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081A - 휴대 장치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장치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081A
KR20160115081A KR1020150041835A KR20150041835A KR20160115081A KR 20160115081 A KR20160115081 A KR 20160115081A KR 1020150041835 A KR1020150041835 A KR 1020150041835A KR 20150041835 A KR20150041835 A KR 20150041835A KR 20160115081 A KR20160115081 A KR 20160115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mage
information
font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영
Original Assignee
김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영 filed Critical 김광영
Priority to KR1020150041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5081A/ko
Publication of KR20160115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K9/00006
    • G06K9/00221
    • H04M1/725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연령, 성별, 기호 및 개인별 시력 정보에 따라 기기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를 다르게 조정하는 휴대 장치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방법 및 그 휴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a)사용자명령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정보 연령, 성별, 기호 및 시력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b) 제어부에서표시부를 통하여 문자 또는 이미지 영상을 출력하여 기기별 폰트크기방법을 안내하는 단계 c) 제어부에서메모리부에 저장된 휴대 장치의 화면 크기 정보 및 사용자의 연령, 성별, 기호 및 시력 기준 폰트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명령 입력부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표시할 폰트 및 이미지의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판단된 정보를 실행하여 변경된 폰트 및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에게 변경 여부의 선택을 표시하고 그 선택에 따라 폰트 크기를 변경하거나 저장 동작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장치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방법 및 그 휴대 장치{Method for fontand image size automatic adjustment of mobile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기호 및 개인별 시력 정보에 따라 기기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를 서로 다르게 조정할 수 있는 휴대 장치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방법 및 그 휴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PC는 경량화 및 축소화가 진행되고 있어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워치 등(사물인터넷이 적용된 하드웨어)으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해마다 증가되는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웹 등으로 폰트크기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8131호에는 시스템의 전면 카메라로부터 이미지를 얻고, 이미지에 대해 안면 거리 분석을 행하는 것을 포함하여서, 시스템과 연관된 디스플레이 컨텐츠의 시각화 특성은 안면 거리 분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수정하는 향상된 편의성을 위한 스마트 휴대 장치에서의 적응형 텍스트 폰트 및 이미지 조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면카메라 및 후면카메라 둘 다 구비하는 휴대 장치의 일예의 블록도이고,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 거리 분석의 일예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휴대 장치(10)는 사용자가 흥미로워하는 다양한 주제의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캡처하는 후면 카메라(12)를 구비한다. 휴대 장치(10)는 또한 거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휴대 장치(10)의 다른 기능에 따라, 텍스트, 이미지 및 다른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실, 디스플레이 컨텐츠에는 네트워크 접속(예를 들어 화상 회의 이송)을 통해 얻어진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뿐만 아니라 후면 카메라(12)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도 쉽게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휴대 장치(10)는 또한 다른 유형의 모바일 플랫폼, 예를 들어, 랩탑,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 타블렛,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스마트폰, 미디어 재생기, 촬상 장치 등을 포함하거나, 고정 플랫폼, 예를 들어 스마트 텔레비전(TV),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데스크탑 PC(personal computer), 서버, 워크스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휴대 장치(10)는 또한 이미지 및 동영상을 캡처하여 디스플레이(16) 상에 캡처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전면 카메라(18)를 포함한다. 특히, 전면 카메라(18)는 다른 개인과의 화상 회의 기간 중에 사용자(14)를 기록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전면 카메라(18)에 의해 캡처된 사용자(14)의 이미지는 또한 디스플레이(16)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컨텐츠를 조정하여 사용자(14)에게 보다 판독 가능한 컨텐츠를 만드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교정 안면 거리(20) 및 교정 이미지(21)에 대한 하나 이상의 교정 디스플레이 설정을 측정하기 위해, 이동 장치(10)의 교정이 행해질 수 있는 실례를 보여주며, 여기에서 그 다음 실시간 안면 거리 측정은 교정 안면거리(20)에 대해 행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교정 안면 거리(20)는 사용자와 휴대 장치(10) 사이의 거리, 또는 교정 중에 사용자 머리의 폭/높이, 사용자의 안구 폭/직경 또는 사용자의 안구간 거리와 같은 안면 피처 거리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거리는 환경에 따라 화소, 인치, 센티미터 등으로 측정될 수 있다.
