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910A - 차량용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910A
KR20160114910A KR1020150041383A KR20150041383A KR20160114910A KR 20160114910 A KR20160114910 A KR 20160114910A KR 1020150041383 A KR1020150041383 A KR 1020150041383A KR 20150041383 A KR20150041383 A KR 20150041383A KR 20160114910 A KR20160114910 A KR 20160114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refrigerating
compartment
compresso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연섭
Original Assignee
나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연섭 filed Critical 나연섭
Priority to KR1020150041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4910A/ko
Publication of KR20160114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with respect to movabl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2Details of evapo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실과 냉동실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는 상기 제1 관체(41)의 중간부에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는 보조냉장증발기(33)가 상기 냉동증발기(31)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1 관체(41)에 구비된 제1 솔레노이드밸브(43)를 개방하면,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이 함께 냉각되고, 상기 제2 관체(42)에 구비된 제2 솔레노이드밸브(44)를 개방하면, 냉장실만 냉각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관체(42)를 통해 상기 냉장증발기(32)로 냉매가 통과하도록 하여 냉장실만을 냉각시키는 회수를 최소화하여,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43,44)를 제어하여 냉매의 흐름을 조절함에 따라 압력변화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각 구성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냉각장치{cool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냉장실과 냉동실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재함에 냉동실 또는 냉장실이 형성된 운반차량에는 차량용 에어컨과 별도로, 차량용 냉각장치가 구비되어 냉동실 또는 냉장실 내부의 온도를 적절한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각장치는 냉매관에 의해 상호 연결된 압축기와 응축기 및 증발기로 구성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열을 방출하는 방열과정을 거치고, 이와 같이 방열과정을 거친 냉매가 상기 증발기에서 급속으로 팽창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기의 주변을 냉각시키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적재함의 내부공간을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획하여, 대상물을 냉동실이나 냉장실에 별도로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운반차량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차량용 냉각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31,32)가, 냉동실에 구비되는 냉동증발기(31)와,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는 냉장증발기(3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증발기(31)와 냉장증발기(32)는 냉매관(40)을 통해 상기 압축기(10)와 응축기(20)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응축기(20)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냉동증발기(31)와 냉장증발기(3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을 함께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냉각장치는 상기 압축기(10)가 구동되면 냉매가 상기 냉동증발기(31)와 냉장증발기(32)가 동시에 작동되어 냉동실과 냉장실이 동시에 냉각됨으로, 냉동실과 냉장실의 온도를 정확히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매관(40)의 중간부에, 상기 응축기(20)의 후방에서 분기되고 상기 압축기(10)에 연결된 제1 및 제2 관체(41,42)를 마련하고, 상기 냉동증발기(31)와 냉장증발기(32)를 상기 제1 및 제2 관체(41,42)의 중간부에 각각 연결하여, 상기 1 및 제2 관체(42)에 구비된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43,44)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관체(41,42)를 통해 냉동증발기(31)와 냉장증발기(32)로 공급되는 냉매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서, 냉동실과 냉장실의 온도를 각기 별도로 제어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냉각장치의 경우,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을 냉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압축기(10)가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43,44)를 제어하여, 상기 냉동증발기(31) 또는 냉장증발기(32) 중의 어느 하나로 냉매가 공급되도록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여야 하는데, 이때, 발생되는 압력변화에 의해 상기 각 구성품에 충격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각 부분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일반적인 운반차량의 경우, 구조적 특성상 냉동실에 비해 냉장실의 단열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에 따라, 냉동실에 비해 냉장실 내부의 온도가 더욱 빠르게 상승되는 특징이 있다.
