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894A - 플랜지 결합형 파일 - Google Patents
플랜지 결합형 파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13894A KR20160113894A KR1020150040218A KR20150040218A KR20160113894A KR 20160113894 A KR20160113894 A KR 20160113894A KR 1020150040218 A KR1020150040218 A KR 1020150040218A KR 20150040218 A KR20150040218 A KR 20150040218A KR 20160113894 A KR20160113894 A KR 201601138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 flange portion
- shaft
- sections
- upper flang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 결합형 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를 이루며, 수직으로 장방향으로 배치되는 샤프트부; 샤프트부의 상부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로어 플랜지부; 샤프트부의 하부의 일부분을 수용하며, 일부분의 외부면에 고정되도록 부착되는 커플링부; 및 커플링부의 하단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어퍼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접합 부위의 내식성이 강화되며, 이러한 접합 부위의 뒤틀림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랜지 결합형 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파일을 길이 방향으로 결합하도록, 샤프트의 표면상에 제공되는 플랜지를 복수 개의 구획으로 경사지도록 분할하여, 파일이 상호 접합시키도록 하는 플랜지 결합형 파일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소구경 파일 공법의 경우, 주로 구조물 기초 공사시에 작업 공간의 여유가 부족하거나 도심지 내 대구경 파일 공법의 작업 환경이 여의치 않은 경우에 주로 적용되는 것이다.
소구경 파일 공법은 신설 기초 공사를 포함하여, 지하 구조물의 재선설 및 기존 기초의 보강은 물론이며, 최근에는 교량의 기초 지지력 보강이나 내진 보강시에 적용되기도 한다.
소구경 파일 공법은 말뚝(샤프트)의 성능과 적용 범위가 매우 다양하여, 모든 지반에 걸쳐 적용이 가능하며, 타 공법 등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등으로 인하여 유럽을 중심으로 구조물 보강의 용도로서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일본과 미국의 경우 역시, 지진에 대한 기존 구조물의 내진 보강용으로 주목받고 있는 실정이다.
소구경 파일의 대표적인 종류로는 마이크로 파일과 헬리컬 파일이 있다.
도 1은 종래 마이크로 파일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2는 종래 헬리컬 파일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마이크로 파일(10)은 커플러(13)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주 몸체를 이루어 수직 하중이 가해지는 스레드바(11)는 외주면 상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두 개의 스레드바(11)는 커플러(13) 체결되어 상호 접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헬리컬 파일은 원형 강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들 강관(21)은 상하로 맞댄 상태로 커플러(22)가 이들 맞댄 부분을 감싸게 되고, 핀(23, 24)을 통해 상호 고정된다.
그리고, 범용적인 형태로서, 파이프의 접합에 대한 종래 기술들을 소개하면, 대표적으로는 "파이프 이음 플랜지(특허 출원 번호 제10-2003-0014325호, 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선행기술 1은 분할 플랜지(600)가 제 1 플랜지(300)와 마주 접합되되, 제 2 플랜지(500)를 가압하도록 하여, 제1 및 제 2 파이프(100, 200)의 결합이 이루어 지도록 하여, 분할 플랜지(600)의 분해를 통해, 제 1 및 제 2 파이프(100, 200)의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파이프 연결용 슬리브형 플랜지(특허 출원 번호 제10-2011-0036231호, 이하 '선행기술2'라 한다)"가 있는데, 선행기술2는 상호 마주 접합되는 제1플랜지(302) 및 제2플랜지(306); 원통 형상의 슬리브(304); 가스킷(308); 및 볼트(310)와 너트(312)의 결합에 의해 제 1 및 제 2 플랜지(302, 306)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기존 플랜지 연결방식 대비 제작비의 절감 및 이음부의 절단이나 휘어짐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파이프 플랜지의 결합 구조(실용 신안 출원 번호 제20-2008-0002212호, 이하 '선행기술3'라 한다)"가 존재하는데, 이는 파이프(1)의 단부에 플랜지(2)를 결합하고, 파이프(1)에 끼워지는 플랜지(2)의 내경에는 파이프(1) 방향으로 개선면(3)을 형성하여 이러한 내측으로는 용접부(4)를 형성하여, 파이프가 플랜지에 삽입되는 형식으로 용접되는바, 용접의 시간이 단축되며, 작업 능률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들 종래 기술 및 선행기술들은 가공비의 증가와 구조적인 안정성에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핀의 결합으로 체결되는 헬리컬 파일은 강관의 기계적인 강도를 저하시키며, 마이크로 파일은 그 몸체를 이루는 스레드바(11)의 가공으로 인한 비용 증가의 문제가 존재하였으며, 수직의 가압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 저하는 물론 연결부의 유격에 의한 수평 변위가 증가되는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결합형 파일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공비의 절감과 동시에 구조적으로 안정한 연결방식을 가지는 파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결합형 파일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결합형 파일은 몸체를 이루며, 수직으로 장방향으로 배치되는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상부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로어 