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887A - 모발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이식방법 - Google Patents

모발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이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887A
KR20160116887A KR1020150045253A KR20150045253A KR20160116887A KR 20160116887 A KR20160116887 A KR 20160116887A KR 1020150045253 A KR1020150045253 A KR 1020150045253A KR 20150045253 A KR20150045253 A KR 20150045253A KR 20160116887 A KR20160116887 A KR 20160116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andpiece
hair growth
injection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의영
손량희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로닉
Priority to KR1020150045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6887A/ko
Publication of KR20160116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을 분사하는 분사부; 및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를 포함하는 분사 핸드피스가 구비된 모발 이식장치가 개시된다. 이때, 분사 핸드피스의 이동을 감지하여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의 분사 및 초음파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발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이식방법{HAIR TRANSPLANT DEVICE AND METHOD FOR TRANSPLANTING OF HAI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발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이식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채집된 모발을 피부 조직에 성공적으로 이식할 수 있는 확률인 소위 생착률을 높일 수 있는 모발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이식 방법에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은 노화, 스트레스, 약물 부작용 등에 의해 모발이 점차 빠져 머리숱이 줄어드는 증상을 말한다. 탈모증은 유전 등의 선천적 요인 이외에도 스트레스와 같은 후천적 요인에 의해 발생된다. 최근의 산업 발달로 인하여, 후천적 요인으로 인한 탈모증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그 치료 기술에 대한 개발도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다양한 탈모증 치료 기술들 중 모낭단위추출(Follicular Unit Extraction; FUE) 모발 이식방법 등의 생모이식방법은 시술자의 피부 조직에 남아 있는 모발을 채취한 후, 식모기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탈모가 진행된 두피 부분에 모낭을 인공적으로 심어주는 기술이다. 이러한, 생모이식방법은 출혈이 적고 흉터가 거의 없으며, 모발의 성장 방향이나 위치 등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생착률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KR 10-2005-0074870 A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생착률을 높일 수 있는 모발 이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부 조직으로부터 채집된 모발의 부패를 최대한 늦출 수 있는 모발 이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채집하고자 하는 모발의 상태에 따라 시술자의 모발 채집 효율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발 이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채집되는 모발들의 갯수 및 관련 정보를 시술자가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모발 이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생착률을 높일 수 있는 모발 이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장치는, 시술대상자에게 모발을 이식하는 모발 이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술대상자의 피부 조직 상에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을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의 상기 피부 조직으로의 흡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피부 조직에 대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발 이식장치에는, 상기 분사 핸드피스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 감지 수단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의 분사여부 및 시간당 분사량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제어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초음파 발생부의 초음파 발생여부 및 초음파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동 감지 수단이 상기 분사 핸드피스의 이동을 감지한 경우에만 상기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이 상기 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감지 수단은 상기 분사 핸드피스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분사 핸드피스의 이동속도에 따라 상기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의 시간당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은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Rich Plasma; PRP)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혈소판 풍부 혈장은 상기 시술대상자의 혈액에서 채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방법은, 상기 시술대상자의 피부 조직 상에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을 분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의 상기 피부 조직으로의 흡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피부 조직에 대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발 이식방법은 일실시예에서, 상기 분사 핸드피스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사 