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959A - 회선 공유 단말 구별 장치 - Google Patents

회선 공유 단말 구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3959A
KR20160113959A KR1020150136109A KR20150136109A KR20160113959A KR 20160113959 A KR20160113959 A KR 20160113959A KR 1020150136109 A KR1020150136109 A KR 1020150136109A KR 20150136109 A KR20150136109 A KR 20150136109A KR 20160113959 A KR20160113959 A KR 20160113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ce
visual
client
tim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정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넷
Priority to KR1020150136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3959A/ko
Publication of KR20160113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3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선공유단말 구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동일 공유기를 통해 접속되는 회선공유단말과 서버간의 시각차를 측정하여 특정 회선공유단말에서 구동되고 있는 웹브라우저가 어느 단말의 소속인지를 구별하는 회선공유단말 구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동일 회선을 공유하는 회선공유단말의 클라이언트와 HTTP 통신 패킷을 통해 시각차를 측정하여 회선공유단말의 각 클라이언트마다 시각차 정보를 생성하는 시각차 정보 생성부, 및 시각차 정보를 기초로 각 클라이언트가 복수의 회선공유단말 중 동일 단말 소속인지 또는 서로 다른 단말 소속인지를 구별하는 구별정보를 생성하는 구별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공유단말 구별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회선 공유 단말 구별 장치{Discriminating apparatus of line sharing terminal}
본 발명은 회선공유단말 구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 공유기를 통해 접속되는 회선공유단말과 서버간의 시각차를 측정하여 특정 회선공유단말에서 구동되고 있는 웹브라우저가 어느 단말의 소속인지를 구별하는 회선공유단말 구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용량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요가 급증하면서 인터넷 트래픽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국내외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는 지속적으로 망 건설에 투자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기업 인터넷 회선뿐만 아닌 중소기업 및 소호(SOHO) 사업자 및 각 가정에서 사용하는 개인 인터넷 회선도 GIGA급으로 발전되어 컨텐츠를 불편 없이 즐길 수 있는 환경이 되었다.
이와 같이, 개인 인터넷 회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인터넷 회선에 PC와 같은 단말을 다수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유기(IP주소 공유기)가 출시되어 기업 및 가정에서 빠르게 보급되고 보편화되었다.
한편, 이러한 현상은 “트래픽 급증에 따른 망 투자 비용 부담을 어떻게 배분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낳았고, ISP는 공유기를 통해 과도하게 공유되는 인터넷회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공유기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를 활용하여 다수 내부 사설 IP 주소를 하나의 공인 IP 주소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해주는데, 이러한 공유기 특성으로 공인 IP 주소로 특정지어지는 인터넷 망에서 그 내부에 존재하는 다수 PC와 같은 단말을 정확히 계산하고 처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들은 통신 간섭을 이용하여 HTTP Cookie(이하 쿠키)나 FSO(Flash Shard Object) 등의 식별코드를 회선공유단말의 웹브라우저에 부여하여 하나의 공유기에 접속되어 있는 초과단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즉, 인터넷회선에서 일정 기간 식별코드의 발행 횟수 또는 식별코드의 유지 개수를 기준으로 "사전 약정된 회선공유단말 대수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단말"(이하 초과사용단말)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초과사용단말의 식별코드를 식별하여 그 웹 브라우저 사용을 제한했다.
그러나 상기 식별코드는 MS Explorer, Google Chrome, Mozilla Firefox, Apple Safari 등 서로 다른 웹브라우저간에 공유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식별코드가 사용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하나의 회선공유단말에서 다종의 웹브라우저가 동시에 사용될 때 식별코드가 중복 발행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종래의 기술들은 한 종의 웹브라우저만을 기준으로 초과사용단말을 검출 및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검출 및 제한되지 않는 웹브라우저의 사용으로 그 실효성이 현저히 낮아지고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식별코드는 사용자에 의해 쉽게 삭제될 수 있다. 따라서 쿠키 삭제에 의해 동일한 공유기에 접속되는 초과사용단말의 웹브라우저의 사용 제한을 쉽게 해제할 수 있어 초과사용단말에 대한 실효성 있는 사용제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7338(발명의 명칭 : 네트워크 기반 단말인증 및 보안 방법) 선행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7291(발명의 명칭 : 인터넷을 사용하는 모든 단말을 구분하는 방법 및 시스템) 선행문헌 3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7997(발명의 명칭 : 네트워크 패킷을 이용한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및 처리 방법) 선행문헌 4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7994(발명의 명칭 : 네트워크 기반 단말인증 및 보안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동일한 공유기에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회선공유단말 각각에 다종 웹브라우저가 구동되고 있을 때, 서버와 각 웹브라우저가 실행되고 있는 회선공유단말간의 시각차를 측정하여 시각차 정보를 생성하고, 그 시각차 정보를 기준으로 각 웹브라우저가 어느 단말의 소속인지를 구별하는 회선공유단말 구별정보를 제공하여, 각 웹브라우저의 회선공유단말을 구별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 회선을 공유하는 회선공유단말의 클라이언트와 HTTP 통신 패킷을 통해 시각차를 측정하여 회선공유단말의 각 클라이언트마다 시각차 정보를 생성하는 시각차 정보 생성부, 및 시각차 정보를 기초로 각 클라이언트가 복수의 회선공유단말 중 동일 단말 소속인지 또는 서로 다른 단말 소속인지를 구별하는 구별정보를 생성하는 구별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공유단말 구별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에 의해 서버의 시각을 측정하고,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에 포함된 시각과 측정된 서버의 시각을 바탕으로 시각차를 계산하는 시각차 측정부, 및 획득된 복수의 시각차를 바탕으로 시각차를 검증함으로써 기준 시각차를 추출하는 시각차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각차 검증부는, 일방향 시각차 측정 또는 양방향 시각차 측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시각차를 이용하여 시각차를 검증하며, 일방향 시각차 측정은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전송한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만에 의해 시각차가 누적 측정되며, 양방향 시각차 측정은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전송한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과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전송한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에 의해 시각차가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방향 시각차 측정시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전송한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에는 클라이언트 소속의 회선공유단말의 측정 시각 정보가 포함되며, 양방향 시각차 측정시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전송한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에는 클라이언트 소속의 회선공유단말의 측정 시각 정보 및 서버의 측정 시각 정보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며,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전송한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에는 클라이언트 소속의 회선공유단말의 측정 시각 정보와 서버의 측정 시각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별정보 생성부는, 제1 클라이언트의 기준 시각차와 제2 클라이언트의 기준 시각차를 서로 비교하여 구별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제1 클라이언트의 시각차 신뢰구간과 제2 클라이언트의 시각차 신뢰구간을 서로 비교하여 구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준 시각차를 서로 비교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클라이언트의 각각의 기준 시각차를 서로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구별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복수의 클라이언트의 각각의 기준 시각차의 값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구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각차 신뢰구간을 서로 비교하는 경우에는, 제1 클라이언트의 시각차 신뢰구간과 제2 클라이언트의 시각차 신뢰구간이 겹치지 않는 경우와 시각차 신뢰구간이 적어도 일부 겹치는 경우로 나누어서 서로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회선공유단말은 공유기를 통해 서로 동일한 IP 주소를 사용하며, 회선공유단말의 클라이언트는 HTTP 통신 프로토콜을 따르는 인터넷 웹 브라우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각차 정보는, IP 주소, 