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218B1 - WebRTC를 이용한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 및 영상 통화 방법 - Google Patents

WebRTC를 이용한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 및 영상 통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218B1
KR101863218B1 KR1020160125203A KR20160125203A KR101863218B1 KR 101863218 B1 KR101863218 B1 KR 101863218B1 KR 1020160125203 A KR1020160125203 A KR 1020160125203A KR 20160125203 A KR20160125203 A KR 20160125203A KR 101863218 B1 KR101863218 B1 KR 101863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hardware
web
video codec
s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5312A (ko
Inventor
최성철
정우정
박배욱
김성국
윤종근
김동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욱성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욱성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욱성미디어
Priority to KR1020160125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218B1/ko
Publication of KR20180035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통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통화를 하고자 하는 단말기가 WebRTC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영상 코덱 장치와 연결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영상 통화를 제공할 수 있는 WebRTC를 이용한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 및 영상 통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영상 회의 및 영상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 코덱 장치 및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통해 상기 영상 코덱 장치와 영상 통신을 수행하는 영상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통신은 웹소켓(Websocket)을 이용하여 구현되고, 상기 웹소켓을 통해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정보가 전달되며, 상기 영상 통신은 ICE(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DTLS(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및 SRTP(Secure Real-time Transport Protocol)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ebRTC를 이용한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WebRTC를 이용한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 및 영상 통화 방법{VIDEO CALL DEVICE AND METHOD USING WEBRTC}
본 발명은 영상 통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통화를 하고자 하는 단말기가 WebRTC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와 연결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영상 통화를 제공할 수 있는 WebRTC를 이용한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 및 영상 통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통화 또는 영상 회의와 같은 영상 통신은 여러 가지 단말과 회선으로 이루어지는 통신시스템을 이용하여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들 간에 영상 화면으로 모습을 보아가며 통신하는 것을 말한다.
기존의 영상 통신 방식은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의 특정 서버 및 프로그램을 통해 영상 통신을 제공하는 방식이었으나 이와 같은 방식에서는 이용자들이 직접 서버에 접속하거나 플러그인(Plug-in) 또는 액티브엑스(ActiveX)와 같은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야만 영상 통신이 가능하였다.
또한 기존의 웹을 활용한 영상 통신 시스템들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과 PHP(Hypertext Preprocessor)를 활용한 구조였고, 동영상, 플래시(Flash), 액티브엑스(ActiveX) 또는 플러그인(Plug-in)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저장 용량을 필요로 하여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 외에도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란 웹 브라우저 간에 별도 플러그인의 도움 없이도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설계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인데, 예전에는 웹 브라우저에서 WebRTC를 지원하지 않거나 또는 WebRTC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WebRTC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와 영상 코덱 장치 간의 연결이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아울러 WebRTC를 이용한 소프트웨어는 영상 통화 또는 영상 회의 방을 만들고 메일, SMS, 휴대전화 등으로 사용자를 초대하면 해당 사용자가 그것을 확인한 후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영상 통신에 참여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은 영상 코덱 장치에는 적합하지 않은 방식일 뿐만 아니라 원하는 대상을 실시간으로 초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와 WebRTC를 지원하는 영상 단말기 간의 연결을 직관적이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WebRTC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영상 단말기가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와 영상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궁극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영상 통신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 회의 및 영상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 및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통해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와 영상 통신을 수행하는 영상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통신은 웹소켓(Websocket)을 이용하여 구현되고, 상기 웹소켓을 통해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정보가 전달되며, 상기 영상 통신은 ICE(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DTLS(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및 