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164A - 곡면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곡면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164A
KR20160116164A KR1020150042391A KR20150042391A KR20160116164A KR 20160116164 A KR20160116164 A KR 20160116164A KR 1020150042391 A KR1020150042391 A KR 1020150042391A KR 20150042391 A KR20150042391 A KR 20150042391A KR 20160116164 A KR20160116164 A KR 20160116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fixing
bottom chassis
display devic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수
김동욱
김병찬
김주환
박종명
박현수
심규헌
이승훈
이철세
이충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2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6164A/ko
Publication of KR20160116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02F2001/13331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곡면표시장치는 일 방향을 따라 휘어지고, 곡률을 가지는 표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을 수용하는 버텀샤시, 상기 표시패널을 지지하여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바텀샤시에 고정하고, 상기 방향을 따라 휘어진 고정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 상기 바텀샤시 및 상기 고정부들을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재의 내부의 기압은 상기 밀봉부재의 외부의 기압보다 작고,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에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방향을 따라 휘어져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곡률을 유지하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표시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고정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방향을 따라 휘어져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곡률을 유지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곡면표시장치 {CURV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곡면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면의 표시영역을 갖는 곡면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표시장치는 티브이, 모니터, 노트북 및 휴대폰 등 다양한 정보 처리 장치들에 영상을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휘어진 형상을 갖는 곡면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상기 곡면표시장치는 곡면의 형상을 갖는 표시 영역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입체감, 몰입감 및 임장감이 향상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패널을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전방이 오목하게 만곡되는 곡면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면표시장치는 곡률을 가지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수용하는 바텀샤시, 상기 패널을 상기 바텀샤시에 고정하고, 일 방향으로 휘어진 고정부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 상기 바텀샤시 및 상기 고정부들을 밀봉하여 진공 상태를 유지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고정되어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곡률을 유지하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표시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고정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곡률을 유지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들은 몰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부재는 상기 바텀샤시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은 상기 몰드부재 위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지지한다.
상기 밀봉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과 접촉되고,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밀봉부재에 정의된 개구부를 막는 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재의 내부의 기압은 상기 밀봉 부재의 외부의 기압보다 낮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곡률을 가지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을 수용하는 바텀샤시,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바텀샤시에 고정하고, 일 방향으로 휘어진 고정부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표시 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고정부재와 마주보는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들을 상기 바텀샤시에 고정시키고, 상기 곡면표시장치의 내부를 상기 곡면표시장치의 외부와 차단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곡면표시장치의 내부의 기압은 상기 곡면표시장치의 외부의 기압보다 작고, 상기 바텀샤시의 일부분에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바텀샤시는 상기 개구부를 막는 마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들은 몰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부재는 상기 바텀샤시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들은 상기 몰드부재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들을 지지한다.
상기 몰드부재는 상기 고정부들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바텀샤시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제1 실링부 및 제2 실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실링부는 상기 제1 결합부에 접촉되어 상기 고정부들과 결합되고, 상기 제2 실링부는 상기 제2 결합부에 접촉되어 상기 바텀샤시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곡면표시장치에 따르면, 밀봉부재가 곡면표시장치를 밀봉하여 제1 방향으로 휘어진 제1 및 제2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패널의 플랫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곡면표시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실링부재가 곡면표시장치의 외부와 차단하여 곡면표시장치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고, 곡면표시장치의 일부분에 흡입기를 연결하여 제1 및 제2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패널의 곡률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면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면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면표시장치가 밀봉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도 2b에서 도시된 밀봉상태의 곡면표시장치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면표시 장치 내부를 실링부재를 부착하여 외부와 차단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도시한 곡면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도 3a에서 도시한 곡면표시장치의 곡률 형상을 구현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 제 1 구성요소 또는 제 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 제 2 구성요소 또는 제 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면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곡면표시장치(100)는 제1 방향(D1)으로
휘어진 형상을 갖고, 밀봉부재(150)가 상기 곡면표시장치(100)를 밀봉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장치로, 곡면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40), 바텀샤시(110), 고정부들(H), 밀봉부재(150)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재(150)는 개구부(151), 및 마개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는 상기 표시패널(140)은 액정표시패널이지만, 본 발명은 상기 표시패널(140)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표시패널(140)은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 및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표시패널과 같은 다른 종류의 표시패널일 수 있다.