클라이언트마다 부여된 식별ID, 및 기준 시각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OS버전, CPU비트, 및 스크린사이즈 정보를 추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일 회선을 공유하는 회선공유단말의 클라이언트가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로 접속을 요청하면 인터넷 회선의 상향 트래픽을 복사하는 트래픽 미러부, 복사된 트랙픽으로부터 HTTP 트래픽을 통과시키는 HTTP 트래픽 필터부, HTTP 트래픽을 전송 받아 회선공유단말의 클라이언트에게 시각차측정요청을 포함하는 HTTP 통신 간섭패킷을 전송하는 HTTP 간섭서버, 및 시각차측정요청에 따라 회선공유단말의 클라이언트와 HTTP 통신 패킷을 통해 시각차를 측정하여 시각차 정보를 생성하고, 시각차 정보를 기초로 각 클라이언트가 복수의 회선공유단말 중 어디 소속인지를 구별하는 구별정보를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회선공유단말의 클라이언트에게 시각차측정요청을 포함하는 HTTP 통신 간섭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HTTP 통신 간섭패킷에 상응하여 회선공유단말과 서버간의 시각차를 복수회에 걸쳐 측정하는 단계, 획득된 복수의 시각차를 바탕으로 시각차를 검증함으로써 기준 시각차를 추출하고, 기준 시각차에 기초하여 시각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시각차 정보를 기초로 각 클라이언트가 복수의 회선공유단말 중 동일 단말 소속인지 또는 서로 다른 단말 소속인지를 구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공유단말 구별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시각차를 복수회에 걸쳐 측정하는 단계는, 일방향 시각차 측정 또는 양방향 시각차 측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시각차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방향 시각차 측정은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전송한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만에 의해 시각차가 측정되며, 양방향 시각차 측정은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전송한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과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전송한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에 의해 시각차가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별하는 단계는, 제1 클라이언트의 기준 시각차와 제2 클라이언트의 기준 시각차를 서로 비교하여 구별하거나, 제1 클라이언트의 시각차 신뢰구간과 제2 클라이언트의 시각차 신뢰구간을 서로 비교하여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각차 정보는, IP 주소, 클라이언트마다 부여된 식별ID, 및 기준 시각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OS버전, CPU비트, 및 스크린사이즈 정보를 추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운영환경과 사용환경에 따라 변동되는 회선공유단말의 시각과 서버의 시각을 측정하여 생성한 시각차 정보를 기준으로 각 웹브라우저의 회선공유단말 구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공유기를 통해 접속된 초과이용단말의 검출의 정확성과 당해 웹브라우저의 사용 제한의 실효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종래의 기술들에 의해 검출 및 제한되지 않는 웹브라우저의 사용을 모두 검출 및 제한할 수 있고, 초과사용단말 식별코드 삭제를 통한 웹브라우저 사용 제한 해제를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선공유단말 구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선공유단말과 단말 구별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차 측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차 검정의 제2 검증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차 검정의 제3 검증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차신뢰구간"과 "시각차급변구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차신뢰구간이 겹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브라우저의 소속 단말을 구별하기 위해 구별정보를 생성하는 제3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브라우저의 소속 단말을 구별하기 위해 구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차 측정 및 검증방법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차 정보를 생성 및 갱신하기 위한 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별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회선공유단말 구별 장치의 기능 및 구성)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회선을 공유하는 회선공유단말(100)은 일예로서 IP 공유기(21)를 통해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말(100a,100b,100c)를 일컫는다. 제1,2,3 단말(100a,100b,100c)에는 각각 HTTP 통신 프로토콜이 가능한 인터넷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넷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은 일예로서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파리, 파이어 폭스, 크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각각의 단말에서 실행되는 인터넷 웹 브라우저는 외부 웹 서버(40)와 인터넷 회선을 통해 접속된다. IP 공유기(21)는 여러 대의 단말기(100a,100b,100c)가 동일 회선(또는 동일 IP주소)을 사용하여 외부 웹 서버(40)와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동일 IP 공유기(21)에 물려있는 다수의 단말에서 실행되고 있는 각각의 웹브라우저가 어느 단말의 소속인지 구별함으로써 동일 IP 공유기(21)에 접속된 단말의 초과 단말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a,100b,100c)는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노트북일 수 있다. 컴퓨터 또는 노트북 등의 단말기가 IP 공유기(21)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가 접속하는 곳이 웹 서버(40)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따른 웹 서버(40)는 웹페이지 주소(URL, 일예로서 http://www.daum.com)를 구동하는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SP 접속망(22) 및 라우터(23)는 단말기(100a,100b,100c)가 웹 서버(40)와 접속되기 위해 인터넷 회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 중 하나로서 일반적인 내용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당연히 참조될 수 있다.
회선공유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에서 실행되고 있는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40)로 접속하기 위해 HTTP 접속 요청을 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미러부(31)는 단말기(100a)에서 웹 서버(40)로 향하는 상향 트래픽을 복사한다. 트래픽 미러부(31)는 복사된 상향 트래픽을 HTTP 트래픽 필터부(32)로 전송한다. HTTP 트래픽 필터부(32)는 복사된 트래픽으로부터 HTTP 트래픽만을 선별하여 HTTP 간섭서버(33)로 전송한다. HTTP 트래픽 필터부(32)는 HTTP 간섭서버(33)의 트래픽 처리량 조절을 위해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가 제정한 컴퓨터 통신 표준규격인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의 계층별 필터 기준을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HTTP 간섭서버(33)는 필터부(32)로부터 전송된 HTTP 트래픽에서 "GET 방식의 HTTP 통신 요청(이하 GET 요청)"을 확인하고, GET 요청을 전송한 단말의 웹 브라우저에게 시각차측정요청을 포함하는 HTTP 통신 간섭패킷을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GET 요청을 전송한 단말을 제1 단말(100a)로 가정하여 설명하며, HTTP 통신 간섭패킷의 일예는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한편, 시각차측정요청을 포함하는 HTTP 통신 간섭패킷은 HTTP 간섭서버(33)에 의해 제1 단말(100a)로 전송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100a)의 패킷 분석부(110)는 HTTP 간섭서버(33)로부터 HTTP 통신 간섭패킷을 전송받아 패킷을 분석한다. 패킷 분석부(110)는 HTTP 통신 간섭패킷에 포함된 HTTP 간섭서버(33)의 시각차측정요청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시각 측정부(221)는 제1 단말(100a)의 시각(제1 시각)을 측정한다. 시각차측정 요청부(122)는 단말 구별서버로(200)로 시각차측정 요청을 포함하는 HTTP 패킷(제1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전송한다. 이때,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에는 제1 시각정보가 포함된다. 한편, 상술한 패킷 분석부(110) 및 시각차 측정부(120)의 시각 측정부(121) 및 시각차측정 요청부(12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하였으며, 이러한 각부는 OS 및 HTTP 클라이언트 소스코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웹 브라우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HTTP 통신 간섭패킷을 전송받은 제1 단말(100a)의 웹 브라우저는 후술하는 단말 구별서버(200)와 HTTP 패킷을 상호 교환하여 제1 단말(100a)과 단말 구별서버(200)간의 시각차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24)는 필요에 따라 구별서버(200)와 간섭서버(33)를 인터넷에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구별서버(200)는 제1 단말(100a)로부터 시각차측정요청을 포함하는 HTTP 패킷(제1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전송받는다. 패킷 분석부(210)는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분석하여 시각차측정 요청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시각차 측정부(220)의 시각 측정부(221)는 단말 구별서버(200)의 시각(제2 시각)을 측정한다. 시각차측정 요청부(222)는 제1 시각정보 및 제2 시각정보를 포함하여 제1 단말(100a)로 시각차측정요청을 포함하는 HTTP 패킷(제2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전송한다.
