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760A -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촉각교구 - Google Patents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촉각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3760A
KR20160113760A KR1020150039799A KR20150039799A KR20160113760A KR 20160113760 A KR20160113760 A KR 20160113760A KR 1020150039799 A KR1020150039799 A KR 1020150039799A KR 20150039799 A KR20150039799 A KR 20150039799A KR 20160113760 A KR20160113760 A KR 20160113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ereoscopic
image
tactil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다건
Original Assignee
강다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다건 filed Critical 강다건
Priority to KR1020150039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3760A/ko
Publication of KR20160113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7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촉각교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아동의 교구로 사용되는 그림책을 시각장애 아동용으로 변환하여 제작함으로써, 시각장애 아동들에게도 일반아동들과 동등한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현재 널리 보급되고 있는 스캐너 및 3D프린터를 이용하여, 일반아동의 교구로 이용되는 그림책을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장애 아동용 교구를 특별히 구입하지 않더라도, 일반 아동과 동등한 교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선천적으로 시각에 장애가 있는 유아들에 대한 교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소외계측에 있는 시각장애 아동들에 대한 성장과 사회활동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아동교육용 교구 분야, 특히 시각장애 아동용 교구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촉각교구{Picture book making method and system for blind child and tactile teaching tool using the same}
이 발명은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촉각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아동의 교구로 사용되는 그림책을 시각장애 아동용으로 변환하여 제작함으로써, 시각장애 아동들에게도 일반아동들과 동등한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스캐너를 이용하여 일반아동의 교구로 사용되는 그림책을 스캔한 후 영상처리하고, 3D프린터를 이용하여 평면을 기반으로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함으로써, 시각장애 아동들을 위한 다양한 교구들을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는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촉각교구에 관한 것이다.
시각 장애인은 선천적인 경우와 후천적인 경우가 있는데, 후천적으로 시각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는 점자책이나 청각정보를 통해 지속적인 정보의 공유가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선천적으로 시각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사물에 대한 시각정보가 전무한 상태이기 때문에,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유아기 때의 교육이 향후 그 사람의 성장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면, 선천적 시각장애가 있는 유아들의 교육은 그 중요도가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시각장애 아동용 교구로는 특정 사물을 입체적으로 형상화하여 만져보도록 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고, 그마저도 수량이나 종류가 충분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로 인해 시각장애 아동들에 대한 교육에 어려움이 많았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9449호 '점자 그림책 및 이를 포함하는 유아용 학습자료 세트'(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는, 이러한 시각장애 아동용 교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텍스트에 대응하는 점자가 형성되고, 각 페이지에 인쇄된 그림에는 대상인 사물의 표면재질을 모사한 섬유소재가 부착된 교구를 제공함으로써, 일반아동과 시각장애 아동이 함께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경우에도, 해당 교구의 그림에 표현된 사물의 표면재질을 나타내기 위한 섬유소재를 일일이 재단하여 부착해야 하며, 이러한 작업은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바, 해당 교구를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그 수량이나 종류를 충분히 공급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으며, 이로 인해 교구의 구입비용 또한 높아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9449호 '점자 그림책 및 이를 포함하는 유아용 학습자료 세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 발명은 일반아동의 교구로 사용되는 그림책을 시각장애 아동용으로 변환하여 제작함으로써, 시각장애 아동들에게도 일반아동들과 동등한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촉각교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이 발명은 현재 널리 보급되고 있는 스캐너 및 3D프린터를 이용하여, 일반아동의 교구로 이용되는 그림책을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장애 아동용 교구를 특별히 구입하지 않더라도, 일반 아동과 동등한 교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촉각교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발명은 