핸드피스가 이동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분사부로부터 상기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이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발 이식방법은, 상기 분사 핸드피스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사 핸드피스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분사부로부터 상기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이 분사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 핸드피스의 이동속도에 비례되도록 상기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의 시간당 분사량이 제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식된 모발의 생착률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피부 조직으로부터 채집된 모발의 부패를 최대한 늦출 수 있고, 채집하고자 하는 모발의 상태에 따라 시술자의 모발 채집 효율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채집되는 모발들의 갯수 및 관련 정보를 시술자가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모발 채집을 위한 시술의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장치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사 핸드피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채집 핸드피스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모발 수집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단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각 구성들의 세부 크기, 형태, 두께, 곡률 등은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도식화된 것으로서, 허용 오차 등에 의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장치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장치(10)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사 핸드피스(700)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채집 핸드피스 어셈블리(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도 5는 도 2에 도시된 모발 수집기(3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장치(10)는 인체 또는 동물 등의 피부 조직에 있는 모발(1)을 채취한 후, 채집된 모발(1)을 다시 피부 조직에 이식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모발 이식장치(10)는 장비 본체(도 2의 100)에 제공되는 표시기(120), 채집 핸드피스 어셈블리(200)와 이식 핸드피스 어셈블리(201), 모발 수집기(300), 보존액 순환기(330), 온도 조절기(350), 모발 카운팅기(400), 시술 안내 시스템(500), 제어기(600), 그리고 분사 핸드피스(7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발이식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장치(10)는 모발을 채집하고, 보존하며, 소정의 위치에 모발을 이식하는 시술을 수행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탈모증 치료를 위한 시술이나, 미용 목적으로 모발을 이식하는 시술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600)는 장비 사용자에 의한 상기 모발 이식장치(10)의 조작 및 제어 등을 인식하여, 상술한 구성들(100, 200, 201, 300, 330, 350, 400, 700)을 기 설정된 동작 및 제어 시퀀스에 맞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600)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 시퀀스들은 상기 채집 핸드피스 어셈블리(200)에 의한 모발의 채집, 상기 모발 수집기(300)에 의한 채집된 모발들의 수집 및 보관, 상기 보존액 순환기(330)에 의한 보존액의 공급 및 회수, 상기 온도 조절기(350)에 의한 보존액의 온도 조절 또는 모발 수용 공간 내 온도 조절, 상기 모발 카운팅기(400)에 의한 채집된 모발의 카운팅 및 관련 정보 표시, 상기 표시기(120)를 이용한 시술 안내 가이드 정보 표시, 상기 이식 핸드피스 어셈블리(201)를 이용한 채집된 모발의 이식, 상기 분사 핸드피스(700)를 이용한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L)의 분사 또는 초음파의 조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모발 이식장치(10)의 시스템은 시술자가 모발들을 기 설정된 안내 가이드 정보를 따라 효과적으로 피부 조직으로부터 모발을 채집하게 되며, 채집된 모발들은 자동적으로 모발 수집기(300)에 의해 수집 및 보관하게 될 수 있다. 이때, 모발 카운팅기(400)에 의해 수집되는 모발들의 갯수 및 관련 정보 등이 상기 표시기(120)를 통해 외부로 표시될 수 있으며, 시술자는 이러한 정보들을 인지하여, 적합한 모발 채집 및 이식 시술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모발 이식장치(10)는 시술자가 모발의 상태에 적합한 표준 시술 정보를 안내받아 효과적으로 피부 조직으로부터 모발을 채집할 수 있고, 채집된 모발들을 부패를 최대한 방지하면서 보관 및 관리할 수 있어, 모발 이식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발 수집기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발 이식장치는 채집되는 모발의 갯수 및 관련 정보들을 시술자에게 표시하여 줌으로써, 시술자가 모발 이식 시술을 효과적으로 시행 및 관리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장치(10)의 세부 구성들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장비 본체(100)는 장비 사용자가 상기 모발 이식장치(10)를 동작하거나 컨트롤하고, 또한 상기 구성들(100, 200, 300, 400)을 거치하거나 구비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장비 본체(100)에는 상기 모발 이식장치(10)의 이동을 위한 바퀴(110) 및 시술자의 장비 동작 및 제어를 위한 표시기(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기(120)는 상기 모발 이식장치(10)의 동작 상태를 시술자에게 표시하고, 또한 시술자가 상기 모발 이식장치(10)를 동작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과 같은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장비 본체(100)에 보조 표시기(12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보조 표시기(120')는 축봉(121) 및 아암(arm)(122) 등으로 장비 본체(100)에 결합됨으로써, 시술자가 원하는 위치와 각도에 보조 표시기(120')를 배치하여 시술 등에 