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7028A - Hard coating film, preparation methode thereof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Hard coating film, preparation methode thereof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7028A
KR20160117028A KR1020150045598A KR20150045598A KR20160117028A KR 20160117028 A KR20160117028 A KR 20160117028A KR 1020150045598 A KR1020150045598 A KR 1020150045598A KR 20150045598 A KR20150045598 A KR 20150045598A KR 20160117028 A KR20160117028 A KR 20160117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ing
coating film
groove
coating layer
h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5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승모
허지혜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5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7028A/en
Publication of KR20160117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0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d coating film, to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o a flexible substrate provided with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hard coating film comprising a hard coating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substrate film, for performing excellent bending properties (flexibility). The hard coating layer including a groove unit along a virtual bending shaft is satisfied with a specific stepped ratio parameter, thereby exhibiting excellent hardness and improving the resistance to the accumulated fatigue destruction due to the groove unit.

Description

하드코팅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HARD COATING FILM, PREPARATION METHODE THEREOF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d coating film,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드코팅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도 및 유연성이 모두 우수한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d coating film,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rd coating film having excellent hardness and flexibility.

최근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등의 평판 표시 장치를 이용한 박형 표시 장치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이들 박형 표시 장치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형태로 구현되어,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뿐만 아니라, 각종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에 이르기까지 휴대성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스마트 기기(smart device)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Recently, a thin display device using a flat panel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has received great attention. Particularly, these thin display devices are realiz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panel, and are characterized by being portable not only in a smart phone, a tablet PC, but also in various wearable devices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smart devices.

이러한 휴대 가능한 터치 스크린 패널 기반 표시 장치들은 스크래치 또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고자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디스플레이 보호용 윈도우 커버를 구비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디스플레이용 강화 유리를 윈도우 커버로 사용하고 있다. 디스플레이용 강화 유리는 일반적인 유리 보다 얇지만, 높은 강도와 함께 긁힘에 강하게 제작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These portable touch screen panel based display devices have a window cover for display protection on a display panel in order to protect the display panel from scratches or external impacts, and in most cases, the tempered glass for display is used as a window cover. Tempered glass for displays is thinner than ordinary glass, but is characterized by high strength and scratch resistance.

하지만 강화 유리는 무게가 무거워 휴대 기기의 경량화에 적합하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외부 충격에 취약하여 쉽게 깨지지 않는 성질(unbreakable)을 구현하기 어려우며, 일정 수준 이상 구부러지지 않아 구부리거나(bendable) 접을 수 있는(foldable) 기능을 가지는 휘는(flexible) 디스플레이 소재로서 적합하지 않다.However, since the tempered glass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suitable for weight reduction of a portable device due to its heavy weight, it is difficult to realize an unbreakable property because it is vulnerable to an external impact, and is not bendable, It is not suitable as a flexible display material having a foldable function.

최근에는 유연성 및 내충격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강화 유리에 상응하는 강도 또는 내스크래치성을 가지는 광학용 플라스틱 커버에 대한 검토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강화 유리에 비해 유연성을 가지는 광학용 투명 플라스틱 커버 소재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아크릴레이트(PAR),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이미드(PI) 등이 있다. 하지만, 이들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의 경우, 디스플레이 보호용 윈도우 커버로 사용되는 강화 유리에 비해 경도 및 내스크래치성 측면에서 부족한 물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내충격성도 충분하지 못하다. 때문에 이들 플라스틱 기판에 복합 수지 조성물을 코팅함으로써 요구되는 물성들을 보완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studies on optical plastic covers having strength or scratch resistance corresponding to tempered glass, while ensuring flexibility and impact resistance, have been made variously.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ersulfone (PES),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acrylate (PAR), polycarbonate (PC) , Polyimide (PI), and the like. However, these polymer plastic substrates not only lack physical properties in terms of hardness and scratch resistance as compared with tempered glass used as a window cover for display protection, but also have insufficient impact resistance. Therefore,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complement the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by coating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on these plastic substrates.

일반적인 하드 코팅의 경우, 광경화형 관능기가 포함된 수지와 경화제 또는 경화 촉매 및 기타 첨가제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이용하며, 특히 고관능기의 복합 수지의 경우, 이를 광학용 플라스틱 기재 필름 위에 코팅하여 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보호용 윈도우로의 사용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a general hard coating, a composition comprising a resin containing a photocurable functional group, a curing agent or a curing catalyst and other additives is us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omposite resin having a high functional group, it is coated on an optical plastic substrate film to produce hardness and scratch resistance It is possible to use it as a display protection window with improved performance.

하지만, 일반적인 광경화형 복합 수지의 경우, 강화 유리에 상응하는 고경도를 구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경화 시 수축에 의한 컬(curl) 현상이 크게 발생하고, 유연성 또한 충분하지 않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 위한 보호용 윈도우 커버로는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general photocurable composite resin, it is difficult to realize a high hardness corresponding to tempered glass, curl phenomenon due to shrinkage during curing is largely generated, and flexibility is not sufficient, It is not suitable as a protective window cover.

한국공개특허 제2013-74167호에는 플라스틱 기판이 개시되어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74167 discloses a plastic substrate.

한국공개특허 제2013-74167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3-74167

본 발명은 고경도 및 유연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rd coating film capable of simultaneously realizing hardness and flexibilit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the hard coating film.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드코팅 필름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hard coating film.

1.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하고,1. A hard coat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base film,

상기 하드코팅층은 굽힘축을 따라 홈부를 포함하고, Wherein the hard coat layer comprises a groove along a bending axis,

상기 하드코팅층은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단차비를 만족하는, 하드코팅 필름:Wherein the hard coating layer satisfies a stiffness ratio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수학식 1][Equation 1]

2 ≤ D1/D2 ≤ 102? D1 / D2? 10

(식 중에서, 상기 D1은 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평탄부의 수직단면의 높이이고, D2는 홈부의 수직단면의 최소 높이임).(Where D1 is the height of the vertical section of the flat section where the grooves are not formed and D2 is the minimum height of the vertical section of the groove section).

2. 위 1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최대 너비(R2)는 0.1 내지 10cm인, 하드코팅 필름.2. The hard coating film of 1 above, wherein the maximum width (R2) of the groove portion is 0.1 to 10 cm.

3. 위 1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최대 깊이(R1)는 1 내지 50㎛인, 하드코팅 필름.3. The hard coating film of 1 above, wherein the maximum depth R1 of the groove portion is 1 to 50 mu m.

4. 위 1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단면 모양은 반원형, 타원형, 사각형, 역사다리꼴형 및 역삼각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드코팅 필름.4. The hard coating film of 1 above, where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roov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emicircular, elliptical, quadrangular, inverted trapezoidal, and inverted triangular.

5. 위 4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단면이 역사다리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역사다리꼴형의 윗변의 길이(r1)과 아랫변의 길이(r2)의 차이는 0cm 초과 10cm 미만인, 하드코팅 필름.5. The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when the groove section is formed in an inverted trapezoidal shap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r1 of the upper side of the inverted trapezoid and the length r2 of the lower side is more than 0 cm and less than 10 cm.

6. 위 1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하부 및 평탄부는 하기 수학식 2로 표시되는 강직성 값이 서로 다른 것인, 하드코팅 필름:6. The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item 1, wherein a lower portion and a flat portion of the groove portion have different values of rigidity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수학식 2]&Quot; (2) "

강직성(kPa·mm) = 탄성률(GPa) Ⅹ 층 두께(㎛).Rigidity (kPa · mm) = Elastic modulus (GPa) Ⅹ Layer thickness (㎛).