스캐너를 이용하여 일반아동의 교구로 사용되는 그림책을 스캔한 후 영상처리하고, 3D프린터를 이용하여 평면을 기반으로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함으로써, 시각장애 아동들을 위한 다양한 교구들을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는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촉각교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은, 대상이미지를 스캔하여 생성된 스캔이미지를 영상처리하고 객체를 추출 및 확인하는 객체확인단계(단계 S100); 평면을 기반으로 입체감을 나타내는 평면입체정보DB 중, 상기 객체의 평면입체정보를 호출하는 평면입체정보 호출단계(단계 S200); 상기 대상이미지 및 호출된 객체의 평면입체정보에 기초하여, 평면을 기반으로 입체감을 표현한 촉각교구인쇄정보를 생성하는 촉각교구인쇄정보 생성단계(단계 S300); 및 상기 촉각교구인쇄정보에 기초하여, 입체감이 표현된 평면형태의 그림책을 인쇄하는 촉각교구용 그림책 인쇄단계(단계 S4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객체확인단계는, 상기 스캔이미지를 그레이스케일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변환과정; 상기 그레이스케일이미지의 경계선을 추출하는 경계선추출과정; 및 추출된 상기 경계선에 기초하여 객체를 추출하는 객체추출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확인단계는, 상기 객체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추출과정; 추출된 특징점과 객체별 특징점이 저장된 특징점DB를 비교하여 특징점에 대한 매칭률을 확인하는 매칭률확인과정; 및 상기 매칭률에 기초하여, 추출된 객체를 확인하는 객체확인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각교구인쇄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객체의 평면입체정보를 상기 대상이미지 내에서의 객체 형상에 매칭하는 입체정보매칭과정; 및 상기 매칭에 대응하여 상기 대상이미지 내에서의 객체에 대한 인쇄정보를 생성하는 객체인쇄정보 생성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와 평면입체정보DB의 객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입체정보매칭과정은, 두 객체의 외곽선을 매칭하고, 상기 객체인쇄정보 생성과정은, 두 객체의 외곽선 매칭에 대응하여, 상기 평면입체정보DB의 객체에 설정된 입체감을 상기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에 적용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인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와 평면입체정보DB의 객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입체정보매칭과정은, 두 객체의 특징점을 매칭하고, 상기 객체인쇄정보 생성과정은, 두 객체의 특징점 매칭에 대응하여, 상기 평면입체정보DB의 객체에 설정된 입체감을 상기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에 적용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인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입체정보 호출단계는, 상기 평면입체정보DB에 상기 객체의 평면입체정보가 없는 경우, 유사도가 가장 높은 객체의 평면입체정보를 호출하고, 상기 입체정보매칭과정은, 두 객체의 특징점을 매칭하고, 상기 객체인쇄정보 생성과정은, 두 객체의 특징점 매칭에 대응하여, 상기 평면입체정보DB의 객체에 설정된 입체감을 상기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에 적용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인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입체정보DB에 상기 객체의 평면입체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촉각교구인쇄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대상이미지 전체역영에 대한 각 객체별 점유율을 확인하는 점유율확인과정; 및 상기 객체별 점유율에 따라, 각 객체별의 두께를 설정하여 상기 대상이미지 내에서의 객체에 대한 인쇄정보를 생성하는 객체인쇄정보 생성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입체정보DB에 상기 객체의 평면입체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촉각교구인쇄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객체의 경계선 중 직선을 추출하는 직선형 경계선 추출과정; 추출된 직선형 경계선으로부터 소점을 확인하는 소점확인과정; 및 상기 소점으로부터 각 객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각 객체별의 두께를 설정하여 상기 대상이미지 내에서의 객체에 대한 인쇄정보를 생성하는 객체인쇄정보 생성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시스템은, 일반아동용 그림책의 대상이미지를 스캔이미지로 변환하는 스캐너(110); 평면을 기반으로 입체감을 나타내는 객체별 평면입체정보DB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20); 상기 스캐너(110)에 의해 변환된 스캔이미지를 영상처리하여 객체를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확인된 객체의 평면입체정보를 호출한 후, 상기 대상이미지 및 객체의 평면입체정보에 기초하여 촉각교구인쇄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처리모듈(130); 및 상기 영상처리모듈(130)에서 생성된 촉각교구인쇄정보에 따라 촉각교구용 그림책을 인쇄하는 3D프린터(1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모듈(130)은, 상기 스캔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인식부(131); 상기 문자인식부(131)에서 인식된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점자변환부(132); 상기 스캔이미지에 포함된 영상을 인식하는 이미지인식부(133); 상기 이미지인식부(133)에서 인식된 영상을 객체와 배경으로 분리하는 객체추출부(134); 상기 객체추출부(134)에서 분리된 객체를 확인하는 객체확인부(135); 상기 객체확인부(135)에서 확인된 객체의 평면입체정보를 호출하여, 상기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의 형상으로 변환된 평면입체정보를 생성하는 객체입체정보 생성부(136); 및 상기 점자변환부(132)와 객체입체정보 생성부(136)에서 각각 변환 및 생성된 점자와 객체입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합하여, 상기 대상이미지에 대한 촉각교구인쇄정보를 생성하는 촉각교구인쇄정보 생성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는, 