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251A -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 Google Patents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3251A
KR20160113251A KR1020167023323A KR20167023323A KR20160113251A KR 20160113251 A KR20160113251 A KR 20160113251A KR 1020167023323 A KR1020167023323 A KR 1020167023323A KR 20167023323 A KR20167023323 A KR 20167023323A KR 20160113251 A KR20160113251 A KR 20160113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et
server
user
handset devic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784B1 (ko
Inventor
줄리안 샤플리
매튜 파웰
앤소니 마틴
마크 죤스
Original Assignee
셀노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셀노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셀노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13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G06F19/346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Monitoring the patient using a local or closed circuit, e.g. in a room or bui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61B5/4839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combined with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G06F19/341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 A61M2205/3389Continuous level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46Range
    • A61M2205/3553Range remote, e.g. between patient's home and doctor's off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46Range
    • A61M2205/3569Range sublocal, e.g. between console and 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05Parameter used as control input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M2230/201Glucose concen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Diabet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Abstract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이 기술된다. 상기 통신 관리 방법은, 핸드셋 장치에 대한 고유 식별자의 적어도 일부 및 핸드셋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에 관한 환자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핸드셋 장치를 환자 정보와 연관시키고, 핸드셋 특정 코드를 생성하고, 핸드셋 특정 코드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핸드셋 장치에서 핸드셋 특정 코드의 수작업 입력이 수신되고, 핸드셋 장치로부터 서버로의 데이터 전송이 핸드셋 특정 코드와 관련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보안 포탈을 통해 보안 코드를 수신하였으며, 보안 코드를 수작업으로 핸드셋 장치에 입력하는 것이 요구되었기 때문에), 서버는 사용자가 핸드셋 장치를 소유하고 있음을 확실히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안 코드와 관련하여 수신된 통신은 올바른 사용자와 핸드셋 장치에 관련되어 있음이 확인될 수 있다.

Description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MANAGING COMMUNICATIONS TO AND FROM A HANDSET DEVICE CONTROLLING A DELIVERY DEVICE}
본 발명은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1형 당뇨병은 매일 인슐린 주사를 통해 치료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하루 종일 환자 몸에 발생하는 혈당의 정상 및 급격한 변화에 인슐린 레벨이 조화되지 않는 피할 수 없는 결과를 가져온다. 한편, 부족한 인슐린 및 고혈당 수준은 즉각적인 증상을 초래하고, 장기간의 합병증을 가져온다. 다른 한편으로는, 인슐린이 지나치면 의식을 잃거나 경련을 유발하는 저혈당을 초래할 수 있다. 주사 방식의 대안으로서, 건강한 췌장의 정상적인 생리활동을 모방하기 위하여 인슐린 펌프 요법이 고안되었다. 하루 여러 번의 인슐린 주사를 맞는 것과 달리, 인슐린 펌프는 일상의 활동과 운동 일정을 보상하면서 개별적인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인슐린의 일정한 백그라운드 주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펌프는 음식과 음료로부터 초래되는 혈당의 큰 변화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 회 분량의 인슐린 투여를 하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췌장의 천연 생리 활동을 모방함으로써, 인슐린 펌프 요법은 식사로 인한 고혈당 또는 지나친 인슐린으로 인한 저혈당을 피하면서 지속적으로 정상 혈당 수준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펌프는 핸드셋 장치에 의해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핸드셋 장치는 환자에 대한 의학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고, 의학적 데이터는 서버에 동기되어 이용될 수 있으므로, 서버는 (분석 목적을 위하여) 의료진 및 (장치 성능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원격으로 액세스될 수 있다. 의학적 데이터의 민감도 및 데이터가 어디에 저장될 수 있는지와 누가 서버에 액세스할 수 있는지에 대한 규제적인 제한을 고려하여 볼 때, 원격 서버와 통신하게 되는 핸드셋 장치에서 획득된 의학적 정보와 관련된 여러 가지의 고유의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서,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통신 관리 방법은:
상기 핸드셋 장치에 대한 고유 식별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핸드셋 장치에 연관된 사용자에 관한 환자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핸드셋 장치를 환자 정보와 연관시키고, 핸드셋 특정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핸드셋 특정 코드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핸드셋 장치에서, 상기 핸드셋 특정 코드의 수작업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셋 특정 코드와 관련하여 상기 핸드셋 장치로부터 상기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보안 포탈을 통해 코드를 수신하였으며, 보안 코드를 수작업으로 핸드셋 장치에 입력하는 것이 요구되었기 때문에), 서버는 사용자가 핸드셋 장치를 소유하고 있음을 확실히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코드와 관련하여 수신된 통신은 올바른 사용자와 핸드셋 장치에 관련되어 있음을 확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자 정보는 사용자의 거주 국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환자의 거주 국가와 관련된 의료 데이터 서버로의 전송 경로를 수립하기 위하여 상기 핸드셋 특정 코드의 수신에 즉각 반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의료 데이터가사용자가 거주하고 있는 국가에서만 저장될 것을 요구하는 규정을 준수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 경로는 핸드셋 장치에 상기 의료 데이터 서버의 IP 주소를 제공함으로써 수립되고, 상기 핸드셋 장치는 상기 서버로의 연결을 끊고 상기 지시된 IP 주소로 상기 의료 데이터 서버에 재접속하기 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의료 데이터 자체는 일시적인 방식으로나마 글로벌 서버에 제공될 필요가 없다 - 글로벌 서버로의 유일한 연결은 허용된 서버로 의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IP 주소의 요청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핸드셋 장치는 사용자에 관한 의료 데이터를 의료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기 위하여 동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는 상기 핸드셋 특정 코드의 수신에 즉각 반응하여 상기 핸드셋 장치로 고객 지원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핸드셋 장치는 고객 지원 정보의 수신에 즉각 반응하여 핸드셋 장치에 표시할 상기 고객 지원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객 지원 정보가 최신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고유 식별자는 국제 모바일 단말기 인증번호(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EI)일 수 있다.
상기 의료 데이터는 치료제 전달 장치의 활동 또는 이를 위한 설정값, 탄수화물 입력 정보 및 혈당 측정값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핸드셋 장치는 환자의 거주 국가에 의존하여 자동으로 설정된다.
