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7039A - 유아용 젖병 - Google Patents

유아용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7039A
KR20160117039A KR1020150045623A KR20150045623A KR20160117039A KR 20160117039 A KR20160117039 A KR 20160117039A KR 1020150045623 A KR1020150045623 A KR 1020150045623A KR 20150045623 A KR20150045623 A KR 20150045623A KR 20160117039 A KR20160117039 A KR 20160117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nursing bottle
main body
stainless stee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이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주 filed Critical 이승주
Priority to KR1020150045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7039A/ko
Publication of KR20160117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젖병본체(1)를 스테인레스로 제작하되 본체의 일측에 수직으로 장공(2)을 형성하고 이 장공(2)에 투명물질을 부착하여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3)을 설치하여 젖병본체(1)의 외부에 온도의 변화에 의하여 변색되는 변색물질을 이용하여 젖병의 유량을 측정할수 있도록 용량확인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젖병을 통해 젖병본체를 스테인레스로 구성하되 측면에 유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젖병본체가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레스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으며 젖병의 파손시 원자재가 고가의 스테인레스이기 때문에 수거하는 사람이 많아 폐기하기가 용이하고 이로 인하여 쓰레기의 발생을 줄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원자재를 재사용하므로서 낭비를 방지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젖병{BABY BOTTLE}
본 발명은 유아용 젖병에 관련하는 것으로, 물병을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레스와 실리콘으로 제작하되 스테인레스물병의 내부를 확인할수가 없기 때문에 물병의 일측에 용량을 확인할수 있게 투시창을 형성하므로서 발암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아용 젖병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파손된 젖병을 폐기할 경우 젖병이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폐 젖병을 회수하여 재 가공하는 비용보다 새로 만드는 비용이 더 저렴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없으며, 이로 인하여 젖병 제조회사에서 폐 젖병을 회수하지 않으므로 소비자는 젖병을 쓰레기봉투에 넣어 폐기하므로 서 불필요한 원자재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유아와 함께 외출을 할 경우 기저귀가방의 일측에 수개의 젖병과 분유통 및 보온물병과 완구 등을 함께 넣고 필요할 때마다 꺼내어 사용하였는 바, 젖병과 각종 물건이 기저귀가방에 함께 있기 때문에 위생상 불결한 단점이 있었으며 한가지의 물품을 찾기 위하여 가방을 뒤지면서 각종 유아물품을 만지게 되어 젖병에 각종 이 물질이 묻게 되므로 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에 게재된 유아용 젖병의 외측에 젖병 커버를 직접적으로 부착 또는 고정시킴으로서 젖병과 일체가 되도록 젖병 커버를 일체화시킨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과 상이하다.
한국등록실용신안 0338019호 (2003.12.29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물병을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레스와 실리콘으로 제작하되 스테인레스물병의 내부를 확인할수가 없기 때문에 물병의 일측에 용량을 획인할수 있게 투시창을 형성하므로서 발암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폐기시 물병 자체가 고가로 수거하여 재생되는 스테인레스로 되어 있기 때문에 폐기가 용이하도록 하며 물병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학생들이 도시락과 함께 가지고 다니는 물병으로 사용할수 있도록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젖병본체(1)를 스테인레스로 제작하되 본체의 일측에 수직으로 장공(2)을 형성하고 이 장공(2)에 투명물질을 부착하여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3)을 설치하여 젖병본체(1)의 외부에 온도의 변화에 의하여 변색되는 변색물질을 이용하여 젖병의 유량을 측정할수 있도록 용량확인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을 제공한다.
상기 젖병본체(1)의 하단에 체결부(5)를 형성하고 이 체결부(5)에 용량을 측정할수 있도록 유량계(6)가 설치되어 있는 받침대(7)를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젖병을 통해 젖병본체를 스테인레스로 구성하되 측면에 유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젖병본체가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레스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으며 젖병의 파손시 원자재가 고가의 스테인레스이기 때문에 수거하는 사람이 많아 폐기하기가 용이하고 이로 인하여 쓰레기의 발생을 줄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원자재를 재사용하므로서 낭비를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젖병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젖병본체(1)를 스테인레스로 제작하되 본체의 일측에 수직으로 장공(2)을 형성하고 이 장공(2)에 투명물질을 부착하여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3)을 설치하여 젖병본체(1)의 외부에 온도의 변화에 의하여 변색되는 변색물질을 이용하여 젖병의 유량을 측정할수 있도록 용량확인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을 제공한다.
상기 젖병본체(1)의 하단에 체결부(5)를 형성하고 이 체결부(5)에 용량을 측정할수 있도록 유량계(6)가 설치되어 있는 받침대(7)를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젖병본체(1)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장공(2)에 전,후에 돌출부(10)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물질(3)을 방수되게 체결하여도 된다. 스테인레스 원판을 일정한 크기로 재단한 다음 원형으로 감고 그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여 파이프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파이프를 젖병의 크기로 절단한 다음 이 파이프를 성형기로 이송하여 젖병의 목부분을 성형한다.
이때 젖병의 상부 외측에 체결되는 외부커버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와 젖꼭지가 체결되는 젖꼭지 체결부를 함께 성형하며 젖병의 상부 외측에 체결되는 뚜껑은 별도로 가공하여 제작한다.
젖병본체(1)를 사용하여 분유를 탈 경우 젖병본체(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2)을 통하여 용량을 확인하면서 젖병본체(1)의 내부에 있는 물을 넣으면 물이 고정판(8)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9)을 통하여 투명물질(3)을 통과하여 젖병본체(1)의 외부에 나타나기 때문에 물을 알맞고 적당하게 넣을 수가 있는 것이다.
즉, 젖병본체(1)의 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장공(2)에 연질의 투명물질(3)이 방수되게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를 간단하게 볼 수가 있는 것이다. 즉 투명물질(3)의 전, 후에 크고 작은 돌출부(1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물질(3)을 장공(2)에 억지 끼워 맞춤으로 체결하면 돌출부(10)가 장공(2)의 전후를 채우게 되므로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젖병의 외부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보온의 효과를 위하여 신축성이 있는 보온용 커버를 체결하여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젖병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특허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2)

