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331A - 물품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물품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331A
KR20160114331A KR1020150040674A KR20150040674A KR20160114331A KR 20160114331 A KR20160114331 A KR 20160114331A KR 1020150040674 A KR1020150040674 A KR 1020150040674A KR 20150040674 A KR20150040674 A KR 20150040674A KR 20160114331 A KR20160114331 A KR 20160114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recognition unit
unit
recognition
identification m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학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40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4331A/ko
Publication of KR20160114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물품 식별 장치는 저면 인식부, 다면 인식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저면 인식부는 물품의 저면에 부착된 식별 표지를 인식할 수 있고, 다면 인식부는 상기 물품의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부착된 식별 표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저면 인식부의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다면 인식부의 동작 활성화를 제어한다. 따라서, 물품의 식별 표지가 부착된 면이 저면인 상태로 물품이 이동되더라도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물품의 식별 표지를 인식하여 분류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품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FOR IDENTIFYING GOOD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물품 식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품에 부착된 식별 표지를 인식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택배산업의 성장과 소량 다품종 제품의 증가 등으로 인해서 택배물량이 매년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우편집중국이나 물류센터에서는 택배우편물을 효율적으로 분류하기 위해서 물품 분류기를 사용한다. 최근에는 크로스벨트타입, E-Tray 타입 등 새로운 물품 분류 장치가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고, 소형에서부터 대형 물품까지 자동으로 구분 가능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물품 분류기에서 물품을 고속 및 자동으로 분류하기 위해서 5면인식 바코드 시스템이 물품 분류기의 트랙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5면은 물품의 바닥면을 제외한 물품의 상면, 측면 4곳을 의미하고, 현재 바닥면에 바코드 라벨이 부착된 경우에는 정상적인 분류가 불가능하다. 즉, 물품의 바닥에 바코드 라벨이 놓여진 상태에서 물품분류기에 투입된 경우 정상적인 구분구로 분류되지 않고, 미인식 및 특정구분구로 분류되어 다시 재투입되는 이중 작업이 이루지거나, 작업자에 의해서 분류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작업자에 의한 경우 물품의 바코드 라벨이 바닥면으로 향하지 않도록 인위적으로 특정 방향으로 놓이도록 위치시켜야 하는 문제점과 사람에 의한 투입으로 인해서 물품분류기로의 물품 인입 속도가 늦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품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물품 분류기의 인입 공급벨트 상에서 물품에 부착된 인식바코드가 바닥면에 놓여져 있어도 인입 공급벨트 사이의 하단 1면 인식 시스템과 인입제어 및 이송될 물품 분류기의 캐리어 번호와의 실시간 동기화를 통해서 바닥면의 물품 식별 바코드를 인식하여 재투입없이 목적지 구분구로 한번에 처리 가능한 물품 식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식별 장치는, 저면 인식부, 다면 인식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면 인식부는 물품의 저면에 부착된 식별 표지를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면 인식부는 상기 물품의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부착된 식별 표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면 인식부의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다면 인식부의 동작 활성화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품은 상기 저면 인식부를 통과한 후에 상기 다면 인식부를 통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면 인식부는 5면 인식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면 인식부는 센서부 및 물품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저면 인식부로 접근하는 물품이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물품 인식부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물품을 인지한 후에 일정 시간 뒤에, 상기 인지된 물품의 저면에 부착된 상기 식별 표지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 표지는 바코드, 큐알 코드 및 아라비아 숫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품 인식부가 상기 물품의 저면에 부착된 식별 표지를 인식한 경우, 상기 물품 인식부는 상기 인식된 식별 표지의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전달받은 상기 식별 표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목적지 구분구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전달받은 상기 식별 표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면 인식부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지정된 상기 목적지 구분구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을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주제어부 및 운영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제어부는 물품을 이송하는 캐리어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저면 인식부로부터 전달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저면 인식부로 상기 저면 인식부의 활성화 신호 및 모니터링된 해당 캐리어 번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면 인식부는 식별 표지를 인식하여 물품 정보를 상기 주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전달받은 물품 정보를 처리하여 처리된 물품 정보를 상기 운영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이 주제어부는 상기 전달받은 물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면 인식부로 상기 다면 인식부의 비활성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운영 시스템은 전달받은 물품 정보에 기초하여 목적지 구분구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 시스템은 지정된 목적지 구분구 번호 및 상기 캐리어 본호를 상기 주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제어부는 전달받은 목적지 구분구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을 해당 목적지 구분구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품의 식별 표지가 부착된 면이 저면인 상태로 물품이 이동되더라도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물품의 식별 표지를 인식하여 분류할 수 있다. 