7. 위 6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하부의 강직성은 평탄부의 강직성의 10 내지 45%인, 하드코팅 필름.7. The hard coating film of claim 6, wherein the rigidity of the lower portion of the groove portion is 10 to 45% of the rigidity of the flat portion.

8. 위 1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아세틸 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프로피오닐 셀룰오로스, 부티릴 셀룰로오스, 아세틸 프로피오닐 셀룰로오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하드코팅 필름.8. The film of claim 1, wherein the base film is at least one of triacetyl cellulose, acetyl cellulose butyrate,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propionyl cellulose, butyryl cellulose, acetyl propionyl cellulose, Polyetherimide, polyacrylate, polyimide, polyether sulfone, polysulfo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methylpentene, polyvinyl chloride, polyvinylidene chloride,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cetal, polyether ketone, polyether ether Wherein the hard coat film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carbonate.

9. 기재 필름의 일면에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9. A method for producing a hard film, comprising: apply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ing to one surface of a base film;

소정 형상의 양각 패턴을 구비한 마스크 몰드를 상기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층에 덮어 상기 도포층이 상기 양각 패턴에 대응하는 홈부를 갖도록 하는 단계; 및Forming a mask mold having a relief pattern of a predetermined shape on a coating layer of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formation so that the coating layer has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relief pattern; And

상기 홈부가 형성된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층을 경화하여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And curing the coating layer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ing having the groove portion to form a hard coating layer.

10. 위 9에 있어서, 상기 양각 패턴의 최대 너비(R2´)는 0.1 내지 10cm인,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aximum width (R2 ') of the relief pattern is 0.1 to 10 cm.

11. 위 9에 있어서, 상기 양각 패턴의 수직단면 최대 높이(R1´)는 1 내지 50㎛인,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11. The method of producing a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item 9 above, wherein the maximum vertical height (R1 ') of the relief pattern is 1 to 50 mu m.

12. 위 9에 있어서, 상기 양각 패턴의 형상은 반원형, 타원형, 사각형, 사다리꼴형 및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hape of the relief patter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emicircular, elliptical, quadrangular, trapezoidal, and triangular shapes.

13. 위 9 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경화 후, 수학식 1로 표시되는 단차비를 만족하는 것인,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13. The method of producing a hard-coating film according to the above 9, wherein the hard coat layer satisfies a step ratio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fter curing.

[수학식 1][Equation 1]

2 ≤ D1/D2 ≤ 102? D1 / D2? 10

(식 중에서, 상기 D1은 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평탄부의 수직단면의 최대 높이이고, D2는 홈부의 수직단면의 최소 높이임).(D1 is the maximum height of the vertical section of the flat section where the grooves are not formed, and D2 is the minimum height of the vertical section of the groove section).

14. 위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14. 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본 발명의 하드코팅 필름은 가상의 굽힘축을 따라 형성된 소정 홈부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경도 및 유연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The hard coat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determined groove portion formed along a virtual bending axis, so that excellent hardness and flexibility can be realized at the same time.

또한, 하드 코팅 필름은 특정 단차비 파라미터를 만족함으로써, 하드코팅층의 홈부 및 평탄부 사이의 상호 작용을 통해 누적된 피로 파괴에 대한 내성을 현저히 향상시켜 유연 기판에 적용하기 적합하다.
In addition, the hard coat film is suitable for application to a flexible substrate 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resistance to fatigue failure accumulated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e groove portion and the flat portion of the hard coat layer by satisfying the specific step ratio parame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부를 구비하는 하드코팅 필름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마스터 몰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굽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 schematically shows a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ard coating film having a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chematically shows a master mold section used in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chematically shows an apparatus for measuring bending properties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하드코팅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유연 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층은 가상의 굽힘축을 따라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층은 특정 단차비 파라미터를 만족함으로써, 우수한 경도를 나타내고 동시에 상기 홈부에 의해 누적된 피로 파괴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굽힘 특성(유연성)을 구현할 수 있는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d coating film,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flexible substrate hav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d coating film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base film, And the hard coat layer satisfies a specific step ratio parameter, thereby exhibiting excellent hardness and at the same time improving the resistance to fatigue failure accumulated by the groove portion, thereby realizing an excellent bending property (flexibility)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하드코팅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인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FIG. 1 schematically shows a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기재 필름(10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하드코팅층(200)을 포함하며, 상기 하드코팅층(200)은 굽힘축을 따라 형성된 홈부(21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rd coating layer 200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a base film 100, and the hard coating layer 200 includes a groove 210 formed along a bending axis.

본 발명에서 “굽힘축”이란, 필름을 구부리거나 접을 때, 굽힘이 발생하는 시작 지점을 포함하는 축으로서, 상기 가상의 굽힘축을 기준으로 필름의 양쪽이 굽혀지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 bending axis " is an axis including a starting point at which bending occurs when the film is bent or folded, and both sides of the film are bent based on the imaginary bending axis.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층(200)은 가상의 굽힘축을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홈부(210)를 구비함으로써, 필름을 구부리거나 접을 때, 상기 홈부(210)를 통해 하드코팅층(200)에 발생하는 압축 응력을 감소시켜, 하드코팅층의 크랙이나 파단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홈부(210)는 하드코팅층(200)이 소정의 단차를 갖도록 형성된 부분이며, 본 발명에서 상기 홈부(210)가 형성되지 않은 하드코팅층(200)의 부분을 평탄부(220)라 한다(도 1 참조).The hard coating lay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roove 210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long a virtual bending axis so that the hard coating layer 200 formed on the hard coating layer 200 through the groove 210 when the film is bent or folded The compressive stress can be reduced, and cracking or breakage of the hard coat layer can be remarkably reduced. The groove part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 where the hard coating layer 200 has a predetermined step difference and the part of the hard coating layer 200 on which the groove part 210 is not formed is formed as a flat part 220 (See Fig. 1).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층(200)은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단차비 파라미터를 만족한다.The hard coat lay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the step ratio parameter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2 ≤ D1/D2 ≤ 102? D1 / D2? 10

(식 중에서, 상기 D1은 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평탄부의 수직단면의 높이이고, D2는 홈부의 하부 수직단면의 최소 높이임).(Where D1 is the height of the vertical section of the flat section where the grooves are not formed and D2 is the minimum height of the lower vertical section of the groove section).

본 발명에서 홈부의 하부(211)는 홈부(210)의 최대 깊이(R1) 값을 가지는 지점에서의 소정 두께의 하드코팅층을 의미한다.The lower portion 211 of the groove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hard coating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t a point having the maximum depth R1 of the groove portion 210. [

하드코팅 필름의 유연성은 필름의 두께 및 형상에 따라 변화하는 필름의 경도 및 굽힘시 발생하는 압축 응력을 고려해야 하는데,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하드코팅이 특정한 깊이 홈부를 굽힘축에 배치하는 경우에 특정 단차비(평탄부의 수직단면의 높이 대비 홈부의 하부 수직단면의 최소 높이)를 갖게 되면 우수한 유연성이 발현되는 것에 착안한 것이다.The flexibility of the hard coating film must take into account the hardness of the film and the compressive stress that occurs upon bending, depending on the thickness and shape of the film.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when a hard coating places a particular depth groove on the bending axis, It is noted that excellent flexibility is exhibited when the ratio (the minimum height of the lower vertical section of the groove section to the height of the vertical section of the flat section) is provided.

