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859A - 입자 빔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입자 빔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859A
KR20160116859A KR1020150045198A KR20150045198A KR20160116859A KR 20160116859 A KR20160116859 A KR 20160116859A KR 1020150045198 A KR1020150045198 A KR 1020150045198A KR 20150045198 A KR20150045198 A KR 20150045198A KR 20160116859 A KR20160116859 A KR 20160116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light source
laser beam
particle beam
inciden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호
정문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45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6859A/ko
Publication of KR20160116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02Details
    • H01J37/04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discharge,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ion-optical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0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with beam delivery through a hollow tube, e.g. forming an articulated arm ; Hand-pie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02Details
    • H01J37/04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discharge,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ion-optical arrangement
    • H01J37/06Electron sources; Electron gu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02Details
    • H01J37/04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discharge,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ion-optical arrangement
    • H01J37/08Ion sources; Ion gu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4Gas-filled discharge tubes operating with cathodic sputtering
    • H01J37/3411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reactor
    • H01J37/3414Targets
    • H01J37/3426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6/00Targets for producing nuclear rea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rticle Accel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 빔 발생장치는 입사광을 생성하는 제 1 광원, 상기 입사광을 타깃에 집속하는 제 1 집광부, 레이저 빔을 생성하는 제 2 광원,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타깃에 집속하는 제 2 집광부, 및 상기 입자 빔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상기 타깃은 입자 빔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타깃은 상기 입사광의 조사에 의해 내부에 전자-정공 쌍을 형성시키는 광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자 빔 발생장치{PARTICLE BEAM GENERATOR}
본 발명은 입자 빔 발생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를 기반으로 하여 광전도성 매질을 빔 발생용 타깃으로 사용하는 입자 빔 발생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최근, 양성자 빔 치료법은 엑스선 치료 또는 전자선 치료에서의 부작용을 경감시킬 수 있는 치료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양성자 빔은 어떤 물질을 투과하게 될 경우 점차 속도가 감소하고, 정지(stuck)되기 직전에 가장 많은 전리 에너지 손실(energy loss of ionizing radiation)을 갖는다. 따라서, 양성자 빔 치료법에서 양성자들의 속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면, 악성 종양들에 대한 선택적이면서 국소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만약, 인체의 깊은 곳에 종양이 위치할 경우 몸 밖에서 매우 큰 에너지의 양성자를 가속시켜야 한다. 양성자는 그의 에너지만큼 환자의 몸을 투과하여 종양부위에 정지될 수 있다. 환자는 양성자 주변의 종양부위에서 활성 산소(free oxygen radical)가 다량 발생하면서 종양 세포가 괴사되는 원리로 치료될 수 있다.
레이저 플라즈마는 시간적으로 매우 짧고 밀도가 높은 이온빔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소형 가속기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고밀도 플라즈마의 진단, 재료의 표면처리, 양성자 및 이온 치료,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용 단수명 방사선 물질의 생성 등의 다양한 응용이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빔 발생 효율이 향상된 입자 빔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 빔 발생장치는 입사광을 생성하는 제 1 광원, 상기 입사광을 타깃에 집속하는 제 1 집광부, 레이저 빔을 생성하는 제 2 광원,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타깃에 집속하는 제 2 집광부, 및 상기 입자 빔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상기 타깃은 입자 빔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타깃은 상기 입사광의 조사에 의해 내부에 전자-정공 쌍을 형성시키는 광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 빔 발생장치는 광전도성 박막을 타깃으로 하고, 광전도성 박막에 빔을 입사시켜 전자를 여기 시킨다. 