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748A -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탐색 - Google Patents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탐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3748A
KR20160113748A KR1020167026194A KR20167026194A KR20160113748A KR 20160113748 A KR20160113748 A KR 20160113748A KR 1020167026194 A KR1020167026194 A KR 1020167026194A KR 20167026194 A KR20167026194 A KR 20167026194A KR 20160113748 A KR20160113748 A KR 20160113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network
data service
requesting
ser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3094B1 (ko
Inventor
커스틴 존슨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13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2Pre-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탐색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며, 본 방법은 머신 상의 명령어로서 실행될 수 있으며, 명령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포함된다. 본 방법은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내의 송신 스테이션이 요청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스테이션은 요청 무선 디바이스에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송신 스테이션은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요청 무선 디바이스 및 서빙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서빙 무선 디바이스 간의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탐색 기간을 제공한다. 애드혹 D2D 네트워크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탐색{OPERATOR-ASSISTED DEVICE-TO-DEVICE(D2D) DISCOVERY}
무선 모바일 통신 기술은 송신 스테이션과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간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다양한 표준 및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일부 무선 통신 기술은 물리 레이어를 통해 원하는 디지털 변조 스킴과 결합된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을 사용한다. OFDM을 사용하는 표준 및 프로토콜은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로서 산업군에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표준(예를 들어, 802.16e, 802.16m) 및 WiFi로서 산업군에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IEEE 802.11 표준을 포함한다.
3GPP RAN(radio access network) LTE 시스템에서, 송신 스테이션은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Node Bs(또한, 진화된 Node Bs, 향상된 Node Bs, eNodeBs 또는 eNBs로 통상적으로 표기됨) 및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의 조합일 수 있으며, 이는 유저 장비(UE)로 알려진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IEEE 802.16 WiMAX RAN에서, 송신 스테이션은 BS(base station)로 칭해질 수 있다. IEEE 802.11 WiFi RAN에서, 송신 스테이션은 WiFi WAP(wireless access point)로 칭해질 수 있다.
무선 모바일 통신 기술은, 2개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송신 스테이션 없이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통신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송신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라디오와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직접 통신하는 라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의 대역이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동시에 액티브일 수 있다(즉, 무선 디바이스는 베이스 스테이션 및 다른 무선 디바이스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상당한 간섭을 회피하기에 대역이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면, 라디오는 상이한 시간 구간에서 액티브일 수 있다. 또한, 단일 라디오를 갖는 무선 디바이스는 상이한 시간 구간에서 송신 스테이션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특징을 예시의 방식으로 함께 설명하는 첨부 도면과 함께 이해되는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예에 따른 요청 무선 디바이스, 서빙 무선 디바이스 및 송신 스테이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예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광고를 사용하는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탐색을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3은 예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요청을 사용하는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탐색을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4는 예에 따른 송신 스테이션에서의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탐색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탐색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예에 따른 송신 스테이션, 요청 무선 디바이스 서빙 무선 디바이스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7은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도면을 나타낸다.
이하,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할 것이며, 동일한 것을 설명하기 위해 여기에서 특정 언어가 사용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의 한정이 이로 인해 의도되지 않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이 개시 및 설명되기 전에,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 구조, 프로세스 스텝 또는 재료에 한정되지 않으며, 관련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그 동등물로 확장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여기에서 채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예를 설명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한정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이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흐름도 및 프로세스에서 제공되는 번호는 스텝 및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서 명료성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반드시 특정 순서나 시퀀스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정의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 랩톱 컴퓨터, iPod Touch®와 같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또는 텍스트 또는 음성 통신을 제공하는 다른 유형의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무선 디지털 통신을 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칭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기술적인 실시예의 초기 개요가 이하에 제공된 후, 구체적인 기술적 실시예가 후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러한 초기 개요는 독자들이 기술을 더욱 신속하게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한 것이지, 기술의 핵심 특징 또는 본질적 특징을 식별하려는 것도 아니고 청구되는 청구물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도 아니다.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처음에 서로 "탐색"한 후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통신이 사용될 수 있다. D2D 탐색 프로세스는 허가 및 미허가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애드혹 D2D 네트워크 상에서 많은 리소스를 소모할 수 있다. 허가 네트워크는 개인 또는 기관 라디오 송신 시스템에 매입되었거나, 허가되었거나, 그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사용되는 라디오 스펙트럼의 일부의 사용을 포함한다. D2D 탐색 프로세스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동일 기간 동안 청취하고 있기를 희망하면서 잠재적 피어(peer)에 대해 모바일 디바이스가 랜덤하게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청취 중인 다른 디바이스를 발견하려는 시도에서 D2D 탐색 프로세스의 주기적인 폴링(polling)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터리의 고갈을 가속시킬 수 있으며, 라디오 대역에 대한 상당한 간섭을 야기할 수 있다.
다중 라디오 모바일 디바이스는 다중 라디오 액세스 기술(예를 들어, LTE 및 WiFi)을 포함한다. 송신 스테이션을 사용하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는 LTE 또는 IEEE 802.16 표준을 사용하는 허가 대역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WAN(wide area network) 또는 미허가 대역 IEEE 802.11(즉, WiFi)과 같은 LAN(local area network)을 포함할 수 있다. 애드혹 D2D 네트워크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와 동일 대역 상에 있을 수 있거나, 애드혹 D2D 네트워크는 OOB(out-of-band) 네트워크(예를 들어,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대역과 상이한 미허가 또는 허가 대역)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단일 라디오 무선 디바이스가 동시에 청취(즉, 수신)하고 송신할 가능성은 무선 디바이스의 슬립/휴지(idle) 패턴, 트래픽 부하 및 다른 요인에 따라 낮을 수 있다. 2개의 TDD(time-division duplex)(즉, 시간 공유) 다중 라디오 무선 디바이스가 동시에 청취 및 송신할 가능성은, 무선 디바이스의 라디오(예를 들어, LTE 및 WiFi)가 액티브 시간을 교번하므로 더욱 낮을 수 있다. 따라서, D2D 탐색 프로세스는 단일 라디오 디바이스 상에서보다 TDD 다중 라디오 디바이스 상에서 더욱 길어질 수 있으며, (대역폭 및 전력을 포함하여) 소모되는 리소스가 증가할 수 있다.
D2D 탐색은 D2D 탐색 프로세스에서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더욱 효율적이고 전력 소모를 덜 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지원 D2D 탐색을 사용하는 것은 다중 라디오 디바이스, 동시 실행(예를 들어, 송신) 또는 TDD 모드에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지원 D2D 탐색을 오퍼레이터 지원 D2D 탐색이라 칭할 수 있다.
