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493A -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 - Google Patents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493A
KR20160116493A KR1020150044287A KR20150044287A KR20160116493A KR 20160116493 A KR20160116493 A KR 20160116493A KR 1020150044287 A KR1020150044287 A KR 1020150044287A KR 20150044287 A KR20150044287 A KR 20150044287A KR 20160116493 A KR20160116493 A KR 20160116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ctv
client device
video
terminal
webrt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권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넷시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넷시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넷시즌
Priority to KR1020150044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6493A/ko
Publication of KR20160116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5Details related to the storage of video surveilla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집된 영상,음성을 영상통화 데이터로 처리하는 CCTV 단말의 영상부; 상기 데이터 교환을 하는 CCTV 단말의 MediaServer부; 상기 CCTV 단말과 상기 데이터 교환을 하는 Client 기기; 및 상기 CCTV 단말과 상기 Client 기기간 네트워크 연결을 중계해주는 Surveillance Serv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Multi-Access CCTV System Based on WebRTC}
본 발명은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CTV 단말에서 MediaServer 역할을 수행하는 다중접속 서버를 구비하는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기술 분야의 발전에 따라 WebRTC(Web-based Real Time Communication)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WebRTC란 웹(Web)상에서 플러그인(Plug-In) 없이 브라우져(Browser)를 기반으로 실시간 음성 및 영상통화가 가능한 통신 표준기술이다.
WebRTC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나 이메일 주소를 기억하지 못해도 웹(Web)을 통하여 특정사람이나 응용 서비스를 인식할 수 있는 수단중 그 수단이 무엇이든지 하나만 있으면 해당 사람 또는 전체 그룹간에 음성, 영상, 문자로 대화를 할 수 있고, 작업한 자료를 같이 보내거나 받을 수 있으며, 때로는 여러 사람과 영상 화면을 보면서 회의를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한 사람을 찾고자 할 경우 해당 사람이 웹(Web)환경에 자신을 노출한 수단(예를들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응용프로그램등)만 있으면 접근이 가능하다. 결국 WebRTC는 웹(Web) 환경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소프트웨어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최근에 더욱 WebRTC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분야가 CCTV 단말 기술분야이다. CCTV 단말은 방재용, 교통 감시용, 가정용, 산업용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높은 증가율로 인해 CCTV 단말 실시간 비디오 컨텐츠의 다중접속에 따른 네트워크 트랙픽 증가로 QOS(Quality of Service)의 보장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다중 접속에 용의한 WebRTC 기술을 이용하여 CCTV 단말에 MediaServer의 역할을 직접 수행하는 다중접속 서버를 구비하여 네트워크에 부하를 주지않고 안정적인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는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은, 수집된 영상, 음성을 영상통화 데이터로 처리하는 CCTV 단말의 영상부; 상기 데이터 교환을 하는 CCTV 단말의 MediaServer부; 상기 CCTV 단말과 상기 데이터 교환을 하는 Client 기기; 및 상기 CCTV 단말과 상기 Client 기기간 네트워크 연결을 중계해주는 Surveillance Server;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교환은 WebRTC 로 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Surveillance Server는 상기 CCTV 단말과 상기 Client기기간 시그널링(Signaling)할 수 있도록 중계 해주며,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TURN(Traversal Using Relays around NAT), ICE(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STUN(Session Traversal Utilities for NAT) 정보를 제공해준다.
또한, 상기 CCTV 단말의 MediaServer부와 첫번째로 연결되는 Client기기의 데이터 교환은 양방향 영상/음성의 영상통화로 이루어지며 상기 CCTV 단말의 MediaServer부와 두번째로 연결되는 Client기기의 데이터 교환은 단방향 영상의 영상통화로 이루어지며 상기 첫번째로 연결되는 Client기기의 데이터 교환이 종료되면 두번째로 연결된 Client기기의 데이터 교환은 양방향 영상/음성의 영상통화로 이루어 진다.