제2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전송받은 제1 단말(100a)의 웹 브라우저는 패킷 분석부(110) 및 시각 측정부(121)에 의해 제1 단말(100a)의 시각(제3 시각)을 측정한다. 시각차측정 요청부(122)는 단말 구별서버로(200)로 시각차측정 요청을 포함하는 HTTP 패킷(제3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전송한다. 이때,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에는 제1 시각정보, 제2 시각정보, 제3 시각정보가 포함된다.
단말 구별서버(200)는 제1 단말(100a)로부터 시각차측정요청을 포함하는 HTTP 패킷(제3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전송받는다. 패킷 분석부(210) 및 시각 측정부(221)에 의해 단말 구별서버(200)의 시각(제4 시각)이 측정된다. 따라서 제1 단말(100a)의 웹 브라우저와 단말 구별서버(200) 간에 지속적인 HTTP 통신 패킷을 교환함으로써 계속적으로 각각의 시각을 측정할 수 있다.
다만, 제1,2,3,4시각 측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HTTP 간섭서버(33)로부터 HTTP 통신 간섭패킷이 단말(100a)로 전송된 경우 단말(100a)과 단말 구별서버(200)가 연속적으로 쌍방향으로 HTTP 통신 패킷(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주고받으며 수회에 걸쳐 시각을 측정할 수도 있고, 다른 예로서 HTTP 간섭서버(33)로부터 HTTP 통신 간섭패킷이 단말(100a)로 전송될 때만 단말 구별서버(200)로 단말(100a)이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전송하여(일방향 단속적 HTTP 통신 패킷) 시각을 측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차 계산부(223)는 제1,2,3,4시각을 바탕으로 각각의 시각차(Time Gap Value, TGV)를 계산한다. 즉, 시각차 계산부(223)는 제1시각과 제2시각의 제1시각차(TGV1)를 계산하고, 제2시각과 제3시각의 제2시각차(TGV2)를 계산하고, 제3시각과 제4시각의 제3시각차(TGV3)를 계산한다. 이러한 일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일예를 들어 후술한다.
<단말(100a)과 단말 구별서버(200)간 시각차 측정>
먼저, 본 발명은 웹브라우저가 어느 단말의 소속인지를 구별하는 구별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각 단말(100a,100b,100c)과 단말 구별서버(200) 간의 시각차를 이용하게 된다. 각 단말(100a,100b,100c)은 자체적으로 시각을 유지한다. 일예로서 컴퓨터는 자체 배터리(수은 건전지)를 이용하여 시간을 유지하며, 필요에 따라 인터넷과 연결된 외부 시각서버에 접속하여 시각을 정확하게 동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컴퓨터는 외부 시각서버에 의해 시각을 정확하게 동기시킨 경우에도 각각의 컴퓨터마다 시각의 차이가 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각 컴퓨터마다 시각의 차이가 나는 점을 이용하여 각 단말(100a,100b,100c)과 단말 구별서버(200)간의 시각차를 계산함으로써 웹브라우저의 단말 구별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다만, 단말 구별서버(200)는 시간이 정확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0a)의 웹브라우저에서 측정한 시각(제1시각, 11시 15분 16.100초)을 포함하여 시각측정요청 패킷을 단말 구별서버(200)에 전송하고, 제1시각을 포함한 시각측정요청 패킷을 수신한 단말 구별서버(200)가 그 즉시 측정한 시각(제2시각, 11시 15분 17.100초)을 비교하여 그 시각차(제1시각차, 1.000초(즉, 1000 lliseconds))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제1시각차 측정에서, 단말(100a)의 시각 측정시점과 시각 전송시점 간 처리 지연시간, 시각 전송시점과 시각 수신시점 간 전송 지연시간 및 단말 구별서버(200)의 시각 수신시점과 시각 측정시점 간 처리 지연시간이 존재한다. 물론, 이러한 지연시간들은 양측 시스템과 네트워크의 운영상태가 정상적인 대부분의 경우 모두 일반적이다. 다만, 양측 컴퓨터 시스템의 비정상상태(과부하 등)에 의해 처리 지연시간이 일반적이지 않거나, 네트워크의 비정상상태에 의해 전송 지연시간이 일반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시각차를 기준으로 웹브라우저의 단말을 구별하는 정확성이 현저하게 낮게 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된 시각차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시각차 검증 방법>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측정된 시각차를 검증하며, 각 시각차 측정 검증 방법은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측정된 제1,2,3 시각차의 검증이 이루어진 경우에 각 시각차를 이용하여 기준 시각차를 산출한다.
(제1방법)
시각차 계산부(223)가 상술한 제1,2,3 시각차를 누적 계산하여 평균값, 최대값, 및 최소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산출하고, 시각차 검증부(230)가 평균값, 최대값, 및 최소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기준 시각차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시각차는 특정 단말 소속의 특정 웹브라우저의 기준이 되는 시각차를 의미한다(즉, 단말 구별정보를 생성할 때 사용된다).
(제2방법)
상술한 제1방법의 경우, 각각의 시각차 검증 없이 누적하여 최근의 시각차를 검증한다. 따라서 검증된 시각차를 산출하기 위해서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고 그 정확성 또한, 비교적 낮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2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회 연속 측정하여 각 시각차를 검증한다. 물론 연속 측정의 횟수는 필요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도 4는 단말(100a)과 단말 구별서버(200)간의 시각차를 3회 연속 측정한다. 제1시각차(TG1)는 t1 과 t2의 시각 측정값의 시각차이고, 제2시각차(TG2)는 t2 와 t3의 시각 측정값의 시각차이고, 제3시각차(TG3)는 t3 와 t4의 시각 측정값의 시각차이다. 시각차 계산부(223)에 의해 계산된 TG1, TG2, 및 TG3 의 각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예, +100 ~ -100 milliseconds)에 벗어나는 경우 시각차 검증부(230)는 측정된 모든 시각차를 사용하지 않고 버린다. 반면, 기준에 벗어나지 않는 경우 각 시각차들의 평균값, 중간값, 또는 선별값 등을 검증된 시각차(기준 시각차)로 한다. 상술한 기 설정된 기준은 사용환경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제3방법)
상술한 제1,2방법으로 각 시각차를 검증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웹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HTTP 통신 특성을 감안한다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야 더욱더 효과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서버는 비교적 안정적이고 코드 로딩 시간이 매우 빠르고, 단말(100a)에서 실행되는 웹브라우저는 코드 로딩 시간이 비교적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도 4의 단말(100a)의 웹브라우저가 단말 구별서버(200)로부터 t3를 측정하는 코드(시각측정요청 패킷)를 수신한 후의 처리 지연시간은 고려하고, 그 이외의 처리 시간지연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3방법은 도 5와 같이 각 시각차를 측정하는 데 있어 3회 연속 측정하여 단말의 처리 지연시간과 네트워크의 전송 지연시간을 각각 고려하여 검증한다. 제1시각차(TG1)는 t1 과 t2의 시각 측정값의 시각차이고, 제2시각차(TG2)는 t2 와 t3의 시각 측정값의 시각차이고, 제3시각차(TG3)는 t3 와 t4의 시각 측정값의 시각차이다.