플랜지부; 상기 샤프트부의 하부의 일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일부분의 외부면에 고정되도록 부착되는 커플링부; 및 상기 커플링부의 하단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어퍼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결합형 파일의 상기 로어 플랜지부는, 복수 개의 구획으로 분할되며, 인접하는 구획은 상호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샤프트부의 상부의 외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플링부는, 하단부가 복수 개의 구획으로 분할되어, 인접하는 하단부의 구획이 상호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어퍼 플랜지부는, 복수 개의 구획으로 분할되며, 상시 커플링부의 구획되고 경사진 하단부의 외부면 각각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어 플랜지부와 평행하게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결합형 파일의 상기 로어 플랜지부 및 상기 어퍼 플랜지부는, 각각 짝수 개의 구획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결합형 파일의 상기 로어 플랜지부 및 상기 어퍼 플랜지부는, 인접하는 짝수 개의 구획들은 각각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결합형 파일의 상기 샤프트부는, 원형 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결합형 파일의 상기 로어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어퍼 플랜지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샤프트부의 길이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결합형 파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연결 부위인, 샤프트의 양 종단이 커플러 내에 삽입되어 상호 접합되는바, 접합 부위의 내식성이 강화되며, 이러한 접합 부위의 뒤틀림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아래 측에 배치된 샤프트와 위쪽에 배치된 샤프트는 종전과 같은 수평한 플랜지를 통해 접합되지 않고, 플랜지가 복수 개의 구획으로 분할되어, 이들 분할된 플랜지의 구획들이 상호 대칭하는 방향으로 각도가 구비되는바, 상측 샤프트와 아래쪽 샤프트의 뒤틀림이 방지되어, 접합 부분의 좌굴 안정성 및 수평 지지력까지 개선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마이크로 파일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2는 종래 헬리컬 파일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결합형 파일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측에서 어퍼 플랜지부와 커플링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커플링부를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어퍼 플랜지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커플링부의 정면과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3의 상측에서 샤프트부와 로어 플랜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서 샤프트부와 로어 플랜지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로어 플랜지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샤프트부와 로어 플랜지부의 접합부분을 도시한 부분 정면도 및 부분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결합형 파일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측에서 어퍼 플랜지부와 커플링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커플링부를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어퍼 플랜지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커플링부의 정면과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3의 상측에서 샤프트부와 로어 플랜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서 샤프트부와 로어 플랜지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로어 플랜지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샤프트부와 로어 플랜지부의 접합부분을 도시한 부분 정면도 및 부분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결합형 파일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결합형 파일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결합형 파일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측에서 어퍼 플랜지부와 커플링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커플링부를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어퍼 플랜지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커플링부의 정면과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3의 상측에서 샤프트부와 로어 플랜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서 샤프트부와 로어 플랜지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로어 플랜지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샤프트부와 로어 플랜지부의 접합부분을 도시한 부분 정면도 및 부분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부(110); 로어 플랜지부(140); 커플링부(120); 및 어퍼 플랜지부(13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먼저, 샤프트(shaft)부(110)는 본 발명의 주요 몸체를 이루며, 수직으로 가해지는 하중의 대부분을 떠받드는 구성이다.