객체별 특징점DB를 더 저장하고, 상기 객체확인부(135)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객체별 특징점DB를 호출하여 비교한 후, 매칭률이 가장 높은 객체를 해당 객체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입체정보 생성부(136)는, 상기 객체확인부(135)에서 확인된 매칭률에 대응하여, 상기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와 평면입체정보DB의 객체에 대한 외곽선 및 특징점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인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의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시스템은, 상기 객체입체정보 생성부(136)에서 생성된 인쇄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인쇄정보를 보정하는 이미지보정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 아동용 촉각교구는, 상기의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또는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평면을 기반으로 입체감을 나타내도록 제조된 촉각교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이 발명은 일반아동의 교구로 사용되는 그림책을 시각장애 아동용으로 변환하여 제작함으로써, 시각장애 아동들에게도 일반아동들과 동등한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 발명은 현재 널리 보급되고 있는 스캐너 및 3D프린터를 이용하여, 일반아동의 교구로 이용되는 그림책을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장애 아동용 교구를 특별히 구입하지 않더라도, 일반 아동과 동등한 교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아동용 교구를 제조하는 업체는, 상대적으로 수요가 적은 시각장애 아동용 교구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교육현장에서는 원하는 교육목적에 맞춰 다양한 교구들을 용이하게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시각장애 아동에게 사물에 대한 시각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교구를 제공함에 있어, 이야기(점자)와 그림(입체형상)을 동시에 제공하여, 흥미를 유발시키고 교육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선천적으로 시각에 장애가 있는 유아들에 대한 교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소외계측에 있는 시각장애 아동들에 대한 성장과 사회활동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아동교육용 교구 분야, 특히 시각장애 아동용 교구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 의한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계 'S100'에서 객체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단계 'S100'에서 객체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단계 'S300'에서 호출된 객체를 대상이미지의 객체로 매핑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단계 'S300'에서 촉각교구인쇄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단계 'S300'에서 촉각교구인쇄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이 발명에 의한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난 영상처리모듈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이 발명에 의한 제조된 시각장애 아동용 촉각교구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촉각교구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에 의한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일반아동용 교구로 사용되는 그림책의 특정 페이지(이하 '대상이미지'라 한다)를 스캔하여 생성된 스캔이미지를 영상처리하고 객체를 추출 및 확인한다(단계 S100).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차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 및 텍스트가 있는 페이지를 스캔하여 도 2의 (a)와 같은 스캔이미지가 생성되면, 이를 그레이스케일(흑백)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변환과정을 거쳐 도 2의 (b)와 같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 2의 (b)에 나타난 그레이스케일이미지의 경계선을 추출하는 경계선추출과정을 거치게 되면 도 2의 (c)와 같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노이즈필터링하게 되면 도 2의 (d)와 같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 후, 도 2의 (c) 또는 도 2의 (d)의 이미지와 같이 추출된 경계선에 기초하여 객체를 추출하는 객체추출과정을 수행하면, 사각형 및 그 내부에 나타난 '기차'의 텍스트, 원형 및 그 내부에 나타난 '기차형상' 등을 객체로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객체는 특징점추출과정과 특징점 매칭에 의한 객체확인과정을 통해, 해당 객체가 무엇을 나타내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징점추출과정을 통해 도 3의 (a)와 같이 각 객체의 특징점을 추출한 후, 도 3의 (b)와 같이 추출된 특징점(도 3의 (b)에서 왼쪽의 파란색)과 객체별 특징점(도 3의 (b)에서 오른쪽 녹색)이 저장된 특징점DB를 비교하여 특징점에 대한 매칭률을 확인하는 매칭률확인과정을 수행한 후, 객체확인과정을 통해 확인된 매칭률에 기초하여, 추출된 객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각 과정별 이미지처리를 위한 구체적인 알고리즘(예를 들어, 소스코드)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3의 과정을 거쳐, 대상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확인하게 되면, 평면입체정보DB 중 해당 객체의 평면입체정보를 호출한다(단계 S200). 여기서, 평면입체정보는 평면을 기반으로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는 3차원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평면을 기반으로 입체감을 나타낸다 함은, 평면을 기반으로 하여 특정 객체들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입체정보를 말한다.