측정된 TG1, TG3 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 시간지연이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TG1과 TG3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1기준(예, +20 ~ -20 milliseconds)에 부합하는 경우 전송 지연시간을 일반적인 것으로 본다. 즉, 네트워크의 상태가 일반적인 것으로 본다. 만약, 네트워크 상태가 일반적이고, TG1과 TG3의 기준값(일예로 평균값)과 TG2의 차이가 제2기준(예, 0 ~ 50milliseconds)에 부합하는 경우 단말(100a)의 처리지연시간이 일반적인 것으로 본다.
한편, 네크워크의 상태와 단말(100a)의 상태가 일반적인 경우에는 모든 시각차 측정값을 사용한다. 따라서 TG1과 TG3의 기준값(일예로서 평균값)을 검증된 시각차(기준 시각차)로 하거나 TG2를 검증된 시각차(기준 시각차)로 할 수 있다. 반면, 네크워크의 상태와 단말의 상태가 일반적이지 않은 경우(과부하 등) 모든 시각차 측정값을 사용하지 않는다.
<단말 구별정보 생성방법>
각 단말(100a,100b,100c)의 각 웹브라우저마다 단말 구별서버(200)와의 시각차를 측정하고 검증함으로써 시각차 정보를 생성하고, 그 시각차 정보를 기준으로 웹브라우저가 어느 단말에 소속되어 있는지를 구별한다. 이하에서는 웹브라우저가 어느 단말에 소속되어 있는지를 구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의 각 구별 방법은 서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방법)
구별 대상 제1,2 웹브라우저의 시각차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일예로서 +100milliseconds ~ -100milliseconds)에 부합하는 경우 구별정보 생성부(260)는 동일한 단말에서 구동되는 웹브라우저로 보고 "동일"이라는 구별정보를 생성한다. 반면, 부합하지 않은 경우 구별정보 생성부(260)는 각각 다른 단말에서 구동되는 웹브라우저로 보고 "다름"이라는 구별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구별해야할 웹브라우저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게 되며, 순차적으로 새롭게 식별되는 웹브라우저를 서로 비교하여 상술한 구별정보를 생성한다. 상술한 기 설정된 기준은 필요에 따라 바뀔 수 있으며, 기준의 범위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제2방법)
상술한 제1방법은 구별 대상 두 웹브라우저의 시각차 측정 시점이 서로 다를 경우, 시각차가 변동되어 구별이 부정확할 수 있다. 왜냐하면, 두 웹브라우저가 서로 다른 단말에서 구동되는 경우에는 각 단말의 시각이 틀리게 되고, 더군다나 시간이 지날수록 그 차이가 커지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 방법은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시각차를 고려하여 각 웹브라우저의 시각차의 측정 시점이 특정기간(예, +3600 ~ -3600 seconds)에 부합하는 경우에만 상술한 제1방법으로 두 웹브라우저의 회선공유단말을 구별한다.
(제3방법)
웹브라우저가 구동되는 단말의 시각정보는 운영환경과 사용환경에 따라 비교적 규칙적으로 변동된다. 그러나 시각정보는“사용자의 시각정보 수정 또는 시스템의 급격한 변동(재시작 또는 과부하 등) 등에 의해 급격하게 변동될 수도 있다”(이하 급격시각변동). 따라서 시각차를 측정한 시점 사이에 "급격시각변동"이 발생한 경우 제1방법 및 제2방법은 부정확 할 수 있다.
제3방법은 구별 대상 두 웹브라우저의 시각차를 비교하여 구별하지 않고, 각 웹브라우저마다 “한 개 이상의 시각차 측정시점을 기준으로 하는 시각차 측정 구간(이하 시각차구간)"에서 “상술한 급격시각변동이 없는 시각차구간”(이하 시각차신뢰구간)을 시각차 신뢰구간 생성부(240)가 생성하고, 시각차신뢰구간에서 시각차 정보를 비교하여 웹브라우저의 단말 구별정보를 구별정보 생성부(260)가 생성한다.
도 6에는 시각차신뢰구간의 일예와 시각차급변구간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두 구간 모두, t1에 시각차(TGV, Time Gap Value) TGV1이 3000, 시간변동에 따른 TGV 변동 속도(TGD, Time Gap Delta) TGD1이 시간당 30으로 측정되었다. 이때, TGD는 어느 단말의 시간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빠르게 가거나 느리게 갈 때 단위 시간당 기준시간의 오차 변화량이라 할 수 있다.
시각차신뢰구간을 살펴보면, TGD1의 속도(30)에 따라 TGV2를 추정하면 3030으로, t2에서 TGV2 일반기준(예, +100 ~ -100 milliseconds) 범위(2930 ~ 3130 milliseconds)에 부합한다. 따라서, t1에서 t2의 시각차구간은 급격시각변동이 없는 시각차신뢰구간이다. 시각차급변구간를 살펴보면, TGD1의 속도(30)에 따라 TGV2를 추정하면 3030으로, t2에서 TGV2 일반기준 범위(8900 ~ 9100 milliseconds)에 부합하지 않다. 따라서, t1에서 t2의 시각차구간은 급격시각변동이 있는 시각차급변구간이다.
상술한 제3방법은 매 시각차 측정마다 그 시각차 구간이 시각차신뢰구간이면 그 시각차신뢰구간을 확장하며, 시각차급변구간이면 초기화하여 그 시각차부터 새롭게 시각차신뢰구간을 시작한다.
또한, 시각차신뢰구간은 시각차를 측정하는 각 웹브라우저마다 급격시각변동이 없음을 검증한다. 그러나 구별 대상인 두 웹브라우저의 시각차신뢰구간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비교 대상인 두 시각차신뢰구간을 합한 시각차구간에도 급격시각변동이 없어야 한다. 따라서, 구별 대상인 두 웹브라우저의 시각차신뢰구간이 도 7과 같이 일부라도 겹치는 경우에만 구별할 수 있다. 즉, 겹치지 않는 경우에는 구별정보 생성부(260)는 "알수없음"이라는 구별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추후에 다시 비교하도록 한다.