상기 환자 정보는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시설, 진료소, 전문 의료진 또는 의료 보험 회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핸드셋 장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시설, 진료소, 전문 의료진 또는 의료 보험 회사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서버가 고유 식별자를 갖는 상기 핸드셋 장치가 이미 다른 사용자와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버는 상기 핸드셋 장치와 그 밖의 다른 사용자 간의 연관성을 취소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이는 다수의 사용자에 관한 의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핸드셋 장치의 위험요인을 감소시킨다. 상기 핸드셋 장치에 대한 고유 식별자는 서버에 전송되는 환자 정보에 앞서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서,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통신 관리 시스템은:
상기 핸드셋 장치에 대한 고유 식별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핸드셋 장치와 연관된 사용자에 관한 환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핸드셋 장치를 환자 정보와 연관시키고, 핸드셋 특정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핸드셋 특정 코드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핸드셋 특정 코드의 수작업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핸드셋 특정 코드와 관련하여 상기 핸드셋 장치로부터 상기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핸드셋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통신 관리 방법은:
상기 핸드셋 장치에 대한 고유 식별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핸드셋 장치의 데이터가 상기 서버로 전송될지 여부를 명시하는 통신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통신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핸드셋 장치와 관련하여 데이터 수용 상태 또는 데이터 비수용 상태를 입력하고, 핸드셋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핸드셋 코드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셋 장치에서, 상기 핸드셋 코드의 수작업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핸드셋 코드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 정보와 일치하는 데이터 전송 상태 또는 데이터 비전송 상태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통신 관리 방법은: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를 위한 고유 식별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핸드셋 장치에 대한 미배정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미배정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핸드셋 장치와 관련하여 데이터 비수용 상태를 입력하고, 핸드셋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핸드셋 코드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셋 장치에서, 상기 핸드셋 코드의 수작업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핸드셋 코드에 대응하여 상기 핸드셋 장치에서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다양한 측면들 및 특징들이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기술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기술될 것이며, 도면에서:
도 1은 약물 전달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약물 전달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약물 전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핸드셋의 개략도;
도 4는 사용자의 핸드셋을 등록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흐름도;
도 5는 로컬 의료 데이터 베이스와 통신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흐름도;
도 6는 서버에서 토큰(token)을 생성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흐름도;
도 7은 핸드셋의 사용자가 서버로부터 수신된 토큰을 핸드셋에 (수작업으로) 입력하는 경우 발생하는 일련의 이벤트들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시스템
도 1을 참조하면, 약물 전달 시스템(1)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 경우, 약물 전달 시스템(1)은 환자에게 인슐린을 전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슐린이 아닌 다른 약물들을 전달하는데 적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시스템(1)은 환자가 몸에 착용하는 전달 장치(2), 전달 장치(2)를 제어하기 위한(스마트폰과 유사하게 보일 수 있는) 핸드셋(3), 및 서버(4)를 포함한다. 전달 장치(2) 및 핸드셋(3)은, 예컨대, 저전력 ANT 무선연결과 같은 제1 무선 연결(5)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핸드셋(3) 및 서버(4)는, 예컨대, GPRS 모바일 데이터 연결(6a) 및 인터넷(6b)과 같은 제2 무선 연결(6)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서버(4)는 환자의 의료 정보 및 환자에 관한 그 밖의 다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환자 데이터베이스(7)를 포함한다. 전달 장치(2) 및 핸드셋(3) 모두 충전식 배터리로 작동된다. 또한, 전달 장치(2)를 충전하기 위하여 전달 장치(2)가 삽입되는 충전 거치대(8)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전달 장치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장치는 2개의 부분을 포함하며, 서로 착탈 가능하다. 2개의 부분 중 제1 부분은 몸체(21)이며, 몸체는 스프링(22), 변위 센서(예컨대, US2011/0316562에 기술된 바와 같음)를 포함하는 편향 부재(23), 제2 부분과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한 세트의 콘택트 핀(24)을 포함한다. 또한, 몸체(21)는 배터리, 제어 회로, 및 핸드셋(3)과 통신하기 위한 트랜시버를 포함하며, 이는 명확성을 위하여 도 2에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구성요소(25)로 대표된다. 2개의 부분 중 제2 부분은 1회용 인슐린 카트리지(26)이며, 이는 인슐린 저장소(27), 콘택트 핀(24)을 통해 몸체(21)와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콘택트 패드(28), 인슐린 저장소(27)로부터 환자의 체내로 인슐린을 펌핑하기 위한 펌핑 장치(왁스(wax) 액추에이터, 예컨대, GB2443261에 기재됨), 및 밸브 장치(예컨대, US2010/0137784에 기술된 바와 같음)를 포함한다. 펌핑 장치 및 밸브 장치는 명확성을 위하여 도 2에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구성요소(29)로 대표된다. 전달 장치의 몸체(21)는 재사용 가능한 반면, 1회용 인슐린 카트리지(26)는 저장소의 인슐린이 고갈되거나, 카트리지의 사용연한이 경과되거나, 제품의 결함이 있는 경우, 제거되어 폐기되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면, 새로운 카트리지(26)가 몸체(21)와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26)는 일회용이 바람직하나, 원칙적으로 카트리지(26)는 폐기되기보다는 오히려 리필되거나 재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원래의 카트리지(26)가 리필되는 동안 새로운(인슐린이 가득 찬) 카트리지(26)가 사용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26)는 몸체(21)로부터 제거 가능해야 한다.