샤프트부(110)는 수직하게 장방향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파일(pile)의 몸체인데,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관로가 형성된 강관의 형태로서 제작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한정할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바(bar) 타입의 샤프트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샤프트부(110)는 평단면이 원형을 가지는 것으로 구현하였으나, 타원이나 기타 다각형의 샤프트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반드시 원형의 평단면만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산업 분야의 특수성에 맞추어, 그 평단면은 임의로 설정 가능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로어(lower) 플랜지부(140)는 샤프트부(110)의 상부에 제공되는 구성인데, 샤프트부(110)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 바람직하게는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플랜지이다.
로어 플랜지부(140)는 샤프트부(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되는 복수 개의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들은 그 길이 방향으로 커플링부(120)를 통해 겹겹이 적층되는 구조인바, 하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위에 겹쳐서 적층되는 상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을 기준으로 볼 때, 상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어퍼 플랜지부(130)의 하면에 접촉되어 볼트 및 너트 등으로 체결되는 구성인바, 로어 플랜지부(140)로 명명하기로 한다.
로어 플랜지부(140)의 경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구획으로 분할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어퍼 플랜지부(130)의 간략한 설명 후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샤프트부(110)의 하부에는 커플링부(120)가 제공될 수 있다. 커플링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의 형태로 제공되는데, 이는 샤프트부(110)가 강관의 형태이든 바(bar) 타입이든 상관 없이, 강관의 형태로 제작되어, 커플링부(120)의 상측의 내부 관로에는 샤프트부(120)의 하부 종단의 일부를 수용하게 된다.
커플링부(120)는 샤프트부(110)의 하부 종단의 일부를 수용하는 방식으로는 두 가지로 상정할 수 있는데, 첫째로는 커플링부(120)가 샤프트부(120)와 별개로 분리된 상태로 제작된 후, 샤프트부(110)의 외주면에 커플링부(120)의 내주면이 슬라이딩되는 상태로, 샤프트부(110)의 하부 종단의 일부가 커플링부(1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용접 등으로 견고히 부찰되는 것이다. 두번째로는 샤프트부(110)와 커플링부(120)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도록 주조(casting)되어 제작될 수 있다.
커플링부(140)는 상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이 하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 상에 적층될 경우, 하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샤프트부(110)의 상부 종단이 일부분을 삽입한다.
상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과 하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이 커플링부(120)를 통해 적층되는 경우에는 상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샤프트부(110)의 하부 종단이 상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커플링부(120)에 삽입되는 길이와, 상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커플링부(120)에 하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샤프트부(110)의 상부 종단이 삽입되는 길이의 합은 상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커플링부(120)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해야 할 것이다.
어퍼 플랜지부(130)는 커플링부(120)의 하단의 외부면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이다.
어퍼 플랜지부(130)는 샤프트부(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되는 복수 개의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들은 그 길이 방향으로 커플링부(120)를 통해 겹겹이 적층되는 구조인바, 하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위에 겹쳐서 적층되는 상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을 기준으로 볼 때, 하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로어 플랜지부(140)의 상면에 접촉되어 볼트 및 너트 등으로 체결되는 구성인바, 어퍼 플랜지부(130)로 명명하기로 한다.
먼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로어 플랜지부(140); 및 어퍼 플랜지부(130)는 각각 복수 개의 구획으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에 배치된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로어 플랜지부(140)에, 상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로어 플랜지부(130)가 맞닿아 체결되어야 하는바, 이들 구획되는 로어 플랜지부(140); 및 어퍼 플랜지부(130)는 동일한 개수와 동일한 수평적 위치 상에 구획되어야 하며, 구획된 부분의 각도 또한 상호 대응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로어 플랜지부(140)와 어퍼 플랜지부(130)는 복수 개, 바람직하게는 짝수 개의 구획으로 분할되되, 이들 구획된 부분들 중 인접하는 것들은 상호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이들 로어 플랜지부(140)와 어퍼 플랜지부(130)는 이들이 각각 배치되는 샤프트부(110); 및 커플링부(120)의 외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야 한다.
