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997B1 - 네트워크 패킷을 이용한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및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패킷을 이용한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및 처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7997B1 KR101047997B1 KR1020100124205A KR20100124205A KR101047997B1 KR 101047997 B1 KR101047997 B1 KR 101047997B1 KR 1020100124205 A KR1020100124205 A KR 1020100124205A KR 20100124205 A KR20100124205 A KR 20100124205A KR 101047997 B1 KR101047997 B1 KR 1010479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packet
- server
- authentication
- interne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4510 cooky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1702 transmitte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3702 immature single positive T cell Anatomy 0.000 claims 4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81—Prox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2—Capturing of monitoring data
- H04L43/028—Capturing of monitoring data by filte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authentication of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authentication of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a packet data network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41—Billing record details, i.e. parameters, identifiers, structure of call data record [CD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43—Billing software det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70—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 H04M15/765—Linked or grouped accounts, e.g. of users or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70—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 H04M15/765—Linked or grouped accounts, e.g. of users or devices
- H04M15/7652—Linked or grouped accounts, e.g. of users or devices shared by us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03—Architecture for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32—Metric aspects
- H04L12/1435—Metric aspects volume-bas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72—Virtual private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6—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 H04L63/168—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above the transport layer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상기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의 지역 노드 및 센터 노드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단말 인증 방법의 전체 수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단말 인증 방법에 있어서, 쿠키(Cookie) 형태의 단말 식별 값을 단말에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단말 인증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 삽입된 쿠키 형태의 단말 식별 값을 읽어 들여 분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단말 인증 방법에 있어서, 쿠키(Cookie) 형태의 단말 식별 값을 단말에 삽입하는 과정과 단말에 삽입된 쿠키 형태의 단말 식별 값을 읽어 들여 분석하는 과정을 각 케이스별 예를 들어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의 단말 관리 방법의 수행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유무선 공유기와 허브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공유 기능이 포함된 VPN 장비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2는 추가 회선을 차단하는 경우 웹 차단 공지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쿠키 형태의 단말 식별 값이 포함된 HTTP 요청 메시지의 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쿠키 형태의 단말 식별 값을 단말에 삽입하는 HTTP 응답 메시지의 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5)