도 7과 같이 구별 대상 두 웹브라우저의 시각차신뢰구간이 일치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웹브라우저가 어느 단말의 소속인지를 구별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브라우저 A의 TGD의 속도(30)에 따라 웹브라우저 B의 TGV를 추정하면 3045로, 웹브라우저 B의 TGV 일반기준(예, +100 ~ -100 milliseconds) 범위(2945 ~ 3145milliseconds)에 부합한다. 웹브라우저 B의 TGD의 속도(50)에 따라 웹브라우저 A의 TGV를 추정하면 3020으로, 웹브라우저 A의 TGV 일반기준 범위(2930 ~ 3130milliseconds)에 부합한다. 따라서 웹브라우저 A와 웹브라우저 B는 동일한 단말의 소속으로 볼 수 있으며, 구별정보 생성부는 "동일"이라는 구별정보를 생성한다. 반면, 어느 하나가 부합하지 않는 경우 또는 모두 부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웹브라우저 A와 웹브라우저 B는 동일 단말의 소속이 아니라고 판단되며, 구별정보 생성부는 "다름"이라는 구별정보를 생성한다. 상술한 일반기준의 범위는 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설명은 TGV의 종점을 기준으로 구별정보를 생성하였으나, 이와 달리 다른 선별기준으로서 "어느 일정 시점, 시점과 종점, 최적의 중점(시점과 종점 사이의 중점)" 중에서 어느 하나의 TGV를 선정하고, 선별기준(선정된 TGV를 기준)을 중심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구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시각차 정보 생성부(250)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시각차 정보를 생성한다. 시각차 정보는 IP주소, 웹브라우저의 식별ID, TGV, TGD, STIME, ETIM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각부의 구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하였으며, 이러한 각부는 HTTP 소스코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선 공유단말 구별 방법)
각 웹브라우저의 소속 단말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차 측정 및 검증 단계(S10), 시각차 정보 생성 단계(S20), 및 구별정보 생성 단계(S30)를 수행한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차 측정 및 검증 단계(S10)는 HTTP 간섭서버(33)로부터 시각차측정요청을 포함하는 HTTP 간섭 패킷을 수신한 단말(100a)은 자신의 시각을 측정한 제1시각을 포함하여 "제1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단말 구별서버(200)로 전송한다(S11). 단말 구별서버(200)는 전송받은 패킷에 제1시각이 존재하면(S12), 자신의 시각을 측정한 제2시각을 포함하여 "제2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단말(100a)로 전송한다(S13). 단말(100a)은 제3시각을 측정하고, 제3시각을 포함한 "제3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단말 구별서버(200)로 전송한다(S14). 제3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수신한 단말 구별서버(200)는 제1,2,3 시각이 존재하는 경우에(S15)에 자신의 제4시각을 측정한다(S16). 단말 구별서버(200)는 제1,2,3,4시각에 의해 제1,2,3 시각차를 계산한다(S17). 시각차 계산방법은 상술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제1,2,3 시각차를 가지고 상술한 시각차 검증의 제1,2,3 방법 중 어느 하나 또는 혼용에 의해 시각차를 검증한다(S18). 시각차 검증 후에는 기준 시각차가 도출되며(S19), 기준 시각차가 당해 웹브라우저의 최종 시각차가 된다.
다음으로, "시각차 정보"를 생성(S20)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구별서버(200)는 당해 웹브라우저의 시각차 정보가 있는지를 먼저 판단한다(S21). 시각차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기준 시각차를 이용하여 신규 시각차 정보를 생성한다(S23). 시각차 정보가 있으면(S21) 시각차신뢰구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 시각차신뢰구간이 아니라면 해당 시각차 정보를 초기화하고 다시 시각차 정보를 갱신해나간다(S23). 시각차신뢰구간의 판단은 도 6을 참조할 수 있다. 시각차신뢰구간으로 판단되면 해당 웹브라우저의 시각차 정보를 갱신한다(S23). 이때 시각차 정보의 갱신은 시각차신뢰구간의 종점이 확장되는 것이다.
상술한 단계에 의해 시각차 정보는 후술하는 표 7과 같이 생성될 것이다. 시각차 정보가 생성되거나 갱신되면, 이러한 시각차 정보를 이용하여 "구별정보"를 생성한다(S30).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차 정보가 없거나 시각차신뢰구간이 제1,2 웹브라우저간에 겹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 구별서버(200)는 "알수없음"의 구별정보를 생성하여 회선공유단말 구별요청을 한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만약, 단말 구별서버(200)는 시각차 정보가 있고(S31), 시각차신뢰구간이 일부라도 겹치는 경우에는(S32) 도 8에 도시된 구별정보의 제3방법을 이용하여 "동일" 또는 "다름"의 구별정보를 생성하여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한다(S34).
(실시예)
각 웹브라우저의 소속 단말을 구별하기 위한 실시예를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하였을 뿐 다른 실시예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시각차를 이용한 각 웹브라우저의 소속 단말 구별)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다.
<HTTP 트래픽 복사 >
단말(100a)에서 구동되고 있는 웹브라우저가 웹 서버(40)로 HTTP요청을 발생시키는 경우, HTTP 요청이 미러부(31)를 통과하며, HTTP요청은 미러부(31)에 의해 필터부(32)로 복사된다. HTTP 요청을 수신한 필터부(32)는 HTTP 요청을 HTTP 간섭서버(33)로 전송한다. 물론, 단말(100a)에 의해 발생된 모든 상향트래픽은 미러부(31)에 의해 필터부(32)로 복사된다. 따라서 필터부(32)는 모든 상향트래픽을 검사하여 상향 HTTP 트래픽만을 HTTP 간섭서버(33)로 전송한다.
<HTTP 간섭패킷 전송>
필터부(32)로부터 HTTP 트래픽을 수신한 HTTP 간섭서버(33)는 HTTP 트래픽으로부터 "HTTP GET 요청"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HTTP GET 요청"인 경우에 시각차측정요청을 포함하는 HTTP 통신 간섭패킷을 단말(100a)의 웹브라우저에게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HTTP GET 요청"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HTTP GET 요청의 실시예
GET / HTTP/1.1
Accept: */*
Host: www.daum.net
Cookie: ID=IE-01
"HTTP GET 요청"에 대한 HTTP 통신 간섭패킷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HTTP 통신 간섭패킷의 실시예
HTTP/1.1 200 OK
Content-Type: text/html

<html>
<head>
<meta http-equiv="pragma" content="no-cache">
</head>
<body>
<form name="origin" method="get" action="http://www.daum.net"></form>
<script>
function checkTimeGapTrigger1 (t1) {
var script= document.createElement("script");
script.type= 'text/javascript';
script.src= 'http://time.isp.net/tgc1.php?t1='+t1;
document.getElementsByTagName('head')[0].appendChild(script);
}
var t1= new Date().getTime();
checkTimeGapTrigger1 (t1);
</script>
</body>
</html>
<시각차 측정>
HTTP 간섭서버(33)에 의해 HTTP 통신 간섭패킷을 수신한 단말(100a)의 웹브라우저는 단말 구별서버(200)에게 자신의 시각을 측정한 제1시각을 포함하여 제1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전송한다. 제1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수신한 단말 구별서버(200)는 자신의 시각을 측정한 제2시각과 제1시각을 포함하여 단말(100a)의 웹브라우저에게 제2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전송한다. 제2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수신한 단말(100a)의 웹브라우저는 자신의 시각을 측정한 제3시각과 제1시각 및 제2시각을 포함하여 단말 구별서버(200)에게 제3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전송한다. 제3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수신한 단말 구별서버(200)는 자신의 시각을 측정한 후(제4시각) 제1,2,3 시각차를 계산 및 검증하여 최종 기준 시각차를 도출한다. 또한, 단말 구별서버(200)는 단말(100a)의 웹브라우저에게 본래의 웹사이트(즉, 단말(100a)이 최초에 접속하고자 했던 외부 웹 서버(40))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전환요청 패킷을 전송한다.