도 1은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 스테이션(210)과 통신(214, 212)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220, 230))를 나타내며, 또한 무선 디바이스는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222)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 탐색 프로세스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송신되는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디바이스 탐색 기간의 적어도 한 쌍의 무선 디바이스에게, 2개의 무선 디바이스가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탐색하고 서로 통신가능하게 명령한다.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디바이스 탐색 프로세스는 D2D 디바이스 탐색의 속도 및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의 설명은 예의 추가적인 상세사항을 제공한다. 도 2는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탐색을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적어도 2개의 무선 디바이스가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로 통신할 수 있다. 요청 무선 디바이스는 특정 시간 구간에서 데이터 서비스 및/또는 특정 가입자(가입자들)를 요청하는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서비스는 데이터 컨텐츠 및/또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그래픽 파일, 오디오 파일, 텍스트 파일, 실행가능 파일, 멀티미디어 파일 또는 다른 유형의 데이터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는 게임, 소셜 네트워킹 및 다른 상호작용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빙 무선 디바이스는 특정 시간 구간에서 요청 무선 디바이스에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하나의 시간 구간 동안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고(예를 들어, 요청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고), 다른 시간 구간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예를 들어, 서빙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 요청 무선 디바이스 및 서빙 무선 디바이스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사전 인증을 가질 수 있다(300a-b).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유저가 데이터 서비스 및/또는 특정 가입자를 원하는 경우, 요청 무선 디바이스는 서빙 송신 스테이션으로 데이터 서비스 및/또는 특정 가입자(들)에 대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302).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은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 및/또는 특정 가입자에 대한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유니캐스트 메시지가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유니캐스트 메시지는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메시지이다. 요청은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의 식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요청은 전력, 부하, 위치 및 요청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다른 유사한 정보와 같은 클라이언트 특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의 수신 시에,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는, 데이터 서비스가 D2D 접속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지(304) 여부 또는 데이터 서비스가 송신 스테이션을 통해서만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 네트워크가, 데이터 서비스가 D2D 접속을 통해 전달될 수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는 정보의 몇몇 단편을 확인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 네트워크가 이용가능한 가입자 서비스의 데이터 저장소(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또는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액세스를 가진다면,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는, 요청된 가입자(들) 또는, 만일 특정 가입자가 요청되지 않았다면 서비스 영역 내의 가입자가 피어(예를 들어,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관련 데이터를 공유하는 의사(예를 들면, 허락)뿐만 아니라 관련 데이터 서비스의 표시된 소유권을 갖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데이터 저장소를 확인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서버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306).
오퍼레이터 네트워크가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내의 가입자의 특정 위치 정보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다면,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내의 프로세서는 서비스 영역 내의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영역은 송신 스테이션 또는 노드에 대한 셀일 수 있다. 서비스 영역은 마크로-eNB(마크로 evolved Node B)와 연관된 마크로 셀, LPN(low power node)과 연관된 셀, 마이크로-eNB와 연관된 마이크로 셀, 피코-eNB와 연관된 피코 셀, 펨토-eNB와 연관된 펨토 셀, HeNB(home eNB)와 연관된 홈 셀 또는 WAP(WiFi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대해 이용가능한 정보에 따라, 오퍼레이터 네트워크가 잠재적 피어의 풀을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를 갖고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를 공유할 의사가 있고/있거나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인근 또는 부근에 있는 요청된 가입자로 좁힐 수 있다. 오퍼레이터 네트워크가 잠재적 피어의 풀을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의 리스트로 좁힐 수 있다면, 송신 스테이션은 멀티캐스트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송신 스테이션은 브로드캐스트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308b)를 서비스 영역 내의 잠재적 피어의 풀로 송신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메시지 및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로의 메시지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송신 스테이션은 유니캐스트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스테이션은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308a)를 요청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D2D 애드혹 네트워크에 대한 제안된 디바이스 탐색 기간(3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요청되고 있는 데이터 서비스 및/또는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의 수신 시에,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가 D2D 데이터 서비스 공유에 착수할 수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하여 그 현재 조건(예를 들어, 전력, 트래픽 부하 및 다른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가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를 포함한다면,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가 이용가능한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 및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허락을 갖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위치 정보가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에 포함된다면,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인근에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그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판정하기 위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와 같은 위치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위치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를 갖고, 무선 디바이스가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를 공유할 의사가 있고/있거나 무선 디바이스가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인근 또는 부근에 있다면;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탐색 기간(310) 동안 요청 무선 디바이스로 D2D 링크 상의 데이터 서비스 광고(312)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제안된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요청 무선 디바이스는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서비스 광고에 대한 D2D 링크를 청취할 수 있다. 광고는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이용가능한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 광고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후에, 요청 무선 디바이스는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와 "페어(pair)"하려는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의사를 나타내는 D2D 링크 상의 확인(acknowledgement)(316)을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 광고 및 ACK(acknowledgement)가 성공적으로 수신되면, D2D 통신(320)이 D2D 링크를 사용하여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서빙 무선 디바이스 사이에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 스테이션은 제 1 쌍의 무선 디바이스의 바로 그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로 제 1 디바이스 탐색 기간을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송신 스테이션은 제 2 쌍의 무선 디바이스의 제 2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제 2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로 제 2 디바이스 탐색 기간을 포함하는 제 2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제 2 디바이스 탐색 기간은 제 1 디바이스 탐색 기간 등과는 상이한 시간 간격으로 발생한다.
도 3은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탐색을 위한 다른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요청 무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탐색 기간(310) 동안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로 D2D 링크 상의 요청 광고(314)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제안된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서비스 영역 내의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는 요청 광고를 위해 D2D 링크를 청취할 수 있다. 성공적으로 요청 광고를 수신한 후에, 그리고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원하는 QoS(quality of service)를 지원하기에 요청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충분히 양호한 채널 품질을 포함할 수 있는) 리소스 및 허락을 갖는다면,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는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페어"하려는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의 의사를 나타내는 확인(318)을 송신할 수 있다. 요청 광고 및 확인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면, D2D 통신(320)이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서빙 무선 디바이스 간에 D2D 링크를 사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요청 무선 디바이스는 요청 광고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고, 서비스 영역 내의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데이터 서비스 광고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제안된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요청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 서비스 광고를 청취할 수 있고, 서비스 영역 내의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는 요청 광고를 청취할 수 있다. 컨텐션(contention) 기반 메커니즘이, 데이터 서비스 광고가 요청 광고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송신되는 상황을 해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페어"하려는 의사를 나타내는 확인을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요청 광고 및 하나의 확인이 성공적으로 수신되거나 하나의 데이터 서비스 광고 및 하나의 확인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면, D2D 통신이 D2D 링크를 사용하여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서빙 무선 디바이스 간에 설정될 수 있다.