실시간 안면 거리 측정은 디스플레이 강도, 디스플레이 컨텐츠의 양 등과 같은 기타 시각화 특정뿐만 아니라 텍스트 시각화 특성(예를 들어, 텍스트 높이, 폰트 등)을 수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정 안면거리(20)는 그 거리(20)에서 사용자에게 편안한 소정 텍스트 크기(예를 들어, 14 포인트 크기)와 연관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소정 거리(24)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찍힌 그 다음 실시간 이미지(22)가 교정 이미지(21)의 그 시간에 있는 사용자보다 이동 장치(10)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고 판정되면, 디스플레이 컨텐츠의 텍스트 크기는 비례해서 증가되어 사용자에게 여전히 편안하게 보이도록 할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강도(예를 들어,백라이트 밝기)는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해 증가될 수 있고, 도시된 디스플레이 컨텐츠의 양은 더 커진 텍스트 등이 차지하는 추가 스크린 영역으로 인해 감소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안면 거리 측정 및 교정 안면 거리(20)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6)에 보다 가깝게 있다고 지시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텍스트 크기는 감소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강도는 감소될 수 있고, 도시된 디스플레이컨텐츠의양은 증가될 수 있다. 기타 시각화 특성은 또한 그때그때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사실, 이동 장치(10)는 또한 이미지 내의 안경을 검출하고, 안경이 존재하는 동안 시각화 특성 수정을 선택적으로 우회 및/또는 더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 세트의 교정 디스플레이 설정이 유지되어 사용자의 안경 착용 여부에 근거해서 선택적으로 액세스될 수 있도록, 휴대 장치(10)는 안경을 낀 사용자 및 안경을 끼지 않은 사용자에 대해 교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접근법은 사용자의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향상된 장치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사실, 디스플레이 강도가 자동으로 감소될 수 있는 환경은 휴대 장치(10)에 대해 소비 전력을 낮추고 배터리 수명을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스마트폰 및 태블릿피씨 등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웹 등에서의 폰트 크기조정은 인위적으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취향에 따라 폰트 크기를 조정하거나 개시된 종래기술과 같이 안면의 거리에 따른 조정은 가능하였으나, 사용자의 연령, 성별, 기호 및 개인별 시력 정보에 따라 기기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를 서로 다르게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인구수명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노인들이 인구률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또한 인터넷이 발달되는 현재 점차 컴퓨터나 핸드폰의 경량화, 축소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문자나 카톡으로 주고받는 메시지가 늘고 있으며, 시력이 안 좋은 사람이나, 시력이 감퇴한 노인들에게 폰트 및 이미지 크기를 조정하여 표시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8131호(2014년03월07일)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연령, 성별, 기호 및 개인별 시력 정보에 따라 기기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를 다르게 조정하는 휴대 장치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방법 및 그 휴대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사용자명령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정보 연령, 성별, 기호 및 시력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b) 제어부에서 표시부를 통하여 문자 또는 이미지 영상을 출력하여 기기별 폰트크기방법을 안내하는 단계 c) 제어부에서 메모리부에 저장된 휴대 장치의 화면 크기 정보 및 사용자의 연령, 성별, 기호 및 시력 기준 폰트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명령 입력부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표시할 폰트 및 이미지의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판단된 정보를 실행하여 변경된 폰트 및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에게 변경 여부의 선택을 표시하고 그 선택에 따라 폰트 크기를 변경하거나 저장 동작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장치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단계는 시력 검출부에서사용자의 안구를 촬영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안면 영상 인식 또는 지문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별도의 문의 및 선택 절차를 거치지 않고, 상기 사용자 식별 단계에서 식별된 해당 사용자의 연령, 성별, 기호 및 시력 정보에 따라 적절한 포트 및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사용자의 정보 연령, 성별, 기호 및 시력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명령 입력부 문자 또는 이미지 영상을 출력하여 기기별 폰트크기방법을 안내하고, 변경된 폰트 및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기준 스마트폰, 테블릿PC, 스마트워치 등의 화면 크기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및 사용자의 연령, 성별, 기호 및 시력 기준 폰트정보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명령 입력부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표시할 폰트 및 이미지의 크기를 판단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휴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구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검출하는 시력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안면 영상 인식 또는 지문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별도의 문의 및 선택 절차를 거치지 않고, 상기 사용자 식별부에서 식별된 해당 사용자의 연령, 성별, 기호 및 시력 정보에 따라 적절한 포트 및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여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방법 및 그 휴대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연령, 성별, 기호 및 개인별 시력 정보에 따라 기기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를 자동으로 다르게 조정함으로써, 사용자마다 일일이 폰트 및 이미지 크기를 변경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문자 및 이미지를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노안이 발생하는 40세 이후로 눈의 조절력이 떨어져 시력감퇴가 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경우 노년층 인구가 계속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에서 이에 따라 폰트크기를 조정하는데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데이터를 확보하여 추후 폰트 및 이미지 크기를 자동 조정하고 전반적인 보편화를 이루어 편의성제공의 계속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면 및 후면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안면거리 분석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휴대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그중특정 실시예를 상세한 설명과 도면의 예시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주지 관용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및 태블릿피씨 등의 화면으로 보여지는 텍스트(Text)의 가독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웹별 지원되는 폰트크기조절 영역 내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기기별 폰트크기 제시후 폰트크기를 조정하여 해당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웹별로 폰트크기 조정정보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시키고, 또한 해당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웹별 사용자(연령, 성별, 기호 등의 정보 포함)의 폰트크기 조정정보 데이터를 송부 및 피드백(feed back)에 의한 사용자 편의성 증대를 도모한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방법은, 먼저 스마트폰 및 태블릿피씨 등의 휴대 장치에 따라 폰트크기 조정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을 (자동)실행한다.
