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963A - Supporting Device for Solar Panel - Google Patents

Supporting Device for Solar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963A
KR20160116963A KR1020150045448A KR20150045448A KR20160116963A KR 20160116963 A KR20160116963 A KR 20160116963A KR 1020150045448 A KR1020150045448 A KR 1020150045448A KR 20150045448 A KR20150045448 A KR 20150045448A KR 20160116963 A KR20160116963 A KR 20160116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anel
coupling
buoyant
groove
pane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4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28356B1 (en
Inventor
윤덕용
조용남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5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356B1/en
Publication of KR20160116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9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3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B63B38/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for a solar pan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pport for a solar panel, which can maximize energy generation efficiency per unit area through optimization of an installation area of a solar panel, and which can minimize a stock space. A support for a sola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uoyancy unit which is disposed to support a solar panel and includes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and from lateral sides of which extended edge portions protrude; and first and second connection units which are connected to the buoyancy unit to provide a maintenance and repair path. In this case, an accommodation groov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second connection unit is formed on the upper body.

Description

태양광 패널 지지체{Supporting Device for Solar Panel}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패널의 설치면적을 최적화하여 단위면적당 에너지 발생효율을 최대화하도록 하고, 또한 적재공간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태양광 패널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panel suppo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lar panel support that optimizes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solar panel to maximize the energy generation efficiency per unit area and minimizes the space.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 또는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태양광 에너지(Photovoltaic Energy)를 전기에너지(Electric energy)로 변환시켜 발전하는 시스템이다.Generally,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or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is a system that converts solar energy (photovoltaic energy) into electric energy by using a solar cell.

이와 같은 태양광 발전 장치에서 필수적인 태양광 모듈(태양광 패널)은 일반적으로 태양전지(Solar cell)로 구성되어 있으며, 접속반과 인버터를 통하여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태양광 모듈은 철이나 강(steel) 혹은 알루미늄 프로파일(Al profile) 등으로 구성된 구조물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The photovoltaic module (solar panel), which is essential for such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is generally composed of a solar cell and supplies electricity through a connection panel and an inverter. Here, the photovoltaic module is fixedly mounted on a structure made of iron, steel, or an Al profile.

이러한 태양광 구조물은 설치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주로 지상이나 건물옥상에 설치가 되고, 일부는 부력체를 이용하여 호수, 댐, 저수지 등의 수면 위에 설치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넓은 부지를 확보하기 유리하고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상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These solar photovoltaic structures have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and they are installed on the roofs of the ground or buildings, and some of them are installed on the surface of water such as lakes, dams and reservoirs using buoyant bodies. In recent years, in consideration of the efficiency of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it is advantageous to secure a large site, and it is often installed in a water column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이와 같이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기 위해서 지지 구조물이 필요하게 되는데 수상에서는 수상환경의 특성을 활용할 수 있도록 부력체를 이용한 지지 구조물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예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13-0153433호 '태양광 패널 지지체'를 참조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the solar module, a supporting structure is required. In the watercraft, a support structure using a buoyant body has been developed to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quatic environment. As an example of thi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153433 'Photovoltaic panel support'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can be referred to.

도 1A에는 전술한 선행기술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체에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도 1A의 부분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 2B, 2C에는 각각 도 1의 태양광 패널 지지체에 적용되는 부력체, 제1연결체, 제2연결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태양광 모듈에 의한 음영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A shows a solar panel support in a prior art solar panel support, and FIG. 1B shows a partial side view of FIG. 1A. 2A, 2B, and 2C are perspective views of a buoyancy body,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applied to the solar panel support of FIG. 1, respectively.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calculating the shade distance by the solar module in the solar cell generator.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할 때, 태양광 발전 장치의 단위면적당 에너지 발생효율을 높이기 위하여는 태양광 패널(30) 사이의 거리(d1)가 중요한 변수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A and 1B, it can be intuitively understood that the distance d1 between the solar panels 30 is an important variable for increasing the energy generation efficiency per unit area of the solar cell.

도 2A, 2B, 2C에 도시된 부력체(110), 제1연결체(141), 제2연결체(151)를 이용하여 구성한 선행기술의 태양광 패널 지지체에서 태양광 패널간 거리(d1, '프레임 거리'라고도 한다)의 실측치는 대략적으로 960mm였다. The distances d1 and d2 between the solar panels in the prior art solar panel support constructed using the buoyant body 110, the first connector 141 and the second connector 151 shown in Figs. 2A, 2B and 2C, Quot; frame distance ") was approximately 960 mm.

도 3을 참조하여 태양광 패널간 거리(d1)의 이론치를 산출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태양광 패널의 너비를 b,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상태의 경사각을 β, 태양의 차광각을 α라고 하면, 싸인(sin) 정리에 의해 d/sin(180°-β-α) = b/sinα가 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theoretical value of the distance d1 between the solar panels is calculated as follows. If the width of the solar panel is b,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olar panel is?, And the sun is the diffraction angle of the sun, then d / sin (180? -? -?) = B / sin? .

즉, 태양광 패널간 설치거리 d = b*sin(180°-β-α)/sinα (식1)That is, the installation distance between the solar panels is d = b * sin (180 -? -?) / Sin?

가 된다..

또한, 태양광 패널 간격 d1 = d - b*cosβ (식2)Also, the solar panel interval d1 = d - b * cos? (Equation 2)

가 된다..