요청 무선 디바이스 및 서빙 무선 디바이스는,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디바이스 탐색 기간이 종료된 후에 광고를 청취 또는 송신하는 것을 중지할 수 있다. 예에서, 디바이스 탐색 기간은 10 밀리초(즉, 10msec) 내지 5초(즉, 5sec)일 수 있다. 디바이스 탐색 기간은,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 또는 휴지 모드에서 액티브 또는 접속 모드로 천이하기에 충분히 길 수 있어, 서빙 무선 디바이스는 탐색 기간에 요청 광고를 수신할 수 있거나 데이터 서비스 광고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의 송신과 디바이스 탐색 기간의 개시 간 시간 듀레이션은,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 또는 휴지 모드에서 액티브 또는 접속 모드로 천이하고, 탐색 기간 동안 여전히 요청 광고를 수신하거나 데이터 서비스 광고를 송신하기에 충분히 길 수 있다. 실시예에서,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디바이스 탐색 기간 내에서 성공적으로 페어한 경우(예를 들어, D2D 링크를 통해 통신), 요청 무선 디바이스 또는 서빙 무선 디바이스는 성공적인 페어링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 스테이션에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디바이스 탐색 기간 내에 페어에 실패한 경우(예를 들어, D2D 링크를 통해 통신하지 않음), 요청 무선 디바이스 또는 서빙 무선 디바이스는 실패한 D2D 접속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 스테이션에 송신할 수 있다. 송신 스테이션은 D2D 링크를 통해 성공적으로 통신하고 페어업(pair up)하는 데 실패한 요청 무선 디바이스 및 서빙 무선 디바이스로 이후의 디바이스 탐색 기간을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송신 스테이션은 서비스 영역 내의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로 이후의 디바이스 탐색 기간을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송신 스테이션은, 이용가능한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이용가능한 서빙 무선 디바이스 없음"이라는 메시지를 요청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D2D 송신 범위 내에 있지 않거나,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데이터 서비스를 공유하는 것에 대한 허락을 갖는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없는 경우에, "이용가능한 서빙 무선 디바이스 없음"이라는 메시지가 발생할 수 있다. 송신 스테이션은, D2D 링크를 통해 이용가능한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없는 경우에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데이터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계속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3은 프로세스의 속도를 높이고 "피어 페어링" 성공 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짧은 공통의 디바이스 탐색 기간을 제안하는 데 사용되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데이터 서비스 및/또는 가입자(들) 메시지 및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에 대한 요청의 송신 및 수신을 포함하는 "에어 시그널링을 통함"이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또는 표준에 포함될 수 있다. D2D 애드혹 네트워크 단독 상의 더 긴 탐색 시간 듀레이션에서의 청취 및/또는 송신 대신,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접속을 사용하여 디바이스 탐색 기간을 좁히는 디바이스 탐색 감소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의 전력 및 리소스가 절약될 수 있고, D2D 링크의 대역폭 소모가 디바이스 탐색 프로세스 동안 더 적은 송신으로 인해 감소될 수 있다. 송신되는 비트 당,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접속은 애드혹 D2D 접속보다 더욱 효율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애플리케이션에서, WiFi는 송신되는 비트 당 WAN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보다 10 내지 100배의 많은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 탐색을 위한 오퍼레이터의 WAN으로부터의 지원 없이 WiFi D2D 링크를 사용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의 배터리의 고갈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를 통한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사용하는 것은(예를 들어, 오퍼레이터 지원 D2D 탐색), WiFi Direct 또는 Bluetooth와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보다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WiFi Direct 또는 Bluetooth에서는, 무선 디바이스의 유저의 적어도 하나가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서빙 무선 디바이스 간 D2D 접속을 소유하며, 보안 인증은 무선 디바이스 중 하나에 의해 수행된다. 디바이스가 서로 찾을 수 있도록 보안을 확립하고 무선 디바이스를 물리적 또는 수동으로 설정하는 것은 힘들 수 있다. 보안 인증은 유저의 신뢰성을 어드레스하고 유저를 서로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시도한다. WiFi Direct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유저는 서로에게 알려질 수 있으며, 보안 키 및 다른 식별 정보가, 유저가 서로 인접해 있을 때 교환될 수 있다. WiFi Direct 또는 Bluetooth를 사용하여 D2D 접속을 설정하는 것은 힘들 수 있으며, 수동 프로세스에서는 인증자로서 인간을 사용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 지원 D2D 탐색에서는, 무선 디바이스가 이미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인증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인증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 지원 D2D 탐색은 수동적인 인간의 액션 없이도 자동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는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 및/또는 가입자(들)를 찾기 위해 애드혹 D2D 네트워크 상의 랜덤 검색 프로세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요청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 및/또는 가입자(들)의 인근 또는 부근을 판정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는 특정 가입자로부터의 이용가능한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는, 가입자가 특정 가입자로부터의 특정 데이터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락을 갖는지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는 가입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는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휴지 모드로부터 웨이크업(wake up)하기 위해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요청 무선 디바이스가 준비되기 전까지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휴지 상태로 있게 하는 것은 서빙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배터리 고갈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는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하는 무선 디바이스와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를 페어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는 D2D 링크 상에서 통신하는 서빙 무선 디바이스와 요청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공통 디바이스 탐색 기간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복수의 채널 또는 서브 채널이 디바이스 탐색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D2D 링크 상의 디바이스 탐색을 위한 채널 또는 서브 채널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 네트워크가 서빙 무선 디바이스 및 요청 무선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는 D2D 링크 상에서 통신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페어를 위한 디바이스 탐색 기간을 제안 또는 제시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송신되는 메시지의 사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감소된 메시지 또는 코딩된 메시지 내의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 및/또는 가입자(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감소된 메시지 또는 코딩된 메시지는 송신 스테이션, 요청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서빙 무선 디바이스의 데이터 서비스 및/또는 가입자(들)의 식별자로 매핑될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 및/또는 가입자(들) 메시지,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 광고 및/또는 확인에 대한 요청은 제어 시그널링을 갖는 제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서비스 식별자가 사용되는 첫번째에 메시지는 전체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후속 메시지에서, (전체 식별자에 비해 감소된 사이즈를 갖는) 제어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는 데이터 저장소(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또는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내의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의해 트래킹된 데이터 서비스 및/또는 위치에 대한 룰을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 및/또는 위치는 서빙 무선 디바이스와 함께 트래킹될 수 있으며, 가입자의 홈 및/또는 로컬 에이전트에서 갱신될 수 있다. 유저가 이동할 때, 서빙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 서비스 및/또는 서빙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는 상이한 송신 스테이션에서 홈 및/또는 로컬 에이전트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는,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상이한 베이스 스테이션의 송신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상이한 베이스 스테이션이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조회하지 않고도 인접해 있는 다른 가입자(예를 들어, 요청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이용가능할 수 있다.