- 광대역 망에 연결되어 인터넷을 사용하는 모든 회선 가입자의 트래픽을 모니터링 및 분석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에 있어서, 하나의 인터넷 회선에 여러 단말을 공유하는 단말을 구분하고 관리하기 위한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은,
가입자의 트래픽을 분석하여 공유기 사용자를 검출하는 관리 서버,
공유기 사용자와 사용 대수를 판단하는 과금 서버,
마케팅 데이터를 제공하는 중앙 서버,
인증정보를 관리하고, 연동하는 중앙 인증 G/W 서버,
고객 DB를 관리하고, 연동하는 프락시 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관리 서버의 공유기 사용자 검출을 위한 구성은,
인터넷을 사용하는 모든 가입자의 식별을 위한 가입자 회선 인증부,
HTTP의 GET 패킷을 검출하는 패킷 수집부,
웹 페이지를 요청하는 GET 패킷의 헤더를 분석하는 1차 패킷 분석부,
단말에 식별 값을 삽입할 수 있도록 웹 페이지를 요청하는 GET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식별 패킷 전송부,
웹 페이지의 Element를 요청하는 GET 패킷을 분석하는 2차 패킷 분석부,
특정 Element를 요청할 수 있게끔 웹 페이지의 Element를 요청하는 GET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Element 패킷 전송부,
단말을 분석/구분/관리하기 위한 가입자 인증 데이터, IP 및 URL, 단말 식별 값을 포함하는 모든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부,
하나의 회선에 여러 단말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단말 및 단말 대수를 판단하기 위한 단말 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회선 인증부는,
인증구간의 망가입자의 경우 해당IP가 누구인지 알 수 있는 IP-ID, IP-Mac 정보를 관리하는 통합인증 시스템과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IP-ID, IP-Mac, IP-CMMac를 중앙 인증 G/W 서버에 수집/관리하고,
미인증구간의 망가입자의 경우 라우터, 스위치, L3, L2, DHCP의 특정장비에 관리되고 있는 IP-Mac, Port-Mac을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인증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장비명-Mac의 형태로 중앙 인증 G/W 서버에 수집/관리하고,
중앙 인증 G/W 서버에 저장된 인증데이터를 IP 대역으로 분류, 특정 단말의 트래픽이 해당 백본망에 설치된 관리 서버로 미러링되는 환경에서 인증정보를 구분하여 해당 관리 서버의 인증 처리 엔진에 전송하고,
전송받은 인증데이터를 관리 서버의 인증처리엔진에서 관리하는 메모리에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해당 트래픽이 들어왔을 때 실시간으로 인증정보를 응답할 수 있도록 준비하며,
미러링을 통해 트래픽이 들어온 사용자의 패킷을 분석하여 IP를 추출, 관리 서버의 인증처리엔진의 인증정보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인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수집부는,
모니터링 되고 있는 모든 트래픽 중 분석에 필요한 GET 패킷만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패킷 분석부는,
웹 페이지를 요청하는 GET 패킷의 헤더를 분석하는 섹션으로,
a) 수집된 패킷에 대해 상기 가입자 회선 인증부의 인증정보와 상기 데이터 관리부가 관리하는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이전에 단말 식별 값을 삽입했던 단말인지 판단하여 결과에 따라 식별 값을 삽입할 수 있도록 식별 패킷 전송부로 처리 과정을 넘기고,
b) 상기 패킷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GET 패킷의 헤더를 추출하여, 단말 식별 값을 분석하고, 결과에 따라 본 처리 과정을 종료하며, 단말이 요청한 웹 페이지 내의 Element 요청에 대한 GET 패킷을 분석하는 2차 패킷 분석부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패킷 전송부는,
단말에 식별 값을 삽입할 수 있도록 GET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섹션으로,
a) 생성할 패킷 헤더의 쿠키(Cookie)에 단말 식별 값을 삽입하고, 해당 단말이 본래 요청하고자 하는 목적지 주소(Destination IP 혹은 URL)로 재요청될 수 있도록 패킷 Body에 웹 브라우저가 해석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및 HTML로 작성한 구문을 삽입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와는 달리, 클라이언트 혹은 서버 쪽의 스크립트에 의해 단말 식별 값을 쿠키로 삽입하도록 작성한 웹 페이지의 URL를 호출할 수 있도록, 생성할 패킷 Body에 웹 브라우저가 해석할 수 있는 언어로 작성한 구문을 삽입하는 단계,