따라서, 이온 가속에 개입할 수 있는 전자의 양과 밀도를 늘려, 고 에너지 및 고 밀도의 빔 발생에 대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 빔 발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타깃 내에서 입자 빔이 발생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개념이 어떤 적합한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면(또는 층)이 다른 면(또는 층) 또는 기판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면(또는 층) 또는 기판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면(또는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가 다양한 영역, 면들(또는 층들) 등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영역, 면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소정 영역 또는 면(또는 층)을 다른 영역 또는 면(또는 층)과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예에서의 제 1 면으로 언급된 면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2 면으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 빔 발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 빔 발생장치(10a)는 진공 챔버(110), 타깃(120), 제 1 광원(132), 제 2 광원(134), 제 1 집광부(142), 제 2 집광부(144) 및 검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 챔버(110)는 진공 펌프(미도시)의 펌핑에 의해 상압보다 낮은 저진공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진공 챔버(110)에는 복수의 포트들이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포트들은 일 예로, 제 1 내지 제 3 포트들(112a~11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포트(112a)는 제 1 광원(132)에서 생성되는 입사광(152)을 진공 챔버(110)의 내부로 유도할 수 있고, 제 2 포트(112b)는 제 2 광원(134)에서 생성되는 레이저 빔(154)을 진공 챔버(110)의 내부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타깃(120)에서 생성되는 입자 빔(156)은 제 3 포트(112c)를 통해 검출부(160)로 진행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포트들(112a~112c)은 각각 입사광(152), 레이저 빔(154) 및 입자 빔(156)을 투과시키는 윈도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포트(112b)가 진공 챔버(110)의 일 측에 배치되고, 제 3 포트(112c)가 진공 챔버(110)의 일 측에 대향하는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포트(112a)는 제 2 포트(112b)와 인접하되, 제 2 포트(112b)로부터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진공 챔버(110) 내에 타깃(12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깃(120)은 진공 챔버(110)의 바닥 플레이트(미도시) 상에 배치되는 스테이지(미도시)에 의해 고정되어 진공 챔버(11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타깃(120)은 제 2 포트(112b)를 향하는 제 1 면(120a) 및 제 3 포트(112c)를 향하는 제 2 면(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면(120a) 및 제 2 면(120b)은 서로 대향할 수 있다. 타깃(120)은 제 1 광원(132)에서 조사되는 입사광(152)에 의해 전자 천이가 일어나는 광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전도성 물질은 반도체 물질일 수 있다. 일 예로, 반도체 물질은 실리콘 또는 게르마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전도성 물질은 탄화수소일 수 있다. 일 예로, 탄화수소는 그래핀(graphene) 또는 CNT(carbon nanotube)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전도성 물질은 고분자 물질일 수 있다. 일 예로, 고분자 물질은 PVK(polyvinyl carbazole)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광원(132)은 제 1 포트(112a)의 일단에 결합되어 진공 챔버(1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광원(132)은 제 1 포트(112a)를 통해 진공 챔버(110)의 내부로 입사광(152)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광원(132)의 입사광(152)은 타깃(120)의 제 1 면(120a)에 사선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제 1 광원(132)은 벌브(bulb) 형태의 아크 램프(arc lamp), LED, 연속발진형 레이저 또는 펨토 초 레이저(femto second lase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달리, 제 1 광원(132)은 제 1 포트(112a)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 1 집광부(142)는 제 1 광원(132)에서 조사되는 입사광(152)의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집광부(142)는 제 1 광원(132)에서 조사된 입사광(152)을 타깃(120)의 제 1 면(120a)으로 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집광부(142)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집광부(142)에 의해 타깃(120)에 집속된 입사광(152)은 타깃(120)의 일 영역을 여기시킬 수 있다.
제 2 광원(134)은 제 2 포트(112b)의 일단에 결합되어 진공 챔버(1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광원(134)은 제 2 포트(112b)를 통해 진공 챔버(110) 내부로 레이저 빔(154)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광원(134)에서 제공되는 레이저 빔(154)은 제 2 포트(112b)를 통하여 타깃(120)의 제 1 면(120a)을 향하여 조사될 수 있다. 레이저 빔(154)은 입사광(152)이 조사된 이후 일정 간격의 시간지연을 두고 조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빔(154) 및 입사광(152)은 1ps 내지 1000ns의 시간지연을 두고 조사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달리, 제 2 광원(134)은 진공 챔버(110)의 제 2 포트(112b)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 2 집광부(144)는 제 2 광원(134)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빔(154)의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집광부(144)는 제 2 광원(134)과 타깃(120) 사이에서 레이저 빔(154)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집광부(144)는 거울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집광부(144)는 제 2 광원(134)에서 생산된 레이저 빔(154)을 타깃(120)의 제 1 면(120a)에 집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집광부(144)는 렌즈 또는 거울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집광부(144)를 통하여 레이저 빔(154)은 타깃(120)의 제 1 면(120a)에 수직으로 조사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달리, 레이저 빔(154)은 타깃(120)의 제 1 면(120a)에 사선으로 조사될 수도 있다. 제 2 집광부(144)의 집속에 의해, 레이저 빔(154)의 에너지 밀도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깃(120)의 일면에 집속된 레이저 빔(154)은 1019 내지 1023 W/cm2의 에너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타깃(120)의 제 1 면(120a)에서, 입사광(152)이 조사된 영역에 레이저 빔(154)이 조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빔(154)이 집속된 면적은 입사광(152)이 집속된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제 2 집광부(144)에서 집속된 레이저 빔(154)에 의해 타깃(120)에서 입자 빔(156)이 생성될 수 있다.