상기 바텀샤시(110)는 바닥부(미도시) 및 상기 바닥부(미도시)로부터 연장된 다수의 측벽들(미도시)을 포함하여 상기 바텀샤시(110)에 백라이트부(12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정의된다. 상기 백라이트부(120)는 상기 바텀샤시(110)에 수납되어 상기 표시패널(140)측으로 광을 출력할 수 있고, 상기 바텀샤시(110) 위에 상기 고정부들(H) 및 표시패널(140)이 배치된다.
이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고정부들(H)은 몰드부재(111), 제1 고정부재(130), 제2 고정부재(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드부재(111)는 상기 바텀샤시(110) 위에 배치되고, 상기 몰드부재(111) 위에 배치되는 제1 고정부재(130) 및 상기 제2 고정부재(131)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재(130)는 상기 표시패널(140)의 배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131)는 상기 표시패널(14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고정부재(13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부재(130) 및 제2 고정부재(131)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휘어져 상기 표시패널(140)의 곡률을 유지한다.
이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밀봉부재(150)는 상기 표시패널(140), 상기 바텀샤시(110) 및 상기 고정부들(H)을 밀봉한다.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150)의 내부 기압은 상기 밀봉부재(150)의 외부 기압보다 낮을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밀봉부재(150)의 내부는 진공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150)의 내부에서 상기 표시패널(140)은 상기 제1 고정부재(130) 및 상기 제2 고정부재(131)와 접촉되어 상기 제1 고정부재(130) 및 상기 제2 고정부재(13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150)의 일부분에는 개구부(151)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를 막아 상기 밀봉부재(150)의 내부를 상기 밀봉부재(150)의 외부와 차단하는 마개부(153)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개구부(151)의 테두리는 실링(sealing)되고, 고무 재질의 상기 마개부(153)는 상기 개구부(151)에 일부 삽입되는 형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마개부(153)의 재질 및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 예에서는 마개부(153)가 금속소재의 금속마개(metal cap)와 같은 다른 종류의 마개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들은 도 1에 도시된 곡면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a 내지 도 2c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곡면표시장치(100)는 제1 방향(D1)을 따라 휘어진 곡선의 장변을 갖는 바텀샤시(110)에 몰드부재(111)를 안착하고, 상기 몰드부재(111) 위에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휘어진 곡선의 장변을 갖는 제1 고정부재(130) 및 제2 고정부재(131), 상기 제1 고정부재(130) 및 상기 제2 고정부재(131)의 사이에 플랫(flat)한 형상의 표시패널(140) 배치하여 순차적으로 안착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바텀샤시(110), 몰드부재(111), 제1 고정부재(130), 표시패널(140) 및 제2 고정부재(131)를 밀봉부재(150)로 밀봉하고, 상기 밀봉부재(150)에 마련되는 개구부(151)를 막고 있는 마개부(153)를 제거한다. 그 이후에, 상기 마개부(153)가 제거된 상기 개구부(151)에 흡입기(160)을 연결하고, 상기 밀봉부재(150)의 내부를 흡입한다.
이 실시 예에서는 상기 흡입기(160)는 에어 펌프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에어 펌프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으로 구동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는 상기 흡입된 밀봉부재(150)의 내부는 진공상태가 되고, 상기 밀봉부재(150)는 수축한다. 상기 밀봉부재(150)가 수축되어 상기 밀봉부재(15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바텀샤시(110), 상기 몰드부재(111), 상기 고정부들(H) 및 상기 표시패널(140)이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휘어진 상기 제1 고정부재(130) 및 상기 제2 고정부재(131) 사이에 배치되는 플랫한 형상의 표시패널(140)에 압력이 가해진다. 그 결과, 상기 표시패널(140)은 상기 제1 고정부재(130) 및 상기 제2 고정부재(131)와 동일한 곡률 형상으로 휠 수 있다.
그 이후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밀봉부재(15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밀봉부재(150)의 개구부(151)에 연결된 상기 흡입기(160)를 제거하고, 상기 개구부(151)를 상기 마개부(153)로 막을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면표시 장치 내부를 실링부재를 부착하여 외부와 차단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곡면표시장치(100)는 제1 방향(D1)으로 휘어진 형상을 갖고, 상기 곡면표시장치(10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장치로 곡면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40), 바텀샤시(110), 고정부들(H), 실링부재(S)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샤시(110)은 개구부(152), 마개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는 상기 표시패널(140)은 액정표시패널이지만, 본 발명은 상기 표시패널(520)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표시패널(520)은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 및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표시패널과 같은 다른 종류의 표시패널일 수 있다.