참고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장비 본체(10)에는 상기 채집 핸드피스 어셈블리(200)나 분사 핸드피스(700)의 거치를 위한 핸드피스 거치대(130)가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분사 핸드피스(700)는 분사부(710) 및 초음파 발생부(7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이동 감지 수단(7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분사부(710)는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L)을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L)은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Rich Plasma; PRP)을 포함할 수 있는데, 혈소판 풍부 혈장은 피부재생 등에 관여하는 성장인자를 많이 포함하며, 세포증식, 콜라겐 생성, 히알루론산 생성, 상피세포 성장촉진, 혈관 신생이나 상처치유 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시술대상자에게서 채취된 혈액을 이용하여 혈소판 풍부 혈장을 추출하고, 이를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L)로 사용함으로써 알레르기 반응이나 면역반응, 혈액을 통해 감염되는 각종 질병 등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발생부(720)는 초음파를 발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렇게 발산된 초음파로 인해서 분사된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L)이 피부 내측으로 잘 스며들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초음파 발생부(720)는 상기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L)의 피부 조직으로의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초음파 발생부(720)는 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분사 핸드피스(700)에는 이동 감지 수단(7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감지 수단(730)은 분사 핸드피스(700)의 이동여부 또는 이동속도 등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감지 수단(730)을 통해 감지된 분사 핸드피스(700)의 이동여부 또는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L)의 분사여부 또는 분사량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이동 감지 수단(730)이 전술한 제어기(600)와 연결되어 분사 핸드피스(700)의 이동에 관한 감지신호를 제어기(600)로 전송하고, 제어기(600)는 감지신호에 따라 분사부(710)를 조절하여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L)의 분사여부 또는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기(600)는 감지신호에 따라 초음파 발생부(72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초음파 발산 여부 또는 초음파 강도 등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이동 감지 수단(730)은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 핸드피스(700)는 시술자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핸드-헬드(Hand-Held)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분사 핸드피스(700)는 시술자가 분사 핸드피스(700)를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701)를 포함하며, 전술한 분사부(710) 및 초음파 발생부(720)는 헤드부(705)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분사 핸드피스(700)는 연결선(740)을 매개로 장비 본체(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분사부(710), 초음파 발생부(720), 그리고 이동 감지 수단(730) 등과 장비 본체(100) 사이에서 전기 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라인이 연결선(740)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 감지 수단(730)과 제어기(600)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신호라인(741), 분사부(710)와 제어기(600)를 연결하는 제2 신호라인(742), 초음파 발생부(720)와 제어기(600)를 연결하는 제3 신호라인(743) 등이 연결선(74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신호라인(741)을 통해 전술한 감지신호가 송수신되며, 제2 신호라인(742) 및 제3 신호라인(743)을 통해서 분사부(710) 및 초음파 발생부(720)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다.
한편, 제어기(600)가 제1 신호라인(741)을 통해서 이동 감지 수단(730)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이동 감지 수단(730)과 분사부(710) 사이에 제4 신호라인(731)이 구비되고, 이동 감지 수단(730)과 초음파 발생부(720) 사이에 제5 신호라인(732)이 구비되어 제어신호가 분사부(710)나 초음파 발생부(720)로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기의 기능이 이동 감지 수단(730)에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제4 신호라인 및 제5 신호라인을 통해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분사부(710)는 분사노즐(711)과 밸브(71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밸브(712)는 공급튜브(745)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급튜브(745)는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L)을 분사부(71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술한 신호라인들과 함께 연결선(74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712)에는 전술한 제2 신호라인(741) 또는 제4 신호라인(731)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신호라인(741) 또는 제4 신호라인(731)에 의하여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밸브(712)의 개폐여부 또는 개폐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L)이 공급튜브(745)를 통해 소정의 압력으로 제공되는 상태에서 밸브(712)의 개폐여부 또는 개폐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분사노즐(711)을 통해 분사되는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L)의 분사여부 또는 시간당 분사량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L)을 보관하기 위한 저장소(미도시됨)가 분사 핸드피스(700)에 구비되어 분사노즐(711)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저장소에 압력을 가하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어 압력의 유무 또는 압력의 크기가 제어됨으로써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L)의 분사여부 또는 시간당 분사량이 조절될 수도 있다. 