여기서, 태양광 패널의 너비(b)를 1,060mm, 태양광 패널의 설치 경사각(β)을 12°, 태양의 차광각을 25°라고 하면 프레임 거리 'd1'은 식1과 식2에 의해 약 470mm가 된다.If the width b of the solar panel is 1,060 mm, the inclination angle β of the solar panel is 12 °, and the sun's angle of difference is 25 °, the frame distance 'd1' 470 mm.

전술하였듯이, 프레임 거리의 실측치는 약 960mm 정도이므로 이론치인 470mm 보다 약 2배가 길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easured value of the frame distance is about 960 mm, it is about twice longer than the theoretical value of 470 mm.

이는 단위면적당 에너지 발생효율이 최적화되도록 설치된 태양광 발전 장치에 비해 대략적으로 20~30%의 설치면적이 낭비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체이 있어서는 단위면적당 에너지 발생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installation area of about 20 ~ 30% is wasted compared with the photovoltaic device installed to optimize the energy generation efficiency per unit area. In other word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nergy generation efficiency per unit area of the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nferior.

한편, 도 4A에는 태양광 패널 고정용 부력체(110) 한 쌍을 서로 포개어 적재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도 2A, 2B, 2C의 부력체, 제1연결체, 제2연결체를 각각 파렛트에 적재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4A shows a state in which a pair of buoyant members 110 for fixing a solar panel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and FIG. 4B shows a buoyant body, a first connecting body, a second connecting body, Are loaded on the pallet, respectively.

종래기술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체에 있어서는, 부력체(110) 한 쌍을 회전대칭 상태로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포개는 방식으로 적재할 수 있다. 이때, 하부에 놓인 부력체(110)의 적재용 홈(117b)에 상부에 놓인 부력체(110)의 적재용 돌기(117a)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적재가 된다.In the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pair of buoyancy bodies 110 can be stacked in a rotationally symmetrical state, facing each other. At this time, the loading protrusion 117a of the buoyant body 110 placed on the upper portion is loaded in the loading groove 117b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110. [

그런데, 위와 같이 적재한 부력체(110)는 운반 과정 중에 서로 이탈하여 어긋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런 경우 부력체(110)가 마주 놓인 부력체의 클램프 고정용 나사(113c, 114c)에 접촉되어 제품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buoyant body 1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lamping screws 113c and 114c of the buoyant body facing the buoyant body 110, There is a problem that breakage occurs.

또한, 도 4B와 같이 부력체(110), 제1연결체(141), 제2연결체(151)를 각각 별도의 파렛트(160)에 적재하는 방식으로 운송하는 경우 파렛트(160) 수량이 많이 필요하게 되어 잭재공간이 많이 소요되고, 운반시에는 운송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4B, when the buoyant body 110, the first connecting body 141,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151 are respectively transported on a separate pallet 160, the number of the pallets 160 is large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space is required for the jack, and a transportation cost is high when the jack is transport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태양광 패널의 설치면적을 최적화하여 단위면적당 에너지 발생효율을 최대화하도록 하는 태양광 패널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lar panel support which optimizes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solar panel to maximize the energy generation efficiency per unit area.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재방법을 개선하여 적재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패널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lar panel support that allows for a minimized loading space by improving the loading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체는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고, 상부체와 하부체로 구성되며 측면에는 날개부가 돌출 형성되는 부력체; 유지보수용 통로를 마련하기 위해 상기 부력체에 연결되는 제1연결체 및 제2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체에는 상기 제2연결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or supporting a solar panel, and includes a buoyancy body formed of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and having wings protruding from a side surface thereof; And a first connecting body and a second connecting body connected to the buoyant body to provide a maintenance passage, wherein the upper body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capable of receiving the second connecting body, do.

여기서, 상기 상부체에는 수용홈의 주변에 평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upper body is formed with a flat surface at the periphery of the receiving groove.

또한, 상기 부력체는 2개가 회전 대칭되는 형태로 포개어지고, 상기 날개부 사이에는 상기 제1연결체가 끼움결합되어 적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oyant body may be stacked in a rotationally symmetrical manner, and the first connecting body may be fitted between the wing portions to be stacked.

또한, 상기 날개부와 제1연결체에는 각각 돌기부와 홈부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체가 부력체에 끼워질 때 결합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ng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re each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including protrusions and grooves, so that the coupling force is improved wh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s fitted to the buoyancy member.

또한, 상기 부력체 2개가 포개어지고, 상기 제2연결체 2개가 상기 수용홈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제1연결체 2개가 상기 양측의 날개부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밴드 또는 끈의 묶음수단에 의해 하나의 묶음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wo buoyancy members are superimposed, two second connecting member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s, and the two first connecting members are sandwiched between the wings of both sides, And are combined into one bundle.

또한, 상기 부력체의 측면에는 날개부가 사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하단 날개부에는 상기 제1,제2연결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1,제2상부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ngs may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uoyant body and the upper and lower wing portions may have first and second upper coupling holes for coupl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odies.

또한, 상기 제2상부결합홀은 상기 제1상부결합홀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upper engagement hole is located inside the first upper engagement hole.

또한, 상기 제1,제2연결체에는 상기 제1,제2상부결합홀에 대응하는 제1,제2하부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may have first and second lower coupl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upper coupling holes.