예를 들어, 객체별 평면입체정보DB에는 도 4의 (a), (b) 및 (c)의 왼쪽 그림과 같은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각 그림에서 명암 및 색상별로, 평면에서 적층될 두께 및 재질의 표현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평면입체정보DB에 저장된 객체별 평면입체정보는 기준이 되는 특정형상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에 대한 입체정보를 스캔한 대상이미지에 나타난 객체의 형상에 매핑(Mapping)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해당 객체의 평면입체정보를 호출되면, 대상이미지 및 호출된 객체의 평면입체정보에 기초하여, 평면을 기반으로 입체감을 표현한 촉각교구인쇄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300).
보다 구체적으로, 촉각교구인쇄정보 생성단계(단계 S300)는, 객체의 평면입체정보를 대상이미지 내에서의 객체 형상에 매칭하는 입체정보매칭과정과, 매칭에 대응하여 대상이미지 내에서의 객체에 대한 인쇄정보를 생성하는 객체인쇄정보 생성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와 평면입체정보DB의 객체가 동일한 경우, 입체정보매칭과정은 도 4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객체의 외곽선(이하 '경계선'과 혼용함),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곽선의 특징점을 매칭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 형상은 도 4의 (a)에 나타난 오른쪽 그림이며, 하기에 설명될 도 4의 (b) 및 (c)에서도 동일함은 물론이다.
이후, 객체인쇄정보 생성과정에서, 도 4의 (a)와 같은 두 객체의 외곽선 매칭에 대응하여, 평면입체정보DB의 객체에 설정된 입체감을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에 적용하여, 객체에 대한 인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와 평면입체정보DB의 객체가 동일한 경우, 입체정보매칭과정은, 도 4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객체의 특징점을 매칭할 수 있으며, 객체인쇄정보 생성과정에서 두 객체의 특징점 매칭에 대응하여 해당 객체에 대한 인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평면입체정보DB의 객체 중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와 동일한 객체가 없는 경우, 도 1에 나타난 평면입체정보 호출단계(S200)에서, 유사도가 가장 높은 객체의 평면입체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c) 중 오른쪽 그림과 같이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가 표범이고, 표범에 대한 평면입체정보가 없는 경우, 도 4의 (c) 중 왼쪽 그림과 같이 표범과 유사도가 높은 고양이에 대한 평면입체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이후, 두 객체의 특징점을 매칭하여 해당 객체에 대한 인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평면입체정보DB는 데이터의 축적정도에 따라,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와 유사도가 높은 객체도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이러한 경우에서, 해당 객체에 대한 평면입체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예를 들어, 평면입체정보DB에 해당 객체의 평면입체정보가 없는 경우, 촉각교구인쇄정보 생성단계(단계 S300)는, 대상이미지 전체역영에 대한 각 객체별 점유율을 확인하는 점유율확인과정과, 객체별 점유율에 따라 각 객체별의 두께를 설정하여 평면입체정보를 생성하는 평면입체정보 생성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에 나타난 꽃에 대한 평면입체정보가 없는 경우, 외곽선(경계선)으로 구획되는 각 영역의 면적을 산출한 후, 가장 많은 점유율을 갖는 영역(가장 큰 영역)을 허용범위(그림책 페이지로서 허용되는 두께) 내에서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면적이 적어지는 순서에 대응하여 두께를 조절하여, 도 5의 (b)와 같은 평면형태의 그림책 페이지를 인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평면입체정보DB에 상기 객체의 평면입체정보가 없는 경우, 촉각교구인쇄정보 생성단계(단계 S300)는, 객체의 경계선 중 직선을 추출하는 직선형 경계선 추출과정; 추출된 직선형 경계선으로부터 소점을 확인하는 소점확인과정; 및 소점으로부터 각 객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각 객체별의 두께를 설정하여 평면입체정보를 생성하는 평면입체정보 생성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에 나타난 건물들에 대한 평면입체정보가 없는 경우, 외곽선(경계선)들 중 직선을 추출한 후, 평행한 직선들을 제외한 직선들로부터 해당 스캔이미지의 소점(도 6의 (a)에서 양측의 가는 선으로 도시된 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점이 확인되면 해당 소점과의 거리에 따라, 경계선으로 구획된 각 영역들에 대한 두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소점에 의해 객체의 두께를 설정하는 경우, 도 6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영역들의 표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원근감을 표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들에 의해 촉각교구인쇄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촉각교구인쇄정보에 기초하여, 입체감이 표현된 평면형태의 그림책을 인쇄한다(단계 S400).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된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을 제조하는 방법을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이 발명에 의한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시스템은, 스캐너(110), 데이터베이스(120), 영상처리모듈(130) 및 3D 프린터(140)를 포함한다.