본 발명은 상기 수학식 1의 단차비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하드코팅층(200)의 홈부(210)와 홈부(210)가 형성되지 않은 평탄부(220) 사이에서 압축 응력을 분산시켜, 상반되는 관계의 경도와 굽힘 특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게 하였으며, 특히, 피로 파괴에 대한 내성을 현저히 향상시켜 유연 기판에 적용을 용이하게 하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ressive stress is dispersed between the groove portion 210 of the hard coat layer 200 and the flat portion 220 where the groove portion 210 is not formed by satisfying the stipulation ratio range of Equation (1) The hardness and bending characteristics of the substrate can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resistance to fatigue fracture is remarkably improved to facilitate application to a flexible substrate.

참고로, 고체 재료에 반복 응력을 연속하여 가하면 인장 강도보다 훨씬 낮은 응력에서 재료가 파괴된다. 이처럼 재료에 반복 응력이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것이 재료의 피로이며, 피로에 의한 파괴를 피로 파괴라 한다.For reference, when a continuous stress is applied to a solid material, the material is broken at a stress much lower than the tensile strength. The continuous fatigue of the material is the repetitive stress applied to the material, and fatigue failure is called fatigue failure.

상기 수학식 1의 단차비 파라미터가 2 미만인 경우, 연필 경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응력의 분산 효과가 미미하여 굽힘시 하드코팅층의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10을 초과하는 경우, 형상 제작이 어려울 수 있고, 굽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두께 편차가 커져 광학적으로 시인되어 외관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step ratio parameter of Equation (1) is less than 2, the pencil hardness may be lowered, and the effect of dispersing the stress is insignificant, so that the hard coating layer tends to crack at the time of bending. On the other hand, if it exceeds 10, the production of the shape may be difficult and the bending property may be deteriorated. In addition, the thickness deviation becomes large, and the film is visually optically visible, which may cause appearance problems.

또한, 상기 수학식 1의 단차비 파라미터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9.5일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전술한 효과가 더욱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addition, the step ratio parameter of Equation (1) can preferably be 4 to 9.5,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bove-mentioned effect is further improved within the above range.

본 발명에 따른 홈부(210)의 형상은 전술한 단차비 값을 만족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후술하는 범위의 너비, 높이, 깊이, 모양을 가질 수 있다.The shape of the groove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satisfies the above-mentioned step ratio value, but it may have a width, height, depth, and shape of the range described lat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부(210)를 구비하는 하드코팅 필름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2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shape of a hard coating film having a groove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홈부(210)의 최대 너비(R2)는 0.1 내지 10c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cm일 수 있고,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전술한 단차비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접힐 수 있게 하여, 우수한 굽힘 특성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width R2 of the groove portion 210 may be 0.1 to 10 cm, preferably 1 to 5 cm, and if the range is satisfied, the maximum width R2 of the groove portion 210 can be easily folded within the above- ,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excellent bending property.

본 발명에서 홈부(210)의 최대 깊이(R1)는 1 내지 5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일 수 있고,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굽힘 응력 분산 효과를 더욱 향상시켜, 두께에 따른 연필 경도와 굽힘 특성을 동시에 구현하기에 더욱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depth R1 of the trench 210 may be 1 to 50 탆, preferably 5 to 30 탆, and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the bending stress dispersion effect is further improved, It is more preferable to simultaneously realize the pencil hardness and the bending property.

본 발명에서 홈부(210)의 단면 모양은 반원형(도 2 참조), 타원형, 사각형, 역사다리꼴형, 역삼각형 등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tional shape of the groove 210 may be semicircular (see FIG. 2), an ellipse, a rectangle, an inverted trapezoid, an inverted triangle, or the like.

본 발명에서 홈부(210)가 역사다리꼴형 또는 사각형의 단면 모양으로 형성되는 경우, 윗변의 길이(r1)과 아랫변의 길이(r2)는 각각 홈부의 최대 너비(R2) 범위 내인 0.1 내지 10cm일 수 있다.The length r1 of the upper side and the length r2 of the lower side may be 0.1 to 10 cm, which are within the range of the maximum width R2 of the groove portion, when the groove portion 210 is formed in an inverted trapezoidal or quadrangular cross- have.

상기 윗변의 길이(r1)와 아랫변의 길이(r2)의 차이가 0cm인 경우, 사각형 모양이 되며, 윗변의 길이(r1)와 아랫변의 길이(r2)의 차이가 0cm 초과인 경우 역사다리꼴형이 된다.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r1 of the upper side and the length r2 of the lower side is 0 cm, the shape becomes a quadrangl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r1 of the upper side and the length r2 of the lower side exceeds 0 cm, do.

본 발명에서 홈부(210)가 역사다리꼴형의 단면 모양으로 형성되는 경우, 윗변의 길이(r1)는 아랫변의 길이(r2)의 길이보다 크며, 상기 윗변의 길이(r1)과 아랫변의 길이(r2)의 차이는 0cm 초과 10cm 미만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cm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굽힘 시 압축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두께 증가에 따른 연필 경도와 굽힘 특성을 동시에 확보가 가능 하다. The length r1 of the upper side i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lower side r2 and the length r1 of the upper side and the length r2 of the lower side are smaller than the length r2 of the lower side, ) May be more than 0 cm and less than 10 cm, and preferably 1 to 5 cm.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perse the compressive stress at the time of bending, and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secure the pencil hardness and the bending property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ickness.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하드코팅층(200)은 전술한 단차비 파라미터를 만족함과 동시에, 하드코팅층(200)의 홈부의 하부(211) 및 평탄부(220)가 하기 수학식 2로 표시되는 강직성 파라미터가 서로 다른 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홈부의 하부(211)는 홈부(210)의 최대 깊이(R1) 값을 가지는 지점에서의 소정 두께의 하드코팅층을 의미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d coating lay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the above-described step ratio parameter, and the lower portion 211 and the flat portion 220 of the groove portion of the hard coating layer 200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2 may have different values of stiffness parameters. The lower portion 211 of the groove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hard coating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t a point having the maximum depth R1 of the groove portion 210. [

[수학식 2]&Quot; (2) "

강직성(kPa·mm) = 탄성률(GPa) Ⅹ 층 두께(㎛).Rigidity (kPa · mm) = Elastic modulus (GPa) Ⅹ Layer thickness (㎛).

상기 수학식 2로 표시되는 강직성 파라미터는 필름의 두께 홈부의 깊이 등에 따라 변화하는 필름의 유연성 변화 정도를 탄성률 측면을 고려하여 도출한 것으로서, 전술한 수학식 1의 단차비 파라미터와 동시에 고려될 경우 보다 바람직한 유연성 특성을 갖는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tiffness parameter expressed by Equation (2) is derived by considering the degree of flexibility change of the film, which varies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thickness groove portion of the film or the like, in consideration of the elastic modulus. When considering the stiffness parameter of Equ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ardcoat film having desirable flexibility properties.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층(200)은 상기 홈부의 하부(211) 및 평탄부(220)는 전술한 수학식 2의 강직성 파라미터가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In the hard coating lay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ortion 211 and the flat portion 220 of the groove may have different values of the stiffness parameter of Equation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코팅층(200)은 강직성이 서로 다른 홈부의 하부(211) 및 평탄부(220)를 구비하는 경우, 서로 상반되는 관계의 경도와 굽힘 특성을 동시에 우수한 정도로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피로 파괴에 대한 내성을 현저히 향상시켜 유연 기판에 적용이 용이하다.The hard coating lay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hardness and a bending property which are mutually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when the lower portion 211 and the flat portion 220 of the groove portion having different rigidity are provided In particular, it is easy to apply to a flexible substrate by remarkably improving resistance to fatigue fracture.

본 발명에 따른 홈부의 하부(211) 및 평탄부(220)의 강직성은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범위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각각 1 내지 20kPa·mm일 수 있다. The rigidity of the lower portion 211 and the flat portion 220 of the gro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have different values, but may be, for example, 1 to 20 kPa · mm, respectively.