또한, 상기 제1,제2하부결합홀은 상기 제1,제2연결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제2날개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lower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wing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odies,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상부체에는 제1,제2지지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제2지지대에는 태양광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1,제2지지대의 일부에 홈으로 형성되는 판수용부; 상기 판수용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볼트홈; 상기 볼트홈에 고정 설치되는 볼트; 상기 볼트에 끼워지는 와셔; 상기 판수용부에 끼워지는 결합판; 및 상기 결합판을 상기 판수용부에 고정시키는 리벳;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are protruded from the upper body,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solar panel to the first and second rods are provided, and the fastening means is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rods A plate receiving portion formed as a groove in a part; A bolt groov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late receiving portion; A bolt fixedly installed in the bolt groove; A washer fitted into the bolt; An engaging plate fitted to the plate receiving portion; And a rivet for fixing the coupling plate to the plate receiv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체에 의하면 태양광 패널간 이격거리를 최적화하여 단위면적당 에너지 발생효율을 최대화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olar panels is optimized to maximize the energy generation efficiency per unit area.

또한, 태양광 패널 지지체의 적재시 회전대칭 상태로 포개어진 부력체 한 쌍 사이에 제1,제2연결체 각 한 쌍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적재함에 따라 적재공간을 최소화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pace for loading is minimized according to the loading box by inserting one pair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odies between a pair of buoyant bodies superimposed in a rotationally symmetric state when the solar panel support is loaded.

또한, 제1지지대 사이에 작업홈이 형성되므로, 배선 작업이나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orking grooves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support rods, the wiring work and the maintenance work are facilitated.

또한, 태양광 패널 지지체의 구성요소를 조합함에 따라 육상 또는 수상에 적합한 상태로 구성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combining the components of the solar panel suppor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solar panel panel in a state suitable for land or water.

도 1A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체에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B는 도 1A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2A, 2B, 2C는 각각 종래기술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체에 적용되는 부력체, 제1연결체, 제2연결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태양광 모듈에 의한 음영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는 종래기술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체에서 부력체 한 쌍을 포개어 적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B는 도 2A, 2B, 2C의 부력체, 제1연결체, 제2연결체를 각각 파렛트에 적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체에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모습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부분 측면도, 5C는 부분 사시도, 5D는 하면도, 5E는 부분 하면도, 5F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6A, 6B, 6C, 6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체에 적용되는 부력체의 사시도, 부분 사시도, 측면도, 주입구 마개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A, 7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체에 적용되는 제1연결체의 사시도, 정면도이다.
도 8A, 8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체에 적용되는 제2연결체의 사시도, 하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체에 적용되는 부력체, 제1연결체, 제2연결체 한 쌍을 하나의 묶음으로 적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태양광 패널 지지체 한 쌍의 적재가 완료된 상태의 정면도, 도 9C는 태양광 패널 지지체 한 쌍을 고정수단으로 묶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B와 같이 묶인 태양광 패널 지지체를 파렛트에 복수 개 적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FIG. 1A shows a prior art solar panel support with a solar panel installed, and FIG. 1B is a partial side view of FIG. 1A.
2A, 2B and 2C are perspective views of a buoyancy body,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applied to a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spectively.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calculating the shade distance by the solar module in the solar cell generator.
4A shows a state in which a pair of buoyant bodies are stacked and mounted on a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4B shows a state in which the buoyant body, the first connecting body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of Figs. 2A, 2B and 2C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pallet.
5B is a partial side view, 5C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5D is a bottom view, 5E is a partial bottom view, and 5F is a partial bottom view, and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ar perspective view.
6A, 6B, 6C, and 6D are perspective, partial perspective, side elevation, and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of a buoyant body applied to a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inlet cap open.
FIGS. 7A and 7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respectively, of a first connecting body applied to a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view, respectively, of a second connecting body applied to a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illustrates a process of stacking a pair of buoyant bodies, a first connecting body, and a second connecting body, which are applied to a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bundle. FIG. FIG. 9C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ir of solar panel supports tied together by fixing means. FIG.
Fig. 10 show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olar panel support bodies bundled as shown in Fig. 9B are mounted on a palle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a manner that allow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invention are limited.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체에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모습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부분 측면도, 5C는 부분 사시도, 5D는 하면도, 5E는 부분 하면도, 5F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6A, 6B, 6C, 6D는 각각 부력체의 사시도, 부분 사시도, 측면도, 주입구 마개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A, 7B는 제1연결체의 사시도, 정면도, 도 8A, 8B는 제2연결체의 사시도, 하면도이다. 도 9A는 부력체, 제1연결체, 제2연결체 한 쌍을 하나의 묶음으로 적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태양광 패널 지지체 한 쌍의 적재가 완료된 상태의 정면도, 도 9C는 태양광 패널 지지체 한 쌍을 고정수단으로 묶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B와 같이 묶인 태양광 패널 지지체를 파렛트에 복수 개 적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5B is a partial side view, 5C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5D is a bottom view, 5E is a partial bottom view, and 5F is a partial bottom view, and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ar perspective view. FIGS. 6A, 6B, 6C, and 6D are a perspective view, a partial perspective view, a side view, and a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of the buoyant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injection port is opened; FIGS. 7A and 7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view of a connector. FIG. 9A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 pair of solar panel supports is completed, FIG. 9C is a front view of the state in which a pair of solar panel supports is completed, FIG. And a pair of solar panel supports are bound together by fixing means. Fig. 10 show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olar panel support bodies bundled as shown in Fig. 9B are mounted on a pallet. The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체는 태양광 패널(30)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고, 상부체(311)와 하부체(321)로 구성되며 측면에는 날개부(306)가 돌출 형성되는 부력체(310); 유지보수용 통로를 마련하기 위해 상기 부력체(310)에 연결되는 제1연결체(340) 및 제2연결체(35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체(311)에는 상기 제2연결체(35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3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support the solar panel 30 and is composed of an upper body 311 and a lower body 321 and has a wing portion 306 protruding (310); (340) and a second connector (350) connected to the buoyant body (310) to provide a maintenance passage, and the upper body (311) 350)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315).