사용시에는, 몸체(21) 및 카트리지(26)는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기적 연결은 콘택트 핀(24)들 및 콘택트 패드(28)들을 통해 이루어진다. 물리적 연결은 클립 또는 그 밖의 다른 해제 가능한 결합 메커니즘(미도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체(21) 내의 제어 회로는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인출하기 위하여 제1 무선 연결(5)을 통해 핸드셋(3)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반응하고, 밸브 장치를 통해 인슐린 저장소(27)로부터 유체를 인출하여 전달 장치(2)로부터 환자의 몸으로 인입하기 위하여 카트리지(26) 내의 펌핑 장치를 동작시키도록 콘택트 핀(24)들과 콘택트 패드(28)들을 통해 전류를 인가한다. 펌핑 장치로 가는 전류의 양과 타이밍을 조절함으로써, 특정의 기초 전달율 또는 회당 투여량을 달성하기 위하여 치료제의 전달율이 제어 회로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비록 기초율이 핸드셋(3)에 의해 설정되나, 한 번의 전달 장치(2)의 설정으로 핸드셋(3)으로부터의 더 이상의 통신 없이 상기 설정된 기초율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21) 및 카트리지(26)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 저장소(27)는 본체(21) 내에 수용되어, 편향 부재 (및 변위 센서)(23)를 변위시키고 스프링(22)을 압축시킨다. 압축된 스프링(22)은 편향 부재(23)를 통해 저장소(27)의 하단에 편향력을 가한다. 편향력은 독립적으로 밸브 장치를 통해 저장소의 인슐린을 환자의 체내로 주입하는 것은 아니나, 펌핑 장치의 펌핑 동작과 결합하는 경우, 편향력은 저장소 내의 인슐린을 가압하여 각각의 펌핑 동작에 앞서 펌핑 챔버를 다시 채우게 된다. 펌핑 동작은 출구 밸브를 통해 펌핑 챔버로부터 환자의 몸으로 제어된 양의 인슐린을 공급하는 것이다. 저장소(27)는 펌프 작동으로 인슐린이 인출되는 제1 단과, 제1 단에 대향하는 (이동 가능한) 하단이 제공되는 제2 단을 갖는 실린더 형태를 취한다. 편향 부재(23)에 의해 제공되는 편향력의 작용 하에, 인슐린이 저장소(27)로부터 펌핑 됨에 따라, 저장소의 하단은 저장소(27)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저장소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편향 부재(23)의 위치는 저장소(27)의 현재의 채워진 상태에 따라 다르다-즉, 얼마나 많은 인슐린이 저장소(27)에 남아 있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편향 부재(23)의 위치와, 그에 따른 저장소(27)의 하단의 위치는 변위 센서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변위 센서는 저장소(27) 내에 남아 있는 인슐린의 양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시간에 대한 남아 있는 인슐린의 양의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실제의 인슐린 전달율이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제어 회로가 펌핑 장치로의 전류의 양 및/또는 타이밍을 조정함으로써 실제의 전달율에 보정을 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저장소(27)에 남아 있는 인슐린의 양은 핸드셋(3)으로 전송되고, 환자에게 표시될 수 있고, 언제 환자가 현재의 카트리지(26)를 새로운 카트리지(26)로 교체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시자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체(21) 내의 제어 회로는 핸드셋(3)에 현재의 배터리 수준을 전송할 수도 있어, 환자가 언제 배터리가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전달 장치(2)는 운동을 추적하기 위한 활동 모니터(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운동은 적절한 제어를 위해 필요한 인슐린의 양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운동을 정확하게 추적하는 것은 효과적인 당뇨 관리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활동 모니터는 전달 장치(2)의 이동을 탐지하기 위하여 전달 장치(2) 내의 센서를 이용하며, 이는 사용자가 언제 신체 활동에 몰두하였는지를 추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탐지된 활동은 제1 무선 연결(5)을 통해 핸드셋(3)으로 무선 통신되고, 이에 핸드셋(3)(및 서버)이 환자의 활동을 추적 및 기록할 수 있다.
서버(4)로의 온라인 포탈을 통해서, 환자 및 허용된 의료 전문가들은 활동이 환자의 인슐린 필요에 대하여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활동 피크와 혈당을 비교할 수 있다. 이는 결국 환자를 위한 적절한 투여량으로 핸드셋(3)을 프로그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환자가 전달 장치(2) 자체보다는 핸드셋(3)에 접속한다는 사실로 인해, 전달 장치(2)는 작게 제작될 수 있으며, 버튼 또는 제어 장치로의 물리적 연결 없이 제공될 수 있다.
핸드셋
핸드셋(3)은 2개의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제1 트랜시버는 제1 무선 연결(5)을 통해 전달 장치와 통신하는 한편, 제2 트랜시버는 제2 무선 연결(6)을 통해 서버(4)와 통신한다.
또한, 핸드셋(3)은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 소프트웨어는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이를 중앙 서버(4)에 보고하며, 제어 신호들을 전달 장치(2)에 전송함으로써 환자의 인슐린 투여량의 전달을 제어한다. 또한, 핸드셋(3)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4)를 포함하며, 이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기초율을 변경하고, 비상의 1회분 투여를 촉발하도록 한다.
펌프를 무선으로 제어함을 물론, 핸드셋(3)은 일체형 혈당계(32)를 포함할 수도 있다. 혈당계(32)는 환자의 혈액 내의 포도당의 양을 검출한다. 혈액은, 환자의 손가락을 찔러 혈액 방울을 슬라이드에 상에 올려놓고 이를 혈당계(32) 내에 삽입함으로써, 혈당계(32)에서 분석될 수 있다. 검출된 혈당 수준은 핸드셋(3) 상에서 환자가 볼 수 있도록 하고, 환자는 혈당 정보를 기초로 1회분 투여를 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모든 혈당 테스트의 결과는 자동으로 소프트웨어에 의해 기록되어, 서버를 통해 환자, 의료 전문가, 가족 구성원(예컨대, 부모 등)까지 즉시 참고하여 이용 가능할 수 있다. 더욱 일반적으로, 핸드셋(3)은 사용자(및 그 밖의 다른 권한 있는 당사자들)가 식이요법, 인슐린, 혈당, 및 운동(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달 장치 내의 센서로부터 자동으로 기록됨)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다양한 응용 소프트웨어를 구동한다. 데이터 수집을 자동화함으로써, 핸드셋(3)은 당뇨병 저널이 필요 없게 만들거나 적어도 감소시키고, 환자 및 의료 전문가들이 광범위하고 정확한 진료 정보를 서버(4)를 통해 지속적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전달 장치(2)를 제어하는 경우, 핸드셋(3)은 미리 정해진 기초율로 규칙적이고 주기적인 인슐린 투여량을 전달하도록 무선 신호들을 전달 장치(2)에 전송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기초율은 의료 전문가의 권고에 따라 핸드셋(3) 상에 설정된다. 기초율은 소정의 제한된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조절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는 의사와 같은 제3자들에 의해 원격으로 기초율이 조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핸드셋(3)은, 예컨대, 탄수화물을 섭취하거나 운동을 한 후에 사용자가 비상의 1회 투여를 하도록 허용한다. 기초 투여량과 관련하여, 핸드셋(3)으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1회분 투여량이 전달 장치(2)에 의하여 전달된다. 사용자는 관련된 시간에 소비된 탄수화물의 양을 입력할 수 있고, 또한, 운동 시간을 입력할 수 있으며, 핸드셋(3)은 기초율의 조정 또는 언제 1회분의 투여가 필요한지를 추천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체형 혈당계(32)는 투여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모든 정보는 서버로 전송된다. 또한, 핸드셋(3)은 전달 장치(2)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예를 들어, 그 정보가 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거나 언제 인슐린 카트리지가 교체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낸다. 또한, 핸드셋(3)은 배터리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서버
핸드셋(3) 및 전달 장치(2)는 인체의 필요에 따라 인슐린을 전달하면서 임상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기록하는 것을 위에 설명한 바에서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정보를 서버(4)로 제공함으로써, 정보를 알 필요가 있는 사람들이 거의 즉각적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보안 온라인 관리 포탈(secure online management portal)로의 모바일 연결은 환자들, 임상의들 및 부모들이 변화하는 상태를 지속적으로 인지하고, 그에 반응할 수 있도록 한다. 시스템을 이용하는 환자가 있는 당뇨병 진료소는 실시간으로 진료소로 전달된 모든 환자의 현재 상태를 단일 화면 상에서 알 수 있다. 포탈은 진료소 내의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환자가 자신의 최신 임상 정보를 온라인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추가하여, 예를 들어, 자신의 혈당 동향과 패턴을 확인하기 위하여, 그리고, 자신의 인슐린 투여 습관을 즉각적으로 알기 위하여 환자가 자신의 데이터에 대하여 간단한 시각적인 분석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정보는 집, 직장, 또는 스마트폰에서 접속이 가능한 간단한 온라인 웹포탈을 이용하여 모두 열람될 수 있다. 또한, 서버(4)는 아이의 부모에게 SMS 메시지를 전송하여 부모들이 자신들의 아이의 정보와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시스템을 이용하는 환자는 보안 모바일 당뇨 관리 포탈에 대한 개인 로그인 아이디가 제공된다. 환자로 로그인하면, 차트와 그래프의 형태로 자동으로 수집된 모든 데이터를 볼 수 있어, 환자들이 조절이 필요한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운동 습관은 파이 그래프로 제공된다. 환자의 인슐린이 정확히 어떻게 언제 전달되었는지에 대한 지시가 제공된다. 환자의 임상의들은 동일한 분석과 정보를 볼 수 있어, 안내와 조언이 필요할 때마다 환자에게 전화를 하거나 문자를 보낼 수 있다.