바람직하게는, 평탄부(220)의 강직성이 홈부의 하부(211)의 강직성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홈부의 하부(211)의 강직성 값은 평탄부(220)의 강직성 값 대비 10 내지 45%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인 것이 좋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홈부(210)가 적정 깊이 값(R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홈부의 굽힘 축을 기준으로 접히는 부분에서 접히지 않는 부분의 강직성을 원활하게 조정할 수 있어, 경도 및 굽힘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Preferably, the rigidity of the flat portion 220 may be greater than the rigidity of the lower portion 211 of the groove portion. For example, the rigidity value of the lower portion 211 of the groove portion may have a value of 10 to 45% of the rigidity value of the flat portion 220, and preferably 15 to 30%.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the groove portion 210 can be formed to have an appropriate depth value R1, whereby the rigidity of the portion which is not folded at the fold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ending axis of the groove portion can be smoothly adjusted, The bending property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평탄부(220)의 강직성 값은 10 내지 30kPa·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kPa·mm일 수 있으며, 홈부의 하부(211)의 강직성 값은 1 내지 8kPa·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kPa·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경도 및 굽힘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rigidity value of the flat portion 220 may be 10 to 30 kPa · mm, preferably 15 to 25 kPa · mm, and the rigidity value of the lower portion 211 of the groove portion may be 1 to 8 kPa · mm And preferably from 2 to 5 kPa · mm.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the hardness and the bending property can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홈부의 하부(211) 및 평탄부(220)의 탄성률은, 상기 수학식 2의 강직성 관계를 만족시키는 범위 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각각 5 내지 15Gpa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2Gpa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탄성률 값을 가지는 경우, 우수한 경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제조 후 크랙이나 컬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The elastic modulus of the lower portion 211 and the flat portion 220 of the gro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satisfies the stiffness relationship of Equation 2 above, And preferably 7 to 12 Gpa. When the modulus of elasticity is in the above range, excellent hardness can be realized and cracks and curl generation after manufacture can be remarkably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층(200)은 광중합성 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무기 입자 및 용제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The hard coat lay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containing a photopolymerizable compou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organic particles and a solvent.

또한, 전술한 수학식 2의 강직성 값을 구현하기 위해서, 전술한 형상으로 홈부(210)를 형성하고, 전술한 탄성률 범위로 하드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라디칼 중합 반응으로 광경화를 진행하고, 경화시 경화 밀도를 조절하거나, 코팅층에 무기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Further, in order to realize the rigidity value of Equation (2), it is possible to form the groove portion 210 in the above-described shape and to form the hard coating layer in the above-mentioned elastic modulus range, , Adjusting the curing density during curing, or incorporating inorganic particles in the coating layer.

본 발명에 따른 광중합성 화합물은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광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 광 라디칼 중합성 올리고머 등일 수 있다.The photopolymerizable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adically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s, and may be a photo-radical polymerizable monomer, a photo-radical polymerizable oligomer, or the like.

광 라디칼 중합성 올리고머는 경화물의 스크래치 내성 및 경도를 향상시키고, 코팅층의 탄성률를 증가시키기 위해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다.The photo-radical polymerizable oligomer may be a urethane (meth) acrylate oligomer for improving the scratch resistance and hardness of the cured product and for increasing the modulus of the coating layer.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분자 내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치환기 및 (메타)아크로일기를 각각 2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The urethane (meth) acrylate oligomer may be a compound having two or more substituents each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nd (meth) acroyl group in the molecule.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OC(=O)NH-** -OC (= O) NH- *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2으로 표시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 1몰과 활성 수소-함유 중합성 불포화 화합물 2몰을 반응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The urethane (meth) acrylate oligomer may be one produced by reacting 1 mole of a diisocyanat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with 2 moles of an active hydrogen-containing polymerizable unsaturated compound.

[화학식 2](2)

R1-OC(=O)NH-R3-NHC(=O)O-R2R1-OC (= O) NH-R3-NHC (= O) O-R2

식 중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활성 수소 함유 중합성 불포화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메타)아크릴로일기를 포함하는 치환기이고, R3는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된 2가 치환기이다.In the formulas, R 1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a substituent group containing a (meth) acryloyl group derived from an active hydrogen-containing polymerizable unsaturated compound, and R 3 is a divalent substituent derived from a diisocyanate.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4-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4-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사이클로헥실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디 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디 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사이클로헥실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의 생성물일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urethane (meth) acrylate oligomer include the reaction of 2-hydroxyethyl (meth) acrylate and 2,4-tolylene diisocyanate, the reaction of 2-hydroxyethyl (meth) Reaction of isocyanate, reaction of 2-hydroxybutyl (meth) acrylate and 2,4-tolylene diisocyanate, reaction of 2-hydroxybutyl (meth) acrylate and isophorone diisocyanate, reaction of pentaerythritol tri ) Acrylate and 2,4-toluene diisocyanate, the reaction of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and isophorone diisocyanate, the reaction of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and 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The reaction of dipentaerythritol penta (meth) acrylate and isophorone diisocyanate, the reaction of dipentaerythritol penta (meth) acrylate It may be a bit and the reaction product of dicyclohexyl diisocyanate.

광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는 예들 들면, 단관능 및/또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photo-radical polymerizable monomer include monofunctional and / or polyfunctional (meth) acrylates, which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구체적인 예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에 에틸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 첨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분자 중에 1~3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올리고 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 에테르(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올리고 우레탄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올리고 에폭시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에 에틸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 첨가 생성물; 및 모노(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가령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3관능 이하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히드록시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glycerol tri (meth) acrylate, tris (2-hydroxyethyl) isocyanurate Butanediol di (meth) acrylate, 1-butanediol di (meth) acrylate, 1-butanediol di (meth) acrylate,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ropylene glycol Acrylate, d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di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neopentyl glycol di (Meth) acrylate, ethylene oxide or propylene oxide-added poly (meth) acrylate in the (meth) acrylic acid ester, bis (2-hydroxyethyl) isocyanurate di .; Oligoester (meth) acrylate, oligoether (meth) acrylate, oligourethane (meth) acrylate and oligoepoxy (meth) acrylate having 1 to 3 (meth) acryloyl groups in the molecule; Hydroxypropyl (meth) acrylate, hydroxypropyl (meth) acrylate, hydroxybutyl (meth) acrylate, and ethylene oxide or propylene oxide addition products to the (meth) acrylic acid ester; And mono (meth) acrylic acid esters such as iso-octyl (meth) acrylate, iso-decyl (meth) acrylate, stearyl (meth) acrylate, tetrahydrofurfuryl (Meth) acrylate and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hydroxypenta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Acrylate, ditrimethylolpropane tetra (meth) acrylate, and the like.

상기 광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와 올리고머의 함량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작업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0:10 내지 10:0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The content ratio of the photo-radical polymerizable monomer to the olig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uitab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workability and the like, and may be included in a ratio of 0:10 to 10: 0, for example.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가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코팅층의 탄성률이 감소하여 굽힘시 코팅층에 크랙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높아져 도포성이 저하되고, 표면 레벨링이 부족하여 외관 특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photopolymerizable compou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5 to 5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0 to 4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When the amount of the polymerizable compound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the elastic modulus of the coating layer is decreased and cracks can easily occur in the coating layer at the time of bending. When the amount exceeds 50 parts by weight, the coating property is decreased due to high viscosity, A problem may arise.

본 발명에 따른 무기 입자는 코팅층 내에서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고, 코팅층의 탄성률을 향상시키기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서, 평균 입경이 1 내지 800n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n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organic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dded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abrasion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nd the like in the coating layer and to improve the elastic modulus of the coating layer and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 to 800 nm and preferably 5 to 100 nm .