c) 상기 a 혹은 b 단계를 거쳐 생성된 응답 패킷을 해당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d) 이후 해당 단말 관리를 위해 상기 데이터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데이터에 해당 단말에 대한 인증정보, 단말 식별 값 관리를 위한 정보를 추가하는 단계,
e) 응답 패킷을 수신한 단말의 웹 브라우저가 패킷을 분석하여, 단말 식별 값을 웹 브라우저가 참조하는 OS의 쿠키 정보가 저장된 위치에 삽입한 후 본래 요청하고자 했던 서버로 재요청하거나 혹은, 상기 b 단계의 작성된 웹 페이지의 URL로 접속한 후 단말 식별 값을 쿠키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 방법을 이용하는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인증정보와, 본래 요청한 목적지 서버 혹은 특정 웹 페이지 주소에 대한 IP 및 URL 정보, 단말 식별 값을 하나의 셋(Set)으로 엮어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패킷 분석부는,
웹 페이지의 Element를 요청하는 GET 패킷을 분석하는 섹션으로,
a) 1차 패킷 분석부에서 분석된 단말인지 분석하고,
b) Element 패킷 전송부에 의한 GET 패킷인지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단말에서 특정 Element가 요청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Element 패킷 전송부로 처리 과정을 넘기고,
c) 패킷 헤더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단말 식별 값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패킷 전송부로 처리 과정을 넘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lement 패킷 전송부는,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이미지,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CSS, 플래시(Flash)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의 Element들을 요청하는 GET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생성하는 섹션으로,
a) 어떤 Element를 요청하는 GET 패킷인지 분석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분석 결과에 따라 응답 패킷을 생성하며, 해당 단말이 본래 요청하고자 하는 Element를 재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구문과 함께, 특정 URL의 Element를 요청할 수 있도록, 웹 브라우저가 해석할 수 있는 언어로 작성한 구문을 생성하여 응답 패킷의 Body에 삽입하는 단계,
c) 생성된 응답 패킷을 해당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d) 응답 패킷을 수신한 단말의 웹 브라우저가 패킷을 분석하여, 본래 요청하고자 했던 Element와 특정 URL의 Element를 재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 방법을 이용하는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하나의 인터넷 회선에 여러 단말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환경 내의 각 단말과 사용 중인 단말의 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공유기 사용자를 검출하기 위한 상기 관리 서버는,
인터넷에 연결된 단말이 인터넷 접속시 HTTP 헤더의 쿠키(Cookie) 값의 추출 및 분석을 위해, 단말이 인터넷을 사용할 때, 단말 식별 값이 HTTP의 헤더 또는 패킷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도록 웹 브라우저가 참조하는 OS의 레지스트리 값 또는 설정 파일 또는 그 외 쿠키 정보가 저장된 위치를 포함하여 OS가 쿠키 값을 참조하는 모든 매체에 단말 식별 값을 삽입하며,
삽입/분석 기술로는 첫째, 특정 도메인을 가지는 사이트에 접속시 해당 사이트에서 삽입한 것처럼 상기 단말의 쿠키에 단말 식별 값을 삽입하고 이를 다시 읽어 들여 분석하는 기술,
둘째, 도메인 설정이 없고 불특정 도메인에 접속을 하여도 상기 단말이 접속하고자 했던 해당 불특정 사이트에서 삽입한 것처럼 단말 식별 값을 삽입하고 이를 다시 읽어 들여 분석하는 기술,
셋째, 특정/불특정 사이트이든 간에 처음에 한번 심어 놓은 사이트가 있다면, 다른 사이트를 접속해도 상기 시스템에서는 처음 사이트에 심어놓은 쿠키를 읽어들이고 분석하는 기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와 과금 서버는 트래픽을 분석하기 위한 지역 노드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 서버, 중앙 인증 G/W 서버, 그리고 프락시 서버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여러 위치에 구성된 각 지역 노드를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는 센터 노드로 구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는 해당 지역의 인터넷 가입자가 발생시킨 트래픽 양에 따라 1대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락시 서버는 ISP로부터 인터넷 가입자 정보 즉, 고객정보 DB와 지역 노드별 가입자 IP 대역을 연동 받으며, 가입자에 대해 인터넷 회선 가입, 인터넷 회선 해지, 추가 단말 서비스 가입, 추가 단말 서비스 해지 등의 이력을 실시간으로 연동 받는 것과 과금 서버로부터 수집한 공유기 사용자 이력 정보를 ISP 업체로 전달하고,
