부(133)는 단일의 RF 신호의 신호세기를 기초로 서적의 거리를 추정하거나 또는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의 이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일련의 RF 신호들을 기초로 서적의 방향과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34)는 산출된 서적의 위치를 기초로 서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조절한다(S704). 일 실시예에서,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34)는 원본 서적 이미지를 사본 서적 이미지로 복사하고, 서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서적의 거리와 반비례 관계를 가지도록 사본 서적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은 해당 서적이 위치한 지점과 가까워질수록 서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점점 높아져 서적 이미지를 선명하게 출력하고, 반대로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이 해당 서적이 위치한 지점과 멀어질수록 서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점점 낮아져 서적 이미지를 흐리게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134)는 사본 서적 이미지를 N 개의 방향(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할하고, 서적의 방향에 해당하는 제1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에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여 제1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를 그렇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와 다르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서위치 안내단말(130)은 해당 서적이 위치한 지점과 가까워질수록 해당 서적이 위치한 방향에 해당되는 제1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의 해상도가 점점 높아져 제1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를 선명하게 출력하고, 해당 서적이 위치한 방향에 해당되지 않은 제2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의 해상도는 변경이 없거나, 미세하게 조금 높아져 제2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를 제1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보다 덜 선명하게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도서위치 안내단말은 측정된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객체와의 거리를 추정하여 해당 객체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측정된 신호의 세기에 따라 변환된 이미지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객체와의 거리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단말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객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객체 위치 안내 시스템
110: 객체
120: 태그
130: 도서위치 안내단말
131: 서적 결정부
132: 서적 탐색부
133: 서적 위치 산출부
134: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
140: 서적관리서버

Claims (11)

  1. 타깃 서적을 결정하여 도서관에 의해 부여된 서적관리코드와 서적 이미지를 획득하는 서적 결정부;
    상기 타깃 서적과 결합되고 특정 영역 내에 상기 서적관리코드를 RF 신호로 방출하는 태그를 탐색하는 서적 탐색부;
    상기 태그가 탐색되면 상기 RF 신호의 신호를 기초로 상기 서적의 위치를 산출하는 서적 위치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서적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서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조절하는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도서위치 안내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적 결정부는
    사용자로부터 서적의 제목 또는 서적고유코드를 수신하여 서적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서적관리코드와 상기 서적 이미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 안내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적 이미지는
    상기 서적의 겉표지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 안내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적 탐색부는
    상기 도서위치 안내단말의 이동 과정에서 RFID 태그로부터 수신된 서적관리코드를 기초로 서적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서적의 제목을 획득하고 상기 해당 서적의 제목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 안내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적 탐색부는
    상기 해당 서적의 이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해당 서적을 상기 타깃 서적으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 안내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적 위치 산출부는
    단일의 RF 신호의 신호세기를 기초로 상기 서적의 거리를 추정하거나 또는 상기 도서위치 안내단말의 이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일련의 RF 신호들을 기초로 상기 서적의 방향과 거리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 안내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적의 거리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 안내단말.
    [수학식 1]
    Figure pat00005

    d 는 서적의 거리
    d0 는 단위 거리
    n은 공간의 특성에 따라 부여되는 변수
    PL(d)는 도서위치 안내단말이 수신한 RF 신호의 신호 세기
    PL(d0)는 단위 거리만큼 떨어진 도서위치 안내단말과 해당 서적의 태그 간 발생하는 경로손실(PL)
    α는 거리 감쇠 계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는
    원본 서적 이미지를 사본 서적 이미지로 복사하고, 상기 서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상기 서적의 거리와 반비례 관계를 가지도록 상기 사본 서적 이미지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 안내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본 서적 이미지를 N 개의 방향(상기 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할하고, 상기 서적의 방향에 해당하는 제1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에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여 상기 제1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를 그렇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분할 사본 서적 이미지와 다르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 안내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적 위치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상기 서적의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원본 서적 이미지를 상기 사본 서적 이미지로 다시 복사하고 상기 사본 서적 이미지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 안내단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적 이미지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적 이미지로부터 상기 서적의 이름을 추출하여 상기 서적의 이름에 관한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변경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위치 안내단말.
KR1020160031674A 2015-03-30 2016-03-16 도서위치 안내단말 KR201601171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070 2015-03-30
KR20150044070 2015-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193A true KR20160117193A (ko) 2016-10-10

Family

ID=5714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674A KR20160117193A (ko) 2015-03-30 2016-03-16 도서위치 안내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71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115A (ko) * 2018-02-02 2019-08-12 도요타 지도샤(주) 원격 조작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CN111091650A (zh) * 2019-12-19 2020-05-01 河南瑞泰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值守书籍回收投放设备、管理后台、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571B1 (ko) 2009-05-04 2011-10-1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서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11598A (ko) 2012-07-18 2014-01-29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서 위치 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571B1 (ko) 2009-05-04 2011-10-1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서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11598A (ko) 2012-07-18 2014-01-29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서 위치 안내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115A (ko) * 2018-02-02 2019-08-12 도요타 지도샤(주) 원격 조작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CN110139026A (zh) * 2018-02-02 2019-08-16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远程操作系统及其通信方法
CN111091650A (zh) * 2019-12-19 2020-05-01 河南瑞泰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值守书籍回收投放设备、管理后台、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768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adata setting method thereof
KR101950998B1 (ko) 엔에프씨 태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3473227B (zh) 微博动态显示方法和装置
CN102377876B (zh) 移动终端和在其中设置应用指示符的方法
EP31215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patial parameter based on an image
US2017003954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070165034A1 (en) Snap To Element Analytical Tool
CN104007921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10832666B2 (en) Advanced user interface for voice search and results display
KR20140100727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EP26724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3D map showing area of interest in real time
KR2014005536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49458B1 (ko) 오브젝트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7193A (ko) 도서위치 안내단말
US20190122063A1 (en) Identifying object representations in image data
KR20110108450A (ko) 위치 추적용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
KR10178184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50326623A1 (en) Real time monitoring of user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selective receipt of virtual cards
CN104978652A (zh) 一种数据转移方法及相关设备、系统
KR101718013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60117194A (ko) 도서위치 안내단말
CN104349024A (zh) 一种采集图像的方法和电子设备
KR2017004567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40067541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KR2017007444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