단일의 온라인 대시보드 스크린으로부터, 진료소는 시스템 상의 모든 환자들의 상태(현재 혈당, 평균 혈당, 인슐린 주입, 피하주사 빈도 및 혈액 테스트 습관을 포함함)에 액세스한다. 한눈에, 곤란을 겪는 누구나 즉각적인 반응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한 번의 클릭으로, 환자에 대한 모든 데이터가 분석되고 차트화되어 동향, 패턴 및 문제점들을 확인할 수 있다. 포탈을 이용하여, 진료소들은 환자가 관리되는 방식을 완전하게 재편성할 수 있다. 최근의 일들에 대해 확인하기 위하여 문자 및 E메일이 이용될 수 있다. 진료소 방문은 현재의 정확한 정보에 전적으로 중점을 둔다.
핸드셋과 서버간의 통신을 관리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펌프의 제어뿐만 아니라, 핸드셋은 펌프로부터의 정보(활동 모니터로부터의 정보, 관리되는 기초 및 회당 투여량의 기록, 및 펌프의 상태와 관련된 그 밖의 정보를 포함함)와, 혈당계로부터의 혈당 측정값과, 사용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입력된 정보(예컨대, 탄수화물 입력, 또는 활동 모니터가 사용중인 아니거나 없는 상태에서의 활동)를 수집하기도 한다. 이러한 정보는 WiFi/3G를 통해 핸드셋에 의하여 보안 서버로 전송된다. 휴대용 장치는 정보를 푸쉬할 보안 서버와의 통신을 위하여, 예를 들어, GPRS M2M(머신투머신) 무선 데이터 연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정보 중 몇몇은 환자의 의학적 상태에 관한 것이다. 한가지 문제는 몇몇 국가 또는 지역은 그 나라의 거주자에 대한 의학적 기록들이 해당 국가 또는 지역에서만 유지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EU 지침은 EU 거주자들에 대한 환자 데이터가 EU 밖에 저장되어서는 안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마련되어 있다. 하나의 국가 내에서조차, 여러 배급업자가 생산품을 공급할 수 있다. 문제가 발생할 경우, 환자는 가장 적당한 고객 관리 연락 거점으로 안내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는 핸드셋들을 전세계적으로 관리하는데 글로벌 서버가 이용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이슈들이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처하기 위하여, 로컬 데이터베이스들이 환자 정보를 저장할 개별 국가 또는 지역에 공급되나, 보안성 및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핸드셋으로부터 적절한 로컬 데이터베이스로 정보를 전송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존재한다. 더욱이, 제조시점에, 사용자들이 로컬 지원을 찾기 위해 필요한 최종 사용자의 신원, 이들의 거주국가, 및 연락을 위한 세부 사항들이 모두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핸드셋이 사용자에게 배달될 준비가 된 때, IME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핸드셋을 위한 고유의 식별자) 및 핸드셋 일련번호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이는 제조 시점에 발생하거나, 사용자에게 송달되기 직전에 발생할 수 있다. 핸드셋을 사용하기 전에, 사용자는 핸드셋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에 의한 최초 활성화 시,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 이동 전화기(단, 핸드셋은 아님) 등을 통해 접속한 활성화 웹페이지 상에 일련번호를 입력하고, 사용자의 언어 및 국가 또는 거주지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일련번호(예를 들어, IMEI의 마지막 5개 숫자), 선택된 언어 및 선택된 국가에 해당하는 IMEI에 기초하여 코드가 생성된다. 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후, 사용자는 자신의 핸드셋에 코드를 입력한다. 그러면, 핸드셋이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때마다, 데이터는 코드를 포함하게 되어, 서버가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할 곳(예컨대, 특정 국가 내의 데이터베이스)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환자의 구체적인 연락 정보가 역동적으로 핸드셋에 할당되어, 사용자는 가정의 의학적 데이터 서버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핸드셋은 지원을 위한 적절한 연락 정보를 표시하게 될 것이다. 구체적인 환자의 프로필은 글로벌 서버에 보관되고, 글로벌 서버는 결국, 환자 지원을 위한 연락처 세부사항(예컨대, 전화 번호 및 웹주소) 뿐만 아니라, 환자의 위치에 적절한 의료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IP 주소를 보관하게 된다. 가입자가 새로운 핸드셋을 수령하는 경우, 가입자는 글로벌 서버로부터 생성된 코드를 핸드셋에 입력함으로써, 자신의 핸드셋을 등록한다. 네트워크에 연결시, 핸드셋은 처음에는 핸드셋이 의료 서버의 IP 주소 및 고객 지원 연락 문자열을 요청하도록 하는 글로벌 서버에 연결된다. 핸드셋은 글로벌 서버와의 연결을 끊고, 적절한 의료 데이터 서버에 다시 접속함으로써, 의학적 데이터가 업로드된다. 핸드셋 상에 표시할 지원 정보 또한 업데이트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핸드셋을 등록하는 방법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A1 단계에서, 사용자가, 예를 들어, 우편으로 핸드셋을 수령한다. 배송에 앞서, 핸드셋의 세부정보는 글로벌 서버에 미리 저장된다. A2 단계에서, 사용자는 웹포탈을 통해 글로벌 서버에 접속한다. 신규 사용자들에게, 이 단계는 새로운 환자 프로필의 작성을 요할 수 있다. 기존 사용자에게는, 이 단계는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로그인할 것을 요할 수 있다. A3 단계에서, 사용자는 웹포탈을 통해, 환자 정보(거주 국가 및 선호 언어 등) 뿐만 아니라, 핸드셋 식별 번호(예를 들어, 핸드셋 상에 인쇄된 일련번호)를 입력한다. A4 단계에서, 글로벌 서버는 식별 번호로부터 특정 핸드셋이 현재 다른 사용자와 연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그렇다면, A5 단계에서, 이전 사용자와의 연관을 삭제한다. 이전 사용자와 연관된 환자 정보는 삭제될 필요가 없다. 환자 정보와 핸드셋 간의 연결만 삭제된다. A6 단계에서, 글로벌 서버는 핸드셋을 새로운 사용자의 환자 프로필과 연결시키다. 