부력체(310)는 대체적으로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부력체(310)는 무게가 가볍고 부력을 얻기 쉬우며 경제성을 갖도록 합성수지물로 형성될 수 있다. 부력체(310)는 사출성형 또는 진공 열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The buoyant body 310 is generally formed in a box shape. The buoyant body 31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o as to be light in weight, easy to obtain buoyancy, and economical. The buoyant body 310 may be manufactured by an injection molding or vacuum thermoforming method.

부력체(310)는 상부체(311)와 하부체(321)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체(311)에는 중앙부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부몸체부(312)와 가장자리부의 상부날개부(316)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몸체부(312)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길이방향으로 후방, 도 6C에서는 우측)이 하측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상부몸체부(312)의 상,하측단에는 태양광 패널(30)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대(313) 및 제2지지대(314)가 돌출 형성된다.The buoyant body 310 may include an upper body 311 and a lower body 321. The upper body 311 may include an upper body portion 312 protruding upward at a central portion and an upper wing portion 316 at an edge portion. The upper body portion 312 may be inclined such that the upper body portion 312 is formed to be hig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a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ightward in FIG. 6C) than in the lower side. A first support 313 and a second support 314 for supporting the solar panel 30 are protruded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body 312.

제1,제2지지대(313,314)에는 고정볼트 체결수단(330)이 설치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볼트 체결수단(330)은 제1,제2지지대(313,314)의 일부에 판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판수용부(331), 상기 판수용부(331)의 중앙에 형성되는 볼트홈(332), 상기 볼트홈(332)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볼트(333), 상기 고정볼트(333)에 끼워지는 와셔(334), 상기 판수용부(331)에 끼워지는 결합판(335) 및 상기 결합판(335)을 상기 판수용부(331)에 고정시키는 리벳(33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볼트(333)에 클램프(미도시)가 결합되어 태양광 패널(3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Fixing bolt fastening means 330 is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313 and 314. 6B, the fixing bolt fastening means 330 includes a plate receiving portion 331 formed in a plate-shaped groove on a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rods 313 and 314, A fixing bolt 333 fixed to the bolt groove 332, a washer 334 fitted to the fixing bolt 333, a coupling plate 334 fitted to the plate receiving portion 331, And a rivet 336 for fixing the coupling plate 335 to the plate receiving portion 331. [ Although not shown, a clamp (not shown) is coupled to the fixing bolt 333 to fix the solar panel 30.

판수용부(331)는 대략적으로 장방형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판수용부(331)의 중앙부에 볼트홈(332)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홈(332)에 고정볼트(333)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볼트(333)는 T볼트일 수 있다. 고정볼트(333)에 와셔(334)가 끼워지고, 판수용부(331)에는 결합판(335)이 끼워진다. 상기 결합판(335)은 고정볼트(333)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결합판(335)은 리벳(336) 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제1,제2지지대(313,314)에 결합될 수 있다.The plate receiving portion 331 may be formed into a substantially rectangular groove. A bolt groove 332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receiving portion 331 and a fixing bolt 333 can be inserted into the bolt groove 332. The fixing bolt 333 may be a T-bolt. The washer 334 is fitted into the fixing bolt 333 and the engaging plate 335 is fitted into the plate accommodating portion 331. The coupling plate 335 is for fixing the fixing bolt 333. The coupling plate 335 may b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313 and 314 by means of fixing means such as a rivet 336 or a bolt.

제1,제2지지대(313,314)에는 고정볼트 체결수단(330)에 이격하여 적재용 홈(337)이 형성된다. 적재용 홈(337)은 적재시의 편의성과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정볼트 체결수단(330)에 수직, 수평으로 평행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고정볼트 체결수단(330)과 적재용 홈(337)은 제1,제2지지대(313,314)의 상면에서 대각선 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대(313)의 적재용 홈(337)과 제2지지대(314)의 고정볼트(333)는 서로 짝을 이루어 상하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다른 부력체(310)를 가로중심축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시켜 포개는 경우에 제1지지대(313)의 적재용 홈(337)에 제2지지대(314)의 고정볼트(333)가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사항은 제1지지대(313)의 고정볼트(333)과 제2지지대(314)의 적재용 홈(337)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313 and 314 are formed with loading grooves 337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bolt fastening means 330. The loading grooves 337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that are not perpendicular to the fixing bolt fastening means 330 and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loading and the coupling force. That is, the fixing bolt fastening means 330 and the loading grooves 337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diagonally above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313 and 314.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ading groove 337 of the first support 313 and the fixing bolt 333 of the second support 314 are disposed at positions symmetrical with each other. The fixing bolt 333 of the second support table 314 is inserted into the loading groove 337 of the first support table 313 when the other float body 310 is rotated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center axis So that it can be fitted. This is also applied to the fixing bolt 333 of the first support 313 and the loading groove 337 of the second support 314.