스캐너(110)는 일반아동용 그림책의 대상이미지를 스캔이미지로 변환하는 것으로, 현재 널리 보급되고 있는 일반사용자용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0)는 평면을 기반으로 입체감을 나타내는 객체별 평면입체정보DB를 저장하는 것으로, 영상처리모듈(130)이 탑재된 개인용PC에 탑재될 수 있으나, 지속적인 데이터베이스의 축적 및 관리를 위하여, 별도의 서버에 저장된 후,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영상처리모듈(130)이 탑재된 개인용PC와 연동될 수 있다.
영상처리모듈(130)은 스캐너(110)에 의해 변환된 스캔이미지를 영상처리하여 객체를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120)에 확인된 객체의 평면입체정보를 호출한 후, 대상이미지 및 객체의 평면입체정보에 기초하여 촉각교구인쇄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개인용PC에 프로그램형태로 탑재되거나, USB메모리 등 별도의 저장매체를 통해 개인용PC에 설치 또는 연동될 수 있다.
3D프린터(140)는 영상처리모듈(130)에서 생성된 촉각교구인쇄정보에 따라 촉각교구용 그림책을 인쇄하는 것으로, 스캐너(110)와 함께 개인용PC에 연동될 수 있다.
한편, 이 발명의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객체의 형상을 변형시킬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이 발명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미지보정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보정모듈(150)은 영상처리모듈(130),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에서 설명될 도 8의 객체입체정보 생성부(136)에서 생성된 인쇄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해당 인쇄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용PC의 모니터, 마우스 및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첵 제조 시스템에 대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난 영상처리모듈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인식모듈(130)은 문자인식부(131), 점자변환부(132), 이미지인식부(133), 객체추출부(134), 객체확인부(135), 객체입체정보 생성부(136) 및 촉각교구인쇄정보 생성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문자인식부(131)는 스캔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들 중 문자를 인식하는 것으로, 패턴 정합법(Pattern matching) 및 구조 분석법(Structure analysis) 등에 의해 문자를 인식할 수 있으나, 이 발명이 인쇄된 일반아동용 그림책을 대상으로 함을 고려하여 인쇄문자인식에 적합한 패턴 정합법을 이용하여 문자를 인식함이 바람직하다.