또한, 분사 핸드피스(700)에는 별도의 작동 스위치(미도시됨)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시술자가 분사 핸드피스(700)를 파지하고 모발 이식 부위 부근에 분사 핸드피스(70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작동 스위치를 켜면 모발성장촉진 조성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동 스위치가 켜진 상태에서 이동 감지 수단(730)이 분사 핸드피스(700)의 이동을 감지할 경우에만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L)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분사 핸드피스(700)가 느리게 이동하면 시간당 분사량을 감소시키고, 분사 핸드피스(700)가 빠르게 이동하면 시간당 분사량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의 제어는 초음파 발생부(720)의 작동에도 비슷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작동 스위치는 장비 본체(1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장치(10)는, 분사 핸드피스(700)를 이용하여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L)을 모발이 이식된 부위에 분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초음파를 발산시켜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L)이 피부 깊숙한 부위 까지 잘 스며들 수 있게 되므로 이식된 모발의 생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사 핸드피스(700)의 이동에 따라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L)의 분사가 조절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초음파 발생부(720)의 동작도 조절될 수 있으므로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L)의 낭비를 방지하면서도 이식된 모발의 생착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채집 핸드피스 어셈블리(200)는 피부 조직에 있는 모발(1)을 피부 조직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채집 핸드피스 어셈블리(200)는 상기 장비 본체(100)에 전기적 또는 공압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장비 본체(100)와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채집 핸드피스 어셈블리(200)는 채집 핸드피스(210) 및 전기 라인(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집 핸드피스(210)는 손잡이부(212), 손잡이부(212)의 앞단에 제공된 채집부(214)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12)는 시술자의 편의를 위해 디자인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채집부(214)의 구동을 위한 구동기(미도시됨)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채집부(214)로 전달시키기 위한 회전력 전달부(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집부(214)는 상기 손잡이부(212)의 길이방향에 대체로 수직하거나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배치를 갖는 채집피스(21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채집피스(214a)는 일단이 상기 채집부(214) 내측에 구비되며, 타단이 외부에 돌출되는 중공 형태의 튜브(tube)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채집피스(214a)는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채집부(21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채집피스(214a)의 끝단은 피부 조직에 접촉되는 부분이며, 내부 중공은 상기 피부 조직으로부터 채집된 모발(1)이 상기 모발 수집기(300)로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채집피스(214a)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기 설정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채집피스(214a)의 회전 속도는 상대적으로 5rpm 내지 50rpm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10rpm 내지 30rpm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채집피스(214a)의 회전속도가 50rpm 이상이면 과도한 회전력에 의해 시술시 피부 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상기 채집피스(214a)의 회전속도가 5rpm 미만이면, 채집피스(214a)의 회전속도가 너무 낮아 피부 조직으로부터 모발(1)을 분리하기 어려워, 모발(1)의 채집 효율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채집피스(214a)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 전달에 의해 상기 채집피스(214a)가 회전하면서 두피를 일정 깊이로 절단할 수 있도록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전기 라인(220)은 상기 채집 핸드피스(21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장비 본체(100)와 상기 채집 핸드피스(210)를 연결시키는 라인일 수 있다. 상기 전기 라인(220)의 일단은 상기 장비 본체(100)에 커넥터 방식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채집 핸드피스(210)의 손잡이부(21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기 라인(220)에 의해 상기 채집피스(214a)의 구동을 위해 상기 손잡이부(212)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발 수집기(300)는 상기 채집 핸드피스(210)에 의해 채집된 모발(1)을 수용하여 저장 및 보관, 그리고 이식 대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발 수집기(300)는 수용된 모발(1)의 부패를 방지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모발 수집기(300)는 수용 용기(310), 공압 라인(320), 보존액 순환 라인(332, 334), 그리고 분무 노즐(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 용기(310)는 상기 모발(1)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31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 용기(3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의 몸통(312) 및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커버(314)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몸통(312) 및 상기 커버(314)는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몸통(312)에는 보존액 배출포트(312a)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314)에는 모발 유입포트(314a), 흡입압 제공포트(314b), 그리고 보존액 공급포트(314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존액 배출포트(312a)는 상기 수용 공간(311) 내 보존액(20)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포트일 수 있다. 