단말(100a)이 단말 구별서버(200)로 전송하는 "제1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은 다음과 같다.
제1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의 실시예
GET tgc1.php?t1=1423831828993100 HTTP/1.1
Accept: */*
Host: time.isp.net
Cookie: ID=IE-01
t1은 웹브라우저가 구동되고 있는 단말(100a) 자신의 시각을 측정한 제1시각이다.
단말 구별서버(200)가 단말(100a)로 전송하는 "제2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은 다음과 같다.
제2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의 실시예
HTTP/1.1 200 OK
Content-Type: text/javascript

function checkTimeGapTrigger2 (t1,t2,t3) {
var script= document.createElement("script");
script.type= 'text/javascript';
script.src= 'http://time.isp.net/tgc2.php?t1='+t1+’&t2=’+t2+’&t3=’+t3;
document.getElementsByTagName('head')[0].appendChild(script);
}
var t1= 1423831828993100;
var t2= 1423831828995100;
var t3= new Date().getTime();
checkTimeGapTrigger2(t1,t2,t3);
t1은 웹브라우저가 구동되고 있는 단말(100a) 자신의 시각을 측정한 제1시각이고, t2는 단말 구별서버(200)가 제1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전송받음에 따라 자신의 시각을 측정한 제2시각이다.
단말(100a)이 단말 구별서버(200)로 전송하는 "제3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은 다음과 같다.
제3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의 실시예
GET tgc2.php?t1=1423831828993100&t2=1423831828995100&t3=1423831828993110
HTTP/1.1
Accept: */*
Host: time.isp.net
Cookie: ID=IE-01
t1은 웹브라우저가 구동되고 있는 단말(100a) 자신의 시각을 측정한 제1시각이고, t2는 단말 구별서버(200)가 제1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전송받음에 따라 자신의 시각을 측정한 제2시각이고, t3은 제2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전송받은 단말(100a)이 자신의 시각을 측정한 제3시각이다.
한편, 제3차 시각차측정요청 패킷을 수신한 단말 구별서버(200)는 자신의 시각을 측정한(제4시각) 후, 제1시각과 제2시각의 차이값인 제1시각차, 제2시각과 제 3시각의 차이값인 제2시각차, 제3시각과 제4시각의 차이값인 제3시각차를 산출한다. 따라서 제1,2,3 시각차가 도출된다. 이러한 시각차를 검증하기 위해 상술한 시각차 검증 제1,2,3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고 여기서는 제3방법(전송지연시간 및 처리지연시간을 고려)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시각차와 제3시각차의 차이가 제1기준(+20 ~ -20milliseconds)의 범위에 있고(전송지연시간이 특별히 지연되지 않았고 일반적인 것으로 판단), “제1시각차와 제3시각차의 평균값"과 제2시각차의 차이가 제2기준(+50 ~ -50milliseconds)의 범위에 있는 경우(단말의 처리지연시간이 특별히 지연되지 않았고 일반적인 것으로 판단), "제1시각차와 제3시각차의 평균값"을 기준 시각차로 할 수 있다.
한편, 단말 구별서버(200)는 단말(100a)의 웹브라우저가 본래의 웹사이트로 전환될 수 있도록 전환요청 패킷을 웹브라우저가 구동되고 있는 단말(100a)에게 전송한다.
전환요청 패킷의 실시예
HTTP/1.1 200 OK
Content-Type: text/javascript

origin.submit();
<시각차 정보 생성>
단말 구별서버(200)는 제1,2,3 시각차를 검증하여 기준 시각차를 도출한 후, IP주소, ID(식별코드), 기준 시각차(이하 TGV), 시각차 시간당 변동(이하 TGD), 시각차신뢰구간 시점(이하 STIME) 및 시각차신뢰구간 종점(이하 ETIME)을 포함하는 시각차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기준 시각차는 당해 웹브라우저의 기준 시각차가 된다. "시각차 정보"에 대한 일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IP 주소 식별ID TGV TGD STIME ETIME
1.1.1.1 IE-01 9600 40 Sat, 01 Jan 2015 09:00:00 GMT Sat, 01 Jan 2015
13:30:00 GMT
1.1.1.1 FIREFOX-01 4500 45 Sat, 01 Jan 2015 09:30:00 GMT Sat, 01 Jan 2015
14:30:00 GMT
1.1.1.1 CHROM-01 9650 45 Sat, 01 Jan 2015 10:30:00 GMT Sat, 01 Jan 2015
15:00:00 GMT
상술한 시각차 정보는 후술하는 구별정보 생성시 시각차신뢰구간을 이용하기 때문에 시각차신뢰구간의 시점 및 종점이 포함된 것이고(구별방법의 제3방법),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에 맞는 정보가 추가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시각차 정보 생성은 대략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이루어진다. "해당하는 시각차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당해 웹브라우저에 대한 "신규 시각차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하는 시각차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시각차신뢰구간인지를 판단하며, 시각차신뢰구간이 맞다면 상술한 표 7에 기재된 당해 웹브라우저의 시각차 정보를 갱신하고(따라서 시각차신뢰구간이 확장됨), 시각차신뢰구간이 아니라면 해당 시각차 정보를 초기화하여 다시 처음부터 시각차신뢰구간의 시점 및 종점을 기록하게 된다.
여기서, “해당하는 시각차 정보”란, TGV 측정 대상인 웹브라우저의 단말(100a)의 IP 주소와 단말 구별서버(200), HTTP 간섭서버(33), 및 상위 시스템 중 어느 하나가 웹브라우저에게 발행한 HTTP 쿠키(상술한 표 5의 최하단 코드 참조)로 전달되는 식별ID(식별코드)가 일치하는 시각차 정보를 말한다.
또한, "신규 시각차 정보 생성"이란, IP 주소를 웹브라우저가 구동되는 단말의 공인 IP로 하고, 식별ID를 당해 식별ID로 하고, TGV를 측정한 TGV로 하고, TGD를‘0’으로 하고, STIME과 ETIME을 현재시각으로 하여 시각차 정보를 신규 생성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해당 시각차 정보 갱신"이란, 해당 시각차 정보의 TGV를 최후 측정 TGV로 하고, TGD를 "해당 시각차 정보의 TGV, TGD, STIME 및 ETIME과 측정 TGV를 참조"하여 재계산한 TGD로 하고, ETIME을 현재시각으로 하여 해당 시각차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해당 시각차 정보 초기화"란, 해당 시각차 정보의 TGV를 측정 TGV로 하고, TGD를 ‘0’으로 하고, STIME과 ETIME을 현재시각으로 하여 해당 시각차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말한다.