  1. 젖병본체(1)를 스테인레스로 제작하되 본체의 일측에 수직으로 장공(2)을 형성하고 이 장공(2)에 투명물질을 부착하여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3)을 설치하여 젖병본체(1)의 외부에 온도의 변화에 의하여 변색되는 변색물질을 이용하여 젖병의 유량을 측정할수 있도록 용량확인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젖병본체(1)의 하단에 체결부(5)를 형성하고 이 체결부(5)에 용량을 측정할수 있도록 유량계(6)가 설치되어 있는 받침대(7)를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KR1020150045623A 2015-03-31 2015-03-31 유아용 젖병 KR20160117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623A KR20160117039A (ko) 2015-03-31 2015-03-31 유아용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623A KR20160117039A (ko) 2015-03-31 2015-03-31 유아용 젖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039A true KR20160117039A (ko) 2016-10-10

Family

ID=5714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623A KR20160117039A (ko) 2015-03-31 2015-03-31 유아용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703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019B1 (ko) 1993-12-29 2002-10-3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연료분사펌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019B1 (ko) 1993-12-29 2002-10-3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연료분사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078548U (zh) 一种玻璃内胆双层奶瓶
MY122371A (en) Feed bottles for babies
KR20160117039A (ko) 유아용 젖병
CN102357060A (zh) 一种奶瓶套及奶瓶
CN102951329B (zh) 一种柔性热封式倒放瓶
CN201453674U (zh) 可视温度奶瓶
TWD194812S (zh) Cover for packaging containers
CN204092600U (zh) 一种自带重力球的吸管
CN202342485U (zh) 一种防爆玻璃奶瓶
TWD193907S (zh) 附有噴出器具之包裝用容器
CN201775800U (zh) 测温奶瓶
CN203252374U (zh) 一种推拉奶粉勺
CN203127449U (zh) 卫生用品包装结构
DE29905766U1 (de) Vorrichtung in einer Tubenfüll- und -versiegelungsmaschine zur Erhitzung eines Teils der Innenseite einer Plastikverpackungstube
CN203539714U (zh) 一种测温弹片及其具有该测温弹片的奶瓶
CN204766594U (zh) 抛弃式奶瓶
CN204871905U (zh) 一种容器
CN207871159U (zh) 能量环套结构
CN204245799U (zh) 一次性杯子
CN103239100B (zh) 一种旋转奶粉勺
CN202892410U (zh) 方便脊髓灰质炎糖丸包装
CN201253355Y (zh) 温度指示奶瓶
CN203345441U (zh) 一种新型塑料奶粉罐
CN201123904Y (zh) 自动感温奶瓶
CN202784279U (zh) 容器启封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