다른 예는 도 4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탐색을 위한 방법(500)을 제공한다. 방법은 머신 상의 명령어로서 실행될 수 있으며, 명령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포함된다. 방법은 블록 510과 같이, 요청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의 송신 스테이션에서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블록 520에서와 같이, 요청 무선 디바이스에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서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동작이 후속한다. 블록 530에서와 같이, 본 방법의 다음 동작은 요청 무선 디바이스 및 서빙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 스테이션에 의해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서빙 무선 디바이스 간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위해 디바이스 탐색 기간을 제공하며, 애드혹 D2D 네트워크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을 제공한다.
예에서, 애드혹 D2D 네트워크는, 인증이 유저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지 않으면, 미인증된 유저 통신을 제공한다.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은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 또는 데이터 컨텐츠의 식별, 요청된 가입자, 데이터 서비스의 원하는 QoS(quality of service),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 레벨,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트래픽 부하,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허용가능한 송신 속도 및 이러한 요청된 정보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디바이스 탐색 기간은 5초보다 짧을 수 있다. 애드혹 D2D 네트워크는 허가된 대역 네트워크, 미허가된 대역 네트워크,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및 이러한 네트워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은 유니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수신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송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광고하도록 권고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요청 무선 디바이스가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광고를 청취하도록 권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요청 무선 디바이스가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하도록 권고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요청을 청취하도록 권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요청 무선 디바이스가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하고 요청 무선 디바이스가 송신하고 있지 않을 때 청취하도록 권고할 수 있고,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광고하고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송신하고 있지 않을 때 청취하도록 권고할 수 있다.
본 방법은,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송신 스테이션이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의 인증 프로토콜을 통해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동작은, 요청된 가입자가 있는지, 또는 아무도 요청되지 않았는지, 임의의 가입자가 요청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를 갖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데이터 저장소를 검색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소가 데이터 서비스 액세스 허락을 포함하는 경우에,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동작은, 데이터 서비스를 갖는 요청된 가입자가 요청 무선 디바이스에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허락을 갖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소가 가입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동작은,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를 갖는 요청된 가입자의 위치와, 요청된 가입자의 위치가 존재한다면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데이터 서비스를 공유할 허락을 갖는 가입자가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부근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가 데이터 저장소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는,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 (및 허락 공유)를 갖는 (요청된) 가입자가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부근에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가입자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동작은, 요청 무선 디바이스에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 및 허락을 갖는,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부근에 있는 가입자의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 (또는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를 공유할 허락)를 갖는 가입자가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부근에 없는 경우에,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는 요청 무선 디바이스에게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릴 수 있다.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은 요청 무선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로 멀티캐스트 메시지 또는 유니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요청 무선 디바이스 및 서빙 무선 디바이스는 UE(user equipment) 또는 MS(mobile st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 무선 디바이스 및 서빙 무선 디바이스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및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의 임의의 조합에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안테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스크린, 스피커, 마이크로폰, 그래픽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내부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 또는 이들 컴포넌트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스테이션은 eNodeB(evolved Node B), BS(base station), 마크로 eNB(마크로 evolved Node B), LPN(low power node), 마이크로-eNB, 피코-eNB, 펨토-eNB, HeNB(home eNB), BBU(base band unit), RRH(remote radio head), RRE(remote radio equipment), RRU(remote radio unit) 또는 WAP(wireless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는 도 5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탐색을 위한 방법(600)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머신 상의 명령어로서 실행될 수 있으며, 명령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포함된다. 블록 610에서와 같이, 본 방법은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내의 송신 스테이션으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에서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서빙 무선 디바이스 간의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탐색 기간을 제공하며, 애드혹 D2D 네트워크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을 제공한다. 블록 620에서와 같이,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해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이웃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동작이 후속된다.
예에서, 애드혹 D2D 네트워크는 통신을 위한 유저 인증을 제공하지 않는다. 무선 디바이스는 요청 무선 디바이스로서 구성될 수 있고, 이웃 무선 디바이스는 서빙 무선 디바이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요청 무선 디바이스가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송신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웃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동작은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해 서빙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서빙 무선 디바이스로서 구성될 수 있고, 이웃 무선 디바이스는 요청 무선 디바이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방법은,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휴지 상태 또는 슬립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웨이크업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웃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동작은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 무선 디바이스로 광고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은,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 및/또는 가입자(들)의 식별, 데이터 서비스의 QoS(quality of service),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 레벨,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트래픽 부하,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허용가능한 송신 속도 및 이러한 요청된 정보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디바이스 탐색 기간은 5초 미만일 수 있다. 애드혹 D2D 네트워크는 허가 대역 네트워크, 미허가 대역 네트워크,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및 이들 네트워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은 유니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송신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수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요청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송신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서빙 무선 디바이스는 WAN(wide area network) 인증 프로토콜을 통해 송신 스테이션으로부터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요청 무선 디바이스 및 서빙 무선 디바이스는 UE(user equipment) 또는 MS(mobile st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 무선 디바이스 및 서빙 무선 디바이스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및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의 임의의 조합에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안테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스크린, 스피커, 마이크로폰, 그래픽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내부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 또는 이들 컴포넌트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스테이션은 eNodeB(evolved Node B), BS(base station), 마크로 eNB(마크로 evolved Node B), LPN(low power node), 마이크로-eNB, 피코-eNB, 펨토-eNB, HeNB(home eNB), BBU(base band unit), RRH(remote radio head), RRE(remote radio equipment), RRU(remote radio unit) 또는 WAP(wireless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송신 스테이션은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요청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서빙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송신 스테이션은, 집중화되거나, 협업하거나 C-RAN(cloud radio access network) 내에 포함될 수 있다. C-RAN에서, 송신 스테이션(또는 eNodeB) 기능은 RRU(remote radio unit) 또는 RRU로 BBU를 접속시키는 광 섬유를 갖는 RRH(remote radio head)와 BBU(base band unit) 프로세싱 풀 간에 하위 분할될 수 있다.
도 6은 예시적인 송신 스테이션(210), 요청 무선 디바이스(220) 및 서빙 무선 디바이스(230)를 나타낸다. 송신 스테이션은 오퍼레이터 지원 D2D(device-to-device) 탐색 디바이스(710)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무선 디바이스는 오퍼레이터 지원 D2D 탐색 디바이스(720, 7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스테이션에 대해 구성된 오퍼레이터 지원 D2D 탐색 디바이스는 트랜시버 모듈(712) 및 식별 모듈(714)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 모듈은 요청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의 데이터 서비스 및/또는 가입자(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요청 무선 디바이스에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트랜시버 모듈은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요청 무선 디바이스 및 서빙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서빙 무선 디바이스 간의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탐색 기간을 제공할 수 있다. 애드혹 D2D 네트워크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을 제공한다.