상기 모발 유입포트(314a)는 상기 수용 용기(310) 내부로 상기 모발(1)을 유입시키기 위한 포트이고, 상기 보존액 공급포트(314c)는 상기 수용 용기(310)로 상기 보존액(20)을 공급시키기 위한 포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존액(20)은 모발(1)의 부패 방지를 위한 액체일 수 있다. 상기 보존액(20)으로는 생리식염수, 눈물액, PRP(Platelet rich plasma, 혈소판 풍부 혈장) 용액, 그리고 장기 보존액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기 보존액은 간, 신장 등을 보존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활성 산소의 공격으로부터 보존 대상물을 보호해주는 효과가 있다. 물론, 상술한 보존액들(20)외 모발(1), 특히 모낭의 부패 방지 효과가 있는 다양한 종류의 보존액이 사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몸통(312) 내에는 상기 모발 유입포트(314a)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311) 내부로 유입되는 모발(1)이 안착되도록 하는 모발 안착대(3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발 안착대(316)는 상기 모발(1)이 상기 수용 공간(311) 내 보존액(20)에 의해 침지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발 안착대(316)는 상기 수용 공간(311) 내 보존액(20)의 수위에 비해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발 안착대(316)는 대체로 상기 수용 용기(310)의 측벽에 대해 수직하게 놓여지도록 제공되며, 상기 수용 용기(3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용 용기(310)에 걸림턱 등의 구조물을 제공하여, 상기 모발 안착대(316)가 상기 몸통(312) 내에서 가로방향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발 안착대(316)는, 상기 보존액 배출포트(312a)로의 상기 보존액(20) 배출을 방해하지 않도록, 액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발 안착대(316)는 상기 모발(1)이 상기 보존액(20)에 의해 침지되거나 과도하게 적셔지지 않도록, 저 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발 안착대(316)로는 쇠망(steel net), 거즈(gauze), 섬유(fiber), 그리고 텍스타일(textile)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압 라인(320)은 상기 채집 핸드피스(210)에 의해 채집된 모발(1)을 상기 모발 수집기(300)로 이동시키는 라인일 수 있다. 상기 공압 라인(320)은 제1 공압라인(322)과 제2 공압라인(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압라인(322)은 상기 채집 핸드피스(210)에 의해 채집된 모발(1)을 상기 모발 수집기(300)로 이동시키는 라인이고, 상기 제2 공압라인(324)은 이러한 모발(1)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1 공압라인(322)에 흡입압을 제공하는 라인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공압라인(322)의 일단은 상기 채집피스(214a)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모발 유입포트(314a)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공압라인(324)의 일단은 상기 흡입압 제공포트(314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장비 본체(100) 내부에 있는 흡입 부재(23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부재(236)로는 진공 펌프 또는 콤프레셔 등의 감압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압 라인(320)의 흡입압력 값은 모발(1)을 상기 수용 공간(311)으로 적절히 이동시킬 수 있는 정도의 적정 압력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압 라인(320)의 흡입압력은 모발(1)이 정상적으로 채집되면서도, 상기 수용 용기(310) 내 모발(1)이 비산되거나 및 보존액(20)이 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정도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압력의 조절을 위해 압력 조절 밸브 등의 압력 조절 수단(미도시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압력계(미도시됨) 등을 상기 수용 용기(310)나 상기 공압 라인(320)에 구비하여, 시술자가 압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존액 순환기(330)는 상기 수용 용기(310)에 대해 상기 보존액(20)을 공급 및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보존액 순환기(330)는 보존액 공급라인(332) 및 보존액 배출라인(33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존액 공급라인(332)은 보존액 공급원(333)으로부터 상기 보존액 유입포트(314a)로 상기 보존액(20)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보존액 배출라인(334)은 상기 수용 용기(310)로부터 보존액 회수원(335)으로 상기 보존액(20)을 회수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존액 공급원(333)과 상기 보존액 회수원(335)은 소정의 용기로 제공되어 상기 장비 본체(100)에 거치될 수 있으며, 시술자는 상기 용기의 교체, 또는 상기 용기 내 보존액(20)의 보충하거나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보존액(20)의 순환 시스템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분무 노즐(340)은 상기 수용 용기(310) 내부로 보존액(20)을 미스트(mist) 형태로 분사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무 노즐(340)은 상기 보존액 유입포트(314c)에 체결되어, 상기 보존액 공급라인(332)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 상태의 보존액(20)을 미스트 상태로 변경하여, 상기 수용 공간(311) 내부로 보존 유체(22)의 형태로 분사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분무 노즐(340)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311) 내부에는 상기 보존 유체(22)가 가득하여 습도가 높은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습 환경에서, 상기 모발 안착대(316)에 놓여진 모발(1)은 보존 유체(22)에 의해 부패가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발(1)을 상기 보존액(20)에 침지시키지 않고, 고습 환경에 노출시키는 경우, 상기 모발(1)의 부패율이 더 낮을 수 있다. 