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140A -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140A
KR20160116140A KR1020150042213A KR20150042213A KR20160116140A KR 20160116140 A KR20160116140 A KR 20160116140A KR 1020150042213 A KR1020150042213 A KR 1020150042213A KR 20150042213 A KR20150042213 A KR 20150042213A KR 20160116140 A KR20160116140 A KR 20160116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necting member
main body
tool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신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2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6140A/ko
Publication of KR20160116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2Construction of casings, bodies or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H01M2/1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모터 및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전동공구의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공구 배터리를 연결하도록 일 측은 상기 본체와 결합 가능한 본체 연결부와 타 측은 상기 공구 배터리와 결합 가능한 배터리 결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CONNECTING APPARATUS OF SUPPLEMENTARY BATTERY FOR ELECTRIC TOOL}
본 발명은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전동공구의 본체와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공구 배터리를 연결하는 배터리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공구는 유선 또는 배터리를 통해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내장된 모터를 구동하여 드라이버 및 드릴 등의 작업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된 툴을 회전시켜 나사를 체결하거나 구멍을 뚫는 등 다중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구 중 하나이다.
이러한 전동공구는 공구의 물건에 구멍을 뚫거나 나사를 조이거나 푸는 등의 모터와 기어박스 등을 포함하는 전동공구 본체와, 전동공구 구동 시, 상기 전동공구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공구 배터리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동공구의 본체, 공구 배터리는 일체로 형성되기도 하지만, 공구 배터리는 전동공구 본체에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기도 한다. 이때, 전동공구 본체와 공구 배터리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전동공구 본체와 공구 배터리가 분리된 상태에서 전동공구 본체와 다른 구조로 형성된 공구 배터리를 전동공구 본체와 조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반드시 동일한 구조의 전동공구 본체와 공구 배터리를 조립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동공구의 본체와 상기 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공구 배터리를 연결할 수 있는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는, 내부에 모터 및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전동공구의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공구 배터리를 연결하도록 일 측은 상기 본체와 결합 가능한 본체 연결부와 타 측은 상기 공구 배터리와 결합 가능한 배터리 결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는, 상기 일 측 및 상기 타 측과 가로지르는 일 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슬라이드 결합되는 본체 슬라이드부와, 상기 본체와의 결합을 락킹시키는 본체 락킹부와, 상기 본체 락킹부를 상기 본체에서 분리시키는 본체 락킹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 연결부와, 상기 본체 슬라이드부가 장착되는 연결부재 슬라이드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 결합 시, 상기 연결부재 슬라이드부와 상기 본체 슬라이드부의 분리 및 이탈을 방지하는 슬라이드부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 슬라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하단 내면에서 상기 본체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본체 슬라이드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의 결합 방향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구 배터리는, 일 측에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의 타 측과 결합하는 연결부재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는, 상기 타 측에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와 연결되는 배터리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구 배터리는, 상기 일 측과 가로지르는 일 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와 슬라이드 결합되는 연결부재 체결부와,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와의 결합을 락킹시키는 연결부재 결속부와, 상기 연결부재 결속부를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에서 분리시키는 연결부재 결속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는,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의 하단 내면에서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연결부재 체결부가 장착되는 배터리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 체결부는,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와 상기 공구 배터리의 결합 방향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공구 배터리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공구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공구 배터리 외부로 발광하는 조명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전동공구 본체와 전동공구 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공구 배터리 사이에 배터리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각 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공구 배터리와 본체의 제조사가 다를 경우에도 배터리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공구 배터리와 본체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동일 생산자의 공구 배터리의 전원이 방전되어도, 본체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전동공구 사용에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구 배터리를 휴대단말기를 충전하는 충전포트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으므로, 공구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독립적인 부품이 요구되지 않고, 공간 및 조건 등에 관계없이 공구 배터리의 충전이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구 배터리에 조명을 설치하여, 전동공구의 조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동공구의 