이후, 사용자명령 입력부(200)를 통하여 사용자의 정보 연령, 성별, 기호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다(1001). 이때, 사용자의 시력 정보를 함께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력 검출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력 검출부(220)는 사용자의 안구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30)는 표시부(250)에 문자 또는 이미지 영상을 출력하여 기기별 폰트크기방법을 안내하고, 변경된 폰트 및 이미지를 표시한다(1002).
메모리부(240)에는 기준 스마트폰, 테블릿피씨, 스마트워치 등의 화면 크기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및 사용자의 연령, 성별, 기호 및 시력 기준 폰트정보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어, 제어부(230)에서는 상기 메모리부(240)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명령 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표시할 폰트 및 이미지의 크기를 판단한다.
이렇게 판단된 정보는 제어부(230)에서 자동으로 실행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게 변경 여부의 선택을 표시하고 그 선택에 따라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에게 변경 여부를 문의하여 동작할 경우, 폰트크기변경에 대하여 ”예”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1004) 해당 당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웹의 폰트의 크기를 설정하고(1005), ”아니오”를 선택하였을 경우 자동 종료된다(1009).
또한, 기기내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웹 등의 폰트크기변경에 대하여 ”예”를 선택하였을 경우(1006), 해당 당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웹의 폰트의 크기를 설정한 후(1007), 현재의 화면 폰트의 크기를 기준폰트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후 중앙정보 데이터 베이스 및 해당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웹에 데이터를 송부한다(1008).
반면, 1006단계에서 “아니오”를 선택하였을 경우, 바로 현재의 화면 폰트의 크기를 기준폰트 정보를 메모리부(240)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후 제어부(230)의 중앙정보 데이터 베이스 및 해당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웹에 데이터를 송부한다(1008).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 식별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부(210)는 통상의 안면 영상 인식 또는 지문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별도의 문의 및 선택 절차를 거치지 않고, 바로 사용자를 식별하여 해당 사용자의 연령, 성별, 기호 및 시력 정보에 따라 적절한 포트 및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휴대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휴대 장치는, 사용자명령 입력부(200), 사용자 식별부(210), 시력 검출부(220), 제어부(230), 메모리부(240) 및 표시부(250)를 포함한다.
사용자명령 입력부(200)는 사용자의 정보 연령, 성별, 기호 및 시력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다.
시력 검출부(220)는 사용자의 안구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검출할 수 있다.
표시부(250)는 문자 또는 이미지 영상을 출력하여 기기별 폰트크기방법을 안내하고, 변경된 폰트 및 이미지를 표시한다(1002).
메모리부(240)에는 기준 스마트폰, 테블릿피씨, 스마트워치 등의 화면 크기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및 사용자의 연령, 성별, 기호 및 시력 기준 폰트정보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다.
제어부(230)에서는 상기 메모리부(240)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명령 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표시할 폰트 및 이미지의 크기를 판단한다.
사용자 식별부(210)는 통상의 안면 영상 인식 또는 지문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30)는 별도의 문의 및 선택 절차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 식별부(210)에서 식별된 해당 사용자의 연령, 성별, 기호 및 시력 정보에 따라 적절한 포트 및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여 표시부(250)의 화면에 표시한다.