상기 무기 입자의 입경이 1nm 미만인 경우, 조성물 내에서 응집하여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전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무기 입자의 입경이 800nm를 초과하는 경우, 최종 얻어진 코팅층의 광학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오히려 기계적 물성도 저하될 수 있다.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less than 1 nm, it is impossible to form a uniform coating layer by coagulating in the composition, and thus the above-mentioned effect can not be expected. When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inorganic particles exceeds 800 nm,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finally obtained coating layer may be deteriorated,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may be deteriorated.

상기 무기 입자의 종류는 금속 산화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Al2O3, SiO2, ZnO, ZrO2, BaTiO3, TiO2, Ta2O5, Ti3O5, ITO, IZO, ATO, ZnO-Al, Nb2O3, SnO, MgO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Al2O3, SiO2, ZrO2 가 좋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type of the inorganic particles may be a metal oxide, for example, Al 2 O 3, SiO 2 , ZnO, ZrO 2, BaTiO 3, TiO 2, Ta 2 O 5, Ti 3 O 5, ITO, IZO, ATO , ZnO-Al, Nb 2 O 3, there may be mentioned SnO, MgO, etc., preferably Al 2 O 3, SiO 2, ZrO 2 is goo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무기 입자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8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이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 미량으로 전술한 효과를 구현하기 어려우며, 8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코팅층의 광학적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이 모두 저하될 수 있고, 크랙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10 to 8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0 to 6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When the amount of the photopolymerizable compound is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above-mentioned effect in a small amount. When the amount of the photopolymerizable compound is more than 80 parts by weight, both the optical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ating layer may be lowered and cracks may easily occur.

본 발명에 따른 광중합 개시제는 광 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 광 경화는 기재 필름의 타면에서 경화가 진행되므로, 400nm이상의 포스핀 옥사이드 계열의 광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form radicals by light irradiatio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es curing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so that a phosphine oxide- .

상기 포스핀 옥사이드 계열의 광중합 개시제의 구쳬적인 예로는,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4-메틸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메틸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4-메틸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5-디에틸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3,5,6-테트라메틸페닐포스핀 옥사이드, 2,3,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phosphine oxid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is (2,4,6-trimethylbenzoyl) -4-methylphenylphosphine oxide, bis (2,4,6-trimethylbenzoyl) Bis (2,4,6-trimethylbenzoyl) -2-methylphenylphosphine oxide, bis (2,4,6-trimethylbenzoyl) -4-methylphenylphosphine oxide, bis , 6-trimethylbenzoyl) -2,5-diethylphenylphosphine oxide, bis (2,4,6-trimethylbenzoyl) -2,3,5,6-tetramethylphenylphosphine oxide, 2,3,6- 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and the like.

또한 표면 경화를 촉진 시키기 위하여 400nm 이하에서 흡수 파장을 가지는 광개시제를 상기 400nm 이상의 흡수 파장을 가지는 포스핀 옥사이드 계열의 광개시제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in order to promote surface hardening, it is preferable to use a photoinitiator having an absorption wavelength of 400 nm or less and a phosphine oxide-based photoinitiator having an absorption wavelength of 400 nm or more.

상기 400nm 이하에서 흡수 파장을 가지는 광개시제는 광 라디칼 중합개시제에는 화학 구조 또는 분자 결합 에너지 차이에 의한 분자의 분해로 라디칼을 생성하는 제1형 개시제와 수소탈환에 의해 라디칼을 생성하는 제2형 개시제가 있다. 제1형 개시제와 제2형 개시제는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In the photoinitiator having an absorption wavelength at 400 nm or less, the photo-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s a first type initiator that generates radicals by decomposition of molecules due to a chemical structure or a difference in molecular binding energy, and a second type initiator that generates radicals by hydrogen reclamation have. The first type initiator and the second type initiator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사용 가능한 제1형 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트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트페논, 4-t-부틸트리클로로아세트페논, 디에톡시아세트페논, 2-히드록시-2-메틸-l-페닐프로판-1-온,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l-온, 1-(4-도데실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아세트페논류;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질 디메틸케탈 등의 벤조인류; 아실포시핀옥사이드류; 티타노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usable type 1 initiators include 4-phenoxydichloroacetophenone, 4-t-butyldichloroacetophenone, 4-t-butyl trichloroacetophenone, diethoxyacetophenone, 2- 2-methylpropan-1-one, 1- (4-dodecylphenyl) -2-hydroxy-2- Acetophenones such as methylpropane-1-one, 4- (2-hydroxyethoxy) -phenyl (2-hydroxy-2-propyl) ketone and 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Benzoins such as benzoin, benzoin methyl ether, benzoin ethyl ether and benzyl dimethyl ketal; Acylphosphine oxides; Titanocene compounds;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사용가능한 제2형 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익에시드, 벤조일벤조익에시드메틸에테르, 4-페닐벤조페논, 히드록시벤조페논, 4-벤졸-4'-메틸디페닐설파이드, 3,3'-메틸-4-메톡시벤조페논등의 벤조페논류, 티옥산톤, 2-크로로티옥산톤, 2-메틸티옥산톤, 2,4-디메틸티옥산톤, 이소프로필티옥산톤 등의 티옥산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usable type 2 initiators include benzophenone, benzoylbenzoic acid, benzoylbenzoic acid methyl ether, 4-phenylbenzophenone, hydroxybenzophenone, 4-benzoyl-4'-methyldiphenylsulfide, Benzophenones such as 3'-methyl-4-methoxybenzophenone, thioxanthone, 2-chromothioxanone, 2-methylthioxanthone, 2,4-dimethylthioxanthone, Thioxanthone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초기 경화가 미흡하여 후술하는 제조 공정에서 마스터 몰드와 이형이 어려워 마스터 몰드의 오염의 문제가 있고, 1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초기 색상값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The content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0.1 to 15 parts by weight, preferably 0.5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When the amount of the photopolymerizable compound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initial curing is insufficient, so that there is a problem of contamination of the master mold due to difficulty in releasing from the master mold in a manufacturing process described later. When the amount is more than 15 parts by weight, .

본 발명에 따른, 용제는 상기 조성을 충분히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면 제한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코올계(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메톡시 알코올 등), 케톤계 (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등) 아세테이트계(메틸 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톡시 아세테이트 등) 셀로솔브계(메틸 셀로솔브, 에틸 셀로솔브, 프로필 셀로솔브 등), 탄화수소계 (노말 헥산, 노말 헵탄,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각각의 용제를 한 종류, 또는 한 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solv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sufficiently dissolve or disperse the above composition. (Methyl ethyl ketone, methyl but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diethyl ketone, dipropyl ketone, etc.) acetate type solvents (e.g., methanol, ethanol, isopropanol, butanol, propylene glycol methoxy alcohol and the like) (Methyl cellosolve, ethyl cellosolve, propyl cellosolve and the like), hydrocarbon type (normal hexane, normal heptane, benzene, toluene, xylene), and the lik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propylene glycol methoxyacetate etc.) , Etc.), or one or more of these solvents may be used in combination.

상기 용매는 코팅 방법이나 장치에 따라 점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언급한 조성을 갖는 제1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농도가 1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30 내지 80 중량%가 될 수 있도록 용매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viscosity of the solv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coating method and apparatus, the content of the solvent may be adjusted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first coating layer having the composition mentioned above may be 10 to 90% by weight, preferably 30 to 80% It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막을 평활성 및 코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조절제 및 제조 공정에서 마스크 몰드와의 이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슬립제 등을 더 사용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ing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various additives as required.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add the surface modifier and the releasing property to the mask mol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o improve the smoothness and coatability of the coating film A slip agent and the like can be further used.