본체 및 배터리 연결부재에서 분리된 공구 배터리를 손전등 등의 수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전동공구의 본체 하측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배터리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공구 배터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전동공구의 본체 하측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배터리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공구 배터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10)는 내부에 모터 및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전동공구의 본체(100) 및 상기 본체(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공구 배터리(300)를 연결하도록 일 측은 본체(100)와 결합 가능한 본체 연결부(210)와 타 측은 공구 배터리(300)와 결합 가능한 배터리 결합부(290)를 포함하는 배터리 연결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동공구의 본체(100)는 전동기의 힘을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작업할 수 있는 공구이다. 상기 전동공구는 구멍을 뚫는 전동 드릴, 나사를 조이거나 푸는 전동 드라이버, 다듬질이나 연마에 사용되는 전기 그라인더나 전기 연마기 등 중 어느 하나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200)는 전동공구의 본체(100)와 공구 배터리(300)를 연결하는 수단이며, 도 2와 같이 본체(100)와 공구 배터리(300)가 하향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르게는 공구 배터리(300)가 결합된 배터리 연결부재(200)와 본체(100)를 와이어로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공구 배터리(300)는 상기 본체(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이며, 본체(100)와 동일 구조로 형성되기도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체(100)와 서로 다른 구조로 형성된 제품으로 예를 들어, 제조자가 다른 경우 경우를 예를 들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전동공구의 본체(100)와 공구 배터리(300)가 서로 다른 제조사인 경우, 배터리 연결부재(200)를 이용하여 본체(100)와 공구 배터리(300)를 연결함으로써, 전동공구의 본체(100)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른 전동공구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전동공구의 본체(1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 및 공구 배터리(300)는 조립 및 분리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고, 본체(100)가 조작되는 면을 전면이라고 가정하여 상기 전동공구 본체(1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 및 공구 배터리(300)는 본체(10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조립 및 분리된다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일 측은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상측이라 가정하고, 타 측은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하측이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른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10)의 배터리 연결부재(200)는, 일 측 및 타 측과 가로지르는 일 면에 형성되며, 본체(100)와 슬라이드 결합되는 본체 슬라이드부(220)와, 본체(100)와의 결합을 락킹시키는 본체 락킹부(230)와, 본체 락킹부(230)를 본체(100)에서 분리시키는 본체 락킹해제부(240) 등을 포함한다.
또한 배터리 연결부재(200)가 결합되는 본체(100)는 본체 연결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 연결부(110)와, 본체 슬라이드부(220)가 장착되는 연결부재 슬라이드부(120)와, 본체(1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 결합 시, 연결부재 슬라이드부(120)와 본체 슬라이드부(220)의 분리 및 이탈을 방지하는 슬라이드부 이탈방지부(14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본체 연결부(210)는,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상면에 형성되며, 본체(1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가 조립되는 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릿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의 연결부재 연결부(110)는, 본체(100)의 하면에 상기 본체 연결부(2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 연결부(210)와 연결부재 연결부(110)는 빗살구조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체(1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가 조립될 때, 본체 연결부(210)의 슬릿과 연결부재 연결부(110)의 슬릿이 교차되어 위치하도록 결합되면서 본체(100)의 하면과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상면이 다수의 접점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슬라이드부(220)는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측면에 본체(1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결합 방향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슬라이드부(120)는 상기 본체 슬라이드부(220)에 삽입되어 본체 슬라이드부(220)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 슬라이드부(120)는 본체(100)의 하단에서 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본체 슬라이드부(220)에 삽입되어 락킹될 수 있도록 충분히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본체 슬라이드부(220)의 후면은 개구되게 형성되며, 전면에는 연결부재 슬라이드부(120)의 선단(先端)이 본체(100)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체이동방지턱(2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 락킹부(230)는 본체(1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가 조립되면, 조립된 상태를 락킹시키는 수단이다. 보다 자세하게, 본체 락킹부(230)는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전면의 상측에서 본체(100)의 하측을 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본체(100)는 상기 본체 락킹부(230)가 체결되도록 홈 형상의 연결부재 락킹홈(130)를 포함한다.
즉, 본체(1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가 조립되면, 본체 락킹부(230)가 연결부재 락킹홈(130)에 끼움되며 조립되어 본체(1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전면이 락킹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연결부재(200)는 본체 락킹부(230)에 설치되며, 본체(100)에 조립될 때, 본체 락킹부(230)가 배터리 연결부재(200) 내로 수납되도록 탄성 변형되며, 본체(1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가 조립되면, 복원력으로 본체 락킹부(230)가 연결부재 락킹홈(130)로 돌출되어 연결부재 락킹홈(130)에 결합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조립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락킹부(230)를 연결부재 락킹홈(130)에서 분리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전면 외측에 형성된 본체 락킹해제부(240)를 설치한다.