점자변환부(132)는 문자인식부(131)에서 인식된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것으로, 변환된 점자는 촉각교구인쇄정보 생성부(137)로 미리 전송되거나 촉각교구인쇄정보 생성부(137)의 요청에 의해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이미지를 인식하여 객체별 평면입체정보인 객체입체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제조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미지인식부(133)에서 스캔이미지에 포함된 영상을 인식하면, 객체추출부(134)가 이미지인식부(133)에서 인식된 영상을 객체와 배경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객체추출부(134)에서 분리된 객체는 객체확인부(135)로 전송하여 해당 객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객체확인부(135)는 확인된 객체의 평면입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0)에 호출하여 객체입체정보 생성부(136)로 전송하고, 객체입체정보 생성부(136)는 객체의 평면입체정보를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의 형상으로 변환(매핑)하여, 해당 대상이미지에 포함된 모든 객체에 대한 평면입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객체입체정보 생성부(136)에서 생성된 객체입체정보는 촉각교구인쇠정보 생성부(137)로 전송될 수 있으며, 촉각교구인쇄정보 생성부(137)는 점자변환부(132)에서 변환된 점자와 객체입체정보 생성부(136)에서 생성된 객체입체정보를 취합하여, 대상이미지 전체에 대한 평면입체정보인 촉각교구인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당 대상이미지에 대응하여 생성된 촉각교구인쇄정보는 3D 프린터(140)를 통해, 도 9와 같은 형태의 교구로 인쇄되어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객체의 특징점을 분석하여 해당 객체를 확인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120)는 객체별 특징점DB를 더 저장할 수 있고, 객체확인부(135)는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객체별 특징점DB를 호출하여 비교한 후, 매칭률이 가장 높은 객체를 해당 객체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객체입체정보 생성부(136)는 객체확인부(135)에서 확인된 매칭률에 대응하여,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와 평면입체정보DB의 객체에 대한 외곽선 및 특징점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여 객체에 대한 인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이 발명에 의한 제조된 시각장애 아동용 촉각교구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상에서 설명된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또는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도 9의 (a) 및 도 9의 (b)와 같은 평면을 기반으로 입체감을 나타내도록 시각장애 아동용 촉각교구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이 발명에서 그림책을 스캔하여 3D프린터(140)로 출력함에 있어, 효율적인 영상처리 및 데이터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는 각종 정보들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으나, 이러한 과정을 특정 업체나 기관에서 수행하기에는 비용이나 데이터 수집기간 등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발명은 이미지보정모듈(150)에 의해 객체의 입체정보를 보정하는 객체입체정보 생성부(136)가, 사용자에 의한 보정결과를 데이터베이스(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에 나타난 촉각교구인쇄정보 생성단계(단계 S300) 이후 또는 촉각교구용 그림책 인쇄단계(단계 S400) 이후에, 입체감이 보정된 객체의 평면입체정보를 평면입체정보DB에 축적하여 저장하는 평면입체정보DB 축적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데이터베이스(120)는 이미 저장된 평면입체정보DB 및 객체별 특징점DB와 더불어, 이미지보정모듈(150)에 의해 현장의 교사(사용자)들에 의해 보정된 입체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누적정보는 이후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되어, 보다 효율적인 촉각교구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 발명의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은, 보급형 스캐너 및 3D프린터와 연동되는 개인용PC에 프로그램으로 탑재되어 처리가능하며, 이에 따라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시스템의 영상처리모듈(130)의 기능을 PC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20)는 개인용PC내부의 저장매체에 저장되거나, 원격지의 서버에 저장되어 개인용PC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한 사각장애 아동용 촉각교구는, 특별한 제조업체에 의해 제조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유아를 교육하는 현장에서 담당 교사들에 의해 제작되어 교육에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이 발명에 의한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촉각교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이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10 : 스캐너 120 : 데이터베이스
130 : 영상처리모듈 131 : 문자인식부
132 : 점자변환부 133 : 이미지인식부
134 : 객체추출부 135 : 객체확인부
136 : 객체입체정보 생성부 137 : 촉각교구인쇄정보 생성부
140 : 3D 프린터 150 : 이미지보정모듈

Claims (15)

  1. 대상이미지를 스캔하여 생성된 스캔이미지를 영상처리하고 객체를 추출 및 확인하는 객체확인단계(단계 S100);
    평면을 기반으로 입체감을 나타내는 평면입체정보DB 중, 상기 객체의 평면입체정보를 호출하는 평면입체정보 호출단계(단계 S200);
    상기 대상이미지 및 호출된 객체의 평면입체정보에 기초하여, 평면을 기반으로 입체감을 표현한 촉각교구인쇄정보를 생성하는 촉각교구인쇄정보 생성단계(단계 S300); 및
    상기 촉각교구인쇄정보에 기초하여, 입체감이 표현된 평면형태의 그림책을 인쇄하는 촉각교구용 그림책 인쇄단계(단계 S400);를 포함하는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확인단계는,
    상기 스캔이미지를 그레이스케일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변환과정;
    상기 그레이스케일이미지의 경계선을 추출하는 경계선추출과정; 및