상기 중앙 인증 G/W 서버는 ISP 업체의 인증 시스템과 연동하여 인터넷 가입자의 인증정보를 연동 받아 각 지역 노드의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 서버는 과금 서버로부터 수집한 공유기 사용자 이력 정보를 바탕으로 공유기 사용자 고객 DB 관리, CRM 페이지를 ISP 측에 제공하며, 공유 대상자 즉, 공지전송 대상자를 선정하여 공지정책을 책정하고,
상기 과금 서버는 해당 지역 노드에서 관할하는 가입자의 고객정보 DB를 프락시 서버로부터 연동 받아, 지역 노드 고객 DB를 업데이트하며, 중앙 서버로부터 공지정책을 수집, 관리 서버로부터 공유기 사용자 이력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중앙 인증 G/W 서버로부터 인터넷 가입자의 인증정보를 수집, 과금 서버로부터 공지정책 수집하고, 가입자의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여 공유기 사용자를 검출하고, 과금 서버로부터 수집한 공지정책을 기준으로 공유기 사용자에 대해 공지전송을 하며, 검출한 공유기 사용자 이력 정보를 과금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 광대역 망에 연결되어 인터넷을 사용하는 모든 회선 가입자의 트래픽을 모니터링 및 분석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에 있어서, 하나의 인터넷 회선에 여러 단말을 공유하는 단말을 관리하기 위한 공유 단말 처리 방법은,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을 통해 공유기 사용 유무를 판단하여 공유기 사용자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공유기 사용자들의 평균 사용 단말 대수를 일정 기간 조사하여 공유 대상자를 선별하는 단계,
선별된 공유 대상자에 대해 추가 단말 서비스 가입을 요청하는 3단계의 공지를 전송하는 단계,
공유 대상자가 추가 단말 서비스 가입을 요청하는 경우 추가 단말 서비스 가입 신청을 받는 단계,
공유 대상자가 추가 단말 서비스 가입을 거부하는 경우 해당 공유 회선에 대해 인터넷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단말 처리 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공유기 사용자들의 평균 사용 단말 대수를 일정 기간 조사하여 공유 대상자를 선별하는 단계는,
최근 회선 사용일을 기준으로 과거 일정 기간 동안 평균 공유 단말 대수를 산출하여 대상자 선별을 위한 기준 정책을 수립하여 해당 사용자를 공유 대상자로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단말 처리 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단말 서비스 가입을 요청하는 3단계의 공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1단계, 약관 위배에 따른 추가 공유 단말 사용을 알리고 추가 단말 서비스 가입을 권유하는 공지를 발송하는 홍보 공지 단계와,
2단계, 인터넷 차단 일자를 고지하고 해당 기간 내 추가 단말 서비스 가입을 권유하는 공지를 발송하는 제제 공지 단계와,
3단계, 기본 가입 회선 및 기본 추가 제공되는 1회선을 제외한 나머지 공유 단말에 대해 차단 안내 공지를 발송하는 차단 공지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단말 처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4205A KR101047997B1 (ko) | 2010-12-07 | 2010-12-07 | 네트워크 패킷을 이용한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및 처리 방법 |
US13/992,631 US9270567B2 (en) | 2010-12-07 | 2011-12-05 | Shared terminal identification system using a network packet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
CN201180067015.4A CN103493435B (zh) | 2010-12-07 | 2011-12-05 | 使用网络分组的共享终端标识系统及其处理方法 |
CA2820720A CA2820720C (en) | 2010-12-07 | 2011-12-05 | Shared terminal identification system using a network packet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
PCT/KR2011/009351 WO2012077944A2 (ko) | 2010-12-07 | 2011-12-05 | 네트워크 패킷을 이용한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및 처리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4205A KR101047997B1 (ko) | 2010-12-07 | 2010-12-07 | 네트워크 패킷을 이용한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및 처리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47997B1 true KR101047997B1 (ko) | 2011-07-13 |
Family