즉,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라벨을 인식이 잘 되도록 특정 방향으로 놓이도록 인위적으로 위치시켜야만 했던 기존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여, 물품분류기의 공급 라인에 물품 투입 시 물품이 어떤 상태로 놓여져 있어도 자동으로 제품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둘째, 기존에 수동으로 사람이 체크하거나 물품이 특정 방향으로 놓이도록 인위적으로 조정해야만 했던 것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발생되던 인력 낭비, 이에 따른 인건비 상승, 처리 시간 증가, 나아가 효율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5면 인식 장치의 경우 물품 크기별 포커싱의 어려움으로 인해서 고가의 장비가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저면 인식부의 경우 물품의 바닥면과 항상 같은 거리를 유지하기 때문에 저렴한 바코더 리더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식별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 인식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물품이 저면 인식부를 먼저 통과한 후 다면 인식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물품 식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물품이 다면 인식부를 먼저 통과한 후 저면 인식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물품 식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식별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저면 인식부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식별 장치의 각 구성 요소에서의 정보 처리 및 구성 요소 간 정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크로스벨트, 틸트트레이 등 물품 구분기에서 물품 인식 시스템 및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종래에 1D 및 2D 바코드, QR 코드 및 아라비아 숫자 코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식별 표지가 물품의 6면체 중 어느 한 면에 인쇄되어 물품 분류기로 이송될 경우 바닥면에 식별 표지가 부착된 경우를 제외한 측면 4곳과 윗면은 5면인식 바코드 시스템을 통해서 인식 가능하지만, 바닥면의 경우 인식이 불가능하여 특정 구분구로 구분되어 물품 분류기로 재투입되거나, 처음부터 사람에 의해서 물품의 인식 바코드가 바닥면으로 향하지 않도록 인위적으로 위치시켜야만 했던 기술에서 탈피하여, 물품 분류기의 인입 공급벨트 상에서 물품에 부착된 인식바코드가 바닥면에 놓여져 있어도 인입 공급벨트 사이의 저면 인식 시스템과 인입제어 및 이송될 물품 분류기의 캐리어 번호와의 실시간 동기화를 통해서 바닥면의 물품 식별 바코드를 인식하여 재투입 없이 목적지 구분구로 한번에 처리 가능한 물품 분류기용 저면 바코드 인식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식별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식별 장치(100)는 저면 인식부(110), 다면 인식부(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저면 인식부(110)는 물품의 저면에 부착된 식별 표지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다면 인식부(130)는 상기 물품의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부착된 식별 표지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저면 인식부(110)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다면 인식부(130)의 동작 활성화를 제어한다.
물품의 "저면"이라 함은 물품의 바닥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물품과, 물품을 이송하는 트랙 또는 이송로가 접촉하고 있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기존 기술의 경우, 물품의 식별 표지가 물품의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5면 인식 장치에 의하여 물품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5면은 물품의 전면, 후면, 좌면, 우면 및 상면을 의미한다. 물품의 저면에 식별 표지가 놓여진 상태로 물품 분류기에 투입되는 경우, 경우 기존 기술에 의하면 5면 인식 장치로 식별 표지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인식 실패 또는 미인식으로 특정 구분구로 분류된 후, 다시 재투입되는 이중 과정으로 진행되거나, 또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식별 표지가 붙은 면이 저면을 제외한 다른면에 위치하도록 물품을 다시 내려 놓는 방법을 수행하여야 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식별 장치(100)는, 저면 인식부(110)를 포함하여, 식별 표지가 저면에 부착된 경우 저면 인식부(110)에 의해 식별 표지를 인식하고, 식별 표지가 저면이 아닌 다른 면에 부착된 경우 다면 인식부(130)에 의해 식별 표지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저면 인식부(110)의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다면 인식부(150)의 동작 활성화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저면 인식부(110)에 의해 물품의 식별 표지가 인식된 경우라면 다면 인식부(150)를 동작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제어부(150)는 다면 인식부(150)를 비활성화한다. 한편, 저면 인식부(110)에 의해 물품의 식별 표지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라면 식별 표지가 저면 이외의 면에 부착된 것이므로 제어부(150)는 다면 인식부(150)를 활성화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저면 인식부(110) 또는 다면 인식부(130)에 의해 인식된 식별 표지에 기초하여, 물품의 캐리어 번호 및 목적지 구분구 번호를 매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매핑된 상기 목적지 구분구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을 해당 목적지 구분구로 분류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저면 인식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저면 인식부(110)는 센서부(111) 및 물품 인식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1)는 저면 인식부(110)로 접근하는 물품을 감지할 수 있다. 