보다 자세한 이해를 위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는 어퍼 플랜지부(130)가 커플링부(12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데, 이러한 어퍼 플랜지부(130)는 평면을 기준으로 두 개의 영역 즉, 도면 부호 131과 132의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이렇게 나뉜 두 영역(131, 132)은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두 영역(131, 132)의 플랜지는 커플링부(120)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하여 돌출되되, 상호 상이한 각도로 뒤틀려 배치된다.
이에 따라, 이들 두 영역(131, 132)이 뒤틀린 앵글을 가지는 것에 상응하도록, 커플링부(120)의 하단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영역으로 나뉘어 각각 경사진 하단부(131', 132' 참조)를 가지게 된다.
로어 플랜지부(140)의 구획과 그 각도의 형성을 위하여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 바람직하게는 짝수 개 즉, 두 개의 구획으로 분할되었으며, 이러한 구획된 영역(141, 142)은 상호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구획된 영역(141, 14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을 기준으로 상이한 방향으로 뒤틀린 각도를 가지는데, 이러한 뒤틀린 각도는 상술한 바와 같은 어퍼 플랜지부(130)의 구획된 영역(131, 132)의 뒤틀린 각도와 상응하여야 한다. 이는, 로어 플랜지부(140)의 구획된 영역(141, 142) 상에 어퍼 플랜지부(130)의 구획된 영역(131, 132)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접합되어 볼트 및 너트 등으로 체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로어 플랜지부(140)의 구획된 영역(141, 142) 들은 샤프트부(110)의 측면에서 도 9와 같은 접합 부분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이 하부의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 상에 겹겹이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는바, i) 상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커플링부(120)의 내부 관로 속에 하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샤프트부(110)의 상단부를 삽입하도록 적층되며, ii) 상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어퍼 플랜지부(130)와 하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로어 플랜지부(140)가 상호 접합됨과 동시에, iii) 상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어퍼 플랜지부(130)와 하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로어 플랜지부(140)가 상호 볼트 및 너트 등으로 체결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상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커플링부(120)의 내부 관로 속에 하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샤프트부(110)의 상단부를 삽입할 때, 상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샤프트부(110) 하단면과 하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샤프트(110) 상단면이 맞닿음과 동시에, 이들 상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어퍼 플랜지부(130)와 하부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의 로어 플랜지부(140)가 상호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하나의 플랜지 결합형 파일(100)을 기준으로 할 때, 로어 플랜지부(140)로부터 어퍼 플랜지부(130)까지의 거리는 샤프트부(110)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종래 마이크로 파일
11: 스레드 바(thread bar)
12: 플라스틱 센트럴라이저(plastic centralizer)
13: 커플러(coupler)
20: 종래 헬리컬 파일
21: 강관
22: 커플러
23, 24: 핀
100: 본 발명에 따른, 플렌지 결합형 파일
110: 샤프트부
120: 커플링부
130: 어퍼 플렌지부
140: 로어 플렌지부
11: 스레드 바(thread bar)
12: 플라스틱 센트럴라이저(plastic centralizer)
13: 커플러(coupler)
20: 종래 헬리컬 파일
21: 강관
22: 커플러
23, 24: 핀
100: 본 발명에 따른, 플렌지 결합형 파일
110: 샤프트부
120: 커플링부
130: 어퍼 플렌지부
140: 로어 플렌지부
Claims (6)
- 몸체를 이루며, 수직으로 장방향으로 배치되는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상부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로어 플랜지부;
상기 샤프트부의 하부의 일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일부분의 외부면에 고정되도록 부착되는 커플링부; 및
상기 커플링부의 하단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어퍼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결합형 파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플랜지부는,