상기 첨가제들은 실리콘 및/또는 불소계 화합물로서, 시판되는 제품으로는 비와이케이 케미사의 BYK-323, BYK-331, BYK-333, BYK-337, BYK-373, BYK-375, BYK-377, BYK-378, 대구사의 TEGO Glide 410, TEGO Glide 411, TEGO Glide 415, TEGO Glide 420, TEGO Glide 432, TEGO Glide 435, TEGO Glide 440, TEGO Glide 450, TEGO Glide 455, TEGO Rad 2100, TEGO Rad 2200N, TEGO Rad 2250, TEGO Rad 2300, TEGO Rad 2500, 3M사의 FC-4430, FC-4432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additives include silicon and / or fluorine-based compounds, and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include BYK-323, BYK-331, BYK-333, BYK-337, BYK-373, BYK-375, BYK- 378, TEGO Glide 410, TEGO Glide 411, TEGO Glide 415, TEGO Glide 420, TEGO Glide 432, TEGO Glide 440, TEGO Glide 450, TEGO Glide 455, TEGO Rad 2100, TEGO Rad 2200N, 2250, TEGO Rad 2300, TEGO Rad 2500, 3M FC-4430, FC-4432, and the like.

상기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The additive is preferably used in the range of 0.1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기재 필름(100)은 적정 유연성을 가지는 투명 소재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아세틸 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프로피오닐 셀룰오로스, 부티릴 셀룰로오스, 아세틸 프로피오닐 셀룰로오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The base fil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an appropriate flexibility,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triacetylcellulose, acetylcellulose butyrate,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propionylcellulose, Butyryl cellulose, acetyl propionyl cellulose, polyester, polystyrene, polyamide, polyether imide, polyacryl, polyimide, polyether sulfone, polysulfo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methylpentene, polyvinyl chloride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cetal, polyether ketone, polyether ether ketone, polyethersulfone, polymethylmethacry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carbonate .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Lt; Process for producing hard coating film >

본 발명은 전술한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the aforementioned hard coat film.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기재 필름의 일면에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다.First, a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ing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a base film.

본 발명에 따른 기재 필름 및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은 전술한 재료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base film and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mentioned materials.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 필름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당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슬릿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스핀 코팅법, 캐스팅법,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바 코팅법, 롤 코팅법, 와이어 바 코팅법, 딥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잉크젯 코팅법, 디스펜서 인쇄법, 노즐 코팅법, 모세관 코팅법 등의 공지된 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As a method of apply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ing to the substrate film, a method known in the art can be applied equally. For example, a slit coating method, a knife coating method, a spin coating method, a casting method, a microgravure coating method Gravure coating method, bar coating method, roll coating method, wire bar coating method, dip coating method, spray coating method, screen printing method, gravure printing method, flexo printing method, offset printing method, ink jet coating method, , A nozzle coating method, and a capillary coating method can be used.

다음으로, 소정 형상의 양각 패턴을 구비한 마스크 몰드를 상기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층에 덮어 상기 도포층이 상기 양각 패턴에 대응하는 홈부를 형성한다.Next, a mask mold having a relief pattern of a predetermined shape is covered with the coating layer of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formation, so that the coating layer forms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relief pattern.

상기 마스크 몰드는 전술한 하드코팅층의 홈부(210)를 형성하기 위해 홈부(210)의 음각된 형상과 반대의 형상의 양각 패턴을 가진 것일 수 있다. The mask mold may have a relief pattern having a shape opposite to the depressed shape of the groove 210 to form the groove 210 of the hard coating layer.

상기 양각 패턴의 구체적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후술하는 너비, 깊이, 모양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The specific shape of the relief patter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width, depth, and shape as described later.

본 발명에서 상기 양각 패턴의 최대 너비(R2´)는 0.1 내지 10c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cm일 수 있고,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전술한 단차비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접힐 수 있게 하여, 우수한 굽힘 특성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width (R2 ') of the relief pattern may be 0.1 to 10 cm, preferably 1 to 5 cm. When the range is satisfied, the maximum width (R2') can be easily folded within the above- ,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excellent bending property.

본 발명에서 상기 양각 패턴의 수직 단면의 최대 높이(R1´)는 1 내지 5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일 수 있고,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두께에 따른 연필 경도와 굽힘 특성을 동시에 확보가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height (R1 ') of the vertical section of the relief pattern may be 1 to 50 탆, preferably 5 to 30 탆, and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pencil hardness and bending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

본 발명에서 상기 양각 패턴의 단면 모양은 반원형, 타원형, 사각형, 사다리꼴형, 삼각형 등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lief pattern may be semicircular, elliptic, rectangular, trapezoidal, triangular, or the like.

상기 마스크 몰드는 홈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소재는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금속 가공이 가능한 SUS, 철, 마그네슘, 알루미늄 등의 소재 또는 실리콘 고무로 제작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The mask mold may be formed of any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iron, magnesium, aluminum or the like, or a silicone rubber capable of metal working, as long as it can easily form the groove portion.

이후, 상기 홈부가 형성된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층을 경화하여 하드코팅층을 형성한다.Thereafter, the hard coat layer is formed by curing the coating layer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ing having the groove portion formed thereon.

상기 경화 공정은 당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적정 범위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으로는 고압수은램프, 메탈할라이드램프 등 300내지 500nm의 파장을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의 조사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The curing process may b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by irradiating an appropriate range of ultraviolet rays. As the ultraviolet ray, a lamp that combines wavelengths of 300 to 500 nm, such as a high-pressure mercury lamp and a metal halide lamp, may be used. The irradiation amount of ultraviolet rays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need.

경화 공정 전에 도포 후 가열 건조(프리베이크), 또는 감압 건조 후에 가열하여 용매 등의 휘발 성분을 휘발시키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가열 온도는 상대적으로 저온인 70 내지 100℃ 이다.A step of applying a pre-bake after pre-curing process, a pre-bake process, or a step of heating after drying under reduced pressure to volatilize a volatile component such as a solvent, wherein the heating temperature is 70 to 100 ° C which is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전술한 공정에 따라 형성된 하드코팅층은 경화 후, 전술한 수학식 1로 표시되는 단차비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은 우수한 경도를 나타내고 동시에 홈부에 의해 누적된 피로 파괴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굽힘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The hard coating layer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process may be one that satisfies the above-described step ratio expressed by the above-mentioned formula (1) after curing. The hard coating film thus produced exhibits excellent hardness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sistance to heat and to realize an excellent bending property.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상기 하드코팅 필름을 구비함으로써, 고경도 및 유연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구성 외에 당 분야에 공지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 필름은 경도 및 유연성이 우수하여, 화상 표시 장치의 최외면 윈도우 커버로 사용될 수 있고, 특히,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ly securing high hardness and flexibility by having the hard coating film, an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known in the art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 The hard coating film is excellent in hardness and flexibility, and can be used as an outermost window cover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s particularly applicable to a flexible image display apparatus.