상기 본체 락킹해제부(240)는 상, 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탄성스프링과 연결되어 있다. 즉, 본체 락킹해제부(240)를 하향 이동시키면 탄성스프링이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본체 락킹부(230)가 배터리 연결부재(200) 내로 재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본체(1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가 결합되는 역 방향으로 본체(100) 또는 배터리 연결부재(200)를 밀어내면 본체 락킹부(230)가 연결부재 락킹홈(130)에서 이탈되면서 본체(1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가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는 슬라이드부 이탈방지부(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부 이탈방지부(140)는 본체(10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 슬라이드부(220)로 이동 가능하다. 즉, 본체(1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가 조립되면, 상기 슬라이드부 이탈방지부(140)를 본체(100)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본체 슬라이드부(220)에 결속되게 함으로써, 본체(1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가 결합된 후, 본체(1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후면 락킹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본체(1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연결부재 슬라이드부(120)가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본체 슬라이드부(220)에 체결되면서 후면에서 전면으로 이동하며 본체(1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가 조립될 수 있다. 이후, 본체 락킹부(230)가 배터리 락킹홈(260)에 락킹되면서 본체(1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전면이 락킹되고, 본체(100)의 슬라이드부 이탈방지부(140)를 본체 슬라이드부(220)에 결속되게 함으로써, 본체(1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후면이 락킹되어 본체(1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공구 배터리(3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공구 배터리(300)는 일 측에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타 측과 결합하는 연결부재 결합부(390)를 포함하며, 배터리 연결부재(200)는 타 측에 연결부재 결합부(390)와 연결되는 배터리 결합부(29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일 측은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상측이라 가정하고, 타 측은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하측이라 가정하고,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하측에 공구 배터리(300)가 결합됨에 따라 공구 배터리(300)의 일 측은 공구 배터리(300)의 상측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배터리 결합부(290)는,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하면에 형성되며, 공구 배터리(3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가 조립되는 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릿을 포함한다. 상기 공구 배터리(300)의 연결부재 결합부(390)는, 공구 배터리(300)의 상면에 상기 배터리 결합부(29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배터리 결합부(290)와 연결부재 결합부(390)는 빗살구조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공구 배터리(3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가 조립될 때, 배터리 결합부(290)의 슬릿과 연결부재 결합부(390)의 슬릿이 교차되어 위치하도록 결합되면서 공구 배터리(300)의 하면과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상면이 다수의 접점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공구 배터리(300)는, 공구 배터리(300)의 일 측과 가로지르는 일 면에 형성되며, 배터리 연결부재(200)와 슬라이드 결합되는 연결부재 체결부(37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와의 결합을 락킹시키는 연결부재 결속부(360)와, 연결부재 결속부(360)를 배터리 연결부재(200)에서 분리시키는 연결부재 결속해제부(340)를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배터리 연결부재(200)는 연결부재 체결부(370)가 체결되는 배터리 체결부(270)와, 연결부재 결속부(360)가 락킹되는 배터리 락킹홈(260) 등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 체결부(370)는 공구 배터리(300)의 측면에 배터리 연결부재(200)와 공구 배터리(300)의 결합 방향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체결부(270)는 상기 연결부재 체결부(370)에 삽입되어 연결부재 체결부(370)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배터리 체결부(270)는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하단에서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연결부재 체결부(370)에 삽입되어 락킹될 수 있도록 충분히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연결부재 체결부(370)의 후면은 개구되게 형성되며, 전면에는 배터리 체결부(270)의 선단(先端)이 배터리 연결부재(200)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결부재이동방지턱(3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 결속부(360)는 공구 배터리(3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가 조립되면, 조립된 상태를 락킹시키는 수단이다. 보다 자세하게, 연결부재 결속부(360)는 공구 배터리(300)의 전면의 상측에서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하측을 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배터리 연결부재(200)는 상기 연결부재 결속부(360)가 체결되도록 홈 형상의 배터리 락킹홈(260)를 포함한다.
즉, 배터리 연결부재(200)와 공구 배터리(300)가 조립되면, 연결부재 결속부(360)가 배터리 락킹홈(260)에 끼움되며 조립되어 배터리 연결부재(200)와 공구 배터리(300)의 전면이 락킹될 수 있다.