ID=4492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4205A KR101047997B1 (ko) | 2010-12-07 | 2010-12-07 | 네트워크 패킷을 이용한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및 처리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9270567B2 (ko) |
KR (1) | KR101047997B1 (ko) |
CN (1) | CN103493435B (ko) |
CA (1) | CA2820720C (ko) |
WO (1) | WO2012077944A2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7246B1 (ko) * | 2011-08-03 | 2012-07-02 | 플러스기술주식회사 | Ip 주소를 공유하는 단말을 검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WO2013162262A1 (ko) * | 2012-04-23 | 2013-10-31 | 줌인터넷 주식회사 | 패킷미러링을 이용한 검색대상 식별정보 수집 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1459641B1 (ko) * | 2014-02-27 | 2014-11-13 | (주)컨피테크 | 무선통신 이용자의 가상인격분석에 따른 맞춤형 식별콘텐츠표시시스템 및 맞춤형 식별콘텐츠표시방법 |
KR20150112285A (ko) * | 2014-03-27 | 2015-10-07 | 플러스기술주식회사 | 인터넷 주소를 이용한 단말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
WO2015167146A1 (ko) * | 2014-04-30 | 2015-11-05 | 플러스기술주식회사 | 브라우저 종류를 이용한 공유 단말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
WO2015174742A1 (ko) * | 2014-05-14 | 2015-11-19 | 주식회사 플랜티넷 | 인터넷 접속 요청을 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인터넷 접속 요청 트래픽으로부터 동일한 공인 ip를 이용하는 사설 네트워크상의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디바이스 대수를 검출하는 방법 및 공인 ip 공유 상태 검출 시스템 |
KR101616402B1 (ko) | 2015-03-23 | 2016-04-28 | 주식회사 제이넷 | 회선공유단말 구별 장치 |
WO2015194829A3 (ko) * | 2014-06-16 | 2016-05-19 | 주식회사 플랜티넷 | 인터넷 접속 요청을 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인터넷 접속 요청 트래픽으로부터 동일한 공인 ip를 이용하는 사설 네트워크상의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단말 중에서 추가 비지정 도메인 네임을 구비한 웹서버에 의해 선별된 디바이스의 대수를 검출하는 방법 및 공인 ip 공유 상태의 디바이스의 선별적인 검출 시스템 |
KR20160113959A (ko) | 2015-09-25 | 2016-10-04 | 주식회사 제이넷 | 회선 공유 단말 구별 장치 |
KR20180070324A (ko) * | 2016-12-16 | 2018-06-26 | 주식회사 수산아이앤티 | 단말의 식별 방법 및 그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984163B (zh) * | 2012-12-06 | 2015-09-30 | 华为技术有限公司 | 控制同一ip地址的多个主机访问网络的方法及系统 |
US10742601B2 (en) * | 2013-03-14 | 2020-08-11 | Fortinet, Inc. | Notifying users within a protected network regarding events and information |
CN104580074B (zh) * | 2013-10-14 | 2018-08-24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客户端应用的登录方法及其相应的服务器 |
KR101550015B1 (ko) * | 2013-11-25 | 2015-09-07 | 플러스기술주식회사 | 픽셀태그를 이용한 공유단말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
CN103763125A (zh) * | 2013-12-27 | 2014-04-30 | 北京集奥聚合科技有限公司 | 运营商网络实际用户数的统计方法和装置 |
CN104933058B (zh) * | 2014-03-18 | 2018-09-11 | 北京学之途网络科技有限公司 | 一种监测网络访问活动的方法和系统 |
US10504148B2 (en) | 2014-05-23 | 2019-12-10 | Qualcomm Incorporated | Peer-to-peer relaying of discovery information |
US10142847B2 (en) | 2014-05-23 | 2018-11-27 | Qualcomm Incorporated | Secure relay of discovery information in wireless networks |
CN105228126B (zh) | 2014-05-30 | 2019-10-22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网络接入点托管的方法及系统 |
KR102303984B1 (ko) * | 2015-06-22 | 2021-09-2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기기의 가입 방법 및 장치 |
CN104954488B (zh) * | 2015-06-30 | 2018-12-25 |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 一种网络访问控制方法、分发服务器及网络访问系统 |