화상 표시 장치는 통상의 액정 표시 장치, 전계 발광 표시 장치, 플라스마 표시 장치, 전계 방출 표시 장치 등 각종 화상 표시 장치일 수 있다.
The image display device may be any of various image display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 plasma display device,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nd the like.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Example 1 One

일본합성 화학사의 UV-1700B (10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5중량부, 미원스페샬리티 케미칼사의 M340(펜타에리트리톨 트리/테트라 아크릴레이트) 15 중량부, 에보닉사 Nanopol C784(20nm 나노실리카, 고형분 50%) 40중량부, 광개시제로 바스프사의 Darocure TPO(2,3,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1중량부, 바스프사의 Igacure 184(1-하이드록시-사클로헥실-페닐-케톤) 2.5중량부, 슬립제로 BYK-333 0.5중량부, 용제로 메틸에틸 케톤 17중량부를 혼합하여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5 parts by weight of UV-1700B (10-functional urethane acrylate) manufactured by 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 15 parts by weight of M340 (pentaerythritol trie / tetraacrylate) from Miwon Specialty Chemicals, 20 parts by weight of Ebonic Nanopol C784 (20 nm nano silica, ), 1 part by weight of Darocure TPO (2,3,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from BASF as a photoinitiator, 1 part by weight of Igacure 184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0.5 part by weight of BYK-333 as a slip agent, and 17 parts by weight of methyl ethyl ketone as a solvent were mixed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ing.

상기 제조된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1차 경화를 실시하였다. 상기 1차 경화는 광학용 폴리이미드(미츠비시 가스케미칼, 100㎛, L-3430)위에 건조 후의 막 두께가 하기 표 1에 기재된 D1(평탄부의 높이)가 되도록 코팅하고 80℃ 오븐에서 1분간 용제를 건조한 후 마스터 몰드에 라미네이터와 합지하여, 기재 배면을 퓨젼 UV사의 컨베이어 형태의 자외선 경화기(램프: V밸브)로 광량이 200mJ이 되는 조건에서 실시하였다.The primary hardening was performed us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ing. The above primary curing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lm was coated on optical polyimide (Mitsubishi Gas Chemical Co., Ltd., 100 m, L-3430) so that the film thickness after drying was D1 (flat portion height) After drying, the master mold was laminated with a laminator, and the backside of the substrate wa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 curing machine (lamp: V-valve) in the form of a conveyer of fusion UV company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light quantity became 200 mJ.

이후, 상기 1차 경화된 필름을 마스터 몰드와 분리하고 하드코팅 층이 위로 하고 질소 분위기상에서 고압수은 램프로 500mJ의 광량으로 2차 경화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완성하였다. 이때 코팅된 필름의 탄성률은 8.5GPa 이였다.
Thereafter, the primary cured film was separated from the master mold, and the hard coating layer was placed upside down and cured in a nitrogen atmosphere with a high-pressure mercury lamp at a light amount of 500 mJ to complete the hard coating film. The elastic modulus of the coated film was 8.5 GPa.

실시예Example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표 1에 기재된 형상으로 홈부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A hard coating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groove portion was formed in the shape shown in Table 1.

구분division 홈부 형상Groove shape 단차비Speed ratio 강직성
(kPa·mm2)
rigidity
(kPa · mm 2 )
R1(㎛)R1 (占 퐉) R2(cm)R2 (cm) r1-r2(cm)r1-r2 (cm) D1(㎛)D1 (占 퐉) D2(㎛)D2 (占 퐉) D1/D2D1 / D2 평탄부Flat part 홈부Groove 실시예 1Example 1 1515 1One 0.50.5 2020 55 44 1717 4.254.25 실시예 2Example 2 1515 1One 00 2020 55 44 1717 4.254.25 실시예 3Example 3 1111 1One 0.50.5 2020 99 2.22.2 1717 7.657.65 실시예 4Example 4 1111 1One 00 2020 99 2.22.2 1717 7.657.65 실시예 5Example 5 1313 1One 0.50.5 1515 22 7.47.4 12.7512.75 1.71.7 실시예 6Example 6 1313 1One 00 1515 22 7.47.4 12.7512.75 1.71.7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99 1One 00 2020 1111 1.81.8 1919 9.359.35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55 1One 00 2020 1515 1.31.3 1919 12.7512.75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33 1One 00 1515 1212 1.251.25 12.7512.75 10.210.2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1One 1One 00 1515 1414 1.071.07 12.7512.75 11.911.9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18.518.5 1One 00 2020 1.51.5 13.313.3 1717 1.261.26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홈부없음(두께 - 20㎛)No groove (thickness - 20μm) 1717 D1: 평탄부의 수직 단면의 높이
D2: 홈부의 수직 단면의 최소 높이
R1: 홈부의 최대 깊이
R2: 홈부의 최대 너비
r1: 홈부의 수직 단면의 윗변 길이
r2: 홈부의 수직 단면의 아랫변 길이
r1-r2 = 0인 경우 사각형이며, 0을 초과하는 경우 역사다리꼴형임
D1: Height of vertical section of flat part
D2: Minimum height of vertical section of groove
R1: Maximum depth of the groove portion
R2: Maximum width of the groove
r1: Upper side length of the vertical section of the groove
r2: length of lower side of vertical section of groove
If r1-r2 = 0, it is a rectangle. If it exceeds 0, it is an inverted trapezoid.

시험 방법Test Methods

(1) 연필 경도 평가(1) Evaluation of pencil hardness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의 평탄부에 대하여 연필 경도 시험기(PHT, 한국 석보과학사)를 이용하여, 1000g 하중을 걸고 연필 경도를 5회 측정하였으며, 연필은 미쯔비시 제품을 사용하고, 한 연필경도당 5회씩 실험을 수행하여, 기스가 1회 이하로 나타난 최대 연필 경도를 해당 하드코팅층의 연필경도로 나타내었다. 참고로, 연필 경도가 6H이상인 경우, 하드코팅 필름으로 적합하다.
The hardness of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easured with a pencil hardness tester (PHT, Kobo Scientific Co., Ltd.) under a load of 1000 g and the pencil hardness was measured five times. The pencil was a product of Mitsubishi Experiments were conducted five times per pencil hardness, and the maximum pencil hardness at which the cissing occurred less than once was expressed as the pencil hard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For reference, when the pencil hardness is 6H or more, it is suitable as a hard coating film.

(2) 굽힘 특성 평가(2) Evaluation of bending characteristics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을 10x100mm의 사이즈로 절단하여 시편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시편을 반복적으로 접히는 기계(도 4 도시, 코보텍사 CFT-120)에 코팅층이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삽입하고 샘플의 양쪽 말단을 양면테이프로 고정하였다. 이후, 기계의 곡률반경 3R로 고정하고, 540 degree/min의 속도로 1만회씩 폴딩한 후, 육안으로 파괴가 시작된 횟수를 확인하였다.
The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cut into a size of 10 x 100 mm to prepare a test piece. The coated layer was inserted into a machine repeatedly folding the prepared sample (Fig. 4, Cobotec CFT-120), and both ends of the sample were fixed with double-sided tape. Thereafter,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machine was fixed at 3R, folded 10,000 times at a rate of 540 degrees / min, and the number of times the fracture was started with the naked eye was confirmed.

(3) (3) 표면단차Surface step 시인성 Visibility

표면 단차 시인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점착 필름을 이용하여 흑색판에 접착한 뒤, 삼파장 램프에서 육안으로 표면 단차가 시인되면 X, 시인되지 않으면 ○로 표시하였다. In order to confirm the visibility of the surface level difference, the hard coating film was adhered to a black plate u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and when the surface level difference was visually observed in a three-wavelength lamp,

구분division 연필 경도Pencil hardness 굽힘 특성Bending property 표면단차 시인성Surface level visibility 실시예1Example 1 8H8H 30만회300,000 times 실시예2Example 2 8H8H 31만회310,000 times 실시예3Example 3 8H8H 22만회220,000 times 실시예4Example 4 8H8H 23만회230,000 times 실시예5Example 5 6H6H 48만회480,000 times 실시예6Example 6 6H6H 44만회4.40 million times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8H8H 15만회150,000 times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8H8H 7만회70,000 times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6H6H 12만회120,000 times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6H6H 10만회100,000 times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8H8H 30만회300,000 times XX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8H8H 2만회2,000 times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차비 파라미터를 만족하는 실시예들의 경우, 연필 경도와 굽힘 특성 및 표면 단차 시인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Referring to Table 2, it was confirmed that pencil hardness, bending property, and surface step difference visibility were both satisfied in the embodiments satisfying the step ratio para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단차비 파라미터를 벗어난 비교예들의 경우, 경도는 하드코팅에 적합한 정도를 구현할 수 있었으나, 굽힘 특성이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deviating from the step ratio para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hardness was able to realize a degree suitable for hard coating, but the bending property was remarkably lowered.