예에서, 식별 모듈(714)은 공유, 공유 허가 및/또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의 가입자의 위치에 대해 이용가능한 데이터 서비스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저장소(716)를 포함한다. 식별 모듈은 게재된 가입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무선 디바이스(230)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부근의 가입자가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를 갖지 않고/않거나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데이터 서비스를 공유할 허락을 갖지 않을 때, "이용가능한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 없음"이라는 메시지를 반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식별 모듈은 데이터 저장소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소는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베이스와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애드혹 D2D 네트워크는 미인증된 유저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송신 스테이션(210)에 대해 구성된 오퍼레이터 지원 D2D 탐색 디바이스(710)는 인증 모듈(718)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인증 모듈은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인증 프로토콜을 통해 요청 무선 디바이스(220)와 서빙 무선 디바이스(230)를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720, 730)에 대해 구성된 오퍼레이터 지원 D2D 탐색 디바이스(720, 730)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트랜시버 모듈(722, 732) 및 D2D 트랜시버 모듈(724, 734)을 포함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트랜시버 모듈은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내의 송신 스테이션으로부터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서빙 무선 디바이스 간의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위하여 디바이스 탐색 기간을 제공할 수 있다. 애드혹 D2D 네트워크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D2D 트랜시버 모듈은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해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이웃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에서, 애드혹 D2D 네트워크는 통신을 위한 유저 인증을 제공하지 않는다.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트랜시버 모듈(722, 732)은 송신 스테이션(210)으로 데이터 서비스 및/또는 가입자에 대한 요청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D2D 트랜시버 모듈(724, 734)은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해 이웃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D2D 트랜시버 모듈은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해 이웃 무선 디바이스로 데이터 서비스를 광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무선 디바이스(220, 230)는 무선 디바이스를 휴지 상태 또는 슬립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웨이크업하도록 구성된 웨이크업 모듈(미도시)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그래픽 파일, 오디오 파일, 텍스트 파일, 실행가능 파일, 멀티미디어 파일 및 이러한 데이터 컨텐츠의 조합을 포함하는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는 게임 또는 소셜 네트워킹과 같은 서비스를 위한 명령어 및/또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트랜시버 모듈은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표준 및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표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WWAN(wireless WAN) 프로토콜(212, 214)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트랜시버 모듈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으로부터 선택된 WLAN(wireless LAN) 프로토콜(212, 214)을 사용할 수 있다. D2D 트랜시버 모듈은 3GPP LTE 표준, IEEE 802.16 표준, IEEE 802.11 표준, IEEE 802.15 표준, Bluetooth 표준, Wireless Display Port 표준, WiGig 표준, UWB(Ultra-WideBand) 표준, Wireless HD 표준, WHDI(Wireless Home Digital Interface) 표준, ZigBee 표준, 소유권 미허가 표준, 소유권 허가 표준 또는 이러한 프로토콜의 조합을 포함하는 D2D 프로토콜(222)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모바일 무선 디바이스,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태블릿, 핸드셋 또는 다른 유형의 모바일 무선 디바이스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예를 제공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BS(base station), eNB(evolved Node B), BBU(base band unit), RRH(remote radio head), RRE(remote radio equipment), RS(relay station), RE(radio equipment), 다른 유형의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 액세스 포인트 또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P(wireless access point)와 같은 송신 스테이션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3GPP LTE, WiMAX,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Bluetooth 및 WiFi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표준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각각의 무선 통신 표준에 대한 별개의 안테나 또는 복수의 무선 통신 표준에 대한 공유 안테나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및/또는 WWAN에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오디오 입력 및 출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마이크로폰 및 하나 이상의 스피커의 예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스크린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와 같은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용량적이거나, 저항적이거나, 다른 유형의 터치 스크린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그래픽 프로세서가 프로세싱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 메모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가 유저에 대한 데이터 입력/출력 옵션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 용량을 확장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유저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키보드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 있거나 모바일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상 키보드가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그 다양한 기술 또는 특정 양태 또는 부분이 플로피 디스켓, CD-ROM, 하드 드라이브,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또는 임의의 다른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와 같은 실재의 매체에 구현된 프로그램 코드(즉, 명령어)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와 같은 머신에 로드 및 실행되면, 머신은 다양한 기술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가 된다. 프로그램가능 컴퓨터 상의 프로그램 코드 실행의 경우에, 컴퓨팅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저장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저장 요소는,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광 드라이브, 자기 하드 드라이브 또는 전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른 매체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스테이션 및 모바일 스테이션은 트랜시버 모듈, 카운터 모듈, 프로세싱 모듈 및/또는 클럭 모듈 또는 타이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기술을 구현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재사용가능 컨트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하여 하이 레벨 절차형 또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프로그램(들)은 원하는 경우에 어셈블리 또는 머신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언어는 컴파일링되거나 인터프리팅된 언어일 수 있으며, 하드웨어 구현체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수의 기능 단위는 그 구현 독립성을 특히 더욱 강조하기 위해 모듈로서 표기되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모듈은 주문형 VLSI 회로 또는 게이트 어레이, 로직 칩과 같은 규격 반도체, 트랜지스터 또는 다른 이산형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모듈은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램가능 어레이 로직,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등과 같은 프로그램가능 하드웨어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모듈은 다양한 유형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가능 코드의 식별된 모듈은 컴퓨터 명령어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블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객체, 절차 또는 함수로서 조직화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별된 모듈의 실행가능자는 물리적으로 함께 위치될 필요는 없으며, 상이한 위치에 저장된 다른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함께 논리적으로 결합될 때 모듈을 포함하며 모듈에 대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한다.
실제로, 실행가능 코드의 모듈은 단일 명령어 또는 다수의 명령어일 수 있고, 상이한 프로그램 중에서 그리고 몇개의 메모리 디바이스에 걸쳐 몇개의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에 분포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동작 데이터가 모듈 내에서 여기에 식별되고 설명될 수 있으며, 임의의 적절한 형태로 구현되고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데이터 구조 내에서 조직화될 수 있다. 동작 데이터는 단일 데이터 세트로서 수집될 수 있거나, 상이한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상이한 위치에 분포될 수 있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상의 단지 전자 신호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모듈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에이전트를 포함하여 수동 또는 능동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서 "예(example)"라고 언급한 것은 그 예와 연결지어 설명한 특정의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서 다양한 곳에서의 "예에서"라는 문구의 출현은 반드시 모두 동일 실시예를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사용된 복수의 항목, 구조적 요소, 구성적 요소 및/또는 재료는 편의를 위해 공통 리스트로 제시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리스트는, 리스트의 각각의 멤버가 별개의 고유한 멤버로 개별적으로 식별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리스트의 개별 멤버는 반대되는 표시가 없다면 공통 그룹 내의 그 표현에만 기초하여 동일 리스트의 임의의 다른 멤버의 사실상의 동등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및 예는 그 다양한 컴포넌트에 대한 대안과 함께 여기에서 언급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 예 및 대안은 서로의 사실상의 동등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별개의 자율적인 표현으로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설명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레이아웃, 거리, 네트워크의 예 등과 같은 다수의 특정 상세사항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된다. 하지만, 관련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하나 이상의 특정 상세사항 없이, 또는 다른 방법, 컴포넌트, 레이아웃 등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예에서, 공지의 구조, 재료 또는 동작은 본 발명의 양태가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세하게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았다.