상기 바텀샤시(110)는 바닥부(미도시) 및 상기 바닥부(미도시)로부터 연장된 다수의 측벽들(미도시)을 포함하여 상기 바텀샤시(110)에 백라이트부(12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정의된다. 상기 백라이트(120)는 상기 바텀샤시(110)에 수납되어 상기 표시패널(140)측으로 광을 출력할 수 있고, 상기 바텀샤시(110) 위에 상기 고정부들(H) 및 표시패널(140)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바텀샤시(110)는 제1 방향(D1)으로 휘어진 곡선의 장변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의 단변의 경계영역에 몰드부재(111)를 배치하고, 상기 몰드부재(111)는 상기 제1 고정부재(130) 및 표시패널(140)을 수용하고, 상기 제2 고정부재(131)은 상기 제1 고정부재(130), 상기 표시패널(140) 및 상기 바텀샤시(110)를 수용한다.
이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고정부들(H)은 몰드부재(111), 제1 고정부재(130), 제2 고정부재(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드부재(111)는 상기 바텀샤시(110)와 결합되어 상기 몰드부재(111) 위에 배치되는 제1 고정부재(130) 및 상기 제2 고정부재(131)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재(130)는 상기 표시패널(140)의 배면에 고정되어 상기 표시패널(140)의 곡률을 유지하고, 상기 제2 고정부재(131)는 상기 표시패널(14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고정부재(13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140)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는 상기 몰드부재(111)는 상기 고정부들(H)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154) 및 상기 바텀샤시(110)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155)를 포함한다.
이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곡면표시장치(100)는 상기 곡면표시장치(100)의 내부를 상기 곡면표시장치(100)의 외부와 차단하는 실링부재(S)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S)는 실리콘 실란트(silicon sealant)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실란트는 폴리 실록산(polysiloxane)을 주성분으로 한 실링제로서 일액형과 이액형으로 구분되며, 경화과정에서 수분과 반응시 방출되는 경화부산물의 성분에 따라 초산형(acetoxy type), 아세톤형(acetone type), 알코올형(alcohol type), 옥심형(Oxim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실링부재(S)가 갖는 재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착력을 갖는 실링부재(S)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S)는 제1 실링부(S1) 및 제2 실링부(S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링부(S1)는 상기 몰드부재(111)의 상기 제1 결합부(154)에 접촉되어 상기 고정들(H)과 결합되고, 상기 제2 실링부(S2)는 상기 몰드부재(111)의 상기 제2 결합부(155)에 접촉되어 상기 바텀샤시(110)와 결합된다.
이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바텀샤시(110)의 일부분에 개구부(152)가 정의되고, 상기 바텀샤시(110)는 상기 개구부(152)를 막는 마개부(15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곡면표시장치(100)의 내부의 기압은 상기 곡면표시장치(100)의 외부의 기압보다 작고, 상기 곡면표시장치(100)의 곡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부(153)은 상기 바텀샤시(110)에 일부 삽입되는 형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마개부(153)의 재질 및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 예에서는 마개부(153)가 고무 마개(rubber stopper) 및 금속소재의 금속마개(metal cap)와 같은 다른 종류의 마개일 수 있다.