CN104954489B (zh) * | 2015-06-30 | 2019-02-12 |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 一种访问网络的方法、代理服务器及网络访问系统 |
CN105050069B (zh) * | 2015-06-30 | 2019-03-01 |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智能汽车的网络监控方法及智能汽车 |
US10819639B2 (en) * | 2015-11-05 | 2020-10-27 | Soosan Int Co., Ltd. | Method for managing shared terminal and device therefor |
CN105897829A (zh) * | 2015-11-30 | 2016-08-24 |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 信息共享、信息推送的方法及装置 |
CN106230874A (zh) * | 2016-04-01 | 2016-12-14 | 深圳市联软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业务访问方法、装置及系统 |
CN106790383B (zh) * | 2016-11-23 | 2019-09-27 |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 访问人数确定方法及装置 |
CN111787025B (zh) * | 2020-07-23 | 2022-02-22 | 迈普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 加解密处理方法、装置、系统以及数据保护网关 |
CN114070707A (zh) * | 2020-11-10 | 2022-02-18 | 北京市天元网络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互联网性能监控方法及系统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3215B1 (ko) * | 2004-06-02 | 2006-11-10 | 플러스기술주식회사 | 네트워크장치 분석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88352B1 (ko) | 2004-12-28 | 2006-06-09 | 주식회사 케이티 | 아이피 공유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
JP2007013684A (ja) * | 2005-06-30 | 2007-01-18 | Toshiba Corp | 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データ端末装置 |
KR100692762B1 (ko) | 2005-08-23 | 2007-03-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0724731B1 (ko) * | 2005-08-23 | 2007-06-04 |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 Ip 주소를 공유하는 통신 단말들을 검출하는 가입자 관리시스템 및 방법 |
KR20070114917A (ko) | 2006-05-30 | 2007-12-05 | 박영환 | 금박이 부착된 도기타일의 제조 방법 및 그 도기타일 |
KR100960152B1 (ko) * | 2007-10-24 | 2010-05-28 | 플러스기술주식회사 | 네트워크상의 복수 단말을 검출하여 인터넷을 허용 및차단하는 방법 |
-
2010
- 2010-12-07 KR KR1020100124205A patent/KR10104799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
- 2011-12-05 WO PCT/KR2011/009351 patent/WO2012077944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12-05 US US13/992,631 patent/US9270567B2/en active Active
- 2011-12-05 CA CA2820720A patent/CA2820720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12-05 CN CN201180067015.4A patent/CN10349343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3215B1 (ko) * | 2004-06-02 | 2006-11-10 | 플러스기술주식회사 | 네트워크장치 분석시스템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7246B1 (ko) * | 2011-08-03 | 2012-07-02 | 플러스기술주식회사 | Ip 주소를 공유하는 단말을 검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WO2013162262A1 (ko) * | 2012-04-23 | 2013-10-31 | 줌인터넷 주식회사 | 패킷미러링을 이용한 검색대상 식별정보 수집 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1459641B1 (ko) * | 2014-02-27 | 2014-11-13 | (주)컨피테크 | 무선통신 이용자의 가상인격분석에 따른 맞춤형 식별콘텐츠표시시스템 및 맞춤형 식별콘텐츠표시방법 |
KR20150112285A (ko) * | 2014-03-27 | 2015-10-07 | 플러스기술주식회사 | 인터넷 주소를 이용한 단말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
KR101591934B1 (ko) * | 2014-03-27 | 2016-02-18 | 플러스기술주식회사 | 인터넷 주소를 이용한 단말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
WO2015167146A1 (ko) * | 2014-04-30 | 2015-11-05 | 플러스기술주식회사 | 브라우저 종류를 이용한 공유 단말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