SRTP(Secure Real-time Transport Protocol)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ebRTC를 이용한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영상 단말기는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의 웹 서버(Web Server)에 접속함으로써 영상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영상 단말기는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의 웹 서버에 로그인 절차를 거친 후 접속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는 웹소켓 서버를 항상 실행 중이며, 상기 영상 단말기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연결을 시도할 시 웹소켓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영상 단말기는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로 웹소켓을 통해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메시지를 포함하는 SIP Invite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SDP 메시지에는 ICE(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정보 및 DTLS Fingerprint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는, 영상을 캡쳐하는 카메라, 음성과 음향을 캡쳐하는 마이크, 상기 영상, 음성 및 음향을 압축 또는 복원하는 코덱 및 상기 영상 코덱 장치의 기능을 원격 제어하는 리모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영상 단말기는 데스크탑 PC, 노트북(랩탑) PC, 태블릿 PC 및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영상 단말기가 WebRTC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의 웹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 페이지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의 웹 서버에서 상기 영상 단말기로 로그인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영상 단말기가 로그인 정보를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의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로그인 정보가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만,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의 웹 서버에서 상기 영상 단말기로 연결 페이지 및 SIP Stack Code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영상 단말기가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가 생성한 웹소켓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영상 단말기가 상기 웹소켓을 통해 SDP 메시지를 포함하는 SIP Invite 메시지를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가 상기 웹소켓을 통해 SIP Trying 메시지 및 SIP Ringing 메시지를 상기 영상 단말기로 연속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가 상기 웹소켓을 통해 영상 통화 수신 메시지를 상기 영상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WebRTC를 이용한 영상 통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SIP Stack Code는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SDP 메시지에는 ICE 정보 및 DTLS Fingerprint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WebRTC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영상 단말기와 카메라, 마이크, 코덱 및 리모콘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가 영상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바 스크립트로 생성된 SIP Stack Code를 이용하여 영상 통신을 마치 영상 통화를 걸고 받는 것처럼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영상 통화에 익숙한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영상 단말기와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 간의 연결을 직관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영상 통신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ebRTC를 이용한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ebRTC를 이용한 영상 통화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ebRTC를 이용한 영상 통화 방법의 보다 상세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빠르고 효율적인 영상 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상 회의 및 영상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100) 및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통해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와 영상 통신을 수행하는 영상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영상 통신은 웹소켓(Websocket)을 이용하여 구현되고, 상기 웹소켓을 통해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정보가 전달되며, 상기 영상 통신은 ICE(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DTLS(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및 SRTP(Secure Real-time Transport Protocol)를 이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ebRTC를 이용한 영상 코덱 장치의 구성도가 도시된다.
먼저 본 발명의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100)는 영상 회의 또는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로서, 하드웨어(H/W) 영상 코덱 또는 영상 코덱 장치로도 일컬어진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100)는 영상(또는 동영상)을 캡쳐하기 위한 카메라(200), 음성 및 음향을 캡쳐하기 위한 마이크(120), 상기 영상, 음성, 음향을 압축하고 복원하기 위한 코덱(130), 그리고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의 여러 가지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100)는 Full HD 해상도, Dual Display, Dual Camera, Built in MCU 4자, Full HD PTZ 카메라 접속(Tilt: -30°~+90°, Pan: ±170°, 20X Optical Zoom), 원격 웹 제어, 원격 업그레이드 등의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구성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의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 제품규격은 다음과 같다.