이후, A7 단계에서, 글로벌 서버는, 예를 들어, 핸드셋 식별 번호에 해당하는 IMEI 부분에 기초하여, 핸드셋 특정 코드를 생성한다. A8 단계에서, 핸드셋 특정 코드는 (웹포탈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제공된다. A9 단계에서, 사용자는 핸드셋 특정 코드를 핸드셋에 입력한다. 이때, 향후의 통신(아래의 도 5참조)은 핸드셋 특정 코드를 포함하여 전송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A10 단계에서 핸드셋은 코드에 기초하여 자동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장치들은 국가(예컨대, 야드파운드(imperial)와 미터를 사용하는 국가 간)에 기초하여 자동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로컬 의료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의료 데이터를 사용자 프로필과 관련하여 저장을 위하여 서버로 전송할 경우, B1 단계에서, 핸드셋은 글로벌 서버와 접촉하고 핸드셋 특정 코드를 이용하여 핸드셋 자신을 식별한다. B2 단계에서, 글로벌 서버는 핸드셋이 의료 데이터를 제공해야 할 로컬 의료 서버의 IP 주소를 제공한다. 또한, 글로벌 서버는 현재의 고객 지원 문자열을 핸드셋 장치에 제공하는데, 문자열은 전화, 웹사이트 및 사용자의 국가 또는 지역 내에서 로컬 지원을 위한 그 밖의 연락을 위한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이때, B3 단계에서, 핸드셋은 글로벌 서버와의 연결을 끊고, B4 단계에서, 핸드셋은 제공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글로벌 서버에 의해 지시된 로컬 의료 서버에 재접속한다. B5 단계에서, 핸드셋은 환자 데이터/의료 정보를 로컬 의료 서버로 업로드한다. 의료 데이터는 치료제 전달 장치의 활동(인슐린 대 탄수화물 비, 혈당 대비 인슐린 설정, 최대 기초율/회당 투여율, 또는 활동 모니터에 기반한 환자 활동의 표시와 같은 치료 목적의 설정들), 탄수화물 입력 정보(사용자에 의해 핸드셋에 입력됨) 또는 혈당 측정값(핸드셋에 수작업으로 입력되거나 핸드셋 내의 일체형 계량기로부터 결정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핸드셋 상의 고객 지원 정보는, 글로벌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고객 지원 문자열에 기초하여, B6 단계에서 업데이트된다. 이런 방식으로, 핸드셋은 현재의 지원 정보를 이용하여 정규적으로 업데이트된다. 또한, 이는 핸드셋에 중요한 정보, 예컨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또는 서비스 알림 등을 통지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의료 데이터를 둘러싼 사적인 문제들로 인해, 환자는 적용되는 법에 따라 자신의 데이터가 합법적으로 전송 및/또는 저장되는 것을 명백하게 허용/철회할 수 있다. 더욱이, 데이터의 무결성이 보장되고, 올바른 각각의 사용자와 연결되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무선 서비스 지역이 믿을 수 있는지가 보장되지 않으며, 핸드셋 및 보안 서버 상태 및 연결이 잘못될 수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특히, 무선 통신은 변화가 이루어지는 시점에 이용이 불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셋은 건강 관리 시설의 재산이며, 때로는 재배정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핸드셋 상의 데이터는 재배정하기 전에 지워지며, 보안 서버 상의 환자 데이터는 배정된 환자에만 관련된 것이며, 이후 또는 이전의 핸드셋 사용자에 관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 중요하다. 또한, 환자는 데이터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나, 반대로 그 후 선택하지 않을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히 무선 서비스 지역이 신뢰성이 없는 경우 발생하는 불안전한 상태를 피하는 중앙 생성 토큰을 이용하여 특정의 서비스 레벨로, 특정 환자와 관련된 휴대용 무선 의료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특정 환자의 프로필과 관련된 기능은 보안 서버에의 접근을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환자에 의해 관리된다. 환자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나, 노 서비스(no service), 로컬 장치 관리만, 또는 데이터 연결 및 저장과 함께 장치 관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수준의 서비스를 받아들이거나 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수행 데이터(혈당 측정값이 양호한 횟수, 또는 경고의 횟수) 및 주문 데이터(예컨대, 카트리지의 소진, 환자를 위한 새로운 카트리지의 자동 주문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를 기꺼이 전송할 수 있으나, 자신의 건강과 관련된 치료 정보는 아니다. 다른 사용자들은 활동 데이터(활동 모니터의 의해 추적된 사용자들이 착수한 운동의 양)를 송신하고 싶지 않을 수 있다. 환자는 핸드셋 일련번호를 입력하고, 자신의 선택과 관련된 조건들에 동의한다. 이에 대응하여, 보안 서버는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장치에 입력하는 핸드셋 특정 토큰을 생성한다. 서버는 즉시 요청된 상태를 취한다(예컨대, 데이터를 수용하거나 데이터를 수용하지 않는다). 핸드셋은 슬레이브(slave) 역할로, 토큰의 입력시 요청된 상태를 취한다(예컨대,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핸드셋이 새로운 사용자에게 재배정될 경우, 이전 사용자와 관련하여 미배정 토큰이 생성되어 이전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미배정 토큰이 생성되자마자, 그것이 적용되는 핸드셋장치로부터 더 이상 데이터가 수용되지 않을 것이다. 이전 사용자가 토큰을 핸드셋에 입력하는 경우, 모든 가치는 공장 출고 기본 설정을 띠게 되고, 핸드셋 내의 모든 환자 데이터는 삭제될 것이다(이러한 정보의 카피본은 여전히 이전 사용자의 환자 프로필과 관련하여 서버에 유지될 수 있다). 특정 가입자의 사정에 따라 이러한 핸드셋이 재활성화되기(도 4와 관련하여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전까지는 이러한 핸드셋으로부터 더 이상 데이터가 수용되지 않을 것이다. 서버는 마스터(master) 역할로, 모바일 장치의 상태를 유지하고, 저장 및/또는 사용되는 데이터에 대해 제한을 가한다. 장치는 이러한 상태를 토큰의 수동 입력에 의해 비동기식으로 고지받는다.