상부몸체부(312)에는 제2연결체(35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315)이 형성된다. 수용홈(315)은 제2연결체(350)의 제2몸체부(351)가 수용될 수 있는 체적으로 형성된다. 상부몸체부(312)에서 수용홈(315)의 주변에는 평평하게 형성되는 평면부(312a)가 마련된다. 상기 평면부(312a)에는 제2연결체(350)의 제2날개부(352)가 면접 또는 이격한 상태로 얹혀질 수 있다. 제2연결체(350)의 제2날개부(352)가 상부몸체부(312)의 평면부(312a)에 면접하도록 수용홈(315)에 삽입됨에 따라 제2연결체(350)는 부력체(310) 내에서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The upper body portion 312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315 capable of receiving the second link body 350. The receiving groove 315 is formed in a volume in which the second body portion 351 of the second linking body 350 can be received. In the upper body portion 312, a planar portion 312a is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receiving groove 315. The second wing portion 352 of the second linking body 350 may be placed on the flat surface portion 312a in a state of being interposed or spaced apart. The second connecting body 35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15 such that the second wing portion 352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350 is in contact with the flat surface portion 312a of the upper body portion 312, And can be stably loaded in the housing 310.

하부체(321)는 하부몸체부(322)와 하부날개부(326)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체(321)는 상부체(311)에 합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부력체(310)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부력체(310)는 상부체(311)와 하부체(321)가 일체로 사출성형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The lower body 321 may include a lower body portion 322 and a lower wing portion 326. The lower body 321 may be joined to the upper body 311 in a bonded manner to form the buoyant body 310. In another embodiment, the upper body 311 and the lower body 321 of the buoyant body 310 may be integrally formed by an injection molding method.

부력체(310)의 측면에는 날개부(306)가 사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날개부(306)는 전술하였듯이 상부날개부(316)와 하부날개부(32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하단 날개부(306a,306b)에는 제1,제2연결체(340,350)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1,제2상부결합홀(317a,317b)이 형성된다. 제1연결체(340)는 제1상부결합홀(317a)에 결합되고, 제2연결체(350)는 제2상부결합홀(317b)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상부결합홀(317b)은 상기 제1상부결합홀(317a)보다 내측(부력체(310)의 중심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상부결합홀(317a)과 제2상부결합홀(317b)의 위치가 서로 일직선이 아닌 위치에 형성되므로, 제1,제2연결체(340,350)가 부력체(310)에 결합될 때, 결합력이 보다 증대된다. On the side surface of the buoyant body (310), a wing (306) is protruded by a slope. The wing portion 306 is composed of an upper wing portion 316 and a lower wing portion 326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upper coupling holes 317a and 317b for coupl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340 and 350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wing portions 306a and 306b. The first connector 340 is coupled to the first upper coupling hole 317a and the second connector 350 is coupled to the second upper coupling hole 317b. At this time, the second upper coupling hole 317b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ide (closer to the center of the buoyant body 310) than the first upper coupling hole 317a. Since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coupling holes 317a and 317b are not aligned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340 and 350 are coupled to the buoyancy member 310, The bonding force is further increased.

도 6C를 참조하면, 하부몸체부(322)의 길이는 상부몸체부(31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제2연결체(340,350)가 부력체(310)의 날개부(306)와 결합될 때 하부체(321)의 내측(중앙부)으로 깊이 들어와 결합됨에 따라 포개지는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부력체(310)와 부력체(310) 사이의 거리를 줄여 태양광 패널(30)의 이격거리 개선에 기여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6C, the length of the lower body portion 322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body portion 312. Accordingly, when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340 and 350 are engaged with the wing portion 306 of the buoyancy member 310, they are deeply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member 321, can do. 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buoyancy body 310 and the buoyancy body 310 is reduced,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solar panel 30. [

도 6D를 참조하면, 상부체(311)의 일부에는 내부에 물이나 토사 등을 저장할 수 있도록 주입구(318)가 형성되고, 주입구(318)를 막을 수 있는 마개(318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 패널 지지체가 육상에 설치될 경우 등에는 부력체(310)에 무게를 더하여 설치 안정성을 증대시키거나 냉각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주입구(318)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2지지대(314)의 중앙부는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D, an inlet 318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upper body 311 to store water or soil, and a cap 318a may be provided to block the inlet 318. FIG. Accordingly, when the photovoltaic panel support is installed on the land, the weight of the buoyant body 310 can be increased to improve the installation stability or the cooling performance. In order to secure the space of the injection port 318,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314 may not protrude.

제1지지대(313)의 중앙부에는 작업홈(319)이 형성될 수 있다. 태양광 패널 지지체에 태양광 패널(30)이 얹혀진 상태에서 배선 작업 등을 하게 되는데, 이때 태양광 패널(30)의 하면에 설치된 커넥터(미도시) 등을 잡고 배선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작업홈(319)에 손을 넣어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도 5F 참조). 이에 따라, 배선 작업이나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A work groove 319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support base 313. When the solar panel 30 is placed on the solar panel support, the wiring work is performed. At this time, if the wiring work is performed by holding a connector (not shown)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olar panel 30, The user can put his / her hand into the work groove 319 to perform the work (see Fig. 5F). As a result, the wiring work and the maintenance work become easy.