- 하드웨어 방식의 Full HD 양방향 영상 회의/교육/통화 코덱 시스템
- 국제표준 SIP 프로토콜 (RFC3261) 지원
- 오디오: G.711-A, G.711-u, G.722, Full Duplex
- 비디오: H.264 지원, 1080p/30fps(Full HD)
- Ethernet: RJ45, 10/100Mbps
- 오디오 출력: Stereo Type 3.5Φ 1개
- 오디오 입력: Mono Type 3.5Φ 2개(MIC 1개, LINE 1개)
- 비디오 출력: HDMI 1.4 2개(영상통화화면 1개, PC입력자료 1개)
- 카메라 입력: DVI(HDMI1.3) 1개
- 비디오 입력(PC 또는 HDMI 카메라입력 1280X720): HDMI1.3 1개
- USB2.0 2개
- Built in MCU(4자) 지원
- Dual Display 기능 지원
- Audio: AEC/AGC/NS 지원, OSD, Remote Upgrade, Remote Web Call, Web Management 기능 지원
앞서 언급한 구성 및 기능과는 별도로 필요에 따라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100)를 지원하는 별도의 구성과 기능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후술하겠지만, 이와 같은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100)는 웹소켓 서버를 항상 실행 중이며, 영상 통신을 하고자 하는 영상 단말기(200)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연결을 시도할 시 웹소켓을 생성하고, 상기 웹소켓을 통해 SIP Invite 메시지, SIP Trying 메시지, SIP Ringing 메시지, 영상 통화 수신 메시지 등이 전달되는 특징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 단말기(200)는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100)와 영상 회의나 영상 통화 등의 영상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단말기일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데스크탑 PC, 노트북(랩탑) PC,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과 같이 사용자가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전자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영상 단말기(200)는 WebRTC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100)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영상 통신을 제공해줄 수 있다.
WebRTC란 웹 브라우저 간에 플러그인과 같은 프로그램의 도움 없이도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설계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서, 영상 통화, 음성 통화, P2P 파일 공유 등의 기능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WebRTC는 HTML5에서 지원하는 것으로, HTML5란 웹 문서를 제작하는 데 쓰이는 기본 프로그래밍 언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최신규격을 말한다. HTML5의 특징으로는, 액티브X(Active X)를 설치하지 않아도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특히 플래시(flash)나 실버라이트(Silverlight), 자바FX(Java FX) 없이도 웹 브라우저에서 화려한 그래픽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이 있다.
웹 브라우저에서 이러한 WebRTC를 지원하기 시작한 것이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WebRTC 지원 웹 브라우저와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100) 간의 연결 기술이 미비하다는 점을 본 발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특징의 상기 영상 단말기(200)는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100)의 웹 서버(Web Server)에 접속함으로써 영상 통신을 수행하게 되는데, 보안적인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상기 영상 단말기는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의 웹 서버에 로그인 절차를 거친 후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100)와 영상 단말기(200)는 영상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신을 웹소켓 이용하여 구현하고, 상기 웹소켓을 통해 SIP 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영상 통신에 ICE(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DTLS(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및 SRTP(Secure Real-time Transport Protocol)를 이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웹소켓을 통해 상기 영상 단말기(200)는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메시지를 포함하는 SIP Invite 메시지를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100)로 전송하게 되는데, 상기 SDP 메시지에는 ICE(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정보 및 DTLS Fingerprint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CE 정보는 NAT Traversal(NAT-T) 권고안으로서 서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를 찾기 위해 상기 SDP 메시지에 포함되고, 상기 DTLS Fingerprint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보안을 위한 마스터 키(Master Key)를 교환하기 위해 상기 SDP 메시지에 포함된다.
위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ebRTC를 이용한 영상 통화 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된다.
그 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영상 단말기(200)가 WebRTC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100)의 웹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 페이지를 요청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0).
이는 영상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PC나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를 통해 WebRTC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100)의 웹 서버에 접근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영상 단말기(200)의 로그인 페이지 요청에 따라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100)의 웹 서버에서 상기 영상 단말기로 로그인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s20)가 수행되며, 상기 로그인 페이지를 통해 웹 서버에 로그인을 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 단말기가 로그인 정보를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의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30)가 진행된다.