도 6은 서버에서 토큰을 생성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C1 단계에서, 서버는 핸드셋의 사용자로부터 변경 요청을 수신한다. 변경 요청은 웹포탈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아래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요청은 다수의 가능한 변경들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C2 단계에서, 요청과 관련된 핸드셋이 차단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만약 그렇다면, 변경 요청이 핸드셋과 핸드셋이 현재 배정된 사용자간에 연결을 제거하기 위한 미배정 요청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만약 아니라면, 변경 요청은 C4 단계에서 거절된다(차단된 핸드셋과 관련하여 이용 가능한 다른 요청이 없기 때문이다). 만약 변경 요청이 미배정 요청이라면, C5 단계에서, 서버는 핸드셋으로부터의 향후의 통신을 거절하도록 스스로 설정하고(도 4에 따라 신규 사용자가 핸드셋에 배정될 때까지), 이후 C6 단계에서, 웹포탈을 통해 미배정 토큰이 사용자에게 발행된다. 이후 C7 단계에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만약 C2 단계에서, 서버에 의해 핸드셋이 차단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C8 단계에서, 장치가 사용자에게 현재 배정되었는지 또는 사용자에게 배정되지 않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만약 핸드셋이 사용자에게 이미 배정되었다면, C9 단계에서, 장치가 배정된 사용자가 변경 요청을 한 사용자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만약 아니라면, 변경 요청은 C10 단계에서 거절된다. 만약 장치가 변경 요청을 수행한 사용자에게 현재 배정된 것이라면, C11 단계에서, 변경 요청이 핸드셋으로부터 서버로의 의료 데이터의 무선 전송을 활성 또는 비활성할 것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만약 무선 전송이 요청되면, C13 단계에서, 서버는 핸드셋으로부터 의료 데이터를 수용하도록 스스로 설정할 것이며, 이후 C14 단계에서, 서버는 핸드셋에 입력할 피처 토큰(feature token)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발행할 것이다. 이후, C15 단계에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만약 C11 단계에서, 핸드셋으로부터 서버로의 무선 전송이 비활성화될 것으로 판정되면, C12 단계에서, 서버는 핸드셋으로부터 수신된 어떠한 통신도 폐기한 후(적어도 의료 데이터와 관련하여, 그리고 몇몇 경우에는 모든 데이터와 관련하여), C14 단계에서 핸드셋에 입력할 피처 토큰을 생성하도록 한다. 이후, C15 단계에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만약 C8 단계에서, 핸드셋이 사용자에게 현재 배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C16 단계에서, 배정 분쟁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는 사용자가 또 다른 핸드셋에 이미 관련되어 있는 경우 발생한다. 분쟁이 없는 경우, C17 단계에서, 핸드셋을 요청하는 사용자에게 연결하고, 프로세스는 C9 단계로 다시 합류하여 핸드셋아 의료 데이터를 서버로 전달하여야 할지 여부를 설정한다. 만약 C16 단계에서, 분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C18 단계에서, 요청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기존의 장치가 차단되고, 차단된 기존 장치로부터 수신된 통신은 C19 단계에서 서버에 의해 폐기된다. 이후 C17 단계에서, 새로운 핸드셋이 요청하는 사용자에게 배정된다.
도 7은 핸드셋의 사용자가 웹포탈을 통해 수신된 토큰을 핸드셋에 (수작업으로) 입력하는 경우 발생하는 일련의 이벤트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D1 단계에서, 사용자는 토큰 코드를 핸드셋에 입력한다(예컨대, 타이핑한다). D2 단계에서, 핸드셋은 토큰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토큰이 예상보다 적거나 많은 수의 숫자들을 갖는 경우, 토큰이 예상되는 형식(예컨대, 숫자 및 문자들의 특정한 조합 및/또는 순서)을 갖지 않는 경우, 또는 코드의 전체 또는 일부가 허용되지 않는 글자와 숫자로 된 값을 가지는 경우, 토큰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토큰 코드가 사용자에 의해서 부정확하게 입력된 경우에는 토큰 코드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될 것이다. 코드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D3 단계에서 코드는 거절될 것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코드를 정확히 재입력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D2 단계에서 코드가 유효한 것으로 파악되면, D4 단계에서 코드가 미배정 코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코드가 특정한 값 또는 형식을 갖는 경우에 미배정 코드로 판단될 수 있다. D4 단계에서 코드가 미배정 코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D5 단계에서 핸드셋은 자신의 모든 데이터(또는 적어도 현재의 사용자와 관련된 데이터)를 삭제하고, 기본 설정으로 돌아갈 것이다. 예컨대, 기본 설정은 사용되는 측정 수단들, 서버와의 통신을 위하여 선호하는 것들, 또는 디스플레이 설정(예컨대, 밝기 등)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이후, D6 단계에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만약 D4 단계에서 코드가 미배정 코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핸드셋이 의료 데이터를 서버로 무선 전송하는 상태와 그렇지 않은 상태 사이에서 핸드셋의 전송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코드로 간주된다. 만약 D7 단계에서 핸드셋이 의료 데이터를 서버로 전달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D8 단계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되고, 의료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서버로 동기화된다. 한편, D7 단계에서 핸드셋이 의료 데이터를 서버로 전달해서는 안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D10 단계에서 무선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고, 의료 데이터는 서버로 동기화되지 않을 것이다. D9 단계에서 장치 특징들이 활성화되고, 뒤이어 프로세스는 D6 단계에서 종료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인슐린 전달 시스템을 참조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른 약물의 전달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2 : 전달 장치 3 : 핸드셋
4 : 서버 5 : 제1 무선 연결
6 : 제2 무선 연결 7 : 데이터베이스
21 : 몸체 22 : 스프링
23 : 편향 부재 24 : 콘택트 핀
26 : 1회용 인슐린 카트리지 27 : 인슐린 저장소
28 : 콘택트 패드 32 : 일체형 혈당계
34 :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Claims (16)

  1.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관리 방법은:
    상기 핸드셋 장치에 대한 고유 식별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핸드셋 장치에 연관된 사용자에 관한 환자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핸드셋 장치를 환자 정보와 연관시키고, 핸드셋 특정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핸드셋 특정 코드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핸드셋 장치에서, 상기 핸드셋 특정 코드의 수작업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셋 특정 코드와 관련하여 상기 핸드셋 장치로부터 상기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정보는 사용자의 거주 국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환자의 거주 국가와 관련된 의료 데이터 서버로의 전송 경로를 수립하기 위하여 상기 핸드셋 특정 코드의 수신에 즉각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경로는 상기 핸드셋 장치에 상기 의료 데이터 서버의 IP 주소를 제공함으로써 수립되고, 상기 핸드셋 장치는 상기 서버로의 연결을 끊고 상기 IP 주소로 상기 의료 데이터 서버에 재접속하기 위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
  4. 청구항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셋 장치는 사용자에 관한 의료 데이터를 상기 의료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기 위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
  5. 청구항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핸드셋 특정 코드의 수신에 즉각 반응하여 상기 핸드셋 장치로 고객 지원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핸드셋 장치는 상기 핸드셋 특정 코드의 수신에 즉각 반응하여 핸드셋에 표시할 상기 고객 지원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
  6. 청구항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식별자는 국제 모바일 단말기 인증번호(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E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