등록특허 10-1479705호 등록특허 10-114739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장실과 냉동실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냉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동실과 냉장실이 형성된 적재함을 갖는 운반차량에 구비되는 것으로, 냉매관(40)에 의해 상호 연결된 압축기(10)와 응축기(20) 및 증발기(31,32)로 구성되고, 상기 냉매관(40)의 중간부에는 상기 응축기(20)의 후방에서 분기되며 후단부는 하나로 합쳐져 상기 압축기(10)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관체(41,42)가 구비되며, 상기 증발기(31,32)는 상기 냉동실에 구비되며 제1 관체(41)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냉동증발기(31)와,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제2 관체(42)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냉장증발기(32)를 포함하는 차량용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관체(41)의 중간부에 상기 냉동증발기(31)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연결되는 보조냉장증발기(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각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관체(41)에는 상기 압축기(10) 쪽으로 개방되는 체크밸브(45)가 상기 보조냉장증발기(33)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각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냉장실의 내부에는 일측에 순환팬(51)이 구비된 냉각케이스(50)가 구비되며, 상기 냉장증발기(32)와 보조냉장증발기(33)는 냉각케이스(50)의 내부에 함께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각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는 상기 제1 관체(41)의 중간부에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는 보조냉장증발기(33)가 상기 냉동증발기(31)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1 관체(41)에 구비된 제1 솔레노이드밸브(43)를 개방하면,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이 함께 냉각되고, 상기 제2 관체(42)에 구비된 제2 솔레노이드밸브(44)를 개방하면, 냉장실만 냉각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관체(42)를 통해 상기 냉장증발기(32)로 냉매가 통과하도록 하여 냉장실만을 냉각시키는 회수를 최소화하여,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43,44)를 제어하여 냉매의 흐름을 조절함에 따라 압력변화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각 구성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냉각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냉각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냉동실과 냉장실이 형성된 적재함을 갖는 운반차량에 구비되어,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의 온도를 각기 별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를 위해, 상기 차량용 냉각장치는, 냉매관(40)에 의해 상호 연결된 압축기(10)와 응축기(20) 및 증발기(31,32)로 구성되고, 상기 증발기(31,32)는 상기 냉동실에 구비되는 냉동증발기(31)와,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는 냉장증발기(3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냉매관(40)의 중간부에는 상기 응축기(20)의 후방에서 분기되며 후단부는 하나로 합쳐져 상기 압축기(10)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관체(41,42)가 구비되며, 상기 냉동증발기(31)는 상기 제1 관체(41)의 중간부에 구비되고, 상기 냉장증발기(32)는 상기 제2 관체(42)의 중간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관체(41)와 제2 관체(42)에는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43,44)가 상기 냉동증발기(31)와 냉장증발기(32)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10)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솔레노이드밸브(43,44)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관체(41,4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면, 상기 압축기(10)에서 압축된 후 응축기(20)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냉동증발기(31) 또는 냉장증발기(32)를 통과하면서 냉동실이나 냉장실을 냉각시킨 후 상기 응축기(20)로 순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장실에는 상기 냉동증발기(31)의 후방에 직렬로 연결되는 보조냉장증발기(33)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보조냉장증발기(33)는 상기 냉동증발기(31)나 냉장증발기(32)와 동일하게, 냉매가 공급되면 내부에서 냉매가 팽창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주변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냉장실의 내부에 구비된 냉각케이스(50)에 상기 냉장증발기(32)와 함께 설치된다.
상기 냉각케이스(50)는 둘레부에 흡기구와 배기구가 형성된 것으로, 일측에는 순환팬(51)이 구비되어, 냉장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냉장증발기(32)나 보조냉장증발기(33)의 둘레부로 강제로 순환시켜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보조냉장증발기(33)는 상기 제1 관체(41)에 상기 냉동증발기(31)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10)가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솔레노이드밸브(43)가 개방되면, 냉매가 상기 제1 관체(41)를 통해 상기 냉동증발기(31)를 통과한 후, 상기 보조냉장증발기(33)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관체(41)에는 상기 압축기(10) 쪽으로 개방되는 체크밸브(45)가 상기 보조냉장증발기(33)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0)가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솔레노이드밸브(43)를 제어하여 상기 제1 관체(41)를 개방하면, 상기 압축기(10)에 의해 가압된 후 상기 응축기(20)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제1 관체(41)로 공급되어 상기 냉동증발기(31)와 보조냉장증발기(3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을 냉각시킨 후 상기 압축기(10)로 순환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0)가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솔레노이드밸브(44)를 제어하여 상기 제2 배관을 개방하면, 상기 압축기(10)에 의해 가압된 후 상기 응축기(20)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제2 관체(42)로 공급되어 상기 냉장증발기(32)를 통과하면서 상기 냉장실을 냉각시킨 후 상기 압축기(10)로 순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냉각장치는 상기 제1 관체(41)의 중간부에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는 보조냉장증발기(33)가 상기 냉동증발기(31)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1 관체(41)에 구비된 제1 솔레노이드밸브(43)를 개방하면,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이 함께 냉각되고, 상기 제2 관체(42)에 구비된 제2 솔레노이드밸브(44)를 개방하면, 냉장실만 냉각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관체(42)를 