상술한 갱신되는 시각차 정보에 의해 시각차신뢰구간(STIME ~ ETIME)을 확장하거나 초기화할 수 있으며, 각 웹브라우저마다 생성되는 시각차 정보에 의해 후술하는 구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웹브라우저의 소속 단말을 구별하는 구별정보 생성>
단말 구별서버(200)는 상술한 표 7과 같은 시각차 정보를 기준으로 3가지의 웹브라우저(IE-01, FIREFOX-01, CHROM-01)의 소속 단말을 구별하는 구별정보를 제공한다. 상위 시스템(일예로 동일 공유기에 물려있는 초과 단말을 파악하기 위한 시스템)이 "회선공유단말 구별요청"을 전송하면, 단말 구별서버(200)는 "해당하는 시각차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며, 해당하는 시각차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시각차신뢰구간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며, 해당하는 시각차 정보가 없거나 시각차신뢰구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알수없음"을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시각차신뢰구간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추정 TGV가 당해 TGV의 기 설정된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며, 범위내에 있다면 "동일"을 전송하고, 범위내에 있지 않다면 "다름"을 전송한다. 한편, 상술한 시각차신뢰구간의 일치 여부 및 추정 TGV에 의한 구별방법은 상술한 제3방법에 해당하며, 이러한 예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제1,2방법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회선공유단말 구별요청"이란, 상위 시스템이 웹브라우저의 회선공유단말의 구별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써, 표 7의 시각차 정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1.1.1.1”의 인터넷회선에서 식별ID(식별코드)가 “IE-01”인 웹브라우저와 식별ID가 “FIREFOX-01”인 웹브라우저가 동일한 회선공유단말에서 구동되는 것인지(구별정보 : "동일"), 각각 다른 회선공유단말에서 구동되는 것인지(구별정보 : "다름"), 아니면 알 수 없는 것인지(구별정보 : "알수없음)의 구별정보를 요청하는 것이다.
한편, 표 7의 시각차 정보의 식별ID가‘IE-01’과 ‘FIREFOX-01’인 두 웹브라우저를 기준으로 회선공유단말의 구별정보를 살펴보면, 두 웹브라우저 식별ID에 해당하는 시각차신뢰구간의 시점과 종점은 “우편일치”한다(도 7 참조). 따라서, 두 웹브라우저가 구동되는 회선공유단말이 동일한 것인지 또는 다른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웹브라우저 “IE-01”의 TGD 40의 속도에 따라 웹브라우저 “FIREFOX-01”의 TGV를 추정하면 9640으로, 웹브라우저 “FIREFOX-01”의 TGV 일반기준(예, +100 ~ -100 milliseconds) 범위(4400 ~ 4600milliseconds)에 부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두 웹브라우저가 구동되는 회선공유단말은 서로 달라 단말 구별서버(200)는 상위 시스템에 “다름”을 전송한다.
또한, 시각차 정보의 식별ID가 ID‘IE-01’과 ‘CHROM-01’인 두 웹브라우저를 기준으로 회선공유단말의 구별정보를 살펴보면, 두 웹브라우저의 식별ID에 해당하는 시각차신뢰구간의 시점과 종점은 “우편일치”한다. 따라서 두 웹브라우저가 구동되는 회선공유단말이 동일한 것인지 또는 다른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웹브라우저 “IE-01”의 TGD 40의 속도에 따라 웹브라우저 “CHROM-01”의 TGV를 추정하면 9660으로, 웹브라우저 “CHROM-01”의 TGV 일반기준(예, +100 ~ -100 milliseconds) 범위(9550 ~ 9750milliseconds)에 부합한다. 또한, 웹브라우저 “CHROM-01”의 TGD 45의 속도에 따라 웹브라우저 “IE-01”의 TGV를 추정하면 9582.5로, 웹브라우저 “IE-01”의 TGV 일반기준 범위(9500 ~ 9700milliseconds)에 부합한다. 따라서 두 웹브라우저가 구동되는 회선공유단말은 동일하여 단말 구별서버(200)는 상위 시스템에 “동일”을 전송한다. 이렇게 순차적으로 신규 생성되는 웹브라우저를 이미 비교한 기존의 웹브라우저와 상호 비교함으로써 "알수없음", "동일", "다름"의 3가지의 구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당해 웹브라우저가 어느 회선공유단말의 소속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선공유단말의 구별장치는 웹브라우저가 회선공유단말(100) 중 어디에 소속되는지를 구별하는 구별정보를 제공하는 발명의 일실시예이다. 따라서 웹브라우저의 회선공유단말 구별정보가 필요한 다양한 요구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공유기(21)를 통해 동일 회선을 사용하는 단말(100)의 초과 사용단말을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웹브라우저의 식별ID 발행, 초과사용단말 검출, 초과사용단말의 웹브라우저 사용 제한에 대한 구성 및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1 : IP 공유기
22 : ISP 접속망
23 : 라우터
24 : 스위치
31 : 트래픽 미러부
32 : HTTP 트래픽 필터부
33 : HTTP 간섭서버
40 : 웹 서버
100 : 회선공유단말
100a : 제1 단말
100b : 제2 단말
100c : 제3 단말
110 : 패킷 분석부
120 : 시각차 측정부
121 : 시각 측정부
122 : 시각차측정 요청부
200 : 단말 구별서버
210 : 패킷 분석부
220 : 시각차 측정부
221 : 시각 측정부
222 : 시각차측정 요청부
223 : 시각차 계산부
230 : 시각차 검증부
240 : 시각차 신뢰구간 생성부
250 : 시각차 정보 생성부
260 : 구별정보 생성부

Claims (15)

  1. 동일 회선을 공유하는 회선공유단말의 클라이언트와 HTTP 통신 패킷을 통해 시각차를 측정하여 상기 회선공유단말의 각 클라이언트마다 시각차 정보를 생성하는 시각차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시각차 정보를 기초로 각 클라이언트가 복수의 회선공유단말 중 동일 단말 소속인지 또는 서로 다른 단말 소속인지를 구별하는 구별정보를 생성하는 구별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공유단말 구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에 의해 서버의 시각을 측정하고, 상기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에 포함된 시각과 측정된 상기 서버의 시각을 바탕으로 시각차를 계산하는 시각차 측정부, 및
    획득된 복수의 시각차를 바탕으로 시각차를 검증함으로써 기준 시각차를 추출하는 시각차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공유단말 구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차 검증부는,
    일방향 시각차 측정 또는 양방향 시각차 측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시각차를 이용하여 시각차를 검증하며,
    상기 일방향 시각차 측정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버로 전송한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만에 의해 시각차가 누적 측정되며,
    상기 양방향 시각차 측정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버로 전송한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과 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한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에 의해 시각차가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공유단말 구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시각차 측정시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버로 전송한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소속의 회선공유단말의 측정 시각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양방향 시각차 측정시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버로 전송한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소속의 회선공유단말의 측정 시각 정보 및 상기 서버의 측정 시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한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소속의 회선공유단말의 측정 시각 정보와 상기 서버의 측정 시각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공유단말 구별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별정보 생성부는,
    제1 클라이언트의 기준 시각차와 제2 클라이언트의 기준 시각차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구별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시각차 신뢰구간과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시각차 신뢰구간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구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공유단말 구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기준 시각차를 서로 비교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클라이언트의 각각의 기준 시각차를 서로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구별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복수의 클라이언트의 각각의 기준 시각차의 값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구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공유단말 구별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시각차 신뢰구간을 서로 비교하는 경우에는,
    제1 클라이언트의 시각차 신뢰구간과 제2 클라이언트의 시각차 신뢰구간이 겹치지 않는 경우와 시각차 신뢰구간이 적어도 일부 겹치는 경우로 나누어서 서로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공유단말 구별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선공유단말은 공유기를 통해 서로 동일한 IP 주소를 사용하며,
    상기 회선공유단말의 클라이언트는 HTTP 통신 프로토콜을 따르는 인터넷 웹 브라우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공유단말 구별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차 정보는,
    IP 주소, 상기 클라이언트마다 부여된 식별ID, 및 상기 기준 시각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공유단말 구별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동일 회선을 공유하는 회선공유단말의 클라이언트가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로 접속을 요청하면 인터넷 회선의 상향 트래픽을 복사하는 트래픽 미러부,
    복사된 트랙픽으로부터 HTTP 트래픽을 통과시키는 HTTP 트래픽 필터부,
    상기 HTTP 트래픽을 전송받아 상기 회선공유단말의 클라이언트에게 시각차측정요청을 포함하는 HTTP 통신 간섭패킷을 전송하는 HTTP 간섭서버, 및
    상기 시각차측정요청에 따라 상기 회선공유단말의 클라이언트와 HTTP 통신 패킷을 통해 시각차를 측정하여 시각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시각차 정보를 기초로 각 클라이언트가 복수의 회선공유단말 중 어디 소속인지를 구별하는 상기 구별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공유단말 구별 장치.