이때, 공구 배터리(300)는 연결부재 결속부(360)에 설치되며, 배터리 연결부재(200)에 조립될 때, 연결부재 결속부(360)가 공구 배터리(300) 내로 수납되도록 탄성 변형되며, 배터리 연결부재(200)와 공구 배터리(300)가 조립되면, 복원력으로 연결부재 결속부(360)가 배터리 락킹홈(260)로 돌출되어 배터리 락킹홈(260)에 결합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공구 배터리(300)과 배터리 연결부재(200)의 조립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 결속부(360)를 배터리 락킹홈(260)에서 분리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공구 배터리(300) 전면 외측에 연결부재 결속해제부(340)를 설치한다.
상기 연결부재 결속해제부(340)는 상, 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공구 배터리(300)의 탄성스프링과 연결되어 있다. 즉, 연결부재 결속해제부(340)를 하향 이동시키면 탄성스프링이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 결속부(360)가 공구 배터리(300)내로 재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공구 배터리(3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가 결합되는 역 방향으로 공구 배터리(300) 또는 배터리 연결부재(200)를 밀어내면 연결부재 결속부(360)가 배터리 락킹홈(260)에서 이탈되면서 공구 배터리(300)와 배터리 연결부재(200)가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공구 배터리(300)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공구 배터리(300)를 충전하는 충전부(380)와, 공구 배터리(300) 외부로 발광하는 조명(3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충전부(380)는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를 충전하는 충전포트가 장착될 수 있으며, 충전부(380)에 장착되는 충전포트는 발명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310)은 공구 배터리(300) 내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동공구 사용 시, 전동공구의 전면을 비춰 전동공구의 조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공구 배터리(300)는 상기 조명(310)을 점등할 수 있는 전원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350)는 공구 배터리(300) 내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조명(310)이 필요한 시점에만 조명(310)을 킬 수 있도록 하여 공구 배터리(300)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380) 및 조명(310)은 공구 배터리(300)의 후면에 설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충전부(380) 및 조명(310)은 공구 배터리(300)의 전면 또는 전면 이외의 어느 면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충전부(380)와 조명(310)이 동일 면에 형성되는 예를 들지만, 상기 충전부(380)와 조명(310)의 형성 위치는 발명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진 전동공구 본체(100)와 전동공구 본체(100)로 전원을 공급하는 공구 배터리(300) 사이에 배터리 연결부재(200)를 설치하여 각 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공구 배터리(300)와 본체(100)의 제조사가 다를 경우에도 배터리 연결부재(200)를 이용하여 공구 배터리(300)와 본체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동일 생산자의 공구 배터리의 전원이 방전되어도, 본체(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전동공구 사용에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공구 배터리(300)를 휴대단말기를 충전하는 충전포트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으므로, 공구 배터리(300)를 충전하기 위한 독립적인 부품이 요구되지 않고, 공간 및 조건 등에 관계없이 공구 배터리(300)의 충전이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공구 배터리(300)에 조명(310)을 설치하여, 전동공구의 조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동공구의 본체(100) 및 배터리 연결부재(200)에서 분리된 공구 배터리(300)를 손전등 등의 수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 100: 본체
110: 연결부재 연결부 120: 연결부재 슬라이드부
130: 연결부재 락킹홈 140: 슬라이드부 이탈방지부
200: 배터리 연결부재 210: 본체 연결부
220: 본체 슬라이드부 230: 본체 락킹부
240: 본체 락킹해제부 260: 배터리 락킹홈
270: 배터리 체결부 290: 배터리 결합부
300: 공구 배터리 310: 조명
340: 연결부재 결속해제부 360: 연결부재 결속부
370: 연결부재 체결부 380: 충전부
390: 연결부재 결합부

Claims (8)

  1. 내부에 모터 및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전동공구의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공구 배터리를 연결하도록 일 측은 상기 본체와 결합 가능한 본체 연결부와 타 측은 상기 공구 배터리와 결합 가능한 배터리 결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는,
    상기 일 측 및 상기 타 측과 가로지르는 일 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슬라이드 결합되는 본체 슬라이드부와,
    상기 본체와의 결합을 락킹시키는 본체 락킹부와,
    상기 본체 락킹부를 상기 본체에서 분리시키는 본체 락킹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 연결부와,
    상기 본체 슬라이드부가 장착되는 연결부재 슬라이드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 결합 시, 상기 연결부재 슬라이드부와 상기 본체 슬라이드부의 분리 및 이탈을 방지하는 슬라이드부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슬라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하단 내면에서 상기 본체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본체 슬라이드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의 결합 방향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구 배터리는,
    일 측에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의 타 측과 결합하는 연결부재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는,