물품 인식부(113)는 센서부(111)의 상기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 기간 동안 접근한 물품의 저면을 스캔하여 식별 표지를 인식할 수 있다. 물품 인식부(113)가 식별 표지를 인식한 경우, 제어부(150)에 인식된 식별 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전달 받은 식별 표지에 기초하여 해당 물품의 목적지 구분구를 매핑한 후, 해당 물품을 매핑된 목적지 구분구에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물품 인식부(113)가 식별 표지를 인식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한 경우, 제어부(150)는 다면 인식부(13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물품 인식부(113)가 식별 표지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150)에 인식 실패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전달 받은 인식 실패 결과에 기초하여, 다면 인식부(130)를 활성화하고, 다면 인식부(130)는 저면 인식부(110)를 통과한 물품의 식별 표지를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저면 인식부(110), 다면 인식부(130) 및 제어부(150)의 구체적인 동작에 관하여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물품이 저면 인식부를 먼저 통과한 후 다면 인식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물품 식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물품이 다면 인식부를 먼저 통과한 후 저면 인식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물품 식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물품(190)이 저면 인식부(110)를 통과한 후에 다면 인식부(130)를 통과하도록 물품 인식 장치가 구성된다. 반면, 도 3b를 참조하면, 물품(190)이 다면 인식부(130)를 통과한 후에 저면 인식부(110)를 통과하도록 물품 인식 장치가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주로 도 3a의 경우와 같이 물품(190)이 먼저 저면 인식부(110)를 통과한 후에 다면 인식부(130)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물품 인식 장치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도 3b와 같이 물품(190)이 다면 인식부(130)를 먼저 통과한 후에 저면 인식부(110)를 통과하도록 물품 인식 장치가 구성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3b와 같이 물품 인식 장치가 구성된 경우, 다면 인식부(130)가 물품(190)의 식별 표지를 인식하면 제어부는 저면 인식부(110)를 비활성화하고, 다면 인식부(130)가 물품(190)의 식별 표지를 인식하는데 실패하면 제어부는 저면 인식부(110)를 활성화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도 3a와 같이 구성된 물품 인식 장치에 대해 주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도 3b와 같이 구성된 물품 인식 장치를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도 3a와 같이 구성된 물품 인식 장치 뿐만 아니라 도 3b와 같이 구성된 물품 인식 장치에까지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식별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식별 장치는 저면 인식부(410) 및 다면 인식부(4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어부를 포함하나, 상기 제어부는 도 4에는 직접적으로 도시되지 않았다. 제어부는 저면 인식부(410) 및 다면 인식부(45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식별 장치는 캐리어 이송로(470) 및 물품 이송로(47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저면 인식부(410)는 센서부(411a, 411b) 및 물품 인식부(413)로 구성될 수 있다. 물품 이송로(475)에 센서부(411a, 411b) 및 물품 인식부(413)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물품 이송로(475)는 물품(490)을 이동시키는 공급 벨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센서부(411a, 411b)는 물품 이송로(475) 상에 설치되어 물품(490) 지나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물품 인식부(413)는 물품 이송로상기 공급 벨트로 구성된 물품 이송로(475)의 벨트 간 하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센서부(411a, 411b)의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411a, 411b)의 감지 결과에 따라 물품 인식부(413)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된다. 즉, 도 4의 물품(490)의 저면에 식별 표지가 부착된 경우에만 물품 인식부(413)가 활성화된다.
캐리어 이송로(470)는 복수의 캐리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저면 인식부(410)를 통과한 물품(490)은 캐리어 이송로(470)의 복수의 캐리어들 중 캐리어(480)에 실리게 된다. 캐리어(480)는 이후에 물품(490)을 적재한 채로 다면 인식부(450)를 통과한다. 저면 인식부(410) 또는 다면 인식부(450)에서 식별된 식별 표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다면 인식부(450)를 통과한 물품(490)을 물품 구분구로 분류한다.
도 5는 도 4의 저면 인식부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물품 이송로는 복수의 공급 벨트(521, 522)를 포함한다. 공급 벨트(521) 상에 센서부(511a)가 위치하며, 물품 인식부(513)는 공급 벨트(521, 522) 하단에 위치한다. 또한, 물품 인식부(513)는 거울(515) 및 광인식부(5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거울(501)을 기울여 설치한 이유는 공급 벨트(521, 522) 사이 물품(590)이 지나가면서 발생되는 이물질 및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센서부(511a) 및 물품 인식부(513)는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는 물품(590)이 센서(105)에 감지될 때 마다 매번 캐리어 번호를 실시간으로 도출하여 저면 인식부(410)에 송신하고, 캐리어 번호 및 식별 표지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공급벨트(521, 522)는 정지하지 않고 고속(2.5m/s 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 센서부(511a)를 통과한 물품(590)은 공급 벨트(521, 522) 사이를 이동한다. 이 경우, 물품(590)의 저면에 부착된 식별 표지(591)를 물품 인식부(513)가 인식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식별 장치의 각 구성 요소에서의 정보 처리 및 구성 요소 간 정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식별 장치의 제어부는 주제어부(651) 및 운영시스템(652)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6에서 제어부 대신 주제어부(651) 및 운영시스템(652)만이 도시되었다.