상기 로그인 정보는 지문 인식, 홍채 인식 등 최근 각광받고 있는 로그인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 아이디(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후, 로그인 정보가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만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100)의 웹 서버에서 상기 영상 단말기(200)로 연결 페이지 및 SIP Stack Code를 전송하는 단계(s40)가 이루어지며, 상기 SIP Stack Code는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로 생성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ebRTC가 SIP를 지원하지 않지만 상기 SIP Stack Code가 자바 스크립트로 구현되는 경우 마치 영상 통화를 걸고 받는 것처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100)의 사용자가 새로운 지식의 습득 없이도 본 발명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영상 단말기(200)는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100)가 생성한 웹소켓에 접속을 시도하고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가 해당 접속을 수용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영상 단말기가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가 생성한 웹소켓에 접속하는 단계(s50)가 이루어지며, 그 후에는 상기 영상 단말기가 상기 웹소켓을 통해 SDP 메시지를 포함하는 SIP Invite 메시지를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로 전송하게 된다(s60).
여기에서 상기 SDP 메시지에는 ICE 정보 및 DTLS Fingerprint가 포함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ICE 정보는 NAT Traversal(NAT-T) 권고안으로 서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를 찾기 위해 상기 SDP 메시지에 포함되고 상기 DTLS Fingerprint는 RTP 보안을 위한 마스터 키를 교환하기 위해 상기 SDP 메시지에 포함된다.
이어서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100)가 상기 웹소켓을 통해 SIP Trying 메시지 및 SIP Ringing 메시지를 상기 영상 단말기(200)로 연속으로 전송하는 단계(s70)가 수행되는데, SIP Trying 메시지와 SIP Ringing 메시지는 동일한 경로로 전송되며, 상기 SIP Trying 메시지는 상기 SIP Ringing 메시지에 선행하여 전송되는 특징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100)가 상기 웹소켓을 통해 영상 통화 수신 메시지를 상기 영상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단계(s80)가 수행된다.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100)에서 수신 버튼을 클릭하거나 리모콘으로 수신 버튼을 누르는 등의 방식으로 영상 통신의 수신을 확인하는 경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에서 상기 웹소켓을 통해 영상 단말기(200)로 영상 통화 수신 메시지가 전송된다.
여기에서 상기 영상 통화 수신 메시지는 SIP 200 OK 메시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WebRTC를 이용한 영상 통화 방법의 보다 상세한 단계들을 나타낸 예시도가 도 4에 도시되며, 이를 참조하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WebRTC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영상 단말기와 카메라, 마이크, 코덱 및 리모콘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가 직관적인 연결을 통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영상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바 스크립트로 생성된 SIP Stack Code를 이용하여 영상 통신을 마치 영상 통화를 걸고 받는 것처럼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를 이용한 영상 통화에 익숙한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영상 코덱 장치
110: 카메라
120: 마이크
130: 코덱
140: 리모콘
200: 영상 단말기

Claims (8)

  1. 영상 회의 및 영상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 및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통해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와 영상 통신을 수행하는 영상 단말기; 를 포함하며,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는,
    영상을 캡쳐하는 카메라;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음성과 음향을 캡쳐하는 마이크;
    음성과 음향을 출력하는 오디오;
    상기 영상, 음성 및 음향을 압축 또는 복원하는 코덱; 및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의 기능을 원격 제어하는 리모콘;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영상 단말기는 데스크탑 PC, 노트북(랩탑) PC,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며,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의 웹 서버(Web Server)에 접속함으로써 영상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영상 단말기는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의 웹 서버에 지문 인식 또는 홍채 인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로그인 절차를 거친 후 접속 가능하며,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는 웹소켓 서버를 항상 실행 중이고, 상기 영상 단말기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연결을 시도할 시 웹소켓을 생성하며,
    상기 영상 통신은 웹소켓(Websocket)을 이용하여 구현되고, 상기 웹소켓을 통해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정보가 전달되며,
    상기 영상 단말기는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로 웹소켓을 통해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메시지를 포함하는 SIP Invite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SDP 메시지에는 ICE(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정보 및 DTLS Fingerprint가 포함되며,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는 상기 영상 단말기로 웹소켓을 통해 SIP Trying 메시지 및 SIP Ringing 메시지를 동일한 경로로 연속으로 전송하고, 상기 SIP Trying 메시지는 상기 SIP Ringing 메시지에 선행하여 전송되며,
    상기 영상 통신은 ICE(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DTLS(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및 SRTP(Secure Real-time Transport Protocol)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ebRTC를 이용한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의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를 이용한 영상 통화 방법에 있어서,
    영상 단말기가 WebRTC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의 웹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 페이지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의 웹 서버에서 상기 영상 단말기로 로그인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영상 단말기가 로그인 정보를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의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로그인 정보가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만,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의 웹 서버에서 상기 영상 단말기로 연결 페이지 및 SIP Stack Code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영상 단말기가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가 생성한 웹소켓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영상 단말기가 상기 웹소켓을 통해 SDP 메시지를 포함하는 SIP Invite 메시지를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가 상기 웹소켓을 통해 SIP Trying 메시지 및 SIP Ringing 메시지를 상기 영상 단말기로 연속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가 상기 웹소켓을 통해 영상 통화 수신 메시지를 상기 영상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WebRTC를 이용한 영상 통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SIP Stack Code는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ebRTC를 이용한 영상 통화 방법.