    추출된 상기 경계선에 기초하여 객체를 추출하는 객체추출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확인단계는,
    상기 객체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추출과정;
    추출된 특징점과 객체별 특징점이 저장된 특징점DB를 비교하여 특징점에 대한 매칭률을 확인하는 매칭률확인과정; 및
    상기 매칭률에 기초하여, 추출된 객체를 확인하는 객체확인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교구인쇄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객체의 평면입체정보를 상기 대상이미지 내에서의 객체 형상에 매칭하는 입체정보매칭과정; 및
    상기 매칭에 대응하여 상기 대상이미지 내에서의 객체에 대한 인쇄정보를 생성하는 객체인쇄정보 생성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와 평면입체정보DB의 객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입체정보매칭과정은,
    두 객체의 외곽선을 매칭하고,
    상기 객체인쇄정보 생성과정은,
    두 객체의 외곽선 매칭에 대응하여, 상기 평면입체정보DB의 객체에 설정된 입체감을 상기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에 적용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인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와 평면입체정보DB의 객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입체정보매칭과정은,
    두 객체의 특징점을 매칭하고,
    상기 객체인쇄정보 생성과정은,
    두 객체의 특징점 매칭에 대응하여, 상기 평면입체정보DB의 객체에 설정된 입체감을 상기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에 적용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인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입체정보 호출단계는,
    상기 평면입체정보DB에 상기 객체의 평면입체정보가 없는 경우, 유사도가 가장 높은 객체의 평면입체정보를 호출하고,
    상기 입체정보매칭과정은,
    두 객체의 특징점을 매칭하고,
    상기 객체인쇄정보 생성과정은,
    두 객체의 특징점 매칭에 대응하여, 상기 평면입체정보DB의 객체에 설정된 입체감을 상기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에 적용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인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입체정보DB에 상기 객체의 평면입체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촉각교구인쇄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대상이미지 전체역영에 대한 각 객체별 점유율을 확인하는 점유율확인과정; 및
    상기 객체별 점유율에 따라, 각 객체별의 두께를 설정하여 상기 대상이미지 내에서의 객체에 대한 인쇄정보를 생성하는 객체인쇄정보 생성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입체정보DB에 상기 객체의 평면입체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촉각교구인쇄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객체의 경계선 중 직선을 추출하는 직선형 경계선 추출과정;
    추출된 직선형 경계선으로부터 소점을 확인하는 소점확인과정; 및
    상기 소점으로부터 각 객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각 객체별의 두께를 설정하여 상기 대상이미지 내에서의 객체에 대한 인쇄정보를 생성하는 객체인쇄정보 생성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10. 일반아동용 그림책의 대상이미지를 스캔이미지로 변환하는 스캐너(110);
    평면을 기반으로 입체감을 나타내는 객체별 평면입체정보DB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20);
    상기 스캐너(110)에 의해 변환된 스캔이미지를 영상처리하여 객체를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확인된 객체의 평면입체정보를 호출한 후, 상기 대상이미지 및 객체의 평면입체정보에 기초하여 촉각교구인쇄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처리모듈(130); 및
    상기 영상처리모듈(130)에서 생성된 촉각교구인쇄정보에 따라 촉각교구용 그림책을 인쇄하는 3D프린터(140);를 포함하는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모듈(130)은,
    상기 스캔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인식부(131);
    상기 문자인식부(131)에서 인식된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점자변환부(132);
    상기 스캔이미지에 포함된 영상을 인식하는 이미지인식부(133);
    상기 이미지인식부(133)에서 인식된 영상을 객체와 배경으로 분리하는 객체추출부(134);
    상기 객체추출부(134)에서 분리된 객체를 확인하는 객체확인부(135);
    상기 객체확인부(135)에서 확인된 객체의 평면입체정보를 호출하여, 상기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의 형상으로 변환된 평면입체정보를 생성하는 객체입체정보 생성부(136); 및
    상기 점자변환부(132)와 객체입체정보 생성부(136)에서 각각 변환 및 생성된 점자와 객체입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합하여, 상기 대상이미지에 대한 촉각교구인쇄정보를 생성하는 촉각교구인쇄정보 생성부(1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는,
    객체별 특징점DB를 더 저장하고,
    상기 객체확인부(135)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객체별 특징점DB를 호출하여 비교한 후, 매칭률이 가장 높은 객체를 해당 객체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입체정보 생성부(136)는,
    상기 객체확인부(135)에서 확인된 매칭률에 대응하여, 상기 대상이미지 내의 객체와 평면입체정보DB의 객체에 대한 외곽선 및 특징점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인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입체정보 생성부(136)에서 생성된 인쇄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인쇄정보를 보정하는 이미지보정모듈(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시스템.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의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또는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4의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평면을 기반으로 입체감을 나타내도록 제조된 촉각교구.