한편, 상기 메모리부(240)는, 상기 제어부(230)에서 판단 조정된 사용자 정보에 따른 폰트 및 이미지의 크기를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원격지의 중앙 서버(300)에 유무선으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26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검색사이트 혹은 사용한 프로그램별 폰트크기 조정 내용을 각 프로그램 제조사 등의 중앙 데이터 수집 장치로서 중앙서버(300)에 내용을 송부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방법 및 그 휴대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연령, 성별, 기호 및 개인별 시력 정보에 따라 기기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를 자동으로 다르게 조정함으로써, 사용자마다 일일이 폰트 및 이미지 크기를 변경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문자 및 이미지를 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200 : 사용자명령 입력부
210 : 사용자 식별부
220 : 시력 검출부
230 : 제어부
240 : 메모리부
250 : 표시부
260 : 데이터 송신부
300 : 서버

Claims (7)

  1. a)사용자명령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정보 연령, 성별, 기호 및 시력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b) 제어부에서표시부를 통하여 문자 또는 이미지 영상을 출력하여 기기별 폰트크기방법을 안내하는 단계,
    c) 제어부에서메모리부에 저장된 휴대 장치의 화면 크기 정보 및 사용자의 연령, 성별, 기호 및 시력 기준 폰트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명령 입력부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표시할 폰트 및 이미지의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판단된 정보를 실행하여 변경된 폰트 및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에게 변경 여부의 선택을 표시하고 그 선택에 따라 폰트 크기를 변경하거나 저장 동작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장치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시력 검출부에서사용자의 안구를 촬영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통상의 안면 영상 인식 또는 지문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별도의 문의 및 선택 절차를 거치지 않고, 상기 사용자 식별 단계에서 식별된 해당 사용자의 연령, 성별, 기호 및 시력 정보에 따라 적절한 포트 및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방법.
  4. 사용자의 정보 연령, 성별, 기호 및 시력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명령 입력부,
    문자 또는 이미지 영상을 출력하여 기기별 폰트크기방법을 안내하고, 변경된 폰트 및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기준 스마트폰, 테블릿피씨, 스마트워치 등의 화면 크기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및 사용자의 연령, 성별, 기호 및 시력 기준 폰트정보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명령 입력부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표시할 폰트 및 이미지의 크기를 판단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휴대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구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검출하는 시력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휴대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통상의 안면 영상 인식 또는 지문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별도의 문의 및 선택 절차를 거치지 않고, 상기 사용자 식별부에서 식별된 해당 사용자의 연령, 성별, 기호 및 시력 정보에 따라 적절한 포트 및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여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휴대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 조정된 사용자 정보에 따른 폰트 및 이미지의 크기를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원격지의 중앙 서버에 유무선으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휴대 장치.
KR1020150041835A 2015-03-25 2015-03-25 휴대 장치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KR20160115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835A KR20160115081A (ko) 2015-03-25 2015-03-25 휴대 장치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835A KR20160115081A (ko) 2015-03-25 2015-03-25 휴대 장치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081A true KR20160115081A (ko) 2016-10-06

Family

ID=5716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835A KR20160115081A (ko) 2015-03-25 2015-03-25 휴대 장치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50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470B1 (ko) * 2022-06-27 2023-03-22 주식회사 지아소프트 시니어를 위한 대신결제 쇼핑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8131A (ko) 2011-07-01 2014-03-07 인텔 코포레이션 향상된 편의성을 위한 스마트 휴대 장치에서의 적응형 텍스트 폰트 및 이미지 조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8131A (ko) 2011-07-01 2014-03-07 인텔 코포레이션 향상된 편의성을 위한 스마트 휴대 장치에서의 적응형 텍스트 폰트 및 이미지 조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470B1 (ko) * 2022-06-27 2023-03-22 주식회사 지아소프트 시니어를 위한 대신결제 쇼핑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7695B2 (en) Language element vision augmentation methods and devices
JP585964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10110868B2 (en) Image processing to determine center of balance in a digital image
US2019024436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JP6263617B2 (ja) 表示制御方法及び装置、電子機器
KR102424986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얼굴 정보를 분석하는 방법
US1035412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improve the image quality preference of skin area
KR20160003685A (ko) 전자 영상 표시 장치를 맞춤제작하는 방법
KR20150083880A (ko)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거리에 기초하여 구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50271457A1 (en)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80108294A1 (en) User device and computer program stored in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display
US20190027118A1 (en) Terminal device and display method
WO2018219290A1 (zh) 一种信息终端
US20170185824A1 (en) Electronic devic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face image display method
KR20160115081A (ko) 휴대 장치의 폰트 및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US2017019370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CN111610886A (zh) 触控屏幕亮度的调整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00166997A1 (en) Method for transmission of eye tracking information, head mounted display and computer device
US20200126517A1 (en) Image adjustment method, apparatus,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5321149B (zh) 自动缩放数据
US11943427B2 (en) Display modification system and method
CN114845165A (zh) 界面显示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EP318796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