상술한 예들은 하나 이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지만, 본 기술의 당업자에게 구현의 형태, 용법 및 상세사항의 다수의 변형이 진보적인 능력을 행하지 않고도, 그리고 본 발명의 원리 및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할 것이다. 따라서, 후술하는 청구항에 의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Claims (30)

  1.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device-to-device) 탐색을 위해 저장된 명령어를 갖는 비일시적인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는 머신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머신으로 하여금,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내의 송신 스테이션에서 요청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게 하고,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에 상기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서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게 하고,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상기 송신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 및 상기 서빙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하게 하고,
    상기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서빙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애드혹(ad-hoc) D2D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탐색 기간을 제공하고, 상기 애드혹 D2D 네트워크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을 제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은 상기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 또는 데이터 컨텐츠의 식별, 요청된 가입자, 상기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의 원하는 QoS(quality of service),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 레벨,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트래픽 부하,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허용가능 송신 속도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요청된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탐색 기간은 5초 미만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드혹 D2D 네트워크는 허가 대역 네트워크, 미허가 대역 네트워크,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은 유니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수신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멀티캐스트 메시지 또는 유니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송신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상기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상기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광고하도록 권고하고, 상기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가 광고를 청취하도록 권고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상기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하도록 권고하고, 상기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상기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요청을 청취하도록 권고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상기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상기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광고하고 상기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송신하고 있지 않을 때 청취하도록 권고하고, 상기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가 송신하고 있지 않을 때 청취하도록 권고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송신하게 하기 전에,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인증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 및 상기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인증하게 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게 하는 명령어는,
    상기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를 갖는 게재된 가입자에 대한 데이터 저장소를 검색하게 하고,
    상기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를 갖는 게재된 가입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선택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게 하는 명령어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허락을 갖는 게재된 가입자에 대한 데이터 저장소를 검색하게 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허락을 갖는 상기 게재된 가입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선택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게 하는 명령어는,
    위치가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송신 범위 내에 있는 게재된 가입자에 대한 데이터 저장소를 검색하거나, 어느 가입자가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부근에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게 하고,
    위치가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의 부근 내에 있는 상기 게재된 가입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선택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3.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탐색을 위해 저장된 명령어를 갖는 비일시적인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는 머신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머신으로 하여금,
    무선 디바이스에서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내의 송신 스테이션으로부터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고 - 상기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서빙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탐색 기간을 제공하고, 상기 애드혹 D2D 네트워크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을 제공함 - ,
    상기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이웃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이고, 상기 이웃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서빙 무선 디바이스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상기 송신 스테이션으로 송신하게 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이고, 상기 이웃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서빙 무선 디바이스이고,
    상기 이웃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게 하는 명령어는,
    상기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상기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빙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서빙 무선 디바이스이고, 상기 이웃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휴지 상태 또는 슬립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웨이크업(wake up)하게 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서빙 무선 디바이스이고, 상기 이웃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이고,
    상기 이웃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게 하는 명령어는,
    상기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상기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로 데이터 서비스를 광고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8.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탐색을 위한 디바이스로서,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내의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요청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모듈과,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에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식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트랜시버 모듈은 또한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 및 상기 서빙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서빙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탐색 기간을 제공하고, 상기 애드혹 D2D 네트워크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모듈은,
    게재된 가입자로부터 이용가능한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저장하고, 상기 게재된 가입자로부터 이용가능한 데이터 서비스의 공유 허락을 저장하고, 가입자의 위치 및 그 조합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저장소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모듈은, 상기 게재된 가입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선택하거나,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이용가능한 잠재적 서빙 무선 디바이스가 없음을 보고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소는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및 그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디바이스.
  21. 제 18 항에 있어서,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인증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서빙 무선 디바이스를 인증하도록 구성된 인증 모듈을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eNodeB(evolved Node B), BS(base station), BBU(base band unit), WAP(wireless access point)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송신 스테이션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23.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탐색을 위한 디바이스로서,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내의 송신 스테이션으로부터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트랜시버 모듈 - 상기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는 요청 무선 디바이스와 서빙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탐색 기간을 제공하고, 상기 애드혹 D2D 네트워크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을 제공함 - 과,