  7.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데이터는 치료제 전달 장치의 활동 또는 이를 위한 설정값, 탄수화물 입력 정보 및 혈당 측정값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
  8.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셋 장치는 환자의 거주 국가에 의존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
  9.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정보는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시설, 진료소, 전문 의료진 또는 의료 보험 회사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셋 장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시설, 진료소, 전문 의료진 또는 의료 보험 회사에 의존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
  10. 청구항 1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고유 식별자에 대응하여 상기 핸드셋 장치가 이미 다른 사용자와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핸드셋 장치와 그 밖의 다른 사용자 간의 연관성을 취소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
  11. 청구항 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셋 장치에 대한 고유 식별자는 상기 서버에 전송되는 환자 정보에 앞서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
  12.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관리 시스템은:
    상기 핸드셋 장치에 대한 고유 식별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핸드셋 장치와 연관된 사용자에 관한 환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핸드셋 장치를 환자 정보와 연관시키고, 핸드셋 특정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핸드셋 특정 코드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핸드셋 특정 코드의 수작업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핸드셋 특정 코드와 관련하여 상기 핸드셋 장치로부터 상기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핸드셋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시스템.
  13. 청구항 12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정보는 사용자의 거주 국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환자의 거주 국가와 관련된 의료 데이터 서버로의 전송 경로를 수립하기 위하여 상기 핸드셋 특정 코드의 수신에 즉각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
  14.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관리 방법은:
    상기 핸드셋 장치에 대한 고유 식별자의 적어도 일부 및 핸드셋 장치의 데이터가 상기 서버로 전송될지 여부를 명시하는 통신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통신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핸드셋 장치와 관련하여 데이터 수용 상태 또는 데이터 비수용 상태를 입력하고, 핸드셋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핸드셋 코드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셋 장치에서, 상기 핸드셋 코드의 수작업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핸드셋 코드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 정보와 일치하는 데이터 전송 상태 또는 데이터 비전송 상태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
  15.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관리 방법은:
    상기 핸드셋 장치에 대한 고유 식별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핸드셋 장치에 대한 미배정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미배정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핸드셋과 관련하여 데이터 비수용 상태를 입력하고, 핸드셋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핸드셋 코드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셋 장치에서, 상기 핸드셋 코드의 수작업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핸드셋 코드에 대응하여 상기 핸드셋 장치에서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
  16.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 또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관리 방법 또는 상기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앞서 기술된 바와 실질적으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방법 또는 시스템.
KR1020167023323A 2014-01-30 2015-01-30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KR101879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401589.5A GB2524717A (en) 2014-01-30 2014-01-30 Managing communications to and from a handset device controlling a therapeutic product delivery device
GB1401589.5 2014-01-30
PCT/GB2015/050250 WO2015114372A1 (en) 2014-01-30 2015-01-30 Managing communications to and from a handset device controlling a therapeutic product deliver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251A true KR20160113251A (ko) 2016-09-28
KR101879784B1 KR101879784B1 (ko) 2018-07-18

Family

ID=5034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323A KR101879784B1 (ko) 2014-01-30 2015-01-30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272200B2 (ko)
EP (1) EP3100191B1 (ko)
JP (2) JP6730928B2 (ko)
KR (1) KR101879784B1 (ko)
CN (1) CN106062756A (ko)
CA (1) CA2935614C (ko)
DK (1) DK3100191T3 (ko)
GB (1) GB2524717A (ko)
HK (1) HK1216048A1 (ko)
MX (1) MX357524B (ko)
TW (1) TW201534145A (ko)
WO (1) WO20151143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4717A (en) * 2014-01-30 2015-10-07 Cellnovo Ltd Managing communications to and from a handset device controlling a therapeutic product delivery device
US10441717B2 (en) 2014-04-15 2019-10-15 Insulet Corporation Monitoring a physiological parameter associated with tissue of a host to confirm delivery of medication
US20180374561A1 (en) * 2015-12-07 2018-12-27 Shenghuo Technology Limited System for automatically obtaining treatment record
US11278665B2 (en) 2016-11-22 2022-03-22 Eitan Medical Ltd. Method for delivering a therapeutic substance
USD853583S1 (en) 2017-03-29 2019-07-0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Hand-held device housing
JP7361703B2 (ja) * 2018-03-02 2023-10-16 日東電工株式会社 デバイスペア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デバイス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8814561A (zh) * 2018-07-11 2018-11-16 山东博科保育科技股份有限公司 经皮黄疸仪智能控制方法、装置及系统
US11241532B2 (en) 2018-08-29 2022-02-08 Insulet Corporation Drug delivery system with sensor having optimized communication and infusion site
EP3744368A1 (en) 2018-10-05 2020-12-02 Sorrel Medical Ltd. Triggering sequence
EP4000075A4 (en) 2019-07-16 2023-10-04 Beta Bionics, Inc. BLOOD GLUCOSE CONTROL SYSTEM
US11278661B2 (en) 2020-03-10 2022-03-22 Beta Bionics, Inc. Infusio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CN111991185A (zh) * 2020-08-27 2020-11-27 滕德群 一种电动手臂训练器械