도 7A와 7B를 참조하면, 제1연결체(340)는 제1몸체부(341)와 제1날개부(34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날개부(342)는 제1몸체부(341)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연결체(340)는 상면이 제1몸체부(341)와 제1날개부(342)로 이어지면서 대체적으로 평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몸체부(341)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돌기부(343)가 격자형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A and 7B, the first connector 340 may include a first body portion 341 and a first wing portion 342. The first wing portion 342 may protrude later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341.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340 may be substantially flat while continuing to the first body portion 341 and the first wing portion 34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341, a plurality of protrusions 343 may be formed in a lattice shape to prevent slipping.

제1날개부(342)에는 상기 제1상부결합홀(317a)에 대응하는 제1하부결합홀(345)이 형성된다. 제1하부결합홀(345)은 폭방향으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제1하부결합홀(345)이 제1몸체부(341)에 형성되지 않고 제1날개부(342)에 형성됨에 따라 가공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wing portion 342 is formed with a first lower coupling hole 345 corresponding to the first upper coupling hole 317a. The first lower coupling holes 345 are formed as a pair symmetrical in the width direction. Since the first lower coupling hole 345 is formed in the first wing 342 without being formed in the first body 341, the processing operation can be facilitated.

제1몸체부(341)에는 리브(346)가 복수 개 형성된다. 이때, 리브(346)는 제1날개부(342)로부터 이격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면의 파고에 의한 피로나 파손에 대한 저항력이 증대된다. 즉,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제1연결체(141)의 몸체부에 형성된 리브(142)가 날개부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면의 파고에 의해 상하로 움직일 경우 피로하중이 쌓일 가능성이 있었으나(도 2B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몸체부(341)에 형성된 리브(346)가 제1날개부(342)로부터 이격하여 있으므로 피로에 대한 저항력이 증대된다.A plurality of ribs 346 are formed in the first body portion 341. At this time, the rib 346 is formed apart from the first wing 342. As a result, resistance to fatigue or breakage caused by wave surface wave is increased. That is, in the prior art, since the ribs 142 formed in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141 are formed adjacent to the wing portion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atigue load accumulates when moving up and down due to the wave of the water surface The rib 346 formed in the first body portion 341 is spaced from the first wing portion 342 so that the resistance against fatigue is increased.

도 8A와 8B를 참조하면, 제2연결체(350)는 제2몸체부(351)와 제2날개부(352)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몸체부(351)는 대략적으로 절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날개부(352)에 제2하부결합홀(355)이 형성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고려이다. 제2날개부(352)는 제2몸체부(351)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연결체(350)는 상면이 제2몸체부(351)와 제2날개부(352)로 이어지면서 대체적으로 평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몸체부(351)의 상면에는 종축부를 따라 경계돌기부(353)가 일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력체(310)에 제2연결체(350)가 결합될 때, 상,하단날개부(306a,306b)가 상기 경계돌기부(353)에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력체(31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태양광 패널(30)의 이격거리 개선에 이바지하게 된다.Referring to FIGS. 8A and 8B, the second connector 350 may include a second body portion 351 and a second wing portion 352. The second body portion 351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This is a consideration for securing a space in which the second lower coupling hole 355 is formed in the second wing portion 352. The second wing portion 352 may protrude later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351.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link member 350 may be generally flat while continuing to the second body portion 351 and the second wing portion 352.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351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353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axis. When the second connector 350 is coupled to the buoyant body 310, the upper and lower wings 306a and 306b may be coupled to the boundary protrusion 353.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buoyant bodies 310 is shortened, which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solar panel 30.

제2날개부(352)에는 상기 제2상부결합홀(317b)에 대응하는 제2하부결합홀(355)이 형성된다. 제2하부결합홀(355)은 폭방향으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제2하부결합홀(355)이 제2몸체부(351)에 형성되지 않고 제2날개부(352)에 형성됨에 따라 가공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nd a second lower coupling hole 355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pper coupling hole 317b is formed in the second wing portion 352. [ The second lower coupling holes 355 are formed in a pair symmetrical in the width direction. Since the second lower coupling hole 355 is formed in the second wing 352 without being formed in the second body 351, the processing operation can be facilit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체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5A 내지 도 5F를 참조하여, 태양광 패널(30)을 지지하기 위하여 수상에 설치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referring to Figs. 5A to 5F, a case in which the solar panel 30 is installed on a water tower will be described.

제1,제2연결체(340,350)가 부력체(310)의 날개부(306)의 하면에 일부 포개어지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때, 부력체(310)와 제1연결체(340)는 제1상부결합홀(317a)과 제1하부결합홀(345)을 관통하는 볼트와 너트 등의 제2체결수단(36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부력체(310)와 제2연결체(350)는 제2상부결합홀(317b)과 제2하부결합홀(355)을 관통하는 볼트와 너트 등의 제2체결수단(36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부력체(310)의 상,하단날개부(306a,306b)가 제2연결체(350)의 경계돌기부(353)에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력체(310) 간의 거리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태양광 패널(30)의 이격거리가 감소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340 and 35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partially overlapping mann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ing portion 306 of the buoyancy member 310. At this time, the buoyant body 310 and the first connector 3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fastening means 360 such as bolts and nuts passing through the first upper coupling hole 317a and the first lower coupling hole 345 Can be combined. The buoyant body 310 and the second linking body 3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econd fastening means 360 such as a bolt and a nut passing through the second upper engagement hole 317b and the second lower engagement hole 355 Can be combined. Here, the upper and lower wings 306a and 306b of the buoyant body 310 may be coupled to the boundary protruding portion 353 of the second linking body 350.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buoyant bodies 310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solar panel 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체에 의하면, 태양광 패널간 이격거리를 최적화하여 단위면적당 에너지 발생효율을 최대화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energy generation efficiency per unit area by optimiz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olar panels.