    상기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 탐색 기간 동안 이웃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D2D 트랜시버 모듈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트랜시버 모듈은 또한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상기 송신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D2D 트랜시버 모듈은 또한 상기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해 이웃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D2D 트랜시버 모듈은 또한 상기 애드혹 D2D 네트워크를 통해 이웃 무선 디바이스로 데이터 서비스를 광고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무선 디바이스를 휴지 상태 또는 슬립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웨이크업하도록 구성된 웨이크업 모듈을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28. 제 23 항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그래픽 파일, 오디오 파일, 텍스트 파일, 실행가능 파일, 멀티미디어 파일, 데이터 명령어, 게임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데이터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트랜시버 모듈은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표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표준 및 IEEE 802.11 표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상기 D2D 트랜시버 모듈은 3GPP LTE 표준, IEEE 802.16 표준, IEEE 802.11 표준, IEEE 802.15 표준, Bluetooth 표준, Wireless Display Port 표준, WiGig 표준, UWB(Ultra-WideBand) 표준, Wireless HD 표준, WHDI(Wireless Home Digital Interface) 표준, ZigBee 표준, 소유권 미허가 표준(unlicensed proprietary standard) 및 소유권 허가 표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D2D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디바이스.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UE(user equipment) 및 MS(mobile station)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무선 디바이스에 포함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또는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에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안테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스크린, 스피커, 마이크로폰, 그래픽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내부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20167026194A 2012-04-11 2012-04-11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탐색 KR101763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2/032987 WO2013154546A1 (en) 2012-04-11 2012-04-11 Operator-assisted device-to-device (d2d) discover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983A Division KR101661408B1 (ko) 2012-04-11 2012-04-11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탐색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433A Division KR101815167B1 (ko) 2012-04-11 2012-04-11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탐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748A true KR20160113748A (ko) 2016-09-30
KR101763094B1 KR101763094B1 (ko) 2017-07-28

Family

ID=4932797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983A KR101661408B1 (ko) 2012-04-11 2012-04-11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탐색
KR1020167026194A KR101763094B1 (ko) 2012-04-11 2012-04-11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탐색
KR1020177036967A KR101871138B1 (ko) 2012-04-11 2012-04-11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탐색
KR1020177018433A KR101815167B1 (ko) 2012-04-11 2012-04-11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탐색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983A KR101661408B1 (ko) 2012-04-11 2012-04-11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탐색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967A KR101871138B1 (ko) 2012-04-11 2012-04-11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탐색
KR1020177018433A KR101815167B1 (ko) 2012-04-11 2012-04-11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탐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9554262B2 (ko)
EP (2) EP3582524B1 (ko)
JP (1) JP5969112B2 (ko)
KR (4) KR101661408B1 (ko)
CN (2) CN108990038B (ko)
AU (3) AU2012376802A1 (ko)
WO (1) WO2013154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2657B2 (en) * 2010-04-15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assisted peer discovery
EP2694031B1 (en) 2011-04-07 2015-07-0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nditioner compositions with increased deposition of polyacrylate microcapsules
JP5869663B2 (ja) 2011-04-07 2016-02-2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ポリアクリレートマイクロカプセルの付着が増大したシャンプー組成物
WO2012177886A2 (en) 2011-06-23 2012-12-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of forming crystals for use in a personal care composition
WO2013154546A1 (en) * 2012-04-11 2013-10-17 Intel Corporation Operator-assisted device-to-device (d2d) discovery
TWI631871B (zh) * 2012-04-27 2018-08-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支援鄰近發現程序方法及裝置
US9942938B2 (en) 2012-04-27 2018-04-1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Registration for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s
EP2842238A4 (en) * 2012-04-27 2015-1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DEVICE DEVICE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40881B2 (en) * 2012-04-30 2016-01-19 Alcatel Lucent Secure communications for computing devices utilizing proximity services
US9622279B2 (en) * 2012-08-22 2017-04-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ynamic spectrum band selection for D2D communications
JP6101696B2 (ja) * 2012-08-28 2017-03-22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ユーザ端末及びプロセッサ
WO2014047908A1 (en) * 2012-09-28 2014-04-03 Broadcom Corporatio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improv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20140111312A1 (en) * 2012-10-19 2014-04-24 Sanghoon Kim Apparatus and methods for coordinated query and response service discovery
US9532224B2 (en) * 2012-11-05 2016-12-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device-to-device discovery and apparatus thereof
EP2733971B1 (en) * 2012-11-16 2020-09-16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improving proximity service dis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13607B2 (en) 2013-01-18 2016-04-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assisted UE detection in direct mode UE-to-UE communication
US20140204847A1 (en) * 2013-01-18 2014-07-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assisted d2d communication using d2d capability information
CN109640311B (zh) 2013-02-08 2023-07-11 华为技术有限公司 设备到设备通信方法、终端和网络设备
JP2016521285A (ja) 2013-05-10 2016-07-2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標準エマルジョン系生成物の差別化
EP2994095A2 (en) 2013-05-10 2016-03-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odular emulsion-based product differentiation
US20140356295A1 (en) 2013-06-03 2014-12-04 R.J. Reynolds Tobacco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tobacco seed-derived component
KR102062078B1 (ko) * 2013-06-05 2020-0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개체 탐색 방법 및 장치
WO2015020736A1 (en) * 2013-08-08 2015-02-12 Intel IP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lectrical downtilt adjustment in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EP3063964B1 (en) * 2013-10-28 2021-11-24 Koninklijke KPN N.V. Device-to-device discovery and control in a wide area network
KR102398221B1 (ko) * 2013-10-30 2022-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직접통신 네트워크에서 비대칭 키를 사용하여 아이덴티티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572171B2 (en) * 2013-10-31 2017-02-14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fficient device-to-device channel contention
JP6019005B2 (ja) * 2013-10-31 2016-11-02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102119247B1 (ko) 2013-11-01 2020-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2 단계 탐색 절차
US20160278069A1 (en) * 2013-11-29 2016-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recognition qos-differentiated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88656B2 (en) 2014-01-13 2016-03-1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Device to device discovery method for user equipment and network entity and user equipment and network entity using the same
US9241340B2 (en) * 2014-01-23 2016-01-19 Humax Holdings Co., Lt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LTE machine type communication
CN105940690B (zh) 2014-02-02 2019-08-13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用于d2d操作的信息的方法和设备
KR102118402B1 (ko) * 2014-02-25 2020-06-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감소 방법 및 장치
KR20160110959A (ko) * 2014-03-10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596552B2 (en) 2014-03-14 2017-03-14 Qualcomm Incorporated Features and optimizations for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based public addressing system
EP3133873B1 (en) 2014-05-09 2020-09-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2d discovery information
EP2945401A1 (en) 2014-05-13 2015-11-18 Deutsche Telekom AG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discovery message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user equipment adapted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discovery message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0159079B2 (en) 2014-05-21 2018-12-18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social-aware cooperative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WO2016000306A1 (zh) * 2014-06-30 2016-01-07 华为技术有限公司 ProSe信息的传输方法、终端及通信设备
WO2016019512A1 (zh) * 2014-08-05 2016-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D2d终端、系统及d2d发现方法
EP3202218A1 (en) * 2014-10-03 2017-08-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tter and/or receiver determination for d2d operation
KR102153586B1 (ko) * 2014-10-20 2020-09-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간 직접 통신에서의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멀티캐스트 서비스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JPWO2016075848A1 (ja) * 2014-11-10 2017-08-24 日本電気株式会社 制御装置、無線通信デバイス、及びこれらの方法