본 발명에 따른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은 CCTV 단말에 MediaServer의 역할을 직접 수행하는 다중접속 서버를 구비하므로 네트워크에 부하를 주지않고 안정적인 QOS(Quality of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WebRTC를 지원하는 단말이면 상기 MediaServer와의 P2P 접속을 통하여 영상획득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므로 네트워크에 트래픽 부하를 주지않고 Client(클라이언트)기기 접속수에 따른 MediaServer의 접속부하만 증가 되므로 안정적인 QOS(Quality of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에서 다중 접속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CCTV 단말(100)의 영상부(110)는 카메라(미도시), 마이크(미도시)를 이용하여 영상, 음성을 수집하고 영상통화 데이터로 처리한다. 상기 데이터는 압축된 데이터 (H.264, MPEG 등)로 처리된다. 이후 상기 데이터는 CCTV 단말(100)의 MediaServer부(120)와 데이터 교환을 한다.
상기 데이터 교환은 WebRTC로 교환되어 진다. 상기 WebRTC는 HTML5와 자바 스크립트 API를 사용하여 웹상에서 플러그인 없이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실시간 음성, 영상통화가 피어(Peer)간에 가능한 실시간 통신 표준기술로서 CCTV 단말(100)과 Client 기기(200)에 탑재된 웹 브라우저에서 구현된다.
이후 CCTV 단말(100)과 Client 기기(200)간의 상기 데이터 교환은 Surveillance Server(300)가 네트워크(400)연결을 중계 해주어서 이루어 진다.
상기 중계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면 Surveillance Server(300)는 CCTV 단말(100)과 Client 기기(200)에서 각각 채널생성 요청을 받으면 CCTV 단말(100)과 Client 기기(200)가 서로 찾을수 있도록 시그널링(Signaling)을 해준다.
시그널링(Signaling) 과정이 성공하면 이후 Surveillance Server(300)의 중재 도움 없이도 CCTV 단말(100)과 Client 기기(200)간에 서로 영상/음성 통화가 가능해진다.
만약 상기 시그널링(Signaling) 과정이 실패 한다면 Surveillance Server(300)의 TURN(Traversal Using Relays around NAT), ICE(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STUN(Session Traversal Utilities for NAT) 정보를 이용해서 CCTV 단말(100)과 Client 기기(200)의 연결을 중재한다.
상기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ICE는 피어(Peer)들과 연결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를 찾는다. 이후 ICE는 호스트 주소를 사용하여 연결을 생성하고 만약 실패 한다면 ICE는 STUN를 이용하여 외부 주소를 획득하고 그것마저 실패 한다면 TURN을 통해 영상통화 데이터 트래픽을 라우팅한다.
즉, STUN은 외부 네트워크(300) 주소를 얻는데 사용되고 TURN은 직접 CCTV 단말(100)과 Client 기기(200)간에 연결이 실패할 경우 영상통화 데이터 트래픽을 중계를 한다.
그리고 CCTV 단말(100)의 MediaServer부(120)와 첫번째로 연결된 Client 기기(200)와의 영상통화 데이터 교환은 Surveillance Server(300)의 세션 기술 프로트콜 즉, SDP (Session Description Protocol)을 통해서 양방향 영상/음성의 영상통화로 이루어지며 CCTV 단말(100)의 MediaServer부(120)와 두번째로 연결되는 Client기기(200)의 데이터 교환은 Surveillance Server(300)의 세션 기술 프로트콜 즉, SDP (Session Description Protocol)을 통해서 단방향 영상의 영상통화로 이루어 진다.
상기한 SDP (Session Description Protocol)는 연결된 멀티미디어의 해상도, 형식, 코덱, 암호화 방법 등을 기술하는 표준으로서 음성/영상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이다.
상기 첫번째 연결 Client 기기(200)와 MediaServer부(120)로의 접속 허용수는 최대 3명까지 양방향 영상/음성의 영상통화로 접속되어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며 두번째로 연결되는 Client기기(200)와 MediaServer부(120)로의 추가접속은 멀티피어(Multi-Peer) 접속으로서 단방향 영상의 영상통화 데이터만을 전달 받게된다.
그리고 상기 첫번째로 연결되는 Client기기(200)의 데이터 교환이 종료되면 두번째로 연결된 Client기기(200)의 데이터 교환은 양방향 영상/음성의 영상통화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을 구비하면 CCTV 단말(100)의 MediaServer부(120)에서 다중접속이 가능하므로 네트워크(400)에 부하를 주지않고 안정적인 QOS(Quality of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에서 다중 접속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S11 은 CCTV 단말(100)의 영상부(110)에서 처리된 영상/음성 영상통화 데이터를 WebRTC를 이용하여 MediaServer부(120)와 데이터 교환을 한다.
S12 는 Client 기기(200)에서 CCTV 단말(100)의 MediaServer부(120)로 연결을 요청한다.
S13~S15 는 Surveillance Server(300)의 도움으로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Offer, Answer, Negotiation이 이루어 진다.
S16 은 상술한 CCTV 단말(100)의 MediaServer부(120)와 첫번째로 연결되는 Client기기(200)의 양방향 영상/음성의 영상통화 데이터 교환을 나타낸 것이다.
S17 은 상술한 CCTV 단말(100)의 MediaServer부(120)와 두번째로 연결되는 Client기기(200)의 단방향 영상의 영상통화 데이터 교환을 나타낸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CCTV 단말 110 : CCTV 영상부
120 : MediaServer부 200 : Client 기기
210 : PC 220 : Tablet PC
230 : Smart Phone 240 : Web RTC Support Browser
300 : Surveillance Server
400 : Network