상기 모발(1)을 상기 보존액(20)에 침지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 모발(1)의 모낭 부분이 특히 부패가 빨리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모발(1)이, 액체 상태에 담겨진 환경에 비해 고습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모낭의 생체 수명이 더 증가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발 수집기(300)에는, 상기 수용 용기(310) 내 보존 유체(22)로 인한 내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조절기(3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조절기(350)는 상기 수용 용기(310)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311) 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35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측정 센서(352)에 의해 감지된 온도 데이터는 상기 제어기(600)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기(600)는 상기 온도 데이터를 판단하여 상기 수용 공간(311) 내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로 조절하거나, 온도 및 습도 정보 등을 시술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온도 제어를 위해, 상기 모발 수집기(300)에는 다양한 형태의 온도 조절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수용 용기(310) 내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로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354)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354)로는 상기 수용 용기(310) 내 온도를 낮추기 위한 열전소자(Thermoelectric element) 등과 같은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냉각기(354)로는 상기 수용 용기(310) 주변으로 냉각수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방식, 쿨링 자켓(미도시)을 이용하는 방식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용 용기(310) 내 온도는 대략 0℃ 내지 15℃의 온도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수용 용기(310) 내부 온도가 대략 0℃ 미만인 경우, 상기 모발(1)이 냉동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어 신속한 모낭 이식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내부 온도가 대략 15℃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발(1)의 부패율이 증가하여 추후 모발의 이식 과정에서 생착률이 낮아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수용 용기(310)로 공급되는 보존액(20)을 기 설정된 온도로 냉각시켜 공급시키는 냉각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냉각기는 상기 보존액 공급원(333)에 제공되어, 상기 보존액 공급원(333)에 저장된 보존액(20)을 기 설정된 온도 범위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냉각기로는 상술한 냉각기술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 용기(310)로 공급되는 상기 보존액(20)의 온도는 대략 0℃ 내지 15℃의 온도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보존액(20)의 온도가 대략 0℃ 미만인 경우, 상기 모발(1)이 냉동되는 등의 문제가 되어 신속한 모낭 이식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보존액(20)의 온도가 대략 15℃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발(1)의 부패율이 증가하여 추후 모발의 이식 과정에서 생착률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발 수집기(300)에는 상기 모발 안착대(316)에 놓여진 모발(1)이 상기 모발 안착대(316) 상에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판(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진동판은, 전원 공급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어기(600)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600)에 기 설정된 진동 레벨에 따라 진동의 강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발 안착대(316)에 안착된 모발들(1)이 서로 뭉치거나 과다 적층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모발 카운팅기(400)는 상기 채집 핸드피스(210)에 의해 채집되는 모발(1)의 갯수를 카운팅(counting)하여 시술자에게 인지시켜줄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모발 카운팅기(400)는 상기 채집 핸드피스(210)의 제1 공압라인(322) 상에 구비되는 모발 인식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발 인식 센서는 상기 제1 공압라인(322)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 센서로 제공되어, 상기 제1 공압라인(322)을 따라 이동되는 모발(1)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 센서는 자체 발광 신호를 상기 제1 공압라인(322) 상으로 조사한 후, 반사된 수광 신호를 수신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광 센서는 발광 센서와 수광 센서가 한 셋트로 이루어져, 상기 제1 공압라인(322)을 사이에 두고 감지 신호를 발신 또는 수신받을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발(1)이 상기 제1 공압라인(322)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광 센서의 신호 이동 경로를 가리게 되므로, 상기 광 센서가 수광 신호를 수신받지 못하는 조건으로서 상기 모발(1)의 카운팅과 정상 채집 여부 등을 집계할 수 있다. 