JP2016096475A (ja) * 2014-11-14 2016-05-26 Kddi株式会社 無線制御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6539439B2 (ja) * 2014-11-14 2019-07-03 Kddi株式会社 無線制御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20160142897A1 (en) * 2014-11-14 2016-05-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nriched D2D Discovery Content
US10470107B2 (en) * 2014-11-14 2019-11-0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covery signal communication
KR101593334B1 (ko) * 2014-12-04 2016-02-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간 직접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CN107113713A (zh) * 2014-12-19 2017-08-29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装置到装置通信系统中提供中继器选择的装置和方法
KR102269387B1 (ko) * 2015-01-06 2021-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황별 정보 공유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640900B1 (ko) * 2015-01-22 2016-07-19 (주)한빛에스아이 무선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US9742780B2 (en) * 2015-02-06 2017-08-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dio based discovery and connection to a service controller
US9660999B2 (en) 2015-02-06 2017-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covery and connection to a service controller
JPWO2016135791A1 (ja) * 2015-02-26 2017-12-07 日本電気株式会社 近接サービス通信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160286398A1 (en) * 2015-03-23 2016-09-29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e selection and connection setup between devices participating in a nan data link
US9668232B2 (en) * 2015-04-03 2017-05-30 Qualcomm Incorporated Enabling device-to-device discovery
CN105163272A (zh) * 2015-06-30 2015-12-16 深圳走天下科技有限公司 一种位置共享方法和装置
US10341833B2 (en) 2015-11-10 2019-07-02 At&T Mobility Ii Llc Automatic proximity discovery area technique
US10015661B2 (en) 2015-11-26 2018-07-03 Wipro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admission control in D2D communication in a wireless broadband network
US10820162B2 (en) 2015-12-08 2020-10-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user-initiated LTE broadcast
KR102405694B1 (ko) * 2015-12-23 2022-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과 중계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US10110348B2 (en) * 2016-01-25 2018-10-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media content transmissions in multi-channel wireless networks
CN108702299B (zh) * 2016-02-22 2021-07-09 索尼移动通讯有限公司 卖方装置和买方装置之间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及系统
CN107302747B (zh) * 2017-07-14 2020-09-29 重庆邮电大学 一种基于稳定匹配的协作视频传输方法
CN107469348A (zh) * 2017-08-11 2017-12-15 北京安云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联机游戏的连接建立方法及装置
US10750448B2 (en) * 2017-09-28 2020-08-18 Intel IP Corporation Wake-up radio advertisement channel
EP3605962B1 (en) * 2018-07-30 2023-06-07 Nagravision Sàrl A method to transmit messages between a device and a remoter server
EP3629660A1 (en) * 2018-09-26 2020-04-0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 managing resources
US10813041B2 (en) * 2018-11-09 2020-10-20 Sony Corporation Propagating discovery assistance request and response
US10667316B1 (en) * 2018-11-22 2020-05-26 Shimano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plural protocols and pedaling sensing device
WO2020191741A1 (zh) * 2019-03-28 2020-10-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连接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0234110B (zh) * 2019-06-26 2021-11-02 恒宝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网络自动切换方法
CN110401881A (zh) * 2019-07-10 2019-11-01 咪咕文化科技有限公司 视频直播分享方法和系统
KR20210020242A (ko) * 2019-08-14 202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월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526B1 (ko) * 2006-01-11 2011-12-0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에서 파라미터 선택
US8059646B2 (en) * 2006-07-11 2011-11-15 Nap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music content in a P2P real time recommendation network
US7974574B2 (en) * 2007-07-25 2011-07-05 Microsoft Corporation Base station initiated proximity service discovery and connection establishment
US9198017B2 (en) * 2008-05-19 2015-11-24 Qualcomm Incorporated Infrastructure assisted discovery in a wireless peer-to-peer network
US9848314B2 (en) * 2008-05-19 2017-12-19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discovery in a wireless peer-to-peer network
US9949305B2 (en) * 2009-10-02 2018-04-17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eer-to-peer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110082939A1 (en) * 2009-10-02 2011-04-07 Michael Peter Montemurro Methods and apparatus to proxy discovery and negotiations between network entities to establish peer-to-peer communications
US8437275B2 (en) * 2009-12-11 2013-05-07 Microsoft Corporation Remote wireless service invocation with efficient power use on target wireless device
US8335937B2 (en) * 2009-12-24 2012-12-1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coverability of power saving P2P devices
EP2524529B1 (en) * 2010-01-13 2020-09-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upporting ad hoc networking between user equipments in a cellular network
US9516686B2 (en) 2010-03-17 2016-12-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peer-to-peer (P2P) communication on unlicensed spectrum
EP2554013B1 (en) * 2010-03-30 2019-07-3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discovery through beaconing
US8510232B2 (en) 2010-04-14 2013-08-13 Empath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US8812657B2 (en) * 2010-04-15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assisted peer discovery
US9351143B2 (en) * 2010-06-01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Multi-homed peer-to-peer network
US10250678B2 (en) * 2010-07-07 2019-04-02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modes for peer discovery
US8194687B2 (en) * 2010-07-23 2012-06-05 Intel Corporation Access point configured for station group management and method for managing station-management groups
GB2491139B (en) * 2011-05-24 2014-02-19 Broadcom Corp Channel access control
HUE041617T2 (hu) * 2011-08-01 2019-05-28 Intel Corp Lehetséges eszköz-eszköz kommunikáció
US9049608B2 (en) * 2011-11-04 2015-06-02 Intel Corporation Measurements for the interworking of wireless wide area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O2013154546A1 (en) * 2012-04-11 2013-10-17 Intel Corporation Operator-assisted device-to-device (d2d) disco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34926A1 (en) 2017-05-11
EP3582524B1 (en) 2021-11-03
CN108990038B (zh) 2021-12-03
US20180227741A1 (en) 2018-08-09
KR101661408B1 (ko) 2016-09-29
EP2837105A1 (en) 2015-02-18
KR101763094B1 (ko) 2017-07-28
US20140219261A1 (en) 2014-08-07
KR20140129299A (ko) 2014-11-06
KR101871138B1 (ko) 2018-06-25
US9955338B2 (en) 2018-04-24
AU2018203394B2 (en) 2019-11-21
US20200137548A1 (en) 2020-04-30
AU2016202678A1 (en) 2016-05-19
CN104350692A (zh) 2015-02-11
WO2013154546A1 (en) 2013-10-17
CN108990038A (zh) 2018-12-11
AU2018203394A1 (en) 2018-05-31
US10827342B2 (en) 2020-11-03
KR20180004284A (ko) 2018-01-10
EP2837105B1 (en) 2019-10-16
US10390208B2 (en) 2019-08-20
JP2015513288A (ja) 2015-04-30
EP2837105A4 (en) 2015-12-16
US9554262B2 (en) 2017-01-24
EP3582524A1 (en) 2019-12-18
KR101815167B1 (ko) 2018-01-04
JP5969112B2 (ja) 2016-08-10
AU2016202678B2 (en) 2018-03-01
AU2012376802A1 (en) 2014-10-02
KR20170082655A (ko) 2017-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7342B2 (en) Operator-assisted device-to-device (D2D) discovery
JP2015513288A5 (ja) デバイスツーデバイス通信を提供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デバイス
US10779161B2 (en) Delivery of cellular network insights to subscriber devices through SSID via cellular system information block
US201403282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save during initial link setup
WO2021196133A1 (zh) Rrc状态改变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JP2018513607A (ja) 共存および同時性のためのクロックドリフト管理
US10104669B2 (en) User equipment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and resource selection method thereof
US20210235252A1 (en) Network Assisted Emergency Monitoring
JP6728271B2 (ja) 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WO201416115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JP6335976B2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録媒体
WO2022228446A1 (zh) 无线链路失败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2023021753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active state initial uplink transmission using pre-configured grant at a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KR20230137454A (ko) 전송 방법, 장치, 기기 및 판독가능 저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