검출부(160)는 제 3 포트(112c)의 일단에 결합되어 진공 챔버의 외부에 배치되되, 타깃(120)에서 생성되는 입자 빔(156)의 진행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부(160)는 제 3 포트(112c)를 통해 타깃(120)에서 생성된 입자 빔(156)을 검출할 수 있다. 이후, 검출부(160)는 타깃(120)에서 생성된 입자 빔(156)을 분석장치 또는 치료 시스템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160)는 입자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변형예에 따른 입자 빔 발생장치(10b)는 제 1 포트(112a), 제 1 광원(132) 및 제 1 집광부(142)가 배치되는 위치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 다른 구성들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유사할 수 있다. 설명의 간소화를 위해, 중복되는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포트(112a)는 제 3 포트(112c)와 인접하되, 제 3 포트(112c)로부터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 1 포트(112a)는 제 1 광원(132)에서 제공되는 입사광(152)을 진공 챔버(110)의 내부로 유도할 수 있다.
제 1 광원(132)은 제 1 포트(112a)의 일단에 결합되어 진공 챔버(1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광원(132)은 제 1 포트(112a)를 통해 진공 챔버(110)의 내부로 입사광(152)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 1 포트(112a)가 제 3 포트(112c)와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제 1 광원(132)에서 제공되는 입사광(152)은 타깃(120)의 제 2 면(120b)으로 조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광원(132)에서 제공되는 입사광(152)은 제 1 포트(112a)를 통하여 타깃(120)의 제 2 면(120b)에 사선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제 1 집광부(142)는 제 1 광원(132)에서 조사되는 입사광(152)의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집광부(142)는 제 1 광원(132)에서 조사된 입사광(152)을 타깃(120)의 제 2 면(120b)으로 집속할 수 있다. 제 1 집광부(142)에 의해 타깃(120)에 집속된 입사광(152)은 타깃(120)의 일 영역을 여기시킬 수 있다. 즉, 입사광(152)은 조사되는 방향에 무관하게 타깃(120)의 일 영역을 여기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 빔 발생장치(10a)의 구동을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타깃 내에서 입자 빔이 발생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제 1 광원(132)으로부터 타깃(120)의 제 1 면(120a)에 입사광(152)이 조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광원(132)에서 조사되는 입사광(152)은 제 1 집광부(142)에 의해 타깃(120)의 제 1 면(120a)으로 집속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깃(120)에 집속된 입사광(152)에 의하여, 타깃(120)에 다수의 전자-정공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깃(120) 물질의 밴드갭(band gap) 또는 흡수파장대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가진 입사광(152)이 타깃(120)에 조사되는 경우, 타깃(120) 내의 가전자대의 전자가 전도대로 전이될 수 있다. 다수의 전자-정공 쌍이 형성됨으로 인해, 타깃(120) 내에 전자 및 정공의 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광원(134)으로부터 타깃(120)의 제 1 면(120a)에 레이저 빔(154)이 조사될 수 있다. 제 2 광원(134)에서 생성된 레이저 빔(154)은 제 2 집광부(144)에 의해 타깃(120)의 제 1 면(120a)으로 집속될 수 있다. 이때, 타깃(120)의 제 1 면(120a)에서, 입사광(152)이 조사된 영역에 레이저 빔(154)이 집속될 수 있다. 레이저 빔(154)은 타깃(120)에서 흡수되거나, 반사될 수 있다. 때문에, 레이저 빔(154)은 검출부(160) 방향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빔(154)에 의해 타깃(120) 내의 전자는 레이저 빔(154)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밀려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극초단 초고출력 레이저 빔(ultra-short ultra-high-intense laser)의 높은 광압 또는 판드로모티브 힘(ponderomotive force)은 레이저 빔의 진행방향으로 전자를 밀어낼 수 있다. 전자가 타깃(120) 밖으로 밀려남으로 인해, 전자 및 이온은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 및 양성자와 전자 간의 질량 차이에 의해, 전자의 이동거리가 양성자 및 이온의 이동거리에 비해 클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성자 및 이온과 전자의 이동거리 차이에 의해 전하 분리(charge separation)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하 분리에 의해 고속 양성자 및 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가 타깃(120) 밖으로 밀려남으로 인해, 공간전하(space charge)에 의한 강한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전하 분리에 의해 생긴 전기장에 의해 양성자 및 이온이 빠르게 가속될 수 있다. 가속된 이온 또는 양성자는 입자 빔을 형성할 수 있다.