복수 개의 구획으로 분할되며, 인접하는 구획은 상호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샤프트부의 상부의 외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플링부는,
하단부가 복수 개의 구획으로 분할되어, 인접하는 하단부의 구획이 상호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어퍼 플랜지부는,
복수 개의 구획으로 분할되며, 상시 커플링부의 구획되고 경사진 하단부의 외부면 각각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어 플랜지부와 평행하게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결합형 파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플랜지부 및 상기 어퍼 플랜지부는,
각각 짝수 개의 구획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결합형 파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플랜지부 및 상기 어퍼 플랜지부는,
인접하는 짝수 개의 구획들은 각각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결합형 파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는,
원형 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결합형 파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어퍼 플랜지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샤프트부의 길이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결합형 파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0218A KR20160113894A (ko) | 2015-03-23 | 2015-03-23 | 플랜지 결합형 파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0218A KR20160113894A (ko) | 2015-03-23 | 2015-03-23 | 플랜지 결합형 파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3894A true KR20160113894A (ko) | 2016-10-04 |
Family
ID=57165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0218A KR20160113894A (ko) | 2015-03-23 | 2015-03-23 | 플랜지 결합형 파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13894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4325A (ko) | 2001-05-08 | 2003-02-15 |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 작업기계, 작업기계의 고장진단시스템, 작업기계의메인티넌스시스템 |
KR20080002212U (ko) | 2006-12-22 | 2008-06-26 | 김태호 | 컴퓨터 선 통합체 |
KR20110036231A (ko) | 2009-10-01 | 2011-04-07 | 곽순이 | 인명 구조용 이동식 에어 매트리스 |
-
2015
- 2015-03-23 KR KR1020150040218A patent/KR2016011389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4325A (ko) | 2001-05-08 | 2003-02-15 |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 작업기계, 작업기계의 고장진단시스템, 작업기계의메인티넌스시스템 |
KR20080002212U (ko) | 2006-12-22 | 2008-06-26 | 김태호 | 컴퓨터 선 통합체 |
KR20110036231A (ko) | 2009-10-01 | 2011-04-07 | 곽순이 | 인명 구조용 이동식 에어 매트리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54106B1 (ko) | 파일 결합장치 | |
JP5746809B2 (ja) | 補強棒 | |
KR101505957B1 (ko) |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 |
AU2018214548A1 (en) | Mechanical coupling for mechanical and structural tubing | |
KR102065742B1 (ko) | 강관 파일 연결구 | |
KR100584014B1 (ko) | 철근 연결구 | |
KR102104021B1 (ko) | 강관 연결장치 | |
JP6253630B2 (ja) | 合成セグメント、リング及び沈設構造物 | |
KR20160113894A (ko) | 플랜지 결합형 파일 | |
KR101552321B1 (ko) |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방법 | |
JP7187707B2 (ja) | 風力タービンのための支持構造 | |
JP6503496B2 (ja) | 杭頭接合構造 | |
JP2007040086A (ja) | 鋼管の連結構造 | |
CN212026826U (zh) | 一种新型钢管束 | |
JP6470699B2 (ja) | 杭の接続構造 | |
JP6641907B2 (ja) | 鋼管のカプラー構造 | |
CN219930949U (zh) | 一种混凝土管桩变截面机械啮合接头 | |
JP2021036115A (ja) | 杭頭部の接合構造および杭頭接合方法 | |
JP5954679B2 (ja) | 杭の無溶接継ぎ手 | |
KR101566610B1 (ko) |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 |
JP6344225B2 (ja) | 鋼管杭の継手構造 | |
JP6349056B2 (ja) | 杭頭接合構造 | |
CN213625547U (zh) | 一种地连墙钢筋笼接头 | |
KR102092715B1 (ko) | 강관 연결장치 | |
RU217227U1 (ru) |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шпунт для шпунтового ограждени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