KR1020160125203A 2016-09-29 2016-09-29 WebRTC를 이용한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 및 영상 통화 방법 KR101863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203A KR101863218B1 (ko) 2016-09-29 2016-09-29 WebRTC를 이용한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 및 영상 통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203A KR101863218B1 (ko) 2016-09-29 2016-09-29 WebRTC를 이용한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 및 영상 통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312A KR20180035312A (ko) 2018-04-06
KR101863218B1 true KR101863218B1 (ko) 2018-06-04

Family

ID=61973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203A KR101863218B1 (ko) 2016-09-29 2016-09-29 WebRTC를 이용한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 및 영상 통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2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1344A (zh) * 2018-11-27 2019-10-25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无人配送车视频流上传方法、装置及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2312066A (zh) * 2020-11-06 2021-02-02 上海钦文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多端实时绿幕合成的同步授课技术及应用
CN114710461B (zh) * 2022-03-31 2024-03-12 中煤科工集团重庆智慧城市科技研究院有限公司 多端音视频即时通讯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575B1 (ko) * 2013-12-20 2015-04-07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상통신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575B1 (ko) * 2013-12-20 2015-04-07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상통신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한국통신학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312A (ko) 2018-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634B1 (ko) 영상 획득 방법 및 로컬 엔드포인트 호스트 장치
US93383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audio in a video environment
US89236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display overscan using a mobile device
US20140333713A1 (en) Video Calling and Conferencing Addressing
US201200924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nectivity in a network environment
US201401184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ng a television for multimedia conferencing
EP2933982B1 (en) Media stream transfer method and user equipment
CA2867925A1 (en) Multifunctional conferencing systems and methods
US201200924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aring mechanism in a video environment
JP5982079B2 (ja) 画像伝送の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1988555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和机器可读介质
EP30599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surveillance content adaptation, and central server and device
WO2017101298A1 (zh) 音视频信息的输入方法、装置、网络电视及用户设备
US9756096B1 (en) Methods for dynamically transmitting screen images to a remote device
KR101863218B1 (ko) WebRTC를 이용한 하드웨어 영상 코덱 장치 및 영상 통화 방법
JP6422982B2 (ja) 情報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9398260B2 (en) Teleconference system,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server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terminal apparatus
CN111092898B (zh) 报文传输方法及相关设备
US8786631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transparency information in a video environment
EP2696591B1 (en) Video calling using a remote camera device to stream video to a local endpoint host acting as a proxy
JP2016170614A (ja) 伝送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WO2015013592A1 (en) Video calling and conferencing addressing
US20220353462A1 (en) Managing a call on a communication system with an external display device
CN112770078B (zh) 一种视频会议终端融合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TW202218404A (zh) 一種影音內容分享系統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