다음으로 도 9A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체의 적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9A to 10, a method of mounting a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하방에 놓인) 하나의 부력체(310)의 수용홈(315)에 제2연결체(350)가 끼워진다. 마찬가지로, (상방에 놓인) 다른 부력체(310)의 수용홈(315)에 제2연결체(350)가 끼워진 상태로 180도 회전 대칭되어 하방에 놓인 부력체(310)에 포개어진다. 하방에 놓인 부력체(310)의 적재용 홈(337)에 상방에 놓인 부력체(310)의 고정볼트(333)가 끼워지고, 하방에 놓인 부력체(310)의 고정볼트(333)가 상방에 놓인 부력체(310)의 적재용 홈(337)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포개어진 부력체(310)의 양측 날개부(306) 사이에 제1연결체(340)의 제1몸체부(341)가 각각 끼워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부력체(310), 제1연결체(340), 제2연결체(350) 각 한 쌍이 하나의 묶음 단위로 포장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태양광 패널 지지체 한 쌍의 묶음이 밴드(370)나 끈 등의 묶음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태양광 패널 지지체 한 쌍의 묶음이 파렛트(380)에 층을 이루어 적재된 상태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The second connecting body 350 is fit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15 of one buoyant body 310 (located below). Likewise, the second connector 350 is fitted in the receiving groove 315 of the other buoyant body 310 (placed on the upper side) and is superimposed on the buoyant body 310 which is rotationally symmetrical by 180 degrees and is placed on the lower side. The fixing bolt 333 of the buoyant body 310 placed on the upper side is fitted into the loading groove 337 of the buoyant body 310 placed on the lower side and the fixing bolt 333 of the buoyant body 310 placed on the lower side is fitted And is inserted into the loading groove 337 of the buoyant body 310 placed on the side of the buoyant body 310. The first body portion 341 of the first coupling body 340 is fitted between the wings 306 of both sides of the floated buoyancy body 310. In this way, each pair of the buoyant body 310, the first connector 340, and the second connector 350 can be packed in one bundle unit. Referring to Fig. 9C, a pair of bundles of solar panel supports are shown fixed by bundling means such as bands 370 or strings. A state in which a pair of such solar panel supports are layered on the pallet 380 is shown in Fig.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부력체(310)의 날개부(306)와 제1연결체(340)의 제1몸체부(341)에는 각각 돌기부와 홈부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제1연결체(340)가 부력체(310)에 끼워질 때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wing portion 306 of the buoyancy body 310 and the first body portion 341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340 are provided with fixing means composed of protrusions and grooves, respectively, 340 can be fitted to the buoyant body 310 to improve the engaging fo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체에 의하면, 태양광 패널 지지체의 적재시 회전대칭 상태로 포개어진 부력체 한 쌍 사이에 제1,제2연결체 각 한 쌍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적재함에 따라 적재공간을 최소화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olar panel support is mounted, a pair of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are inserted between a pair of buoyancy members, So that the loading space can be minimized.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30 태양광 패널 306 날개부
306a,306b 상,하단날개부 310 부력체
311 상부체 312 상부몸체부
312a 평면부 313 제1지지대
314 제2지지대 315 수용홈
317a 제1상부결합홀 317b 제2상부결합홀
318 주입구 318a 마개
319 작업홈 321 하부체
322 하부몸체부 326 하부날개부
330 고정볼트 체결수단 331 판수용부
332 볼트홈 333 고정볼트
334 와셔 335 결합판
336 리벳 337 적재용 홈
340 제1연결체 341 제1몸체부
342 제1날개부 342 제2날개부
343 돌기부 345 제1하부결합홀
350 제2연결체 351 제2몸체부
352 제2날개부 353 경계돌기부
355 제2하부결합홀 370 밴드
380 파렛트
30 solar panel 306 wing
306a, 306b, upper and lower wing portions 310,
311 upper body 312 upper body part
312a flat portion 313 first support
314 second support 315 receiving groove
317a First upper coupling hole 317b Second upper coupling hole
318 inlet 318a stopper
319 work groove 321 lower body
322 Lower body part 326 Lower wing part
330 fixing bolt fastening means 331 plate receiving portion
332 Bolt Groove 333 Fixing Bolt
334 washer 335 engaging plate
336 Rivet 337 Loading groove
340 First connector 341 First body part
342 first wing portion 342 second wing portion
343 protrusion 345 first lower coupling hole
350 Second connector body 351 Second body part
352 Second wing portion 353 Border projection
355 second lower fitting hole 370 band
380 pallet