통해 상기 냉장증발기(32)로 냉매가 통과하도록 하여 냉장실만을 냉각시키는 회수를 최소화하여,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43,44)를 제어하여 냉매의 흐름을 조절함에 따라 압력변화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각 구성품에 충격이 가해져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일반적인 운반차량의 경우, 구조적 특성상 냉동실에 비해 냉장실 내부의 온도가 더욱 빠르게 상승됨으로, 일반적인 상황에는 상기 제1 관체(41)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동실과 냉장실이 함께 냉각되도록 하고, 상기 냉장실 내부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될 때만, 상기 제2 관체(42)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장실만 별도로 냉각되도록 하면 됨으로, 상기 제2 관체(42)로 냉매를 공급하는 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43,44)를 통해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데 따른 압력변화가 발생되는 정도를 줄이고,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데 따른 압력변화에 의해 각 구성품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관체(41)에는 상기 압축기(10) 쪽으로 개방되는 체크밸브(45)가 상기 보조냉장증발기(33)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됨으로, 상기 제2 관체(42)에 냉매를 공급하여 냉장실만을 냉각시킬 때, 상기 제2 관체(42)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제1 관체(41)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의 내부에는 일측에 순환팬(51)이 구비된 냉각케이스(50)가 구비되며, 상기 냉장증발기(32)와 보조냉장증발기(33)는 냉각케이스(50)의 내부에 함께 구비됨으로, 냉장실 내부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10. 압축기 20. 응축기
31, 냉동증발기 32, 냉장증발기
33, 보조냉장증발기 40, 냉매관

Claims (3)

  1. 냉동실과 냉장실이 형성된 적재함을 갖는 운반차량에 구비되는 것으로,
    냉매관(40)에 의해 상호 연결된 압축기(10)와 응축기(20) 및 증발기(31,32)로 구성되고,
    상기 냉매관(40)의 중간부에는 상기 응축기(20)의 후방에서 분기되며 후단부는 하나로 합쳐져 상기 압축기(10)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관체(41,42)가 구비되며,
    상기 증발기(31,32)는
    상기 냉동실에 구비되며 제1 관체(41)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냉동증발기(31)와,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제2 관체(42)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냉장증발기(32)를 포함하는 차량용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관체(41)의 중간부에 상기 냉동증발기(31)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연결되는 보조냉장증발기(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체(41)에는 상기 압축기(10) 쪽으로 개방되는 체크밸브(45)가 상기 보조냉장증발기(33)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의 내부에는 일측에 순환팬(51)이 구비된 냉각케이스(50)가 구비되며,
    상기 냉장증발기(32)와 보조냉장증발기(33)는 냉각케이스(50)의 내부에 함께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각장치.
KR1020150041383A 2015-03-25 2015-03-25 차량용 냉각장치 KR20160114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383A KR20160114910A (ko) 2015-03-25 2015-03-25 차량용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383A KR20160114910A (ko) 2015-03-25 2015-03-25 차량용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910A true KR20160114910A (ko) 2016-10-06

Family

ID=57164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383A KR20160114910A (ko) 2015-03-25 2015-03-25 차량용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49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7725A (zh) * 2020-12-30 2021-05-14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直冷单循环冰箱变频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393B1 (ko) 2010-02-03 2012-05-22 주식회사 시원 냉동차량용 냉각장치
KR101479705B1 (ko) 2013-10-02 2015-01-07 김홍식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비한 냉동차량의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393B1 (ko) 2010-02-03 2012-05-22 주식회사 시원 냉동차량용 냉각장치
KR101479705B1 (ko) 2013-10-02 2015-01-07 김홍식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비한 냉동차량의 냉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7725A (zh) * 2020-12-30 2021-05-14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直冷单循环冰箱变频控制方法
CN112797725B (zh) * 2020-12-30 2022-05-10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直冷单循环冰箱变频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33962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9011390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US20130340469A1 (en) Refrigerator
US10145608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00003468A1 (en) Cooling system
EP3657098B1 (en) Cooling system
US10473388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stant temperature thereof
KR20160033839A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US6718791B2 (en) Heat pump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KR20160114910A (ko) 차량용 냉각장치
JP2007093108A (ja) 冷蔵庫
CA3058067A1 (en) Cooling system
US11656004B2 (en) Cooling system with flexible evaporating temperature
US11604009B2 (en) Cooling system
JP5901775B2 (ja) 冷凍装置
JP2016151410A (ja) 輸送用冷凍ユニット
US9746208B2 (en) Cooling system having dual suction port compressor
US11268746B2 (en) Cooling system with partly flooded low side heat exchanger
KR101461394B1 (ko) 압력 조절 기능을 가지는 냉동탑차의 냉동-냉방 시스템
KR101479705B1 (ko)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비한 냉동차량의 냉각장치
JP3735338B2 (ja) 車両用冷凍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187370A (ja) 冷媒サイクル装置
KR19990080338A (ko) 냉장고
KR101421938B1 (ko) 착제상용 열교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0898052B1 (ko)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