이때, 광 센서는 카운팅의 안정성과 정확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1 공압라인(322) 상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 센서들 각각의 센싱 여부를 평균적으로 또는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상기 모발(1)의 카운팅과 정상 채집 여부를 최종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모발 인식 센서가 출력하는 감지 신호는 상기 제어기(600)로 전송되며, 상기 제어기(600)는 감지된 신호를 판단하여, 모발의 누적 갯수 및 모발의 정상 채집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상기 표시기(12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모발 카운팅 시스템에 의해, 시술자는 시술 과정에서 채집되는 모발들(1)의 갯수를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므로, 기존에 시술자가 갯수를 세는 방식에 비해, 계획된 갯수의 모발들(1)을 정확히 채집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시술자가 모발 채집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발 이식장치(10)는 시술자의 모발 채집 시술을 안내할 수 있는 시술 안내 시스템(5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시술 안내 시스템(500)은 카메라(510) 및 표준 데이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510)는 시술시 채집하고자 하는 조직 부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채집 핸드피스 어셈블리(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카메라(510)는 상기 채집 핸드피스(210)의 채집부(214)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채집피스(214a)의 전단 부분을 향하도록, 그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술시 상기 카메라(510)는 상기 채집피스(214a)의 적어도 끝단 부분을 포함하면서 피부 조직의 모발(1) 부분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어기(600)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카메라(510)는 상기 장비 본체(100)나 상기 표시기(120) 주변에 고정 설치되는 피봇 아암(arm) 등과 같은 고정과 이동이 가능한 서포트 부재에 구비되어, 시술자가 상기 카메라(510)의 촬영 영역이 시술 대상자의 모발 채집 대상 영역을 비추도록 하고, 촬영된 영상 데이타는 상기 제어기(60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600)는, 표준 데이터부(520) 내 기저장된 표준 시술 가이드정보들 중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매칭되는 시술 가이드 정보를 선택한 후, 이를 상기 표시기(120)를 통해 시술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상기 시술 가이드 정보는 상기 모발(1)의 상태, 위치, 굵기, 각도, 길이 그리고 배향 등을 판단하여, 상기 모발(1)의 채집을 위한 효과적인 상기 채집피스(214a)의 각도와 깊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술자는 상기 표시기(120)에 표시된 이러한 시술 가이드 정보를 확인하여, 모발(1)의 채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발 수집기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발 이식장치는, 시술 안내 시스템(500)에 의해 시술자가 모발의 상태에 적합한 표준 시술 정보를 안내받아 효과적으로 피부 조직으로부터 모발을 채집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수집기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발 이식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모발 이식장치 100 : 장비 본체
120 : 표시기 130 : 핸드피스 거치대
200 : 채집 핸드피스 어셈블리 300 : 모발 수집기
310 : 수용 용기 320 : 공압 라인
330 : 보존액 순환기 340 : 분무 노즐
350 : 온도 조절기 400 : 모발 카운팅기
500 : 시술 안내 시스템 510 : 카메라
520 : 표준 데이터부 600 : 제어기
700 : 분사 핸드피스 701 : 손잡이부
702 : 헤드부 710 : 분사부
711 : 분사노즐 712 : 밸브
720 : 초음파 발생부 721 : 진동자
730 : 이동 감지 수단 731 : 제4 신호라인
732 : 제5 신호라인 740 : 연결선
741 : 제1 신호라인 742 : 제2 신호라인
743 : 제3 신호라인 745 : 공급튜브
L :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

Claims (11)

  1. 시술대상자에게 모발을 이식하는 모발 이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술대상자의 피부 조직 상에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을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의 상기 피부 조직으로의 흡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피부 조직에 대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
    를 포함하는 분사 핸드피스가 구비된 모발 이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핸드피스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 감지 수단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의 분사여부 및 시간당 분사량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제어기;
    를 더 포함하는 모발 이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초음파 발생부의 초음파 발생여부 및 초음파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모발 이식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동 감지 수단이 상기 분사 핸드피스의 이동을 감지한 경우에만 상기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이 상기 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모발 이식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 수단은 상기 분사 핸드피스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분사 핸드피스의 이동속도에 따라 상기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의 시간당 분사량을 조절하는 모발 이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은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Rich Plasma; PRP)을 포함하는 모발 이식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혈소판 풍부 혈장은 상기 시술대상자의 혈액에서 채취된 것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장치.