  11. 회선공유단말의 클라이언트에게 시각차측정요청을 포함하는 HTTP 통신 간섭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HTTP 통신 간섭패킷에 상응하여 상기 회선공유단말과 서버간의 시각차를 복수회에 걸쳐 측정하는 단계,
    획득된 복수의 시각차를 바탕으로 시각차를 검증함으로써 기준 시각차를 추출하고, 상기 기준 시각차에 기초하여 시각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각차 정보를 기초로 각 클라이언트가 복수의 회선공유단말 중 동일 단말 소속인지 또는 서로 다른 단말 소속인지를 구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공유단말 구별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차를 복수회에 걸쳐 측정하는 단계는,
    일방향 시각차 측정 또는 양방향 시각차 측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시각차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공유단말 구별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시각차 측정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버로 전송한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만에 의해 상기 시각차가 측정되며,
    상기 양방향 시각차 측정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버로 전송한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과 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한 시각차측정요청 HTTP 패킷에 의해 시각차가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공유단말 구별 방법.
  14. 제 11 항에서,
    상기 구별하는 단계는,
    제1 클라이언트의 기준 시각차와 제2 클라이언트의 기준 시각차를 서로 비교하여 구별하거나,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시각차 신뢰구간과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시각차 신뢰구간을 서로 비교하여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공유단말 구별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차 정보는,
    IP 주소, 상기 클라이언트마다 부여된 식별ID, 및 상기 기준 시각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공유단말 구별 방법.
KR1020150136109A 2015-09-25 2015-09-25 회선 공유 단말 구별 장치 KR20160113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109A KR20160113959A (ko) 2015-09-25 2015-09-25 회선 공유 단말 구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109A KR20160113959A (ko) 2015-09-25 2015-09-25 회선 공유 단말 구별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940A Division KR101616402B1 (ko) 2015-03-23 2015-03-23 회선공유단말 구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959A true KR20160113959A (ko) 2016-10-04

Family

ID=57165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109A KR20160113959A (ko) 2015-09-25 2015-09-25 회선 공유 단말 구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395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7338A (ko) 2009-04-24 2010-11-03 플러스기술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 단말인증 및 보안방법
KR101047997B1 (ko) 2010-12-07 2011-07-13 플러스기술주식회사 네트워크 패킷을 이용한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1087291B1 (ko) 2011-06-22 2011-11-29 플러스기술주식회사 인터넷을 사용하는 모든 단말을 구분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7338A (ko) 2009-04-24 2010-11-03 플러스기술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 단말인증 및 보안방법
KR101047994B1 (ko) 2009-04-24 2011-07-13 플러스기술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 단말인증 및 보안방법
KR101047997B1 (ko) 2010-12-07 2011-07-13 플러스기술주식회사 네트워크 패킷을 이용한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1087291B1 (ko) 2011-06-22 2011-11-29 플러스기술주식회사 인터넷을 사용하는 모든 단말을 구분하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87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 control to web applications and identification of web browsers
US10104124B2 (en) Analysis rule adjustment device, analysis rule adjustment system, analysis rule adjustment method, and analysis rule adjustment program
US8656284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quality of user experience while performing activities in IP networks
US8838820B2 (en) Method for embedding meta-commands in normal network packets
US11347879B2 (en) Determining the relative risk for using an originating IP address as an identifying factor
US20100268524A1 (en) Method For Modeling User Behavior In IP Networks
US20230319142A1 (en) Emulation of cloud computing service regions
WO2018094654A1 (zh) 一种vpn传输隧道调度方法、装置以及vpn客户端服务器
WO2016119600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ebugging network connectivity
EP3682595B1 (en) Obtaining local area network diagnostic test results
Zhu et al. Measuring the latency and pervasiveness of TLS certificate revocation
KR101518472B1 (ko) 인터넷 접속 요청을 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인터넷 접속 요청 트래픽으로부터 동일한 공인 ip를 이용하는 사설 네트워크상의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단말 중에서 추가 비지정 도메인 네임을 구비한 웹서버에 의해 선별된 디바이스의 대수를 검출하는 방법 및 공인 ip 공유 상태의 디바이스의 선별적인 검출 시스템
Bajpai et al. Measuring the effects of happy eyeballs
US11381446B2 (en) Automatic segment naming in microsegmentation
US20180227763A1 (en) Internet connection device, central management server, and internet connection method
KR101616402B1 (ko) 회선공유단말 구별 장치
Bajpai et al. A longitudinal view of dual-stacked websites—failures, latency and happy eyeballs
Li et al. A case study of ipv6 network performance: Packet delay, loss, and reordering
KR101518470B1 (ko) 인터넷 접속 요청을 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인터넷 접속 요청 트래픽으로부터 동일한 공인 ip를 이용하는 사설 네트워크상의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단말 중에서 웹서버에 의해 선별된 디바이스의 대수를 검출하는 방법 및 공인 ip 공유 상태의 디바이스의 선별적인 검출 시스템
WO2019116370A1 (en) Echo detection of man-in-the-middle lan attacks
KR20160113959A (ko) 회선 공유 단말 구별 장치
US10225177B2 (en) Network proxy detection
TW201608850A (zh) 用於自共用公開ip位址之網際網路請求訊務偵測用戶端數量之方法及系統
López et al. Effective analysis of secure web response time
JP4980396B2 (ja) トラヒック特性計測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