먼저, 저면 인식부(610)의 센서부가 물품을 감지한다(단계 S601). 주제어부(651)는 캐리어 번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을 수 있다(단계 S602). 물품이 감지되면, 저면 인식부(610)는 물품의 감지 신호를 주제어부(651)로 전달한다(단계 S603). 주제어부(651)는 이 때 저면 인식부(610)의 물품 인식부를 활성화하는 활성화 신호를 저면 인식부(610)로 전달한다(단계 S604). 또한, 주제어부(651)는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던 캐리어 번호 중, 해당 물품이 실리게 될 캐리어 번호를 저면 인식부(610)로 전달한다(단계 S605). 저면 인식부(610)는 포함된 물품 인식부를 활성화하고(단계 S606), 이어 물품 인식부를 통해 물품의 식별 표지를 인식한다(단계 S607). 저면 인식부(610)는 인식된 식별 표지에 포함된 정보 및 캐리어 번호가 포함된 물품 정보를 제어부(651)로 전달한다(단계 S608). 이때, 물품의 저면에 식별 표지가 부착되지 않은 경우 저면 인식부(610)는 캐리어 번호 및 특정 값(예를 들어, 인식 실패를 나타내는 값 또는 널(0) 값)을 물품 정보로서 주제어부(651)로 전달할 수 있다. 주제어부(651)는 물품 정보를 처리하여(단계 S609), 저면 인식부가 식별 표지를 인식한 경우 다면 인식부(630)를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다면 인식부(630)로 전달한다(단계 S610). 또한 처리된 물품 정보를 운영 시스템(652)으로 전달한다(단계 S611). 운영 시스템(652)은 전달 받은 물품 정보를 목적지 구분구와 매핑한다(단계 S613). 이어, 운영 시스템은 목적지 구분구 번호 및 캐리어 번호를 주제어부(651)로 전달한다(단계 S615). 주제어부(651)는 전달받은 목적지 구분구 번호 및 캐리어 번호에 기초하여, 물품을 해당 목적지 구분구로 분류한다(단계 S616). 물품에 대한 분류가 완료되었으므로, 주제어부는 다면 인식부(630)를 활성화하는 신호를 다면 인식부(630)로 전달하고(단계 S617), 물품 인식부를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저면 인식부(610)로 전달한다(단계 S618).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물품 식별 장치 110: 저면 인식부
130: 다면 인식부 150: 제어부
111: 센서부 113: 물품 인식부
190: 물품

Claims (1)

  1. 물품의 저면에 부착된 식별 표지를 인식할 수 있는 저면 인식부;
    상기 물품의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부착된 식별 표지를 인식할 수 있는 다면 인식부; 및
    상기 저면 인식부의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다면 인식부의 동작 활성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물품 식별 장치.
KR1020150040674A 2015-03-24 2015-03-24 물품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14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674A KR20160114331A (ko) 2015-03-24 2015-03-24 물품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674A KR20160114331A (ko) 2015-03-24 2015-03-24 물품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331A true KR20160114331A (ko) 2016-10-05

Family

ID=5715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674A KR20160114331A (ko) 2015-03-24 2015-03-24 물품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43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6859B2 (en) Percep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processing a variety of objects
KR102483043B1 (ko) 동적으로 구성 가능한 분류 어레이를 이용하여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재료 핸들링 장치 및 방법
US2017006659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distribu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US93648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rting parcel
US8201681B2 (en) Method for gapping for sortation rate maximization
US20240103447A1 (en) Product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5611859A (zh) 用于结账柜台的传送机系统
JP5156789B2 (ja) 小包郵便物の順序化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688532B2 (en) Installation for identifying handled parcels
KR102390557B1 (ko) 화물 분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994400B2 (en) Conveyors for sorting products
KR20160114331A (ko) 물품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JP6885561B2 (ja) 搬送システム
EP4043111A1 (en) Classifying items
JP2013233529A (ja) 書状処理装置及び書状処理方法
JPS61230838A (ja) 自動搬送仕分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