Claims (10)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고, 상부체와 하부체로 구성되며 측면에는 날개부가 돌출 형성되는 부력체;
유지보수용 통로를 마련하기 위해 상기 부력체에 연결되는 제1연결체 및 제2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체에는 상기 제2연결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 지지체.
A buoyant body provided for supporting the solar panel, the buoyant body being composed of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and having wings protruding from the side;
And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connected to the buoyant body to provide a maintenance passage,
Wherein the upper body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second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에는 수용홈의 주변에 평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 지지체. The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body is formed with a flat surface at the periphery of the receiv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2개가 회전 대칭되는 형태로 포개어지고, 상기 날개부 사이에는 상기 제1연결체가 끼움결합되어 적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 지지체.2. The solar panel support of claim 1, wherein the buoyant body is stacked in a rotationally symmetrical manner, and the first connector is fitted between the wing portio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와 제1연결체에는 각각 돌기부와 홈부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체가 부력체에 끼워질 때 결합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 지지체.The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wing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re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each composed of a projection portion and a groove portion, so that the coupling force is improved wh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s fitted to the buoyancy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2개가 포개어지고, 상기 제2연결체 2개가 상기 수용홈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제1연결체 2개가 상기 날개부의 사이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밴드 또는 끈의 묶음수단에 의해 하나의 묶음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 지지체.2. The bend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wo buoyant bodies are stacked, two second connecting bodies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s, and two first connecting bodies are sandwiched between the wing portions, ≪ / RTI > are joined together in one bundle by means of a < RTI ID = 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의 측면에는 날개부가 사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하단 날개부에는 상기 제1,제2연결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1,제2상부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 지지체.[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oyant body is formed with wings on the side surface of the buoyant body, and upper and lower wing portions are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upper coupling holes for coupl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odies A solar panel support characterized b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부결합홀은 상기 제1상부결합홀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 지지체.The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upper coupling hole is located inside the first upper coupling ho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연결체에는 상기 제1,제2상부결합홀에 대응하는 제1,제2하부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 지지체.The photovoltaic panel as claimed in claim 6,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are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lower coupl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upper coupling hol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하부결합홀은 상기 제1,제2연결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제2날개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 지지체.The solar panel support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ower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first and second wing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odies,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에는 제1,제2지지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제2지지대에는 태양광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1,제2지지대의 일부에 홈으로 형성되는 판수용부;
상기 판수용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볼트홈;
상기 볼트홈에 고정 설치되는 볼트;
상기 볼트에 끼워지는 와셔;
상기 판수용부에 끼워지는 결합판; 및
상기 결합판을 상기 판수용부에 고정시키는 리벳;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 지지체.
2. The solar pane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body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support protrus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are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solar panel,
A plate receiving portion formed as a groove on a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A bolt groov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late receiving portion;
A bolt fixedly installed in the bolt groove;
A washer fitted into the bolt;
An engaging plate fitted to the plate receiving portion; And
And a rivet fixing the coupling plate to the plate receiving portion.
KR1020150045448A 2015-03-31 2015-03-31 Supporting Device for Solar Panel KR1017283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448A KR101728356B1 (en) 2015-03-31 2015-03-31 Supporting Device for Solar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448A KR101728356B1 (en) 2015-03-31 2015-03-31 Supporting Device for Solar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963A true KR20160116963A (en) 2016-10-10
KR101728356B1 KR101728356B1 (en) 2017-04-19

Family

ID=5714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448A KR101728356B1 (en) 2015-03-31 2015-03-31 Supporting Device for Solar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35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4722A (en) * 2017-08-14 2019-03-07 ▲長▼江勘▲測▼▲規▼▲劃▼▲設▼▲計▼研究有限▲責▼任公司 Independently supported water surface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for discrete type operation and maintenance channel and its installation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4722A (en) * 2017-08-14 2019-03-07 ▲長▼江勘▲測▼▲規▼▲劃▼▲設▼▲計▼研究有限▲責▼任公司 Independently supported water surface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for discrete type operation and maintenance channel and its install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356B1 (en)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8931B2 (en) Snap-in mounting system for laminate solar panels
EP2884202A1 (en) Supporting device for solar panel
US9553289B2 (en) Battery module
WO2020211617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US9951972B2 (en) Fixing metal bracket and solar battery system
US20150107670A1 (en) Concentrating solar cell module panel having stiffness and concentrating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same
JP5931923B2 (en) Solar cell module
KR101632004B1 (en) Sunlight structure for water surface
KR101102382B1 (en) Solar battery array
KR101728356B1 (en) Supporting Device for Solar Panel
JP2006278672A (en) Structure of accommodating power transmission cable, and solar battery module employing same
KR101437903B1 (en) Concentrating photovoltaic module panel improving stiffness and assembly of baseplate
KR102258755B1 (en) Support Structure for Solar Cell Module
KR20190123389A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quipment using Pipes
WO2013108541A1 (en) Solar cell module, structure for supporting solar cell module, method for installing solar cell module, and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437914B1 (en) Concentrating photovoltaic module panel having stiffness and concentraing photovoltaic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373629B1 (en) Concentrating photovoltaic module panel having stiffness and concentraing photovoltaic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150303866A1 (en) Concentrating solar cell module panel having stiffness and concentrating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same
KR101179894B1 (en) Deferment unit assembly for supporting module of solar battery
KR200440629Y1 (en) Installing structure of condenser board for generating light of sun
US20100129706A1 (en) Device with at least one accumulator cell
WO2021151940A1 (en) Floating solar support module
JP2016067153A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method for solar cell module,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430109B1 (en) Movable solar cell module assembly
KR101338616B1 (en) Photovolta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