타깃(120)은 레이저 빔(154)이 조사되는 방향을 따라 입자 빔(156)을 생성할 수 있다. 입자 빔(156)은 레이저 빔(154)이 조사되는 방향을 따라 타깃(120)의 타측에서 검출부(160)의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생성된 입자 빔(156)은 검출부(160)에 의해 분석장치 또는 치료 시스템에 전달될 수 있다.
강한 레이저 펄스를 사용한 이온 가속은 원자에 구속되어 있는 전자를 효과적으로 밀어내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레이저 펄스가 타깃에 입사되었을 때 밀려나는 전자의 수와 밀도가 가속된 이온 또는 양성자의 에너지와 이의 분포를 결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 빔 발생장치는 타깃을 광전도성 물질을 이용하여, 이온 가속에 개입할 수 있는 전자의 양과 밀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진공 챔버 120: 타깃
132: 제 1 광원 134: 제 2 광원
142: 제 1 집광부 144: 제 2 집광부
152: 입사광 154: 레이저 빔
156: 입자 빔 160: 검출부

Claims (1)

  1. 입사광을 생성하는 제 1 광원;
    상기 입사광을 타깃에 집속하는 제 1 집광부;
    레이저 빔을 생성하는 제 2 광원;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타깃에 집속하는 제 2 집광부,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상기 타깃은 입자 빔을 생성하고; 및
    상기 입자 빔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깃은 상기 입사광의 조사에 의해 내부에 전자-정공 쌍을 형성시키는 광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입자 빔 발생장치.
KR1020150045198A 2015-03-31 2015-03-31 입자 빔 발생장치 KR20160116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198A KR20160116859A (ko) 2015-03-31 2015-03-31 입자 빔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198A KR20160116859A (ko) 2015-03-31 2015-03-31 입자 빔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859A true KR20160116859A (ko) 2016-10-10

Family

ID=5714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198A KR20160116859A (ko) 2015-03-31 2015-03-31 입자 빔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68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928A (ko) * 2020-07-22 2022-02-0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특정 파장대의 광원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928A (ko) * 2020-07-22 2022-02-0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특정 파장대의 광원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garone et al. Laser-driven proton acceleration enhancement by nanostructured foils
US8835870B2 (en) Targets for generating ions and treatment apparatuses using the targets
WO2012063342A1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orrisi et al. Thomson parabola spectrometry for gold laser-generated plasmas
Torrisi et al. Self-focusing effect in Au-target induced by high power pulsed laser at PALS
US8933415B2 (en) Laser ion source and heavy particle beam therapy equipment
KR20160116859A (ko) 입자 빔 발생장치
JP6214906B2 (ja) レーザイオン源、イオン加速器及び重粒子線治療装置
Cutroneo et al. Thomson parabola spectrometry of laser generated plasma at PALS laboratory
JP5483175B2 (ja) 荷電粒子加速方法及び荷電粒子加速装置、粒子線照射装置、医療用粒子線照射装置
KR101923977B1 (ko) 이온 발생용 타깃 및 이를 이용한 치료 장치
US8796639B2 (en) Target for generating positive ions,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target
JP2018146265A (ja) 電子ビーム照射装置及び電子ビーム照射装置の作動方法
US10603517B2 (en) Ion beam treatment apparatus
JP2010205651A (ja) プラズマ発生方法およびこのプラズマ発生方法を用いた極端紫外光光源装置
CN213278689U (zh) 一种带角动量的单能阿秒正电子串生成系统
KR20190130417A (ko) 레이저 유도 가속 타겟
Ziegler et al. Laser-driven high-energy proton beams from cascaded acceleration regimes
KR102568413B1 (ko) 이온 빔 치료장치
Wang et al. Study of a high-energy proton beam produced by ultra-intense pulse laser
JP4547507B2 (ja) イオンビーム検出器
Torrisi et al. HYDROGENATED TARGETS FOR HIGH ENERGY PROTON GENERATION FROM LASER IRRADIATING IN TNSA REGIME
KR20150040397A (ko) 암치료 장치용 이온 빔 노즐 제어기
JP2018094147A (ja) 荷電粒子線治療装置
Roth et al. Breaking the 70 MeV proton energy threshold in laser proton acceleration and guiding beams to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