특히, 홈부가 존재하지 않는, 비교예 6은 굽힘 특성이 가장 저하되었으며, 본 발명의 단차비 파라미터의 상한 값을 초과하는 비교예 5의 경우, 연필 경도와 굽힘 특성은 실시예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나 표면 단차가 시인되어 디스플레이 필름으로 적용이 불가능하였다.Particularly, in Comparative Example 6 in which the groove portion was not present, the bending property was the lowest, and in Comparative Example 5, which exceeded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step ratio param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ncil hardness and bending property exhibited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Example And the surface step difference was visually observed and it was impossible to apply it as a display film.

Claims (14)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층은 굽힘축을 따라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층은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단차비를 만족하는, 하드코팅 필름:
[수학식 1]
2 ≤ D1/D2 ≤ 10
(식 중에서, 상기 D1은 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평탄부의 수직단면의 높이이고, D2는 홈부의 수직단면의 최소 높이임).
And a hard coat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ase film,
Wherein the hard coat layer comprises a groove along a bending axis,
Wherein the hard coating layer satisfies a stiffness ratio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Equation 1]
2? D1 / D2? 10
(Where D1 is the height of the vertical section of the flat section where the grooves are not formed and D2 is the minimum height of the vertical section of the groove s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최대 너비(R2)는 0.1 내지 10cm인, 하드코팅 필름.
The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ximum width (R2) of the groove portion is 0.1 to 10 c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최대 깊이(R1)는 1 내지 50㎛인, 하드코팅 필름.
The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ximum depth (R1) of the groove portion is 1 to 50 占 퐉.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단면 모양은 반원형, 타원형, 사각형, 역사다리꼴형 및 역삼각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드코팅 필름.
The hard coating film of claim 1, where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roove por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emicircular, elliptical, quadrangular, inverted trapezoidal, and inverted triangula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단면이 역사다리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역사다리꼴형의 윗변의 길이(r1)과 아랫변의 길이(r2)의 차이는 0cm 초과 10cm 미만인, 하드코팅 필름.
The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when the groove section is formed in an inverted trapezoidal shap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r1 of the upper side of the inverted trapezoid and the length r2 of the lower side is more than 0 cm and less than 10 c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하부 및 평탄부는 하기 수학식 2로 표시되는 강직성 값이 서로 다른 것인, 하드코팅 필름:
[수학식 2]
강직성(kPa·mm) = 탄성률(GPa) Ⅹ 층 두께(㎛).
The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portion and the flat portion of the groove portion have different rigidity values as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Quot; (2) &quot;
Rigidity (kPa · mm) = Elastic modulus (GPa) Ⅹ Layer thickness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하부의 강직성은 평탄부의 강직성의 10 내지 45%인, 하드코팅 필름.
The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igidity of the lower portion of the groove portion is 10 to 45% of the rigidity of the flat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아세틸 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프로피오닐 셀룰오로스, 부티릴 셀룰로오스, 아세틸 프로피오닐 셀룰로오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하드코팅 필름.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film is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iacetylcellulose, acetylcellulose butyrate,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propionylcellulose, butyrylcellulose, acetylpropionylcellulose, polyester, polystyrene, polyamide, Polyethersulfo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methylpentene, polyvinyl chloride, polyvinylidene chloride,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cetal, polyether ketone, polyether ether ketone, Wherein the hard coat film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er sulfon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carbonate.
기재 필름의 일면에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소정 형상의 양각 패턴을 구비한 마스크 몰드를 상기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층에 덮어 상기 도포층이 상기 양각 패턴에 대응하는 홈부를 갖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홈부가 형성된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층을 경화하여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
Apply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ing to one surface of a base film;
Forming a mask mold having a relief pattern of a predetermined shape on a coating layer of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formation so that the coating layer has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relief pattern; And
And curing the coating layer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ing having the groove portion to form a hard coating lay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양각 패턴의 최대 너비(R2´)는 0.1 내지 10cm인,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aximum width (R2 ') of the relief pattern is 0.1 to 10 cm.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양각 패턴의 수직단면 최대 높이(R1´)는 1 내지 50㎛인,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
[12] The hard coating film of claim 9, wherein the maximum vertical height (R1 ') of the relief pattern is 1 to 50 탆.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양각 패턴의 형상은 반원형, 타원형, 사각형, 사다리꼴형 및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hape of the relief patter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emicircular, elliptical, quadrangular, trapezoidal, and triangular shapes.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경화 후, 수학식 1로 표시되는 단차비를 만족하는 것인,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
[수학식 1]
2 ≤ D1/D2 ≤ 10
(식 중에서, 상기 D1은 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평탄부의 수직단면의 최대 높이이고, D2는 홈부의 수직단면의 최소 높이임).
[12] The hard coating film of claim 9, wherein the hard coating layer satisfies a stiffness ratio expressed by Equation (1) after curing.
[Equation 1]
2? D1 / D2? 10
(D1 is the maximum height of the vertical section of the flat section where the grooves are not formed, and D2 is the minimum height of the vertical section of the groove section).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An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KR1020150045598A 2015-03-31 2015-03-31 Hard coating film, preparation methode thereof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6011702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598A KR20160117028A (en) 2015-03-31 2015-03-31 Hard coating film, preparation methode thereof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598A KR20160117028A (en) 2015-03-31 2015-03-31 Hard coating film, preparation methode thereof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028A true KR20160117028A (en) 2016-10-10

Family

ID=5714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598A KR20160117028A (en) 2015-03-31 2015-03-31 Hard coating film, preparation methode thereof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702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4167A (en) 2011-12-26 2013-07-0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lastic substra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4167A (en) 2011-12-26 2013-07-0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lastic substr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838B1 (en)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KR102039737B1 (en) Hard coating laminate,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854524B1 (en) Hard Coating Film and Flexible Display Having the Same
KR101686644B1 (en) Plastic film laminate
KR101415841B1 (en) Hard coating film
KR101418409B1 (en) Hard coating composition
KR20200008007A (en) Hard coating film
KR101415839B1 (en) Hard coating film
KR102268999B1 (en) Hard coating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6987574B2 (en) Hard coating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it
KR102082410B1 (en) Hard coating film and flexible display window including a touch sensor using the same
KR101883721B1 (en) Compositon for hard coating,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854157B1 (en) Hard coat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854156B1 (en) Hard coat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200008648A (en) Hard coating film
JP2017197737A (en) Hard coating composition, and hard coating film, window film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031660B1 (en) Hard Coating Composition and Hard Coating Film Using the Same
KR102031049B1 (en) Hard Coating Composition and Hard Coating Film Using the Same
KR20160117028A (en) Hard coating film, preparation methode thereof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031557B1 (en) Hard coating composition and hard coating film prepared from the same
KR20170044964A (en) Composition for forming hard coating and optical film using the same
KR20170103647A (en) Hard coating composition
KR20170039914A (en) Hard Coat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70019120A (en) Hard Coating Composition and Hard Coating Film Using the Same
KR20230023400A (en) Hard coating film and display window includ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