US20220199218A1 (en) 2020-12-07 2022-06-23 Beta Bionics, Inc. Ambulatory medicament pump with integrated medicament ordering interface
US20220265143A1 (en) 2020-12-07 2022-08-25 Beta Bionics, Inc. Ambulatory medicament pumps with selective alarm muting
US20220189603A1 (en) 2020-12-07 2022-06-16 Beta Bionics, Inc. Medicament pumps and control systems for managing glucose control therapy data of a subject
US20220208331A1 (en) * 2020-12-07 2022-06-30 Beta Bionics, Inc. Remote modification of therapy delivered by ambulatory medicament pump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7688A (en) 1994-02-14 1999-02-02 Reliable Transaction Processing, Inc. Data acquisition and retrieval system with wireless handheld user interface
US6381029B1 (en) * 1998-12-23 2002-04-30 Etraum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viewing of patient images
JP2001190659A (ja) * 2000-01-07 2001-07-17 Seiko Instruments Inc 携帯型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7627534B2 (en) 2002-03-19 2009-12-01 Gomed Llc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information for a wireless device
US20050055242A1 (en) 2002-04-30 2005-03-10 Bryan Bello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data tracking, analysis and reporting for healthcare system
KR100521855B1 (ko) * 2003-01-30 2005-10-14 최수봉 무선교신이 가능한 인슐린펌프 제어방법
CN1856793A (zh) * 2003-09-24 2006-11-01 西门子医疗健康服务公司 包括临床系统接口的医疗设备管理系统
US20050108057A1 (en) 2003-09-24 2005-05-19 Michal Cohen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clinical system interface
JP5148857B2 (ja) * 2005-10-25 2013-02-20 テルモ株式会社 生体情報収集システム
CA2640620A1 (en) * 2006-01-30 2007-08-02 Cpni Inc. A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a funds transfer or payment using a phone number
CA2646279C (en) 2006-03-23 2015-12-0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stem and methods for improved diabetes data management and use employing wireless connectivity between patients and healthcare providers and repository of diabetes management information
US20070233051A1 (en) 2006-03-31 2007-10-04 David Hohl Drug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JP2008242502A (ja) * 2006-08-14 2008-10-09 Kunio Aso 総合医療支援システム
GB2443260C (en) 2006-10-26 2017-11-29 Cellnovo Ltd Micro-valve
GB2456681B (en) 2006-10-26 2009-11-11 Starbridge Systems Ltd Pump
US20090099866A1 (en) 2007-08-10 2009-04-16 Smiths Medical Md, Inc. Time zone adjustment for medical devices
US7978062B2 (en) 2007-08-31 2011-07-12 Cardiac Pacemakers, Inc. Medical data transport over wireless life critical network
CN201134101Y (zh) 2007-12-27 2008-10-15 卫生部医院管理研究所 便携式医疗信息检索及开方系统
US20100076275A1 (en) * 2008-07-24 2010-03-25 Edmond Chu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Healthcare Monitoring
GB2464114B (en) 2008-10-02 2012-06-13 Cellnovo Ltd Linear capacitive displacement sensor
US8412539B2 (en) 2009-04-09 2013-04-02 Rajagopal Srinivasan Handhel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US20110225024A1 (en) * 2010-03-15 2011-09-15 Ribbit Corporation Voting communicating system
US10956867B2 (en) * 2010-03-31 2021-03-23 Airstrip Ip Holdings, Llc Multi-factor authentication for remote access of patient data
US8676600B2 (en) * 2010-08-12 2014-03-18 Fenwal, Inc Mobile applications for blood centers
US8898759B2 (en) * 2010-08-24 2014-11-2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pplication registration, authorization, and verification
US20120050046A1 (en) * 2010-09-01 2012-03-01 Harri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hysical, b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 person, animal, object and/or surrounding environment
US20120182939A1 (en) * 2011-01-14 2012-07-19 Qualcomm Incorporated Telehealth wireless communication hub and service platform system
WO2012122520A1 (en) * 2011-03-10 2012-09-13 Abbott Diabetes Care Inc. Multi-function analyte monitor device and methods of use
US8447732B2 (en) * 2011-08-02 2013-05-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duplication in network storage with data residence compliance
US9489488B2 (en) * 2011-09-23 2016-11-08 Roche Diabetes Care, Inc. Protocol independent interface supporting general communications interface debugging and testing tool
US20130173473A1 (en) * 2011-12-28 2013-07-04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Data sychronization systems and methods
GB2497617B (en) 2012-08-03 2015-06-10 Polar Electro Oy Transfer of measurement data related to physical exercise
GB2524717A (en) * 2014-01-30 2015-10-07 Cellnovo Ltd Managing communications to and from a handset device controlling a therapeutic product deliver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30928B2 (ja) 2020-07-29
DK3100191T3 (en) 2018-06-14
JP2020144948A (ja) 2020-09-10
GB201401589D0 (en) 2014-03-19
CA2935614A1 (en) 2015-08-06
EP3100191B1 (en) 2018-02-28
JP2017504906A (ja) 2017-02-09
CN106062756A (zh) 2016-10-26
GB2524717A (en) 2015-10-07
US10272200B2 (en) 2019-04-30
TW201534145A (zh) 2015-09-01
EP3100191A1 (en) 2016-12-07
US20160339176A1 (en) 2016-11-24
KR101879784B1 (ko) 2018-07-18
MX357524B (es) 2018-07-12
WO2015114372A1 (en) 2015-08-06
MX2016009548A (es) 2016-11-17
HK1216048A1 (zh) 2016-10-07
JP6851532B2 (ja) 2021-03-31
CA2935614C (en)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784B1 (ko) 치료제 전달 장치를 제어하는 핸드셋 장치와의 통신 관리
US11386996B2 (en) Therapeutic product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pairing
KR101859122B1 (ko) 핸드셋 장치
US20190192764A1 (en) Diabetes Management System
KR20160074650A (ko) 치료 요법에 대한 준수를 보고하는 환자 간호 시스템
US20240173471A1 (en) Medicament injection pen with automatic dosing
US202102131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iabetes
GB2593235A (en) Therapeutic product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pairing
WO2024118292A1 (en) Medicament injection pen with automatic do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