  8. 제 1 항에 따른 모발 이식장치를 이용하여 시술대상자에게 모발을 이식하는 모발 이식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술대상자의 피부 조직 상에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을 분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의 상기 피부 조직으로의 흡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피부 조직에 대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발 이식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핸드피스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사 핸드피스가 이동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분사부로부터 상기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이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발 이식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핸드피스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사 핸드피스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분사부로부터 상기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이 분사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발 이식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핸드피스의 이동속도에 비례되도록 상기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의 시간당 분사량이 제어되는 모발 이식방법.
KR1020150045253A 2015-03-31 2015-03-31 모발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이식방법 KR20160116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253A KR20160116887A (ko) 2015-03-31 2015-03-31 모발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이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253A KR20160116887A (ko) 2015-03-31 2015-03-31 모발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이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887A true KR20160116887A (ko) 2016-10-10

Family

ID=5714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253A KR20160116887A (ko) 2015-03-31 2015-03-31 모발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이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688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863B1 (ko) * 2017-07-26 2018-08-08 (주)클래시스 이동식 피부 치료장치
KR20200057234A (ko)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아프스 자동 모낭분리판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KR20200057237A (ko)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아프스 자동 식염수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KR20210025840A (ko) * 2019-08-28 2021-03-10 플람 주식회사 자동 모근 채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863B1 (ko) * 2017-07-26 2018-08-08 (주)클래시스 이동식 피부 치료장치
KR20200057234A (ko)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아프스 자동 모낭분리판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KR20200057237A (ko)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아프스 자동 식염수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모낭 분리 장치
KR20210025840A (ko) * 2019-08-28 2021-03-10 플람 주식회사 자동 모근 채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7317B2 (ja) 組織移送の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WO2015012477A1 (ko) 모발 수집기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발 이식장치
KR20160116887A (ko) 모발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이식방법
US20190374668A1 (en) Automatic disinfecting machine for disinfecting the skin, and method
ES2844823T3 (es) Dispositivo de estimulación de colágeno
BRPI0915893B1 (pt) dispositivo guiado à imagem para introdução de um dispositivo médico
JP6636561B2 (ja) 組織コアを回収し保存するシステム
KR102611565B1 (ko) 모발 이식 개선을 위한 기구, 시스템 및 모발 이식 개선 방법
KR20150086873A (ko) 채집 핸드피스
KR101521553B1 (ko) 모낭 채집기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발 이식장치
KR101614209B1 (ko) 모발 이식 장치
US11395673B2 (en) Follicle extrac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20150067445A (ko) 모발 이식장치
KR101516320B1 (ko) 모낭 채집기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발 이식장치
KR20150067443A (ko) 모발 수집기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발 이식장치
KR20150067444A (ko) 모발 수집기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발 이식장치
KR20160006645A (ko) 모발 이식장치
JP2019048876A (ja) 組織コアを回収し保存するシステム
KR101597617B1 (ko) 모발 이식장치
RU270668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и регулировани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процесса размораживания плазмы и клеток крови
KR20220117424A (ko) 지방 흡입 장치 및 지방 흡입용 핸드피스
CN113017788A (zh) 一种腹腔镜穿刺器的保护装置及腹腔镜穿刺器
UA85937U (uk) Інструмент для лазерної ліпосакці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