도 3b 및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곡면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특히, 도 3c는 도 3b에서 도시한 곡면표시장치의 곡률 형상을 구현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 및 도 3c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바텀샤시(110), 몰드부재(111), 제1 고정부재(130), 표시패널(140) 및 제2 고정부재(131)를 결합하고, 상기 바텀샤시(110)의 일부분에 마련되는 개구부(152)에 흡입기(160)를 연결한다. 상기 개구부(152)에 연결된 상기 흡입기(160)는 플랫한 형상의 상기 제1 고정부재(130), 표시패널(140) 및 상기 제2 고정부재(131)를 제2 방향(D2)으로 흡입하여 상기 제1 고정부재(130), 표시패널(140) 및 상기 제2 고정부재(131)를 제1 방향(D1)으로 휘어진 곡률형상으로 변형시키고, 상기 곡면표시장치(10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 이후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밀봉부재(15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밀봉부재(150)의 개구부(151)에 연결된 상기 흡입기(160)를 제거하고, 상기 개구부(151)를 상기 마개부(153)로 막을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는 상기 흡입기(160)는 전원이 공급되어 동력부가 구동되고, 동력부는 상기 흡입기(160) 내부에 모터부를 장착한 에어 펌프 시스템(Air pump system)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곡면표시장치 110: 바텀샤시
111: 몰드부재 120: 백라이트 부
130: 제1 고정부재 131: 제2 고정부재
H(111, 130, 131): 고정부들 140: 표시패널
150: 밀봉부재 151, 152: 개구부
153: 마개부 154: 제1 결합부
155: 제2 결합부 160: 흡입기
S1: 제1 실링부 S2: 제2 실링부
S(S1, S2): 실링부재

Claims (11)

  1. 일 방향을 따라 휘어지고, 곡률을 가지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을 수용하는 바텀샤시;
    상기 표시패널을 지지하여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바텀샤시에 고정하고, 상기 방향을 따라 휘어진 고정부들; 및
    상기 표시패널, 상기 바텀샤시 및 상기 고정부들을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재의 내부의 기압은 상기 밀봉부재의 외부의 기압보다 작고,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에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방향을 따라 휘어져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곡률을 유지하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표시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고정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방향을 따라 휘어져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곡률을 유지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들은 몰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부재는 상기 바텀샤시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들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밀봉부재에 정의된 개구부를 막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의 내부의 기압은 진공 상태로 유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표시장치.
  6. 곡면표시장치에 있어서,
    곡률을 가지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을 수용하는 바텀샤시;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바텀샤시에 고정하고, 일 방향으로 휘어진 고정부들; 및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표시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고정부재와 마주보는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들을 상기 바텀샤시에 고정시키고, 상기 곡면표시장치의 내부를 상기 곡면표시장치의 외부와 차단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표시장치의 내부의 기압은 상기 곡면표시장치의 외부의 기압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샤시의 일부분에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바텀샤시는 상기 개구부를 막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들은 몰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부재는 상기 바텀샤시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들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재는,
    상기 고정부들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바텀샤시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표시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제1 실링부 및 제2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링부는 상기 제1 결합부에 접촉되어 상기 고정부들을 지지하고, 상기 제2 실링부는 상기 제2 결합부에 접촉되어 상기 바텀샤시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표시장치.
KR1020150042391A 2015-03-26 2015-03-26 곡면표시장치 KR20160116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391A KR20160116164A (ko) 2015-03-26 2015-03-26 곡면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391A KR20160116164A (ko) 2015-03-26 2015-03-26 곡면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164A true KR20160116164A (ko) 2016-10-07

Family

ID=5714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391A KR20160116164A (ko) 2015-03-26 2015-03-26 곡면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61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7678A (zh) * 2018-08-09 2020-02-21 天马日本株式会社 显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7678A (zh) * 2018-08-09 2020-02-21 天马日本株式会社 显示装置
CN110827678B (zh) * 2018-08-09 2023-03-14 天马日本株式会社 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7299B2 (en) Display apparatus
KR101319156B1 (ko) 표시장치
JP2015097109A5 (ko)
KR102563192B1 (ko) 성형된 디스플레이 장착 구조체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US2014004949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 for same
JP2007256518A (ja) 液晶表示装置
KR101835305B1 (ko) 디스플레이 배열체 및 그 배열체의 장착
TW201447673A (zh) 觸控模組
TW201640293A (zh) 具有曲面結構之車載觸控裝置
US20170131580A1 (en) Rubber frame component,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US9615475B2 (en) Touch panel sealing apparatus
KR20160004456A (ko) 곡면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0908165B (zh) 一种显示模组及电子装置
TW200619736A (en) Fr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utilizing the same
WO2014132629A1 (ja) 触感呈示装置
KR20160116164A (ko) 곡면표시장치
WO2020162108A1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13511423A (ja) 自動車のコントロールパネル用の表示装置
TWI420435B (zh) 平面顯示裝置及其框體單元
KR101027795B1 (ko)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80292702A1 (en) Display device
JP2020126155A5 (ko)
CN108020954B (zh) 背光模块及其应用的显示装置
CN108664081B (zh) 指纹识别装置及终端设备
US2014034782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 assemblie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