Claims (5)

  1. 수집된 영상, 음성을 영상통화 데이터로 처리하는 CCTV 단말의 영상부;
    상기 데이터 교환을 하는 CCTV 단말의 MediaServer부;
    상기 CCTV 단말과 상기 데이터 교환을 하는 Client 기기; 및
    상기 CCTV 단말과 상기 Client 기기간 네트워크 연결을 중계해주는 Surveillance Serv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교환은 WebRTC 로 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urveillance Server는 상기 CCTV 단말과 상기 Client기기간 시그널링(Signaling)할 수 있도록 중계 해주며,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TURN(Traversal Using Relays around NAT), ICE(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STUN(Session Traversal Utilities for NAT)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CTV 단말의 MediaServer부와 첫번째로 연결되는 Client기기의 데이터 교환은 양방향 영상/음성의 영상통화로 이루어 지며 상기 CCTV 단말의 MediaServer부와 두번째로 연결되는 Client기기의 데이터 교환은 단방향 영상의 영상통화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로 연결되는 Client기기의 데이터 교환이 종료되면 두번째로 연결된 Client기기의 데이터 교환은 양방향 영상/음성의 영상통화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

KR1020150044287A 2015-03-30 2015-03-30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 KR20160116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287A KR20160116493A (ko) 2015-03-30 2015-03-30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287A KR20160116493A (ko) 2015-03-30 2015-03-30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493A true KR20160116493A (ko) 2016-10-10

Family

ID=57146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287A KR20160116493A (ko) 2015-03-30 2015-03-30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64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4928B2 (en) 2017-05-02 2020-05-05 Hanwha Techwin Co.,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to perform real-time communication
US11889138B2 (en) 2017-05-02 2024-01-30 Hanwha Techwin Co., Ltd. Systems, servers and methods of remotely providing media to a user terminal and manag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medi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4928B2 (en) 2017-05-02 2020-05-05 Hanwha Techwin Co.,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to perform real-time communication
US11889138B2 (en) 2017-05-02 2024-01-30 Hanwha Techwin Co., Ltd. Systems, servers and methods of remotely providing media to a user terminal and manag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medi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3532B2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integrating real and logical video streams
CA291318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ctive communication session streams between devices
RU2016102876A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ызовов в видеоконференциях, основанных на унифицированном общении
US10701310B2 (en) Video call continuity between devices via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EP3996355B1 (en) Method for transferring media stream and user equipment
CN105763832A (zh) 一种视频互动、控制方法及装置
WO2014012444A1 (zh) 一种实现增强现实信息共享的方法、装置和系统
WO2015123977A1 (zh) 基于视频会议的电子白板交互方法、及终端
EP2884750A1 (en) Monitoring method and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t top box
US20160173820A1 (en) Video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03338346A (zh) 一种实现多媒体数字会议的方法及系统
CN108574689B (zh) 一种可视通话的方法和装置
US9438857B2 (en) Video conferencing system and multi-way video conference switching method
CN111147789B (zh) 一种音视频流录制的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US9013537B2 (en) Method, device, and network systems for controlling multiple auxiliary streams
US20190253666A1 (en) Call Processing Method and Gateway
WO2016206471A1 (zh) 多媒体业务处理方法、系统及装置
EP2583431B1 (en) Procedure for commercial communications
US9936164B2 (en) Media control method and device
KR20160116493A (ko) WebRTC 기반의 다중접속 CCTV 시스템
KR101863218B1 (ko) WebRTC를 이용한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 및 영상 통화 방법
US10298652B2 (en) Control for content channel in web real-time communication
CN114650274B (zh) 一种显示会议共享屏幕内容的方法、装置和系统
KR102131647B1 (ko) 영상통화기기, 영상통화중계기기 및 그들의 제어방법
CN113163231B (zh) 数据共享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