KR1020150039799A 2015-03-23 2015-03-23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촉각교구 KR20160113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799A KR20160113760A (ko) 2015-03-23 2015-03-23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촉각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799A KR20160113760A (ko) 2015-03-23 2015-03-23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촉각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760A true KR20160113760A (ko) 2016-10-04

Family

ID=5716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799A KR20160113760A (ko) 2015-03-23 2015-03-23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촉각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376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384A (ko) 2018-07-10 2020-01-20 주식회사 터치스톤 시각장애인을 위한 이미지의 점자 인쇄 방법
KR20200047975A (ko) * 2018-10-29 2020-05-08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물데이터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11538359B2 (en) 2020-08-10 2022-12-27 SENSEE, Inc. Braille teach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230107463A (ko) * 2022-01-07 2023-07-17 주식회사 릴레이브랜드 감각정보 제공장치
US11727825B2 (en) 2020-08-10 2023-08-15 SENSEE, Inc. Braille teach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449B1 (ko) 2007-03-05 2008-07-30 배화여자대학 산학협력단 점자 그림책 및 이를 포함하는 유아용 학습자료 세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449B1 (ko) 2007-03-05 2008-07-30 배화여자대학 산학협력단 점자 그림책 및 이를 포함하는 유아용 학습자료 세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384A (ko) 2018-07-10 2020-01-20 주식회사 터치스톤 시각장애인을 위한 이미지의 점자 인쇄 방법
KR20200047975A (ko) * 2018-10-29 2020-05-08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물데이터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11538359B2 (en) 2020-08-10 2022-12-27 SENSEE, Inc. Braille teach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1727825B2 (en) 2020-08-10 2023-08-15 SENSEE, Inc. Braille teach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230107463A (ko) * 2022-01-07 2023-07-17 주식회사 릴레이브랜드 감각정보 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3760A (ko) 시각장애 아동용 그림책 제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촉각교구
Choi et al. Visualizing for the non‐visual: Enabling the visually impaired to use visualization
CN105938569B (zh) 用于生成和打印三维条形码的方法和系统
Cavazos Quero et al. Accessible visual artworks for blind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comparing a multimodal approach with tactile graphics
KR101290763B1 (ko) 햅틱전자보드 기반의 시각 장애인용 학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65779A (ko) 시각 장애인에게 시각 정보를 촉각 정보로 전달하는 그래픽 햅틱전자보드 및 방법
CN102110379A (zh) 多媒体增强现实读物
EP3035236A1 (en) Four dimensional code, and four dimensional code-based image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and retrieval system and method
CN103729074A (zh) 一种识别笔迹的装置、系统及方法
CN112164002B (zh) 人脸矫正模型的训练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804989A (zh) 书画装置、书画设备及书画辅助方法
CN110175534A (zh) 基于多任务级联卷积神经网络的授课辅助系统
KR20170064026A (ko) 가상현실, 증강현실 기반의 3차원 실감형 천체교육용 스마트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US20080294400A1 (en) Electronic system with simulated sense perception and method of providing simulated sense perception
KR20130089998A (ko)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N115393872A (zh) 一种训练文本分类模型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879273B1 (ko)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용 전자펜, 그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및 방법
Loomis et al. Functional equivalence of spatial representations from vision, touch, and hearing: Relevance for sensory substitution
KR20200006384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이미지의 점자 인쇄 방법
WO202010536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並びに、画像形成システム
JP454681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ufka et al. Visual to tactile conversion of vector graphics
CN208834516U (zh) 一种方便使用的点读系统
Krufka et al. A user study on tactile graphic generation methods
KR20150067653A (ko) 한자 부수를 이용한 증강현실 한자 학습 교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