    상기 타 측에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와 연결되는 배터리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구 배터리는,
    상기 일 측과 가로지르는 일 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와 슬라이드 결합되는 연결부재 체결부와,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와의 결합을 락킹시키는 연결부재 결속부와,
    상기 연결부재 결속부를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에서 분리시키는 연결부재 결속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는,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의 하단 내면에서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연결부재 체결부가 장착되는 배터리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 체결부는,
    상기 배터리 연결부재와 상기 공구 배터리의 결합 방향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구 배터리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공구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공구 배터리 외부로 발광하는 조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
KR1020150042213A 2015-03-26 2015-03-26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 KR201601161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213A KR20160116140A (ko) 2015-03-26 2015-03-26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213A KR20160116140A (ko) 2015-03-26 2015-03-26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140A true KR20160116140A (ko) 2016-10-07

Family

ID=57145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213A KR20160116140A (ko) 2015-03-26 2015-03-26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614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940A (ko) * 2017-03-21 2018-10-01 티티아이 (마카오 커머셜 오프쇼어) 리미티드 배터리 팩들 및 충전기들, 및 전동 공구들을 위한 배터리 팩 키트
KR20190079918A (ko) * 2017-12-28 2019-07-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블루투스 어댑터
KR102303911B1 (ko) 2020-04-03 2021-09-24 한국과학기술원 모듈타입 수소저장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10120550A (ko) 2020-03-27 2021-10-07 한국과학기술원 액상화합물 기반 수소저장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10120577A (ko) 2020-03-27 2021-10-07 한국과학기술원 연료전지 촉매연소 버너의 폐열을 이용한 액상화합물 기반 수소저장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11858106B2 (en) 2019-08-08 2024-01-02 Black & Decker Inc. Power tools and power tools platform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940A (ko) * 2017-03-21 2018-10-01 티티아이 (마카오 커머셜 오프쇼어) 리미티드 배터리 팩들 및 충전기들, 및 전동 공구들을 위한 배터리 팩 키트
CN108630879A (zh) * 2017-03-21 2018-10-09 创科(澳门离岸商业服务)有限公司 电池组、电池组充电器以及用于电动工具的电池组套件
KR20190079918A (ko) * 2017-12-28 2019-07-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공구 배터리 호환용 블루투스 어댑터
US11858106B2 (en) 2019-08-08 2024-01-02 Black & Decker Inc. Power tools and power tools platform
US11951604B2 (en) 2019-08-08 2024-04-09 Black & Decker Inc. Power tools and power tools platform
KR20210120550A (ko) 2020-03-27 2021-10-07 한국과학기술원 액상화합물 기반 수소저장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10120577A (ko) 2020-03-27 2021-10-07 한국과학기술원 연료전지 촉매연소 버너의 폐열을 이용한 액상화합물 기반 수소저장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303911B1 (ko) 2020-04-03 2021-09-24 한국과학기술원 모듈타입 수소저장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6140A (ko) 전동공구의 배터리 연결장치
CN209146980U (zh) 灯组件
CN108015723B (zh) 通信适配器安装装置以及电动工作机
US20230346140A1 (en) Wall hanging system
US9906055B2 (en) Charger
US7456608B2 (en) Battery-driven screwdriver
US20170072553A1 (en) Portable power supply
CN110832731B (zh) 电气设备系统以及电气设备
US20070120527A1 (en) Battery-operated screwdriver
US20080266845A1 (en) Auxiliary lighting device
JP2006281430A (ja) 動力ツールのためのモジュール式パネル
US20080211327A1 (en) Battery Pack And Electric Hand-Held Power Tool
US20070278326A1 (en) Sprayer with detachable rechargeable battery
EP2933812A1 (en) Shift assembly structure of switch device
JP2001230034A (ja) 直流電源装置のアダプタ
US20140190063A1 (en) Mount Light for Firearm
US10265842B2 (en) Handheld power tool
JP2016157783A (ja) 電気機器
CN102431015A (zh) 手持式工具机、尤其充电式钻机
US7751197B2 (en) Fastening device, module mounting mechanis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80326568A1 (en) Power tools with integrated circuit boards
JP5357826B2 (ja) 回転工具
KR101754880B1 (ko) 차량용 콘센트 어셈블리
EP1863106A1 (en) Sprayer with detachable rechargeable battery
KR101784592B1 (ko) 모듈형 led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