WO2015174742A1 (ko) * | 2014-05-14 | 2015-11-19 | 주식회사 플랜티넷 | 인터넷 접속 요청을 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인터넷 접속 요청 트래픽으로부터 동일한 공인 ip를 이용하는 사설 네트워크상의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디바이스 대수를 검출하는 방법 및 공인 ip 공유 상태 검출 시스템 |
WO2015194829A3 (ko) * | 2014-06-16 | 2016-05-19 | 주식회사 플랜티넷 | 인터넷 접속 요청을 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인터넷 접속 요청 트래픽으로부터 동일한 공인 ip를 이용하는 사설 네트워크상의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단말 중에서 추가 비지정 도메인 네임을 구비한 웹서버에 의해 선별된 디바이스의 대수를 검출하는 방법 및 공인 ip 공유 상태의 디바이스의 선별적인 검출 시스템 |
KR101616402B1 (ko) | 2015-03-23 | 2016-04-28 | 주식회사 제이넷 | 회선공유단말 구별 장치 |
KR20160113959A (ko) | 2015-09-25 | 2016-10-04 | 주식회사 제이넷 | 회선 공유 단말 구별 장치 |
KR20180070324A (ko) * | 2016-12-16 | 2018-06-26 | 주식회사 수산아이앤티 | 단말의 식별 방법 및 그 장치 |
KR101891706B1 (ko) | 2016-12-16 | 2018-08-24 | 주식회사 수산아이앤티 | 단말의 식별 방법 및 그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493435B (zh) | 2017-04-19 |
WO2012077944A2 (ko) | 2012-06-14 |
WO2012077944A9 (ko) | 2012-09-13 |
CA2820720A1 (en) | 2012-06-14 |
CA2820720C (en) | 2017-05-23 |
CN103493435A (zh) | 2014-01-01 |
US20130254394A1 (en) | 2013-09-26 |
WO2012077944A3 (ko) | 2013-01-03 |
US9270567B2 (en) | 2016-0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7997B1 (ko) | 네트워크 패킷을 이용한 공유 단말 구분 시스템 및 처리 방법 | |
Chaabane et al. | Censorship in the wild: Analyzing Internet filtering in Syria | |
US9204293B2 (en) |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ata retention and lawful intercept for law enforcement agencies | |
KR101010302B1 (ko) | Irc 및 http 봇넷 보안 관제를 위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7801985B1 (en) | Data transfer for network interaction fraudulence detection | |
CN102859934B (zh) | 网络可接入计算机服务的接入管理和安全保护系统和方法 | |
CN102239673B (zh) | 剖析电信网络中的数据业务的方法和系统 | |
CN105516165B (zh) | 一种识别计费欺诈的非法代理的方法、设备及系统 | |
US10015676B2 (en) | Detecting fraudulent traffic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 |
CN101711470A (zh) | 一种用于在对等网络上创建共享信息列表的系统和方法 | |
KR20080005502A (ko) | 공개-액세스 네트워크의 사용자를 접속시키는 것을포함하는 네트워크 운영 및 정보 처리에 대한 시스템 및방법 | |
US9729563B2 (en) | Data transfer for network interaction fraudulence detection | |
CN102291459A (zh) | 网络服务基础设施系统和方法 | |
CN102055813A (zh) | 一种网络应用的访问控制方法及其装置 | |
KR20100040631A (ko) | 트래픽을 분석하여 nat 사용 여부 판단 및 공유대수 분석 및 검출방법과 그에 따른 사설 네트워크 하에서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pc를 선별적으로허용 및 차단하는 방법 | |
US11516257B2 (en) | Device discovery for cloud-based network security gateways | |
CN102857388A (zh) | 云探安全管理审计系统 | |
US11399288B2 (en) | Method for HTTP-based access point fingerprint and classification using machine learning | |
KR100724731B1 (ko) | Ip 주소를 공유하는 통신 단말들을 검출하는 가입자 관리시스템 및 방법 | |
CN102271331B (zh) | 一种检测业务提供商sp站点可靠性的方法及系统 | |
KR101087291B1 (ko) | 인터넷을 사용하는 모든 단말을 구분하는 방법 및 시스템 | |
US942617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entralized policy programming and distributive policy enforcement | |
US9806940B1 (en) | Device metering | |
CN110311927B (zh) | 数据处理方法及其装置、电子设备和介质 | |
KR20060007538A (ko) | Dns를 이용한 선택적 인터넷 접속 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